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697B1 -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697B1
KR100781697B1 KR1020060036487A KR20060036487A KR100781697B1 KR 100781697 B1 KR100781697 B1 KR 100781697B1 KR 1020060036487 A KR1020060036487 A KR 1020060036487A KR 20060036487 A KR20060036487 A KR 20060036487A KR 100781697 B1 KR100781697 B1 KR 100781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cess
terminal
reques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4694A (ko
Inventor
임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프라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프라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프라밸리
Priority to KR1020060036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697B1/ko
Publication of KR20070104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6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by counting the vehicles in a section of the road or in a parking area, i.e. comparing incoming count with outgoing cou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등의 영상촬영수단을 이용하여 입출차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영상인식 알고리즘에 의한 영상처리를 통해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해당 차량의 등록여부에 따라 출입여부를 관리함으로써, 주거자의 차량에 대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리함은 물론, 상기와 같은 영상인식을 통해 차량번호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에는, 홈네트워크의 댁내제어단말기 또는 관리자단말기를 통해 해당 차량의 출입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번호가 인식되지 못한 주거자의 차량 및 방문자 등의 차량의 입출차를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출입하는 차량에 대하여, 차량의 영상정보, 차량번호, 입차시간, 출차시간 등을 이력정보로 저장함으로써, 장기간 주차되는 차량의 감시와 더불어 도난사고를 방지하며, 주거자가 직접 방문자의 차량에 대한 출입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주거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영상촬영수단, 출입요청단말기, 관리서버, 댁내제어단말기, 관리자단말기

Description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entrance or exit of a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입출차 관리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관리서버를 나타낸 상세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입출차 관리 방법의 일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a는 도 3b의 개인정보확인요청 모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b는 도 3b의 댁내연결요청 모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c는 도 3b의 관리자연결요청 모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영상촬영수단 20 : 출입통제수단
30 : 출입요청단말기 40 : 댁내제어단말기
50 : 관리서버 51 : 영상인식부
52 : 등록정보저장부 53 : 등록확인부
54 : 요청확인부 55 : 처리부
56 : 제어부 57 : 이력정보저장부
60 : 관리자단말기
본 발명은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시스템에 있어, 영상인식과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영상인식 알고리즘에 의한 영상처리를 통해 입출차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입출차를 관리하고, 차량번호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에는 홈네트워크의 댁내제어단말기 또는 관리자단말기를 통해 해당 차량의 출입을 관리하는 것이다.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과 같이 다수의 차량이 출입하는 건물 등에는, 상기 차량의 주차를 위한 주차장이 있으며, 상기 주차장을 출입하는 차량은 소수의 관리자에 의해 출입이 관리되었다. 그러나, 소수의 관리자에 의해 출입하는 차량을 모두 관리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최근 상기와 같은 건물 등에는 출입하는 차량을 관리하는 주차관리시스템을 자동화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으며, 주로 RF(Radio Frequency)태그를 이용하는 방식, 하이패스(High Pass)에 의한 방식, 루프 센서에 의한 방식을 이용하여 관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RF태그를 이용하는 방식은 운전자가 RF판독기에 카드를 접근시켜야 하기 때문에, 신속한 입출차가 불가능함은 물론, 이용자(주거자)에게 이용상 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하이패스에 의한 방식은 차량에 하이패스장비를 장착해야 하므로, 이용자의 차량에 대한 추가적인 설치비용이 발생됨은 물론, 방문자는 하이패스가 없기 때문에 관리가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루프센서에 의한 방식은 루프센서를 땅에 매설해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구축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되며,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되어 수리를 해야할 경우, 주차장의 진입로 또는 진출로를 통제해야 하므로, 주차를 위한 차량의 출입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 등의 영상촬영수단을 이용하여 입출차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영상인식 알고리즘에 의한 영상처리를 통해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해당 차량의 등록여부에 따라 출입여부를 관리하는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영상인식을 통해 차량번호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에는 