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826B1 -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826B1
KR101550826B1 KR1020140190324A KR20140190324A KR101550826B1 KR 101550826 B1 KR101550826 B1 KR 101550826B1 KR 1020140190324 A KR1020140190324 A KR 1020140190324A KR 20140190324 A KR20140190324 A KR 20140190324A KR 101550826 B1 KR101550826 B1 KR 101550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flector
unit
license plate
r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익
신중근
정병희
Original Assignee
에이제이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제이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제이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0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주차장에 입차하거나 주차장에서 출차하는 차량의 번호판 인식률을 높여 관리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주차장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마련되어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적어도 2개의 반사각도로 비추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에 비추어진 상기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들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와,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번호판 이미지들 각각에 대해 차량번호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부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USING REFLECTION AND METHOD}
본 발명은,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주차장에 입차하거나 주차장에서 출차하는 차량의 번호판 인식률을 높여 관리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 아파트 및 유료 주자창 등과 같은 주차장 시설이 설비된 특정 장소에서는 차량의 관리를 위한 다수의 인력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력 사용에 따른 인건비를 절감하고자 주차장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한 뒤 이를 문자와 숫자로 인식하여 차량을 식별하는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으로는 차량번호인식기(LPR, License Plate Recognition)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차량번호인식기는 차량의 입차시 또는 출차시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 대해 문자인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장치를 말한다.
그런데, 차량번호인식기는 환경적인 요인, 차량번호판 자체적인 요인, 주차장 구조적인 요인 등에 의해 현실적으로 100% 인식률을 달성하기 어렵다.
구체적으로, 역광, 전반사, 그림자 등의 환경적인 요인과, 차량번호판의 꺽임, 훼손, 불법스티커 부착 등의 차량번호 자체적인 요인과, 직선거리 확보가 어렵거나 도로 폭이 넓고 좌/우회전해서 진입하는 주차장 구조에서 차량번호판을 정면이 아닌 측면에서 촬영하여 인식해야 하는 등의 주차장 구조적인 요인으로 인해, 차량번호인식기에 의한 차량번호의 인식률은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주차요금을 징수하지 않지만 출입통제가 필요한 아파트 등의 주차장에서 차량의 입차시 위에서 언급한 요인으로 인해 차량번호인식기에서 차량번호 미인식이나 오인식이 발생한 경우, 차량의 운전자는 인터폰을 눌러 경비실이나 관리실의 직원과 통화하고 경비실이나 관리실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조회 후 등록차량은 차단기를 열어주어 통과시키고, 방문차량은 방문처 확인 및 출입증 발급 후 차단기를 열어주어 통과시킨다.
이때, 차량 운전자가 인터폰을 누르기 위해 차량을 가까이 세우다가 인터폰이나 다른 주차장비와 충돌할 위험이 있고, 운전이 미숙한 운전자의 경우에는 차량을 가까이 세우기 어려워 차량에서 내려서 인터폰을 눌러 통화해야 하는 불편함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차량의 출차시에 있어서 주차장 출구에 루프코일과 차단기만 설치된 곳은 차량이 루프코일만 밟으면 차단기가 자동으로 열려 출차하도록 선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주차요금을 징수하는 대형마트, 쇼핑몰 등의 주차장에서 위에서 언급한 요인으로 인해 차량번호인식기에서 차량번호 미인식이나 오인식이 발생한 경우, 차량이 밀리지 않도록 차량의 입차시 인식 여부와 상관없이 차단기를 열어 차량을 통과시키고, 차량의 출차시 주차정산원이 차량번호를 검색하거나 차량 운전자에게 대략의 입차 시간을 물어보아 검색하거나 입차 순서로 검색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입차 차량을 찾아내어 주차요금을 정산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이 사람이 주차요금을 징수하는 유인정산소로 운영되는 주차장에서는 불편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지만 차량 운전자와의 소통을 통해 어느 정도 주차요금정산에 대응 가능하지만, 무인정산소로 운영되는 주차장에서는 주차요금정산을 차량 운전자가 직접 해야하고 주차장 출구에 설치된 무인정산기의 터치스크린을 조작하기 위해 차량을 무인정산기에 가까이 세우다가 무인정산기나 다른 주차장비와 충돌한 위험이 있고 운전이 미숙한 운전자의 경우에는 차량을 무인정산기에 가까이 세우기 어려워 차량에서 내려서 무인정산기를 조작해야하는 불편함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상황이 발생함에 따라 주차장 내에서의 차량의 흐름이 지체되거나 정체되고 이는 고객의 불만사항을 초래하여 주차장 이미지에 큰 손상을 줄 수 있다.
