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516B1 -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516B1
KR102663516B1 KR1020230104054A KR20230104054A KR102663516B1 KR 102663516 B1 KR102663516 B1 KR 102663516B1 KR 1020230104054 A KR1020230104054 A KR 1020230104054A KR 20230104054 A KR20230104054 A KR 20230104054A KR 102663516 B1 KR102663516 B1 KR 102663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upport
appearance management
vehicle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4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경철
Original Assignee
(주)고백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백기술 filed Critical (주)고백기술
Priority to KR1020230104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5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카메라에 의해 출입 차량의 외관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여 차량 외관의 3D 모델링을 생성하여 출입 차량의 외관을 관리할 수 있는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은, 특정 대상에 대한 영상이 촬영되는 3D 외관 관리 모듈; 상기 3D 외관 관리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의 데이터에 의해 3D 모델링이 생성되는 처리 서버; 상기 처리 서버에서 생성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를 제공하는 클라우딩 서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클라우딩 서버로부터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가 수신되는 개인용 단말 모듈; 및 상기 3D 외관 관리 모듈, 처리 서버, 클라우딩 서버 및 개인용 단말 모듈 상호 간의 데이터가 송수신되게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관리 방법{Appearance Management System by 3D Imaging And Management Method by the Same}
본 발명은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카메라에 의해 출입 차량의 외관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 외관의 3D 모델링을 생성하여 출입 차량의 외관을 관리할 수 있는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15년 이후 렌터카 시장의 급성장으로 렌터카 주차장의 수요가 급증하고 관련 교통사고 건수가 증가함으로 인해 렌터카 회사와 고객 사이에 외관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였다. 이에 따른 고객과 회사 간의 불화를 피하고자 영상 증거물의 필요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현재 렌터카 시장의 주차장에서는 차량 외관 관리 시스템이 부재하며, 외관 관리를 하더라도 회사와 고객이 직접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하여 관리하는 방식만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영상 촬영 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781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52942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3-000431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4259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중 카메라에 의해 출입 차량의 외관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 외관의 3D 모델링을 생성하여 출입 차량의 외관을 관리할 수 있는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은, 특정 대상에 대한 영상이 촬영되는 3D 외관 관리 모듈; 상기 3D 외관 관리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의 데이터에 의해 3D 모델링이 생성되는 처리 서버; 상기 처리 서버에서 생성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를 제공하는 클라우딩 서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클라우딩 서버로부터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가 수신되는 개인용 단말 모듈; 및 상기 3D 외관 관리 모듈, 처리 서버, 클라우딩 서버 및 개인용 단말 모듈 상호 간의 데이터가 송수신되게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상기 특정 대상은 출입 차량, 사람 및 물품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정 대상은 출입 차량일 때, 상기 출입 차량은 차량, 오토바이 및 자전거에서 선택되는 이동체에서 특정 차량을 매칭하며, 상기 특정 대상은 사람일 때, 상기 사람의 얼굴, 피부 색깔, 머리 스타일, 체격, 상반신과 하반신의 비율, 걷는 모습에서 얻어진 빅데이터로 특정인을 매칭하며, 상기 특정 대상은 물품 일 때, 상기 물품은 포장된 박스의 외관에서 특정 물품을 매칭한다.
상기 3D 외관 관리 모듈은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정 대상이 촬영을 위해 위치하는 영역을 촬영 영역으로 정의하면,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상기 촬영 영역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상기 촬영 영역의 좌측에 3개, 우측에 3개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대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카메라는 제2 카메라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상기 촬영 영역의 좌측에 3개, 우측에 3개를 구비하며, 상기 좌측의 전방의 지지대의 카메라의 촬영 방향과 상기 우측 후방의 지지대의 카메라의 촬영 방향은 평행하거나 서로 30도 이내의 제1 각도에 위치하며, 상기 좌측의 중간의 지지대의 카메라의 촬영 방향과 상기 우측 중간의 지지대의 카메라의 촬영 방향은 평행하거나 서로 30도 이내의 제2 각도에 위치하며, 상기 좌측의 후방의 지지대의 카메라의 촬영 방향과 상기 우측 전방의 지지대의 카메라의 촬영 방향은 평행하거나 서로 30도 이내의 제3 각도에 위치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1 각도 및 제3 각도보다 작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특정 대상에 대한 측면 및 상측 또는 하측에서의 3D 모델링에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특정 대상은 차량인 경우, 상기 3D 외관 관리 모듈은 지지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대는 지면에 고정되는 메인 지지대 및 상기 메인 지지대의 상부에 위치하는 보조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지지대에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보조 지지대에 제3 카메라가 위치하며, 상기 메인 지지대와 보조 지지대 사이에는 구동 모터가 연결된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메인 지지대의 방향에 대하여 상기 보조 지지대가 30도 내지 60도로 기울기가 제어된다.
상기 기울기의 제어는 상기 차량의 높이에 따라 연동되어 제어되며, 여기서 상기 차량의 높이의 측정은 상기 메인 지지대에서 촬영된 영상에 의하여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정 대상은 차량인 경우, 상기 3D 외관 관리 모듈은 지면에서 회전하는 회전판을 구비하여 상기 차량은 상기 회전판에서 회전하며, 상기 회전하는 차량의 외관을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구비된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가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은 지면에 연결된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하여 지면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회전되는 전체의 차량의 외관을 촬영한다.
