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236B1 - 중소형주자창을 원격으로 주차 관제가 가능한 일체형주차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중소형주자창을 원격으로 주차 관제가 가능한 일체형주차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236B1
KR102014236B1 KR1020190020001A KR20190020001A KR102014236B1 KR 102014236 B1 KR102014236 B1 KR 102014236B1 KR 1020190020001 A KR1020190020001 A KR 1020190020001A KR 20190020001 A KR20190020001 A KR 20190020001A KR 102014236 B1 KR102014236 B1 KR 102014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image
unit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철
Original Assignee
(주)지엘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엘앤티 filed Critical (주)지엘앤티
Priority to KR1020190020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G06K9/3258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3Scene text, e.g. street names
    • G06K2209/1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출입, 통제, 관리하는 주차장에서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 주차장별로 관리하는 차량은 50대 이상의 대형주차장에서 차량번호인식시스템을 이용한 관리시스템을 중소형 주차장에 효율적인 주차관제를 위하여 중소형주자창을 원격으로 주차 관제가 가능한 일체형주차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주차장 관리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주차주제어장치, 주차권발행기, 차량인식기, 주차안내판, 주차요금계산기, 주차권판독기, 차량차단기, 주차관제 주변기기 및 루프 코일로 구성되는 관제시스템으로 구성되지만 중소형 주차장의 경우는 대형주차장에 적용하는 복잡한 시스템이 아닌 차량이 진입하는 정면에 설치되는 감지기와, 상기 소정의 영역에 설치된 보조 감지부 및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영상으로 촬영하는 영상장치와 등록된 차량과 미등록 차량을 인식, 구분하는 인식장치, 진입허락을 위한 신호기 및 신호에 따라 관리자는 차단기의 제어가 가능한 임베디드 시스템 및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소형주자창을 원격으로 주차 관제가 가능한 일체형주차시스템 및 그 방법{Integrated parking system capable of remote control of small and medium rung windows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중소형 주차장에 적용되는 주차장관제시스템으로 관제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주차주제어장치, 주차권발행기, 차량인식기, 주차안내판, 주차요금계산기, 주차권판독기, 차량차단기, 주차관제 주변기기 및 루프 코일로 구성되는 관제시스템으로 구성되므로 상시 관제시스템 모니터링을 위하여 별도 관리자가 상시 배치되는 사항을 방지하고, 주차장 관제제어 마비로 차량의 병목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중소형주차장을 원격으로 주차관제가 가능한 일체형주차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관공서, 백화점, 아파트 및 유료주차장 등을 대형주차장이라고 하며, 이러한 특정장소는 차량관리를 위하여 다수의 인력을 배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인건비 절감하고자 주차장의 출입구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인식 및 차량을 식별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차량의 출입구 바닥에 루프 코일이 설치되어 있고, 진입로 정면에 영상장치가 설치되어 출입구에서 차량의 진입 감지되면 영상부에서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고 추출된 영상을 중앙시스템에 전송하여 데이터의 정보 보관 및 명령을 통하여 차량관제를 수행한다.
그런데 중소형 주차장의 경우는 차량진입로의 여유 공간이 부족하여 차량 출입구는 대체적으로 일반도로에서 바로 진입되는 경우가 많다.
