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699B1 - 발광 소자 패키지 - Google Patents

발광 소자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699B1
KR100999699B1 KR1020080085884A KR20080085884A KR100999699B1 KR 100999699 B1 KR100999699 B1 KR 100999699B1 KR 1020080085884 A KR1020080085884 A KR 1020080085884A KR 20080085884 A KR20080085884 A KR 20080085884A KR 100999699 B1 KR100999699 B1 KR 100999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avity
electrode layer
layer
device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6759A (ko
Inventor
박형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5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699B1/ko
Priority to PCT/KR2009/004869 priority patent/WO2010024635A2/ko
Priority to EP09810240.3A priority patent/EP2207212B1/en
Priority to US12/812,915 priority patent/US8487336B2/en
Priority to CN200980101104.9A priority patent/CN101874311B/zh
Publication of KR20100026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01L33/60Refle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01L33/486Containers adapted for surface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소자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는 제1 깊이로 형성된 제1 캐비티와, 상기 제1 캐비티의 바닥면으로부터 제2 깊이로 형성된 제2 캐비티가 포함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2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가 포함된다.
발광 소자 패키지

Description

발광 소자 패키지{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본 발명은 발광 소자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광 소자로써 발광 다이오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N형 반도체층, 활성층, P형 반도체층이 적층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상기 활성층에서 빛이 발생되어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발광 소자 패키지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지지하는 기판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도전부재가 포함된다.
최근, 발광 소자의 구조를 개선하는 것을 통해 광 효율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한편으로 상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패키지의 구조를 개선하는 것을 통해 광 효율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노력도 계속되고 있다.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의 발광 소자 패키지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발광 효율이 향상된 발광 소자 패키지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는 제1 깊이로 형성된 제1 캐비티와, 상기 제1 캐비티의 바닥면으로부터 제2 깊이로 형성된 제2 캐비티가 포함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2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가 포함된다.
실시예는 새로운 구조의 발광 소자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발광 효율이 향상된 발광 소자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는 제1 캐비티(60) 및 상기 제1 캐비티(60) 내에 제2 캐비티(70)가 형성된 기판(10)과, 상기 기판(10) 상에 형성되고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1 전극층(11) 및 제2 전극층(12)과, 상기 제2 캐비티(70) 내에 설치되고 일부분이 돌출된 발광 다이오드(100)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1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50)가 포함된다.
또한,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발광 다이오드(100)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캐비티(60) 및 제2 캐비티(70)에는 수지로 형성된 몰딩부재가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몰딩부재에는 형광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기판(10)은 PCB(Printed Circuit Board), 실리콘 웨이퍼, 수지와 같은 다양한 것이 될 수 있고, 상기 기판(10)의 상면에는 제1면적을 가지고 제1 깊이로 형성된 상기 제1 캐비티(60)와, 상기 제1면적보다 작은 제2면적을 가지고 상기 제1 캐비티(6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1 깊이보다 작은 제2 깊이로 형성된 제2 캐비티(70)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캐비티(60)는 측면이 경사면(13)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캐비티(70)는 측면은 상기 제2 캐비티(70)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한다.
상기 제1 전극층(11) 및 제2 전극층(12)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100)에게 전원을 제공하는 기능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100)에서 방출된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기능을 모두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층(11) 및 제2 전극층(12)은 구리(Cu) 재질로 형성되고 상면이 광 반사율이 높은 알루미늄(Al) 또는 은(Ag)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전극층(11)은 상기 기판(10)의 상면, 상기 제1 캐비티(60)의 측면, 상기 제1 캐비티(60)의 바닥면, 상기 제2 캐비티(70)의 측면 및 상기 제2 캐비티(70)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12)은 상기 기판(10)의 상면, 상기 제1 캐비티(60)의 측면 및 상기 제1 캐비티(60)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층(11) 및 제2 전극층(12)은 상호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가급적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 다이오드(100)는 지지층(20), 발광층(30), 전극층(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층(20)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전극층(11)과 상기 발광층(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층(2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구리(Cu), 니켈(Ni), 금(Au), 알루미늄(Al), 크롬(Cr), 티타늄(T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층(20)의 상면, 즉 상기 지지층(20)과 상기 발광층(30) 사이에는 광 반사율이 높은 은(Ag) 또는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금속으로 형성된 반사층(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층(30)은 질화물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층(30)은 제1도전형의 반도체층, 활성층, 제2도전형의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층(40)은 상기 발광층(30)을 상기 와이어(50)를 통해 상기 제2 전극층(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층(40)은 오믹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오믹 전극층은 투명 전극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층(40)은 Ni, IZO, ITO, ZnO, RuOx, TiOx, IrOx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에서, 상기 기판(10)은 상기 제1 캐비티(60)와 상기 제2 캐비티(70)를 가지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100)는 상기 제2 캐비티(70) 내에 설치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00)의 발광층(30)은 상기 제1 캐비티(60)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 전극층(11) 및 제2 전극층(12) 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즉, 상기 발광 다이오드(100)의 지지층(20)은 상기 제2 캐비티(70)의 깊이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캐비티(70)의 폭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100)의 폭의 0.5~10% 더 크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100)의 제1방향 및 제2방향 폭이 1000㎛×1000㎛의 크기로 형성된다면, 상기 제2 캐비티(70)의 제1방향 및 제2방향 폭은 1005㎛×1005㎛의 크기 내지 1100㎛×1100㎛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캐비티(70)가 상기 발광 다이오드(100)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므로, 상기 지지층(20)과 상기 제2 캐비티(70)의 측면 사이의 간격은 2.5-50㎛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100)의 발광층(3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제2 캐비티(70) 내로 거의 진행되지 않으며, 대부분 직접 상측 방향으로 진행되거나 상기 제1 캐비티(60)에서 반사되어 상측 방향으로 진행된다.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에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100)의 발광층(3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100)의 지지층(20)에서 흡수되지 않고 대부분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100)에서 방출된 광이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되도록 하여 발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의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의 단면도.

