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519B1 - 작업 플랫폼 - Google Patents

작업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519B1
KR101009519B1 KR1020077022700A KR20077022700A KR101009519B1 KR 101009519 B1 KR101009519 B1 KR 101009519B1 KR 1020077022700 A KR1020077022700 A KR 1020077022700A KR 20077022700 A KR20077022700 A KR 20077022700A KR 101009519 B1 KR101009519 B1 KR 101009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assembly
tower
working platform
work platform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2238A (ko
Inventor
알로이즈 워벤
Original Assignee
알로이즈 워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로이즈 워벤 filed Critical 알로이즈 워벤
Publication of KR20070112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2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Lubrican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형 건물 내부용의 작업 플랫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탑의 상부가 상부 구조물에 의해 닫히더라도 탑형 건물의 내부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작업 플랫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목적은 가위격자형 지지 구조물과 이 지지 구조물에 배치된 작업 플랫폼에 의해 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플랫폼 조립체가 가위격자형 지지 구조물로 인해 탑형 건물의 상이한 내부 직경에 맞추어질 수 있고, 따라서 탑의 단면을 가로질러 완전히 연장할 수 있다는 자각에 기초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이 플랫폼 조립체 상에서 작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작업 플랫폼 조립체는 가위격자형 지지 구조물에 의해 탑의 벽으로부터 풀리고 상이한 단면을 가진 건물의 또 다른 영역에 다시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 플랫폼{WORKING PLATFORM}
본 발명은 탑형(tower-like) 건물 내부에서 사용하기 위한 작업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풍력 발전 설비의 파일론(pylon)과 같은 탑형 건물을 세울 때에는 탑형 건물 내부에서도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일반적으로 작업 플랫폼 조립체가 크레인에 고정되어 위로부터 탑형 건물 내부로 도입된다. 그러나 이는 탑형 건물의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을 동안만 가능하다. 탑형 건물이 상방향으로 닫히면, 크레인 상의 작업 플랫폼 조립체를 사용하는 것이 더 이상 불가능하다. 풍력 발전 설비의 파일론은 예를 들어, 100 미터 높이에 이를 수 있기 때문에 파일론 내부에서의 작업은 쉬운 것이 아니다.
이 시점에서 최근의 기술로서 하기의 공개공보에 전반적인 관심이 쏠려 있다: DE 366 A; AT 203 033 및 US No 1 652 40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탑형 건물의 내부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작업 플랫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제시된 작업 플랫폼 조립체와 청구항 8에 제시된 작업 플랫폼 조립체용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그래서 예를 들어, 풍력 발전 설비의 파일론과 같은 탑형 건물의 내부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작업 플랫폼 조립체가 제공된다. 작업 플랫폼 조립체는 가위격자형(scissor lattice-like) 지지 구조물(carrier structure)을 갖는다. 작업 플랫폼은 이 지지 구조물 위에 배치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단면에 맞추어질 수 있는 작업 플랫폼 조립체가 제공되어 있다. 이는 특히 단면이 상방향쪽으로 갈수록 좁아져서, 이에 따라 작업 플랫폼 조립체에 가용한 면적이 변하는 탑형 건물과 관련하여 중요하다.
