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6031A -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6031A
KR20210006031A KR1020190072015A KR20190072015A KR20210006031A KR 20210006031 A KR20210006031 A KR 20210006031A KR 1020190072015 A KR1020190072015 A KR 1020190072015A KR 20190072015 A KR20190072015 A KR 20190072015A KR 20210006031 A KR20210006031 A KR 20210006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parking
vehicle
emergency bell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7288B1 (ko
Inventor
오석균
Original Assignee
(주)파크원에이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크원에이피에스 filed Critical (주)파크원에이피에스
Priority to KR1020190072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2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06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06K2209/15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카메라가 일체로 형성된 비상벨을 주차장의 기둥에 설치하여 카메라를 통해 모든 주차공간을 빈틈없이 촬영한 후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주차장에서 발생하는 접촉사고나 도난사고 등의 차량 사고는 물론 사람을 대상으로 한 강력 사고 등에도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하며, 효율적인 주차 공간 관리가 가능한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parking imaging guidance management, emergency bell and security integrated system}
본 발명은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카메라가 일체로 형성된 비상벨을 주차장의 기둥에 설치하여 카메라를 통해 모든 주차공간을 빈틈없이 촬영한 후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주차장에서 발생하는 접촉사고나 도난사고 등의 차량 사고는 물론 사람을 대상으로 한 강력 사고 등에도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하며, 효율적인 주차 공간 관리가 가능한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범용 비상벨 시스템은 우범 지역과 같이 특정 지역에 설치되어 현장에서 위험상황 발생 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특정 서버로 신호를 전송하여 관리자가 위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방범용 비상벨 시스템과 같이 설치되는 감시 카메라는 통상의 폴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관리자가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여 도움을 주거나, 이후 범죄자를 색출하는 데 이용되도록 범행 영상을 녹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감시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이 사용되고 있으나, 고성능의 IP 카메라가 사용되기도 한다.
특히, 증가하는 여성운전자와 건물내주차장의 대형화로 안전 사각지역이 많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아파트 및 빌딩건물의 건물내주차장은 새로운 범죄 현장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아파트 및 빌딩건물의 건물내주차장에서의 범죄 예방을 위해 안전 사각지대에 비상벨과 CCTV 카메라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주차 유도관제 시스템은 각 주차면 상단에 레이스웨이(거치대)를 설치하고 초음파 센서를 설치하여 각각의 주차면에 차량의 유무를 검지하여 카운터를 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처럼 종래의 CCTV는 설치 수량에 대한 한계가 있고, 기 설치된 CCTV도 주차장 통행로에 설치되기 때문에 차량의 통행에 대한 부분은 녹화가 되지만 실제 주차하면서 발생하는 사고에 대해서는 녹화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으며, 기둥들에 가려서 녹화되지 않는 사각 지대들 또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넓은 주자창에 설치된 비상벨 간의 간격이 일반적으로 15~20m 간격으로 멀기 때문에 비상 상황 발생 시 비상벨까지 도달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비상벨에 도달하기 전에 범죄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더하여, 종래의 주차 유도관제 시스템의 경우 각 주차면 상단에 설치된 초음파 센서가 단순히 물체의 유무만 감지할 뿐 실제 차량인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본인이 주차한 차량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어 넓은 주차장의 경우 주차 위치를 잊어버려 헤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영상유도관제가 시장의 호응을 얻고는 있으나 고가의 설치비용은 물론 고속도로 과속단속 카메라처럼 20m의 이격거리를 두고 천장에 설치되어야 차량의 번호판에 대한 상하 기울기를 보정할 수 있는데, 주차장의 특성상 최대 6m의 이격거리만 확보할 수 있다 보니 번호판의 좌우 기울기는 보정이 가능하나 상하의 기울기를 보정하는데 한계가 있어 차량번호 인식률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주차 영상유도관제 시스템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655839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카메라가 일체로 형성된 비상벨을 주차장의 기둥에 설치하여 카메라를 