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220B1 -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220B1
KR101006220B1 KR1020097001123A KR20097001123A KR101006220B1 KR 101006220 B1 KR101006220 B1 KR 101006220B1 KR 1020097001123 A KR1020097001123 A KR 1020097001123A KR 20097001123 A KR20097001123 A KR 20097001123A KR 101006220 B1 KR101006220 B1 KR 101006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supported
catalyst
amount
upstream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1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5344A (ko
Inventor
마사노리 야마토
오지 구노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090025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45Simultaneously removing carbon monoxide, hydrocarbons or nitrogen oxides making use of three-way catalysts [TWC] or four-way-catalysts [FWC]
    • B01D53/945Simultaneously removing carbon monoxide, hydrocarbons or nitrogen oxides making use of three-way catalysts [TWC] or four-way-catalysts [FWC]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ataly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54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 B01J23/56Platinum group metals
    • B01J23/63Platinum group metals with rare earths or actin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2Platin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6Ruthenium, rhodium, osmium or iridium
    • B01J23/464Rho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19Catalysts containing parts with different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24Multiple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37/0248Coatings comprising impregnated p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10Noble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102Platinum group metals
    • B01D2255/1021Platin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10Noble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102Platinum group metals
    • B01D2255/1025Rho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59Removing one or more of nitrogen oxides, carbon monoxide, or hydrocarbons by multiple successive catalytic functions; systems with more than one different function, e.g. zone coated catalysts
    • B01D53/9477Removing one or more of nitrogen oxides, carbon monoxide, or hydrocarbons by multiple successive catalytic functions; systems with more than one different function, e.g. zone coated catalysts with catalysts positioned on separate bricks, e.g. exhaus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Catalysts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촉매에서의 귀금속의 담지 밀도를 최적화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코트층의 배기 가스 상류측에는 담체 기재의 1리터당의 담지량이 0.75 g을 넘는 양으로 Pt를 담지하고, 코트층에서의 Rh의 담지 밀도를 배기 가스 상류측보다 배기 가스 하류측이 높아지도록 하였다. 리치 분위기가 되기 쉬운 배기 가스 하류측에 Rh를 고밀도 담지함으로써, 난기 후의 정화 성능이 향상한다.

Description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CATALYST FOR EXHAUST GAS PURIFICATION}
본 발명은, 내연기관 등에서의 배기 가스 중의 유해성분을 저온 영역에서 고온 영역까지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차의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로서, 이론 공연비(스토익; stoichiometry)에서 배기 가스 중의 CO 및 HC의 산화와 NOx의 환원을 동시에 행하여 정화하는 3원 촉매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3원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코디어라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내열성 기재에 γ-알루미나 등의 다공질 산화물로 코트층을 형성하고, 그 코트층에 백금(Pt), 로듐(Rh) 등의 귀금속을 담지시킨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 3원 촉매는, 린 분위기에서는 주로 산화촉매로서 기능하고, 스토익 ~ 리치 분위기에서는 환원 촉매로서도 기능하여 배기 가스 중의 CO 및 HC에 의하여 NOx를 환원하여 정화할 수 있다.
그런데, 3원 촉매에서 촉매 작용을 발현하는 것은 담지되어 있는 귀금속이나, 귀금속의 촉매 작용이 발현되는 온도영역은 비교적 고온 영역에 있기 때문에, 저온 영역에서는 유해성분을 정화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겨울철이 나 시동시 등의 배기 가스가 저온 영역에 있는 경우에는, 정화 활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배기 가스가 유입하는 상류부에 귀금속을 고밀도로 담지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 같이 상류부에 귀금속을 고밀도로 담지함으로써, 상류부에서 귀금속과 배기 가스가 접촉할 확률이 높아져, CO 및 HC의 산화반응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진다. 그리고 일단 산화반응이 일어나면, 그 착화가 전파되어 산화반응이 더욱 진행된다. 또 산화반응은 발열반응이기 때문에, 그 반응열에 의하여 3원촉매가 가열되어 승온하여, 귀금속의 활성 온도영역까지 신속하게 승온된다는 작용도 있다. 따라서, 상류부에 귀금속을 고밀도로 담지하면, 이것들의 상승효과에 의하여 저온 영역에서의 정화 활성이 향상된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4-181374호 공보에는, 2개의 촉매를 직렬로 배치한 탠덤(tandem) 촉매에서, 상류측의 촉매에 하류측의 촉매보다 많은 귀금속을 담지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2001-252565호 공보에는, 코트층의 배기 가스가 유입하는 상류부의 표면에 상층 코트층을 더 형성한 촉매가 기재되어 있다. 이 촉매에 의하면, 상층 코트층에 담지된 귀금속에 의하여 상류부의 귀금속의 담지 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단지 귀금속의 담지 밀도를 높게 한 것 만으로는, 귀금속의 절대량이 증가하여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류측 귀금속의 담지 밀도를 높게 하면, 저온 영역에서의 HC의 정화성능은 향상한다. 그러나 상류측 귀금속의 담지 밀도를 높게 하여도, 촉매의 온도가 귀금속의 활성 온도 영역까지 상승한 후(이 하, 난기 후라 함)의 정화성능에는 거의 영향이 없어, 귀금속이 낭비가 되고 있다. 또 난기 후의 NOx 정화성능이 충분치 않다는 문제도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4-181374호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1-252565호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촉매에서의 귀금속의 담지 밀도를 최적화하는 것을 해결해야 할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의 특징은, 담체 기재와, 담체 기재 표면에 형성된 코트층으로 이루어지고, 코트층은 다공질 산화물 담체와 다공질 산화물 담체에 담지된 적어도 Pt와 Rh를 함유하는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에서, 코트층의 배기 가스 상류측에는 담체 기재의 1 리터당의 담지량이 0.75 g을 넘는 양으로 Pt를 담지함과 동시에 Rh를 담지하고, 코트층에서의 Rh의 담지 밀도는 배기 가스 상류측보다 배기 가스 하류측이 높은 것에 있다.
