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351B1 -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351B1
KR102640351B1 KR1020230159513A KR20230159513A KR102640351B1 KR 102640351 B1 KR102640351 B1 KR 102640351B1 KR 1020230159513 A KR1020230159513 A KR 1020230159513A KR 20230159513 A KR20230159513 A KR 20230159513A KR 102640351 B1 KR102640351 B1 KR 102640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lot
image
tailgating
licen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9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숭호
이원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Priority to KR1020230159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3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7Supervising of traffic control systems, e.g. by giving an alarm if two crossing streets have green light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장의 출입구에서 이루어지는 차량의 꼬리물기(tailgating)를 단속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에 접근하는 차량을 인식하는 차량인식모듈; 상기 주차장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에 대한 제1 영상을 실시간 촬영하는 제1 이미지 센서;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와 동일한 화각을 갖도록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차량 위주로 확대한 제2 영상을 실시간 촬영하는 제2 이미지 센서; 상기 제1,2 이미지 센서로부터 각각 촬영되는 상기 제1,2 영상을 녹화하면서 그 녹화시간을 동기화하여 저장하되,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영상분석을 통해 차량으로 판단되는 객체를 검지하고, 상기 검지된 횟수와 상기 인식된 횟수를 미리 설정된 시 구간별로 비교 측정한 카운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카운트 정보에서 상기 검지된 횟수가 더 많은 구간을 상기 꼬리물기가 의심되는 위반 구간으로 선정한 후, 상기 위반 구간에 대응하는 녹화시간의 제1,2 영상을 추출하여 상호 매칭시키면서 동시 재생하기 위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된 알림신호에 따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꼬리물기로 인한 차량 자체 및 차량번호 인식과정에서의 미인식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Parking lot-only tailgating enforcement system using dual video}
본 발명은 촬영 배율이 상이한 카메라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각각에서 촬영된 녹화영상을 동기화하면서 LPR을 통한 차량 인식횟수와, 영상분석을 통한 차량 인식횟수를 비교함으로써, 꼬리물기를 실시한 위반 상황은 물론, 위반 차량의 차량번호가 확보되도록 하고, 확보된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추후에도 경고가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을 통해 꼬리물기로 인한 차량 자체 및 차량번호 인식과정에서의 미인식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향상된 신뢰성의 시스템 확보를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주차장 운영 및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소득 증가로 인해 국내 자동차 등록대수가 1750만대에 이르고 있으며, 교통 흐름의 방해 요소 및 위험 요소를 제거하는 다양한 무인 단속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현재, 과속 단속, 신호 위반 등 대부분 교통 단속의 경우에는 무인 자동 단속 시스템이 개발되어 효과적으로 운용되고 있으나, 최근 단속을 시작한 교차로 꼬리물기 단속의 경우 단속 인력이 대상 지역에 캠코더나 디지털 카메라로 직접 현장단속을 함에 따라 단속 효과가 일시적이며 막대한 단속 인력의 소요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여기서 '꼬리 물기'란 교차로내 정체가 발생하면 녹색 신호라도 진입할 수 없으나 무리하게 진입하여 다른 교통에 방해를 주는 행위로 교차로 진입부에 설치된 정지선을 통과할 때부터 위반 행위에 해당되며, 이는 도로교통법 제25조 제4항 교차로 통행방법위반에 근거한다.
