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919B1 -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919B1
KR101747919B1 KR1020160080538A KR20160080538A KR101747919B1 KR 101747919 B1 KR101747919 B1 KR 101747919B1 KR 1020160080538 A KR1020160080538 A KR 1020160080538A KR 20160080538 A KR20160080538 A KR 20160080538A KR 101747919 B1 KR101747919 B1 KR 101747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cense plate
camera module
photograph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성
신현길
Original Assignee
김보성
신현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성, 신현길 filed Critical 김보성
Priority to KR1020160080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06K9/3258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06K2209/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인식하는 장치를 개선하여 하나의 카메라 모듈로 서로 다른 각도에서 2원적으로 촬영을 실시하여 번호판의 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인식하는 카메라 모듈(10)과; 차량 진출입구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1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0)와; 상기 카메라 모듈(10)과 상기 차량의 번호판 사이의 최단 경로인 제1촬영선(L1)의 중간에 경사지게 마련되는 하프 미러(30)와; 상기 하프 미러(30)의 배면 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촬영선(L1)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가림부재(40)와;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전반사하여 상기 하프 미러(30)를 경유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0)에 이르도록 제2촬영선(L2)을 형성하는 전반사 거울(50)을 포함하여, 주차 설비 등과 같은 무인 차량 통제 시스템에 대한 관리 효율을 크게 증대시키는 한편 상품성을 높여 시장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APPARATUS FOR RECOGNIZING LICENSE PLATE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인식하는 장치를 개선하여 하나의 카메라 모듈로 서로 다른 각도에서 2원적으로 촬영을 실시하여 번호판의 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주차 설비 등과 같은 무인 차량 통제 시스템에 대한 관리 효율을 크게 증대시키는 한편 상품성을 높여 시장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제한하는 주차장이나, 통행에 따라 요금을 징수하는 톨게이트와 같은 시설에는 요금의 징수나 출입의 제한 등을 목적으로 관리자를 필요로 하고 있다.
최근 들어, 이러한 관리자의 인건비를 저감시키고자 관리자 없이 무인으로 차량을 통제하는 시스템이 널리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무인 차량 통제 시스템은 통행 또는 출입 차량의 번호판을 카메라로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광학 문자 인식기(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로 차량의 번호를 판독하는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LPR, License Plate Recognition)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는 눈이나 비와 같은 환경적인 요인이나 차량 번호판의 오염과 같은 자체적인 요인, 혹은 카메라의 설치 각도 제한 등에 의한 구조적인 요인 등에 의해 현실적으로는 완벽한 인식률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의 방법으로 관리자를 호출하여야 할 뿐 아니라, 번호판이 인식되지 못한 차량에 의해 다른 차량의 통행이나 출입이 일시적으로 제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종래의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에 대한 기술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8-76351호에는 다수의 카메라를 마련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차량의 번호판 영상을 취득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50826호에는 하나의 카메라로 다수의 거울을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차량의 번호판 영상을 취득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8-76351호에 따르면, 다수의 카메라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높아지고 그에 따른 장치의 제어도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의 번호판 영상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높이를 유지하여 카메라가 설치되어야 하지만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50826호에 따르면, 차량의 통행에 방해를 하지 않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설치 높이에 제한이 있을 뿐 아니라 통행 또는 출입 차량의 차고에도 제한이 있다는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8-76351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5082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번호판에 대하여 하나의 카메라 모듈로 서로 다른 각도에서 2원적으로 촬영을 실시하여 번호판 인식률을 향상시킴으로써, 주차 설비 등과 같은 무인 차량 통제 시스템에 대한 관리 효율을 크게 증대시키는 한편 상품성을 높여 시장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에 대한 제1실시예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인식하는 카메라 모듈과; 차량 진출입구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차량의 번호판 사이의 최단 경로인 제1촬영선의 중간에 경사지게 마련되는 하프 미러와; 상기 하프 미러의 배면 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촬영선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가림부재와;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전반사하여 상기 하프 미러를 경유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이르도록 제2촬영선을 형성하는 전반사 거울을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하프 미러를 수용한 상태로 설치면에 지지되는 케이스이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1촬영선을 형성하기 위한 제1투과창 및 상기 제2촬영선을 형성하기 위한 제2투과창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1투과창에는 상기 가림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양호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반사 거울은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가림부재는 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가림막과; 상기 가림막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림막을 직선상으로 이동시키는 선형 구동장치를 포함하거나, 