배기 가스 하류측에서의 Rh의 담지량에 대한 배기 가스 상류측에서의 Rh의 담지량의 비는, 0.9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코트층에서의 Pt의 담지 밀도는, 배기 가스 하류측보다 배기 가스 상류측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기 가스 하류측에서의 Pt의 담지량에 대한 배기 가스 상류측에서의 Pt의 담지량의 비는 0.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4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배기 가스 상류측을「상류측」이라 하고, 배기 가스 하류측을「하류측」이라 한다. 본 발명의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에 의하면, Rh의 담지 밀도는 상류측보다 하류측이 높다. Rh는, 산소부족의 리치 분위기에서의 NOx의 정화 활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촉매에 유입한 배기 가스는, 상류측에서 HC 및 CO가 산화되어 산소가 소비되기 때문에, 하류측에서 리치 분위기가 되기 쉽다. 따라서 하류측에 Rh를 고밀도 담지함으로써, 난기 후의 NOx 정화 성능이 향상한다.
또, 하류측에 Rh를 고밀도 담지하면 되고, 상류측의 Rh의 담지 밀도는 낮아도 된다. 따라서, Rh의 담지량은 종래와 동등하여도 되고, 비용의 증대도 없다.
또한, 상류측에 Pt를 고밀도 담지하면, 저온 영역에서의 HC 및 CO의 정화성능이 향상한다. 그리고 하류측에 Pt를 저밀도 담지하여도, 난기 후의 정화 활성에 는 거의 영향이 없다. 따라서 Pt의 담지량도 종래와 동등하여도 되어, 비용의 증대가 억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촉매의 모식적인 단면도,
도 2는 상류측 65 mm와 하류측 65 mm에서 코트층을 구분하여 코팅한 촉매에서, 하류측의 Rh 담지량과 상류측의 Pt 담지량에 대한 최고 정화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상류측 65 mm와 하류측 65 mm에서 코트층을 구분하여 코팅한 촉매에서, 하류측의 Rh 담지량과 상류측의 Pt 담지량에 대한 HC 50% 도달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상류측 30 mm와 하류측 100 mm로 코트층을 구분하여 코팅한 촉매에서, 하류측의 Rh 담지량과 상류측의 Pt 담지량에 대한 최고 정화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상류측 30 mm와 하류측 100 mm로 코트층을 구분하여 코팅한 촉매에서,하류측의 Rh 담지량과 상류측의 Pt 담지량에 대한 HC 50% 도달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허니컴 기재 2 : 상류측 코트층
3 : 하류측 코트층
본 발명의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는, 담체 기재와, 담체 기재의 표면에 형성된 코트층으로 이루어진다. 담체 기재로서는, 일반적인 허니컴 형상 또는 폼 형상의 것이 예시되고, 코디어라이트 등의 내열성 세라믹스, 또는 금속박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코트층은, 다공질 산화물 담체와, 다공질 산화물 담체에 담지된 적어도 Pt와 Rh를 함유하는 귀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공질 산화물로서는,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실리카, 티타니아, 산화세륨, 산화세륨-지르코니아, 등 종래의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코트층은, 담체 기재의 1 리터당 100 내지 300 g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트층의 형성량이 이 범위보다 적으면, 귀금속의 담지 밀도가 너무 높아져 사용시에 입자 성장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 귀금속의 담지량을 적게 하면, 정화율이 저하한다. 또 코트층의 형성량이 이 범위보다 많아지면, 열용량이 증가하고 난기특성이 악화되어 저온 영역에서의 정화 성능이 저하한다. 