따라서, 교차로에서의 꼬리물기에 대한 무인 단속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차량의 증가 추세에 따라 주차난 역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증가하는 주차난을 해결하기 위해 앞으로도 많은 수의 주차장이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때, 주차장은 도로의 노면 또는 교통광장의 일정한 영역에 설치된 노상 주차장, 도로의 노면 또는 교통광장 외의 장소에 설치된 노외 주차장, 및 건축물 등 주차수요를 유발하는 시설에 부대하여 설치된 부설 주차장 등으로 분류될 수 있고, 이러한 주차장은 최근에는 입차에서 출차까지 인력 없이 운영 가능한 차량번호 인식 방식의 주차장 무인 정산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차장 무인 정산 시스템은 차량의 진입공간이 협소한 주차장에서 차량 출입 시의 회전으로 인한 번호판 꺾임 문제, 햇빛 반사, 번호판 훼손, 기계적인 오류 등으로 차량번호가 부분인식되거나 미인식되었을 경우, 입출차를 진행할 수 없고, 이때에는, 인터폰으로 관리자에게 문의를 하는 등 수동으로 처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주차장에서 적용되는 꼬리물기는 출입구에 설치된 정산단말, 차량번호 인식기(LPR - License Plate Recognition) 등을 앞 차량에 이어 빠르게 통과하면서, 자기장 변화로 차량 자체를 인식하는 검진 시스템에서 자기장 안정화를 위한 딜레이 간격이 좁아 꼬리물기를 실시하는 여러대의 차량을 한 대의 차량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경우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미지 촬영 및 분석을 통해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기에서도 차량 간 좁은 간격으로 인해 번호판이 가려져 차량번호가 미인식될 수 있는 경우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는 차량 출입현황에 혼란을 주거나, 주차에 따른 요금 부과를 회피하여 누락시키는 등 주차장 관리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불법적인 위반 사항에 해당할 수 있다.
예컨대, 입차정보가 아예 없는 경우, 주차요금을 정산하기가 곤란하여 수익금 누락이 발생되면서 주차장 운영에 비효율적인 문제를 초래하게 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1496호(발명의 명칭: 영상처리를 기반으로 한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촬영 배율이 상이한 카메라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각각에서 촬영된 녹화영상을 동기화하면서 LPR을 통한 차량 인식횟수와, 영상분석을 통한 차량 인식횟수를 비교함으로써, 꼬리물기를 실시한 위반 상황은 물론, 위반 차량의 차량번호가 확보되도록 하고, 확보된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추후에도 경고가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을 통해 꼬리물기로 인한 차량 자체 및 차량번호 인식과정에서의 미인식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향상된 신뢰성의 시스템 확보를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주차장 운영 및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은, 주차장의 출입구에서 이루어지는 차량의 꼬리물기(tailgating)를 단속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에 접근하는 차량을 인식하는 차량인식모듈; 상기 주차장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에 대한 제1 영상을 실시간 촬영하는 제1 이미지 센서;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와 동일한 화각을 갖도록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차량 위주로 확대한 제2 영상을 실시간 촬영하는 제2 이미지 센서; 상기 제1,2 이미지 센서로부터 각각 촬영되는 상기 제1,2 영상을 녹화하면서 그 녹화시간을 동기화하여 저장하되,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영상분석을 통해 차량으로 판단되는 객체를 검지하고, 상기 검지된 횟수와 상기 인식된 횟수를 미리 설정된 시 구간별로 비교 측정한 카운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카운트 정보에서 상기 검지된 횟수가 더 많은 구간을 상기 꼬리물기가 의심되는 위반 구간으로 선정한 후, 상기 위반 구간에 대응하는 녹화시간의 제1,2 영상을 추출하여 상호 매칭시키면서 동시 재생하기 위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된 알림신호에 따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상의 배율은, 적어도 둘 이상의 차량을 포함한 주변 배경까지 표시가능하게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2 영상의 배율은, 어느 하나의 차량이 확대되어 중심영역에 위치되면서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가 온전히 표시가능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반 구간에 대응하는 녹화시간의 제1 영상은, 상기 꼬리물기를 실시한 위반 차량의 대수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위반 구간에 대응하는 녹화시간의 제2 영상은, 상기 꼬리물기를 실시한 위반 차량의 차량번호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시 구간은, 5분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 이미지 센서는, 상기 출입구에 접근하는 차량의 측면 또는 정면에 대한 촬영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고, 그 설치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2300mm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반 구간에 대응하는 녹화시간의 제1,2 영상은, 실시간 자동으로 축적 및 저장되어 백업 자료로서, 별도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인식모듈은, 상기 출입구에서 상기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단바; 및 상기 차단바에 의해 진입이 차단된 차량의 차량번호 인식을 수행하는 차량번호 인식기(LPR - License Plate Recogni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주차장의 관리를 위한 관제서버와 네트워크 구축가능하게 설계되고,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주차장을 