본 발명은, 작업 플랫폼 조립체용 지지 구조물로서 가위격자형 지지 장치를 제공한다는 개념에 기초하고 있으며, 지지 장치는 건물이 축조되면서 탑 또는 파일론 내부에서 상방향으로 상승하며, 작업 플랫폼 조립체를 갖는다. 이와 같은 작업 플랫폼 조립체 또는 내부 플랫폼 조립체는 프리캐스트(pre-cast) 콘크리트 부분들로 만들어진 탑 또는 파일론과 관련하여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탑 또는 파일론을 세우기 위해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분들은 그 내부 둘레에 내부 플랫폼 조립체 또는 그 부분들을 걸 수 있는 홀더(holder)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홀더들은 소정의 높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홀더는 처음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분에 탑재되거나 여기에 연속해서 끼워 맞추어질 수 있다. 분산 형태로 배치된 홀더는, 자신의 위치보다 높은 산 비탈면에 후크(hook)를 박은 다음 계속해서 이 후크로 오르는 등산가처럼 작업 플랫폼 조립체가 거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후크들을 연속해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시간 소모적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홀더는 처음에 끼워 맞추어져서, 작업 플랫폼 조립체가 이들 홀더 상에서 위아래로 신속히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달리 상당히 큰 수고가 따르는 풍력 발전 설비 포드(pod)의 한시적 해체의 경우에는, 연속적인 설치가 적절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중앙 지지 부재(carrier element)에 받쳐져 있는 하위 가위격자 막대에 작용하는 구동 부재(actuating element)가 중앙 지지 부재 주변에 배치되어 있다. 하부 가위격자 막대는 구동 부재에 의해 인장력을 받을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위격자가 수축하고, 따라서 작업 플랫폼 조립체의 크기가 줄어들어, 단면적이 더 작은 탑 부분으로 조립체가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가위격자 막대에 압력을 가하면, 가위격자 구조물이 연장되고, 따라서 작업 플랫폼 조립체의 크기가 증가한다. 만일 작업 플랫폼 조립체가 이미 전체 탑 단면에 걸쳐 연장되어 탑의 벽에 받쳐져 있으면, 작업 플랫폼 조립체의 둘레 테두리를 탑의 벽에 받치는 접촉 압력의 조절을 위해 가위격자 막대에 가해지는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예로서의 실시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더 상세히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라 건물을 세울 때의 탑형 건물을 관통하 는 단면을 도시한다.
도 5는 작업 플랫폼 조립체가 안에 배치된 탑형 건물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상응하는 작업 플랫폼 조립체를 가진 탑형 건물을 관통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작업 플랫폼 조립체를 가진 탑형 건물의 또 다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8은 작업 플랫폼 조립체의 각 판을 단순화시킨 도면을 도시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작업 플랫폼 조립체를 가진 탑형 건물을 관통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풍력 발전 설비의 파일론인 공사 중인 건물(100)에는 처음에 하나씩 위로 쌓아 제작된 두 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분(10, 11)이 있다. 작업 플랫폼 조립체(50)는 크레인 케이블(20)에 의해 탑형 건물 내부로 낮추어진다. 이 경우 작업 플랫폼 조립체(50)는, 실질적으로 가위격자형 지지 암(carrier arm)을 포함하는 지지 구조물과 작업 플랫폼(7)을 포함한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작업 플랫폼 조립체를 가진 탑형 건물을 관통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도 1은 작업 플랫폼 조립체가 탑형 건물 내부로 도입되는 상황을 도시하는 반면, 도 2는 작업 플랫폼 조립체가 연장되어 탑의 단면을 가로질러 완전히 연장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이는 탑형 건물의 벽 내부와 접촉할 때까지 연장되는 가위격자형 지지 암(5)에 의해 실질적으로 달성된다. 작업 플랫폼 조립체의 하부 영역에는 복수의 Tirak 윈치(1)가 제공된다. 이것들은 바람직하게는 각 가위격 자 암의 바깥쪽 단부에 각각 탑재된다. 인부, 자재, 및 공구는, 바람직하게는 탑형 건물의 내부 단면 전체에 걸쳐 연장하는 플랫폼(7)에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플랫폼(7)이 작업 플랫폼 조립체의 기능을 맡고, 인부는 거기에서 탑형 건물을 세우기 위한 작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작업 플랫폼 조립체를 가진 탑형 건물을 관통하는 또 다른 단면을 도시한다. 도 1과 도 2에서는 두 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분(10, 11)만 제자리에 끼워 맞추어져 있는 상태로 도시된 반면, 도 3은 또 다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분(12)이 이미 설치된 두 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분(10, 11) 위에 탑재된 상태를 도시한다. 한편으로 작업 플랫폼 조립체를 고정하고, 다른 한편으로 이 조립체가 탑의 내부에서 상승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분의 내벽에 케이블(미도시)을 거는 홀더(3)가 제공된다. 이 케이블들은 Tirak 윈치를 통과하여, Tirak 윈치의 적절한 구동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플랫폼 조립체가 탑 내에서 케이블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작업 플랫폼 조립체와 그 Tirak 윈치를 위한 전원은, 예를 들어 케이블에 의해 아래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작업 플랫폼 조립체를 가진 탑형 건물의 단면을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세 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분(10, 11, 12)이 모두 조립되어 있고,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분(10)에서의 작업 및/또는 이어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분의 설치를 허용하기 위해 작업 플랫폼 조립체(50)가 상방향으 로 움직여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인부 중의 한 명이 Tirak 윈치(1)의 케이블을 적절하게 고정하기 위해 사다리(15)를 이용해서 제3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분(12)의 내벽 상의 홀더(3)로 올라갈 수 있다. 사다리(15) 대신 텔레스코픽 막대(telescopic bar)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Tirak 윈치의 케이블이 적절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탑형 건물 내벽의 홀더(3)의 수는 적어도 Tirak 윈치의 수와 같아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각 윈치의 브레이크를 풀어서 케이블이 상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한다. 케이블이 상부 홀더에 부착되고 나면, 케이블은 다시 윈치에 고정되어, 이 케이블에 의해 플랫폼 조립체도 다시 상방향으로 옮겨지도록 한다. 이때 다음 윈치가 풀려서 상응하는 상부 홀더(3)에 부착된다.