또 사용시의 진동 등에 의하여 박리 등의 단점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 코트층은, 다공질 산화물 담체의 분말과, 알루미나졸 등의 바인더와 물 등의 용매로 슬러리를 형성하고, 이 슬러리를 담체 기재에 워시 코트(wash coat)한 후에 소성하고, 그것에 귀금속을 담지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다공질 산화물 담체의 분말에 미리 귀금속을 담지한 촉매 분말을 슬러리화하고, 그것을 워시 코트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최대의 특징은, 귀금속의 담지 분포에 있고, 본 발명에서는 코트층의 상류측에는 담체 기재의 1 리터당의 담지량이 0.75 g을 넘는 양으로 Pt를 담지함과 동시에 Rh를 담지하고, 코트층에서의 Rh의 담지 밀도를 상류측보다 하류측이 높아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류측이란, 배기 가스 입구측 끝면으로부터 출구측 끝면을 향하는 길이의 범위가, 담체 기재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1/8 내지 1/2의 범위를 말한다. 따라서 하류측이란, 배기 가스 출구측 끝면으로부터 입구측 끝면을 향하는 길이의 범위가, 담체 기재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1/2 내지 7/8의 범위가 된다. 상류측의 범위가 전체 길이에 대하여 1/8 미만에서는, 또는 하류측의 범위가 전체 길이에 대하여 7/8을 넘으면, 저온 영역에서의 정화 성능이 부족된다. 또, 상류측의 범위가 전체 길이에 대하여 1/2을 넘으면, 또는 하류측의 범위가 전체 길이에 대하여 1/2미만에서는, 난기 후의 정화성능이 부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는, 2개의 촉매를 직렬로 배치한 탠덤 구조로 하여도 되고, 하나의 담체 기재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다른 코트층을 형성한 존(zone) 코트구조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에서는, 코트층에서의 Rh의 담지 밀도는 상류측보다 하류측이 높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난기 후의 정화성능이 대폭으로 향상하고, 특히 NOx의 정화성능이 향상한다. 여기에 Rh의 담지 밀도란, 그 영역에 존재하는 다공질 산화물 담체의 질량에 대한 담지되어 있는 Rh의 질량의 비를 말한다. 하류측에서의 Rh의 담지 밀도는, 0.001 내지 0.004의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담지 밀도가 0.004를 넘으면, 사용시에 입자 성장하여 활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상류측과 하류측의 Rh의 담지 밀도의 차의 정도로서, 담지량의 비를 지표로 할 수 있다. 즉, 하류측에서의 Rh의 담지량에 대한 상류측에서의 Rh의 담지량의 비를 0.9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가 0.9를 넘으면 상류측과 하류측과의 담지량의 차가 너무 작아, 하류측에 고밀도로 담지한 의미가 없어져 난기 후의 정화성능이 부족된다. 이 비는 0.5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3원 촉매의 경우에서의 Rh의 담지량은, 담체 기재 1 리터당 0.1 내지 0.5 g 이고, 담지 밀도로 환산하면 0.001 내지 0.004가 된다. Rh의 담지량이 이 범위보다 적으면 NOx 정화성능이 불충분해지고, 이 범위보다 많게 담지하여도 활성이 포화됨과 동시에 비싸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에서도, 상류측과 하류측의 Rh량의 합계가 이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촉매 전체에서 0.4 g/L의 담지량으로 하는 경우, 하류측 절반에 0.6 g/L 담지한 경우에는 상류측 절반에 0.2 g/L 담지한다. 이 경우에는, 하류측에서의 Rh의 담지량에 대한 상류측에서의 Rh의 담지량의 비는 0.33이 된다. 또 담체 기재 1 리터당의 코트층 형성량을 예를 들면 250 g으로 하면, 하류측에서의 Rh의 담지 밀도는 0.0024가 되고, 상류측에서의 Rh의 담지 밀도는 0.0008이 된다.
따라서, 하류측에서의 Rh의 담지량에 대한 상류측에서의 Rh의 담지량의 비가 0.9 이하라는 범위는, 예를 들면 전체에서 0.4 g/L의 담지량으로 한 경우, 하류측의 Rh 담지량이 0.42 g 이상 또한 상류측의 Rh 담지량이 0.38 g/L 이하의 범위와 같은 의미이다.