이에, 차랑번호인식에서 차량번호 미인식이나 오인식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차량의 번호판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61722호(발명의 명칭 : 음성안내 주차요금 정산시스템, 공고일자 : 2006년 3월 20일) 및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 11-312260호(발명의 명칭: 무인 주차장 관리 시스템, 공개일자 : 1999년11월 09일)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차장으로 입차되거나 또는 주차장에서 출차되는 차량의 번호판을 다수개의 반사판으로 반사하고, 반사된 번호판을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함으로써 번호판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은, 주차장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마련되어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적어도 2개의 반사각도로 비추는 반사부; 상기 반사부에 비추어진 상기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들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번호판 이미지들 각각에 대해 차량번호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반사부는,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반사판; 상기 제1 반사판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반사판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반사판; 및 상기 제1 반사판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반사판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3 반사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반사판 및 상기 제3 반사판 각각은, 상기 제1 반사판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제1 반사판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은, 상기 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반사부의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차량의 전면 번호판을 적어도 2개의 반사각도로 비추는 제1 반사부; 및 상기 차량의 후면 번호판을 적어도 2개의 반사각도로 비추는 제2 반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은,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들을 추출하여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에 제공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추출한 번호판 이미지들을 반전시킨 후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은,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차량번호들에 기초하여 유효한 차량번호를 판정하는 차량번호 판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번호 판정부는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에 의해 미인식되거나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은 차량번호를 배제하여 유효한 차량번호를 판정한다.
또한, 상기 차량번호 판정부는,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차량번호들 중 상이한 차량번호가 있는 경우, 동일한 차량번호가 많은 것을 우선순위로 하여 유효한 차량번호로 판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번호 인식 방법은,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영상 촬영부에서 주차장의 입구 또는 출구측에 마련된 반사부에 의해 적어도 2개의 반사각도로 비추어진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차랑번호 인식 시스템의 차랑번호 인식부에서,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번호판 이미지들 각각에 대해 차량번호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영상 처리부에서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번호판 이미지들을 반전시킨 후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차량번호 판정부에서,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차량번호들에 기초하여 유효한 차량번호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은, 다수개의 반사판에 반사된 다수개의 번호판 이미지에서 차량번호를 인식하므로 차량의 번호판 인식률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은, 곡선형 진입로에 진입되는 차량의 번호판 인식률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서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차량번호의 오인식 및 미인식 확률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반사부와 영상 촬영부가 주차장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서 차량의 전방과 후방을 반사하고 촬영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방법의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마련되어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적어도 2개의 반사각도로 비추는 반사부(110)와, 상기 반사부(110)에 비추어진 상기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들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120) 및 상기 영상 촬영부(120)에 의해 촬영된 상기 번호판 이미지들 각각에 대해 차량번호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110)는, 거울 또는 반사율이 우수한 금속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백화점, 대형마트, 쇼핑몰 등의 주차장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주차장의 진출입로를 통해 입차 또는 출차되는 차량의 이동경로 상에서 상기 차량의 이동경로에 간섭되지 않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진입방향과 마주하되 차량에 부착된 번호판을 용이하게 반사할 수 있도록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에서 주차장 진입로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부(110)는 도시되지 않은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어 진출입로 상부에 설치되거나 주차장 입구 또는 출구의 천장벽에 설치된 지지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사부(110)가 주차장 진출입로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면상에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반사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이동경로에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차량의 번호판을 반사할 수 있는 위치라면 지면 또는 벽면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110)는, 서로 상이한 반사각도를 가지는 적어도 2 개의 반사판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로 상이한 반사각도를 가지는 3개의 반사판(111, 113, 115)이 서로 연결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된다.
