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774B1 - 캐빈 장치 - Google Patents

캐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774B1
KR100996774B1 KR1020080001570A KR20080001570A KR100996774B1 KR 100996774 B1 KR100996774 B1 KR 100996774B1 KR 1020080001570 A KR1020080001570 A KR 1020080001570A KR 20080001570 A KR20080001570 A KR 20080001570A KR 100996774 B1 KR100996774 B1 KR 100996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duct
frame
curv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3005A (ko
Inventor
도메오 우메모또
고오이찌 하세가와
히데오 후지따
고오이찌로 간
도시노부 오와다
데쯔야 야마모또
도시미쯔 야자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91985A external-priority patent/JP43812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91988A external-priority patent/JP421677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91986A external-priority patent/JP42265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91987A external-priority patent/JP422652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80013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8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tractor or load vehicle cab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저렴한 비용이고, 또한 에어컨이 그다지 효과가 없어지는 경우도 없어, 캐빈 실내의 작업 공간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차체에 캐빈 프레임을 구비하는 캐빈이 탑재된 캐빈 장치에 있어서, 캐빈실의 상하 방향 중앙부의 작업 공간이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캐빈의 일부 또는 전부가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Figure R1020080001570
차체, 캐빈, 취출구, 송출 덕트, 스티어링 핸들

Description

캐빈 장치{CABIN APPARATUS}
본 발명은 트랙터 등의 주행 차체에 캐빈 프레임을 구비하는 캐빈이 탑재된 캐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문헌 정보]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19029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7-1947호 공보
트랙터 등의 주행 차체에 캐빈이 탑재된 캐빈 장치에는, 그 캐빈 프레임이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지 기둥과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 기둥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부 전방 프레임과 좌우 한 쌍의 상측 프레임과 상부 후방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상부 프레임 부재 등을 구비하고, 상자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있고,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캐빈 장치에서는 캐빈 프레임의 전방 지지 기둥, 후방 지지 기둥, 상부 전방 프레임, 상측 프레임, 상부 후방 프레임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1902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7-1947호 공보를 참조).
따라서, 종래의 캐빈 장치에서는 캐빈 실내의 작업 공간을 확대하여 조작성 및 거주성을 향상시키거나, 혹은 시계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좌우 한 쌍의 전방부 지지 기둥의 좌우 간격 및 좌우 한 쌍의 좌우 간격을 넓히는 동시에, 전방 지지 기둥과 후방 지지 기둥과의 전후 간격을 확대하여 캐빈 프레임 전체를 전후 좌우로 크게 해야만 해, 오퍼레이터의 작업 공간을 확대하기 위해 캐빈 프레임 전체를 대형으로 하고 있었으므로, 설계면에 있어서 향상될 여지가 있었다.
이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차체에 캐빈 프레임을 구비하는 캐빈이 탑재된 캐빈 장치에 있어서,
캐빈실의 상하 방향 중앙부의 작업 공간이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캐빈의 일부 또는 전부가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캐빈 프레임의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지 기둥이 상하 방향 양단부로부터 상하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캐빈 프레임의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 기둥이 상기 한 쌍의 전방 지지 기둥의 상부 절반부에 대응하여,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감에 따라서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캐빈 프레임의 좌우 한 쌍의 상측 프레임이 전후 방향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좌우 외측을 향하도 록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상기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지 기둥의 상하 방향 중앙보다도 상부측이, 상단부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후방을 향하도록 후방 경사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캐빈 프레임의 상부 전방 프레임이 좌우 방향 양단부로부터 좌우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상방을 향하도록 상방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캐빈의 일부 또는 전부가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고 하는 특징의 예로서, 캐빈 프레임의 상부 전방 프레임을 좌우 방향 양단부로부터 좌우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상방을 향하도록 상방 팽출 형상으로 만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캐빈에 설치된 전방 유리의 상단부가 캐빈 프레임의 상부 전방 프레임보다도 전방 돌출하여 하방으로 구부러지도록 만곡 형성되고, 전방 유리의 상기 상단부보다도 하방측이, 캐빈 프레임의 상부 전방 프레임보다도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상기 캐빈 프레임의 좌우 한 쌍의 상측 프레임의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에 고정되어 있는 보강 프레임이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좌우 한 쌍의 상측 프레임에 대해 각각 고정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와, 이들 다리 부의 상단부에 연결된 수평 부분을 갖고, 상기 보강 프레임의 상변은 상기 캐빈 프레임의 상부 전방 프레임의 가장 높은 부분보다도 높은 레벨에 위치하고 있는 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캐빈의 좌우측부 내면이 전후 방향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내측 루프의 하면이 전후 방향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상방을 향하도록 상측방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상기 캐빈 실내의 후방부에 배치된 운전석의 하측에 에어컨 본체를 설치하고, 이 에어컨 본체로부터 송출되는 공조 공기를 안내하는 송출측 덕트를 캐빈의 바닥부를 따라 에어컨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고, 운전석의 전방에 배치된 스티어링 핸들의 근방에서 공조 공기를 취출하는 취출측 덕트를 구비하고, 이들 송출측 덕트와 취출측 덕트를 중계하는 중계 덕트를 캐빈의 전방면 외측에 배치한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상기 캐빈 프레임의 전방면측 하부의 좌우 방향 중앙측에 캐빈의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전방 패널을 구비하고, 이 전방 패널에 상하 한 쌍의 덕트 삽입 관통구를 형성하고, 상측의 덕트 삽입 관통구(71)를 거쳐서 중계 덕트의 상단부측을 취출측 덕트에 접속하고, 하측의 덕트 삽입 관통구를 거쳐서 중계 덕트의 하단부측을 송출측 덕트에 접속한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상기 캐빈 프레임의 전방면측 하부의 좌우 방향 중앙측에 캐빈의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전방 패널을 구비하고, 이 전방 패널의 캐빈 실내측에 캐빈의 전방 유리의 내면측에 공조 공기를 취출하는 디프로스터 덕트를 설치하고, 에어컨 본체로부터 송출되는 공조 공기를 디프로스터 덕트로 안내하는 제2 송출측 덕트를 설치한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상기 캐빈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플로어 시트에는 상방측으로부터 움푹 패여 있어 송출측 덕트를 수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수단은, 상기 디프로스터 덕트가 좌우 한 쌍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 부분과 상기 좌우측 부분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수평의 상부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어 전방 패널에 부착 고정되고, 상기 디프로스터 덕트에 계기판이 부착되어 있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빈 프레임 전체를 대형으로 하는 일 없이 캐빈 실내의 작업 공간을 확대하여 조작성 및 거주성을 향상시키거나, 혹은 시계를 좋게 할 수 있다.
