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419B1 -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419B1
KR100485419B1 KR10-2004-0042099A KR20040042099A KR100485419B1 KR 100485419 B1 KR100485419 B1 KR 100485419B1 KR 20040042099 A KR20040042099 A KR 20040042099A KR 100485419 B1 KR100485419 B1 KR 100485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vehicle information
recognition
appea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2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8142A (ko
Inventor
홍만표
권혁일
진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윤익씨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윤익씨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윤익씨엔씨
Priority to KR10-2004-0042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419B1/ko
Publication of KR20040058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8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4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은 촬영수단, 검지수단, 촬영수단 제어부 및 검지수단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차량의 통과여부, 속도, 차폭, 길이 및 차고를 검지하고, 상기 차량의 외형을 촬영하기 위한 인식장치;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촬영된 상기 차량의 외형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차량정보 취득부, 상기 차량의 외형, 색상 및 번호판에 대한 차량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차량정보 인식부, 상기 차량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기 위한 통신처리부, 상기 차량정보의 처리를 지원하는 메인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 제어장치; 상기 시스템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중앙 서버장치; 및 차량에 대한 미리 저장된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외부 차량정보 서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차량정보 서버장치에 포함된 미리 저장된 정보와 중앙 서버장치의 상기 차량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System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A Vehicle}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차량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로 상이나 교차로 등에 설치된 인식장치로부터 수집된 차량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의 외형, 색상 및 번호판과 같은 차량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최근 들어서, 주행하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기 위한 장치나 시스템에 대하여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차량정보 인식 장치나 시스템의 대표적인 것으로 차량번호 자동 인식(automatic vehicle identification: AVI)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차량정보 자동 인식 시스템에 대한 특허문헌으로, 대한민국특허 제391120호에서는 차량의 번호와 차량의 속도를 인식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 제413382호에서는 영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의 원격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들에서 개시하고 있는 차량정보 자동 인식 시스템은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거나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는 기능에 국한되어 있어, 차량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차량정보 자동 인식 시스템과는 별도로 차량의 교통법규 위반 여부를 자동으로 감지하는 차량 위반 단속 시스템(vehicle enforcement system: VES)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차량 위반 단속 시스템에 대한 특허문헌으로, 대한민국특허공개 제2002-20050에서는 과속차량을 촬영하여 그 영상의 이동량을 검출함으로써, 과속여부를 판별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 제402645호에서는 영상처리에 의한 교통법규위반 단속 장치와 제어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차량 위반 단속 시스템에서는 차량의 속도나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는 것에 국한되어 있어 차량에 대한 더 많은 정보, 예를 들어 차량의 색상이나 외형을 통한 차종 판별과 같은 정보를 수집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차량 정보 시스템과 차량 위반 단속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여, 차량의 번호판과 속도위반 여부를 판별하는 것 이외에도 차량의 종류, 모델, 구조변경여부, 도난 차량 여부, 색상 등을 판별할 수 있는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상을 주행하는 차량의 외형, 색상 및 번호판을 동시에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상을 주행하는 차량의 속도, 차폭, 차고 및 차량길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식된 차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해당 차량의 정보와 비교하여 차량의 도난여부, 불법개조여부, 차량의 속도위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로상을 주행하는 차량의 외형, 색상 및 번호판을 동시에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차량정보 인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장의 시스템 제어장치나 통제센터의 중앙 서버장치에서 인식된 차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해당 차량의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차량의 도난여부, 불법개조여부, 차량의 속도위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차량정보 인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은
촬영수단(21), 검지수단(22), 촬영수단 제어부(23) 및 검지수단 제어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차량의 통과여부를 검지하고, 상기 차량의 속도, 길이, 폭 및 차고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차량의 외형을 촬영하기 위한 인식장치(2);