통해 모든 주차공간을 빈틈없이 촬영한 후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주차장에서 발생하는 접촉사고나 도난사고 등의 차량 사고는 물론 사람을 대상으로 한 강력 사고 등에도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하며, 효율적인 주차 공간 관리가 가능한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은 비상 상황 발생 시 신고자가 조작하여 비상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비상버튼부; 평상시에는 주차 공간의 주차 가능 여부를 표시하고 비상시 상기 비상버튼부가 조작되면 적색-녹색-청색 순으로 빠르게 점멸하도록 구성되는 비상경광등; 비상 시 신고자에 의해 상기 비상버튼부가 조작되면 관리자와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음성통화부; 주차장의 각 주차공간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카메라 일체형 비상벨; 및 상기 비상벨의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모든 영상을 24시간 저장하는 NVR 녹화장치; 상기 NVR 녹화장치에서 캡쳐한 영상을 수신 받아 주차된 각 차량이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영상 분석 서버; 상기 영상 분석 서버로부터 수신 받은 차량번호 인식 정보를 주차장 배치도면과 연동시켜 주차장의 주차 공간 상태를 표시하는 유도관제 서버; 상기 비상버튼부가 작동된 경우 상기 비상벨로부터 비상 신호를 수신 받아 신고자와 관리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상벨 서버;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관제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영상 분석 서버는 각각의 상기 카메라 일체형 비상벨이 촬영한 영상들에서 중앙의 4대의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함으로써 주차장의 주차된 모든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NVR 녹화장치는 상기 영상 분석 서버에서 인식된 차량번호 정보를 수신 받아 해당 차량번호의 녹화영상과 매칭 하여 저장함으로써 영상 검색 시 차량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차량이 주차공간에 주차하고 난 뒤 차량번호가 추출된 시점부터의 영상을 바로 검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NVR 녹화장치는 상기 비상버튼부가 조작되어 상기 비상벨 서버에 비상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비상버튼부가 눌리기 이전 30초부터 통화가 끝난 후 30초 동안 상기 비상벨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별도로 자동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은 카메라가 일체로 형성된 비상벨을 주차장의 각 기둥에 설치하여 카메라를 통해 모든 주차공간을 빈틈없이 촬영한 후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주차장에서 발생하는 접촉사고나 도난사고 등의 차량 사고는 물론 사람을 대상으로 한 강력 사고 등에도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하며, 효율적인 주차 공간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기둥에 설치된 비상벨의 카메라를 통해 카메라 1개당 좌우 4대의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으며, 좌우측 기둥에 설치된 비상벨의 카메라를 통해 교차 녹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주차장의 모든 차량의 차량번호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어, 주차장 각 층 입구에 설치된 키오스크를 통해 차량의 주차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인식된 차량번호를 녹화영상과 매칭 하여 저장함으로써 차량번호 입력을 통해 찾고자 하는 영상을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차장의 각각의 기둥에 사람키 높이 이하의 위치에 카메라 일체형 비상벨을 설치하여 차량의 맞은편 정면에서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기 때문에 차량번호판이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로 촬영한 영상을 토대로 차량번호 인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차량번호 인식률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영상유도관제의 경우 천장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을 토대로 차량번호 인식 작업을 수행하였는데, 이러한 경우 차량번호판의 상하 방향 기울기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20m의 이격거리를 두고 카메라를 천장에 설치해야만 하나, 면적이 한정되어 있는 주차장의 특성상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가 없어 차량번호판의 상하 방향 기울기를 보정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차량번호 인식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주차장의 기둥에 사람키 높이 이하의 위치에 카메라 일체형 비상벨을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번호판을 정면에서 촬영하여 차량번호판이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로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차량번호 인식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차량번호 인식률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각 기둥에 설치된 비상벨의 카메라를 통해 자동차의 전면은 물론 측면과 뒷면까지 모두 촬영 및 저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동차 관련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비상호출 