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997B1 - 차량 출입 통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출입 통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997B1
KR102520997B1 KR1020220138244A KR20220138244A KR102520997B1 KR 102520997 B1 KR102520997 B1 KR 102520997B1 KR 1020220138244 A KR1020220138244 A KR 1020220138244A KR 20220138244 A KR20220138244 A KR 20220138244A KR 102520997 B1 KR102520997 B1 KR 102520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cess control
exiting
control device
en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회산
심상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회산, 심상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회산
Priority to KR1020220138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G06K19/041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또는 주차장의 입출차로 사이에 설치되는 차량 출입 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출입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양단부가 각각의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설치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조립체 및 상기 설치프레임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입출차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차량 번호 인식기를 포함하는 부속장비 및 상기 차량 출입 통제장치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조립체가 미리 제작된 상태로 제공됨에 따라 공동주택 또는 주차장의 입출차로 사이에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프레임조립체의 일측에 차량 번호 인식기와 같은 부속장비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부속장비의 설치, 추가설치 및 교체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출입 통제장치{Vehicle access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 출입 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 제작된 프레임조립체를 통해 공동주택 또는 주차장의 입출차로 사이에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프레임조립체의 일측에 차량 번호 인식기와 같은 부속장비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부속장비의 설치, 추가설치 및 교체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출입 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단위 공동주택 또는 주차장의 출입구에는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차량 출입 통제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차량 출입 통제장치는 공동주택의 단지 내에 거주하지 않으면서 주차를 목적으로 진입하거나 물품 판매의 목적으로 진입하려는 외부 차량을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차단기와 차량 번호 인식기(License plate recognition, LPR), 주차요금 정산기 및 인터폰을 포함하는 부속장비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 출입 통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차량 출입 통제장치(100)는 입출차로 사이에 콘크리트 블록(101)이 형성되고, 콘크리트 블록(101)의 길이방향 양측에 입출차 차단기(102)가 설치되며, 그 사이에 입출차 차량 번호 인식기(103), 주차요금 정산기(104) 및 인터폰(105) 등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차량 출입 통제장치(100)는 입출차로의 바닥에는 입출차로로 진입하는 차량을 검출하여 차량 번호 인식기(103)에 설치된 카메라의 촬영시점을 제공하기 위한 제1루프코일(106)과, 출차하는 차량을 검출하여 차단기(102)의 동작시점을 제공하기 위한 제2루프코일(107)이 매설된다.
위와 같은 차량 출입 통제장치(100)는 제1루프코일(106)을 통해 입출차로로 진입하는 차량이 검출되면, 차량 번호 인식기(103)를 통해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차량을 식별하고, 식별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요금 정산기(104)에 의해 요금이 자동으로 정산된다.
그리고, 요금 정산이 완료된 출차 차량이 제2루프코일(107)에 의해 검출되면, 차단기(102)의 차단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차량의 출입을 자동으로 통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차량 출입 통제장치(100)는 입출차로를 구분하기 위해 입출차로 사이에 콘크리트 블록(101)을 설치해야 할 뿐 아니라, 콘크리트 블록(101)의 상부에 개별적으로 제작된 차단기(102)와, 차량 번호 인식기(103), 주차요금 정산기(104) 및 인터폰(105)을 포함하는 부속장비들을 각각 설치해야 한다.