상기 인식장치(2)로부터 촬영된 상기 차량의 외형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차량정보 취득부(12), 상기 차량의 외형, 색상 및 번호판에 대한 차량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차량정보 인식부(11), 상기 차량정보를 통신망(3)을 통해 송신하기 위한 통신처리부(17), 상기 차량정보의 처리를 지원하는 메인처리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 제어장치(1);
상기 시스템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중앙 서버장치(4); 및
차량에 대한 미리 저장된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장치(4)에 제공하기 위한 외부 차량정보 서버장치(5);
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차량정보 서버장치(5)에 포함된 미리 저장된 정보와 중앙 서버장치(4)의 상기 차량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 제어장치(1)는 외부 동작 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맨-머신 인터페이스부(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차량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1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 제어장치(1)는 현재시간을 설정하고, 차량의 속도 정보에 따라 촬영시간을 동기시키기 위한 시각 동기부(1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 서버장치(4)는 상기 통신망(3)을 통하여 상기 시스템 제어장치(1)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41), 상기 미리 저장된 차량정보와 상기 시스템 제어장치(1)로부터 수신한 차량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의 불법개조 여부와 도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서버(42), 및 상기 판단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서버(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정보 인식부(11)는 상기 차량 외형에 대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외형을 인식하기 위한 차량 외형 인식 모듈(111), 상기 색상에 대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색상을 인식하기 위한 차량 색상 인식 모듈(112), 및 상기 번호판에 대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색상을 인식하기 위한 차량 번호판 인식 모듈(1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 정보 취득부(12)는 상기 촬영수단 제어부(23)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취득부(121) 및 상기 검지수단 제어부(24)로부터 수신한 차량에 대한 속도, 차폭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검지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인식 방법은
(A) 인식장치(2)로부터 차량에 대한 영상을 차량정보 취득부에서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영상을 차량정보 인식부의 차량 외형 인식 모듈(111), 차량 색상 인식 모듈(112) 및 차량 번호판 인식 모듈(113)에서 인식하여 차량의 외형, 색상 및 번호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차량의 외형, 색상 및 번호에 대한 정보를 중앙 서버장치(4)로 전송하는 단계;
(D) 외부 차량 정보 서버장치(5)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장치(4)와 상기 시스템 제어장치(1)의 데이터 저장부(15)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중앙 서버장치(4)에서 또는 상기 시스템 제어장치(1)에서 상기 차량의 외형, 색상 및 번호에 대한 정보와 외부 차량정보 서버장치(5)로부터 전송받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인식장치(2)는 촬영수단(21), 검지수단(22), 촬영수단 제어부(23) 및 검지수단 제어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검지수단(22)을 통해 인지된 통과 차량에 대해 상기 검지수단 제어부(23)로부터 차량의 속도, 차폭, 차고 및 차량길이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차량 외형, 색상 및 번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중앙 서버장치(4)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 서버(43)에 저장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은 시스템 제어장치(1), 인식장치(2), 중앙 서버장치(4) 및 외부 차량정보 서버장치(5)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앙 서버장치(4)는 시스템 제어장치(1)와 통신망(3)을 통하여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고, 외부 차량정보 서버장치(5)와도 상호 정보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 제어장치(1)는 도로의 노변에 설치되며, 인식장치(2)에 포함된 검지수단(22)과 적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20∼25 m 정도의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상기 인식장치(2)는 촬영수단(21)과 검지수단(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검지수단(22)은 촬영수단(21) 보다 앞쪽에, 즉 차량이 검지수단(22)을 먼저 통과한 다음에 촬영수단(21)을 통과하도록 설치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 제어장치(1)는 인식장치(2)로부터 얻은 차량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인식된 차량에 대한 영상을 이용하여, 차량의 외형, 색상 및 번호판에 대한 차량정보를 중앙 서버장치(4)로 전송한다. 중앙 서버장치(4)는 외부 차량정보 서버장치(5)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해당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시스템 제어장치로부터 수신한 차량정보와 비교한다. 한편, 시스템 제어장치(1)의 데이터 저장부(15)에 상기 외부 차량정보 서버장치(5)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해당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시스템 제어장치에서도 인지된 차량에 대한 정보와 비교할 수도 있다. 이러한 비교과정을 거치면서 차량의 도난여부, 불법개조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부 차량정보 서버장치(5)는 기존에 경찰서나 차량 등록 센터 등에 미리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저장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를 지칭하며, 본 발명의 중앙 서버장치(4)와 해당 기관과의 연계 하에서 상기 외부 차량정보 서버장치(5)로부터 필요한 차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제어장치(1)의 데이터 저장부(15)로 전송되어, 시스템 제어장치(1)의 메인처리부(13)를 통해 차량정보를 비교할 수도 있다.