중소형 주차장을 보유한 지역우체국, 주민 센터, 중소형관공서, 빌라, 소형아파트 등의 경우는 다수의 인력의 배치나 차량관제시스템을 위하여 상시 대기 인력을 배치하기 어려운 경우는 차단기 없이 주차에 대한 통제가 불가능하여 장기 주차를 하거나 주차대수 이상의 차량 진입으로 주차장 내부의 병목현상과 안전상 문제점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일부의 지역우체국, 주민 센터, 중소형관공서, 빌라, 소형아파트는 차량의 출입 및 주차를 위하여 방문자가 하차하여 출입에 대한 허락을 위한 벨이나 신호를 통하여 주차 가능하므로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차량방문자가 출입 및 주차를 위하여 벨이나 신호를 보낼 경우에 관리자가 자리를 비운 경우는 도로에서 주차장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차량 대기로 인하여 도로의 병목현상이 발생되는 경우와 방문자의 주차대기로 감정적인 대립이나 불편함이 발생하며, 관리자는 항상 차량방문에 대한 위압감으로 업무에 집중력이 저하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중소형주차장에 대형주차장용 주차관제시스템을 적용하여 설치비용이나 운영비용이 지나치게 소요되는 사항과 지나친 기술을 적용함으로 현실에 맞지 않은 시스템으로 관리자의 불편함이나 유지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중소형 주차장 진입로의 길이 짧음에 따른 1차적인 감지장치인 루프코일 설치가 되지 않아도 차량을 인식할 수 있는 주차장 관제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대형 주차장 관제 시스템의 적용으로 발생되는 비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주차장 관제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택배 및 예약되지 않은 방문자에 대해서도 관리자가 원격으로 출입을 통제가 가능하며, 관리자 부재중에 발생되는 차량 출입의 병목 및 안전사고에 대한 주차장 관제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관리자의 부재에도 택배 및 예약되지 않은 방문자에 대해서도 관리자가 원격으로 출입을 통제가 가능한 주차장 관제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중소형주자창을 원격으로 주차 관제가 가능한 일체형주차시스템으로 차량이 진입하는 과정에서 메인 감지부와 보조감지부에서 형성된 신호에 의하여 차단기의 차단 및 해제가 가능한 일체형 주차시스템으로 정면에 설치된 메인감지부와 소정영역 하면에 설치된 감지부의 신호로 차량을 인식하며 등록된 차량 및 미등록 차량을 구분하여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며 진입하는 차량을 인식하는 영상을 통하여 차량의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시스템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은 중소형주자창을 원격으로 주차 관제가 가능한 일체형주차시스템으로 차량이 진입하는 과정에서 미등록된 차량인 택배 및 방문자의 출입에 대한 메시지 및 명령에 따른 벨 신호로 관리자에 시스템을 통하여 출입허락을 원할 경우에는 관리자가 원격으로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정보의 진위를 확인 후에 차량의 출입을 원격으로 제어 및 차량을 통제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소형주자창을 원격으로 주차 관제가 가능한 일체형주차시스템으로 기존의 주차관제시스템은 영상부, 제어부, 차단기, 감지부가 분리되어 대형주차장에 적용하거나 중소형주차장에도 적용할 경우에는 많은 비용과 설치공간을 많이 소요됨에 따른 주차시스템을 도입하지 못한 사항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소형주자창은 도로면에서 바로 진입하여 진입로의 길이 짧거나 제한되어 발생할 수 있는 차량안전사고 및 인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진입로가 짧은 관계로 진입차량의 진출입의 지체 및 정체를 감소시킴으로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처리가 가능하여 탄소절감 및 환경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주차장에 적용하여 분리 설치하던 영상부, 제어부, 차단기, 감지부 들을 하나의 원형프레임 형태로 일체형 주차 장비를 설치하므로 여러 장비의 설치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중소형주차장은 소수의 주차장 관리자로도 원격으로 제어가 가능하여 관리비용 및 기타운영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주차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주차시스템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부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구동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주차시스템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 