또한, 종래 차량 출입 통제장치(100)는 입출차로로 진입하는 차량과, 출차하는 차량을 검출하기 위한 제1루프코일(106) 및 제2루프코일(107)을 입출차로의 바닥면에 매설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아울러, 종래 차량 출입 통제장치(100)는 부속장비들의 추가설치가 요구되는 경우, 추가되는 부속장비들을 콘크리트 블록(100) 상부에 고정하기 위해 콘크리트 블록(100) 상부에 체결수단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을 형성해야 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 차량 출입 통제장치(100)는 설치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조립체가 미리 제작된 상태로 제공됨에 따라 공동주택 또는 주차장의 입출차로 사이에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프레임조립체의 일측에 차량 번호 인식기와 같은 부속장비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부속장비의 설치, 추가설치 및 교체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출입 통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 또는 주차장의 입출차로 사이에 설치되는 차량 출입 통제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출입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폭보다 긴 길이를 갖는 것으로서 양단부가 각각의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결합되되 폭방향의 양측에 상부 내측방향으로 수직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설치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조립체 및 하단부 양측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입출차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차량 번호 인식기를 포함하는 부속장비 및 상기 차량 출입 통제장치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 통제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 번호 인식기는 입출차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입출차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거리센서로부터 측정된 입출차 차량과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범위에 들어오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출차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각각의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입출차 차량의 통행을 단속하는 차단바와, 각각의 지지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고 입출차 차량의 유무를 감지하는 검출센서를 포함하는 차단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차량의 유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단바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검출센서는 포토센서와 지자기센서가 일체로 형성된 복합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프레임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입출차 차량의 통행을 가이드하는 조명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명수단의 색상을 변경하여 입출차로 내에 차량의 진입여부 및 장치의 고장여부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프레임은 마주보는 각각의 상단부 일측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연장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치프레임은 양단부가 연장형성된 각각의 연장바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조립체가 미리 제작된 상태로 제공됨에 따라 공동주택 또는 주차장의 입출차로 사이에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프레임조립체의 일측에 차량 번호 인식기와 같은 부속장비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부속장비의 설치, 추가설치 및 교체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 출입 통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장치가 경사진 입출차로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장치(1)는 공동주택 또는 주차장의 입차로와 출차로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레임조립체(10), 부속장비(20), 차단기(30), 조명수단(40) 및 제어수단(50)을 포함한다.
프레임조립체(10)는 차량의 출입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1)과 양단부가 각각의 지지프레임(1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설치프레임(12)을 포함하며, 부속장비(20), 차단기(30), 조명수단(40) 및 제어수단(50)의 설치영역을 제공한다.
그리고, 각각의 지지프레임(11)의 전면에는 주차공간의 상태정보를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전광판(11a)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조립체(10)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상태로 제공되므로 차량의 입출차로 사이에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부속장비(20)는 설치프레임(12)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량 번호 인식기(21) 및 인터폰(22)을 포함한다.
차량 번호 인식기(21)는 입출차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위한 것으로서, 설치프레임(12)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치블록(21a), 카메라(21b) 및 거리센서(21c)를 포함한다.
설치블록(21a)는 대략 사각블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설치프레임(12)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카메라(21b)는 설치블록(21a)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입출차 차량의 식별을 위해 입출차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를 촬영한다.
거리센서(21c)는 설치블록(21a)에 설치되되, 카메라(21b)의 측방에 설치되고, 카메라(21b)와 입출차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라이다센서,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레이저센서 및 포토센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리센서(21c)는 카메라(21b)와 입출차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수단(50)으로 제공하고, 제어수단(50)은 거리센서(21c)로부터 제공받은 측정거리가 미리 설정된 범위(시인성이 좋은 선명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와 입출차 차량과의 거리)에 부합되는 경우, 카메라(21b)를 통해 입출차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번호 인식기(21)는 카메라(21b)의 촬영시점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거리센서(21c)를 사용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입출차로의 바닥에 루프코일을 매설하지 않아도 되므로 루프코일의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이 요구되지 않을 뿐 아니라 루프코일의 설치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21b)를 통해 시인성이 좋은 선명한 번호판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미리 설정된 거리에서 입출차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를 촬영함에 따라 이를 통해 입출차 차량의 번호판을 오식별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차량의 식별 신뢰도가 크게 향상된다.
한편, 설치블록(21a)과 설치프레임(12)의 착탈 가능한 구조는 도 2의 참고도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설치블록(21a)의 하단부 양측에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플레이트(21aa)와 설치프레임(12)의 폭방향의 양측에서 설치프레임(12)의 상부 내측방향으로 수직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2a)가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치블록(21a)을 설치프레임(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이러한 설치블록(21a)는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체결플레이트(21aa)와 가이드레일(12a)를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함으로써, 설치프레임(12) 상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인터폰(22)은 공동주택의 세대 또는 경비실과의 연락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술한 차량 번호 인식기(20)와 같이, 설치프레임(12)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번호 인식기(20) 및 인터폰(60)과 같은 부속장비를 설치프레임(12)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부속장비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할 뿐 아니라 차량 번호 인식기(20) 및 인터폰(60) 외의 부속장비에 대한 추가설치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차단기(30)는 각각의 지지프레임(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입출차 차량의 통행을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단바(31) 및 검출센서(32)를 포함한다.