상기 촬영 영역의 중앙의 차량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지면 장착용 제1 카메라, 중간에 지면 장착용 제2 카메라, 및 후방에 지면 장착용 제3 카메라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 영역의 측면에 사이니지 또는 신호등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등은 차량의 3D 외관 관리 모듈에 의하여 촬영을 완료되기 전에는 빨간색으로 나타내고, 촬영을 완료한 후에는 파란색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니지는 차량의 이전 촬영된 영상의 3D 모델링 결과와 현재 촬영된 영상의 3D 모델링 경과가 일정 값을 초과하게 되면 이상 신호를 디스플레이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리 방법은, 특정 대상이 촬영 영역에 진입하는 제1 단계; 상기 촬영 영역에서 상기 특정 대상이 정지 또는 이동하는 상태에서 3D 외관 관리 모듈의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처리 서버로 전송되는 제2 단계; 상기 처리 서버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3D 모델링이 생성되는 제3 단계; 상기 특정 대상이 촬영 영역에서 나오는 제4 단계; 상기 제3 단계의 3D 모델링 데이터가 상기 처리 서버에서 클라우딩 서버로 전송되는 제5 단계; 및 상기 클라우딩 서버에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를 사용자가 요청하여 개인용 단말 모듈로 전송받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는 디지털 트윈에 의하여 사용자의 단말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 주차관제 시장과 지능형 무인 주차관제 솔루션을 접목하여, 정체되어 있는 공유 주차장의 확대와 저비용/고효율 성능을 통한 기존 주차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으로써 혁신적 기술의 파급이 예상된다.
또한, 제품의 국산화 및 자체 기술 개발을 통해 제작되어, 기존 유사 제품을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의 가격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되며, 여러 가지 형태의 제품화와 보급화를 통해 다양한 가격대에서 선택적 설치 및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접근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생활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출입 및 주차 공간의 활용을 통한 출입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사회적 통념과 인식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3D 외관 관리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3D 외관 관리 모듈에서 복수의 카메라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지면 장착용 카메라를 나타낸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지지대 및 카메라를 나타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부 촬영용 카메라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며, 도 6(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지면 장착용 카메라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3D 외관 관리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보조 지지대를 구비한 3D 외관 관리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지지대 및 카메라를 나타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보조 지지대를 구비한 것을 나타내고, 도 9(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부 촬영용 카메라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며, 도 9(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지면 장착용 카메라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처리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 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은 3D 외관 관리 모듈(100), 처리 서버(200), 클라우딩 서버(300), 개인용 단말 모듈(400) 및 네트워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3D 외관 관리 모듈(100)은 특정 대상(C)에 대한 영상을 촬영한다. 여기서, 특정 대상(C)은 출입 차량, 사람 및 물품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출입 차량은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이 설치된 장소를 출입하는 차량, 오토바이, 자전거 등의 이동체를 의미한다. 또한, 특정 대상(C)이 사람인 경우, 3D 외관 관리 모듈(100)은 등록된 범죄자의 정보를 3차원 영상에 의하여 촬영된 것과 매칭하여 범죄자의 얼굴, 피부 색깔, 머리 스타일, 체격, 상반신과 하반신의 비율, 걷는 모습 등에서 얻어진 빅데이터로 특정인을 매칭할 수 있는 경찰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대상(C)이 물품인 경우, 3D 외관 관리 모듈(100)은 물류를 위해 처리하는 물품에 대한 감시 및 기록이 필요한 물류 창고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3D 외관 관리 모듈(100)의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3D 외관 관리 모듈(100)은 복수의 지지대(110), 복수의 카메라(120), 사이니지(130), 신호등(140) 및 모듈 제어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3D 외관 관리 모듈(100)은 정지해 있는 특정 대상(C)을 촬영한다.
복수의 지지대(110)는 정지 또는 이동하는 차량의 외관을 촬영하기 위해 차량이 이동하는 통로의 좌우측에 설치된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0)가 복수의 지지대(110)에 설치되어 정지 또는 이동하는 출입 차량의 외관을 촬영한다. 특정 대상(C)이 촬영을 위해 위치하는 영역을 촬영 영역(A)으로 정의하면, 복수의 지지대(110)는 촬영 영역(A)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복수의 지지대(110)는 촬영 영역(A)의 좌측에 3개, 우측에 3개를 구비하며, 지지대(110)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제1 카메라(121) 및 제2 카메라(122)를 구비하며, 제1 카메라(121)는 제2 카메라(122)의 상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는 촬영 영역(A)의 좌측에 3개의 지지대(110), 촬영 영역(A)의 우측에 3개의 지지대(11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기술에서 4면 촬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해 6개 이상의 카메라(120)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지지대(110)의 수 및 지지대(110)에 설치되는 카메라(200)의 수는 상기 제1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수로 구현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110)는 특정 대상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할때, 상기 특정 대상(C)이 위치하는 촬영 영역(A)에서 좌측의 전방에 위치하는 좌측 제1 지지대(110a), 상기 좌측 제1 지지대(110a) 후방에 위치하는 좌측 제2 지지대(110b), 상기 좌측 제2 지지대(110b) 후방에 위치하는 좌측 제3 지지대(110c), 상기 특정 대상(C)이 위치하는 촬영 영역(A)에서 우측의 전방에 위치하는 우측 제1 지지대(110d), 상기 우측 제1 지지대(110d) 후방에 위치하는 우측 제2 지지대(110e) 및 상기 우측 제2 지지대(110e) 후방에 위치하는 우측 제3 지지대(110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좌측 제1 지지대(110a)에는 좌측 제1 지지대 제1 카메라(120a) 및 좌측 제1 지지대 제2 카메라(120b)가 위치한다. 좌측 제1 지지대 제1 카메라(120a)는 좌측 제1 지지대 제2 카메라((120b)의 상부에 위치한다. 같은 방식으로, 좌측 제2 지지대(110b), 좌측 제3 지지대(110c), 우측 제1 지지대(110d), 우측 제2 지지대(110e) 및 우측 제3 지지대(110f)에는 각각 제1 카메라(121) 및 제2 카메라(122)가 위치한다. 여기서, 지지대(110)의 높이 방향으로 제1 카메라(121)및 제2 카메라(122)는 이동가능하다. 