도 2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 제어장치(1)의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인식장치(2)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 제어장치(1)는 차량정보 인식부(11), 차량정보 취득부(12), 메인처리부(13), 맨-머신 인터페이스(man-machine interface: MMI)부(14), 데이터 저장부(15), 시각동기부(16) 및 통신처리부(17)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차량정보 인식부(11)는 차량정보 취득부(12)에서 수신한 차량에 대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의 외형, 색상 및 번호판을 인식한다. 외형인식을 통해 차량의 종류를 판별해 낼 수 있으며, 본래의 외형에서 불법구조가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알아낼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정보 인식부(11)는 차량 외형 인식 모듈(111), 차량 색상 인식 모듈(112) 및 차량 번호판 인식 모듈(113)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본 발명의 차량정보 취득부(12)는 인식장치(2)로부터 차량 영상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차량 영상 취득부(121)와 차량의 진입여부를 판별하고,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며, 차량의 길이와 폭을 측정하는 차량 검지부(122)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메인처리부(13)는 차량정보 취득부(12)로부터 취득되는 차량에 대한 영상 정보를 차량정보 인식부(11)에서 인식 처리과정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어, 제어 및 연산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차량정보 인식부(11)에서 처리된 차량 외형, 색상 및 번호판에 관한 정보를 통신처리부(17)로 보내 중앙 서버장치(4)로 전송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데이터 저장부(15)에 저장되는 기존 외부 차량정보 서버장치(5)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차량정보와 인지된 차량정보를 비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맨-머신 인터페이스부(14)는 시스템 제어장치(1)를 설치한 다음 각종 환경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작동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직접 장치의 제어를 위한 설정 값을 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현장에서 위반 여부를 즉시 감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수단(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부(15)는 각종 차량의 외형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 차량정보 인식부(11)의 차량 외형 인식 모듈(111)에서 인식된 차량의 외형과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외형에 대한 정보를 차량 전면의 형상을 추출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있으며, 차량의 종류에 따라 각 차량 전면의 형상 중 라디에이터 그릴의 형상을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 외형 인식 모듈(111)에서는 영상 정보 중에서 라디에이터 그릴 부분을 추출함으로써 영상 정보의 양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저장부(15)는 차량 정보 인식부(11)에서 추출한 차량의 외형, 색상 및 번호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중앙 서버장치(4)에서 상기 차량의 외형, 색상 및 번호판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기 위한 임시 저장장치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시각동기부(16)는 현재시간을 설정하고, 인식장치(2)의 검지수단(22)에서 검지한 차량의 속도를 검지수단(22)과 촬영수단(21)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촬영수단(21)의 촬영 개시 시각을 계산함으로써 입수되는 영상정보를 동기화한다. 설정된 시간, 촬영시간은 시스템 제어장치(1)의 데이터 저장부(15)나 중앙 서버장치(4)의 데이터베이스 서버(43)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통신처리부(17)는 중앙 서버장치(4)와 통신을 하기 위한 각종 모듈 및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랜카드와 같은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통신프로토콜 등을 내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의 인식장치(2)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식장치(2)는 촬영수단(21), 검지수단(22), 촬영수단 제어부(23) 및 검지수단 제어부(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촬영수단(21)은 촬영수단(21)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촬영된 영상신호를 직접 디지털로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며, 차량의 색상을 인식해야 하므로 컬러촬영이 가능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검지수단(22)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적절한 센서를 적용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본 발명의 인식장치(2)는 촬영수단(21)을 통해 차량의 영상 정보를 취득하고, 검지수단(22)을 통해 차량의 속도, 길이, 차폭 및 차고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다.