본 발명의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에서는, Rh에 더하여 Pt를 필수 성분으로 하고, 상류측에는 담체 기재의 1 리터당의 담지량이 0.75 g을 넘는 양으로 Pt를 담지하고 있다. 상류측의 Pt 담지량이 0.75 g/L 이하이면, 저온 영역에서의 HC 정화성능이 불충분하게 된다. 또한 Pt의 담지량은, 촉매 전체에서 0.5 내지 3 g/L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t의 담지 밀도는, 배기 가스 하류측보다 배기 가스 상류측을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저온 영역에서의 정화성능이 향상한다. 상류측에서의 Pt의 담지 밀도는, 0.003 내지 0.03의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담지 밀도가 0.03을 넘으면, 사용시에 입자 성장하여 활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하류측에서의 Pt의 담지량에 대한 상류측에서의 Pt의 담지량의 비는, 0.8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가 0.8 미만에서는 상류측과 하류측의 담지량의 차가 너무 작고, 상류측에 고밀도로 담지한 의미가 없어져 저온 영역에서의 정화성능이 부족된다. 이 비는 1.4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이 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무한대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에는, 성능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코트층에 Pd 등, 다른 귀금속 또는 천이금속을 담지하여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에 본 실시예의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의 모식적인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는, 코디어라이트제의 허니컴 기재(1)(길이 130 mm)와, 허니컴 기재(1)의 상류측 끝면으로부터 65 mm의 범위에 형성된 상류측 코트층(2)과, 허니컴 기재(1)의 하류측 끝면으로부터 65 mm의 범위에 형성된 하류측 코트층(3)으로 이루어진다. 상류측 코트층(2) 및 하류측 코트층(3)에는, 각각 Pt 및 Rh가 다른 담지 밀도로 담지되어 있다. 이하, 이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고, 구성의 상세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소정 농도의 디니트로디아민 백금 용액을 사용하여, CeO2-ZrO2 고용체 분말(중량비로 CeO2:ZrO2=60:40)에 흡착 담지하여 120℃에서 건조하고, 500℃에서 2시간 소성하여, Pt를 1.6 중량% 담지한 Pt/CeO2-ZrO2 분말(A)을 조제하였다.
소정 농도의 디니트로디아민 백금 용액을 사용하여, CeO2-ZrO2 고용체 분말(중량비로 CeO2:ZrO2=60:40)에 흡착 담지하여 120℃에서 건조하고, 500℃에서 2시간 소성하여, Pt를 0.4 중량% 담지한 Pt/CeO2-ZrO2 분말(B)을 조제하였다.
소정 농도의 질산로듐 수용액을 사용하여, CeO2-ZrO2 고용체 분말(중량비로 CeO2:ZrO2=25:75)에 흡착 담지하여 120℃에서 건조하고, 500℃에서 2시간 소성하여, Rh를 0.2 중량% 담지한 Rh/CeO2-ZrO2 분말(A)를 조제하였다.
소정 농도의 질산로듐 수용액을 사용하여, CeO2-ZrO2 고용체 분말(중량비로 CeO2:ZrO2=25:75)로 흡착 담지하여 120℃에서 건조하고, 500℃에서 2시간 소성하여, Rh를 0.8 중량% 담지한 Rh/CeO2-ZrO2 분말(B)을 조제하였다.
Pt/CeO2-ZrO2 분말(A)의 80 질량부와, Rh/CeO2-ZrO2 분말(A)의 80 질량부와 Al2O3 분말 20 질량부와, 알루미나 바인더 20 질량부를 적당량의 물과 혼합하여 슬 러리를 조제하고, 코디어라이트제 허니컴 기재(1)(셀 밀도 600 cpsi, 벽 두께 75 ㎛, 직경 103 mm, 전체 길이 130 mm)의 배기 가스 상류측 끝면으로부터 65 mm의 위치까지 워시 코트하였다.
한편, Pt/CeO2-ZrO2 분말(B)의 150 질량부와, Rh/CeO2-ZrO2 분말(B)의 80 질량부와, Al2O3 분말 20 질량부와, 알루미나 바인더 20 질량부를 적당량의 물과 혼합하여 슬러리를 조제하고, 나머지 65 mm, 즉 배기 가스 하류측 끝면으로부터 65 mm의 위치까지 워시 코트하였다.