즉, 상기 반사부(110)는,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반사판(111)과, 상기 제1 반사판(111)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반사판(111)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반사판(113) 및 상기 제1 반사판(111)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반사판(111)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3 반사판(1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판(111) 내지 제3 반사판(115)들은 주차장에 입차되거나 또는 주차장에서 출차되는 차량의 번호판을 각각 반사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반사판 내지 제3 반사판(111, 113, 115)들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을 반사하여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각각 장착된 번호판을 각각 반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판(111, 113, 115)들에 각각 반사되는 번호판은 상기 반사판(111, 113, 115)의 각도에 따라서 상이한 각도로 반사되며, 아울러, 상기 번호판에 새겨진 문자 또는 숫자는 반전된 상태로 육안에 보이거나 상기 영상 촬영부(120)에 의해 촬영된다.
참고로, 상기 반사부(110)에는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한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모습까지 반사되나, 본 발명의 명세서 도 4에서는 도면이 복잡하기 도시되지 않도록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모습은 생략한 채 차량의 번호판만 반사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리고, 상기 제2 반사판(113) 및 제3 반사판(115) 각각은 상기 제1 반사판(111)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각도 조절가능하게 상기 제1 반사판(1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반사판(113) 및 제3 반사판(115)이 상기 제1 반사판(111)에 대하여 각도조절되는 구성은 해당분야의 기술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각도조절구성, 예를 들면 힌지수단을 절첩되는 구성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명의 요지가 모호하지 않도록 그 구체적인 구성설명이 생략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반사부(110)는, 상기 제2 반사판(113) 및 상기 제3 반사판(115)이 상기 제1 반사판(111)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곡선으로 형성된 주차장 진출입로를 따라 주차장에 입차되거나 주차장에서 출차되는 차량의 번호판을 정확하게 반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반사판(113) 및 제3 반사판(115)은 곡선으로 형성된 진출입로를 따라 이동되는 차량의 번호판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촬영부(120)는 상기 반사부(110)의 다수개의 제1 반사판 내지 제3 반사판(111, 113, 115)에 각각 반사된 번호판을 포함하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촬영부(120)는 상기 반사부(110)에 반사된 차량 이미지를 사진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할 수 있으며, 칼라 영상을 구현하고 정밀한 이미지를 취득하기 용이한 CCTV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 촬영부(120)는 상기 반사부(110)와 마찬가지로 주차장 진입로를 통해 입차 또는 출차되는 차량의 이동경로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100)은, 상기 영상 촬영부(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들(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번호판 이미지)을 추출하여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130)에 제공하는 영상 처리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처리부(125)는 상기 추출된 번호판 이미지들을 반전시킨 후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 처리부(125)는 상기 추출된 번호판 이미지에 포함된 번호 및 문자의 방향 및 순서를 상기 반사부(110)에 반사된 차량 번호판 번호 및 글자의 방향 및 순서와 반대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110)의 제1 반사판 내지 제3 반사판(111, 113, 115)에 반사되는 번호판 번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영상 촬영부(120)에 의해 촬영되는 번호판 번호 또한 반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영상 처리부(125)는, 상기 영상 촬영부(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번호판 이미지를 추출한 후 추출된 이미지를 반전시켜 상기 번호판 이미지가 정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변환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영상 처리부(125)가 번호판 이미지를 추출한 후 추출된 번호판 이미지를 반전시키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영상 처리부(125)는 상기 영상 촬영부(12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먼저 반전시킨 후, 그 반전된 이미지에서 번호판 이미지를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100)은,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130)에 의해 인식된 차량번호들에 기초하여 유효한 차량번호를 판정하는 차량번호 판정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번호 판정부(135)는,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130)에 의해 미인식되거나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은 차량번호를 배제하여 유효한 차량번호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광, 전반사 그림자 등에 의해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130)에서 차량 번호판 전체 또는 번호판 일부를 인식하지 못한 번호판은 배제하고 정상적으로 인식된 차량번호들에 기초하여 유효한 차량번호를 판정한다.