정기이용가능하도록 미리 등록된 차량, 상기 주차장 내 각 지정주차구역마다 미리 등록된 차량, 상기 꼬리물기를 상습적으로 실시하거나 지정주차구역 외 주차를 상습적으로 실시하거나 주차요금의 연체가 일정 기준액을 초과하여 블랙 리스트로 미리 등록된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등록차량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등록정보와, 상기 차단바의 개방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모듈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차량번호 인식기의 차량번호 인식을 통해 제공되는 차량번호 데이터와,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등록정보를 상호 매칭시키면서, 상기 매칭결과, 상기 진입이 차단된 차량이 상기 블랙 리스트로 등록된 등록차량인 경우, 미리 설정된 경고용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상기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은, 상기 차량인식모듈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되는 경고용 알림신호에 따라 상기 블랙 리스트로 등록된 등록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상황을 시청각적으로 알리는 알림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 이미지 센서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 또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은, 촬영 배율이 상이한 카메라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각각에서 촬영된 녹화영상을 동기화하면서 LPR을 통한 차량 인식횟수와, 영상분석을 통한 차량 인식횟수를 비교함으로써, 영상 꼬리물기를 실시한 위반 상황은 물론, 위반 차량의 차량번호가 확보되도록 하고, 확보된 차량번호를 기반으로 추후에도 경고가 이루어지도록 한 구성을 통해 꼬리물기로 인한 차량 자체 및 차량번호 인식과정에서의 미인식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향상된 신뢰성의 시스템 확보를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주차장 운영 및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상기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에서 제어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카운트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
도 3은 도 2에 따른 상기 카운트 정보에서 선정된 위반 구간에 대응하는 녹화시간의 제1 영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
도 4는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위반 구간에 대응하는 녹화시간의 제1,2 영상이 추출 및 상호 매칭되어 동시 재생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
도 5는 도 1에 따른 상기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에서 제1,2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는 구축환경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상도 및 이미지.
도 6은 도 5에 따른 상기 제1 이미지 센서를 차량의 정면에 대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제1 화각에서의 제1 영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
도 7은 도 5에 따른 상기 제1 이미지 센서를 차량의 측면에 대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제2 화각에서의 제1 영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
도 8은 도 6에 따른 제1 화각에서 위반 구간에 대응하는 녹화시간의 제1 영상에 대한 영상분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
도 9는 도 7에 따른 제2 화각에서 위반 구간에 대응하는 녹화시간의 제1 영상에 대한 영상분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상기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에서 제어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카운트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상기 카운트 정보에서 선정된 위반 구간에 대응하는 녹화시간의 제1 영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4는 상기 제어모듈에 의해 위반 구간에 대응하는 녹화시간의 제1,2 영상이 추출 및 상호 매칭되어 동시 재생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5는 도 1에 따른 상기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에서 제1,2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는 구축환경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상도 및 이미지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상기 제1 이미지 센서를 차량의 정면에 대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제1 화각에서의 제1 영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7은 도 5에 따른 상기 제1 이미지 센서를 차량의 측면에 대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설치한 제2 화각에서의 제1 영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8은 도 6에 따른 제1 화각에서 위반 구간에 대응하는 녹화시간의 제1 영상에 대한 영상분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이며, 도 9는 도 7에 따른 제2 화각에서 위반 구간에 대응하는 녹화시간의 제1 영상에 대한 영상분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100)은 주차장의 출입구에서 이루어지는 차량의 꼬리물기(tailgating)를 단속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인식모듈(110), 제1 이미지 센서(120), 제2 이미지 센서(130), 제어모듈(140) 및 디스플레이 