이것을 건조한 후, 500℃에서 2시간 소성하여 상류측 코트층(2)과 하류측 코트층(3)을 형성하고, 실시예 1의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를 조제하였다. 이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에서는, 상류측 코트층(2)이 250 g/L 형성되고, 하류측 코트층(3)이 250 g/L 형성되어 있다. 또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 코트층(2)에서의 담지량은, Pt가 2.4 g/L, Rh가 0.16 g/L 이고, 하류측 코트층(3)에서의 담지량은, Pt가 0.6 g/L, Rh가 0.64 g/L 이다. 촉매 전체에서는, Pt가 1.5 g/L, Rh가 0.4 g/L 각각 담지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상류측 코트층(2)에서의 담지 밀도는, Pt가 0.0096, Rh가 0.00064이고, 하류측 코트층(3)에서의 담지 밀도는, Pt가 0.0024, Rh가 0.00256이다. 즉 Rh의 담지 밀도는 상류측보다 하류측이 높고, Pt의 담지 밀도는 하류측보다 상류측이 높다. 또 하류측에서의 Rh의 담지량에 대한 상류측에서의 Rh의 담지량의 비는 0.25이고, 하류측에서의 Pt의 담지량에 대한 상류측에서의 Pt의 담지량의 비는 4 이다.
(실시예 2, 참고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10)
실시예 1과 동일한 CeO2-ZrO2 고용체 분말을 사용하고, Pt 또는 Rh를 각각 담지하여 담지량이 다른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촉매 분말을 조제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허니컴 기재에 마찬가지로 코트층을 형성하고,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t와 Rh의 담지량 및 담지 분포가 다른 촉매를 각각 조제하였다. 모두 촉매 전체에서는, Pt가 1.5 g/L, Rh가 0.4 g/L 각각 담지되어 있게 된다.
(종래예)
실시예 1과 동일한 CeO2-ZrO2 고용체 분말을 사용하고, Pt 또는 Rh를 각각 담지하여 담지량이 다른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촉매 분말을 조제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허니컴 기재에 마찬가지로 코트층을 형성하고,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t가 전체에 균일하게 1.5 g/L 담지되고, Rh가 전체에 균일하게 O.4 g/L 담지된 촉매를 조제하였다.
(참고예 4, 비교예 11 내지 18)
실시예 1과 동일한 CeO2-ZrO2 고용체 분말을 사용하고, Pt 또는 Rh를 각각 담지하여 담지량이 다른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촉매 분말을 조제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허니컴 기재의 상류측 끝면으로부터 30 mm의 범위에 상류측 코트층(2)을 형성하고, 나머지 100 mm의 범위에 하류측 코트층을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코트층을 형성하고,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Pt 와 Rh의 담지량 및 담지 분포가 다른 촉매를 각각 조제하였다. 모두 촉매 전체에서는, Pt가 1.5 g/L, Rh가 O.4 g/L 각각 담지되어 있게 된다.
<시험·평가>
Figure 112009003356550-pct00008
Figure 112009003356550-pct00009
상기한 촉매를 V형 8기통 4.3 L 엔진을 탑재한 엔진 벤치의 배기계에 각각 장착하고, 입구 가스 온도 900℃, A/F를 15와 14의 사이에서 1 Hz로 진동시키는 조건으로 50 시간 유지하는 내구 시험을 행하였다.
내구 시험 후의 촉매를 직렬 4기통 2.4 L 엔진을 탑재한 엔진 벤치의 배기계에 각각 장착하고, 촉매 입구 가스 온도가 400℃가 될 때까지 이론공연비로 연소시켰다. 그 후, 열교환기로 촉매 입구 가스 온도를 400℃로 유지하면서, A/F=13.5 내지 A/F=15까지, A/F=0.01/초의 속도로 스위프시켰다(ΔA/F=±0.5, 0.5 Hz). 이 때의 HC, NOx, CO의 정화율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이 3개의 성분을 동시에 정화할 수 있는 최고 정화율(COP), 즉 3개의 성분의 정화율 곡선이 교차하는 점에 상당하는 정화율을 구하였다.
또 촉매 입구 가스 온도가 400℃가 될 때까지 이론공연비로 연소시킨 후, 바이패스 변환에 의하여 50℃까지 촉매를 냉각하고, 그 후에 배기가스를 도입하였을 때에 HC 정화율이 50%가 될 때까지 필요한 시간(HC 50% 도달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들 결과를,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2 내지 도 5에는, 등압선 또는 등고선에 준하여 동등한 수치 범위를 연결하는 곡선도 나타나 있다.
도 2에서, 종래예보다 높은 최고 정화율을 나타내는 것은, 하류측의 Rh 담지량이 대략 0.42 g/L 이상의 경우인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의 하류측에서의 Rh의 담지량에 대한 상류측에서의 Rh의 담지량의 비는 0.9이기 때문에, 이 비를 O.9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 분명하다. 또 도 4에서도, 이 범위가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과 비교예 2의 비교, 비교예 3과 비교예 4의 비교, 또는 비교예 7과 비교예 8의 비교에서, 상류측의 Pt의 담지 밀도가 하류측의 Pt의 담지 밀도보다 높은 쪽이, HC 50% 정화 도달시간이 짧은 것이 분명하다.