특히, 캐빈 프레임의 상부 전방 프레임을 좌우 방향 양단부로부터 좌우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상방을 향하도록 상방 팽출 형상으로 만곡하면, 운전석으로부터의 전방 상부 방향의 시계를 넓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예를 들어 저렴한 비용이면서 또한 에어컨이 그다지 효과가 없어지는 일도 없어, 캐빈 실내의 작업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대할 수 있고 캐빈 실내에 있어서의 조작성 및 거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캐빈의 좌우측부 내면이 전후 방향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경우, 에어컨의 바람의 흐름을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있어 에어컨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에어컨 본체로부터 송출되는 공조 공기를 안내하는 송출측 덕트를 캐빈의 바닥부를 따라 에어컨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고, 운전석의 전방에 배치된 스티어링 핸들의 근방에서 공조 공기를 취출하는 취출측 덕트를 구비하고, 이들 송출측 덕트와 취출측 덕트를 중계하는 중계 덕트를 캐빈의 전방면 외측에 배치한 경우, 중계 덕트에 의해 캐빈 실내가 좁혀지는 일이 없어져 거주 공간을 넓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복수의 실시 형태가 개시되지만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하나의 실시 형태의 특징을 다른 실시 형태의 특징과 조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로 생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외측으로 팽출」한다고 하는 표현이 사용되지만, 이「외측」이라 하는 표현은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부 방향, 하부 방향, 우측 방향, 좌측 방향, 전방 방향, 후방 방향, 또는 이들 방향 사이의 방향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도1에 있어서, 작업차의 예인 트랙터의 차체(1)는 엔진(2), 미션 케이스(3) 등을 직결하여 구성되고, 차체(1)의 전방측에 엔진(2) 등을 덮는 본네트(5)가 설치되는 동시에 좌우 한 쌍의 전륜(6)이 설치되고, 차체(1)의 후방부측에 좌우 한 쌍의 후륜(7)이 설치되는 동시에 후륜(7)을 덮는 도시 생략된 좌우 한 쌍의 후륜 펜더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체(1)의 후방부에는 캐빈(9)이 탑재되어 있다. 도1 내지 도8에 있어서, 캐빈(9)은 골조가 되는 캐빈 프레임(11)을 구비한다. 이 캐빈 프레임(11)은, 대략적으로는 이하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외측으로 팽창하는 상자형 형상(outwardly expanding box shape)을 갖고 있고, 전방부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지 기둥(12)과, 후방부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 기둥(13)을 구비하는 동시에,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지 기둥(1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여 상부 방향으로 만곡한 아치 형상의 상부 전방 프레임(15)과,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 기둥(6)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상부 후방 프레임(16)과, 좌우의 동일한 측에 있는 전후방 지지 기둥(12, 13)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상측 프레임(17)을 구비한다. 또한, 상부 전방 프레임(15)과 상부 후방 프레임(16)과 좌우 한 쌍의 상측 프레임(17)으로 상부 프레임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11)은, 전도 보호 구조(Roll Over Protective Structure)(ROPS)로서 기능한다.
또한, 캐빈 프레임(11)은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 기둥(6)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하부 후방 프레임(21)과, 좌우의 동일한 측에 있는 전후방 지지 기둥(12, 13)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하측 프레임(22)과, 좌우 한 쌍의 전 방 지지 기둥(12)의 하부 사이에 배치한 전방 패널(23)과, 전방 지지 기둥(12)의 하단부와 전방 패널(23)을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하부 연결 프레임(24)과, 상부 후방 프레임(16)과 하부 후방 프레임(21)을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후방 연결 프레임(25)과, 하부 후방 프레임(21)으로부터 전방 하향 방향으로 하방 돌출한 좌우 한 쌍의 하부 경사 프레임(27)과, 좌우의 동일한 측에 있는 하부 연결 프레임(24)과 하부 경사 프레임(27)을 각각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하부 지지 프레임(28)을 구비한다. 좌우 한 쌍의 하측 프레임(22)은, 후륜 펜더의 상면을 따르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원호 프레임(22a)과, 원호 프레임(22a)의 전방 단부와 전방 지지 기둥(12)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전방 프레임(22b)을 갖고 있다. 전방 패널(23)은 캐빈 프레임(11)의 전방면측 하부의 좌우 방향 중앙측에 배치되고, 엔진(2)측[본네트(5) 내]과 후술하는 캐빈실(43)측[캐빈(9)의 실내와 실외]을 구획하는 격벽으로 되어 있다. 캐빈 프레임(11)의 바닥부에 강판에 의해 형성된 플로어 시트(31)가 설치되고, 플로어 시트(31)의 좌우 양측에 후륜 펜더의 내측에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패널(32)이 설치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지 기둥(12)은, 상하 방향 양단부로부터 상하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고,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지 기둥(12)의 상하 방향 중앙보다도 상부측이, 상단부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후방을 향하도록 후방 경사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 기둥(13)은, 한 쌍의 전방 지지 기둥(12)의 상부 절반부에 대응하여,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감에 따라서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상부 전방 프레임(15)은 