KR101333602B1 -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602B1
KR101333602B1 KR1020100098469A KR20100098469A KR101333602B1 KR 101333602 B1 KR101333602 B1 KR 101333602B1 KR 1020100098469 A KR1020100098469 A KR 1020100098469A KR 20100098469 A KR20100098469 A KR 20100098469A KR 101333602 B1 KR101333602 B1 KR 101333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ad
current
interruption
preven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6670A (ko
Inventor
최제인
Original Assignee
최제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제인 filed Critical 최제인
Priority to KR1020100098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602B1/ko
Publication of KR20120036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with obstructing members moving in a translatory motion, e.g. vertical lift barriers, sliding g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F03G7/081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recovering energy from moving road or rail vehicles, e.g. collecting vehicle vibrations in the vehicle tyres or shock absorb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8Controlling traffic signals according to detected number or speed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은, 도로의 진출입 구간의 차선에 일정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차단장치, 도로의 표면 아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매설되며, 차량의 주행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복수개의 변환장치, 변환장치들로부터 발생하는 전류 발생 데이터들을 취득하여 차량의 속도 및 차량간의 거리 데이터를 측정하는 측정장치, 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차단장치와 도로의 진출입 구간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끼어들기 위반 차량을 촬영하여 차량정보를 획득하고,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화하는 검지장치, 차단장치가 설치된 구간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상기 차단장치의 작동 여부를 게시하는 전광판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은 도로의 진출입 구간에서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유지하기 위하여 끼어들기에 의한 법규위반차량의 단속 및 통제를 위하여 많은 인원의 동원 없이 효과적으로 차량의 끼어들기를 방지하고, 법규위반차량의 끼어들기를 제어하여 무리한 끼어들기에 의하여 발생하는 주행차로의 정체와 뒤따르던 차량과의 추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카메라 단속에 의한 후속조치뿐 아니라 도로 진출입 구간의 정체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도로 진출입구간의 끼어들기에 의한 교통 정체를 신속하게 대응하여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prevention system of a lane offense}
본 발명은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진출입 구간에서의 끼어들기를 방지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전에 의해 차량이 급속히 증가하면서 도로는 교통량 증가, 교통법규 위반차량 등에 의하여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극심한 정체와 사고 등을 예방하고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의 단속 및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도로의 진출입 구간에서는 진출입을 위해 대기하고 있는 차량 들의 사이로 조금이라도 먼저 가기 위하여 무리하게 불법적인 끼어들기를 단행하는 운전자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불법 행위로 인하여 진출입을 위해 기다리고 있는 선량한 대다수 차량 운전자들의 정체가 가중되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진출입을 위해 무리한 끼어들기를 시도하여 뒤따르던 차량과의 접촉사고뿐만 아니라 사고에 의한 주행 차선의 정체 또한 가중되고 있다.
이러한 도로의 진출입 구간에서 선량한 운전자들의 피해와 법규위반 차량의 효과적인 예방과 방지를 위하여 현장에 교통경찰 단속인원이 직접 상존하면서 시각적으로 끼어들기 법규위반차량을 단속하거나, 카메라를 진출입 구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법규위반차량을 적발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도로의 진출입로에 교통경찰 단속인원이 상존하면서 법규위반차량을 단속하는 경우에는 단속과 현장의 관리를 위하여 많은 인원이 동원되어야 하며, 법규위반차량의 위반을 증명할 수 있는 증거 확보가 쉽지 않아 위반차량의 운전자와 다투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추가적인 정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행차로에서 법규위반차량의 무리한 끼어들기에 의하여 발생하는 주행차로의 정체와 뒤따르던 차량과의 추돌사고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카메라를 설치하여 단속하는 경우에는 법규위반차량에 대하여 위반사실에 대한 통보를 통한 범칙금 부과 같은 후속조치만을 가할 수 있어 교통 정체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과 제재를 가할 수 없으므로 교통 정체를 신속히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은 도로의 진출입 구간의 차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지면 아래에 위치하는 제1 상태에서 지면 위로 돌출되어 차량의 차선이동을 차단하는 제2 상태로 전환되는 복수개의 차단장치, 상기 도로의 표면 아래로 