홈네트워크의 댁내제어단말기 또는 관리자단말기를 통해 해당 차량의 출입을 관리할 수 있는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출차 관리 방법은, a) 출입하는 차량의 영상정보를 전송받아 처리하여 차량번호를 영상인식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차량번호가 인식되면, 해당 차량의 등록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차량의 출입을 허가하거나 통제하며, 상기 차량번호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해당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 는 단계; c) 상기 차량의 출입이 통제되면 출입요청단말기를 통해 요청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d) 상기 요청신호에 따라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e) 상기 확인결과에 따라 해당 차량의 출입허가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출차 관리 방법은, 상기 차량의 출입이 허가되면, 해당 차량의 영상정보, 차량번호, 입차시간, 출차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력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출차 관리 시스템은, 입출차의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영상촬영수단;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통제수단; 탑승자로부터 요청신호를 입력받는 출입요청단말기; 댁내에 설치되며, 상기 영상정보를 출력하고,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를 입력받는 댁내제어단말기; 및 상기 영상촬영수단에서 촬영된 영상을 영상인식처리하고, 차량번호가 인식되면, 상기 차량이 등록된 차량인지를 판별하여, 등록된 차량일 경우 차량의 출입을 허가하며, 등록된 차량이 아닐 경우 또는 상기 차량번호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상기 출입요청단말기로 입력된 요청신호가 개인정보확인요청신호이면 상기 출입요청단말기로 입력되는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요청신호가 댁내연결요청신호이면 상기 댁내제어단말기로 상기 영상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댁내제어단말기로부터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신호를 전송받으며, 상기 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출입통제수단을 제어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출차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가 사용하며, 상기 영상 정보를 출력하고,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를 입력받는 관리자단말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요청신호가 관리자연결요청신호일 경우, 상기 영상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신호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영상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를 관리하며, 차량번호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에는 홈네트워크의 댁내제어단말기 또는 관리자단말기를 통해 해당 차량의 출입을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입출차 관리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입출차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등의 영상촬영수단(10)(10')과,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통제수단(20)(20'), 상기 영상촬영수단(10)(10')에서 촬영된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여 해당 차량의 출입허가여부를 결정한 후, 상기 출입통제수단(20)(20')을 제어하는 관리서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고, 해당 차량번호가 출입허가된 차량(주거자 또는 관리자의 차랑 등)의 차량번호일 경우, 상기 출입통제수단(20)(20')을 제어하여 차량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출입통제수단(20)(20')은 가로바가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는 차단기 등을 말한다.
한편, 출입이 허가된 차량 이외의 차량(예를 들어, 방문자의 차량, 택배차량 등)이 출입할 필요성이 있거나, 상기 차량의 번호판이 회손 등의 이유로 인해 인식되지 못할 경우에도 출입이 허가될 필요성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입출차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방문자가 댁내 또는 관리자를 호출할 수 있는 출입요청단말기(30)와, 상기 관리서버(50)로부터 입출차의 영상정보를 전송받는 댁내제어단말기(40) 및 관리자단말기(6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출입이 허가되지 못한 차량의 경우, 상기 출입요청단말기(30)를 통해 댁내의 주거자 또는 주차장 관리자 등에게 출입허가를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주거자의 경우에도 차량의 번호판이 정상적으로 인식되지 못할 경우, 상기 출입요청단말기(30)에 개인의 식별자(Identifier)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출입을 허가받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댁내제어단말기(40) 및 관리자단말기(60)는 홈네트워크에 포함된 것으로, 홈네트워크의 구성 등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됨은 당연하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입출차 관리 시스템의 관리서버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영상인식부(51), 등록정보저장부(52), 등록확인부(53), 요청확인부(54), 처리부(55), 제어부(56), 이력정보저장부(57)로 구성된다.
상기 영상인식부(51)는 상기 영상촬영수단(10)(10')으로부터 전송되는 차량의 영상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인식처리를 위한 알고리즘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것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영상정보는 동영상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등록정보저장부(52)는 출입이 허가된 차량의 등록정보가 저장된 것으로, 상기 등록정보는 주거자의 차량번호, 주거자 별로 부여된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포함한다.