혹은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림막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케이스에는 정보를 표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창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함께, 상기 케이스에는 차량 번호판을 조사하는 조명장치가 마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에 대한 제2실시예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인식하는 카메라 모듈과; 차량 진출입구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카메라 모듈과 차량의 전면 번호판 사이의 최단 경로인 제1촬영선의 중간에 마련되는 전반사 거울과; 상기 전반사 거울이 제1촬영선을 차단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차량의 후면 번호판을 전반사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이르는 제2촬영선을 형성하도록 상기 전반사 거울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전반사 거울을 수용한 상태로 설치면에 지지되는 케이스이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1촬영선을 형성하기 위한 제1투과창 및 상기 제2촬영선을 형성하기 위한 제2투과창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함께,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전반사 거울을 직선상으로 이동시키는 선형 구동장치를 포함하거나, 혹은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전반사 거울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정보를 표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창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더불어, 상기 케이스에는 차량 번호판을 조사하는 조명장치가 마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번호판에 대하여 하나의 카메라 모듈로 서로 다른 각도에서 2원적으로 촬영을 실시하여 번호판 인식률을 향상시킴으로써, 주차 설비 등과 같은 무인 차량 통제 시스템에 대한 관리 효율을 크게 증대시키는 한편 상품성을 높여 시장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에 대한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에 대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에 있어서 구동부재의 다양한 예를 도시하는 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에 대한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로서, 도 1의 (a)는 제1촬영선(L1)에 따른 촬영 상태를 나타내며, 도 1의 (b)는 제2촬영선(L2)에 따른 촬영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에 대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에 있어서 구동부재의 다양한 예를 도시하는 도로서, 도 3의 (a) 및 (b)는 선형 구동장치(62)가 적용된 예이고, 도 3의 (c) 및 (d)는 회전 구동장치(66)가 적용된 예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로서, 도 2의 (a)는 제1촬영선(L1)에 따른 촬영 상태를 나타내며, 도 2의 (b)는 제2촬영선(L2)에 따른 촬영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는 차량의 번호판에 대하여 하나의 카메라 모듈(10)과 하프 미러(30) 및/또는 전반사 거울(50)로 서로 다른 각도에서 2원적으로 촬영을 실시하여 번호판 인식률을 향상시킴으로써, 주차 설비 등과 같은 무인 차량 통제 시스템에 대한 관리 효율을 크게 증대시키는 한편 상품성을 높여 시장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나의 카메라 모듈(10)을 이용하여 하프 미러(30) 및/또는 전반사 거울(50)에 의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차량의 번호판에 이르는 제1촬영선(L1) 및 제2촬영선(L2)으로 시간차를 두고 촬영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촬영선(L1) 및 제2촬영선(L2)의 경로 차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도 1에 예시한 제1실시예와 도 4에 예시한 제2실시예로 구분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1실시예의 경우, 차량의 전면 번호판(1a)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는 반면,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차량의 전면 번호판(1a)과 후면 번호판(1b)에 대하여 각각 촬영이 이루어질 것이다.
<제1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에 대한 제1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인식하는 카메라 모듈(10)과; 차량 진출입구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1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0)와; 상기 카메라 모듈(10)과 상기 차량의 번호판 사이의 최단 경로인 제1촬영선(L1)의 중간에 경사지게 마련되는 하프 미러(30)와; 상기 하프 미러(30)의 배면 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촬영선(L1)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가림부재(40)와;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전반사하여 상기 하프 미러(30)를 경유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0)에 이르도록 제2촬영선(L2)을 형성하는 전반사 거울(5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에 대한 제1실시예는 크게, 카메라 모듈(10), 지지부재(20), 하프 미러(30), 가림부재(40), 그리고 전반사 거울(50)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카메라 모듈(10)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차량의 번호판, 특히 전면 번호판(1a)을 촬영하게 되며, 촬영된 영상은 카메라 모듈(10)에 내장되어 있거나 혹은 외장되어 있는 별도의 영상 처리부에서 주지의 광학 문자 인식 알고리즘에 따라 대략 0.5초 이내에 판독하여 차량의 번호를 인식 및 처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 모듈(10)이 촬영을 실시하도록 하는 전기적 신호는 예를 들어 차량의 출입로 바닥에 매설되어 차량의 출입을 검출하는 루프 코일(loop coil)에 의하여 발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카메라 모듈(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사용전원 AC 220V, 50/60Hz; 형식 1/3인치 CCD Digital Camera; 화소수 150만 화소(1292×960); 렌즈 5~50mm가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카메라 모듈(10)에서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를 판독하는 광학 문자 인식 알고리즘은 주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카메라 모듈(10)에서 인식된 차량 번호는 유무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별도의 서버 등으로 전송되어 차량의 주차 요금 징수나 통행료 정산은 물론 통행 또는 주차 이력 관리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지지부재(20)는 상기 카메라 모듈(10)을 내장 혹은 외장한 상태로 차량 진출입구 인근의 지면과 같은 수평한 설치면이나 건물 외벽면과 같은 수직한 설치면 등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10)이 출입 차량의 전면 번호판(1a)을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 받침대인 것이다.