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 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 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에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중소형주자창을 원격으로 주차 관제가 가능한 일체형주차시스템”(S)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중소형주차장을 원격으로 주차 관제가 가능한 일체형주차시스템(이하 ‘일체형 주차시스템’로 기재함)은 50대 미만의 주차가 가능한 중소형 주차장의 출입구 및 차량의 통제하기 위한 일체형 주차시스템이 설치될 필요가 있는 모든 특정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주차시스템은 차량 진입의 유무를 확인하는 감지장치를 진입로 하면이나 바닥에 루프코일이나 다양한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진입을 확인하며 감지된 신호를 진입로 일측에 설치된 영상장치를 통하여 촬영되며 촬영된 정보를 제어장치를 통하여 중앙통제부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 일반적인 사항이다. 본 발명품은 차량진입을 감지하는 장치를 차단기(300) 하면에 설치한 감지부(400)를 통하여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체형 주차시스템(S)은 기존 주차시스템에 구비되는 감지장치, 진입신호수신 및 입력, 카메라제어, 차량번호인식, 인식영상저장, 카메라 설치 및 정보저장, 표시 및 유도와 같이 구비된 구성이 복잡하지만 본 발명은 일체형 주차시스템으로 기존 사각형태의 프레임을 원형 및 차단기 일체형으로 구비되므로 중소형주자창에 설치비용과 복잡한 관계로 적용하지 못하던 단순한 주차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보안 및 관리자 부재중에도 방문자 민원 발생이나 주차장 입구의 정체 및 병목현상을 줄임으로써 주차장으로 통하는 안전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주차시스템은 도 1 내지 도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IP카메라(11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단기(300)의 앞에 차량번호판을 촬영하는 영상부(100); 영상촬영장치(220)로부터 영상을 수신 및 저장하는 영상저장창치(230) ; 제어부(200)에서 IP카메라(110)에서 전달되는 정보에 의하여 표시부(500)를 통하여 주차유도 및 차단기(300)를 제어한다. 사전에 정보를 제공되지 않은 차량 및 방문자는 표시부(500)의 지시에 따라 알림신호(600)를 통하여 관리자단말기(700)에 원격으로 정보가 전달되거나 전달된 정보를 통하여 차단기(300)를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일체형주차시스템으로 일체형주차장치(10)에 영상부(100), 제어부(200), 차단기(300), 감지부(400), 표시부(500)으로 기본적인 구성이 되며 알림신호(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부 및 상기 표시부는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다.
기존의 주차관제시스템은 대형주차장(주차대수 50대 이상)에 차단기, 제어장치, 영상장치, 감지장치를 각각 구비하여 주차된 차량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영상 장치를 구비 하였으며, 주차장 내부의 상황 및 관제를 위하여 별도의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이 특색이므로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서 소형주차장에 적용하기에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중앙제어 및 통제가 가능하지 않은 주차관제장치가 설치되어 보안 및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부(100)의 구성은 IP카메라(110), 카메라후트 (120), 환기장치 (130), 표시부(500)을 포함한다.
영상부(100)은 IP카메라(110)을 구비하여 차량번호판을 촬영하여 제어부(200)에 전달되며, 영상부(100)의 구성은 IP카메라(110), 카메라후트 (120) 및 카메라 렌즈 보호 판넬과 내부 열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환기장치 (130)을 포함하며, IP카메라(110) 하부에 표시부(500)을 설치하여 차량이 진입신호에 따라 진입차량에 정보 제공 및 진입방향을 신호를 제공하며, 야간에는 감지부(400)의 감지신호에 따른 표시부(500)에서 차량진입 방향 신호와 조명을 제공한다. 표시부(500)에서 제공된 야간 조명으로 소형컴퓨터(210)의 제어 매뉴얼에 따라 영상촬영장치(220) 및 영상저장창치(230)로 정보수집이 가능한 일체형주차시스템이다.
표시부(500)은 일반적으로 LED 모듈을 사용한다.
제어부(200)의 구성은 소형컴퓨터(210), 영상촬영장치(220), 영상저장창치(230), 통신장치(240)을 포함한다.