작업 플랫폼 조립체를 탑 내부에 배치하기 위한 이러한 예비 작업 중에 조립체는 각 윈치나 관련 케이블에 의해 짧은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지지되지 않는다. 이때 작업 플랫폼 조립체의 하중은 각각 다른 홀더와 케이블이 감당해야 한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작업 플랫폼 조립체를 가진 탑형 건물을 관통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작업 플랫폼 조립체의 가위격자형 지지 암(5)을 볼 수 있다. 또한 작업 플랫폼 조립체는 작업 플랫폼 조립체 상의 외부에 횡 부재(transverse member)인 롤러(16)(여기에서는 6개)를 갖는다. 작업 플랫폼 조립체가 연장되면, 롤러가 탑형 건물의 내벽과 접촉하게 되어, 작업 플랫폼 조립체(50)가 더 쉽게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움직이는 동안에 탑의 내벽 및/또는 작업 플랫폼 조립체에 가해지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플랫폼은 지지 암의 수보다 1개 더 많은 소정의 수의 판을 포함한다. 본 실 시예에서는 모든 판이 원형의 둥근 형상을 갖는다. 이들 판 중 하나는 플랫폼의 중앙 부분을 닫기 위해 중심 막대(도 5에서 도면 부호(60) 참조)를 포함한다.
다른 판들은 각 지지 암에 각각 배치되어, 지지 암의 바깥 단부에 고정된다. 또한 이 판들에는 개구(opening)가 제공된다. 이 개구는 판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곧게 바깥쪽으로 연장한다. 이와 관련하여 개구는 중심 막대의 직경보다 약간 큰 폭을 갖는다. 이때 각 판들은 그 개구가 중심 막대를 향하도록 놓인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작업 플랫폼 조립체를 관통하는 상세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는 가위격자 지지 암(5)이 우편으로 연장한다. 이렇게 하면 탑형 건물의 더 큰 내부 단면이 작업 플랫폼 조립체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작업 플랫폼 조립체를 가진 탑형 건물의 또 다른 상세 단면을 도시한다. 이 도면은 작업 플랫폼 조립체가 탑형 건물의 상부 영역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분(12) 내부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 경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분의 단면은 도 6에 도시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분(10)의 단면보다 작다. 따라서 작업 플랫폼 조립체의 가위격자형 지지 암(5)은, 수축하는 암에 의해 작업 플랫폼 조립체가 위쪽으로 이동될 때 크기의 감소를 보이는 단면에 맞추어진다.
따라서 탑 내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내부 플랫폼 조립체 또는 작업 플랫폼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풍력 발전 설비의 파일론의 경우, 바스켓을 타고 윈치를 이용하여 포드를 오르내릴 필요가 없다. 이제는 파일론을 가로질러 완전히 연장할 수 있고, 정밀하게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위치로 쉽게 올라갈 수 있는 내부 플랫폼 조립체가 제공된 것이다. 또한 가위격자형 지지 암(5)의 형상으로 인해 상이한 파일론 단면에 맞추어질 수 있다.
