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168Y1 -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 Google Patents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168Y1
KR200462168Y1 KR2020120005890U KR20120005890U KR200462168Y1 KR 200462168 Y1 KR200462168 Y1 KR 200462168Y1 KR 2020120005890 U KR2020120005890 U KR 2020120005890U KR 20120005890 U KR20120005890 U KR 20120005890U KR 200462168 Y1 KR200462168 Y1 KR 2004621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mera
entrance
state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8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주
이용철
정우철
안정민
Original Assignee
이은주
안정민
정우철
이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주, 안정민, 정우철, 이용철 filed Critical 이은주
Priority to KR20201200058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1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1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량 정비공장, 건물의 내외부 주차장 등과 같이 다수의 차량이 진출입하는 시설물에서, 차량 진입시 차량의 외관 상태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차량 출차시 차량의 파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차량이 진출입하는 시설물의 입구에 설치되며, 가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의 양측으로부터 지면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을 포함하는 진출입문과, 상기 진출입문을 통해 상기 시설물로 진출입하는 차량의 외관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외관 상태 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외관 상태 획득부는 상기 가로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진출입문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진입 감지센서와, 상기 차량진입 감지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카메라 구동부와, 상기 가로프레임의 하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가로프레임의 하면을 축으로 상기 진출입문을 통과하는 차량의 동선을 따라 진입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차량의 정면, 상면 및 후면을 촬영하는 상방 카메라와, 상기 제1 세로프레임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진출입문을 통과하는 차량의 좌측면을 촬영하는 좌측방 카메라와, 상기 좌측방 카메라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 세로프레임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진출입문을 통과하는 차량의 우측면을 촬영하는 우측방 카메라와, 상기 상방 카메라, 상기 좌측방 카메라 및 상기 우측방 카메라로부터 상기 진출입문을 통과하는 차량의 영상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차량의 영상정보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식별자와 상기 차량의 영상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 정비공장, 건물의 내외부 주차장 등과 같이 다수의 차량이 진출입하는 시설물에서, 진출입시 차량의 외관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차량의 파손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공함으로써 차량이 파손되었을 때 그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하여 시설물 관리업체와 고객 간에 발생하는 불미스러운 일들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THE APPEARANCE STATUS DATA OF VEHICLES WHICH GO IN AND OUT}
본 고안은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량 정비공장, 건물의 내외부 주차장 등과 같이 다수의 차량이 진출입하는 시설물에서, 차량 진입시 차량의 외관 상태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차량 출차시 차량의 파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정비공장, 건물의 내외부 주차장 등과 같이 차량 진출입 시설물에는 다수의 차량이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 동선을 따라 이동한 후 일정 장소에 장시간 주차된 상태로 보관되며, 이 과정에서 차량 접촉이나 타인의 고의 또는 부주의로 인해 주차된 차량에 흠집 등과 같이 차량이 파손되는 문제가 빈번하게 야기되어 왔다.