차량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매설되며, 차량의 주행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류를 발생하는 복수개의 변환장치, 상기 변환장치들로부터 발생하는 전류 발생 데이터들을 취득하여 차량의 속도 및 차량간의 거리 데이터를 측정하는 측정장치, 상기 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차단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장치는 도로의 진출입 구간의 차선을 따라 도로의 하부에 매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팬,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하는 송풍관, 상기 송풍관에 결합하며, 모터의 작동에 따라 팬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를 수용하여 팽창 및 수축하는 튜브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단장치는 도로의 진출입 구간의 차선을 따라 도로의 하부로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매입되는 고정 하우징, 상기 고정 하우징으로부터 승강 및 하강할 수 있도록 겹합하는 승하강 하우징,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며, 중간이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X자형 링크부재가 길이방향으로 다수 연장되게 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되어 확개, 축소하도록 형성되고, 상부는 상기 승하강 하우징에 고정되며, 하부는 상기 고정 하우징에 각각 고정되는 링크바, 상기 링크바를 확개, 축소하도록 일측은 상기 고정 하우징의 하측 고정부에 고정되는 링크부재의 최하단 중간 힌지핀에 고정되며, 타측에는 이동 너트부가 형성된 승강편, 상기 승강편에 형성되어 있는 이동 너트부와 체결하여 상기 승하강 하우징을 승강 및 하강 시키도록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회동 샤프트, 상기 회동 샤프트와 결합하며, 상기 회동 샤프트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승강편이 상기 회동 샤프트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의하여 상기 회동 샤프트를 승강 및 하강하도록 결합하는 모터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단장치는 도로의 진출입 구간의 차선을 따라 도로의 하부에 매입되며, 상단은 내측 방향, 하단은 외측 방향으로 각각 걸림턱이 형성되고, 지름이 단계적으로 작아지는 다수의 원통형 부재가 순차적으로 결합한 다단부재, 상기 다단부재의 내측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다단부재에 형성된 걸림턱이 서로 대응되는 걸림턱에 접하여 승강하도록 밀어올리는 유압실린더, 상기 유압실린더를 승강시키는 유압펌프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차단장치는 도로 진출입 구간에 배치되는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차량의 진행방향을 따라 식별 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상기 변환장치는 도로의 진출입 구간의 하부에 매설되며, 압전소자의 상단과 하단에 필름 PCB로 형성된 필름을 도포하여 상기 도로를 통하여 진행하는 차량의 주행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압력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압전효과에 따른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류를 발생하는 압전 필름부, 상기 압전 필름부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하며 차량의 주행으로 발생하는 진동으로부터 상기 압전 필름부를 보호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완충작용을 통하여 압전 소자의 압전효과와 효율을 높이도록, 진동에 의한 압력에너지를 전달하는 압력전달 패널, 상기 압전 필름부로부터 차량의 주행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압전효과로 압전소자에서 발생하는 AC 전류를 변화하는 트랜스포머, 상기 트랜스포머를 통하여 인가된 AC 전류를 정류하여 DC 전류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부, 상기 정류 회로로부터 변환된 전류를 커패시터에 저장하는 전류 저장부, 상기 전류 저장부를 통하여 저장된 전류를 강압 또는 승압하는 DC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변환장치를 통하여 정류된 전류를 충전하는 축전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변환장치들로부터 발생하는 전류 발생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수집된 전류 발생 데이터를 해석하여 차량의 속도 및 차량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은 상기 도로의 진출입 구간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끼어들기 위반 차량을 촬영하여 차량정보를 획득하고,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화하는 검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에 따른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차단장치에 부여된 식별코드에 의하여 상기 차단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며, 상기 차단장치의 파손 여부를 감지하여 파손된 상기 차단장치 주변을 촬영하도록 상기 검지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은 상기 차단장치가 설치된 구간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상기 차단장치의 작동 여부를 게시하는 전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은 도로의 진출입 구간에서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유지하기 위하여 끼어들기에 의한 법규위반차량의 단속 및 통제를 위하여 많은 인원의 동원 없이 효과적으로 차량의 끼어들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법규위반차량의 끼어들기를 제어하여 무리한 끼어들기에 의하여 발생하는 주행차로의 정체와 뒤따르던 차량과의 추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 단속에 의한 후속조치뿐 아니라 도로 진출입 구간의 정체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도로 진출입구간의 끼어들기에 의한 교통 정체를 신속하게 대응하여 해결할 수 있다.