작업 플랫폼 조립체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면, 조립체는 수축하는 가위격자형 지지 암에 의해 수축될 수 있다. 이후 작업 플랫폼 조립체는, 예를 들어 풍력 발전 설비의 파일론에 있는 문을 통해 다시 철거될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업 플랫폼 조립체는 중심 막대(60)와 여기에 회전 가능하도록 탑재된 가위격자/지지 암(5)을 갖는다. 이때 지지 암(5)에는 작업 플랫폼을 형성하는 판(7)이 배치된다. 지지 암 아래에는 소위 스루 패스(through-pass) 윈치 또는 Tirak 윈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종류의 Tirak 또는 스루 패스 윈치를 이용하면, 작업 플랫폼 조립체가 윈치를 통해 연장하는 케이블을 오르내릴 수 있다. Tirak 윈치(1)의 케이블은 Tirak 윈치가 케이블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탑형 건물 내부의 홀더(3)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Tirak 윈치가 작업 플랫폼 조립체의 둘레에 제공된다. 이는 Tirak 윈치 케이블의 상하로 움직이려면 홀더에서 풀리고, 작업 플랫폼 조립체의 이동 방향에 따라 더 높거나 더 낮은 홀더에 고정되는 것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작업 플랫폼 조립체의 둘레에 적어도 다섯 개의 Tirak 윈치가 존재하여, 상응하는 홀더(3)를 가진 케이블도 적어도 다섯 개가 있도록 한다.
작업 플랫폼의 판(7)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겹쳐서 작업 플랫폼이 탑형 건물 내의 상이한 단면에 맞추어질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조정 작업은 하기와 같이 일어난다. 작업 플랫폼의 판들(7)이 겹치 고, 부딪치는 관계에서 서로의 앞에 놓이지 않기 때문에,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판(7)의 이러한 움직임은 가위격자의 구동 시에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가위격자가 수축하면 여기에 고정된 판은 중심 막대 쪽으로 움직이고, 그 역도 성립한다.
지지 암에 고정된 각 판에는 중심 막대 방향으로 놓이고 지지 암의 수축량보다 다소 넓은 개구가 있기 때문에, 이때 수반되는 상응하는 판(7)의 움직임으로 인해 판(7)과 중심 막대가 충돌하는 일이 없다. 오히려 개구가 중심 막대 쪽으로 움직여서 이를 수용한다. 개구의 길이는 플랫폼이 함께 밀릴 수 있는 정도 또는 가위격자형 지지 암이 수축될 수 있는 정도의 척도이다.
도 8에 단순화된 판(7)의 표현형이 도시되어 있다.
작업 플랫폼 조립체(50)의 둘레에 있는 롤러(6)는, 작업 플랫폼 조립체가 탑 벽 내부에 대해 구르면서 내부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제공된다.
단면이 조절가능한 작업 플랫폼 조립체는, 위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탑형 건물의 단면에 맞추어지는 작업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작업 플랫폼 조립체는, 풍력 발전 설비의 포드가 이미 풍력 발전 설비의 파일론에 설치되어, 위에서 크레인으로 풍력 발전 설비의 파일론 내부에 접근할 방법이 없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접거나(collapsed) 분해할 수 있는 작업 플랫폼 조립체를 파일론 하부의 문을 통해 들여보낸 다음, 파일론 구획에 배치된 홀더(3)를 이용하여 파일론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설치할 수 있다.

Claims (9)

  1. 탑형 건물 내부용 작업 플랫폼 조립체로서,
    가위격자형(scissor lattice-like) 지지 구조물(carrier structure),
    균일한 원호 길이 간격으로 이격된 적어도 세 개의 가위격자형 지지 암(carrier arm)을 가진 상기 지지 구조물 위에 배치되고, 건물의 단면 영역을 가로질러 완전히 연장하도록 된 작업 플랫폼(working platform),
    상기 가위격자형 지지 구조물이 방사상으로 연장가능하고 방사 방향(radial orientation)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탑재되는 중앙 지지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 플랫폼은 상호 간에 부분적으로 겹치는 복수의 판을 갖고,
    상기 판의 각각은 개구를 가지며,
    상기 개구는 판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중앙 지지 부재 쪽으로 방사상으로 연장하며,
    상기 작업 플랫폼은 상기 지지 구조물 및 판에 의해 상이한 단면 영역들에 맞추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형 건물 내부용 작업 플랫폼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지지 암의 둘레 단부에 있는 Tirak 윈치를 특징으로 하는 작업 플랫폼 조립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 부재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중앙 지지 부재에 받쳐지는 하부 가위격자 막대에 작용하며, 상기 중앙 지지 부재를 따라 배치되는 구동 부재(actuating element)를 특징으로 하는 작업 플랫폼 조립체.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케이블을 부착하는 홀더(holder)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탑형 건물 내부의 벽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은 Tirak 윈치를 통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플랫폼 조립체.