이와 같이 차량 진출입 시설물에서 차량이 파손되었을 때 차량 파손의 책임 소재를 두고 차량 소유자, 즉 고객과 시설물을 관리하는 관리업체 간에 언쟁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법적인 소송으로까지 확장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시설물 관리업체는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장에서 고객과의 불미스러운 일들은 영업적인 측면에서 큰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차량 파손시 명확한 책임 소재가 절실히 요구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21802호(공개일 : 1999. 03. 25),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61776호(공개일 : 2003. 07. 22) 등과 같이 대부분 차량의 파손을 감지하는 감지장치를 차량에 직접 장착하여 차량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혹은 감지 카메라(블랙박스) 등을 작동시켜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을 촬영하는 기술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감지장치들은 차량 파손시 그 원인을 파악하여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하는데 도움을 줄 수는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비교적 고가인 감지장치가 차량 진출입 시설물을 이용하는 모든 차량에 설치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감지장치의 오작동, 혹은 차량 소유자의 부주의로 인한 차량 파손 발생시 자신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것을 우려하여 차량 소유자가 감지장치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삭제하는 경우 관리업체에서 차량 파손의 원인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KR 10-1999-021802 A, 1999. 03. 25 KR 10-2003-0061776 A, 2003. 07. 22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차량 정비공장, 건물의 내외부 주차장 등과 같이 다수의 차량이 진출입하는 시설물에서, 차량 진입시 차량의 외관 상태의 정보(이미지, 영상)를 실시간으로 획득한 후 차량 출차시 차량의 파손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공하고, 이를 통해 차량이 파손되었을 때 그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하여 시설물 관리업체와 고객 간에 발생하는 불미스러운 일들을 예방할 수 있는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차량이 진출입하는 시설물의 입구에 설치되며, 가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의 양측으로부터 지면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을 포함하는 진출입문과, 상기 진출입문을 통해 상기 시설물로 진출입하는 차량의 외관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외관 상태 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외관 상태 획득부는 상기 가로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진출입문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진입 감지센서와, 상기 차량진입 감지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카메라 구동부와, 상기 가로프레임의 하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가로프레임의 하면을 축으로 상기 진출입문을 통과하는 차량의 동선을 따라 진입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차량의 정면, 상면 및 후면을 촬영하는 상방 카메라와, 상기 제1 세로프레임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진출입문을 통과하는 차량의 좌측면을 촬영하는 좌측방 카메라와, 상기 좌측방 카메라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 세로프레임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진출입문을 통과하는 차량의 우측면을 촬영하는 우측방 카메라와, 상기 상방 카메라, 상기 좌측방 카메라 및 상기 우측방 카메라로부터 상기 진출입문을 통과하는 차량의 영상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차량의 영상정보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식별자와 상기 차량의 영상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차량이 진출입하는 시설물의 입구에 설치되며, 가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의 양측으로부터 지면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을 포함하는 진출입문과, 상기 진출입문을 통해 상기 시설물로 진출입하는 차량의 외관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상기 진출입문을 진입하는 진입차량 외관상태정보와 상기 진출입문을 출차하는 출차차량 외관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외관 상태 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외관 상태 획득부는 상기 가로프레임의 전후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진출입문으로 진출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진입 감지센서와, 상기 차량진입 감지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카메라 구동부와, 상기 가로프레임의 하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가로프레임의 하면을 축으로 상기 진출입문을 통과하는 차량의 동선을 따라 진출입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차량의 정면, 상면 및 후면을 스캔 및 촬영하는 상방 카메라와, 상기 제1 세로프레임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진출입문을 통과하는 차량의 좌측면을 스캔 및 촬영하는 좌측방 카메라와, 상기 좌측방 카메라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 세로프레임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진출입문을 통과하는 차량의 우측면을 스캔 및 촬영하는 우측방 카메라와, 상기 상방 카메라, 상기 좌측방 카메라 및 상기 우측방 카메라로부터 상기 진출입문을 진출입하는 차량의 스캔정보와 차량의 영상정보를 각각 제공받아 상기 차량의 영상정보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식별자와, 상기 차량의 스캔정보 및 상기 차량의 영상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진입차량 외관상태정보와 상기 출차차량 외관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처리부와, 상기 진입차량 외관상태정보와 상기 출차차량 외관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식별자가 