그리고, 상기 차량번호 판정부(135)는,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130)에 의해 인식된 차량번호들이 서로 일치되지 않을 시, 즉, 상이한 차량번호가 있을 경우, 동일한 차량번호가 많은 것을 우선순위로 하여 유효한 차량번호로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130)가 인식한 3개의 차량번호 중 두 개는 차량번호'38가1234'로 일치되고 나머지 하나의 차량번호가 상기 차량번호 '38가1234'와 일치되지 않거나 미인식 되었을 경우에, 상기 차량번호 판정부(140)는 '38가1234'를 유혀한 차량번호로 판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인식 시스템(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가 반사부(110)에 결합되어 상기 반사부(110)의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160)는 상기 반사부(110)의 전체, 즉, 상기 반사부(110)의 제1 반사판 내지 제3 반사판(111, 113, 115)의 상/하 또는 좌/우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 반사판 내지 제3 반사판(111, 113, 115)의 반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각도 조절부(160)는, 주차장 진입로의 천장 또는 별도 구조물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회동축(161a)이 마련된 제1연결부재(161)와, 상기 제1연결부재(161)의 회동축(161a)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반사부(110)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축(161a)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제2연결부재(1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연결부재(163)가 상기 회동축(161a)을 기준으로 회동됨에 상기 반사부(110)가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재(161)와 상기 제2연결부재(163)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핀홀(H)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핀홀(H)에는 상기 제2연결부재(163)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고정핀(P)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각도 조절부(160)는 상기 반사부(110)가 설치되는 환경, 즉, 주차장 입구측 또는 출구측의 설치환경 및 조건에 따라 상기 반사부(1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아울러, 아울러, 날씨와 같은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상기 반사부(1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 에서는, 상기 반사부(110)가 상기 각도 조절부(160)의 회동축(161a) 설치 방향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각도조절되고, 또한, 수작업으로 각도조절되게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반사부(110)는 공지의 다양한 각도 조절장치에 의해 다양한 각도로 각도조절될 수 있고, 또한 작업자의 단말기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원격으로 각도 조절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부(110) 및 영상 촬영부(120)는, 주차장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각각 한 쌍으로 마련되어 진입 차량의 전면 번호판과 차량의 후면 번호판을 각각 반사하고 촬영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반사부(110)는, 상기 차량의 전면 번호판을 적어도 2개의 반사각도로 비추는 제1 반사부(110a) 및 상기 차량의 후면 번호판을 적어도 2개의 반사각도로 비추는 제2 반사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영상 촬영부(120) 또한, 상기 제1 반사부(110a)에 반사된 차량 전면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1 영상 촬영부(120a) 및 상기 제2 반사부(110b)에 반사된 차량 후면 이미지를 촬영하는 제2 영상 촬영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반사부(110) 및 상기 영상 촬영부(120)가 주차장 진입로 상에서 한 쌍으로 마련되면 차량의 전면에 부착된 번호판과 차량의 후면에 부착된 번호판을 각각 반사하고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총 6개의 번호판 이미지에서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어서 차량번호 인식률이 더욱 상승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된 번호판 중 어느 하나가 파손되어 있거나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하나에 번호판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도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방법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방법은,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100)의 영상 촬영부(120)에서 주차장의 입구 또는 출구측에 마련된 반사부(110)에 의해 적어도 2개의 반사각도로 비추어진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단계(S10)와, 상기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100)의 영상 처리부(125)에서 상기 영상 촬영부(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차량의 번호판 이미지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번호판 이미지들을 반전시킨 후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130)에 제공하는 단계(S20)와, 상기 차랑번호 인식 시스템(100)의 차랑번호 인식부(130)에서, 상기 영상 촬영부(120)에 의해 촬영된 번호판 이미지들 각각에 대해 차량번호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S30) 및 상기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100)의 차량번호 판정부(135)에서,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130)에 의해 인식된 차량번호들에 기초하여 유효한 차량번호를 판정하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110 : 반사부
120 : 영상 촬영부 125 : 영상 처리부
130 : 차량번호 인식부 135 : 차량번호 판정부
160 : 각도 조절부

Claims (12)

  1. 주차장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마련되어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비추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반사판, 상기 제1 반사판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반사판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반사판, 및 상기 제1 반사판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반사판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3 반사판을 포함하는 반사부;
    상기 반사부에 비추어진 상기 차량의 복수 개의 번호판 이미지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복수 개의 번호판 이미지 각각에 대해 차량번호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부; 및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복수 개의 번호판 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에 제공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판 및 상기 제3 반사판 각각은,