Claims (12)

  1. 제1 깊이로 형성된 제1 캐비티와, 상기 제1 캐비티의 바닥면으로부터 제2 깊이로 형성된 제2 캐비티가 포함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 및
    상기 제2 캐비티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전극층 및 제2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가 포함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지지층과, 상기 지지층 상에 발광층과, 상기 발광층 상에 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층은 상기 제1 캐비티의 바닥면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발광 소자 패키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상기 제1 전극층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소자 패키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구리(Cu), 니켈(Ni), 금(Au), 알루미늄(Al), 크롬(Cr), 티타늄(Ti)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되는 발광 소자 패키지.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은 상기 제2 전극층과 와이어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소자 패키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층은 Ni, IZO, ITO, ZnO, RuOx, TiOx, IrOx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발광 소자 패키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과 상기 발광층 사이에는 은(Ag) 또는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반사층이 형성되는 발광 소자 패키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비티는 바닥면에 대하여 측면이 경사면되고, 상기 제2 캐비티는 바닥면에 대하여 측면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발광 소자 패키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비티의 폭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폭보다 0.5-10% 큰 발광 소자 패키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측면과 상기 제2 캐비티의 측면은 2.5-50㎛ 간격으로 이격된 발광 소자 패키지.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층은 상기 제2 캐비티의 측면 및 바닥면에 형성된 발광 소자 패키지.
KR1020080085884A 2008-09-01 2008-09-01 발광 소자 패키지 KR100999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884A KR100999699B1 (ko) 2008-09-01 2008-09-01 발광 소자 패키지
PCT/KR2009/004869 WO2010024635A2 (ko) 2008-09-01 2009-08-31 발광 소자 패키지
EP09810240.3A EP2207212B1 (en) 2008-09-01 2009-08-31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US12/812,915 US8487336B2 (en) 2008-09-01 2009-08-31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CN200980101104.9A CN101874311B (zh) 2008-09-01 2009-08-31 发光器件封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884A KR100999699B1 (ko) 2008-09-01 2008-09-01 발광 소자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759A KR20100026759A (ko) 2010-03-10
KR100999699B1 true KR100999699B1 (ko) 2010-12-08