좌우 방향 양단부로부터 좌우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상방을 향하도록 상방 팽출하는 아치 형상으로 만곡되고, 좌우 한 쌍의 상측 프레임(17)은 전후 방향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좌우 외측을 향하도록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상부 후방 프레임(16)은 그 좌우 양단부가, 좌우 방향 외측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크게 전방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하부 후방 프레임(21)은 상부 후방 프레임(16)에 대응하여 그 좌우 양단부가, 좌우 방향 외측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크게 전방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플로어 시트(31)는 전방측의 수평판부(31a)와 후방측의 경사판부(31b)를 갖고, 수평판부(31a)는 좌우 한 쌍의 하부 지지 프레임(28) 상에 수평에 배치되고, 경사판부(31b)는 좌우 한 쌍의 하부 경사 프레임(27) 사이에 배치되어, 수평판부(31b)의 후방 단부로부터 후방 상부로 경사져 있다. 경사판부(31b)의 좌우 양단부는 좌우 한 쌍의 하부 경사 프레임(27) 상에 중합되어, 하부 경사 프레임(27)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플로어 시트(31)의 수평판부(31a)는 좌우 한 쌍의 하부 지지 프레임(28)에 고정 부착되고, 수평판부(31a)의 좌우 양단부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패널(32)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 부착되는 동시에, 하측 프레임(22)의 전방 프레임(22b)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수평판부(31a)의 전방 단부는 좌우 한 쌍의 하부 연결 프레임(24)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패널(32)은 하측 프레임(22)의 원호 프레임(22a), 하부 후방 프레임(16)의 외측부, 하부 지지 프레임(28)의 후방부에 각각 고정 부착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지 기둥(12)과 상부 전방 프레임(15)과 좌우 한 쌍의 하부 연결 프레임(24)과 전방 패널(23)로 둘러싸인 공간에, 전방 유리(34)가 설치되고, 좌우의 동일한 측에 있는 전방 지지 기둥(12)과 후방 지지 기둥(13)과 상측 프레임(17)과 하측 프레임(22)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좌우 한 쌍의 승강 도어(35)가 각각 설치되고, 좌우의 동일한 측에 있는 상부 후방 프레임(16)의 외측부와 하부 후방 프레임(21)의 외측부와 후방 지지 기둥(13)과 후방 연결 프레임(25)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유리(36)가 각각 설치되고, 상부 후방 프레임(16)의 중앙부와 하부 후방 프레임(21)의 중앙부와 좌우 한 쌍의 후방 연결 프레임(25)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후방 유리(37)가 설치되어 있다.
도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빈 프레임(11)의 상부에는 루프(39)가 설치되고 있고, 이 루프(39)는 내측 루프(40)와 외측 루프(41)를 구비하고, 내측 루프(40)는 내측에 배치되어 후술하는 캐빈실(43) 내의 천정부를 구성하고, 외측 루프(41)는 내측 루프(40)의 상방에 배치되고, 내측 루프(40)와 외측 루프(41)의 사이에 중공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리하여, 캐빈(9)의 내부에 루프(39), 전방 유리(34), 전방 패널(23), 승강 도어(35), 사이드 유리(36), 후방 유리(37), 사이드 패널(32) 및 플로어 시트(31) 등에 둘러싸인 캐빈실(4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캐빈실(43)의 후방부측에 운전석(44)이 설치되고, 캐빈실(43)의 전방부측에 스티어링 핸들(45)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44)은 캐빈실(43)의 좌우 방향의 중앙이며 후륜 펜더 사이에 배치되고, 스티어링 핸들(45)은 운전석(44)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하부 지지 프레임(28)의 전방부 에 진동 방지 부재(47)를 거쳐서 전방 부착 부재(48)가 돌출 설치되고, 좌우 한 쌍의 하부 경사 프레임(27)의 하부에 진동 방지 부재(49)를 거쳐서 후방 부착 부재(50)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전방 부착 부재(48)를 차체(1)의 미션 케이스(3)의 외측면에 고정하는 동시에, 후방 부착 부재(50)를 차체(1)의 후방 차축 케이스에 고정함으로써 캐빈(9)을 차체(1)에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도10에서 도시되는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명확하게 도시되지만, 캐빈(9)의 전방부 내면의 상부측이 상하 방향 중도부로부터 상단부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진 동시에, 캐빈(9)의 상부 내면이 전후 방향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상방을 향하도록 상방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즉, 전방 유리(34)의 상부측이 상하 방향 중도부로부터 상단부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진 동시에, 루프(39)[내측 루프(40)]의 하면이 전후 방향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상방측을 향하도록 상방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캐빈(9)의 전방부 내면의 상단부와 캐빈(9)의 상부 내면의 전방 단부가, 상방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크게 후방을 향하는 만곡면에서 연속하도록 구성되고, 캐빈(9)의 상부 내면의 후방 단부와 캐빈(9)의 후방부 내면의 상단부가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크게 하방을 향하는 만곡면에서 연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전방 유리(34)의 상단부와 루프(39)[내측 루프(40)] 하면의 전방 단부가 상방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크게 후방을 향하는 만곡면에서 연속하도록 구성되고, 루프(39) 하면의 후방 단부와 후방 유리(37)의 상단부가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 히 크게 하방을 향하는 만곡면에서 연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캐빈(9)의 전방부 내면의 상단부와 캐빈(9)의 상부 내면의 전방 단부는 대략 