    상기 제1 반사판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제1 반사판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반사부의 반사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차량의 전면 번호판을 적어도 2개의 반사각도로 비추는 제1 반사부; 및
    상기 차량의 후면 번호판을 적어도 2개의 반사각도로 비추는 제2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추출한 번호판 이미지들을 반전시킨 후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차량번호들에 기초하여 유효한 차량번호를 판정하는 차량번호 판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번호 판정부는,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에 의해 미인식되거나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않은 차량번호를 배제하여 유효한 차량번호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번호 판정부는,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차량번호들 중 상이한 차량번호가 있는 경우, 동일한 차량번호가 많은 것을 우선순위로 하여 유효한 차량번호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11.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영상 촬영부에서 주차장의 입구 또는 출구측에 마련되어 입차 또는 출차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비추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제1 반사판, 상기 제1 반사판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반사판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반사판, 및 상기 제1 반사판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반사판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3 반사판을 포함하는 반사부에 의해 비추어진 상기 차량의 복수 개의 번호판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차랑번호 인식 시스템의 차랑번호 인식부에서,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복수 개의 번호판 이미지 각각에 대해 차량번호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영상 처리부에서 상기 영상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복수 개의 번호판 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의 차량번호 판정부에서,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차량번호들에 기초하여 유효한 차량번호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방법.
KR1020140190324A 2014-12-26 2014-12-26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1550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324A KR101550826B1 (ko) 2014-12-26 2014-12-26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324A KR101550826B1 (ko) 2014-12-26 2014-12-26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826B1 true KR101550826B1 (ko) 2015-09-07

Family

ID=5424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324A KR101550826B1 (ko) 2014-12-26 2014-12-26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8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919B1 (ko) * 2016-06-28 2017-06-15 김보성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
KR102256802B1 (ko) * 2021-02-24 2021-05-27 (주)청명씨앤아이 반사경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주차 불법 꼬리물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503B1 (ko) * 2002-09-30 2005-04-20 주식회사 한국알에프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503B1 (ko) * 2002-09-30 2005-04-20 주식회사 한국알에프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이용한 주차요금 정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7919B1 (ko) * 2016-06-28 2017-06-15 김보성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
KR102256802B1 (ko) * 2021-02-24 2021-05-27 (주)청명씨앤아이 반사경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주차 불법 꼬리물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833B1 (ko) 영상처리 기반의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00765B1 (ko) 음성인식 주차관리시스템
KR100768820B1 (ko) 차량 탑재하여 운행중 위법차량 단속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688695B1 (ko) 차량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060269105A1 (en) Methods, Apparatus and Products for Image Capture
KR101625573B1 (ko) 차량 번호판 인식과 차량 하부 검색을 동시에 이용한 입출차 보안 시스템
KR20200025247A (ko)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주차 관리장치
WO2018008893A1 (ko)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노외주차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56802B1 (ko) 반사경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주차 불법 꼬리물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53980B1 (ko) 차량 감시 장치
KR101550826B1 (ko) 거울 반사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1111724B1 (ko) 불법 주정차 무인 검지 방법과 그 시스템
CN104917957A (zh) 用于控制摄像机成像的设备及其系统
KR20060116757A (ko) 불법주정차 무인 검지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38592B1 (ko) 차량번호 오인식 자동제어 주차관리시스템
KR101882888B1 (ko)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에서의 파노라마 영상 제공 방법
JP5991886B2 (ja) 駐車場システム
CN108510744B (zh) 基于长短焦距相机实现半封闭车场管理的系统及方法
KR20200025384A (ko) 실시간 영상처리를 활용한 주차정보 제공장치 및 그 시스템
KR101069766B1 (ko) 방범용 폐쇄회로 텔레비전과 연동하는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정차 단속 방법
JPH11175883A (ja) 交通量計測装置および信号機制御装置
KR200415231Y1 (ko) 차량 탑재하여 운행중 위법차량 단속장치
KR102014236B1 (ko) 중소형주자창을 원격으로 주차 관제가 가능한 일체형주차시스템 및 그 방법
TWM461270U (zh) 車輛進出入系統
KR101747919B1 (ko) 차량의 번호판 인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