또한, 좌측 제3 지지대(110c) 및 우측 제3 지지대(110f)에는 광학적 측정에 의하여 특정 대상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 측정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특정 대상의 높이를 측정하며, 상기 특정 대상의 높이가 k값으로 측정되면 상기 측정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좌측 제2 지지대(110b) 및 우측 제2 지지대(110e)의 각각의 제2 카메라(122)는 좌측 제2 지지대(110b) 및 우측 제2 지지대(110e)에서 k/2의 높이의 위치로 이동하고, 좌측 제2 지지대(110b) 및 우측 제2 지지대(110e)의 각각의 제1 카메라(121)는 좌측 제2 지지대(110b) 및 우측 제2 지지대(110e)에서 3*k/2의 높이의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특정 대상의 높이에 대응되게 제2 카메라(122)를 특정 대상의 중간 위치에 이동하고, 제1 카메라(121)를 특정 대상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여, 특정 대상의 높이에 상관하지 않고 특정 대상의 측면 및 상부를 일정 비율로 일관되게 3D 분석 가능한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3D 외관 관리 모듈(100)에서 복수의 카메라(120)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좌측의 전방의 지지대(110)의 카메라의 촬영 방향과 우측 후방의 지지대(110)의 카메라(120)의 촬영 방향은 평행하며, 좌측의 중간의 지지대(110)의 카메라(120)의 촬영 방향과 우측 중간의 지지대(110)의 카메라(120)의 촬영 방향은 평행하며, 좌측의 후방의 지지대(110)의 카메라(120)의 촬영 방향과 우측 전방의 지지대(110)의 카메라(120)의 촬영 방향은 평행하다. 촬영 영역(A)에 정지해 있는 특정 대상(C)을 사각지대 없이 촬영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 영역(A)에 좌우측에 3개씩 위치한 지지대(110)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120)가 각각에 대응하는 카메라(120)와 촬영 방향으로 평행하다. 좌측 제1 지지대(110a)에 위치한 카메라(120)의 촬영 방향은 우측 제3 지지대(110f)에 위치한 카메라(120)의 촬영 방향과 평행하고, 좌측 제2 지지대(110b)에 위치한 카메라(120)의 촬영 방향은 우측 제2 지지대(110e)에 위치한 카메라(120)의 촬영 방향과 평행하며, 좌측 제3 지지대(110c)에 위치한 카메라(120)의 촬영 방향은 우측 제1 지지대(110d)에 위치한 카메라(120)의 촬영 방향과 평행하다. 각각의 카메라(120)는 일정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며, 촬영 영역(A)에 위치한 특정 대상(C)을 사각지대 없이 촬영한다. 특정 대상(C)이 촬영 영역(A)에 진입할 때는 복수의 카메라(120)는 진입 방향으로 회전하고, 특정 대상(C)이 촬영 영역(A)의 중앙에 위치할 때는 복수의 카메라(120)는 중앙 방향으로 회전하며, 특정 대상(C)이 촬영 영역(A)에서 진출할 때는 복수의 카메라(120)는 진출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카메라(120)가 특정 대상(C)이 촬영 영역(A)에서 위치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어안렌즈가 없이도 3D로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지면 장착용 카메라(125)를 나타낸다.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촬영 영역(A)의 중앙의 차량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지면 장착용 제1 카메라(125a), 중간에 위치하는 지면 장착용 제2 카메라(125b) 및 후방에 위치하는 지면 장착용 제3 카메라(125c)를 포함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정지한 차량의 외관을 촬영하기 위해 촬영 영역(A)의 좌우에 각각 3개의 지지대(110)를 구비하고, 각각의 지지대(110)는 2개의 카메라를 구비한다. 여기서, 촬영 영역(A)의 좌우에 각각 3개의 지지대(110)를 구비하고, 각각의 지지대(110)는 2개의 카메라를 구비하며, 추가적으로 좌측 제1 지지대(110a)와 우측 제1 지지대(110d)의 중간의 촬영 영역(A)의 지면에 지면 장착용 제1 카메라(125a)가 지면에 설치되고, 좌측 제2 지지대(110b)와 우측 제2 지지대(110e)의 중간의 촬영 영역(A)의 지면에 지면 장착용 제2 카메라(125b)가 지면에 설치되며, 좌측 제3 지지대(110c)와 우측 제3 지지대(110f)의 중간의 촬영 영역(A)의 지면에 지면 장착용 제3 카메라(125c)가 지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 영역(A)의 지면에 지면 장착용 카메라(125)를 설치하여 특정 대상(C)인 출입 차량의 하부까지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지면 장착용 제1 카메라(125a)의 측면에 제1 조명부, 지면 장착용 제2 카메라(125b)의 측면에 제2 조명부, 지면 장착용 제3 카메라(125c)의 측면에 제3 조명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 영역에 특정 대상이 진입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조명부 내지 제3 조명부의 조명은 켜지게 된다. 여기서, 특정 대상이 차량인 경우, 촬영 영역에서 차량의 중간 아래의 어두운 부분은 차량의 앞쪽 또는 뒷쪽 아래의 어두운 부분보다 더 조명을 밝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조명부의 조명은 제1 조명부 및 제3 조명부의 조명보다 밝게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면 장착용 카메라에 사용되는 광각 렌즈의 화각은 상기 지지대에 구비된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에 사용되는 광각 렌즈으 화각보다 더 넓은 것을 사용한다. 지면 장착용 카메라와 특정 대상의 거리는 지지대의 카메라와 특정 대상과의 거리보다 짧기 때문에 광각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정확한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지지대 및 카메라를 나타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상부 촬영용 카메라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며, 도 6(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지면 장착용 카메라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촬영 영역(A)에 정지해 있는 특정 대상(C)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게 되는데, 도 6(a)를 참조하면, 각각 지지대(110)에 2개의 카메라(12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촬영 영역(A)의 좌측에 위치한 좌측 지지대(111)의 상부와 상기 촬영 영역(A)의 우측에 위치한 우측 지지대(111)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 지지대(113)가 위치하여 상기 연결 지지대(113)의 중앙에는 특정 대상(C)을 촬영하기 위한 상부 촬영용 카메라(124)가 위치한다. 상기 상부 촬영용 카메라(124)는 상기 연결 지지대(11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3D 외관 관리 모듈은 상부 중앙 위치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중앙 위치 제어부는 상부 촬영용 카메라(124)에서 촬영된 영상에 의하여, 상기 촬영 영역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특정 대상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대상이 좌측에 위치하는 지지대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지지대에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상부 촬영용 카메라(124)를 우측에 위치하는 지지대를 향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특정 대상이 우측에 위치하는 지지대보다 좌측에 위치하는 지지대에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상부 촬영용 카메라(124)를 좌측에 위치하는 지지대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부 촬영용 카메라(124)는 특정 대상을 가운데에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서는 상부 촬영용 카메라(124)를 구비하여 특정 대상(C)인 출입 차량의 상부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촬영 영역(A)의 좌측에 위치한 좌측 지지대(110)와 상기 촬영 영역(A)의 우측에 위치한 우측 지지대(110)의 지면의 중앙에는 특정 대상(C)의 하부를 촬영하기 위한 지면 장착용 카메라(125)가 위치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도 6(a) 내지 도 6(c)의 각각의 구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3D 외관 관리 모듈(100)의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보조 지지대를 구비한 3D 외관 관리 모듈(100)의 개략도이다. 