상호 동일한 상기 진입차량 외관상태정보의 스캔정보와 상기 출차차량 외관상태정보의 스캔정보를 비교하는 영상 비교부와, 상기 영상 비교부의 비교결과, 상기 진입차량 외관상태정보의 스캔정보와 상기 출차차량 외관상태정보의 스캔정보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진입차량 외관상태정보의 영상정보와 상기 출차차량 외관상태정보의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차량 파손 여부를 판별하는 차량 파손 여부 판독부와, 상기 진입차량 외관상태정보, 상기 출차차량 외관상태정보 및 차량 파손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방 카메라, 상기 좌측방 카메라 및 상기 우측방 카메라는 각각 2차원 레이저 스캐너 또는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방 카메라, 상기 좌측방 카메라 및 상기 우측방 카메라와 각각 근접하도록 상기 진출입문에 설치된 LED 조명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로프레임의 전후면 중앙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차량진입 감지센서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진출입문으로 차량의 진출입 여부를 표시하는 LED 표시등을 더 포함하되, 상기 LED 표시등은 차량이 상기 진출입문으로 진입하면 점등되는 녹색 LED등과, 상기 차량이 상기 진출입문을 완전히 통과하면 점등되는 적색 LED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 외관 상태 획득부는 외부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좌측방 카메라 및 상기 우측방 카메라는 상기 진출입문을 통과하는 차량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의 일측면을 따라 상하로 가이드되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 정비공장, 건물의 내외부 주차장 등과 같이 다수의 차량이 진출입하는 시설물에서, 진출입시 차량의 외관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차량의 파손 여부를 확인하도록 제공함으로써 차량이 파손되었을 때 그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하여 시설물 관리업체와 고객 간에 발생하는 불미스러운 일들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관 상태 획득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관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관 상태 획득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관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은 차량이 진출입문을 진입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차량이 진출입문을 통과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는 차량 정비공장, 건물의 내외부 주차장 등과 같이 다수의 차량이 진출입하는 시설물의 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이 진출입하는 진출입문(110)과, 진출입문(110)을 통해 진출입되는 차량의 외관을 실시간으로 감지 및 촬영하여 진출입하는 차량의 외관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외관 상태 획득부(120, 도 2참조)를 포함한다.
진출입문(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111)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112, 113)을 포함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로프레임(111)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고,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112, 113)은 가로프레임(111)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설치하기 위한 기둥프레임으로 지면(또는 지면 상에 설치된 별도의 지지판)에 고정 설치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관 상태 획득부(12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외관 상태 회득부(120)는 차량진입 감지센서(121), 카메라 구동부(122), 상방 카메라(123), 좌측방 카메라(124), 우측방 카메라(125), 영상처리부(126), 저장부(127) 및 표시부(129)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128)를 더 포함한다.
차량진입 감지센서(1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111)의 일측면, 바람직하게는 진입하는 차량을 정면에서 감지하도록 전면에 설치되어 진출입문(110)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이러한 차량진입 감지센서(121)로는 광센서 또는 적외선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이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의 진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는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차량진입 감지센서(121)는 진출입문(110)으로부터 전방을 감지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진출입문(110)에 근접하게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차량이 설정된 감지범위 내로 진입하는 경우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카메라 구동부(122)로 전송한다.
카메라 구동부(122)는 차량진입 감지센서(121)로부터 전송된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방 카메라(123), 좌측방 카메라(124) 및 우측방 카메라(125)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방 카메라(12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111)의 하면에 설치되어 진출입문(110)을 통해 진출입하는 차량의 동선을 따라 회동하여 차량의 번호판과, 차량의 외관, 바람직하게는 외관의 정면, 상면 및 후면을 실시간으로 촬영한다.
상방 카메라(123)는 카메라 구동부(122)에 의해 가로프레임(111)의 하면을 축으로 180°범위, 바람직하게는 30~150°범위 내에서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처럼 상방 카메라(123)를 180°범위 내에서 회동시키는 이유는 1대의 카메라로 진출입문(110)을 통해 진입하는 차량의 외관 정면, 상면 및 후면을 모두 촬영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상방 카메라가 가로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경우, 차량 외관의 정면(번호판 포함), 상면 및 후면을 모두 촬영하기 위해서는 가로프레임의 정면, 하면 및 후면에 각각 1대씩 총 3대의 카메라가 요구되지만, 본 고안에서와 같이 상방 카메라(123)를 차량의 동선을 따라 회동하도록 가로프레임의 하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1대의 카메라로 차량 번호판, 외관의 정면, 상면 및 후면을 모두 촬영할 수 있다.