상기 촬영수단 제어부(23)는 촬영수단(21)에서 촬영한 영상정보를 시스템 제어장치(1)의 차량정보 취득부(12)의 차량 영상 취득부(121)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검지수단 제어부(24)는 검지수단(22)에서 차량의 통과를 인지하면, 해당 차량의 속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해당 차량의 속도를 차량정보 취득부(12)의 차량 검지부(122)로 전송한다. 전송된 속도 정보에 의해 촬영수단(21)이 작동할 시각을 시각동기부(16)로부터 전송받아 상기 촬영수단(21)이 작동하게 된다. 한편, 검지수단 제어부(24)에서는 차량의 속도 이외에도 차폭, 차고 및 차량길이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시스템 제어장치(1)의 차량정보 취득부(12)에 포함된 차량 검지부(122)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의 중앙 서버장치(4)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앙 서버장치(4)는 인터페이스 수단(41), 어플리케이션 서버(42)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41)은 통신망에 접속하기 위한 물리적인 계층에 속하는 각종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42)는 상기 외부 차량정보 서버장치(5)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차량정보와 상기 시스템 제어장치(1)로부터 수신한 차량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의 불법개조 여부와 도난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43)는 시스템 제어장치(1)로부터 수신한 차량에 대한 각종 정보와 도난여부, 불법개조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한편, 외부 차량정보 서버장치(5)와의 통신을 연계하며, 상기 외부 차량정보 서버장치(5)로부터 수신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차량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웹 서버(도시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사항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의 차량정보 인식부(11)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정보 인식부(11)는 차량 외형 인식 모듈(111), 차량 색상 인식 모듈(112) 및 차량 번호판 인식 모듈(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 외형 인식 모듈(111)은 인식장치(2)에서 취득하여 차량정보 취득부(12)로부터 수신한 해당 차량의 영상 정보를 통해 차량의 외형을 인식한다. 그 방법으로는 차량 외형을 각 컴포넌트로 분할하고 이를 분석하여 인지하는 벙법, 가보(Gabor) 필터와 웨이블렛(Wavelet)을 결합한 인지방법, 3차원 이미지 변형을 통한 초점이동성 효과를 이용하는 방법, 근사치 방법에 의한 엔지니어링 효과 추출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자동차 외관의 부분 변형, 이미지 추출 초점의 위치에 따른 외형의 다양성, 방해 물체 해당 차량의 앞에서 진행하는 차량과 같은 방해 물체에 의한 부분 이미지 소실 등의 영향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상기 차량 색상 인식 모듈(122)은 인식장치(2)에서 취득하여 차량정보 취득부(12)로부터 수신한 해당 차량의 색상 정보를 통해 차량의 외형을 인식한다. 인식 방법으로는 휴리스틱 필터링에 의하는 방법, 엔지니어링 접근에 의한 결정 함수 파라미터 추출방법, 차량 데이터베이스와 지식베이스를 이용한 측정방법, 외부 조도센서 등의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도색의 변질, 이물질의 부착이나 일부분의 도색 손상, 외부 조도나 빛의 반사 효과 등에 따른 영향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상기 번호판 인식 모듈(123)에서는 차량에 대한 영상 중에서 번호판 부분에 대해 인식하는 것으로, 그 인식 알고리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의 차량정보 취득부(12)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정보 취득부(12)는 차량 영상 취득부(121)와 차량 검지부(1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 영상 취득부(121)는 인식장치(2)의 촬영수단 제어부(23)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차량정보 인식부(11)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량 검지부(122)는 인식장치(2)의 검지수단 제어부(24)로부터 수신한 차량에 대한 속도, 차폭 및 차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차량정보 인식부(11)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에서 차량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정보 처리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식장치(2)로부터 차량정보를 수집한다(S101). 인식장치(2)의 촬영수단(21)로부터 차량의 외형에 대한 영상 정보를 취득하고, 검지수단(22)으로부터 차량의 속도, 차폭, 차고 및 차량 길이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다. 다음, 취득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시스템 제어 장치(1)에서 차량정보를 인식한다(S102). 시스템 제어장치(1)의 차량정보 취득부(12)에서 해당 정보들을 수집하여, 차량정보 인식부(11)에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정보를 인식한다.