도 7 또는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3D 외관 관리 모듈(100)은 복수의 지지대(110), 복수의 카메라(120), 사이니지(130), 신호등(140) 및 모듈 제어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차량이 이동할 때에 사용할 수 있는 3D 외관 관리 모듈(100)을 나타내고 있다. 특정 대상(C)인 차량이 촬영 영역(A)에 정지해 있는 경우인 제1 실시예에서는 3개의 지지대(110)와 6개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촬영을 하였는데, 차량이 촬영 영역(A)에서 서서히 이동 중일 때는, 촬영 영역(A) 좌우에 각각 하나의 지지대(110)를 설치하고 각각의 지지대(110)에는 3개의 카메라(120)를 구비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6개의 카메라(120)로 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이동 중인 차량을 촬영한다. 제2 실시예의 지지대(110)의 수 및 카메라(120)의 수는 상기한 바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지지대(110)의 수 및 카메라(120)의 수를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지대(110)는 지면에 고정되는 메인 지지대(111) 및 메인 지지대(111)의 상부에 위치하는 보조 지지대(112)를 포함하며, 보조 지지대(112)는 메인 지지대(111)의 방향에 대하여 30도 내지 60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며, 메인 지지대(111)에 제1 카메라(121) 및 제2 카메라(122)를 구비되며, 보조 지지대(112)에 제3 카메라(123)가 구비된다. 촬영 영역(A)을 따라 이동 중인 차량의 외관을 사각지대 없이 촬영하기 위해서는 짧은 시간에 복수의 카메라로 차량의 외관을 모두 촬영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중인 차량의 상부를 좀더 높은 각도에서 촬영하기 위해 보조 지지대(112) 및 제3 카메라(123)를 구비한다. 즉, 메인 지지대(111)에 제1 카메라(121) 및 제2 카메라(122)가 위치하고, 제3 카메라(123)는 보조 지지대(112)에 설치된다. 여기서, 보조 지지대(112)는 메인 지지대(111)에 대해 30도 내지 60도를 기울어져 있고, 보조 지지대(112)의 각도는 차종에 따라 30도 내지 60도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메인 지지대(111)와 보조 지지대(112) 사이는 구동 모터가 연결된 힌지로 결합되어 모듈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지지대 및 카메라를 나타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보조 지지대를 구비한 것을 나타내고, 도 9(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상부 촬영용 카메라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며, 도 9(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지면 장착용 카메라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도 9(a)를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지지대(110)의 3개의 카메라가 설치된다. 도 9(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지지대(112)를 구비하며, 제1 카메라(123)는 보조 지지대(112)에 설치된다. 도 9(c)를 참조하면, 상기 촬영 영역(A)의 좌측에 위치한 좌측 지지대(110)의 메인 지지대(111)의 상부와 상기 촬영 영역(A)의 우측에 위치한 우측 지지대(110)의 메인 지지대(111)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 지지대(113)가 위치하며, 상기 연결 지지대(113)의 중앙에는 특정 대상(C)을 촬영하기 위한 상부 촬영용 카메라(124)가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촬영용 카메라(124)를 구비하여 특정 대상(C)인 차량의 상부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도 9(d)를 참조하면, 상기 촬영 영역(A)의 좌측에 위치한 좌측 지지대(110)와 상기 촬영 영역(A)의 우측에 위치한 우측 지지대(110)의 지면의 중앙에는 특정 대상(C)의 하부를 촬영하기 위한 지면 장착용 카메라(125)가 위치한다. 지면 장착용 카메라(125)는 어두운 차량의 하부를 용이하게 촬영하기 위해 차량 하부로 조명을 비추는 조명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도 9(a) 내지 도 9(d)의 각각의 구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영역(A)의 측면에는 사이니지(130) 또는 신호등(140)이 설치된다. 사이니지(130)는 촬영 영역(A)의 측면에 위치하는데, 특정 대상(C)인 출입 차량에 탑승 중인 운전자에게 촬영 진행 상황 및 지시 사항에 대한 설명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운전자는 사이니지(130)에 디스플레이되는 각 단계 별로 필요한 지시 사항을 사이니지(13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사이니지(130)는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또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신호등(140)은 사이니지(130)와 같이 촬영 영역(A)의 측면에 위치하는데, 특정 대상(C)인 차량에 탑승 중인 운전자에게 정지 또는 진행을 적색 또는 녹색의 신호로 알려준다. 본 발명에서는 사이니지(130) 또는 신호등(140)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모듈 제어부는 3D 외관 관리 모듈(100)의 지지대(110), 카메라, 사이니지(130) 및 신호등(140)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모듈 제어부는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듈 저장부 및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모듈 통신부를 포함한다. 모듈 제어부는 메인 지지대(111) 및 보조 지지대(112)의 각도를 조절하고, 촬영 영역(A)에 특정 대상(C)이 진입하면 카메라를 작동시키고 회전시킨다. 특정 대상(C)의 진출입을 인식하기 위해 모듈 제어부는 각각의 지지대(110)에 동작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센서에서 전송하는 신호에 의해 특정 대상(C)의 진출입 및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모듈 제어부는 사이니지(130) 또는 신호등(140)에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사이니지(130) 또는 신호등(140)의 출력을 제어한다. 모듈 제어부는 상기의 제어 명령을 처리하기 위해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롬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가 저장되는 구성이고, CPU는 롬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전자장치의 저장된 운영체제를 램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저장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램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처리 서버(200)는 3D 외관 관리 모듈(100)에서 촬영된 영상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3D 모델링을 완성한다. 3D 외관 관리 모듈(100)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는 처리 서버(200)로 전송되는데, 3D 외관 관리 모듈(100)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는 복수의 카메라(120)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로 3D 영상으로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3D 모델링 작업이 필요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처리 서버(200)의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처리 서버(200)는 상기 3D 외관 관리 모듈(100)에서 전송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210), 상기 서버 통신부(210)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서버 저장부(220),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차량의 차량 번호를 추출하는 번호 추출부(230),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해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여 인공지능에 의해 3D 모델링을 생성하는 3D 모델링부(240),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해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파노라마 영상부(250) 및 상기 3D 모델링부(240)에 의해 생성된 3D 모델링에 대해 디지털 트윈을 생성하는 디지털 트윈 생성부(260)를 포함한다.