상방 카메라(123)는 카메라 구동부(122)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진출입문(110)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정면(차량 번호판 포함)을 촬영한 후, 설정된 이동속도로 회동하여 진출입문(110)을 통과하는 차량의 동선을 따라 연속적으로 차량의 상면과 후면을 촬영한다. 이때, 상방 카메라(123)의 이동속도는 진출입문(110)을 통과하는 차량의 이동속도와 상방 카메라(123)의 화각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좌측방 카메라(124)와 우측방 카메라(12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도록 진출입문(110)의 제1 세로프레임(112)과 제2 세로프레임(113)의 일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좌측방 카메라(124)와 우측방 카메라(125)는 진출입문(110)에 각각 고정 설치되거나, 혹은 상방 카메라(123)와 마찬가지로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방 카메라(124)와 우측방 카메라(125)의 화각이 광각 이상인 경우에는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112, 113)에 고정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좌측방 카메라(124)는 카메라 구동부(122)에 의해 구동되어 진출입문(110)을 통과하는 차량의 좌측면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우측방 카메라(125)는 카메라 구동부(122)에 의해 구동되어 진출입문(110)을 통과하는 차량의 우측면을 실시간으로 촬영한다.
한편, 좌측방 카메라(124)와 우측방 카메라(125)는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112, 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진출입문(110)을 통과하는 차량의 높이가 차종에 따라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112, 113)에는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측방 카메라(124)와 우측방 카메라(125)는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일례로 좌측방 카메라(124)와 우측방 카메라(125)의 높이 조절은 카메라 구동부(122)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데, 관리자는 입력부(130)를 통해 직접 카메라 구동부(122)를 제어하여 좌측방 카메라(124)와 우측방 카메라(125)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저장부(127)에 차종에 따라 미리 그 값을 설정한 후, 상방 카메라(123)로부터 1차적으로 진출입문(110)으로 진입하려는 차량의 차종을 확인한 다음, 설정된 값으로 좌측방 카메라(124)와 우측방 카메라(125)의 높이를 조정할 수도 있다.
물론, 좌측방 카메라(124)와 우측방 카메라(125)가 상하로 충분히 넓은 화각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좌측방 카메라(124)와 우측방 카메라(125)를 상하로 높이 조절을 하지 않아도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 카메라(123), 좌측방 카메라(124) 및 우측방 카메라(125)를 통해 촬영된 차량의 영상정보는 영상 처리부(126)로 제공되어 처리된다.
영상 처리부(126)는 상방 카메라(123), 좌측방 카메라(124) 및 우측방 카메라(125)로부터 동영상 또는 이미지(사진) 형태로 차량의 영상정보를 제공받아 처리한다.
영상 처리부(126)는 상방 카메라(123)로부터 전송된 영상정보(동영상 또는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된 차량번호는 상방 카메라(123), 좌측방 카메라(124) 및 우측방 카메라(125)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의 식별자로서 기능한다.
상방 카메라(123)는 가로프레임(111)을 축으로 차량의 진입방향(동선)으로 회동하면서 차량의 외관을 촬영함에 따라 상방 카메라(123)의 위치에 따라 화면이 상하로 뒤바뀔 수 있다. 즉, 상방 카메라(123)가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는 화면과, 상방 카메라(123)가 차량의 후방을 촬영하는 화면은 상방 카메라(123)의 위치가 바뀌게 되어 상하가 뒤바뀌게 되는데, 이를 영상 처리부(126)에서 자동으로 보정처리한다.