또 실시예 1의 촉매는, 종래예보다 HC 50% 도달시간이 짧고, 저온 영역에서의 정화 성능이 우수하다. 그리고 도 3에서, 종래예보다 HC 50% 도달시간이 짧은 영역이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그 영역은 상기한 바람직한 범위에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도 3에서 상류측의 Pt 담지량은 약 1.3 g/L 내지 약 2.7 g/L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약 2 g/L 내지 약 2.7 g/L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은 하류측에서의 Pt의 담지량에 대한 상류측에서의 Pt의 담지량의 비가, 약 0.83 내지 약 2.37,바람직하게는 약 1.48 내지 약 2.37에 상당한다.
또, 도 3에서 하류측의 Rh 담지량은 약 0.52 g/L 이상이 바람직한 것도 알 수 있다. 이 경우의 하류측에서의 Rh의 담지량에 대한 상류측에서의 Rh의 담지량의 비는 약 0.54이고, 하류측에서의 Rh의 담지량에 대한 상류측에서의 Rh의 담지량의 비는 0.54 이하가 더욱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바람직한 담지량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것은 30 mm로 짧은 상류측 범위에 Pt를 고밀도로 담지한 경우에는, 내구 시험시에 Pt에 입자 성장이 생긴 것에 의한 영향이 크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Claims (6)

  1. 배기가스 흐름 방향 상류측의 입구측 끝면과, 배기가스 흐름 방향 하류측의 출구측 끝면을 가지며, 이들 입구측 끝면 및 출구측 끝면 사이에 배기가스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는 담체 기재와, 상기 담체 기재 표면에 형성된 코트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트층은 다공질 산화물 담체와 상기 다공질 산화물 담체에 담지된 적어도 Pt와 Rh를 함유하는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기가스 유로의 배기가스 흐름 방향 상류측에 형성된 상기 코트층에는, 상기 담체 기재의 1 리터당의 담지량이 0.75 g을 넘는 양으로 Pt를 담지함과 동시에 Rh를 담지하고,
    상기 배기가스 유로의 배기가스 흐름 방향 하류측에 형성된 상기 코트층의 Rh의 담지 밀도가, 상기 배기가스 유로의 배기가스 흐름 방향 상류측에 형성된 상기 코트층의 Rh 담지 밀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
  2. 제 1항에 있어서,
    배기 가스 하류측에서의 Rh의 담지량에 대한 배기 가스 상류측에서의 Rh의 담지량의 비가 0.9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
  3. 제 2항에 있어서,
    배기 가스 하류측에서의 Rh의 담지량에 대한 배기 가스 상류측에서의 Rh의 담지량의 비가 0.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트층에서의 Pt의 담지 밀도는, 배기 가스 하류측보다 배기 가스 상류 측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배기 가스 하류측에서의 Pt의 담지량에 대한 배기 가스 상류측에서의 Pt의 담지량의 비가 1.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 가스 정화용 촉매.
KR1020097001123A 2006-07-20 2007-07-20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 KR101006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98471A JP4935219B2 (ja) 2006-07-20 2006-07-20 排ガス浄化用触媒
JPJP-P-2006-198471 2006-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344A KR20090025344A (ko) 2009-03-10
KR101006220B1 true KR101006220B1 (ko) 2011-01-07

Family

ID=3895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1123A KR101006220B1 (ko) 2006-07-20 2007-07-20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46865B2 (ko)
EP (1) EP2047903B1 (ko)
JP (1) JP4935219B2 (ko)
KR (1) KR101006220B1 (ko)
CN (1) CN101489670B (ko)
WO (1) WO20080105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572A (ko) * 2018-11-12 2020-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출 가스 정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8013B2 (ja) * 2009-03-04 2014-07-23 ジョンソン・マッセイ・ジャパン合同会社 排気浄化触媒およびそれを用いた排気処理装置
JP5492448B2 (ja) * 2009-04-28 2014-05-14 株式会社キャタラー 排ガス浄化用触媒
US8246923B2 (en) * 2009-05-18 2012-08-21 Umicore Ag & Co. Kg High Pd content diesel oxidation catalysts with improved hydrothermal durability
US8557203B2 (en) * 2009-11-03 2013-10-15 Umicore Ag & Co. Kg Architectural diesel oxidation catalyst for enhanced NO2 generator
US8591820B2 (en) 2011-03-11 2013-11-26 Corning Incorporated Honeycomb filters for reducing NOx and particulate matter in diesel engine exhaust
JP5641360B2 (ja) * 2011-12-08 2014-1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排ガス浄化用触媒及びその利用
JP5804004B2 (ja) 2013-08-22 2015-11-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触媒コンバーター