서버 저장부(220)에는 복수의 카메라(1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카메라별로 시계열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3D 모델링부(240)에 의해 가공되어 3D 모델링이 생성된다. 또한, 번호 추출부(230)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차량 번호를 읽어 내어 차량 번호를 추출한다. 저장된 영상 데이터는 3D 영상은 아니기 때문에 3D 모델링부(240)는 영상 데이터에서 2D 이미지를 추출한다. 3D 모델링부(240)는 상기 서버 저장부(22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서 2D 이미지를 추출하는 2D 이미지 추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2D 추출부에서 추출된 이미지는 기학습된 내용에 의해 인공지능에 의해 2D 이미지로 3D 모델링을 생성하는 인공지능부를 구비한다. 인공지능부는 복수의 카메라(120)의 위치와 2D 이미지를 x, y, z 좌표에 매칭시켜 3D 모델링을 생성한다. 3D 모델링부(240)에서 생성된 3D 모델링 데이터에는 특정 대상(C)이 촬영 영역(A)에 출입한 출입 정보가 추가되는데, 출입 정보에는 출입한 시간이 정확이 표시된다. 또한, 생성된 3D 모델링은 디지털 트윈 생성부(260)에 의해 디지털 트윈이 생성된다. 디지털 트윈 생성부(260)는 특정 대상(C)인 출입 차량에 대해 인공지능에 의해 각각의 파트별로 인식하여 디지털 트윈을 생성한다. 디지털 트윈을 생성하면 사용자는 디지털 트윈을 통해 특정 파트의 손상 여부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처리 서버(200)는 생성된 3D 모델링 데이터, 디지털 트윈 데이터 및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를 네크워크(500)로 연결된 클라우딩 서버(300)에 전송한다. 또한, 처리 서버(200)는 3D 모델링이 완료되면 서버 통신부(210)를 통해 3D 외관 관리 모듈(100)의 모듈 통신부로 3D 모델링 완료 신호를 전송한다.
파노라마 영상부(250)는 영상 데이터에서 기반으로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여 개인용 단말 모듈(400)에 전송할 수 있다. 파노라마 영상부(250)는 복수의 카메라(120)에서 전송된 영상을 결합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개인용 단말 모듈(400)로 전송한다. 파노라마 영상부(250)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120)에서 촬영된 영상의 왜곡을 보정하는 영상 보정부, 상기 복수의 카메라(120)에서 촬영된 영상 중에서 겹치는 부분을 제거하는 영상 제거부 및 상기 영상 제거부에서 제거되지 않은 영상을 합쳐서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노라마 영상부(250)에서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을 통해 사용자는 특정 대상(A)에 대해 전체적인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파노라마 영상부(250)는 복수의 카메라(120)에서 전송된 영상을 보정, 제거, 편집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데, 사용자는 개인용 단말 모듈(400)을 통해 특정 대상(C)에 대한 파노라마 이미지를 수시로 참고하여 특정 대상(C)의 손상 여부를 파노라마 이미지와 비교할 수 있다.
다음으로, 클라우딩 서버(300)는 처리 서버(200)에서 생성된 3D 모델링 데이터, 디지털 트윈 데이터 및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개인용 단말 모듈(400)로 제공한다. 처리 서버(300)에서 처리된 3D 모델링 데이터, 디지털 트윈 데이터 및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는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 제공 또는 다양한 서비스 플랫폼과 연동을 위해 클라우딩 서버(300)로 전송된다. 또한, 클라우딩 서버(300)는 특정 대상(A)의 출입 정보가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 디지털 트윈 데이터 및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와 같이 저장되어 사용자는 클라우딩 서버(300)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요청하고 특정 대상(A)의 출입 정보를 같이 제공받을 수 있다. 클라우딩 서버(300)는 상기 처리 서버(200)에서 전송된 3D 모델링 데이터, 디지털 트윈 데이터 및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클라우드 저장부, 사용자 또는 서비스 플랫폼으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집하는 요청 수집부, 상기 요청 수집부에서 수집된 데이터 요청을 사용자 또는 서비스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처리 서버(200)에서 전송된 3D 모델링 데이터, 디지털 트윈 데이터 및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는 데이터 공유 및 데이터 제공을 위해 클라우드 저장부에 저장된다. 요청 수집부는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 또는 서비스 플랫폼으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집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요청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 또는 서비스 플랫폼에 대해서만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권한이 있는 사용자 또는 서비스 플랫폼의 데이터 요청에 대해서 데이터 제공부는 필요한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서비스 플랫폼에 제공한다.