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인식모듈(110)은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에 접근하는 차량을 인식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출입구에서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단바(111) 및 상기 차단바(111)에 의해 진입이 차단된 차량의 차량번호 인식을 수행하는 차량번호 인식기(LPR - License Plate Recognition, 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바(111)는 차량의 진입을 허용하고자 할 시에는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임의의 본체(미도시)로부터 세워지면서,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고자 할 시에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차량번호 인식기(112)는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공지의 차량번호 인식단말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인식모듈(110)은 상술한 차량번호 인식기(110)를 통한 차량번호 인식만이 아니라,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여 도체인 차량 자체를 인식하는 다양한 공지의 검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 센서(120)는 주차장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에 대한 제1 영상을 실시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 이미지 센서(130)는 제1 이미지 센서(120)와 동일한 화각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어느 하나의 차량 위주로 확대한 제2 영상을 실시간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1,2 이미지 센서(120, 130)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출입구에 접근하는 차량의 측면 또는 정면에 대한 촬영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그 설치 높이는 법정 최소 주차장 높이를 반영하여, 지면으로부터 2300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2 이미지 센서(120, 130)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 또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영상의 배율은 적어도 둘 이상의 차량을 포함한 주변 배경까지 표시가능하게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2 영상의 배율은 어느 하나의 차량이 확대되어 중심영역에 위치되면서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가 온전히 표시가능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40)은 제1,2 이미지 센서(120, 130)로부터 각각 촬영되는 상기 제1,2 영상을 녹화하면서 그 녹화시간을 동기화하여 저장하되,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영상분석을 통해 차량으로 판단되는 객체를 검지하고, 상기 검지된 횟수와 상기 인식된 횟수를 미리 설정된 시 구간별로 비교 측정한 카운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카운트 정보에서 상기 검지된 횟수가 더 많은 구간을 상기 꼬리물기가 의심되는 위반 구간으로 선정한 후, 상기 위반 구간에 대응하는 녹화시간의 제1,2 영상을 추출하여 상호 매칭시키면서 동시 재생하기 위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분석에는 미리 저장된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이 적용될 수 있고, 예컨대,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은 픽셀을 분석하여, 백터로 정의된 화소들의 물체에 대한 색상, 음영, 위치, 크기 등을 인식하거나, 물체의 경계선 및 윤곽선 등의 에지, 윤곽에 근사하는 선분, 곡선 등을 구하여 인식할 수도 있고, 상기 이미지 내에 존재하는 모서리점, 불변인 점, 또는 회전변환이나 크기 변화 등에 대하여 불변인 특징점을 이용한 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미지에 포함된 물체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로서,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에 따라 사람의 얼굴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 구간은 5분 간격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설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위반 구간에 대응하는 녹화시간의 제1 영상은 상기 꼬리물기를 실시한 위반 차량의 대수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위반 구간에 대응하는 녹화시간의 제2 영상은 상기 꼬리물기를 실시한 위반 차량의 차량번호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위반 구간에 대응하는 녹화시간의 제1,2 영상은 실시간 자동으로 축적 및 저장되어 백업 자료로서, 별도 보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모듈(140)은 NVR(Network Video Recorder)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제어모듈(140)로부터 출력된 알림신호에 따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50)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100)은 주차장의 관리를 위한 관제서버(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제어모듈(140)은 이러한 관제서버(160)와 네트워크 구축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제서버(160)는 주차장 운영 업체 서버 또는 국가 행정자치부 서버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주차장을 정기이용가능하도록 미리 등록된 차량, 상기 주차장 내 각 지정주차구역마다 미리 등록된 차량, 상기 꼬리물기를 상습적으로 실시하거나 지정주차구역 외 주차를 상습적으로 실시하거나 주차요금의 연체가 일정 기준액을 초과하여 블랙 리스트로 미리 등록된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등록차량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등록정보와, 상기 차단바(111)의 