버튼이 눌렸을 경우 해당 비상호출 버튼이 눌리기 이전 30초부터 신고자와 관리자 간의 통화가 끝난 후 30초 동안 해당 비상벨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별도로 자동 저장하여 비상호출 버튼이 눌린 당시의 전후 상황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비상호출 버튼이 눌린 해당 비상벨을 포함하여 전후좌우의 기둥에 설치된 비상벨의 카메라를 통해 검출된 총 20대의 차량번호 및 차량번호가 인식된 뒤의 영상을 별도로 저장하여 비상벨의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번호를 통해 다양한 각도의 영상을 확보하여 사고 당시 상황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영상 판독을 통해 주차공간에 자동차가 주차된 경우를 정확하게 판별하여 유도관제서버에서 주차장 배치도면과 연동하여 적색과 녹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정확하고 신속한 주차 영상유도관제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에서 카메라가 일체로 형성된 비상벨의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에서 비상벨에 일체로 형성된 카메라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에서 카메라가 일체로 형성된 비상벨의 개략도이고, 도 3 내지 도 8은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에서 비상벨에 일체로 형성된 카메라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은 관제실(10), 메인 허브(20), 층별 주차 안내전광판(30), 입구 주차 안내전광판(40), 차량위치 확인용 키오스크(60) 및 카메라 일체형 비상벨(5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메인 허브(20)는 후술할 관제실(10)의 각 구성들과 층별 주차 안내전광판(30), 입구 주차 안내전광판(40) 및 복수의 POE 허브(21)와 TCP/IP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카메라 일체형 비상벨(50)은 주차장의 주차공간에 있는 각각의 기둥에 설치되어 PoE 허브(21)를 통해 메인 허브(20)와 연결되어 관제실(10)의 각 구성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전원을 공급받게 되며, 음성통화부(51), 카메라(52), 비상버튼부(53) 및 비상경광등(54)를 포함한다.
비상버튼부(53)는 비상 상황 발생 시 신고자가 조작하여 관제실(10)로 비상 신호를 보내는 구성으로, 신고자가 위치 파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비상버튼부(53) 주변으로 적색 LED가 형성된다.
비상경광등(54)은 RGB형식의 LED조명으로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해당 기둥의 3개의 주차 공간 중 빈 공간이 있을 경우에는 녹색으로 점등되고, 빈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적색으로 점등되며, 비상 시 신고자에 의해 비상버튼부(53)가 조작된 경우에는 적색-녹색-청색 순으로 빠르게 점멸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카메라 일체형 비상벨(50)의 하단에만 비상경광등(54)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카메라 일체형 비상벨(50)의 상단에만 형성하거나, 상단과 하단에 모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통화부(51)는 비상 시 신고자에 의해 비상버튼부(53)가 조작되어 관제실(10)로 비상 신호가 보내졌을 때 관제실(10)의 관리자와 신고자 간에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관리자와 신고자 간에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스피커와 마이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비상버튼부(53)가 조작된 후 관제실(10)의 관리자와 통화가 시작되기 이전까지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된다.
카메라(52)는 주차장의 각 기둥에 설치된 비상벨(50)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주차공간을 촬영하는 구성으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카메라(52)는 전방의 총 6개의 주차공간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후술할 관제실(10)의 NVR 녹화장치(11)로 송신한다. 이때 카메라(52)의 전방 촬영 범위(각도)는 주차장의 형태(주차장 거리, 주차 폭 등)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관제실(10)은 메인 허브(20) 및 POE 허브(21)를 통해 카메라 일체형 비상벨(50)로부터 영상, 비상 신호 등을 전송 받아 영상 저장 및 분석, 차량 주차 관제 등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NVR 녹화장치(11), 유도관제 서버(12), 영상 분석 서버(13) 및 비상벨 서버(14)를 포함한다.
NVR 녹화장치(11)는 카메라 일체형 비상벨(50)로부터 주차장 감시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모든 영상을 24시간 저장하는 구성으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카메라 일체형 비상벨(5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구성(모니터, RTSP 클라이언트를 통해 실시간 영상을 모니터로 디스플레이 하는 기술 등의 공지기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NVR 녹화장치(11)는 각각의 기둥에 설치된 카메라 일체형 비상벨(5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30초에 1번씩 캡쳐 하여 영상 분석 서버(13)로 송신하고, 영상 분석 서버(13)에서 인식된 차량번호 정보를 수신 받아 해당 차량번호의 녹화영상과 매칭 하여 저장하게 되며, 이에 따라 영상 검색 시 차량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차량이 주차공간에 주차하고 난 뒤 차량번호가 추출된 시점부터의 영상을 바로 검색하여 불러올 수 있다.