다음으로, 개인용 단말 모듈(400)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클라우딩 서버(300)에서 완성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수신한다. 개인용 단말 모듈(400)은 클라우딩 서버(300)와 네크워크(500)로 연결되며,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다양한 휴대 가능한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개인용 단말 모듈(400)을 통해 3D 모델링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는 디지털 트윈부(260)에서 생성한 디지털 트윈을 수신하여 개인용 단말 모듈(400)을 통해 디지털 트윈을 구현하고 특정 대상(C)의 손상이나 파손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는 3D 모델링 데이터 요청시 출입 차량의 번호 정보를 같이 수신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3D 모델링부(240)에서 생성한 파노라마 영상을 클라우드 서버(300)에 요청하여 개인용 단말 모듈(400)로 수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500)는 3D 외관 관리 모듈(100), 처리 서버(200), 클라우딩 서버 및 개인용 단말 모듈(400) 상호 간의 데이터가 송수신되게 연결한다. 네크워크는 3D 외관 관리 모듈(100)의 모듈 통신부, 처리 서버의 서버 통신부(210) 및 개인용 단말 모듈(400)을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데,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500)가 이용될 수 있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5G 등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3D 모델링에 의한 데이터는 블록체인 모듈에 따라 상기 3D 모델링에 의한 데이터에서 인식된 정보가 NFT(Non-Fungible Token)화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정보의 검증 및 관련 정보의 전송은 행해지며, 상기 블록체인 모듈에서 정보의 입력, 상기 입력된 정보의 고유 코드 발급, 상기 입력된 정보의 권한 인증, 상기 입력된 정보의 결과 생성, 인증된 정보의 출력을 행하여져 개인용 단말 모듈로 전송될 수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리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리 방법은 하기의 6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단계(S10) : 특정 대상(C)이 촬영 영역(A)에 진입하는 단계
제2 단계(S20) : 촬영 영역(A)에서 특정 대상(C)이 정지 또는 이동하는 상태에서 3D 외관 관리 모듈(100)의 복수의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처리 서버(200)로 전송되는 단계
제3 단계(S30) : 처리 서버(200)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3D 모델링이 생성되는 단계
제4 단계(S40) : 특정 대상(C)이 촬영 영역(A)에서 나오는 단계
제5 단계(S50) : 제3 단계(S39)의 3D 모델링 데이터가 처리 서버(200)에서 클라우딩 서버(300)로 전송되는 단계
제6 단계(S60) : 클라우딩 서버(300)에 3D 모델링 데이터를 사용자가 요청하여 개인용 단말 모듈(400)로 전송받는 단계
제1 단계(S10)는 특정 대상(C)이 촬영 영역(A)에 진입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특정 대상(C)은 출입 차량, 사람 및 물품 중 하나일 수 있다. 차량의 경우, 운전자는 사이니지(130)에 표시되는 지시 사항과 또는 신호등(140)의 신호에 따라 이동 및 정지할 수 있다.
제2 단계(S20)는 특정 대상(C)이 정지 또는 이동 상태에서 3D 외관 관리 모듈(100)의 복수의 카메라(120)에 의해 특정 대상(C)의 외관이 촬영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네트워크(500)로 연결된 처리 서버(200)로 전송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촬영 영역(A)에 정지된 특정 대상(C)에 대해서는 촬영 영역(A)의 좌우에 3개씩 배치된 지지대(110)와 각각의 지지대(110)에 2개씩 설치된 카메라(120)에 의해 특정 대상(C)의 외관이 촬영되고, 이동 중인 특정 대상(C)에 대해서는 촬영 영역(A)의 좌우에 배치된 지지대(110)와 각각의 지지대(110)에 3개씩 설치된 카메라(120)에 의해 특정 대상(C)의 외관이 촬영된다.
제3 단계(S30)는 처리 서버(200)가 3D 외관 관리 모듈(100)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공지능에 의해 3D 모델링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복수의 카메라(120)에서 촬영된 각각의 영상은 3D 영상은 아니기 때문에 처리 서버(200)에서 3D 모델링에 필요한 이미지를 추출하여 인공지능에 의해 3D 모델링 작업을 진행하여 3D 모델링을 생성한다. 또한, 처리 서버(200)에서는 영상 데이터에서 차량의 번호를 추출하고, 3D 모델링 데이터에 차량의 출입 정보를 추가하며, 영상 데이터로부터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고, 3D 모델링에 의해 디지털 트윈을 생성한다.
제4 단계(S40)는 특정 대상(C)이 촬영 영역(A)에서 나오는 단계이다. 처리 서버(200)에서 3D 모델링이 생성되었으면, 처리 서버(200)는 3D 외관 관리 모듈(100)의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 사이니지(130) 또는 신호등(140)에 차량의 운전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지시 사항 또는 지시등을 표시한다.
제5 단계(S50)는 처리 서버(200)에 생성된 3D 모델링 데이터,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 및 디지털 트윈 데이터를 클라우딩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처리 서버(200)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사용자 또는 서비스 플랫폼에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가 저장 및 공유될 수 있는 클라우딩 서버(300)로 전송된다. 처리 서버(200)와 클라우딩 서버(300는 네트워크(500)로 연결된다.