  5. 삭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케이블을 부착하는 홀더(holder)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탑형 건물 내부의 벽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은 Tirak 윈치를 통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플랫폼 조립체.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각각의 지지 암 위에 상기 판이 각각 배치되며,
    상기 판은 대응하는 지지 암에 의해 상기 중앙 지지 부재에 대해 방사상으로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플랫폼 조립체.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업 플랫폼은 중심 막대를 포함하는 중심 판을 더 가져서, 상기 작업 플랫폼은 상기 지지 암의 개수보다 1개 더 많은 판의 개수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 판은 개구를 구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플랫폼 조립체.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업 플랫폼은 상기 작업 플랫폼상의 외부에 롤러를 가지며, 상기 롤러는 건물 내벽과 접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플랫폼 조립체.
KR1020077022700A 2005-03-16 2006-03-16 작업 플랫폼 KR101009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12497.6 2005-03-16
DE102005012497A DE102005012497A1 (de) 2005-03-16 2005-03-16 Arbeitsbühn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946A Division KR20100021534A (ko) 2005-03-16 2006-03-16 작업 플랫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238A KR20070112238A (ko) 2007-11-22
KR101009519B1 true KR101009519B1 (ko) 2011-01-18

Family

ID=367645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2700A KR101009519B1 (ko) 2005-03-16 2006-03-16 작업 플랫폼
KR1020107001946A KR20100021534A (ko) 2005-03-16 2006-03-16 작업 플랫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1946A KR20100021534A (ko) 2005-03-16 2006-03-16 작업 플랫폼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20090173577A1 (ko)
EP (1) EP1861564B1 (ko)
JP (1) JP4642894B2 (ko)
KR (2) KR101009519B1 (ko)
CN (1) CN100535361C (ko)
AT (1) ATE468453T1 (ko)
AU (2) AU2006224584B2 (ko)
BR (1) BRPI0608824B1 (ko)
CA (1) CA2600853C (ko)
CY (1) CY1110120T1 (ko)
DE (2) DE102005012497A1 (ko)
DK (1) DK1861564T3 (ko)
ES (1) ES2343368T3 (ko)
NO (1) NO339741B1 (ko)
NZ (1) NZ561117A (ko)
PL (1) PL1861564T3 (ko)
PT (1) PT1861564E (ko)
SI (1) SI1861564T1 (ko)
WO (1) WO20060975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02605A1 (en) * 2007-06-08 2008-12-11 Andre St-Germain Size adjustable platform for scaffolding
WO2009056898A1 (es) 2007-11-02 2009-05-07 Alejandro Cortina-Cordero Torre de concreto postensado para generadores eolicos
AU2009262661A1 (en) * 2008-06-23 2009-12-30 Intelligent Tower Solutions Aps Platform, in particular interior platform for tubular tower
KR101038226B1 (ko) * 2008-10-24 2011-06-01 (주)유진기업 원자로의 철근콘크리트방벽 보강용 강선케이블 설치를 위한작업대 및 이를 이용한 강선케이블의 설치공법
CA2772675A1 (en) 2009-09-15 2011-03-24 Andresen Towers A/S Tubular building structure with hingedly connected platform segment
CN103264772A (zh) * 2011-11-16 2013-08-28 北京晟航国瑞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运送旅客的客梯车
CN103061992B (zh) * 2012-12-13 2014-11-19 北京金风科创风电设备有限公司 操作平台