상기 등록확인부(53)는 상기 영상인식부(51)에서 인식된 차량번호가 상기 등록정보저장부(52)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등록확인부(53)의 검색알고리즘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요청확인부(54)는 상기 출입요청단말기(30)(30')로부터 개인정보확인요청, 댁내연결요청, 관리자연결요청 중 어느 하나를 전송받고, 상기 전송받은 요청신호에 따라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요청신호가 개인정보확인요청일 경우, 상기 출입요청단말기(30)(30')로부터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전송받아 상기 등록정보저장부(52)에 저장된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차량의 출입허가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요청신호가 댁내연결요청 또는 관리자연결요청일 경우, 상기 댁내제어단말기(40) 또는 관리자단말기(60)로 해당 차량의 영상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댁내제어단말기(40) 또는 관리자단말기(60)로부터 확인신호를 수신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영상정보는 탑승자의 영상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처리부(54)는 상기 등록확인부(53)의 등록확인 결과 또는 요청확인부(54)의 출입허가 확인결과에 따라 해당 차량의 출입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해당 차량의 영상정보, 입차시간과 출차시간 등의 정보를 상기 이력정보저장부(57)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56)는 상기 처리부(54)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출 입통제수단(20)(20')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출입통제수단(20)(20')의 종류에 따라 달라짐은 당연하다.
상기 이력정보저장부(57)는 상기 처리부(54)로부터 전송된 차량의 영상정보, 차량번호, 입차시간과 출차시간 등의 영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등록정보저장부(52)와 하나의 구성으로 통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하기에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입출차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입차를 관리하는 방법으로 설명하며, 출차를 관리하는 방법은 입차를 관리하는 방법과 동일함은 당연하다.
입차를 하기 위한 차량이 출입통제수단(20)에 접근하여 정차하게 되면, 상기 영상촬영수단(10)은 상기 차량의 외형과 번호판을 촬영하여 상기 관리서버(50)의 영상인식부(51)로 전송한다(S101).
상기 영상인식부(51)는 전송된 영상을 영상인식처리하게 되며, 상기 영상인식처리 후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가 인식되면(S103), 인식된 차량번호를 상기 등록확인부(53)로 전송한다.
상기 등록확인부(53)는 전송받은 차량번호와 등록정보저장부(52)에 저장된 등록정보를 비교하며(S104), 비교 결과 상기 차량번호가 등록된 차량의 차량번호일 경우(S105), 해당 차량이 등록된 차량임을 상기 처리부(55)로 알려주며, 상기 처리부(55)는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 입차시간을 상기 이력정보저장부(57)에 저장하고, 해당 차량의 출입을 허가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56)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56)는 상기 출입통제수단(20)을 작동시켜 해당 차량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한 다(S106).
만약, 상기 영상인식부(51)를 통해 차량의 차량번호가 인식되지 못할 경우(S103) 또는 등록확인부(53)의 확인결과 등록된 차량이 아닐 경우(S105), 상기 처리부(55)는 해당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56)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출입요청단말기(30)는 안내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요청신호의 종류를 선택하는 기능키 및 식별자/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패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출입이 통제되면, 상기 출입요청단말기(30)의 스피커를 통해 출입이 통제됨을 알려주며, 상기 차량의 탑승자는 출입요청단말기(30)의 기능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승차하고 있는 차량의 출입허가를 요청할 수 있다(S108).
이때, 상기 탑승자가 주거자일 경우에는 상기 출입요청단말기(30)에 구성된 기능키 중, 개인정보확인을 요청하는 기능키를 선택하면, 상기 요청확인부(54)는 입력된 개인정보확인 요청신호에 따라 개인정보확인요청 모드를 수행(S109)하고, 댁내연결을 요청하는 기능키를 선택하면, 상기 요청확인부(54)는 입력된 댁내연결 요청신호에 따라 댁내연결요청 모드를 수행(S110)하며, 관리자연결을 요청하는 기능키를 선택하면, 상기 요청확인부(54)는 입력된 관리자연결 요청신호에 따라 관리자요청 모드를 수행(S111)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 각각의 모드에 대한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개인정보확인요청 모드일 경우, 탑승자가 상기 출입요청단말기(30)의 기능키를 선택한 후, 상기 출입요청단말기(3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안내음성에 따라, 상기 출입요청단말기(30)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입력된 식별자 및 비밀번호는 관리서버(50)의 요청확인부(54)로 전송되며(S201), 요청확인부(54)는 수신받은 상기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등록정보저장부(52)에 저장된 등록정보와 비교하게 된다(S202).
상기 요청확인부(54)는 상기 비교결과를 확인하여 상기 처리부(55)로 전송하며, 처리부(55)는 상기 확인결과가 등록된 차량으로 확인될 경우(S203), 해당 차량의 출입을 허가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56)로 전송하며(S204), 등록된 차량이 아닐 경우(S203), 해당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56)로 전송한다(S205).