또한, 비상버튼부(53)가 조작되어 비상벨 서버(14)에 비상 신호가 수신된 경우 해당 비상버튼부(53)가 눌리기 이전 30초부터 관리자와 통화가 끝난 후 30초 동안(비상벨 서버(14)는 통화가 끝난 후 비상 신호를 NVR 녹화장치(11)로 전송함) 해당 비상벨(50)의 카메라(52)에서 촬영된 영상을 별도로 자동 저장하여 비상버튼부(53)가 눌린 당시의 전후 상황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비상버튼부(53)가 눌린 해당 비상벨(50)을 포함하여 전후좌우의 기둥에 설치된 비상벨(50)의 카메라(52)를 통해 검출된 총 20대의 차량번호 및 차량번호가 인식된 뒤의 영상을 별도로 저장하여 비상벨(50)의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번호를 통해 다양한 각도의 영상을 확보하여 사고 당시 상황을 정확하게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유도관제 서버(12)는 영상 분석 서버(13)로부터 수신 받은 차량번호 인식 정보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주차장 배치도면과 연동시켜서 모니터(미도시) 화면에 주차중일 경우 "적색", 빈자리일 경우 "녹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전체 주차장의 주차 공간 상태를 한눈에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영상 분석 서버(13)는 NVR 녹화장치(11)에서 캡쳐한 영상을 수신 받아 주차된 각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주차공간에 실제로 차량이 주차되었는지를 판별하는 구성으로,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카메라 일체형 비상벨(50)의 최대 촬영 범위인 6대의 차량 중 양 끝의 2대는 차량번호 인식 오류가 발생할 수가 있기 때문에 중앙의 4대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게 되며 차량번호 인식 시 먼저 NVR 녹화장치(11)로부터 수신 받은 캡쳐된 화면에서 미리 지정된 인식범위(중앙의 4대 차량, 도 4의 청색박스)를 추출하여 2배로 확대한 후 미리 설정된 차량번호 인식 영역(도 5 내지 도 8의 빨간 박스)을 옮겨가면서 순차적으로 한 대씩 차량 번호를 인식하게 된다. 이때, 좌측 첫 번째 차량의 차량번호부터 순차적으로 차량 번호를 인식하게 되고 인식이 완료되면 차량번호 인식 영역이 자동으로 다음 차량으로 이동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게 되며, 주차장의 형태(주차장 거리, 주차 폭 등)에 따라 인식범위(도 4의 청색박스) 및 차량번호 인식 영역(도 5 내지 도 8의 빨간 박스)을 다양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차량번호 인식 영역의 이동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며,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카메라 일체형 비상벨(50)은 좌우측의 인접 비상벨(50)간에 촬영하는 범위가 서로 교차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각각의 비상벨(50)의 카메라(52)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정면의 4대만 차량번호를 인식해도 주차 공간에 주차된 전체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비상벨 서버(14)는 비상버튼부(53)가 작동된 경우 비상벨(50)로부터 비상 신호를 수신 받으면 자동으로 해당 비상벨(50)과 통화할 수 있도록 통신 장치(미도시)를 제어하여 신속하게 신고자와 관리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후, 통화가 끝나는 즉시 NVR 녹화장치(11)에 비상 신호를 송신한다.