DE102013011489B4 (de) * 2013-07-09 2021-09-16 Liebherr-Werk Ehingen Gmbh Turmdrehkran
ES2926290T3 (es) * 2014-12-15 2022-10-25 Nordex Energy Spain S A Aerogenerador con torre de hormigón y procedimiento para el montaje del mismo
EP3095750B1 (en) * 2015-05-19 2018-07-11 Anco Maritime Activities Ltd. Method for inspecting an inside room of a ship and/or performing works therein
DE102016109818A1 (de) 2016-05-27 2017-11-30 Wobben Properties Gmbh Steigvorrichtung zur Ausführung einer Bewegung relativ zu einem Tur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urms
ES2763850T3 (es) 2017-03-23 2020-06-01 Nordex Energy Gmbh Dispositivo para el montaje y mantenimiento de una torre para un aerogenerador y empleo del mismo así como la torre de un aerogenerador
DE102017116873A1 (de) 2017-07-26 2019-01-31 Wobben Properties Gmbh Windenergieanlagen-Stahlturmringsegment und Verfahren
DE102017116872A1 (de) 2017-07-26 2019-01-31 Wobben Properties Gmbh Windenergieanlagen-Stahlturmabschnitt für einen Windenergieanlagen-Tur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S2807954T3 (es) 2017-08-18 2021-02-24 Nordex Energy Gmbh Plataforma de mantenimiento, así como dispositivo para el mantenimiento de componentes internos en una torre de un aerogenerador y procedimiento para el montaje de una plataforma de mantenimiento
DE102017128143B3 (de) 2017-11-28 2019-01-10 Nordex Energy Gmbh Wartungsplattform zur Wartung von Einbauten in einem Turm für eine Windenergieanlage und Anordnung einer Wartungsplattform
JP6357287B1 (ja) * 2018-04-02 2018-07-11 株式会社プラントベース 中空構造物の内部で固着状態となった粉粒体の排出方法
CN115233961A (zh) * 2022-06-13 2022-10-25 上海建工一建集团有限公司 一种核心筒空中变形的施工安全防护平台结构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6412A (en) 1976-05-12 1977-11-15 Kawasaki Heavy Ind Ltd Work scaffold of spherical tank
US4095670A (en) 1976-06-09 1978-06-20 Raise Contracting, Limited Foldable platform for raise drilling
EP0638371A1 (en) * 1993-08-10 1995-02-15 Tric Holdings Limited Method of servicing interior of large container and service apparatus
WO2000051465A1 (de) 1999-03-04 2000-09-08 Gregor Marc Roman Johannsen Anordnung zur befestigung von regalböden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3043A (en) * 1917-01-16 George Washington Walker Scaffold.
US159571A (en) * 1875-02-09 Improvement in fire-escapes
DE366C (de) * 1877-07-02 GROSMANN in Düsseldorf Rettungsapparat bei Feuersgefahr und Observationsthurm, basirend auf der Nürnberger Scheere
US686458A (en) * 1901-05-31 1901-11-12 Henry Winthrop Gray Fire-escape.
US737377A (en) * 1903-06-22 1903-08-25 John E England Adjustable scaffold.
US818304A (en) * 1905-06-02 1906-04-17 Robert Fleming Aerial ladder.
US1092096A (en) * 1911-10-06 1914-03-31 Horn G Donigan Extensible tower.
US1090856A (en) * 1913-04-17 1914-03-24 Gustave Johnson Hanging scaffold.
US1284699A (en) * 1918-02-26 1918-11-12 Olof F Johnson Silo-scaffold.