도 1,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도 4는 도 1, 도 2에 도시한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a, 도 5b는 도 1, 도 2에 도시한 끼어들기 방지시스템의 차단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 도 6b, 도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끼어들기 방지시스템의 차단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 도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끼어들기 방지시스템의 차단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으로 도로 진출입 구간에서 차량의 정체 발생 시 차량의 차선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10)은 도로의 진출입 구간의 차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차단장치(100), 도로 진출입 구간의 표면 아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매설되고, 차량의 주행으로 발생하는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류를 발생하는 복수의 변환장치(300), 변환장치(300)들로부터 발생하는 전류 발생 데이터들을 취득하여 취득한 데이터를 측정하는 측정장치(500), 측정장치(500)들로부터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차단장치(100)들을 제어하는 제어장치(700)를 포함하며, 변환장치(300)들로부터 정류된 전류를 충전하는 축전지(350), 도로의 진출입 구간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끼어들기 위반 차량을 촬영하여 차량정보를 획득하고,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화하는 검지장치(800), 차단장치(100)가 설치된 구간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제어장치(700)에 의하여 차단장치(100)의 작동 여부를 게시하는 전광판(90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10)의 차단장치(100)는 도 5a,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로 진출입 구간의 차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지면에 형성된 삽입구에 배치된다.
차단장치(100)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상측으로 결합하는 송풍관(115),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모터(111), 모터(111)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팬(113), 송풍관(115)에 결합하는 튜브(117)를 포함한다.
차단장치(100)들은 도로 진출입 구간에 배치되는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차량의 진행방향을 따라 식별 코드가 부여된다.
하우징(110)은 도로 진출입 구간의 차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삽입구에 매입하여 설치한다.
하우징(110)은 내측으로 수용하는 모터(111), 팬(113)을 보호할 수 있도록 금속 또는 견고한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모터(111)가 수용되며, 모터(111)의 회전축에는 모터(111)의 회전에 의하여 상향으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팬(113)이 결합한다.
하우징(110)의 상측에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 하도록 송풍관(115)이 결합한다.
송풍관(115)의 일측에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수용된 모터(111)와 팬(113)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 등의 기체를 수용하여 지면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1 위치에서 지면의 위에 위치하는 제2 위치로 수직 하도록 돌출할 수 있는 튜브(117)가 결합한다.
튜브(117)는 고무나 연성의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천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튜브(117)는 원기둥 형상으로 팽창될 수도 있지만, 원뿔이나 사각형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10)의 변환장치(300)는 상기 도로 진출입 구간의 차량진행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매설된다.
이를 도 3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변환장치(300)는 압전 필름부(310), 압력전달 패널(313), 트랜스포머(315), 정류 회로부(317), 전류 저장부(319), DC 레귤레이터(320)를 포함한다.
또한, 변환장치(300)들로부터 정류된 전류를 충전하는 축전지(3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압전 필름부(310)는 압전소자의 상단과 하단에 필름 PCB를 도포하여 구성한다.
압전 필름부(3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진동에 의한 압력에너지를 전달하는 압력 전달 패널(313)이 결합한다.
압전 필름부(310)로부터 발생하는 AC 전류를 변환하도록 트랜스포머(315), 트랜스포머(315)를 통하여 인가된 AC 전류를 정류하여 DC 전류로 변환하도록 정류 회로부(317), 정류 회로부(317)로부터 변환된 전류를 커패시터에 저장하는 전류 저장부(319), 전류 저장부(319)를 통하여 저장된 전류를 강압 또는 승압하도록 DC 레귤레이터(320)가 구비된다.
이때, 압전 필름부(310), 트랜스포머(315), 정류 회로부(317), 전류 저장부(319), DC 레귤레이터(320)를 통하여 변환된 전류를 축전지(350)에 충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10)의 측정장치(50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변환장치(300)로부터 발생하는 전류 발생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10)와 데이터 저장부(510)로부터 수집된 전류 발생 데이터를 해석하여 분석하는 분석부(5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10)의 제어장치(700)는 도 3,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단장치(100)와 검지장치(800), 전광판(900)을 변환장치(300)에 의하여 발생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측정장치(500)에 의하여 측정 분석한 데이터들을 통하여 차단장치(100)를 제어하고, 차단장치(100)의 작동 여부를 게시 하도록 전광판(900)을 제어하며, 차단장치(100)에 부여된 식별코드를 통하여 인식한 위치 및 작동정보와 파손 여부를 판단하고, 파손 및 미작동 시, 검지장치(800)를 제어하며, 차단장치(100)의 주변을 촬영하여 데이터화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10)의 검지장치(800)는 도 1,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로 진출입 구간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위반 차량을 촬영하여 차량정보를 획득하고,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화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10)의 전광판(900)은 도 1,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단장치(100)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진행하는 차량이 차단장치(100)의 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10)의 차단장치(200)는 도 6a, 도 6b,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로 진출입 구간의 차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지면에 형성된 삽입구에 배치된다.