연속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캐빈(9)의 상부 내면의 후방 단부와 캐빈(9)의 후방부 내면의 상단부가 대략 연속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사용되는「대략 연속」이라 하는 표현은, 관련되는 2개의 부분이 연속되어 있어도 좋고, 혹은 예를 들어 2개의 부분 사이에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의 간격이 있어도 1개의 부분의 형상이 다른 하나의 부분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이 되어 있어도 좋다고 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도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캐빈(9)의 좌우측부 내면이 전후 방향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외측방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즉, 승강 도어(35) 내지 사이드 유리(36)가 전후 방향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외측방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캐빈(9)의 좌우측부 내면의 후방 단부가 각각 캐빈(9)의 후방부 내면의 좌우 양단부에 연속되므로,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크게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즉,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유리(36)의 후방 단부가 각각 사이드 유리(36)의 좌우 양단부에 연속되므로,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크게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또한, 캐빈(9)의 후방부 내면의 상부측이 상단부로부터 상하 방향 중도부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즉, 후방 유리(37)의 상부측이, 상단부로부터 상하 방향 중도부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전방 유리(34)의 상단부가 캐빈 프레임(11)의 상부 전방 프레임(15)보다도 전방 돌출하여 하방으로 구부러지도록 만곡 형성되고, 전방 유리(34)의 상기 상단부보다도 하방측이 캐빈 프레임(11)의 상부 전방 프레임(15)보다도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루프(40)의 전방 단부는 상부 전방 프레임(15)에 대응하여, 좌우 방향 양단부로부터 좌우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상방을 향하도록 상방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루프(41)의 좌측부에 외측방으로 돌출한 돌출부(53)가 설치되고, 이 돌출부(53)의 하면에 외기 취입구(54)가 설치되고, 돌출부(53)에 외기 취입구(54)를 막도록 필터(55)가 설치되고, 캐빈(9)의 외측방의 외기를, 필터(55)를 거쳐서 외기 취입구(54)로부터 루프(39)의 중공부(42) 내에 취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 기둥(13)은 이상한 형태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측 후방 지지 기둥(13)의 상단부는 내측 루프(40)를 관통하고, 그 상단부 개구는 루프(39)의 중공부(42)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좌측 후방 지지 기둥(13)은 외기 유통 덕트로 되어, 외기 취입구(54)로부터 루프(39)의 중공부(42)에 들어간 외기를 좌측 후방 지지 기둥(13)을 통해 캐빈실(43)의 하방측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캐빈(9) 실내의 후방부의 운전석(44)의 하방에, L자 형상으로 굴곡된 수납실 형성판(5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수납실 형성판(57)은 플로어 시트(31)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상부벽(57a)과, 이 상부벽(57a)의 전방 모서리로부터 하방으로, 즉 플로어 시트(31)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부벽(57b)을 갖고 시트대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이 수납실 형성판(57)은 사이드 패널(32) 사이에 배치되 고, 수납실 형성판(57)의 후방 단부는 플로어 시트(31)의 경사판부(31b)에 밀착 고정되고, 수납실 형성판(57)의 전방부 하단부는 플로어 시트(31)의 수평판부(31a)에 밀착 고정되고, 수납실 형성판(57)의 좌우 양단부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패널(32)에 밀착 고정되고, 이에 의해 운전석(44)의 하방측에 수납실 형성판(57)과 한 쌍의 사이드 패널(32)과 플로어 시트(31)로 둘러싸인 에어컨 본체 수용실(59)을 밀폐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 에어컨 본체 수용실(59)에 에어컨 본체(60)를 수용하고 있다.
에어컨 본체 수용실(59)을 구성하는 벽부인 수납실 형성판(57)의 상벽부에 내기 취입구(62)가 설치되고, 수납실 형성판(57)의 내기 취입구(62)의 개구 돌기부에 필터(63)를 갖는 내기 취입부(61)가 내기 취입구(62)를 막도록 설치되고, 이에 의해 내기 취입구(62)를 통해 캐빈실(43) 내의 공기를 에어컨 본체 수용실(59) 내에 필터(63)를 통해 취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에어컨 본체(60)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를 기화시켜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아 주위를 저온 상태로 하는 증발기를 수납하고, 에어컨 본체(60)의 배면측에 에어컨 본체 수용실(59) 내의 공기를 취입하는 내기 도입구(65)가 설치되고, 내기 도입구(65)에 근접하는 에어컨 본체(60)의 측부에 외기 도입구(66)가 설치되고, 외기 도입구(66)는 내기 도입구(65)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컨 본체 수용실(59) 전체가 필터(63)를 통한 내기를 에어컨 본체(60)로 안내하는 덕트를 구성하고 있고, 필터(63)를 구비한 내기 취입부(61)는 에어컨 본체 수용실(59)을 구성하는 벽부 내, 캐빈(9) 실내에 면한 부분 중 어떠한 위치에 설치해도 좋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기 취입부(61)의 배치 위치의 설계의 자유도가 크다. 또한, 에어컨 본체 수용실(59) 전체가 덕트이므로, 에어컨 본체(60)의 배면에 형성한 내기 도입구(65)의 후방측에 덕트를 접속하는 공간 또는 필터를 배치하는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에어컨 본체(60)를 가능한 한 캐빈(9)의 배면측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플로어 시트(31)의 평판부(31a) 전방부측의 공간(스텝, 오퍼레이터의 발 놓는 공간)을 넓게 취할 수 있다.