만약, 탑승자가 상기 출입요청단말기(30)의 기능키 중, 댁내연결을 요청하는 기능키를 선택하여, 상기 댁내연결 요청신호가 상기 요청확인부(54)로 입력되면, 상기 요청확인부(54)는 댁내제어단말기(40)로 해당 차량의 영상정보를 송신하게 된다(S301). 여기서, 상기 영상정보는 영상인식부(51)로 입력되어 처리부(55)로 전송된 차량의 영상정보를 말하며, 당업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영상정보를 이력정보저장부(57)에 저장한 후, 상기 요청확인부(54)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댁내제어단말기(40)는 상기 영상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영상출력장치와, 해당 차량의 출입허가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버튼 및 안내음성 출력을 위한 스피커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요청확인부(54)로부터 상기 댁내제어단말기(40)로 영상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댁내제어단말기(40)는 스피커를 통해 주거자에게 영상정보의 수신을 알려주며, 상기 주거자는 상기 댁내제어단말기(40)의 영상출력장치에 출력된 영상을 확인하여, 해당 차량의 출입을 원할 경우, 해당 차량의 출입을 허가하기 위한 선택버튼을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댁내제어단말기(40)는 상기 출입요청단말기(30)와 음성통화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댁내제어단말기(40)로부터 상기 요청확인부(54)로 출입여부에 대한 선택신호가 전송되면(S304), 상기 요청확인부(54)는 상기 선택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선택신호가 출입허가일 경우(S305), 해당 차량의 출입을 허가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56)로 전송하며(S306), 상기 선택신호가 출입통제일 경우(S305), 해당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56)로 전송한다(S307). 또한, 상기 차량의 출입에 따른 이력정보는 이력정보저장부(57)에 저장된다.
만약, 댁내에 거주자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출입여부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수신받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요청확인부(54)는 설정시간(예를 들어, 1분)내에(S302) 상기 댁내제어단말기(40)로부터 선택신호가 입력되지 못할 경우(S304), 즉, 상기 선택신호가 입력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면(S302), 관리자연결요청 모드로 전환하게 된다(S303).
상기와 같이 설정시간이 경과되어 관리자연결요청 모드로 전환될 경우, 또는 탑승자가 상기 출입요청단말기(30)의 기능키 중, 관리자연결을 요청하는 기능키를 선택하여, 관리자연결요청 모드가 선택될 경우, 상기 요청확인부(54)는 관리자단말 기(60)로 해당 차량의 영상정보를 송신하게 된다(S401). 여기서, 상기 관리자단말기(60)는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한다.
상기 요청확인부(54)로부터 상기 관리자단말기(50)로 영상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관리자단말기(50)는 스피커를 통해 관리자에게 영상정보의 수신을 알려주며, 상기 관리자는 상기 관리자단말기(50)에 출력된 영상을 확인하여, 해당 차량의 출입을 원할 경우, 해당 차량의 출입을 허가하기 위한 선택버튼을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관리자단말기(50)는 출입요청단말기(30)와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은 당연하다.
상기 관리자단말기(50)로부터 상기 요청확인부(54)로 출입여부에 대한 선택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요청확인부(54)는 상기 선택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선택신호가 출입허가일 경우(S402), 해당 차량의 출입을 허가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56)로 전송하며(S403), 상기 선택신호가 출입통제일 경우(S402), 해당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56)로 전송한다(S404). 또한, 상기 차량의 출입에 따른 이력정보는 이력정보저장부(57)에 저장된다.