개방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모듈(140)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관제서버(160)는 주차장의 상황을 모니터링 가능한 운용환경을 제공하면서 운전자 및 관리자 간 소통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관리자 단말(미도시)을 통해 상기 차량번호 인식기(112)와의 음성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차량번호 인식기(112)에는 음성통신 S/W와, 마이크 기기, 스피커 기기 및 음성신호의 입출력/통신이 가능한 인터폰 등의 H/W가 기본적으로 탑재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모듈(140)은 차량번호 인식기(112)의 차량번호 인식을 통해 제공되는 차량번호 데이터와, 상기 관제서버(160)로부터 제공되는 등록정보를 상호 매칭시키면서, 상기 매칭결과, 상기 진입이 차단된 차량이 상기 블랙 리스트로 등록된 등록차량인 경우, 미리 설정된 경고용 알림신호를 더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100)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40)로부터 출력되는 경고용 알림신호에 따라 상기 블랙 리스트로 등록된 등록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상황을 시청각적으로 알리는 알림모듈(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알림모듈(170)은 차량인식모듈(1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구체적으로는, 청각적인 음향으로 알리도록 다양한 공지의 스피커 기기가 적용된 음향출력부 및 상기 음향출력부와 연동작용하면서 시각적인 빛으로 알리도록 다양한 공지의 발광기기가 적용된 발광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0 :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
110 : 차량인식모듈
111 : 차단바
112 : 차량번호 인식기
120 : 제1 이미지 센서
130 : 제2 이미지 센서
140 : 제어모듈
150 : 디스플레이 모듈
160 : 관제서버
170 : 알림모듈

Claims (10)

  1. 주차장의 출입구에서 이루어지는 차량의 꼬리물기(tailgating)를 단속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에 접근하는 차량을 인식하는 차량인식모듈;
    상기 주차장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에 대한 제1 영상을 실시간 촬영하는 제1 이미지 센서;
    상기 제1 이미지 센서와 동일한 화각을 갖도록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차량 위주로 확대한 제2 영상을 실시간 촬영하는 제2 이미지 센서;
    상기 제1,2 이미지 센서로부터 각각 촬영되는 상기 제1,2 영상을 녹화하면서 그 녹화시간을 동기화하여 저장하되, 상기 제1 영상에 대한 영상분석을 통해 차량으로 판단되는 객체를 검지하고, 상기 검지된 횟수와 상기 인식된 횟수를 미리 설정된 시 구간별로 비교 측정한 카운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카운트 정보에서 상기 검지된 횟수가 더 많은 구간을 상기 꼬리물기가 의심되는 위반 구간으로 선정한 후, 상기 위반 구간에 대응하는 녹화시간의 제1,2 영상을 추출하여 상호 매칭시키면서 동시 재생하기 위한 알림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된 알림신호에 따라 임의의 화면 상에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의 배율은,
    적어도 둘 이상의 차량을 포함한 주변 배경까지 표시가능하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영상의 배율은,
    어느 하나의 차량이 확대되어 중심영역에 위치되면서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가 온전히 표시가능하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반 구간에 대응하는 녹화시간의 제1 영상은,
    상기 꼬리물기를 실시한 위반 차량의 대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위반 구간에 대응하는 녹화시간의 제2 영상은,
    상기 꼬리물기를 실시한 위반 차량의 차량번호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 구간은,
    5분 간격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이미지 센서는,
    상기 출입구에 접근하는 차량의 정면 또는 측면에 대한 촬영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고, 그 설치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2300mm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위반 구간에 대응하는 녹화시간의 제1,2 영상은,
    실시간 자동으로 축적 및 저장되어 백업 자료로서, 별도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인식모듈은,
    상기 출입구에서 상기 차량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단바; 및
    상기 차단바에 의해 진입이 차단된 차량의 차량번호 인식을 수행하는 차량번호 인식기(LPR - License Plate Recogniti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주차장의 관리를 위한 관제서버와 네트워크 구축가능하게 설계되고,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주차장을 정기이용가능하도록 미리 등록된 차량, 상기 주차장 내 각 지정주차구역마다 미리 등록된 차량, 상기 꼬리물기를 상습적으로 실시하거나 지정주차구역 외 주차를 상습적으로 실시하거나 주차요금의 연체가 일정 기준액을 초과하여 블랙 리스트로 미리 등록된 차량 중 적어도 하나의 등록차량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등록정보와,
    상기 차단바의 개방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모듈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차량번호 인식기의 차량번호 인식을 통해 제공되는 차량번호 데이터와, 상기 관제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등록정보를 상호 매칭시키면서, 상기 매칭결과, 상기 진입이 차단된 차량이 상기 블랙 리스트로 등록된 등록차량인 경우, 미리 설정된 경고용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은,