영상 처리부(126)는 획득된 차량의 영상정보의 식별자로서 차량번호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차량이 진출입문(110)을 진입하는 시간 또는 입력부(130)를 통해 관리자가 직접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가 입력하는 식별정보는 차량번호 또는 차량진입시간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6)는 상방 카메라(123), 좌측방 카메라(124) 및 우측방 카메라(125)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영상정보를 식별자와 매칭시켜 획득된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저장부(127)에 저장하거나, 혹은 표시부(129)를 통해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이때, 차량 외관상태정보는 동영상 또는 정지화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표시부(129)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터치식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정보, 즉 차량의 식별자, 예를 들면 차량번호 또는 진입시간 등을 표시하는 한편, 해당 차량의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동영상 또는 정지화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29)는 상방 카메라(123)에서 제공되는 영상, 좌측방 카메라(124)에서 제공되는 영상, 우측방 카메라(125)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분할하여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6)는 통신부(128)를 통해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통신부(128)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서버를 구축하여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식별자와 매칭시켜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차량 소유자는 자신의 단말기(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저장부(127) 또는 상기 서버에 저장된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는 진출입문(110)에 설치된 다수의 조명등(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등(140)은 LED등으로서 야간시 또는 흐린날과 같이 태양광이 부족한 날에 피사체의 가시성, 명료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방 카메라(123), 좌측방 카메라(124) 및 우측방 카메라(125)에 근접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그 개수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를 이용한 진출입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진입 감지센서(121)를 통해 진출입문(110)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한다(S41). 차량진입 감지센서(121)는 차량 진입이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는 감지신호(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카메라 구동부(122)로 제공한다.
이후, 카메라 구동부(122)는 차량진입 감지센서(121)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상방 카메라(123), 좌측방 카메라(124) 및 우측방 카메라(125)를 구동시킨다(S42).
상방 카메라(123), 좌측방 카메라(124) 및 우측방 카메라(125)는 카메라 구동부(122)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진출입문(110)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외관을 촬영한다(S43).
이후, 상방 카메라(123), 좌측방 카메라(124) 및 우측방 카메라(125)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영상정보는 영상 처리부(126)로 전송되고, 영상 처리부(126)는 이들 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차량의 영상정보로부터 차량의 식별자(예를 들면 차량번호)를 추출한 후 추출된 식별자와 영상정보를 매칭시켜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획득한 후 저장부(127)에 실시간으로 저장한다(S44, S45).
저장부(127)에 저장된 차량 외관상태정보는 표시부(129)를 통해 실시간으로 동영상 또는 정지화상으로 표시된다. 관리자는 입력부(130)를 통해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입력부(130)를 통해 차량의 식별자, 예를 들면 차량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차량번호의 차량 외관상태정보가 표시부(129)를 통해 표시된다.
또한, 저장부(127)에 저장된 차량 외관상태정보는 차량 소유자가 요청시 통신부(128)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소유자는 직접 통신부(128)와 연결되어 차량 외관 상태 정보를 열람하거나, 혹은 차량 외관상태정보가 저장된 별도의 서버에 유무선 통신망, 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소유자의 인증절차를 통해 인증된 고객에게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외관 상태 획득부(12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차량 외관 상태 획득부(120)는 도 3에 도시된 획득부의 구성외에 진출입문(110)을 통해 진입하는 차량의 외관상태정보와 진출입문(110)을 통해 출차하는 차량의 외관상태정보를 각각 획득한 후, 이들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상호 비교하는 영상 비교부(131)와, 영상 비교부(131)의 비교 결과에 따라 차량 파손 여부를 판독하는 차량 파손 여부 판독부(127)를 더 포함한다.
한편, 도 5에서, 차량진입 감지센서(121)는 진출입문(110)을 통해 출차하는 차량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로프레임(111)의 전면뿐만 아니라 후면에도 설치된다. 또한, 상방 카메라(123)는 진출입문(110)을 통해 출차하는 차량의 동선을 따라 출차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출차하는 차량의 정면, 상면 및 후면을 스캔 및 촬영한다.
영상 비교부(131)는 소정의 시설물에 진입하기 위해 진출입문(110)을 통해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 외관상태정보(이하, 진입차량 외관상태정보라 함)와, 상기 차량이 출차하기 위해 진출입문(110)을 통해 출차하는 차량의 차량 외관상태정보(이하, 출차차량 외관상태정보라 함)를 비교한다.