차단바(31)는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지지프레임(11)의 상단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각각 입차로 및 출차로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차단바(31)는 각각의 지지프레임(11) 내에 설치된 동력수단(미도시)에 의해 차량의 통행을 단속하는 수평위치와 이를 해제하는 수직위치 사이를 회동하게 된다.
검출센서(32)는 지지프레임(11)의 상단부 타측에 설치되고, 입출차 차량의 유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2의 확대도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광센서(32aa) 및 수광센서(32ab)를 포함하는 포토센서(32a)와 지자기센서(32b)가 일체로 형성된 복합센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검출센서(32)는 입출차 차량의 유무를 검출하여 제어수단(50)으로 제공하고, 제어수단(50)은 검출센서(32)의 검출정보에 기초하여 차단바(31)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차단기(30)는 입출차 차량의 유무를 검출센서(32)를 통해 검출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입출차로의 바닥에 루프코일을 매설하지 않아도 되므로 루프코일의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이 요구되지 않을 뿐 아니라 루프코일의 설치에 따른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검출센서(32)는 포토센서(32a)와 지자기센서(32b)가 일체로 형성된 복합센서로 이루어져 차량을 다중으로 감지함에 따라 차량의 검출 정확도가 현저하게 향상된다.
조명수단(40)은 설치프레임(11)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입출차 차량을 입출차로를 따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조명수단(40)은 제어수단(50)에 의해 색상이 변경됨으로써, 입출차로 내에 차량의 진입여부 및 장치의 고장여부를 운전자 또는 관리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조명수단(40)은 입출차로 내에 차량이 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녹색으로 점등되고, 입출차로 내에 차량이 진입한 상태에서는 적색으로 점등되며, 차량 출입 통제장치(1)의 이상이 발생된 경우에는 황색으로 점등되는 방식을 통해 입출차로 내의 차량의 진입여부 및 장치의 고장여부를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제어수단(50)은 부속장비(20), 차단기(30) 및 조명수단(40)을 포함하는 차량 출입 통제장치(1)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장치(1)는 미리 제작된 프레임조립체를 통해 공동주택 또는 주차장의 입출차로 사이에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프레임조립체의 일측에 차량 번호 인식기와 같은 부속장비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부속장비의 설치, 추가설치 및 교체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장치가 경사진 입출차로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장치(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프레임조립체(10)의 구성이 일부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프레임조립체(10)는 차량의 출입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1)과 양단부가 각각의 지지프레임(11)에 결합되는 설치프레임(12)을 포함하되, 각각의 지지프레임(11)의 마주보는 상단부 일측에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바(11b)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설치프레임(12)의 양단부는 각각 한 쌍의 연장바(11b)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출입 통제장치(1)는 설치프레임(12)의 양단부가 지지프레임(11)의 상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연장바(11b)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입출차로가 경사지게 형성된 곳에서도 설치프레임(11)을 지면에 대해 나란하게 설치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차량 출입 통제장치 10 : 프레임조립체
11 : 지지프레임 11a : 전광판
11b : 연장바 12 : 설치프레임
12a : 가이드레일
20 : 부속장비 21 : 차량 번호 인식기
21a : 설치블록 21aa : 체결플레이트
21b : 카메라 21c : 거리센서
22 : 인터폰 30 : 차단기
31 : 차단바 32 : 검출센서
32a : 포토센서 32aa : 발광센서
32ab : 수광센서 32 : 지자기센서
40 : 조명수단 50 : 제어수단

Claims (5)

  1. 공동주택 또는 주차장의 입출차로 사이에 설치되는 차량 출입 통제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출입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마주보는 각각의 상단부 일측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연장바가 형성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폭보다 긴 길이를 갖는 것으로서 양단부가 연장형성된 각각의 연장바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폭방향의 양측에 상부 내측방향으로 수직절곡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설치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조립체와;
    하단부 양측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체결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입출차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차량 번호 인식기를 포함하는 부속장비와;
    상기 차량 출입 통제장치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 통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번호 인식기는
    입출차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입출차 차량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거리센서로부터 측정된 입출차 차량과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범위에 들어오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출차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 통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입출차 차량의 통행을 단속하는 차단바와, 각각의 지지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고 입출차 차량의 유무를 감지하는 검출센서를 포함하는 차단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검출센서로부터 검출된 차량의 유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단바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검출센서는 포토센서와 지자기센서가 일체로 형성된 복합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 통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입출차 차량의 통행을 가이드하는 조명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명수단의 색상을 변경하여 입출차로 내에 차량의 진입여부 및 장치의 고장여부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 통제장치.