따라서,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여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를 관리함은 물론, 차량번호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에도,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를 관리할 수 있으며, 해당 차량의 이력정보를 저장하여 도난사고, 접촉사고 등의 사후관리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입출차 관리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다. 상기 주차시스템에서의 입출차 관리 방법에 개시된 알고리즘을 기초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기술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러한 주차시스템에서의 입출차 관리 방법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입출차 관리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부의 기능은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통합하여, 하나 이상의 모듈로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입출차 관리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등의 영상촬영수단을 이용하여 입출차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영상인식 알고리즘에 의한 영상처리를 통해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해당 차량의 등록여부에 따라 출입여부를 관리함으로써, 주거자의 차량에 대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영상인식을 통해 차량번호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에는, 기 구축된 홈네트워크의 댁내제어단말기 또는 관리자단말기를 통해 해당 차량의 출입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번호가 인식되지 못한 주거자의 차량 및 방문자 등의 차량의 입출차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출입하는 차량에 대하여, 차량의 영상정보, 차량번호, 입차시간, 출차시간 등을 이력정보로 저장함으로써, 장기간 주차되는 차량의 감시와 더불어 도난사고 또는 접촉사고 등에 대한 효과적인 처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주차관리시스템의 자동화가 가능해지므로, 인력의 낭비를 방지함은 물론, 주거자가 직접 방문자의 차량에 대한 출입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주거자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a) 출입하는 차량의 영상정보를 전송받아 처리하여 차량번호를 영상인식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차량번호가 인식되면, 해당 차량의 등록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차량의 출입을 허가하거나 통제하며, 상기 차량번호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해당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단계;
    c) 상기 차량의 출입이 통제되면 출입요청단말기를 통해 요청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d) 상기 요청신호에 따라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e) 상기 확인결과에 따라 해당 차량의 출입허가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차량의 출입이 허가되면, 해당 차량의 영상정보, 차량번호, 입차시간, 출차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력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차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요청신호가 개인정보확인요청일 경우, 상기 출입요청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식별자 및 비밀번호의 정당성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차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요청신호가 댁내연결요청일 경우, 상기 영상정보를 댁내에 설치된 댁내제어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댁내제어단말기로부터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를 전송받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차 관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를 댁내제어단말기로 전송한 후, 설정시간내에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가 확인되지 못할 경우, 상기 영상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를 전송받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차 관리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상기 요청신호가 관리자연결요청일 경우, 상기 영상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를 전송받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차 관리 방법.
  6. 삭제
  7. 입출차의 영상정보를 촬영하는 영상촬영수단;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통제수단;
    탑승자로부터 요청신호를 입력받는 출입요청단말기;
    댁내에 설치되며, 상기 영상정보를 출력하고,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를 입력받는 댁내제어단말기;
    관리자가 사용하며, 상기 영상정보를 출력하고,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를 입력받는 관리자단말기; 및
    상기 영상촬영수단에서 촬영된 영상을 영상인식처리하고, 차량번호가 인식되면, 상기 차량이 등록된 차량인지를 판별하여, 등록된 차량일 경우 차량의 출입을 허가하며, 등록된 차량이 아닐 경우 또는 상기 차량번호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상기 출입요청단말기로 입력된 요청신호가 개인정보확인요청신호이면 상기 출입요청단말기로 입력되는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요청신호가 댁내연결요청신호이면 상기 댁내제어단말기로 상기 영상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댁내제어단말기로부터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요청신호가 관리자연결요청신호일 경우, 상기 영상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신호를 전송받으며, 상기 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출입통제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출입이 허가되면, 해당 차량의 영상정보, 차량번호, 입차시간, 출차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력정보로 저 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입출차 관리 시스템.
  8. 영상촬영수단으로부터 출입하는 차량의 영상정보를 전송받아 영상인식처리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영상인식부;
    출입이 허가된 차량의 등록정보가 저장된 등록정보저장부;
    상기 영상인식부에서 인식된 차량번호와 등록정보저장부에 저장된 등록정보를 비교하여 해당 차량의 등록여부를 확인하는 등록확인부;
    출입요청단말기로부터 요청신호를 전송받아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를 확인하는 요청확인부;
    상기 등록확인부의 확인결과, 해당 차량이 등록된 차량일 경우, 해당 차량의 출입을 허가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이 등록되지 않은 차량일 경우, 상기 요청확인부의 확인결과에 따라 해당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처리부;
    상기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통제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출입하는 차량의 영상정보, 차량번호, 입차시간, 출차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력정보로 저장하는 이력정보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차 관리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확인부는,
    개인정보확인요청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출입요청단말기로부터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등록정보저장부에 저장된 등록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차 량의 출입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차 관리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확인부는,
    댁내연결요청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영상정보를 댁내제어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댁내제어단말기로부터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신호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차 관리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확인부는,
    상기 영상정보를 댁내제어단말기로 전송한 후, 설정시간내에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가 확인되지 못할 경우, 상기 영상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신호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입출차 관리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확인부는,
    관리자연결요청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영상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해당 차량의 출입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신호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차 관리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영상정보는 차량번호판영상정보와 더불어, 차량외형영상정보와 탑승자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차 관리 장치.