US1652403A (en) * 1926-12-13 1927-12-13 Nat Conveyor Company Building derrick for bunkers
US1708113A (en) * 1927-06-29 1929-04-09 Alvah K Allen Collapsible tower
AT203033B (de) * 1957-07-09 1959-04-25 Voest Ag Hängegerüst zur Ausmauerung von Konvertern
US3080941A (en) * 1961-01-27 1963-03-12 Standard Oil Co Collapsible scaffold
US3289788A (en) * 1964-12-31 1966-12-06 Goodrich Gulf Chem Inc Folding scaffold with central support
US3910379A (en) * 1973-11-30 1975-10-07 Robert E Miller System for construction of monolithic concrete tanks and silos
JPS5414657Y2 (ko) * 1975-09-30 1979-06-16
JPS52151224A (en) * 1977-06-22 1977-12-1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Liftable scaffold device
JPS57180763A (en) * 1981-04-30 1982-11-06 Nippon Kokan Kk Scafford for constructing tower tanks
AT373018B (de) * 1981-06-30 1983-12-12 Patenver Ag Geruest
JPS6110668A (ja) * 1984-06-22 1986-01-18 大成建設株式会社 昇降式伸縮作業足場
FR2647770B1 (fr) * 1989-06-05 1991-09-06 Polytec Dispositif de deplacement curviligne d'un objet au contact d'une surface notamment convexe
DE10311674B4 (de) * 2003-03-11 2007-02-01 aeroconcept Ingenieurgesellschaft für Luftfahrttechnik und Faserverbundtechnologie mbH Wartungsplattform
US7690317B2 (en) * 2003-03-19 2010-04-06 Herman Miller, Inc. Computer workstation with moveable monitor suppor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6412A (en) 1976-05-12 1977-11-15 Kawasaki Heavy Ind Ltd Work scaffold of spherical tank
US4095670A (en) 1976-06-09 1978-06-20 Raise Contracting, Limited Foldable platform for raise drilling
EP0638371A1 (en) * 1993-08-10 1995-02-15 Tric Holdings Limited Method of servicing interior of large container and service apparatus
WO2000051465A1 (de) 1999-03-04 2000-09-08 Gregor Marc Roman Johannsen Anordnung zur befestigung von regalböd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339741B1 (no) 2017-01-30
CA2600853C (en) 2011-07-05
KR20100021534A (ko) 2010-02-24
JP4642894B2 (ja) 2011-03-02
EP1861564B1 (de) 2010-05-19
BRPI0608824B1 (pt) 2017-03-14
JP2008533334A (ja) 2008-08-21
KR20070112238A (ko) 2007-11-22
DE102005012497A1 (de) 2006-09-21
NO20075276L (no) 2007-10-15
CA2600853A1 (en) 2006-09-21
AU2010202780A1 (en) 2010-07-22
WO2006097505A1 (de) 2006-09-21
DK1861564T3 (da) 2010-08-09
ATE468453T1 (de) 2010-06-15
PL1861564T3 (pl) 2010-11-30
DE502006006976D1 (de) 2010-07-01
CY1110120T1 (el) 2015-01-14
US20090173577A1 (en) 2009-07-09
SI1861564T1 (sl) 2010-06-30
ES2343368T3 (es) 2010-07-29
AU2006224584A1 (en) 2006-09-21
CN100535361C (zh) 2009-09-02
CN101137806A (zh) 2008-03-05
BRPI0608824A2 (pt) 2011-03-15
NZ561117A (en) 2011-02-25
PT1861564E (pt) 2010-06-28
AU2006224584B2 (en) 2010-04-01
EP1861564A1 (de)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519B1 (ko) 작업 플랫폼
US20140054110A1 (en) Method for accessing the outer surface of wind turbine towers and device for use with this method
KR101756323B1 (ko) 풍력 발전기용 하이브리드 타워 건설방법
EP2788564B1 (en) Assembly process of a telescopic tower
JP7325838B2 (ja) 伸縮式タワーを吊り上げるための可動モジュール、および伸縮式タワーの吊り上げ方法
DK3047083T3 (en) VARIABLE HALF TAG
JP6567631B2 (ja) 建物の解体時の飛散防止方法
JP4722630B2 (ja) 塔状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同方法に使用されるスリップフォーム装置
JP3122935U (ja) 鉄塔における足場及び養生ネットの昇降構造
JPS5912827B2 (ja) 塔状建造物の解体工法および解体用足場装置
JPH09268757A (ja) 足場装置
KR100258816B1 (ko) 고층굴뚝 설비용 플랜트 및 그를 이용한 고층굴뚝의 시공방법
JP3200792B2 (ja) 外部被覆体
KR20230135751A (ko) 부채꼴형 접이식 낙하물 방지시스템
JPH11205976A (ja) 通信ケーブル内設型鉄塔
HU220779B1 (hu) Berendezés toronyszerű építmények palástbélésének csúszó- vagy kúszózsaluzatos betonozásához
ITTO20080106U1 (it) Pensilina autoporta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