제어부(200)은 소형컴퓨터(210)로 SMPC(소형컴퓨터)를 사용하며 전용프로그램을 통하여 시스템을 구동하며, 영상촬영장치(220)은 IP카메라(110)과 별도로 구비하며, 일반적으로 Network 카메라로 Full-HD해상도와 Smart Fail-over 기능을 지원하여 끊임없는 최상의 영상품질을 구현이 가능하며, 영상저장창치(230)은 일반적으로 4채널 Full-HD로 직접적으로 IP카메라를 연결해서 감시와 녹화, 카메라의 설정이 가능한 영상저장창치(230)을 포함하며 미등록된 차량의 출입을 승인하기 위하여 외부의 관리자단말기(700)에 제어부(200)을 통하여 무선통신으로 원격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구비하여야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기(300)의 구성은 차단스프링(310), 열림스토퍼(320), 닫힘스토퍼(330), 차단기고정브래킷(340), 모터 및 베어링 유닛(350), 차단기 각도 보정 너트(3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기(300)는 원형프레임에 일체화된 형태로서 구동되는 모터 및 베어링 유닛(350)과 닫힘스토퍼(330)에 의하여 회전 방향으로 구동된다. 차단기(300)를 원형프레임에 구비되어 일체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차단기고정브래킷(340)이 외부 환경에 의한 흔들림이나 외부의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상태로 구비되어야 한다. 모터 및 베어링 유닛(350)은 차단기(300)가 원활하게 구동 및 회전되는 적정한 힘을 유지되어야 하며, 차단기(300)의 열림과 닫힘의 간격을 정밀하게 하기 위하여 열림스토퍼(320)와 닫힘스토퍼(330)가 구비되어야 하며, 차단기(300)가 각도조정을 위하여 차단기 각도 보정 너트(360)가 구비되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주차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감지부(400)의 감지장치는 차단기(300)에 설치된 감지장치와 일체형주차장치 하단에 설치된 다수의 감지장치를 통해 차량 진입 정보를 획득하여 차량 진입신호를 제어부(200)에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200)의 소형컴퓨터(210)는 인식된 정보를 통하여 IP카메라(110)를 통하여 차량번호를 획득하고 제어부(200)에 인식된 차량은 영상촬영장치(220)로 부터 촬영되기 시작하여 영상저장창치(230)에 저장된다.
차량인식과 차량촬영이 시작되면 제어부(200)에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등록된 차량에 대해서는 차단기(300)를 해제한다.
반면, 미등록된 차량이나 제어부(200)에서 번호판이 인식이 되지 않을 경우는 진입차량의 운전자는 표시부(500)의 알림사항에 따라 알림신호(600)을 통하여 관리자를 호출하며, 관리자는 관리자단말기(700)에서 획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원격으로 승인한다. 승인된 정보를 바탕으로 제어부(200)에서 전달된 정보로 차량인식과 차량촬영이 시작되면 제어부(200)에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등록된 차량에 대해서는 차단기(300)를 해제한다.
일체형주차시스템은 분리형 주차시스템에 대비하여 원형하우징의 좁은 공간에 설치로 차량번호 인식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차량번호판의 영상의 왜곡보정 및 영상개선을 해야 한다. 차량번호판의 영역 검출과정에서 찾은 연속된 숫자들의 임의의 사각 형태를 규격화된 직사각형으로 변환할 때 적용한 상관관계가 통상적으로 촬영된 번호판이 기울어지게 촬영된 영상을 원본 영상에서 번호판을 찾기 위해 먼저 직선의 수직 길이 비율정보를 이용해서 다시 직선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대응되는 화소 값을 구할 때 보간법(interpolation)을 사용하여 기울기 보정 상관관계와 기울기 보정 및 정규화에 의하여 문자 획이 강조된 선명한 이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녹색 번호판과 흰색 번호판은 서로 다른 형태의 분포를 갖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경험에 따라 각각 별도의 지수 변환 적용 구간을 추정하고 (식1)에 따라 영상개선 작업을 수행한다.
h(x, y) =a * exp( f (x, y) ) - b (식1)
상기 (식1)에서 a 및 b는 변환곡선이 적용되는 히스토그램 구간에 따라 결정되는 상수들이다. 지수 변환 함수에 따라 명도 영상 개선용 LUT (look-up table)를 생성함으로써 고속의 영상 변환 작업이 가능하다. 지수 변환 함수에 따라 영상개선 작업을 수행 한 후 가우시안 평활 작업을 수행해서 부드러운 영상을 획득한다. 영상 개선작업을 수행한 명도 레벨 번호판 영상에 (식2)와 같은 Saulvola의 적응적 이진화 방법을 적용하여 이진 영상을 생성하였다.