또한, 본네트(5) 내 등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이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면서 응축·액화시키는 방열기(콘덴서)와, 이 방열기에서 액화된 냉매를 감압하여 기화하기 쉬운 상태로 하는 팽창 밸브 등이 수납되어 있고, 상기 에어컨 본체(60)의 증발기는 팽창 밸브에서 감압된 냉매를 기화시킨 후, 압축기로 복귀시키도록 압축기 및 팽창 밸브와 파이프, 호스 등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캐빈실(43)의 후방 단부의 좌측 하부에 외기 유통 덕트(68)가 설치되고, 이 외기 유통 덕트(68)는 플로어 시트(31)의 경사판부(31b)를 따라 배치되고, 외기 유통 덕트(68)의 상단부는 좌측 후방 지지 기둥(13)의 하단부에 도시 생략된 연결 덕트를 거쳐서 연결되고, 도5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기 유통 덕트(68)의 하단부는 수납실 형성판(57)을 관통하여 에어컨 본체(60)의 외기 도입구(66)에 접속되고, 외기 도입구(66)는 외기 유통 덕트(68)의 하단부측에 연통되어 있다. 이 외기 도입 덕트(68)는 캐빈(9)의 거주 공간을 방해하지 않도록 가능한 한 좌우 방향에 관하여 편평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컨 본체(60) 내에 절환 댐퍼(7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절환 댐퍼(70)는, 내기 도입구(65)를 막아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 상태(A)와 외기 도입구(66)를 막아 내기를 도입하는 내기 도입 상태(B)로 절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패널(23)에 상부 덕트 삽입 관통 구멍(71)과 하부 덕트 삽입 관통 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에어컨 본체(60)로부터 송출되는 공조 공기를 안내하는 제1 송출측 덕트(73)와 제2 송출측 덕트(74)가 캐빈(9)의 플로어 시트(바닥부)(31)를 따라 에어컨 본체(6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송출측 덕트(73)의 후방 단부는 에어컨 본체(60)에 연결되고, 제1 송출 덕트(73)의 전방 단부는 전방 패널(23)의 하부 덕트 삽입 관통 구멍(72)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스티어링 핸들(45)의 근방에 취출측 메인 덕트(76)가 설치되고, 전방 패널(23)의 전방면측에 중계 덕트(77)가 설치되어 있다. 중계 덕트(77)는 통 형상 또는 후방측이 개구된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캐빈(9)의 전방면 외측에 배치되고, 전방 패널(23)의 상부 덕트 삽입 관통 구멍(71)과 하부 덕트 삽입 관통 구멍(72)을 연통시키도록 전방 패널(23)의 전방면에 부착되어 있다. 취출측 메인 덕트(76)는 전방 패널(23)의 상단부로부터 2갈래 형상으로 나뉘어져 전방측으로 돌출되고, 전방측에 한 쌍의 취출구(79)를 갖는 동시에 측방에 좌우 한 쌍의 취출구(80)를 갖고 있다. 취출측 메인 덕트(76)의 후방 단부는 전방 패널(23)의 상부 덕트 삽입 관통 구멍(71)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계 덕트(77)는 상하부에 접속구(77a, 77b)를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방 패널(23)의 전방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방 패널(23)에 나사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 고정되어 있다. 이 중계 덕트(77)의 상하부 접속구(77a, 77b)는 후방을 향하도록 굴곡되어 있고, 이 중계 덕트(77)의 상측 접속구(77a)는 취출측 메인 덕트(76)의 접속구(76c)에 접속되고, 하측 접속구(77b)는 한 쪽의 송출측 덕트(73)의 전방부 접속구(73a)에 접속되어 있어, 취출측 메인 덕트(76)의 접속구(76c)와 한 쪽의 송출측 덕트(73)의 전방부 접속구(73a)를 연통시키고 있다.
중계 덕트(77)를 캐빈(9) 실내에 설치하면, 중계 덕트(77)가 캐빈(9) 실내의 공간을 차지하여 캐빈(9) 실내 공간이 좁아지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취출측 메인 덕트(76)의 접속구(76c)와 한 쪽의 송출측 덕트(73)의 전방부 접속구(73a)를 전방 패널(23)의 캐빈(9) 실외측에 위치하는 중계 덕트(77)에 의해 연통시키고 있음으로써, 캐빈(9) 실내의 공간을 좁게 하는 일이 없이, 캐빈(9) 실내의 전방 패널(23)의 캐빈(9) 실내측에 설치되는 부재의 설계의 자유도가 크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중계 덕트(77)를 캐빈(9) 실내에 설치하면, 캐빈(9) 실내측의 부재에 의해 제약을 받아 중계 덕트(77)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경우가 있어, 중계 덕트(77)가 복잡한 형상으로 굴곡되면 공기 저항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덕트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어 공기 저항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중계 덕트(77)는 캐빈(9)의 외측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중계 덕트(77)의 접속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중계 덕트(77) 내 등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중계 덕트(77)는 반드시 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취출측 메인 덕트(76)의 접속구(76c)와 한 쪽의 송출측 덕트(73) 의 전방부 접속구(73a)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예를 들어 취출측 메인 덕트(76)의 접속구(76c)와, 한 쪽의 송출측 덕트(73)의 전방부 접속구(73a)를 덮는 커버체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이 경우, 전방 패널(23)도 덕트의 일부를 구성함].
전방 패널(23)의 캐빈실(43) 내측에 디프로스터 덕트(82)가 설치되어 있다. 디프로스터 덕트(82)는 좌우 한 쌍의,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 부분(83)과 상기 좌우 한 쌍의 측 부분(83)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는 대략 수평인 상부 부분(84)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전방 패널(23)에 부착 고정되어 있다. 제2 송출측 덕트(74)의 후방 단부는 에어컨 본체(60)에 연결되고, 제2 송출측 덕트(74)의 전방 단부는 디프로스터 덕트(82)의 좌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어, 에어컨 본체(60)로부터 송출되는 공조 공기를 디프로스터 덕트(82)에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디프로스터 덕트(82)의 외주에 복수의 취출구(85)가 설치되고, 복수의 취출구(85)는 외주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고, 각 취출구(85)로부터 전방 유리(34)나 상방 및 측방을 향해 공조 공기를 취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디프로스터 덕트(82)의 좌측 단부는 폐색되어 있다.