  5. 삭제
KR1020220138244A 2022-10-25 2022-10-25 차량 출입 통제장치 KR102520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244A KR102520997B1 (ko) 2022-10-25 2022-10-25 차량 출입 통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244A KR102520997B1 (ko) 2022-10-25 2022-10-25 차량 출입 통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997B1 true KR102520997B1 (ko) 2023-04-12

Family

ID=85984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244A KR102520997B1 (ko) 2022-10-25 2022-10-25 차량 출입 통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9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684B1 (ko) * 2023-12-11 2024-04-05 김창남 인공지능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 요금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745A (ko) * 2008-08-07 2010-02-18 권중한 출입구의 차단장치
KR20100004741U (ko) * 2008-10-29 2010-05-10 위너기술주식회사 광고판과 신호등 기능을 내장한 차량용차단기
KR20170014913A (ko) * 2015-07-31 2017-02-08 셀로코주식회사 주차장 차량 출입 관리시스템
KR102189721B1 (ko) * 2020-08-11 2020-12-11 이우호 일체형 주차차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745A (ko) * 2008-08-07 2010-02-18 권중한 출입구의 차단장치
KR20100004741U (ko) * 2008-10-29 2010-05-10 위너기술주식회사 광고판과 신호등 기능을 내장한 차량용차단기
KR20170014913A (ko) * 2015-07-31 2017-02-08 셀로코주식회사 주차장 차량 출입 관리시스템
KR102189721B1 (ko) * 2020-08-11 2020-12-11 이우호 일체형 주차차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5684B1 (ko) * 2023-12-11 2024-04-05 김창남 인공지능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 요금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9871C2 (ru) Систе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автостоянкой
KR100796266B1 (ko) 주차 관제 시스템
US8836539B2 (en) Combined loop type auto-mobile sensor using loop coil and parking information system the same
KR101884324B1 (ko) 횡단보도 음성안내 보조장치
KR102520997B1 (ko) 차량 출입 통제장치
KR102319142B1 (ko) 주차장 통합 무인정산시스템
KR101860302B1 (ko) 자기 진단 및 양방향 능동형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주차 유도시스템
KR20120078765A (ko) 영상감지카메라를 이용한 교차로의 신호등 시스템
CN109872561A (zh) 一种具有信息诱导与提示功能的道闸系统及方法
KR100970495B1 (ko) 버스베이에서의 불법 주정차 차량 계도 및 단속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도 및 단속방법
KR200462168Y1 (ko)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CN112258887A (zh) 一种停车场智能管控系统
KR20200014576A (ko) 횡단보조 음성안내 보조장치
CN112482265B (zh) 道闸系统、自动驾驶车辆及车辆通行道闸的方法
KR102060273B1 (ko) Iot 기반의 지능형 cctv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제 시스템
JP2011128873A (ja) 防犯システム
KR102015723B1 (ko) 지하 주차장의 주차 면에 장착하는 등기구
KR102156147B1 (ko) 무정차 다차로 기반의 요금징수 장치
KR20230027678A (ko) 안전주차를 위한 차량 유도관제 시스템
JPH11306484A (ja) 無人駐車場の車種別管理システム
JP3294191B2 (ja) 駐車場等用ゲート開閉制御装置
JP7285562B2 (ja) 駐車表示装置
RU2137202C1 (ru) Стационарный пост контроля за движением авто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его варианты)
CN219364418U (zh) 一种识别临牌车的停车场道闸
CN111951565B (zh) 一种施工现场智慧车辆围栏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