진입차량 외관상태정보와 출차차량 외관상태정보는 서로 비교가 용이하도록 동일한 촬영조건으로 획득된 정보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 차량의 진입시와 출차시 진출입문(110)을 통과하는 차량의 이동속도와, 상방 카메라(123), 좌측방 카메라(124) 및 우측방 카메라(125)의 촬영동작(회동속도, 화각 등)은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방 카메라(123), 좌측방 카메라(124) 및 우측방 카메라(125)는 진출입문(110)을 통과하는 차량의 외관을 스캔 및 촬영하여 진입차량 외관상태정보와 출차차량 외관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방 카메라(123), 좌측방 카메라(124) 및 우측방 카메라(125)는 각각 2차원 또는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입차량 외관상태정보와 출차차량 외관상태정보는 레이저 스캐너를 통해 획득된 스캔정보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영상 비교부(131)는 진입차량 외관상태정보를 기본으로 하여 출차차량 외관상태정보가 변화된 점이 있는지 비교하게 된다. 이때, 영상 비교부(131)는 차량의 외관을 임의의 좌표(X, Y축)를 설정하여 비교할 수 있다.
영상 비교부(131)는 먼저 식별자가 동일한 진입차량의 스캔정보와 출차차량의 스캔정보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진입차량의 스캔정보와 출차차량의 스캔정보가 다른 경우, 즉 상호 일치하지 않은 경우 차량 파손 여부 판독부(132)를 통해 진입차량의 영상정보와 출차차량의 영상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차량 파손 여부를 판별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는 가로프레임(111)의 전후면 중앙부에 각각 설치된 표시등(1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등은 녹색 또는 적색 LED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차량진입 감지센서(121)를 통해 진출입문(110)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감지되는 동시에 녹색 LED등이 점등되고, 차량이 진출입문(110)을 완전히 통과한 후에는 적색 LED등이 점등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출입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방 카메라(123), 좌측방 카메라(124) 및 우측방 카메라(125)를 이용하여 진출입문(110)을 진출입하는 동일 차량에 대해 차량의 외간을 스캔 및 촬영하여 진입차량 외관상태정보와 출차차량 외관상태정보를 각각 획득한다(S51, S52).
이때, 진입차량 외관상태정보는 진출입문(110) 진입시 획득되어 저장부(127)에 저장 관리된다. 이후, 해당 차량이 진출입문(110)을 통해 출차시 상방 카메라(123), 좌측방 카메라(124) 및 우측방 카메라(125)에 의해 스캔 및 촬영되어 출차차량 외관상태정보가 획득된다.
이후, 관리자와 고객이 차량의 영상정보를 통해 차량 파손 여부를 확인하기 전에 차량 출차시 자동으로 파손 여부를 1차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영상 비교부(131)를 통해 식별자가 동일한 진입차량의 스캔정보와 출차차량의 스캔정보를 비교한다(S53).
단계 'S53'의 비교 결과에 따라 차량 파손 여부 판독부(132)를 이용하여 진입차량의 영상정보와 출차차량의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차량 파손 여부를 판별한다(S54).