디프로스터 덕트(82)에 계기판(87)이 부착되고, 계기판(87)은 스티어링 핸들(45)을 지지하는 스티어링 포스트(88), 취출측 메인 덕트(76), 디프로스터 덕트(82) 등을 후방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또한, 계기판(87)에 취출측 메인 덕트(76)의 각 취출구(79, 80) 및 디프로스터 덕트(82)의 각 취출구(85)에 대응하여 공조 공기를 캐빈실(43) 내측으로 송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캐빈(9)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플로어 시트(31)의 수평판부(31a)의 전방부에, 상방측으로부터 움푹 패인 오목부(91)가 형성되어 있어, 오목부(91)에 제1 송출측 덕트(73) 및 제2 송출측 덕트(74)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에어컨 본체(16)를 구동하면 이 때 절환 댐퍼(70)를 외기 도입 상태(A)로 절환해 두면, 외기 도입구(66)가 개방되는 동시에 내기 도입구(65)가 폐색되므로, 캐빈(9)의 외측방의 외기를, 필터(55)를 거쳐서 외기 취입구(54)로부터 루프(39)의 중공부(42) 내에 취입하고, 중공부(42)에 들어간 외기를 좌측의 후방 지지 기둥(13)을 통해 캐빈실(43)의 하방측으로 송출하여 도시 생략된 연결 덕트와 외기 유통 덕트(58)를 통해, 외기가 외기 도입구(66)로부터 에어컨 본체(60)로 공급된다. 에어컨 본체(60)의 공조 공기는, 제1 송출측 덕트(73)와 제2 송출측 덕트(74)를 통해 플로어 시트(바닥부)(31)를 따라 에어컨 본체(60)로부터 전방으로 송출되고, 제1 송출 덕트(73)로부터 중계 덕트(77) 및 취출측 메인 덕트(76)를 통해, 취출측 메인 덕트(76)의 취출구(79, 80)로부터 공조 공기를 캐빈실(43) 내의 후방측으로 취출하는 동시에, 제2 송출측 덕트(74)로부터 취출측 메인 덕트(76)를 통해 디프로스터 덕트(82)의 각 취출구(85)로부터 공조 공기를 전방 유리(34) 등을 향해 취출한다.
또한, 절환 댐퍼(70)를 내기 도입 상태(B)로 절환해 두면, 외기 도입구(66)가 폐색되는 동시에 내기 도입구(65)가 개방되기 때문에, 내기 취입구(62)를 통해 캐빈실(43) 내의 공기가 에어컨 본체 수용실(59) 내에 필터(63)를 거쳐서 취입되고, 에어컨 본체 수용실(59)로부터 내기 도입구(65)를 통해 에어컨 본체(60)에 공 급된다. 에어컨 본체(60)의 공조 공기는, 절환 댐퍼(70)를 외기 도입 상태(A)로 절환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송출측 덕트(73)와 제2 송출측 덕트(74)를 통해 전방으로 송출되고, 취출측 메인 덕트(76)의 취출구(79, 80)로부터 공조 공기를 캐빈실(43) 내의 후방측으로 취출하는 동시에, 디프로스터 덕트(82)의 각 취출구(85)로부터 공조 공기를 전방 유리(34) 등을 향해 취출한다.
이 경우, 에어컨 본체(60)가 운전석(44) 하방에 설치되고, 캐빈실(43) 내의 공기를 에어컨 본체(60)측으로 취입하기 위한 내기 취입구(62)가 운전석(44) 후방의 하측에 설치되고, 에어컨 본체(60)로부터의 공조 공기를 취출하기 위한 취출구(79, 80, 85)가 스티어링 핸들(45)측에 설치되고, 공조 공기를 취출하는 취출구(79, 80, 85)와 캐빈실(43) 내의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내기 취입구(62)가 운전석(44)을 사이에 두고 캐빈실(43) 내의 전후로 크게 이격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취출구(79, 80, 85)로부터 취출된 공조 공기를 운전석(44)측 및 캐빈실(43) 전체로 순환시켜 내기 취입구(54)로부터 에어컨 본체(60)측으로 원활하게 복귀시킬 수 있어, 캐빈실(43) 내의 공기의 순환이 매우 좋아져 효율적인 공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승강 도어(35) 내지 사이드 유리(36)가 전후 방향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캐빈(9)의 좌우측부 내면이 전후 방향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취출측 메인 덕트(76)의 취출구(79, 80) 또는 디프로스터 덕트(82)의 취출구(85)로부터 취출된 공조 공기가 캐빈실(43)을 캐빈(9)의 좌우측부 내면 및 후방부 내면[승강 도어(35), 사이드 유리(36) 및 후방 유리(37)]을 따라, 내기 취입구(62)측으로 흐른다.
게다가,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유리(36)의 후방 단부가 각각 사이드 유리(36)의 좌우 양단부로 연속되도록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크게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고, 캐빈(9)의 좌우측부 내면의 후방 단부가 각각 캐빈(9)의 후방부 내면의 좌우 양단부로 연속되도록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크게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으므로, 캐빈(9)의 좌우측부 내면과 캐빈(9)의 후방부 내면과의 경계 부분에서, 공조 공기가 큰 저항을 받아 그 흐름이 멈추는 일 없이 원활하게 흐른다. 또한, 후방 유리(37)의 상부측이 상단부로부터 상하 방향 중도부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고, 캐빈(9)의 후방부 내면의 상부측이 상단부로부터 상하 방향 중도부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후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캐빈(9)의 후방부 내면에 도달한 공조 공기는 캐빈(9)의 후방부 내면의 경사를 따라 원활하게 하강하여, 내기 취입구(62)측으로 원활하게 흐른다.