제6 단계(S60)는 클라우딩 서버에(300) 3D 모델링 데이터를 사용자가 요청하여 개인용 단말 모듈(400)로 전송받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클라우딩 서버(300)에 3D 모델링 데이터,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 및 디지털 트윈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클라우딩 서버(300)는 사용자가 권한이 있는 사용자일 경우 사용자가 요청한 데이터를 사용자의 개인용 단말 모듈(400)로 전송한다. 사용자는 개인용 단말 모듈(400)을 통해 특정 대상(C)에 대한 디지털 트윈을 개인용 단말 모듈(400)에서 구현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개인용 단말 모듈(400)을 통해 구현된 디지털 트윈을 통해 특정 대상(C)에 대한 손상이나 파손 여부를 비교 및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3D 영상 외관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기존의 렌탈차를 사용할 때 자동차를 반납할 때 자동차가 흠집 등 외관 상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 처음부터 외관 상에 문제가 있었는지 아니면 렌탈한 다음에 외관 상에 문제가 있었는지를 파악하면 사용자에 의한 외관 상의 흠집인지 처음부터 생성된 흠집인지를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또한, 거리나 건물에 여러 개의 카메라(120)를 놓고 사람을 촬영하여 3차원 영상 정보를 가지게 되면, 현재 CCTV에서 얻어지는 영상 보다 더욱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3D 영상 외관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에서도 활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현재 아파트나 건물에 입출입할 때, CCTV에 의하여 번호판 인식으로 차량을 특정하고 있으나, 차량의 번호판 인식의 정보가 부정확한 경우, 차량의 외관을 통하여 특정 차량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차량의 번호가 등록된 경우, CCTV에 의하여 자동차의 입출입 등에 자동차의 일부 번호가 인식을 하지 못하여 자동차의 번호 전부를 인식한 경우에만 입출입 등의 관리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차량 번호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차량의 외관 정보가 입력되어 있으면, 3D 촬영으로 특정 차량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제조회사, 차량 기종, 색상 등의 정보 외에도 차량 내부의 인테리어에 관한 정보를 3D 카메라로 촬영하면 특정 차량으로 확인하여 등록된 정보와 매칭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3D 영상 외관 관리 시스템은 물류 유통에서도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택배 차량은 일정 장소와 시간에 물류를 운반하게 되며, 차량 외관 정보를 관리하여 번호판 정보와 함께 보다 정확한 택배 차량의 특정이 가능하여 진다
또한, 본 발명의 3D 영상 외관 관리 시스템은 대중 교통에 적용 가능하다. 현재 차도에는 1개의 카메라(12))로 동영상을 찍고 있으나, 3D 영상을 얻게 되면 차량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게 된다. 이렇게 얻어진 챠량의 외관 정보에서 관제 센터에서 빅데이터로 관리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 3D 외관 관리 모듈
110 : 지지대
110a : 좌측 제1 지지대
110b : 좌측 제2 지지대
110c : 좌측 제3 지지대
110d : 우측 제1 지지대
110e : 우측 제2 지지대
110f : 우측 제3 지지대
111 : 메인 지지대
112 : 보조 지지대
113 : 연결 지지대
120 : 카메라
120a : 좌측 제1 지지대 제1 카메라
120b : 좌측 제1 지지대 제2 카메라
120c : 좌측 제1 지지대 제3 카메라
120d : 좌측 제2 지지대 제1 카메라
120e : 좌측 제2 지지대 제2 카메라
120f : 좌측 제3 지지대 제1 카메라
120g : 좌측 제3 지지대 제2 카메라
120h : 우측 제1 지지대 제1 카메라
120i : 우측 제1 지지대 제2 카메라
120j : 우측 제1 지지대 제3 카메라
120k : 우측 제2 지지대 제1 카메라
120l : 우측 제2 지지대 제1 카메라
120m : 우측 제3 지지대 제1 카메라
120n : 우측 제3 지지대 제2 카메라
121 : 제1 카메라
122 : 제2 카메라
123 : 제3 카메라
124 : 상부 촬영용 카메라
124a : 제1 상부 촬영용 카메라
124b : 제2 상부 촬영용 카메라
124c : 제3 상부 촬영용 카메라
125 : 지면 장착용 카메라
125a : 지면 장착용 제1 카메라
125b : 지면 장착용 제2 카메라
125c : 지면 장착용 제3 카메라
130 : 사이니지
140 : 신호등
200 : 처리 서버
210 : 서버 통신부
220 : 서버 저장부
230 : 번호 추출부
240 : 3D 모델링부
250 ; 파노라마 영상부
260 : 디지털 트윈 생성부
300 : 클라우딩 서버
400 : 개인용 단말 모듈
500 : 네트워크
A : 촬영 영역
C : 특정 대상

Claims (10)

  1. 특정 대상인 차량에 대한 영상이 촬영되는 3D 외관 관리 모듈;
    상기 3D 외관 관리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의 데이터에 의해 3D 모델링이 생성되는 처리 서버;
    상기 처리 서버에서 생성된 3D 모델링 데이터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를 제공하는 클라우딩 서버;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상기 클라우딩 서버로부터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가 수신되는 개인용 단말 모듈; 및
    상기 3D 외관 관리 모듈, 처리 서버, 클라우딩 서버 및 개인용 단말 모듈 상호 간의 데이터가 송수신되게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3D 외관 관리 모듈은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설치된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하며, 상기 특정 대상이 촬영을 위해 위치하는 영역을 촬영 영역으로 정의하면,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상기 촬영 영역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상기 촬영 영역의 좌측에 3개, 우측에 3개를 구비하거나 상기 촬영 영역의 좌측에 2개, 우측에 2개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대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카메라는 제2 카메라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는 상기 지지대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촬영 영역의 중앙의 차량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지면 장착용 제1 카메라, 중간에 지면 장착용 제2 카메라, 및 후방에 지면 장착용 제3 카메라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지면 장착용 제1 카메라의 측면에 제1 조명부, 상기 지면 장착용 제2 카메라의 측면에 제2 조명부, 및 상기 지면 장착용 제3 카메라의 측면에 제3 조명부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제2 조명부의 조명은 제1 조명부 및 제3 조명부의 조명보다 밝으며, 상기 지면 장착용 카메라에 사용되는 광각 렌즈의 화각은 상기 지지대에 구비된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에 사용되는 광각 렌즈의 화각보다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상기 촬영 영역의 좌측에 3개, 우측에 3개를 구비하며,
    상기 좌측의 전방의 지지대의 카메라의 촬영 방향과 상기 우측 후방의 지지대의 카메라의 촬영 방향은 평행하거나 서로 30도 이내의 제1 각도에 위치하며,
    상기 좌측의 중간의 지지대의 카메라의 촬영 방향과 상기 우측 중간의 지지대의 카메라의 촬영 방향은 평행하거나 서로 30도 이내의 제2 각도에 위치하며,
    상기 좌측의 후방의 지지대의 카메라의 촬영 방향과 상기 우측 전방의 지지대의 카메라의 촬영 방향은 평행하거나 서로 30도 이내의 제3 각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D 외관 관리 모듈은 지지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대는 지면에 고정되는 메인 지지대 및 상기 메인 지지대의 상부에 위치하는 보조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지지대에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가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보조 지지대에 제3 카메라가 위치하며,
    상기 메인 지지대와 보조 지지대 사이에는 구동 모터가 연결된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메인 지지대의 방향에 대하여 상기 보조 지지대가 30도 내지 60도로 기울기가 제어되며,