이러한 지지부재(20)는 카메라 모듈(10)의 설치 환경에 따라 간단한 구조의 외팔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카메라 모듈(10)을 단순히 지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모듈(10)을 비나 눈과 같은 날씨의 영향은 물론 외력으로부터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1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은 대략 사각 기둥 형상의 케이스(21)가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케이스(21)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 높은 내식성 및 강성을 지닌 판재로 제작하는 것이 양호하며, 차량의 출입로 인근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0)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10)이 지향하는 각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차량 출입방향에 대하여 대략 20~45°가량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만약 그 각도가 20°미만인 경우, 지지부재(20)의 위치가 차량의 출입을 방해하거나 혹은 너무 원거리에서 번호판을 촬영하여 차량 번호 인식률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반대로 45°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하게 경사지게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0)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높이는 대략 차량의 번호판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이거나 혹은 차량의 번호판보다 약간 높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는 도 1과 같이 하프 미러(half mirror)(30)가 상기 카메라 모듈(10)과 상기 차량의 전면 번호판(1a) 사이의 최단 경로인 제1촬영선(L1)의 중간에 경사지게 마련된다.
상기 하프 미러(30)는 반사율과 투과율이 대략 반반인 평면 거울의 일종으로, 이러한 하프 미러(30)는 대략 50%의 투과된 영상과 대략 50%의 반사된 영상을 투영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카메라 모듈(10)을 이용하여 차량의 전면 번호판(1a)을 일정한 시간 간격, 예를 들어 첫 번째 촬영한 이미지를 판독하는데 소요되는 대략 0.5초 내외의 지연 시간 이후 두 번째 촬영을 실시할 것이다.
이때, 첫 번째 촬영이 이루어지는 제1촬영선(L1)은 도 1의 (a)와 같이 카메라 모듈(10)로부터 차량의 전면 번호판(1a)에 이르는 최단 경로, 즉 별도의 반사 없이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경로인 것이며, 이 제1촬영선(L1)을 통해 카메라 모듈(10)은 차량의 전면 번호판(1a) 이미지를 촬영하게 될 것이다.
이때, 상기 하프 미러(30)의 배면 측에는 상기 제1촬영선(L1)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가림부재(40)가 마련된다.
이러한 가림부재(40)는 상기 카메라 모듈(10)이 제1촬영선(L1)을 따라 상기 하프 미러(30)를 투과하여 차량의 전면 번호판(1a)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제1촬영선(L1)을 차단하여 상기 하프 미러(30)에서 반사되는 다른 촬영선이 형성되도록 구동하는 구성인 것이다.
즉, 상기 가림부재(40)가 제1촬영선(L1)을 차단하지 않을 때에는 도 1의 (a)와 같이 카메라 모듈(10)이 상기 하프 미러(30)를 투과하여 제1촬영선(L1)을 따라 차량의 전면 번호판(1a) 영상을 촬영하는 반면, 상기 가림부재(40)가 제1촬영선(L1)을 차단할 때에는 도 1의 (b)와 같이 카메라 모듈(10)이 상기 하프 미러(30)에서 반사된 다른 촬영선을 따라 차량의 전면 번호판(1a) 영상을 촬영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에서는 상기 가림부재(40)의 설치 위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도 1의 (a) 및 (b) 모두에 상기 가림부재(40)를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도 1의 (a)에 있어서는 가림부재(40)가 제1촬영선(L1)을 차단하지 않는 상태이고, 도 1의 (b)에 있어서는 가림부재(40)가 제1촬영선(L1)을 차단하는 상태이다.