차량 영상정보를 일일이 비교하여 차량 파손 여부를 판별하는 경우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될 수 있음으로, 레이저 스캐너를 통해 획득된 스캔정보를 이용하여 출차와 동시에 자동으로 차량 파손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이후, 표시부(129)는 진입차량 외관상태정보와, 출차차량 외관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한편, 영상 비교부(131)와 차량 파손 여부 판독부(132)를 통해 판별된 차량 파손 여부를 표시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진출입문 111 : 가로프레임
112 : 제1 세로프레임 113 : 제2 세로프레임
120 : 차량 외관 상태 획득부 121 : 차량진입 감지센서
122 : 카메라 구동부 123 : 상방 카메라
124 : 좌측방 카메라 125 : 우측방 카메라
126 : 영상 처리부 127 : 저장부
128 : 통신부 129 : 표시부
130 : 입력부 131 : 영상 비교부
132 : 차량 파손 여부 판독부 133 : 표시등

Claims (7)

  1. 차량이 진출입하는 시설물의 입구에 설치되며, 가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의 양측으로부터 지면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을 포함하는 진출입문; 및
    상기 진출입문을 통해 상기 시설물로 진출입하는 차량의 외관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외관 상태 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외관 상태 획득부는,
    상기 가로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진출입문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진입 감지센서;
    상기 차량진입 감지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카메라 구동부;
    상기 가로프레임의 하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가로프레임의 하면을 축으로 상기 진출입문을 통과하는 차량의 동선을 따라 진입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차량의 정면, 상면 및 후면을 촬영하는 상방 카메라;
    상기 제1 세로프레임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진출입문을 통과하는 차량의 좌측면을 촬영하는 좌측방 카메라;
    상기 좌측방 카메라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 세로프레임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진출입문을 통과하는 차량의 우측면을 촬영하는 우측방 카메라;
    상기 상방 카메라, 상기 좌측방 카메라 및 상기 우측방 카메라로부터 상기 진출입문을 통과하는 차량의 영상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차량의 영상정보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식별자와 상기 차량의 영상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차량 외관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2. 차량이 진출입하는 시설물의 입구에 설치되며, 가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의 양측으로부터 지면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제1 및 제2 세로프레임을 포함하는 진출입문; 및
    상기 진출입문을 통해 상기 시설물로 진출입하는 차량의 외관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상기 진출입문을 진입하는 진입차량 외관상태정보와 상기 진출입문을 출차하는 출차차량 외관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외관 상태 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외관 상태 획득부는,
    상기 가로프레임의 전후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진출입문으로 진출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차량진입 감지센서;
    상기 차량진입 감지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감지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카메라 구동부;
    상기 가로프레임의 하면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가로프레임의 하면을 축으로 상기 진출입문을 통과하는 차량의 동선을 따라 진출입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차량의 정면, 상면 및 후면을 스캔 및 촬영하는 상방 카메라;
    상기 제1 세로프레임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진출입문을 통과하는 차량의 좌측면을 스캔 및 촬영하는 좌측방 카메라;
    상기 좌측방 카메라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 세로프레임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진출입문을 통과하는 차량의 우측면을 스캔 및 촬영하는 우측방 카메라;
    상기 상방 카메라, 상기 좌측방 카메라 및 상기 우측방 카메라로부터 상기 진출입문을 진출입하는 차량의 스캔정보와 차량의 영상정보를 각각 제공받아 상기 차량의 영상정보로부터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식별자와, 상기 차량의 스캔정보 및 상기 차량의 영상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진입차량 외관상태정보와 상기 출차차량 외관상태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진입차량 외관상태정보와 상기 출차차량 외관상태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식별자가 상호 동일한 상기 진입차량 외관상태정보의 스캔정보와 상기 출차차량 외관상태정보의 스캔정보를 비교하는 영상 비교부;
    상기 영상 비교부의 비교결과, 상기 진입차량 외관상태정보의 스캔정보와 상기 출차차량 외관상태정보의 스캔정보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진입차량 외관상태정보의 영상정보와 상기 출차차량 외관상태정보의 영상정보를 비교하여 차량 파손 여부를 판별하는 차량 파손 여부 판독부; 및
    상기 진입차량 외관상태정보, 상기 출차차량 외관상태정보 및 차량 파손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카메라, 상기 좌측방 카메라 및 상기 우측방 카메라는 각각 2차원 레이저 스캐너 또는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포함하는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 카메라, 상기 좌측방 카메라 및 상기 우측방 카메라와 각각 근접하도록 상기 진출입문에 설치된 LED 조명등을 더 포함하는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의 전후면 중앙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차량진입 감지센서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진출입문으로 차량의 진출입 여부를 표시하는 LED 표시등을 더 포함하되,