    상기 기울기의 제어는 상기 차량의 높이에 따라 연동되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D 외관 관리 모듈은 지면에서 회전하는 회전판을 구비하여 상기 차량은 상기 회전판에서 회전하며, 상기 회전하는 차량의 외관을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구비된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가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 영역의 측면에 사이니지 또는 신호등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1, 5, 6, 8 및 9의 어느 한 항의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리 방법이며,
    특정 대상이 촬영 영역에 진입하는 제1 단계;
    상기 촬영 영역에서 상기 특정 대상이 정지 또는 이동하는 상태에서 3D 외관 관리 모듈의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처리 서버로 전송되는 제2 단계;
    상기 처리 서버에서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3D 모델링이 생성되는 제3 단계;
    상기 특정 대상이 촬영 영역에서 나오는 제4 단계;
    상기 제3 단계의 3D 모델링 데이터가 상기 처리 서버에서 클라우딩 서버로 전송되는 제5 단계; 및
    상기 클라우딩 서버에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를 사용자가 요청하여 개인용 단말 모듈로 전송받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리 방법.
KR1020230104054A 2023-08-09 2023-08-09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관리 방법 KR102663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4054A KR102663516B1 (ko) 2023-08-09 2023-08-09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4054A KR102663516B1 (ko) 2023-08-09 2023-08-09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3516B1 true KR102663516B1 (ko) 2024-05-07

Family

ID=91078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4054A KR102663516B1 (ko) 2023-08-09 2023-08-09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51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168Y1 (ko) * 2012-07-05 2012-08-28 이은주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KR101527816B1 (ko) 2014-11-03 2015-06-12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차량 외관 감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87603A (ko) * 2016-01-21 2017-07-31 주식회사 이지시스 고해상도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와 방법
KR102268558B1 (ko) * 2020-08-31 2021-06-22 김경은 차량 온라인 판매를 위한 자동 사진촬영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271592B1 (ko) * 2020-03-17 2021-06-30 송영민 차량 외관 검사 장치
KR20220142590A (ko) 2021-04-14 2022-10-24 팅크웨어(주) 차량 외관의 검출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20230004314A (ko) 2021-06-30 2023-01-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딥러닝 기반 외관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29429B1 (ko) 2020-09-02 2023-05-08 주식회사 디메타 (D-meta,corp.) 차량 관리 보조 방법 및 차량 관리 보조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168Y1 (ko) * 2012-07-05 2012-08-28 이은주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KR101527816B1 (ko) 2014-11-03 2015-06-12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차량 외관 감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87603A (ko) * 2016-01-21 2017-07-31 주식회사 이지시스 고해상도 영상 촬영 및 저장 장치와 방법
KR102271592B1 (ko) * 2020-03-17 2021-06-30 송영민 차량 외관 검사 장치
KR102268558B1 (ko) * 2020-08-31 2021-06-22 김경은 차량 온라인 판매를 위한 자동 사진촬영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구동방법
KR102529429B1 (ko) 2020-09-02 2023-05-08 주식회사 디메타 (D-meta,corp.) 차량 관리 보조 방법 및 차량 관리 보조 장치
KR20220142590A (ko) 2021-04-14 2022-10-24 팅크웨어(주) 차량 외관의 검출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20230004314A (ko) 2021-06-30 2023-01-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딥러닝 기반 외관 검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50572A1 (en) Positioning method, apparatus,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230336866A1 (en) Directed image capture
WO2021135879A1 (zh) 监控车辆数据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9165190B2 (en) 3D human pose and shape modeling
US8098290B2 (en) Multiple camera system for obtaining high resolution images of objects
US8964025B2 (en) Visual obstruction removal with image capture
US7720364B2 (en) Triggering data capture based on pointing direction
US10565733B1 (en) Virtual inductance loop
KR101238989B1 (ko) 어안카메라의 다면영상분석을 통한 주차가능면 실시간 감지시스템 및 그 감지방법
KR102181355B1 (ko) 인공지능 기반 차량 검색 시스템
US10217240B2 (en) Method and system to determine distance to an object in an image
WO2020211691A1 (zh) 车辆监控方法、装置、设备和系统
CN109656259A (zh) 一种用于确定目标对象的图像位置信息的方法与设备
KR20200094444A (ko) 지능형 영상 촬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객체 추적 장치 및 방법
CN114943773A (zh) 相机标定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04917957A (zh) 用于控制摄像机成像的设备及其系统
US9108571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age capture positioning using a pattern of invisible light
KR102663516B1 (ko) 3d 영상에 의한 외관 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관리 방법
EP4089574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gathering information of an object moving in an area of interest
KR20200124972A (ko) 도로 교통 위반 차량 단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교통 위반 차량 단속 방법
CN116912517B (zh) 相机视野边界的检测方法及装置
Trzeciak et al. ConSLAM: periodically collected real-world construction dataset for SLAM and progress monitoring
WO2023246720A1 (zh) 路侧停车检测方法、系统及电子设备
Alamry et al. Using single and multiple unmanned aerial vehicles for microscopic driver behaviour data collection at freeway interchange ramps
US20220292833A1 (en) Method and monitoring camera for handling video stre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