JP5870981B2 (ja) 2013-10-09 2016-03-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触媒コンバーター
JP6545962B2 (ja) * 2015-01-22 2019-07-17 株式会社キャタラー 排ガス浄化用触媒
CN111741813B (zh) * 2018-02-21 2023-08-04 株式会社科特拉 排气净化催化剂装置
JP7288331B2 (ja) 2019-03-29 2023-06-07 株式会社キャタラー 排ガス浄化触媒装置
JP2020163342A (ja) 2019-03-29 2020-10-08 株式会社キャタラー 排ガス浄化触媒装置
JP7173708B2 (ja) * 2019-12-26 2022-1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排ガス浄化用触媒
US11788450B2 (en) * 2020-10-30 2023-10-17 Johnson Matthey Public Limited Company TWC catalysts for gasoline engine exhaust gas treatmen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3376A (ja) * 1992-04-15 1993-11-09 Nissan Motor Co Ltd 排ガス浄化用触媒及び排ガス浄化方法
JP2001252565A (ja) 2000-03-10 2001-09-18 Toyota Motor Corp 排ガス浄化用触媒
JP2004016931A (ja) * 2002-06-17 2004-01-22 Nissan Motor Co Ltd 排気ガス浄化触媒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52286T2 (de) * 1986-12-22 2000-01-13 Texas Instruments Inc In einem tiefen Graben formierte Isolation mit Kontakt an der Oberfläche des Substrates
JPH0522261Y2 (ko) * 1987-04-22 1993-06-08
US5010051A (en) * 1989-11-08 1991-04-23 Engelhard Corporation Staged three-way conversion catalys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H04118053A (ja) * 1989-12-29 1992-04-20 Tokyo Roki Kk エンジンの排気ガス浄化用触媒
US5376610A (en) 1992-04-15 1994-12-27 Nissan Motor Co., Ltd. Catalyst for exhaust gas purification and method for exhaust gas purification
JP3137496B2 (ja) 1992-11-11 2001-02-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浄化用触媒
JP3281087B2 (ja) * 1993-02-10 2002-05-13 日本碍子株式会社 排ガス浄化用触媒
DE69422938T2 (de) 1993-04-28 2000-07-20 Toyota Motor Co Ltd Katalysator zur Reinigung von Abgasen aus Dieselmotoren
DE69435061T2 (de) * 1993-06-25 2008-12-18 Basf Catalysts Llc Katalysatorzusammensetzung
US6667018B2 (en) * 1994-07-05 2003-12-23 Ngk Insulators, Ltd. Catalyst-adsorbent for purification of exhaust gases and method for purification of exhaust gases
US5556825A (en) * 1995-01-06 1996-09-17 Ford Motor Company Automotive catalysts with improved oxygen storage and metal dispersion
JP3327054B2 (ja) 1995-06-07 2002-09-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排ガス浄化用触媒
US6087298A (en) * 1996-05-14 2000-07-11 Engelhard Corporation Exhaust gas treatment system
US5948377A (en) * 1996-09-04 1999-09-07 Engelhard Corporation Catalyst composition
US5981427A (en) * 1996-09-04 1999-11-09 Engelhard Corporation Catalyst composition
JP3503101B2 (ja) 1996-12-19 2004-03-02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排ガス浄化用触媒
US6047544A (en) * 1997-08-20 2000-04-11 Nissan Motor Co., Ltd. Engine exhaust gas purification catalyst and exhaust gas purifier
DE69923843T2 (de) * 1998-06-30 2006-04-06 Toyota Jidosha K.K., Toyota Verfahren und katalysator zur reinigung von abga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katalysators
JP3370957B2 (ja) * 1998-09-18 2003-0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US6634168B1 (en) * 1998-10-19 2003-10-21 Nissan Motor Co., Ltd. Exhaust gas purification system
US6335305B1 (en) * 1999-01-18 2002-01-01 Kabushiki Kaisha Toyota Chuo Kenkyusho Catalyst for purifying exhaust gas
US6375910B1 (en) * 1999-04-02 2002-04-23 Engelhard Corporation Multi-zoned catalytic trap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6881384B1 (en) * 1999-08-30 2005-04-19 Daihatsu Motor Co., Ltd. Catalytic converter for cleaning exhaust gas
US6846466B2 (en) * 2000-03-22 2005-01-25 Cataler Corporation Catalyst for purifying an exhaust gas
JP2002282702A (ja) * 2001-01-19 2002-10-02 Ngk Insulators Ltd 触媒体