    상기 LED 표시등은,
    차량이 상기 진출입문으로 진입하면 점등되는 녹색 LED등; 및
    상기 차량이 상기 진출입문을 완전히 통과하면 점등되는 적색 LED
    을 포함하는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외관 상태 획득부는 외부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방 카메라 및 상기 우측방 카메라는 상기 진출입문을 통과하는 차량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1 세로프레임과 상기 제2 세로프레임의 일측면을 따라 상하로 가이드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KR2020120005890U 2012-07-05 2012-07-05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KR2004621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890U KR200462168Y1 (ko) 2012-07-05 2012-07-05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890U KR200462168Y1 (ko) 2012-07-05 2012-07-05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168Y1 true KR200462168Y1 (ko) 2012-08-28

Family

ID=47074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890U KR200462168Y1 (ko) 2012-07-05 2012-07-05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16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5349A1 (en) * 2016-03-22 2017-09-28 Spectrum Brands, Inc. Garage door opener with touch sensor authentication
CN110207590A (zh) * 2019-06-21 2019-09-06 珠海丽亭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摄像头扫描车辆的装置及方法
KR102271592B1 (ko) * 2020-03-17 2021-06-30 송영민 차량 외관 검사 장치
KR102663516B1 (ko) * 2023-08-09 2024-05-07 (주)고백기술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관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419B1 (ko) 2004-06-09 2005-04-27 주식회사 윤익씨엔씨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
KR100567725B1 (ko) 2005-09-14 2006-04-04 윤주열 주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781697B1 (ko) 2006-04-24 2007-12-03 주식회사 인프라밸리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419B1 (ko) 2004-06-09 2005-04-27 주식회사 윤익씨엔씨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
KR100567725B1 (ko) 2005-09-14 2006-04-04 윤주열 주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781697B1 (ko) 2006-04-24 2007-12-03 주식회사 인프라밸리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5349A1 (en) * 2016-03-22 2017-09-28 Spectrum Brands, Inc. Garage door opener with touch sensor authentication
US11158145B2 (en) 2016-03-22 2021-10-26 Spectrum Brands, Inc. Garage door opener with touch sensor authentication
TWI756213B (zh) * 2016-03-22 2022-03-01 美商品譜公司 具有觸控感測器認證之車庫門開啟器及遠端地控制具有車庫門開啟器之車庫門之方法
CN110207590A (zh) * 2019-06-21 2019-09-06 珠海丽亭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多摄像头扫描车辆的装置及方法
KR102271592B1 (ko) * 2020-03-17 2021-06-30 송영민 차량 외관 검사 장치
KR102663516B1 (ko) * 2023-08-09 2024-05-07 (주)고백기술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7981B2 (en) Automated radial imaging and analysis system
JP4351285B2 (ja) 入口管理地点の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70372143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visual inspection of vehicle interiors
KR100964025B1 (ko) 차량 하부영상을 이용한 입출차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를 위한 장치
KR101625573B1 (ko) 차량 번호판 인식과 차량 하부 검색을 동시에 이용한 입출차 보안 시스템
KR101895374B1 (ko) 주차면 관리시스템
KR200462168Y1 (ko)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JP202109687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663674B1 (ko) 복합형 주차차단장치
CN106926794A (zh) 车辆监控系统及其方法
CN104917957A (zh) 用于控制摄像机成像的设备及其系统
KR101045300B1 (ko)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차량 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8182459A (ja) 通行監視システム
US20210235015A1 (en) Convex integrated vehicle inspection and security system
JP3384033B2 (ja) 駐車場空きスペ−ス監視方法
JP5361014B2 (ja) 通行監視システム
JP2020170307A (ja) フラップレス駐車場の不正出庫車検出システム
KR101747919B1 (ko)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
KR20160064060A (ko) 차량 하부검색과 차량 번호판 인식을 동시에 이용한 입출차 보안 시스템
KR100845777B1 (ko) 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면 관리시스템
KR20100086415A (ko)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차량 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TWM461270U (zh) 車輛進出入系統
KR102640351B1 (ko)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
KR20180036462A (ko) 차량상태 관리 기능을 갖는 주차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TWI536323B (zh) 智慧型影像式停車場管理系統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