도 6a, 도 6b,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차단장치(200)는 고정 하우징(220), 승하강 하우징(221), 링크바(223), 승강편(225), 회동 샤프트(227), 모터(211)를 포함한다.
고정 하우징(220)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삽입구에 매입하여 설치한다.
고정 하우징(220)의 외측으로 승하강 하우징(221)이 고정하우징(220)을 따라 승강 및 하강할 수 있도록 결합한다.
고정 하우징(220) 및 승하강 하우징(221)은 필요에 따라 원형관이나 사각형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하우징(220)의 내측으로 힌지핀에 의하여 X자형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링크부재가 다수 연장하게 연결된 링크바(223)가 설치된다.
이때, 링크바(223)의 상부는 승하강 하우징(221)의 상측 고정부와, 하부는 고정 하우징(220)의 하측 고정부에 각각 고정된다.
승강편(225)은 일측이 링크바(223)를 확개 및 축소하도록 고정 하우징(220)의 하측 고정부에 고정되는 링크바(223) 하부의 링크부재 최하단 힌지핀에 고정되며, 타측에 형성된 이동너트부는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회동 샤프트(227)와 결합한다.
모터(211)는 회동 샤프트(227)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결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10)의 차단장치(400)는 도 7a,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로 진출입 구간의 차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지면에 형성된 삽입구를 통하여 배치된다.
도 7a,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차단장치(400)는 다단부재(430), 유압실린더(433), 유압펌프(435)를 포함한다.
다단부재(430)는 상단 내측 방향과 하단 외측 방향으로 각각 걸림턱이 연상 형성된 원통형 부재가 단계적으로 지름이 작아지도록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형성된다.
다단부재(430)는 도로 진출입 구간의 차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삽입구에 매입된다.
다단부재(430)의 내측 중앙으로 다단부재(430)에 형성된 걸림턱이 서로 대응하는 걸림턱에 접하여 승강하도록 밀어올리는 유압실린더(433)가 설치된다.
유압실린더(433)를 승강 작동시킬 수 있도록 유압펌프(435)가 유압실린더(433)에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10)은, 상술한 것과 같이 도로 진출입 구간에서 차량의 끼어들기를 방지하여 정체 중 선량한 대기 운전자들을 보호하며, 무리한 끼어들기를 통해 발생하는 주행차로의 정체 및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도로 진출입 구간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변환장치(300)들이 지면의 아래로 매설된다. 도로 진출입 구간을 따라 차량이 진행하게 되면, 변환장치(300)에 구비된 압전 필름부(310)는 압전소자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필름 PCB를 통하여 차량의 주행으로 발생하는 진동 에너지를 압전효과에 따른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류를 발생한다. 이때, 압전 필름부(310)는 상부 및 하부로 압력 전달 패널(313)이 각각 결합 되어있어, 압전 필름부(310)가 차량 주행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에 의한 손상을 입는 것을 완충작용에 의해 방지할 수 있으며, 압전효과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PCB 필름의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전 필름부(310)는 차량의 주행으로 발생하는 진동 에너지를 압전효과에 의한 전기 에너지의 변환으로 발생한 전류를 트랜스포머(315)에 의하여 AC 전류를 변환하고, 트랜스포머(315)를 통해 변환된 전압을 정류 회로부(317)에 의하여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정류하여 변환한다. 정류 회로부(317)에 의하여 변환된 전류를 전류 저장부(319)의 커패시터에 저장하고, 전류 저장부(319)를 통해 저장된 전류를 DC 레귤레이터(320)를 통해 강압 또는 승압하여 변환된 전류를 축전지(350)에 충전하도록 한다.
이때, 차량 주행 시 변환장치(300)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류의 발생 시간, 발생 간격 등을 측정장치(500)의 데이터 저장부(510)를 통하여 수집하고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510)에 수집된 데이터는 분석부(530)에 통해 해석하여 차량의 속도 및 차량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측정장치(500)를 통하여 해석된 데이터에 의하여 차량의 정체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장치(700)는 도로 진출입 구간의 차선을 따라 매입된 차단장치(100)들의 작동 여부를 전광판(900)을 통하여 게시한다.