US6777370B2 (en) * 2001-04-13 2004-08-17 Engelhard Corporation SOx tolerant NOx trap catalys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7276212B2 (en) * 2001-10-01 2007-10-02 Engelhard Corporation Exhaust article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6764665B2 (en) * 2001-10-26 2004-07-20 Engelhard Corporation Layered catalyst composite
JP3855266B2 (ja) * 2001-11-01 2006-12-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用触媒
JP4228278B2 (ja) * 2002-03-19 2009-02-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排ガス浄化用触媒
JP3872384B2 (ja) * 2002-06-13 2007-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排ガス浄化フィルタ触媒
US20040001781A1 (en) * 2002-06-27 2004-01-01 Engelhard Corporation Multi-zone catalytic converter
US7329629B2 (en) * 2002-10-24 2008-02-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talyst system for lean burn engines
US7071141B2 (en) * 2002-10-24 2006-07-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erovskite catalyst system for lean burn engines
JP2004181374A (ja) 2002-12-04 2004-07-02 Mitsubishi Motors Corp 排気ガス浄化用触媒
JP4503304B2 (ja) * 2004-01-29 2010-07-14 株式会社キャタラー 排ガス浄化用触媒
US7374729B2 (en) * 2004-03-30 2008-05-20 Basf Catalysts Llc Exhaust gas treatment catalyst
JP2006075724A (ja) * 2004-09-09 2006-03-23 Toyota Motor Corp 排ガス浄化用触媒
WO2006057067A1 (ja) * 2004-11-25 2006-06-01 Cataler Corporation 排ガス浄化用触媒
JP4923412B2 (ja) 2005-02-24 2012-04-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排ガス浄化触媒
JP4669322B2 (ja) * 2005-05-24 2011-04-13 株式会社キャタラー 排ガス浄化用触媒
JP5021188B2 (ja) * 2005-08-01 2012-09-05 株式会社キャタラー 排ガス浄化用触媒
US7576031B2 (en) * 2006-06-09 2009-08-18 Basf Catalysts Llc Pt-Pd diesel oxidation catalyst with CO/HC light-off and HC storage function
US20080044330A1 (en) * 2006-08-21 2008-02-21 Shau-Lin Franklin Chen Layered catalyst composi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3376A (ja) * 1992-04-15 1993-11-09 Nissan Motor Co Ltd 排ガス浄化用触媒及び排ガス浄化方法
JP2001252565A (ja) 2000-03-10 2001-09-18 Toyota Motor Corp 排ガス浄化用触媒
JP2004016931A (ja) * 2002-06-17 2004-01-22 Nissan Motor Co Ltd 排気ガス浄化触媒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4572A (ko) * 2018-11-12 2020-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출 가스 정화 장치
KR102563441B1 (ko) * 2018-11-12 2023-08-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배출 가스 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344A (ko) 2009-03-10
EP2047903A1 (en) 2009-04-15
CN101489670A (zh) 2009-07-22
US20090197764A1 (en) 2009-08-06
EP2047903A4 (en) 2010-12-15
CN101489670B (zh) 2013-01-16
JP2008023451A (ja) 2008-02-07
US7846865B2 (en) 2010-12-07
EP2047903B1 (en) 2015-10-28
JP4935219B2 (ja) 2012-05-23
WO2008010576A1 (fr)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220B1 (ko)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
EP2622185B1 (en) Automobile exhaust gas catalytic converter
JP4833605B2 (ja) 排ガス浄化用触媒
US8227374B2 (en) Exhaust gas purification catalyst
US7737078B2 (en) Catalyst for purifying exhaust gas
EP1952884A1 (en) Catalyst for exhaust-gas purification
WO2006057067A1 (ja) 排ガス浄化用触媒
US10688476B2 (en) Exhaust gas purification catalyst
JP2006326495A (ja) 排ガス浄化用触媒
EP3730203A1 (en) Exhaust gas purification catalyst
JP6440771B2 (ja) 排ガス浄化触媒装置
JP6445228B1 (ja) 排ガス浄化用触媒
JP4716087B2 (ja) 排ガス浄化用触媒
JP7255459B2 (ja) 排ガス浄化用触媒
JP2006205134A (ja) 排ガス浄化用触媒及びそれを用いた排ガス浄化制御装置
JP2006205002A (ja) 排ガス浄化用触媒
JP2005131551A (ja) 排ガス浄化用触媒
US20230294077A1 (en) Method of producing catalyst for exhaust gas purification
JP2006068679A (ja) 排ガス浄化用触媒
JP7084190B2 (ja) 排ガス浄化用触媒
JP2019111509A (ja) 排ガス浄化用触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