Family

ID=4172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884A KR100999699B1 (ko) 2008-09-01 2008-09-01 발광 소자 패키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87336B2 (ko)
EP (1) EP2207212B1 (ko)
KR (1) KR100999699B1 (ko)
CN (1) CN101874311B (ko)
WO (1) WO201002463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44178A (zh) * 2010-05-14 2011-11-16 展晶科技(深圳)有限公司 发光二极管的封装结构
KR101789825B1 (ko) * 2011-04-20 2017-11-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발광소자 패키지
JP2012238830A (ja) 2011-05-09 2012-12-06 Lumirich Co Ltd 発光ダイオード素子
US20130069218A1 (en) * 2011-09-20 2013-03-21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High density package interconnect with copper heat spread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130102746A (ko) * 2012-03-08 2013-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DE102013100121A1 (de) * 2013-01-08 2014-07-10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ptoelektronisches Halbleiterbauteil
KR102045778B1 (ko) * 2013-08-30 2019-11-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JP6606331B2 (ja) * 2015-02-16 2019-11-13 ローム株式会社 電子装置
CN113636265A (zh) * 2021-08-14 2021-11-12 浙江珵美科技有限公司 一种编码器46to贴片封装装置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0729A (en) 1997-11-26 2000-05-09 Rohm Co., Ltd. Light-emitting device
JP2006024701A (ja) * 2004-07-07 2006-01-26 Sanken Electric Co Ltd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80765B1 (ko) * 2003-09-22 2006-05-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3407A (ja) * 1998-12-16 2000-06-30 Rohm Co Ltd 光半導体装置
US8294172B2 (en) * 2002-04-09 2012-10-2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fabricating vertical devices using a metal support film
EP1385217A3 (en) 2002-07-25 2005-04-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hotoelectric device-part
KR100567559B1 (ko) * 2002-07-25 2006-04-05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전소자부품
KR101045507B1 (ko) 2003-03-18 2011-06-30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발광 소자 탑재용 부재 및 그것을 사용한 반도체 장치
US20050225222A1 (en) * 2004-04-09 2005-10-13 Joseph Mazzochette Light emitting diode arrays with improved light extraction
TWI239670B (en) 2004-12-29 2005-09-11 Ind Tech Res Inst Package structure of light emitting diode and its manufacture method
US7432119B2 (en) * 2005-01-11 2008-10-07 Semileds Corporation Light emitting diode with conducting metal substrate
DE102005017527A1 (de) * 2005-04-15 2006-11-0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berflächenmontierbares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KR20080008767A (ko) 2006-07-21 2008-01-24 (주) 아모센스 전자부품 패키지 및 이를 채용한 조명기구
KR100853412B1 (ko) 2006-12-05 2008-08-21 (주) 아모센스 반도체 패키지
EP2109157B1 (en) * 2006-12-28 2018-11-28 Nichia Corporation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8288248A (ja) 2007-05-15 2008-11-27 Hitachi Cable Ltd 半導体発光素子
KR101007087B1 (ko) * 2009-10-26 2011-0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28329B1 (ko) * 2010-04-28 2011-04-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0729A (en) 1997-11-26 2000-05-09 Rohm Co., Ltd. Light-emitting device
KR100580765B1 (ko) * 2003-09-22 2006-05-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6024701A (ja) * 2004-07-07 2006-01-26 Sanken Electric Co Ltd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759A (ko) 2010-03-10
WO2010024635A3 (ko) 2010-06-10
EP2207212A4 (en) 2015-11-11
EP2207212B1 (en) 2017-08-30
US8487336B2 (en) 2013-07-16
CN101874311B (zh) 2014-08-27
WO2010024635A2 (ko) 2010-03-04
EP2207212A2 (en) 2010-07-14
CN101874311A (zh) 2010-10-27
US20110049553A1 (en)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699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KR102135624B1 (ko)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JP5864514B2 (ja) 発光素子
EP2458656A2 (en) Light emitting apparatus
US10062672B2 (en) Light source module
JP6558654B2 (ja) 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半導体チップ、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半導体部品及び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半導体チップの生産方法
KR100878326B1 (ko) 칩스케일 패키징 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16131B1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조명 시스템
JP2014057060A (ja) 発光素子及びこれを備えた照明システム
US6686218B2 (en) Method for packaging a high efficiency electro-optics device
US8754430B2 (en)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EP2565921B1 (en) Light emitting device
KR102075561B1 (ko) 발광 소자, 발광 모듈 및 조명 시스템
KR101752441B1 (ko) 발광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KR20090104580A (ko) 인쇄 회로 기판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JP2000091638A (ja)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
KR101047729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4255A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제조방법 및 조명 시스템
JP2011233856A (ja) 発光デバイス
KR101734541B1 (ko) 발광 소자, 발광 소자 패키지
KR102323593B1 (ko) 광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표시 모듈
KR2013003806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02170997A (ja) 保護素子付半導体発光装置
US20230133634A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KR100702430B1 (ko)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