인식된 차량정보는 통신처리부(17)에서 중앙 서버장치(4)로 통신망(3)을 통해 전송한다(S103). 그 다음, 외부 차량정보 서버장치(5)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차량정보를 시스템 제어장치(1)로 전송한다(S104). 상기 중앙 서버장치(4) 또는 시스템 제어장치(1)에서는 외부 차량정보 서버장치(5)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차량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인식된 차량정보와 비교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를 통해 불법 도색 여부, 번호판 개조 여부, 도난 여부, 부피과적 여부를 판단한다(S105).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에서 차량 외형을 인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 외형을 인식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식장치(2)의 검지수단(22)에서 차량 통과를 인지하면, 검지수단 제어부(24)에서는 해당 차량의 속도, 차폭, 차고 및 차량 길이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다(S201). 이렇게 취득한 정보는 차량정보 취득부(12)의 차량 검지부(122)로 전송된다(S202). 이러한 정보 중에서 차량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시각동기부(16)에서는 촬영수단(21)의 영상촬영 개시 시각을 산정한다(S203). 산정된 촬영 개시 시각에 촬용수단을 통해 통과 차량의 영상을 촬영한다(S204). 촬영된 영상을 통해 차량정보 인식부(11)에서 각 모듈을 통해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의 외형, 색상 및 번호판에 관한 차량정보를 인지한다(S205). 이렇게 인지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차종을 판별한다(S206). 판별된 정보를 중앙 서버장치(4)로 전송하여, 중앙 서버장치(4)에서는 이를 외부 차량정보 서버장치(5)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해당 차량에 대한 정보와 비교한다(S207).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의 도난여부나 불법개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행 중인 차량에 대해 단 한번의 촬영으로도 차량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즉, 차량 촬영 후 얻은 영상 정보를 통해 차량의 색상, 외형 및 번호판을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지수단으로부터 차량속도, 차량길이, 폭, 차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해당 차량과 외부 차량정보 저장장치에 미리 저장된 차량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불법 차량 구조여부, 도난여부를 신속하게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로상을 주행하는 차량의 외형, 색상 및 번호판을 동시에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고, 나아가 차량의 속도, 차폭, 차고 및 차량길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인식된 차량의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해당 차량의 정보와 비교하여 차량의 도난여부, 불법개조여부, 차량의 속도위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과 차량정보 인식 방법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의 시스템 제어장치(1)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의 인식장치(2)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의 중앙 서버장치(4)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의 차량정보 인식부(11)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의 차량정보 취득부(12)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에서 차량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에서 차량 외형을 인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시스템 제어 장치 2: 인식 장치
3: 통신망 4: 중앙 서버장치
5: 외부 차량정보 서버장치 11: 차량정보 인식부
12: 차량정보 취득부 13: 메인 처리부
14: 맨-머신 인터페이스(MMI)부 15: 데이터 저장부
16: 시각 동기부 17: 통신 처리부
21: 촬영수단 22: 검지수단
23: 촬영수단 제어부 24: 검지수단 제어부
41: 인터페이스 수단 42: 어플리케이션 서버
43: 데이터베이스 서버

Claims (12)

  1. 촬영수단(21), 검지수단(22), 촬영수단 제어부(23) 및 검지수단 제어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차량의 통과여부를 검지하고, 상기 차량의 속도, 길이, 차폭 및 차고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며, 상기 차량의 외형을 촬영하기 위한 인식장치(2);
    상기 인식장치(2)로부터 촬영된 상기 차량의 외형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기 위한 차량정보 취득부(12), 상기 차량의 외형, 색상 및 번호판에 대한 차량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차량정보 인식부(11), 상기 차량정보를 통신망(3)을 통해 송신하기 위한 통신처리부(17), 상기 차량정보의 처리를 지원하는 메인처리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 제어장치(1);
    상기 시스템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중앙 서버장치(4); 및
    차량에 대한 미리 저장된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장치(4)에 제공하기 위한 외부 차량정보 서버장치(5);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서버장치(4)는
    상기 통신망(3)을 통하여 상기 시스템 제어장치(1)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수단(41);
    상기 미리 저장된 차량정보와 상기 시스템 제어장치(1)로부터 수신한 차량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의 불법개조 여부와 도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서버(42); 및
    상기 판단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서버(43);
    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정보 인식부(11)는
    상기 차량 외형에 대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외형을 인식하기 위한 차량 외형 인식 모듈(111);
    상기 색상에 대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색상을 인식하기 위한 차량 색상 인식 모듈(112); 및
    상기 번호판에 대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색상을 인식하기 위한 차량 번호판 인식 모듈(11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차량정보 서버장치(5)에 포함된 미리 저장된 정보와 중앙 서버장치(4)의 상기 차량정보를 비교하여 차량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장치(1)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연결하고, 외부 동작 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맨-머신 인터페이스부(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장치(1)는 상기 차량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1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장치(1)는 현재시간을 설정하고, 차량의 속도 정보에 따라 촬영시간을 동기시키기 위한 시각 동기부(1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 취득부(12)는