마지막으로, 전반사 거울(50)은 차량의 전면 번호판(1a)을 전반사함으로써 상기 하프 미러(30)를 경유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0)에 이르도록 제2촬영선(L2)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술한 하프 미러(30)와는 다르게 반사율이 거의 100%에 달하는 평면 거울의 일종이다.
여기에서, 제2촬영선(L2)은, 제1촬영선(L1)을 통한 카메라 모듈(10)의 첫 번째 촬영 영상을 판독하는 동안의 지연 시간 후, 두 번째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로인 것이다.
이러한 제2촬영선(L2)은 카메라 모듈(10)로부터 하프 미러(30) 및 전반사 거울(50)을 통해 순차적으로 반사된 후 차량의 전면 번호판(1a)에 이르는 경로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모듈(10)에서 촬영되는 차량의 전면 번호판(1a) 이미지는 카메라 모듈(10)이 마치 전반사 거울(50)의 위치에서 촬영한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를 획득할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제1촬영선(L1)을 따라서 첫 번째 촬영이 이루어지고 이후 제2촬영선(L2)을 따라 두 번째 촬영이 이루어지며, 이때, 그 촬영 각도는 각기 다르게 2원적이기 때문에, 마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2대의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차량의 전면 번호판(1a)을 판독함으로써, 보다 높은 인식률로 차량의 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모듈(10) 및 상기 하프 미러(30)를 수용한 상태로 설치면에 지지되는 케이스(21)이고; 상기 케이스(21)에는, 상기 제1촬영선(L1)을 형성하기 위한 제1투과창(23) 및 상기 제2촬영선(L2)을 형성하기 위한 제2투과창(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카메라 모듈(10)을 보호하기 위하여 케이스(21) 내부에 수용하는 동시에, 이러한 케이스(21) 내부에 상기 하프 미러(30) 또한 함께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프 미러(30)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으며, 하프 미러(30)가 빗물이나 눈 등에 의하여 오염되어 투과율 또는 반사율이 저감되는 것도 예방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케이스(21)는 기밀이 유지되는 형태이므로, 제1촬영선(L1)이 확보되도록 상기 케이스(21)의 전면에는 투명 재질의 제1투과창(23)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2촬영선(L2)이 확보되도록 상기 케이스(21)의 측면에는 투명 재질의 제2투과창(24)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케이스(21) 내부에 카메라 모듈(10)이 설치되더라도 제1촬영선(L1) 또는 제2촬영선(L2)을 따른 이미지 촬영이 저해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투과창(23)에는 상기 가림부재(40)가 마련되는 것이 양호하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하는 가림부재(40)를 케이스(21)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보다는 상기 케이스(21)의 내벽면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투과창(23)을 통해 케이스(21) 내부로 빛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제1촬영선(L1)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별도로 도시화 하지는 않았지만, 추가적인 가림부재(40)를 상기 제2투과창(24)의 내벽면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제2촬영선(L2)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제1촬영선(L1)을 따라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 보다 명확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전반사 거울(50)은 상기 케이스(21)의 외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전반사 거울(50)을 별도의 구조물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러한 경우 카메라 모듈(10)을 수용한 지지부재(20)의 각도가 변경될 경우 상기 전반사 거울(50)의 각도가 제2촬영선(L2)을 적절하게 형성하도록 전반사 거울(50)의 각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반사 거울(50)을 지지부재(20)인 케이스(21)의 외벽면에 고정 설치한다면, 카메라 모듈(10)을 수용한 케이스(21)의 설치각도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전반사 거울(50)은 제2촬영선(L2)을 적절하게 형성하게 됨으로써, 유지 보수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재(40)는 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가림막(42)과; 상기 가림막(42)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여기에서 가림막(42)은 빛의 투과율이 대략 0%에 가까운 판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이러한 가림막(42)을 직선상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켜 상술한 제1촬영선(L1)을 확보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부재는 도 3의 (a) 및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림막(42)을 직선상으로 이동시키는 선형 구동장치(62)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와 다르게 도 3의 (c) 및 (d)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림막(42)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장치(66)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선형 구동장치(62)는 도 3의 (a)와 같이 전기적 신호에 따라 선형적으로 구동하는 솔레노이드(63)를 포함하는 구동장치로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며, 또는 도 3의 (b)와 같이 전기적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래크(64)과 피니언(65) 등의 주지의 구성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다르게, 상기 회전 구동장치(66)는 도 3의 (c) 및 (d)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모터(67)의 회전축(68)에 상기 가림막(42)을 고정하여 상기 모터(67)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가림막(42)을 적절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도 2와 같이 상기 케이스(21)에는 각종 정보를 표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창(25)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창(25)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3색 LED 전광판으로 구성함으로써, 판독된 차량의 번호를 표출하거나, 통행요금 또는 주차요금 등을 표출하는 것도 가능하며, 때로는 차량 운전자에게 인지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창(25)은 상술한 케이스(21)의 상측면에 설치하여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이는 것이 좋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1)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면 번호판(1a)을 조사하는 조명장치(26)가 마련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야간에는 카메라 모듈(10)이 차량의 전면 번호판(1a)을 촬영하는 데 요구되는 조도가 부족할 수도 있으므로, 상기 케이스(21)에 차량의 전면 번호판(1a)을 향하여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조명장치(26)를 설치하는 것도 좋다.