t( x, y ) = m * ( x, y ) * { 1 + k ( (s (x, y) ÷ R) - 1) } (식2)
상기 (식2)에서 임계값 t( x, y )는 국소 영역의 평균 m( x, y )와 표준편차 s( x, y )를 이용하였으며 적분 영상 개념을 도입하여 국소영역의 크기에 관계없이 평균과 표준편차를 고속으로 계산하여 획득하였다.
차량인식 프로그램은 수집된 정보에 의하여 입차 정보를 서버(Back-End Control Server)로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BCS)에서 전달받은 명령에 따라 표지장치 및 차단기에 제어하는 프로그램이다.
설치되는 프로그램은 서버프로그램과 차량번호인식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입차 정보는 차량번호, 번호판 이미지, 경로, 입차 시간 등을 차량번호 인식프로그램에서 수집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입차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 입차 정보와 서버에서 전송받은 차량 주차 정보를 전광판에서 표시하는 기능, 서버에서 전송 받은 차량 주차정보에 따라 차단기를 제어하는 기능 이더넷 통신 설정은 차량번호 인식프로그램과 서버의 IP. 포트 정보 등을 설정하는 기능, 시리얼 통신은 표시장치의 통신설정 및 차단기의 통신설정으로 전광판, 차단기의 포트 및 속도정보 등을 설정하는 기능, 메시지설정 대기상태일 경우 전광판에 표시될 메시지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 : 본 장치 (일체형주차시스템)
10 : 일체형주차장치
100 : 영상부
110 : IP 카메라 120 : 카메라 후드 130 : 환기장치
200 : 제어부
210 : 소형컴퓨터 220 : 영상촬영장치 230 : 영상저장장치 240 : 통신장치
300 : 차단기
310 : 차단스프링 320: 열림 스토퍼 330: 닫힘 스토퍼 340: 차단기 고정브래킷
350 : 모터 및 베어링 유닛 360: 차단기 각도 보정 너트
400 : 감지부
500 : 표시부(전광판)
600 : 알림신호
700 : 관리자단말기

Claims (6)

  1. 중소형 주차장(50대 이하 주차가능)에서 차량의 출입을 관리하는 일체형주차시스템에 있어서,
    영상부(100), 제어부(200), 차단기(300), 감지부(400), 표시부(500)를 원형형태의 일체형 하우징에 포함하는 일체형주차장치(10)와
    상기 하우징은 원형하우징으로 상부와 하부의 하우징으로 일체형으로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는 회전이 가능하여 설치장소의 여건에 따라 회전하여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영상부 및 상기 표시부는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감지부는 차량 진입 정보를 획득하여 차량 진입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부의 IP카메라를 통하여 차량번호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미등록된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 알림신호를 통하여 관리자를 호출하고, 관리자단말기(700)로부터 상기 차단기(300)의 제어에 관한 원격으로 전달된 정보를 수신하고,
    수집된 정보에 의하여 입차 정보를 서버(Back-End Control Server)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Back-End Control Server)에서 전달받은 명령에 따라 표지장치 및 차단기를 제어하는 차량인식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일체형주차시스템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은 서버프로그램과 차량번호인식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차량인식프로그램은 차량번호인식률을 높이기 위하여 차량번호판의 영상의 왜곡보정 및 영상개선을 하고, 대응되는 화소 값을 구할 때 보간법(interpolation)을 사용하여 영상의 왜곡 보정과 영상 개선작업을 수행한 명도 레벨 번호판 영상에 사울볼라(Saulvola)의 적응적 이진화 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주차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300)의 일 측 및 상기 일체형주차장치 하단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 진입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주차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부(100)의 하부에 표시부(500)로 전광판으로 LED 모듈을 구비하여 상하 일체의 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주차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20001A 2019-02-20 2019-02-20 중소형주자창을 원격으로 주차 관제가 가능한 일체형주차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14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001A KR102014236B1 (ko) 2019-02-20 2019-02-20 중소형주자창을 원격으로 주차 관제가 가능한 일체형주차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001A KR102014236B1 (ko) 2019-02-20 2019-02-20 중소형주자창을 원격으로 주차 관제가 가능한 일체형주차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236B1 true KR102014236B1 (ko) 2019-10-21