  14. 삭제
KR1020060036487A 2006-04-24 2006-04-24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781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487A KR100781697B1 (ko) 2006-04-24 2006-04-24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487A KR100781697B1 (ko) 2006-04-24 2006-04-24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694A KR20070104694A (ko) 2007-10-29
KR100781697B1 true KR100781697B1 (ko) 2007-12-03

Family

ID=38818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487A KR100781697B1 (ko) 2006-04-24 2006-04-24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6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636B1 (ko) 2008-02-26 2009-10-19 고창준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
KR200462168Y1 (ko) 2012-07-05 2012-08-28 이은주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578B1 (ko) * 2008-11-28 2009-07-29 주식회사로시스정보기술 차량번호인식을 통한 브이.아이.피 고객관리시스템
KR101045300B1 (ko) * 2009-01-22 2011-06-29 렉스젠(주)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차량 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13128B1 (ko) * 2011-11-25 2013-09-30 (주)엔퓨텍 폐쇄회로카메라와 차량번호 인식을 이용한 디지털 차량 살균 관제시스템
KR101505459B1 (ko) * 2013-02-05 2015-03-30 장보영 차량 위치 추적을 통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KR101522686B1 (ko) * 2014-07-25 2015-05-26 렉스젠(주) 차량의 출입 통제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055346A (ko) * 2014-11-07 2016-05-18 김성 차량내 모니터를 활용한 고객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5491718A (zh) * 2015-12-28 2016-04-13 生迪智慧科技有限公司 照明装置、机动车、机动车识别装置、系统及其方法
KR102006802B1 (ko) 2017-10-31 2019-08-05 주식회사 대영아이오티 공동주택의 차량 출입 관제시스템
CN110335494A (zh) * 2019-05-05 2019-10-15 广东白云学院 一种基于物联网的住宅小区停车安防系统
KR102559964B1 (ko) * 2021-07-14 2023-07-27 주식회사 회산 협소지역 진입로 번호인식 차량출입통제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676A (ko) * 2004-02-27 2005-08-31 공성필 무인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676A (ko) * 2004-02-27 2005-08-31 공성필 무인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636B1 (ko) 2008-02-26 2009-10-19 고창준 방문차량을 관리하는 제어 단말기 및 방법
KR200462168Y1 (ko) 2012-07-05 2012-08-28 이은주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694A (ko) 2007-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1697B1 (ko) 입출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268432B1 (ko) 스마트 커뮤니케이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인증 시스템 및방법
KR101995873B1 (ko) 클라우드 기반 공동주택 출입통제 및 스마트 관리 시스템
KR100757012B1 (ko) 거주자 지정 주차시스템 및 방법
US10657782B2 (en) Networked premises security
KR101690496B1 (ko) 방문 차량 예약용 주차관제 시스템 및 주차관제용 장치
KR102019097B1 (ko) 코드표시를 통한 차량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666531B1 (ko) 순찰 및 차량 관리 시스템
KR102033731B1 (ko) 네트워크를 통한 아파트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파트 관리 시스템
JP4458975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4909601B2 (ja) 入退場管理システム
JP5991798B2 (ja) 集合住宅の管理装置
CN107539274B (zh) 一种基于物联网的车辆防盗方法,及系统
KR102128329B1 (ko) 공동주택 주차 관리 시스템
US20120236147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entral station video alarm verification using an on site user video system
KR20220155815A (ko) 주차장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236581B1 (ko) 자가 인증 등록기능을 갖춘 보안 시스템
KR100787005B1 (ko) 카메라를 내장한 비접촉식 카드 리더기를 이용한 출입통제시스템과 출입통제 방법
KR20160010009A (ko) 원격 방문자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77651A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80200B1 (ko) 자동 경비 복구가 가능한 출입 통제 장치 및 방법
KR100686550B1 (ko) 주차방지장치를 갖는 지정주차관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06079236A (ja) 集合住宅における通行人管理システム
KR20220134182A (ko) 방문예약을 제공하는 주차 시스템 및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9093B1 (ko) 코드표시를 통한 차량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