하지만, 이 보다는 운전자의 시야를 저해하지 않도록 상기 조명장치(26)는 적외선 LED 조명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 할 것이다.
이에 따르면, 주간에는 물론 야간에도 카메라 모듈(10)을 통한 차량의 전면 번호판(1a)에 대한 영상 촬영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에 대한 제1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는 차량이 진입하게 되면 루프 코일 등을 통하여 카메라 모듈(10)이 차량의 전면 번호판(1a)에 대하여 촬영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에는, 가림부재(40)가 다양한 형태의 구동부재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제1촬영선(L1)을 차단하지 않게 됨으로써, 카메라 모듈(10)은 하프 미러(30)를 투과하여 제1촬영선(L1)을 따라 차량의 전면 번호판(1a) 영상을 촬영하여 판단함으로써,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첫 번째 촬영 이후 차량의 번호가 인식되는 대략 0.5초의 시간 동안 구동부재에 의하여 상기 가림부재(40)가 제1촬영선(L1)을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0)은 하프 미러(30) 및 전반사 거울(50)을 경유하여 차량의 전면 번호판(1a)에 이르는 제2촬영선(L2)을 따라 두 번째 촬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카메라 모듈(10)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는 제1촬영선(L1) 및 제2촬영선(L2)을 따라 두 번 촬영한 이미지를 통해 차량의 번호를 보다 인식률 높게 판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에 대한 제2실시예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인식하는 카메라 모듈(10)과; 차량 진출입구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1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0)와; 상기 카메라 모듈(10)과 차량의 전면 번호판(1a) 사이의 최단 경로인 제1촬영선(L1)의 중간에 마련되는 전반사 거울(50)과; 상기 전반사 거울(50)이 제1촬영선(L1)을 차단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차량의 후면 번호판(1b)을 전반사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0)에 이르는 제2촬영선(L2)을 형성하도록 상기 전반사 거울(5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에 대한 제2실시예는 크게, 카메라 모듈(10), 지지부재(20), 전반사 거울(50), 그리고 구동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10)과 지지부재(20)는 공통된 구성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는 전반사 거울(50)이 상기 카메라 모듈(10)과 차량의 전면 번호판(1a) 사이의 최단 경로인 제1촬영선(L1)의 중간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전반사 거울(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반사율이 거의 100%에 달하는 평면 거울의 일종이다.
이러한 전반사 거울(50)은 구동부재를 통해 구동하게 됨으로써, 제1촬영선(L1)을 차단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차량의 후면 번호판(1b)을 전반사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0)에 이르는 제2촬영선(L2)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카메라 모듈(10)을 이용하여 차량의 전면 번호판(1a)을 일정한 시간 간격, 예를 들어 차량이 더 진행하게 되는 지연 시간 이후 두 번째 촬영을 실시할 것이다.
이때, 첫 번째 촬영이 이루어지는 제1촬영선(L1)은 도 4의 (a)와 같이 카메라 모듈(10)로부터 차량의 전면 번호판(1a)에 이르는 최단 경로, 즉 별도의 반사 없이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경로인 것이며, 이 제1촬영선(L1)을 통해 카메라 모듈(10)은 차량의 전면 번호판(1a) 이미지를 촬영하게 될 것이다.
이때, 상기 전반사 거울(50)은 구동부재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제1촬영선(L1)을 차단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동부재는 상기 전반사 거울(50)이 제1촬영선(L1)을 차단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10)이 제1촬영선(L1)을 따라 차량의 전면 번호판(1a)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전반사 거울(50)이 제1촬영선(L1)을 차단하여 상기 전반사 거울(50)에서 반사되는 다른 촬영선이 형성되도록 구동하는 구성인 것이다.