Family

ID=68460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001A KR102014236B1 (ko) 2019-02-20 2019-02-20 중소형주자창을 원격으로 주차 관제가 가능한 일체형주차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2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297B1 (ko) 2019-11-15 2020-10-21 주식회사 세븐미어캣 딥러닝과 IoT 기반의 객체 출입 통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438B1 (en) * 2001-12-24 2003-05-22 Zeon Systems Inc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KR200453006Y1 (ko) * 2010-08-26 2011-04-05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일체형 주차관리기
KR101753117B1 (ko) * 2016-09-21 2017-07-05 (주) 플래누리 카메라 및 차량 인식 모듈을 일체형으로 구현하여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제어하는 lpr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835757B1 (ko) * 2017-03-24 2018-03-09 (주)이노씨앤에스 부착형 주차 관리 모듈을 기반으로 한 차량 정보 인식 방법 및 이러한 부착형 주차 관리 모듈을 사용한 주차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438B1 (en) * 2001-12-24 2003-05-22 Zeon Systems Inc Integrated parking management system
KR200453006Y1 (ko) * 2010-08-26 2011-04-05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일체형 주차관리기
KR101753117B1 (ko) * 2016-09-21 2017-07-05 (주) 플래누리 카메라 및 차량 인식 모듈을 일체형으로 구현하여 차량의 입차 및 출차를 제어하는 lpr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835757B1 (ko) * 2017-03-24 2018-03-09 (주)이노씨앤에스 부착형 주차 관리 모듈을 기반으로 한 차량 정보 인식 방법 및 이러한 부착형 주차 관리 모듈을 사용한 주차 관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8297B1 (ko) 2019-11-15 2020-10-21 주식회사 세븐미어캣 딥러닝과 IoT 기반의 객체 출입 통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7725B1 (ko) 주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U20152956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control
KR100979752B1 (ko)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19142B1 (ko) 주차장 통합 무인정산시스템
KR102256802B1 (ko) 반사경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주차 불법 꼬리물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60254B1 (ko) 주차차단기의 번호인식시스템
KR101049758B1 (ko) 어린이보호구역 통합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14236B1 (ko) 중소형주자창을 원격으로 주차 관제가 가능한 일체형주차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68297B1 (ko) 딥러닝과 IoT 기반의 객체 출입 통제 장치 및 방법
KR101080219B1 (ko)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20120050647A (ko)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73473B1 (ko) 주차면 개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JP2000011297A (ja) 駐車場ゲート管理システム
EP32232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a parking
KR100501769B1 (ko) 장애인 주차구역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KR101246235B1 (ko) 자동 요금징수 게이트 내에서의 교통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62168Y1 (ko)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KR20190005343A (ko) 이동식 주정차 단속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행 여부 판별방법
KR20210074424A (ko) 주차공간 이용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차공유시스템
KR100770157B1 (ko) 이동형 차량번호 판독 및 증거수집 시스템
KR100834012B1 (ko) 무인 교통 단속시스템
KR102431894B1 (ko) 장애인 주차구역 무인단속 방법 및 시스템
KR100638524B1 (ko) 무인 방문증 발급 장치
KR100778390B1 (ko) 동영상 차량 번호 인식 방법
KR101881321B1 (ko) 다중 이진화 영상인식 기반 주차위치확인 및 주차유도 관제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