    상기 차량인식모듈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출력되는 경고용 알림신호에 따라 상기 블랙 리스트로 등록된 등록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상황을 시청각적으로 알리는 알림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이미지 센서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 또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
KR1020230159513A 2023-11-16 2023-11-16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 KR102640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9513A KR102640351B1 (ko) 2023-11-16 2023-11-16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9513A KR102640351B1 (ko) 2023-11-16 2023-11-16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351B1 true KR102640351B1 (ko) 2024-02-28

Family

ID=90124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9513A KR102640351B1 (ko) 2023-11-16 2023-11-16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35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8146A (ja) * 2008-10-29 2010-05-13 Amano Corp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1041496B1 (ko) 2011-01-03 2011-06-16 주식회사 디아이랩 영상처리를 기반으로 한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03825B1 (ko) * 2014-03-11 2015-03-18 렉스젠(주) 다수 카메라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46477A (ko) * 2013-10-22 2015-04-30 (주)큐센텍 꼬리물기 차량 감지 시스템
KR102256802B1 (ko) * 2021-02-24 2021-05-27 (주)청명씨앤아이 반사경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주차 불법 꼬리물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51836A (ko) * 2021-10-12 2023-04-19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주차관제시 꼬리물기 상태에서의 차량번호 인식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8146A (ja) * 2008-10-29 2010-05-13 Amano Corp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1041496B1 (ko) 2011-01-03 2011-06-16 주식회사 디아이랩 영상처리를 기반으로 한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46477A (ko) * 2013-10-22 2015-04-30 (주)큐센텍 꼬리물기 차량 감지 시스템
KR101503825B1 (ko) * 2014-03-11 2015-03-18 렉스젠(주) 다수 카메라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2256802B1 (ko) * 2021-02-24 2021-05-27 (주)청명씨앤아이 반사경 카메라를 이용한 무인주차 불법 꼬리물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51836A (ko) * 2021-10-12 2023-04-19 주식회사 다래파크텍 주차관제시 꼬리물기 상태에서의 차량번호 인식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923B1 (ko) 다목적 통합 운영 cctv 시스템
KR101698026B1 (ko) 이동차량 추적에 의한 cctv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
US8284996B2 (en) Multiple object speed tracking system
DE102015200589B4 (de) Verbessertes videobasiertes System zur automatisierten Erkennung von Verstössen durch Parken in zweiter Reihe
KR101146583B1 (ko) 주차장 내 차량 인식용 스마트 컴퓨터 카메라
KR100835085B1 (ko) 무인교통사고기록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교통사고처리시스템 및 방법
US20060269105A1 (en) Methods, Apparatus and Products for Image Capture
CN108765975B (zh) 路侧垂直停车场管理系统及方法
KR20060116759A (ko) 어린이보호구역 통합 감시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049758B1 (ko) 어린이보호구역 통합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79039B1 (ko) 불법유턴 차량의 감시,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710173B (zh) 一种伪车牌识别系统和方法
CN111192462A (zh) 一种超限信息采集方法、装置、系统及超限检测设备
KR101660254B1 (ko) 주차차단기의 번호인식시스템
KR20200094818A (ko) 인공지능 기반 차량 검색 시스템
KR101671327B1 (ko) Led전광판과 음성통보 기능을 이용한 실시간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RU164432U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фотовидеофиксации нарушений не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преимущества пешеходу на нерегулируемом пешеходном переходе
KR102640351B1 (ko) 이중 영상을 이용한 주차장 전용 꼬리물기 단속 시스템
KR200462168Y1 (ko)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KR102484789B1 (ko) 무인단속 및 교통정보 수집 기능을 구비한 지능형 교차로 통합관리시스템
KR100444762B1 (ko) 도로 차선위반 감시, 추적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9766B1 (ko) 방범용 폐쇄회로 텔레비전과 연동하는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정차 단속 방법
KR101395095B1 (ko) 차량 번호 자동 판독 시스템
KR20210006031A (ko)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
CN114863690B (zh) 一种实线变道的识别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