즉, 상기 전반사 거울(50)이 제1촬영선(L1)을 차단하지 않을 때에는 도 4의 (a)와 같이 카메라 모듈(10)이 제1촬영선(L1)을 따라 차량의 전면 번호판(1a) 영상을 촬영하는 반면, 상기 전반사 거울(50)이 제1촬영선(L1)을 차단할 때에는 도 4의 (b)와 같이 카메라 모듈(10)이 상기 전반사 거울(50)에서 반사된 다른 촬영선을 따라 차량의 후면 번호판(1b) 영상을 촬영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반사 거울(50)은 차량의 후면 번호판(1b)을 전반사함으로써 상기 카메라 모듈(10)에 이르도록 제2촬영선(L2)을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제2촬영선(L2)은, 제1촬영선(L1)을 통한 카메라 모듈(10)의 첫 번째 촬영 이후, 차량이 더 진행하는 동안의 지연 시간 후, 두 번째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로인 것이다.
이러한 제2촬영선(L2)은 카메라 모듈(10)로부터 전반사 거울(50)을 통해 반사된 후 차량의 후면 번호판(1b)에 이르는 경로이다.
결국,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촬영선(L1)을 따라서 차량의 전면 번호판(1a)에 대해 첫 번째 촬영이 이루어지고 이후 제2촬영선(L2)을 따라 차량의 후면 번호판(1b)에 대해 두 번째 촬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면 번호판(1a)에 대한 이미지와 후면 번호판(1b)에 대한 이미지를 모두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차량의 전면 번호판(1a) 및 후면 번호판(1b)을 판독함으로써, 보다 높은 인식률로 차량의 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도 3의 (a) 및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반사 거울(50)을 직선상으로 이동시키는 선형 구동장치(62)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와 다르게 도 3의 (c) 및 (d)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전반사 거울(50)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장치(66)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제1실시예에 있어서 가림부재(40)의 가림막(42)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재와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전반사 거울(5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재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지 구동시키는 대상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선형 구동장치(62)는 도 3의 (a)와 같이 전기적 신호에 따라 선형적으로 구동하는 솔레노이드(63)를 포함하는 구동장치로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며, 또는 도 3의 (b)와 같이 전기적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래크(64)과 피니언(65) 등의 주지의 구성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다르게, 상기 회전 구동장치(66)는 도 3의 (c) 및 (d)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모터(67)의 회전축(68)에 상기 전반사 거울(50)을 고정하여 상기 모터(67)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전반사 거울(50)을 적절한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에 대한 제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는 차량이 진입하게 되면 루프 코일 등을 통하여 카메라 모듈(10)이 차량의 전면 번호판(1a)에 대하여 촬영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에는, 전반사 거울(50)이 다양한 형태의 구동부재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제1촬영선(L1)을 차단하지 않게 됨으로써, 카메라 모듈(10)은 제1촬영선(L1)을 따라 차량의 전면 번호판(1a) 영상을 촬영하여 판단함으로써,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첫 번째 촬영 이후 차량이 더 진입하면 또 다른 루프 코일 등을 통하여 이를 검출하며, 이에 따라 구동부재에 의하여 상기 전반사 거울(50)이 제1촬영선(L1)을 차단하게 된다.