또한, 승강 도어(35) 내지 사이드 유리(36)가 전후 방향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캐빈(9)의 좌우측부 내면이 전후 방향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취출측 덕트의 취출구(79, 80) 또는 디프로스터 덕트(82)의 취출 구(85)로부터 취출된 공조 공기가, 캐빈실(43)을 캐빈(9)의 좌우측부 내면 및 후방부 내면[승강 도어(35), 사이드 유리(36) 및 후방 유리(37)]을 따라 내기 취입구(62)로 흐른다.
게다가,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유리(36)의 후방 단부가 각각 사이드 유리(36)의 좌우 양단부로 연속되도록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크게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고, 캐빈(9)의 좌우측부 내면의 후방 단부가 각각 캐빈(9)의 후방부 내면의 좌우 양단부로 연속되도록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크게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으므로, 캐빈(9)의 좌우측부 내면과 캐빈(9)의 후방부 내면과의 경계 부분에서 공조 공기가 큰 저항을 받아 그 흐름이 멈추는 일도 없고, 캐빈(9)의 좌우측부 내면으로부터 후방부 내면으로 공조 공기가 원활하게 흐른다.
따라서, 취출구(79, 80, 85)로부터 취출된 공조 공기를 운전석(44)측 및 캐빈실(43) 전체에 매우 원활하게 순환시켜, 내기 취입구(54)로부터 에어컨 본체(60)측으로 복귀시킬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공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캐빈실(43)의 내면을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공조 공기의 바람이 각 전방 유리(34), 사이드 유리(36), 후방 유리(37)의 내면을 따라서 흐르기 때문에, 유리(34, 36, 37)의 불투명이나 유리(34, 36, 37)에 붙은 얼음 등을 공조 공기에 의해 용이하게 녹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종래 전방 유리나 후방 유리 등에 장비되어 있던 열선 유리가 불필요해진다. 취출측 메인 덕트(76)의 취출구(79, 80)가 종래에 비해 운전석(44)에 앉은 오퍼레이터의 부근에 배치되기 때문에, 에어컨의 체감 능력도 향상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캐빈 프레임(11)의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지 기둥(12)이 상하 방향 양단부로부터 상하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거나, 또는 캐빈 프레임(11)의 좌우 한 쌍의 상측 프레임(17)이 전후 방향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좌우 외측을 향하도록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캐빈실(43)의 상하 방향 중앙부의 작업 공간이 외측(전후 좌우)으로 넓어지도록 캐빈 프레임(11)의 일부가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므로, 캐빈실(43) 내의 작업 공간을 확대하여 조작성 및 거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지 기둥(12)의 좌우 간격 및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 기둥(13)의 좌우 간격을 확대하지 않아도 되는 동시에, 전방 지지 기둥(12)과 후방 지지 기둥(13)의 전후 간격을 확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캐빈 프레임(11) 전체가 대형화되는 일도 없어져, 캐빈 프레임(11) 내지 캐빈(9)의 제조 비용이 생각보다 저렴해지고, 에어컨의 공조가 효과가 없어지는 경우도 없어진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지 기둥(12)의 상하 방향 중앙보다도 상부측이 상단부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후방을 향하도록 후방 경사 형상으로 만곡되고,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지 기둥(1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상부 전방 프레임(15)이 좌우 방향 양단부로부터 좌우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상방을 향하도록 상방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전방 유리(34)의 상단부가 캐빈 프레임(11)의 상부 전방 프레임(15)보다도 전방 돌출하여 하방으로 구부러지도록 만곡 형성되고, 전방 유 리(34)의 상기 상단부보다도 하방측이 캐빈 프레임(11)의 상부 전방 프레임(15)보다도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종래 캐빈에 비해 상부 전방 프레임(15)의 좌우 방향 중앙부를 내측 루프(39) 전방 단부의 좌우 방향 중앙부와 함께 상방측이면서 또한 후방측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석(44)에 앉은 오퍼레이터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유리(34)의 상단부를 통해 전방측의 상방을 매우 넓게 볼 수 있고, 오퍼레이터의 전방 상부의 시계를 크게 넓힐 수 있어 로더 작업 등을 하기 쉬워진다. 게다가, 상부 전방 프레임(15)의 좌우 양단부 등에 부착되는 작업 등의 램프류의 부착 위치는 종래와 동일한 높이 위치가 되어 램프류의 부착도 용이하다.
도10은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상기 실시 형태에 비해 캐빈(9)의 상부 내면이 상방 팽출 형상에 의해 크게 만곡되어 있다. 즉, 루프(39)[내측 루프(40)]의 하면이 상방 팽출 형상에 의해 크게 만곡되어 있다. 그리고, 캐빈(9)의 전방부 내면의 상단부와 캐빈(9)의 상부 내면의 전방 단부가, 보다 크고 완만한 만곡면에서 연속되도록 구성되고, 캐빈(9)의 상부 내면의 후방 단부와 캐빈(9)의 후방부 내면의 상단부가 보다 크고 완만한 만곡면에서 연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전방 유리(34)의 상단부와 루프(39)[내측 루프(40)] 하면의 전단부가 보다 크고 완만한 만곡면에서 연속되도록 구성되고, 루프(39) 하면의 후방 단부와 후방 유리(37)의 상단부가 보다 크고 완만한 만곡면에서 연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밖의 점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구성이다.