입구 주차 안내전광판(40)은 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되어 유도관제 서버(12)에서 수신된 주차 공간 상태 정보를 통해 각 층별 빈 주차공간을 표시하여 운전자가 몇 층에 주차할지를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층별 주차 안내전광판(30)은 각 층별 주차장 입구에 설치되어 유도관제 서버(12)에서 수신된 주차 공간 상태 정보를 통해 현재 각 층의 주차가능 공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 위치확인용 키오스크(60)는 주차장의 각 층 출입구에 설치되어 본인의 차량번호 4자리를 입력하면 해당 번호의 리스트를 띄우고, 본인의 차량을 선택하면 현재 위치에서 주차된 위치까지의 동선을 화살표로 화면상에 표시하여 본인의 차량의 주차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관제실(10)의 각 구성과, 층별 주차 안내전광판(30), 입구 주차 안내전광판(40) 및 카메라 일체형 비상벨(50)은 각각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신 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송수신부(미도시) 및 각 구성 요소들의 상태에 맞는 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의 운용방법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주차장의 주차공간에 있는 각각의 기둥에 카메라 일체형 비상벨(50)을 설치하면 비상벨(50)은 주차장의 모든 주차공간을 촬영한 영상을 POE 허브(21) 및 메인 허브(20)를 통해 실시간으로 NVR 녹화장치(11)로 송신하게 되고, NVR 녹화장치(11)는 수신 받은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함과 동시에 모든 영상을 24시간 저장하게 된다. 또한, NVR 녹화장치(11)는 수신된 영상을 30초에 1번씩 캡쳐 하여 영상 분석 서버(13)로 송신하고, 영상 분석 서버(13)는 수신 받은 캡쳐 화면에서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주차구역에 실제로 차량이 주차되었는지를 판별함과 동시에 주차구역에 주차된 모든 차량의 차량번호를 빠짐없이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비상벨(50)은 중앙의 6대의 차량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며 하나의 비상벨(50)은 좌우의 비상벨(50)과 2대의 차량을 교차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고하면 2번 기둥에 설치된 비상벨(50)은 정면의 6대의 차량을 촬영할 수 있으며 좌우의 1, 3번 기둥에 설치된 비상벨(50)은 2번 기둥에 설치된 비상벨(50)이 촬영하고 있는 6대의 차량 중 좌우 끝의 2대 차량을 교차하여 촬영하게 된다.
이에 따라, 2번 기둥에 설치된 비상벨(50)에서 6개의 차량에 대해 촬영한 영상 중 좌우 끝의 2대 차량을 제외한 중앙의 4대 차량에 대해서만 차량번호 인식을 수행하여도 교차 촬영하고 있는 좌우 1, 3 번 기둥에 설치된 비상벨(50)에서 촬영된 6개의 차량에 대한 영상 중 중앙의 4대에 대한 차량 번호 인식을 수행하게 되면 주차된 모든 차량에 대한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게 되며, 각 기둥에 설치된 비상벨(50)의 카메라(52)를 통해 자동차의 전면은 물론 측면과 뒷면까지 모두 촬영 및 저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동차 관련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NVR 녹화장치(11)는 영상 분석 서버(13)에서 인식된 차량번호 정보를 수신 받아 해당 차량번호의 녹화영상과 매칭 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영상 검색 시 차량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차량이 주차공간에 주차하고 난 뒤 차량번호가 추출된 시점부터의 영상을 바로 검색하여 불러올 수 있다.
유도관제 서버(12)는 영상 분석 서버(13)로부터 수신 받은 차량번호 인식 정보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주차장 배치도면과 연동시켜서 모니터(미도시) 화면에 주차중일 경우 "적색", 빈자리일 경우 "녹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전체 주차장의 주차 공간 상태를 한눈에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각각의 비상벨(50)은 유도관제 서버(12)로부터 주차 공간 상태 정보를 수신 받아 비상경광등(54)의 점등을 제어한다.
또한, 유도관제 서버(12)는 주차 공간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입구 주차 안내전광판(40) 및 층별 주차 안내전광판(30)으로 송신하여 입구 및 각 층별로 주차가능 공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 신고자에 의해 비상버튼부(53)의 조작이 이루어지게 되면 비상벨(50)의 비상버튼부(53)가 적색-녹색-청색 순으로 빠르게 점멸함과 동시에 음성통화부(51)에서 경고음을 발생시키고 비상 신호를 비상벨 서버(14)로 송신하게 된다.
비상벨 서버(14)에서 비상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자동으로 해당 비상벨(50)과 통화할 수 있도록 통신 장치(미도시)를 제어하여 신속하게 신고자와 관리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후 통화가 끝나는 즉시 비상 신호를 NVR 녹화장치(11)에 송신하게 된다.