그 결과, 카메라 모듈(10)은 전반사 거울(50)을 경유하여 차량의 후면 번호판(1b)에 이르는 제2촬영선(L2)을 따라 두 번째 촬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카메라 모듈(10)을 이용하여 제1촬영선(L1)을 따라 차량의 전면 번호판(1a)을 촬영하고, 차량이 더 진행하면 제2촬영선(L2)을 따라 차량의 후면 번호판(1b)을 촬영함으로써, 전후에서 각각 촬영한 이미지를 통해 차량의 번호를 보다 인식률 높게 판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케이스(21) 내부에 카메라 모듈(10)과 함께 하프 미러(30)가 마련되고, 케이스(21) 외부에 전반사 거울(50)이 위치하였지만,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반사 거울(50)이 케이스(21)의 외부에 위치할 필요가 없고 케이스(21)의 내부에 위치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부재(20)는 상기 카메라 모듈(10) 및 상기 전반사 거울(50)을 수용한 상태로 설치면에 지지되는 케이스(21)이고; 상기 케이스(21)에는, 상기 제1촬영선(L1)을 형성하기 위한 제1투과창(23) 및 상기 제2촬영선(L2)을 형성하기 위한 제2투과창(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반사 거울(50)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반사 거울(50)이 빗물이나 눈 등에 의하여 오염되어 반사율이 저감되는 것도 예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는 하나의 카메라 모듈(10)과 하프 미러(30) 및/또는 전반사 거울(50)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제1촬영선(L1) 및 제2촬영선(L2)으로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판독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간단한 구조로 보다 높은 인식률을 확보할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a : 전면 번호판 1b : 후면 번호판
10 : 카메라 모듈 20 : 지지부재
21 : 케이스 23 : 제1투과창
24 : 제2투과창 25 : 디스플레이창
26 : 조명장치 30 : 하프 미러
40 : 가림부재 42 : 가림막
50 : 전반사 거울 62 : 선형 구동장치
63 : 솔레노이드 64 : 랙
65 : 피니언 66 : 회전 구동장치
67 : 모터 68 : 회전축
L1 : 제1촬영선 L2 : 제2촬영선

Claims (15)

  1.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인식하는 카메라 모듈과;
    차량 진출입구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차량의 번호판 사이의 최단 경로인 제1촬영선의 중간에 경사지게 마련되는 하프 미러와;
    상기 하프 미러의 배면 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촬영선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가림부재와;
    상기 차량의 번호판을 전반사하여 상기 하프 미러를 경유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이르도록 제2촬영선을 형성하는 전반사 거울을 포함하는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하프 미러를 수용한 상태로 설치면에 지지되는 케이스이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1촬영선을 형성하기 위한 제1투과창 및 상기 제2촬영선을 형성하기 위한 제2투과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과창에는;
    상기 가림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반사 거울은;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지지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재는;
    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가림막과;
    상기 가림막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림막을 직선상으로 이동시키는 선형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가림막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정보를 표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창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차량 번호판을 조사하는 조명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080538A 2016-06-28 2016-06-28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 KR101747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538A KR101747919B1 (ko) 2016-06-28 2016-06-28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538A KR101747919B1 (ko) 2016-06-28 2016-06-28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919B1 true KR101747919B1 (ko) 2017-06-15

Family

ID=5921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538A KR101747919B1 (ko) 2016-06-28 2016-06-28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9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098B1 (ko) 2020-07-20 2021-08-11 한국도로공사 차량 번호 인식 실패 원인 분석 및 통계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826B1 (ko) * 2014-12-26 2015-09-07 에이제이파크 주식회사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826B1 (ko) * 2014-12-26 2015-09-07 에이제이파크 주식회사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098B1 (ko) 2020-07-20 2021-08-11 한국도로공사 차량 번호 인식 실패 원인 분석 및 통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47738T3 (es) Dispositivo, sistema y método para punto de control de entrada
US7016518B2 (en) Vehicle license plate imaging and reading system for day and night
KR101688695B1 (ko) 차량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801936B1 (ko) 이동식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US8068154B2 (en) Digital camera with non-uniform image resolution
CN102271977B (zh) 用于检测车窗的车窗状态的摄像机装置
CN102271976B (zh) 用于检测车辆周围环境的摄像机装置和方法
US20060269105A1 (en) Methods, Apparatus and Products for Image Capture
KR101663674B1 (ko) 복합형 주차차단장치
CN102668540A (zh) 成像设备、车载成像系统、路面外观检测方法以及目标检测设备
CN104024827A (zh) 图像处理装置、图像捕捉方法和车辆
JP2020057869A (ja) 撮像装置
CN105376485B (zh) 基于线阵式摄像机的双向实时车辆底盘图像合成方法
KR102462327B1 (ko) 촬영 시야확보 기능을 갖는 돔형 cctv 카메라
KR101747919B1 (ko)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
US114435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urroundings, and vehicle with such an apparatus
KR200462168Y1 (ko)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KR101676444B1 (ko)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KR101550826B1 (ko)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
US11546510B2 (en) Convex integrated vehicle inspection and security system
KR100801937B1 (ko) 선명한 이미지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촬영장치
US11463627B2 (en) Step-stare wide field imaging system and method
KR200481044Y1 (ko) 차량 번호 인식 주차 차단기
KR101210737B1 (ko) 영상 취득 시스템
JPH10208198A (ja) 車両位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