    상기 촬영수단 제어부(23)로부터 수신한 차량의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취득부(121); 및
    상기 검지수단 제어부(24)로부터 수신한 차량에 대한 속도, 차폭 및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검지부(12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
  8. (A) 인식장치(2)로부터 차량에 대한 영상을 차량정보 취득부에서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수신된 영상을 차량정보 인식부의 차량 외형 인식 모듈(111), 차량 색상 인식 모듈(112) 및 차량 번호판 인식 모듈(113)에서 인식하여 차량의 외형, 색상 및 번호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차량의 외형, 색상 및 번호에 대한 정보를 중앙 서버장치(4)로 전송하는 단계;
    (D) 외부 차량 정보 서버장치(5)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장치(4)와 상기 시스템 제어장치(1)의 데이터 저장부(15)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중앙 서버장치(4)에서 또는 상기 시스템 제어장치(1)에서 상기 차량의 외형, 색상 및 번호에 대한 정보와 외부 차량정보 서버장치(5)로부터 전송받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상기 차량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량 외형, 색상 및 번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중앙 서버장치(4)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 서버(43)에 저장되며, 상기 중앙 서버장치(4)는 인터페이스 수단(41), 어플리케이션 서버(42)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인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장치(2)는 촬영수단(21), 검지수단(22), 촬영수단 제어부(23) 및 검지수단 제어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인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수단(22)을 통해 인지된 통과 차량에 대해 상기 검지수단 제어부(23)로부터 차량의 속도, 차폭, 차고 및 차량길이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정보 인식 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04-0042099A 2004-06-09 2004-06-09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 KR100485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099A KR100485419B1 (ko) 2004-06-09 2004-06-09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2099A KR100485419B1 (ko) 2004-06-09 2004-06-09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142A KR20040058142A (ko) 2004-07-03
KR100485419B1 true KR100485419B1 (ko) 2005-04-27

Family

ID=37350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2099A KR100485419B1 (ko) 2004-06-09 2004-06-09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4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168Y1 (ko) 2012-07-05 2012-08-28 이은주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509B1 (ko) * 2007-02-21 2007-11-27 (주) 인펙 차량감식장치와 차량감식장치에 연결된 종합관리 서버
KR101753097B1 (ko) * 2014-12-30 2017-07-19 광주과학기술원 차량검출방법, 차량검출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및 차량검출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KR20170104756A (ko) * 2016-03-08 2017-09-18 광주과학기술원 국부지역별 크기 특정 차량 분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검출방법
CN106971552B (zh) * 2017-04-06 2019-12-20 北京悦畅科技有限公司 套牌现象检测方法和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168Y1 (ko) 2012-07-05 2012-08-28 이은주 진출입 차량 외관 상태 정보 획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142A (ko) 200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878B1 (ko) 다차로 환경에서의 딥러닝 기반 차량번호인식 기술을 활용한 영상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848236B1 (ko) 차량 촬영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
KR100883889B1 (ko) 차량의 윤곽 이미지를 이용한 차종 인식장치 및 방법
KR101995813B1 (ko) 영상 기반의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061079A (ja) 交通違反車両識別システム、サーバ、及び車両制御プログラム
CN106097722B (zh) 利用视频进行路侧车位自动化监管的系统和方法
KR101742490B1 (ko) 끼어들기 위반차량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25573B1 (ko) 차량 번호판 인식과 차량 하부 검색을 동시에 이용한 입출차 보안 시스템
CN101739809A (zh) 行人闯红灯自动报警监控系统
CN108765975B (zh) 路侧垂直停车场管理系统及方法
KR101626377B1 (ko) Cctv와 차량내 블랙박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CN107710298B (zh) 违章者检测装置及具备其的违章者检测系统
KR100948382B1 (ko) 방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621822B1 (ko) 하이브리드 이미지 전송 기반의 방범겸용 차량번호 인식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차량번호 인식 및 제공 방법
KR102200204B1 (ko) Cctv 영상을 활용한 3차원 영상분석 시스템
CN111696364A (zh) 一种路侧停车管理方法
KR101517683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485419B1 (ko) 차량정보 인식 시스템
KR101911239B1 (ko) 불법 주정차 단속을 위한 채널 확대 운영 시스템
JP2002344952A (ja) 車番認識装置及び方法
KR101269192B1 (ko) 일방통행 위반 단속시스템
KR101073053B1 (ko) 자동 교통정보추출 시스템 및 그의 추출방법
JP2014048964A (ja) 駐車場システム
JP2002190013A (ja) 画像認識による渋滞検知システム及び渋滞検知方法
KR100969303B1 (ko) 메디안 필터 기반 다기능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