NVR 녹화장치(11)는 비상 신호를 수신 받는 즉시 해당 비상버튼부(53)가 눌리기 이전 30초부터 신고자와 관리자 간의 통화가 끝난 후 30초 동안 해당 비상벨(50)의 카메라(52)에서 촬영된 영상을 별도로 자동 저장하여 비상버튼부(53)가 눌린 당시의 전후 상황을 신속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상벨 서버(14)는 비상벨(50)로부터 비상 신호를 수신 받는 즉시 NVR 녹화장치(11)로 비상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관리자와 신고자 간의 통화가 끝나는 즉시 비상 신호를 NVR 녹화장치(11)에 송신하기 때문에 NVR 녹화장치(11)가 비상 신호를 수신 받은 시간이 통화가 끝난 시간이 되며, 이와 함께 비상벨 서버(14)는 비상벨(50)로부터 비상 신호를 처음 수신 받은 시간 정보도 함께 송신한다. 이에 따라 NVR 녹화장치(11)는 수신 받은 정보를 통해 비상벨(50)의 비상버튼부(53)가 눌린 시각을 파악할 수 있음과 동시에 통화가 끝난 시각도 함께 확인이 가능하며, 이러한 정보를 통해 비상버튼부(53)가 눌리기 이전 30초부터 관리자와 통화가 끝난 후 30초 동안 해당 비상벨(50)의 카메라(52)에서 촬영된 영상을 별도로 자동 저장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NVR 녹화장치(11)는 비상버튼부(53)가 눌린 해당 비상벨(50)을 포함하여 전후좌우의 기둥에 설치된 비상벨(50)의 카메라(52)를 통해 검출된 총 20대의 차량번호 및 차량번호가 인식된 뒤의 영상을 별도로 저장하여 비상벨(50)의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번호를 통해 다양한 각도의 영상을 확보하여 사고 당시 상황을 정확하게 분석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의 8번 기둥에 설치된 비상벨(50)의 비상버튼부(53)가 조작된 경우 8번 기둥에 설치된 비상벨(50)의 카메라(52)를 통해 검출된 4대의 차량번호와 전후좌우의 11, 2, 7, 9번 기둥에 설치된 비상벨(50)의 카메라(52)를 통해 검출된 16대의 차량번호를 더하여 검출된 총 20대의 차량번호와 차량번호가 인식된 뒤의 영상이 NVR 녹화장치(11)에 별도로 저장되어 비상벨(50)의 사용자가 자신의 차량번호를 통해 다양한 각도의 영상을 확보하여 사고 당시 상황을 정확하게 분석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특정 차량이 주차장의 주차공간에 최초 주차 후 일정 시간(1-5분) 이내에 동일 주차장의 다른 구역으로 옮겨 주차한 경우, 영상 분석 서버(13)에서 해당 차량의 녹화 영상을 사고 의심 데이터로 별도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해당 차량의 최초 주차 구역의 양측 차량의 차주에게 연락(차량에 연락처가 있는 경우 관리자가 수동으로 연락하거나, 양측 차량의 차량번호 인식 정보를 토대로 건물의 스피커를 통해 방송을 할 수도 있음)하여 차량 손상이 없는지 확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차량이 양옆의 차량과의 차간 거리가 소정 범위 이내인 상태에서 주차한 후 바로 주차장에서 출차 한 경우에도 NVR 녹화장치(11)에서 해당 차량의 영상을 사고 의심 데이터로 별도로 저장하여 관리하고, 해당 차량이 최초에 주차한 주차공간의 양측 차주 또는 해당 차량이 근처에 접근한 차량의 차주에게 연락(차량에 연락처가 있는 경우 관리자가 수동으로 연락하거나, 양측 차량의 차량번호 인식 정보를 토대로 건물의 스피커를 통해 방송을 할 수도 있음)하여 차량 손상이 없는지 확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은 30초에 1번씩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운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즉, 30초마다 차량번호가 인식되는데 이들 데이터로부터 특정 차량번호가 소정시간(1-5분) 이내에 출현하였다가 사라진 경우 이 사라진 차량번호와 해당 차량번호의 양측에 주차된 차량번호를 매칭 저장하여 기록에 저장함으로써 접촉사고 의심차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다.