전광판(900)을 통하여 작동 여부를 게시한 제어장치(700)는, 차단장치(100)들에 부여된 식별코드를 통해 차량의 진행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차단장치(100)들의 모터(111)를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도 5a,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장치(700)는 상기 차단장치(100)들의 모터(111)를 제어하여 모터(111)의 작동에 따라 도로 진출입 구간의 차선을 따라 지면 아래의 제1 상태에서 지면 위의 제2 상태로 튜브(117)가 돌출하도록 팬(113)을 통해 공기를 상향으로 공급한다.
이때, 끼어들기 차량에 의하여 차단장치(100)가 파손될 경우 도로 진출입 구간의 주행하는 차량의 진행 방향에 따라 차단장치(100)에 부여된 식별코드에 의하여 제어장치(700)는 이를 인식하고 검지장치(800)를 제어하여 파손된 차단장치(100)주변을 촬영하고 데이터화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차단장치(100)의 모터(111)와, 전광판(900), 검지장치(800)는 축전지(350)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한다.
또한, 도 6a, 도 6b, 도 6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10)의 차단장치(200)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어장치(700)는 차단장치(100)의 모터(211)를 작동시켜 회동 샤프트(227)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동 샤프트(227)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회동 샤프트(227)와 일측의 이동 너트부가 결합한 승강편(225)이 승강하면, 승강편(225)의 타측이 고정되어있는 링크바(223)를 확개시켜, 고정하우징(210)의 외측에 결합된 승강하우징(212)을 지면 아래의 제1 상태에서 지면 위의 제2 상태로 승강시킨다.
이때, 차단장치(200)의 모터(211)는 축전지(350)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도 7a,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10)의 차단장치(400)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어장치(700)는 차단장치(400)의 유압펌프(435)를 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435)와 연결된 다단식 유압실린더(433)를 신장시킨다.
여기서, 신장하는 유압실린더(433)에 의하여 다수의 원통형 부재가 순차적으로 결합하는 다단부재(430)의 제일 내측의 원통형 부재가 상승하며 상단은 내측 방향, 하단은 외측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걸림턱에 따라 서로 대응하는 걸림턱과 접하여다단부재(430)의 지름이 작은 내측 부재부터 순차적으로 승강하게 된다.
이때, 차단장치(400)의 유압펌프(435)는 축전지(350)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차단장치 110 : 하우징
111, 211: 모터 113 : 팬
115 : 송풍관 117 : 튜브
300 : 변환장치 310 : 압전 필름부
313 : 압력 전달 패널 315 : 트랜스포머
317 : 정류 회로부 319 : 전류 저장부
320 : DC 레귤레이터 350 : 축전지
500 : 측정장치 510 : 데이터 저장부
530 : 분석부 700 : 제어장치
800 : 검지장치 900 : 전광판

Claims (11)

  1.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에 있어서,
    도로의 진출입 구간의 차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지면 아래에 위치하는 제1 상태에서 지면 위로 돌출되어 차량의 차선이동을 차단하는 제2 상태로 전환되는 복수개의 차단장치;
    상기 도로의 표면 아래로 차량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매설되며, 차량의 주행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류를 발생하는 복수개의 변환장치;
    상기 변환장치들로부터 발생하는 전류 발생 데이터들을 취득하여 차량의 속도 및 차량간의 거리 데이터를 측정하는 측정장치; 및
    상기 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차단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장치는,
    도로의 진출입 구간의 차선을 따라 도로의 하부에 매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팬;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결합하는 송풍관; 및
    상기 송풍관에 결합하며, 모터의 작동에 따라 팬에 의하여 발생하는 공기를 수용하여 팽창 및 수축하는 튜브를 포함하는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는 도로의 진출입 구간에 배치되는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차량의 진행방향을 따라 식별 코드가 부여되는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장치는,
    도로의 진출입 구간의 하부에 매설되며, 압전소자의 상단과 하단에 필름 PCB로 형성된 필름을 도포하여 상기 도로를 통하여 진행하는 차량의 주행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압력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압전효과에 따른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류를 발생하는 압전 필름부;
    상기 압전 필름부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하며 차량의 주행으로 발생하는 진동으로부터 상기 압전 필름부를 보호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완충작용을 통하여 압전 소자의 압전효과와 효율을 높이도록, 진동에 의한 압력에너지를 전달하는 압력전달 패널;
    상기 압전 필름부로부터 차량의 주행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압전효과로 압전소자에서 발생하는 AC 전류를 변화하는 트랜스포머;
    상기 트랜스포머를 통하여 인가된 AC 전류를 정류하여 DC 전류로 변환하는 정류 회로부;
    상기 정류 회로부로부터 변환된 전류를 커패시터에 저장하는 전류 저장부; 및