또한, 주차장의 각 층 출입구에 차량 위치확인용 키오스크(60)를 설치하여 키오스크(60)를 통해 본인의 차량번호 뒷번호 4자리를 입력하면 해당 번호의 리스트를 띄우고, 본인의 차량을 선택하면 현재 위치에서 주차된 위치까지의 동선을 화살표로 화면상에 표시하도록 하여 대형 주차장에서 주차 위치를 찾지 못하는 불편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은 카메라가 일체로 형성된 비상벨을 주차장의 각 기둥에 설치하여 카메라를 통해 모든 주차공간을 빈틈없이 촬영한 후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주차장에서 발생하는 접촉사고나 도난사고 등의 차량 사고는 물론 사람을 대상으로 한 강력 사고 등에도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하며, 효율적인 주차 공간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기둥에 설치된 비상벨의 카메라를 통해 카메라 1개당 좌우 4대의 주차공간에 주차된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으며, 좌우측 기둥에 설치된 비상벨의 카메라를 통해 교차 녹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주차장의 모든 차량의 차량번호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어, 주차장 각 층 입구에 설치된 키오스크를 통해 차량의 주차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인식된 차량번호를 녹화영상과 매칭 하여 저장함으로써 차량번호 입력을 통해 찾고자 하는 영상을 빠르게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차장의 각각의 기둥에 사람키 높이 이하의 위치에 카메라 일체형 비상벨을 설치하여 차량의 맞은편 정면에서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차량번호를 인식하기 때문에 차량번호판이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로 촬영한 영상을 토대로 차량번호 인식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차량번호 인식률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영상유도관제의 경우 천장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을 토대로 차량번호 인식 작업을 수행하였는데, 이러한 경우 차량번호판의 상하 방향 기울기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20m의 이격거리를 두고 카메라를 천장에 설치해야만 하나, 면적이 한정되어 있는 주차장의 특성상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가 없어 차량번호판의 상하 방향 기울기를 보정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차량번호 인식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주차장의 기둥에 사람키 높이 이하의 위치에 카메라 일체형 비상벨을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번호판을 정면에서 촬영하여 차량번호판이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로 촬영된 영상을 토대로 차량번호 인식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차량번호 인식률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각 기둥에 설치된 비상벨의 카메라를 통해 자동차의 전면은 물론 측면과 뒷면까지 모두 촬영 및 저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동차 관련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관제실
11 : NVR 녹화장치
12 : 유도관제 서버
13 : 영상 분석 서버
14 : 비상벨 서버
20 : 메인 허브
21 : POE 허브
30 : 층별 주차 안내전광판
40 : 입구 주차 안내전광판
50 : 카메라 일체형 비상벨
51 : 음성통화부
52 : 카메라
53 : 비상버튼부
54 : 비상경광등
60 : 차량 위치 확인용 키오스크

Claims (4)

  1. 비상 상황 발생 시 신고자가 조작하여 비상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하는 비상버튼부;
    평상시에는 주차 공간의 주차 가능 여부를 표시하고 비상시 상기 비상버튼부가 조작되면 적색-녹색-청색 순으로 빠르게 점멸하도록 구성되는 비상경광등;
    비상 시 신고자에 의해 상기 비상버튼부가 조작되면 관리자와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음성통화부;
    주차장의 각 주차공간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카메라 일체형 비상벨; 및
    상기 비상벨의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모든 영상을 24시간 저장하는 NVR 녹화장치;
    상기 NVR 녹화장치에서 캡쳐한 영상을 수신 받아 주차된 각 차량이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영상 분석 서버;
    상기 영상 분석 서버로부터 수신 받은 차량번호 인식 정보를 주차장 배치도면과 연동시켜 주차장의 주차 공간 상태를 표시하는 유도관제 서버;
    상기 비상버튼부가 작동된 경우 상기 비상벨로부터 비상 신호를 수신 받아 신고자와 관리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상벨 서버;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관제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 서버는 각각의 상기 카메라 일체형 비상벨이 촬영한 영상들에서 중앙의 4대의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함으로써 주차장의 주차된 모든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VR 녹화장치는 상기 영상 분석 서버에서 인식된 차량번호 정보를 수신 받아 해당 차량번호의 녹화영상과 매칭 하여 저장함으로써 영상 검색 시 차량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차량이 주차공간에 주차하고 난 뒤 차량번호가 추출된 시점부터의 영상을 바로 검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VR 녹화장치는 상기 비상버튼부가 조작되어 상기 비상벨 서버에 비상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비상버튼부가 눌리기 이전 30초부터 통화가 끝난 후 30초 동안 상기 비상벨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별도로 자동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
KR1020190072015A 2019-06-18 2019-06-18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 KR102227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015A KR102227288B1 (ko) 2019-06-18 2019-06-18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015A KR102227288B1 (ko) 2019-06-18 2019-06-18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031A true KR20210006031A (ko) 2021-01-18
KR102227288B1 KR102227288B1 (ko) 2021-03-12

Family

ID=74236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015A KR102227288B1 (ko) 2019-06-18 2019-06-18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2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200333A1 (de) 2021-01-15 2022-07-21 Mando Corporatio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rehmomentkompensation
KR20230045770A (ko) * 2021-09-29 2023-04-05 (주)코스템 독립라인에 갖춘 비상벨을 구비한 안전망 구축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신규건물의 비상벨 설치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7986A (ko) * 2009-01-29 2010-08-06 서현구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
KR20110136056A (ko) * 2010-06-14 2011-12-21 윤주열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확인시스템
KR20160028104A (ko) * 2014-09-03 2016-03-11 차보영 자동제어장치 cctv 감시카메라 스마트 제어시스템
KR20170024962A (ko) * 2015-08-27 2017-03-08 (주)지비유 데이터링크스 주차 관제 시스템
KR20170034225A (ko) * 2015-09-18 2017-03-28 정광(주) 차량 번호판 인식 기반 주차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7986A (ko) * 2009-01-29 2010-08-06 서현구 비상 통합 관제 시스템
KR20110136056A (ko) * 2010-06-14 2011-12-21 윤주열 주차유도 및 주차위치확인시스템
KR20160028104A (ko) * 2014-09-03 2016-03-11 차보영 자동제어장치 cctv 감시카메라 스마트 제어시스템
KR20170024962A (ko) * 2015-08-27 2017-03-08 (주)지비유 데이터링크스 주차 관제 시스템
KR20170034225A (ko) * 2015-09-18 2017-03-28 정광(주) 차량 번호판 인식 기반 주차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200333A1 (de) 2021-01-15 2022-07-21 Mando Corporatio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rehmomentkompensation
KR20230045770A (ko) * 2021-09-29 2023-04-05 (주)코스템 독립라인에 갖춘 비상벨을 구비한 안전망 구축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신규건물의 비상벨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288B1 (ko) 202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3190B2 (ja) 駐車管制システム
KR102223572B1 (ko)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1832446B1 (ko) 단일 망으로 비상벨에서의 양방향 통화 기능이 구현된 비상벨-cctv 통합 시스템
CN107645653B (zh) 一种摄像机跟踪拍摄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397453B1 (ko)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59786B1 (ko) 지능형 영상 분석에 의한 실영상 및 녹화영상 검색 시스템
KR20150060626A (ko) 능동형 무인 경비 시스템
KR102181355B1 (ko) 인공지능 기반 차량 검색 시스템
KR102227288B1 (ko) 주차 영상유도관제 및 비상벨과 방범 통합 시스템
WO2020211691A1 (zh) 车辆监控方法、装置、设备和系统
KR101629803B1 (ko) 주차관리시스템
KR20060116757A (ko) 불법주정차 무인 검지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25225B1 (ko) 과속 단속 및 방범 기능을 갖는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및 방법
KR101599614B1 (ko) 영상을 활용한 통합형 차량감시 시스템
KR100933931B1 (ko) 다기능 주정차 무인 감시 시스템
KR101069766B1 (ko) 방범용 폐쇄회로 텔레비전과 연동하는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주정차 단속 방법
KR101239364B1 (ko) 영상기반 주차위치 확인시스템 및 그 확인시스템에서 주차면 분석방법
CN114299744A (zh) 一种全景停车场系统及管理方案
KR101737609B1 (ko) 차량 번호판 인식 기반 주차관리 시스템
KR20160000556A (ko) 무인교통사고 기록장치를 이용한 실시간 교통정보처리시스템
KR100625201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주차면 관리 시스템
KR100839590B1 (ko) 주차 관제 시스템 및 계수 방법
KR20010088909A (ko) 무인 주차 관제 시스템 및 무인 주차 관제 방법
KR100626592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 불법 주정차 단속방법
KR101171909B1 (ko) 주차 영상 제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