    상기 전류 저장부를 통하여 저장된 전류를 강압 또는 승압하는 DC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장치를 통하여 정류된 전류를 충전하는 축전지를 더 포함하는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는,
    상기 변환장치들로부터 발생하는 전류 발생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수집된 전류 발생 데이터를 해석하여 차량의 속도 및 차량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도로의 진출입 구간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끼어들기 위반 차량을 촬영하여 차량정보를 획득하고,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화하는 검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위치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차단장치에 부여된 식별코드에 의하여 상기 차단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며, 상기 차단장치의 파손 여부를 감지하여 파손된 상기 차단장치 주변을 촬영하도록 상기 검지장치를 제어하는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가 설치된 구간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상기 차단장치의 작동 여부를 게시하는 전광판을 더 포함하는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
KR1020100098469A 2010-10-08 2010-10-08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 KR101333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469A KR101333602B1 (ko) 2010-10-08 2010-10-08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469A KR101333602B1 (ko) 2010-10-08 2010-10-08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670A KR20120036670A (ko) 2012-04-18
KR101333602B1 true KR101333602B1 (ko) 2013-12-02

Family

ID=4613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469A KR101333602B1 (ko) 2010-10-08 2010-10-08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6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8981A2 (en) * 2015-01-21 2016-07-28 Makhabane Lungelo Marvin Power generating device
KR102600736B1 (ko) * 2022-05-13 2023-11-10 주식회사 에이앤티글로벌 진출입로 끼어들기 방지 스마트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5050195B (zh) * 2022-05-30 2023-08-11 河南省科学院地理研究所 一种城市车流量监控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603B1 (ko) * 1997-08-22 1999-08-02 최인석 매설형 가변차로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
KR200265858Y1 (ko) * 2001-07-31 2002-02-25 주식회사 3국산업 차선유도 자동장치
KR20020093480A (ko) * 2001-06-09 2002-12-16 주식회사 테크노.티 진동을 전기적 에너지로 얻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603B1 (ko) * 1997-08-22 1999-08-02 최인석 매설형 가변차로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
KR20020093480A (ko) * 2001-06-09 2002-12-16 주식회사 테크노.티 진동을 전기적 에너지로 얻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265858Y1 (ko) * 2001-07-31 2002-02-25 주식회사 3국산업 차선유도 자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670A (ko)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1287B1 (en) The combined loop type auto-mobile sensor using loop coil and parking information system the same
CN103952987B (zh) 道路综合信息监测警示装置及系统
US9157200B2 (en) Vehicle barrier system with illuminating gate arm and method
KR101333602B1 (ko) 끼어들기 방지 시스템
EP1752946A1 (en) Device for detecting fixed or mobile obstacle
US20160032545A1 (en) Vehicle barrier system with illuminating gate arm
CN104821091B (zh) 风光互补式车辆通行限高系统
CN112562407B (zh) Odd状态预判的方法、装置及自主代客泊车系统
KR101149822B1 (ko) 스마트 하이웨이 진출입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11489A (ko) 도로용 방호책
CN110246346B (zh) 一种t型路口智能交通传感系统
CN203049494U (zh) 一种道闸保护系统
KR101192356B1 (ko) 도로 시설물 감시시스템
KR102051592B1 (ko) 차량 간 통신을 이용한 보행자 보호 방법 및 이를 위한 블랙박스 장치
KR101147724B1 (ko) 지능형 교통제어함체
CN110942641A (zh) 一种架空摄像巡航的车号识别系统及车号识别方法
KR20150110099A (ko) 교통 감시 기능을 구비한 볼라드
JP2018169786A (ja) ボラード制御システムおよびボラード稼動状態通知方法
CN212084381U (zh) 一种具有识别功能的停车管理系统
CN110689735A (zh) 一种应用于道路上的故障检测与应急处理系统和方法
KR102506489B1 (ko) 라이다 센서 및 cctv를 이용한 보행자 방호시스템
CN110689743A (zh) 一种应用于道路上的故障检测与应急处理系统和方法
KR102528086B1 (ko) 도로 인접 보도를 활용한 가변형 주·정차 시스템
CN111951565B (zh) 一种施工现场智慧车辆围栏管理方法
KR102472628B1 (ko) 도시재생용 신호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