도11은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 기둥(13)이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에 비해 후방에 배치되고,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 기둥(13)이 사이드 패널(23)의 후방 단부에 상방 돌출 설치되고, 상부 후방 프레임(16) 및 하부 후방 프레임(21)의 좌우 양단부가 전방측으로 만곡되는 일 없이 좌우 방향 외측으로 똑바로 돌출되어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 기둥(13)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 한 쌍의 후방 연결 프레임(25)을 생략하는 동시에,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유리(36)를 생략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에어컨 본체(60)로부터의 공조 공기를 송출하는 좌우 한 쌍의 송출 덕트(93, 94)가 운전석(44)의 측방에 설치된 후륜 펜더(8) 상으로 연장되고, 후륜 펜더 상방으로부터 공조 공기를 토출하도록 상기 송출 덕트(93, 94)의 취출구(95, 96)가 후륜 펜더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 밖의 점은 상기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지 기둥(12)을, 상하 방향 양단부로부터 상하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하고, 또한 좌우 한 쌍의 상측 프레임(17)을 전후 방향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좌우 외측을 향하도록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함으로써, 캐빈실(43)의 상하 방향 중앙부의 작업 공간이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캐빈 프레임(11)의 일부를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지만,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하는 부재는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지 기둥(12) 또는 좌우 한 쌍의 상측 프레임(17)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 대신에 또는 이들에 첨가하여 캐빈 프레임(11)의 상부 전방 프레임(15)을, 좌우 방향 양단부로부터 좌우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전방을 향하도록 전방 팽출 형상으로 만곡하도록 해도 좋고, 또한 캐빈 프레임(11)의 상부 후방 프레임(16)을 좌우 방향 양단부로부터 좌우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후방을 향하도록 후방 팽출 형상으로 만곡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캐빈 프레임(11)의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지 기둥(12)을, 상하 방향 양단부로부터 상하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전방을 향하도록 전방 팽출 형상으로 만곡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캐빈 프레임(11)의 일부가 아닌 전부를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하도록 해도 좋다.
도12에서 도시되는 실시 형태에 의한 캐빈 프레임(11)에는, 좌우 한 쌍의 상측 프레임(17)의 사이에서 이에 대해 고정된 보강 프레임(RF)이 구비되어 있다. 이 보강 프레임(RF)은 상측 프레임(17)을 보강하여 상측 프레임(17)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보강 프레임(RF)은 좌우 한 쌍의 상측 프레임(17)에 대해 각각 고정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와, 이들 다리부의 상단부에 연결된 수평 부분을 갖는다. 보강 프레임(RF)의 상변은 아치 형상의 상부 전방 프레임(15)의 가장 높은 부분보다도 높은 레벨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개시되어 있는 캐빈 장치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차륜을 갖는 트랙터만이 아닌, 무한 궤도(대지 수단)를 구비하는 트랙터에 이용할 수 있다.
도1은 본원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도시한 트랙터의 측면도.
도2는 캐빈 장치의 사시도.
도3은 캐빈 장치의 정면도.
도4는 캐빈 장치의 평면도.
도5는 캐빈 장치의 우측면 단면도.
도6은 캐빈 장치의 좌측면 단면도.
도7은 캐빈 실내로부터 캐빈 장치의 전방부측을 본 배면도.
도8은 캐빈 장치의 전방부측의 사시도.
도9는 에어컨 본체의 평면 단면도.
도10은 캐빈 장치의 좌측면 단면도.
도11은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캐빈 장치의 사시도.
도12는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캐빈 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8 : 펜더
9 : 캐빈
11 : 캐빈 프레임
12 : 전방 지지 기둥
13 : 후방 지지 기둥
15 : 상부 전방 프레임
17 : 상측 프레임
34 : 전방 유리
43 : 캐빈실
44 : 운전석
45 : 스티어링 핸들
62 : 내기 취입구
79, 80, 85, 95 : 취출구
93, 94 : 송출 덕트

Claims (19)

  1. 차체(1)에 캐빈 프레임(11)을 구비하는 캐빈(9)이 탑재된 캐빈 장치에 있어서,
    캐빈실(43)의 상하 방향 중앙부의 작업 공간이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캐빈(9)의 일부 또는 전부가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상기 캐빈 프레임(11)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플로어 시트(31)가 설치된 캐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11)의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주(12)가 상하 방향 양단부로부터 상하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외측방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주(12)의 상하 방향 중앙보다도 상부측이, 상단부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후방으로 향하도록 후방 경사형으로 만곡되어 있고,
    상기 캐빈 프레임(11)의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주(13)가 상기 한 쌍의 전방 지주(12)의 상반부에 대응하여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감에 따라서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고,
    상기 캐빈 프레임(11)의 좌우 한 쌍의 상측 프레임(17)이 전후 방향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좌우 외측을 향하도록 외측방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상기 캐빈실(43) 내의 후방부에 배치된 운전석(44)의 하방측에 에어컨 본체(60)를 설치하고, 이 에어컨 본체(60)로부터 송출되는 공조 공기를 안내하는 송출측 덕트(73)를 상기 캐빈(9)의 바닥부의 상기 플로어 시트(31)의 상면을 따라 상기 에어컨 본체(6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운전석(44)의 전방에 배치된 스티어링 핸들(45)의 근방에서 공조 공기를 취출하는 취출측 덕트(76)를 구비하고, 이들 상기 송출측 덕트(73)와 상기 취출측 덕트(76)를 중계하는 중계 덕트(77)를 상기 캐빈(9)의 전방면 외측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9)에 설치된 전방 유리(34)의 상단부가, 캐빈 프레임(11)의 상부 전방 프레임(15)보다도 전방 돌출하여 하방으로 구부러지도록 만곡 형성되고, 상기 전방 유리(34)의 상기 상단부보다도 하방측이, 상기 캐빈 프레임(11)의 상부 전방 프레임(15)보다도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11)의 좌우 한 쌍의 상측 프레임(17)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에 고정되어 있는 보강 프레임(RF)이 구비되어 있는 캐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RF)은 상기 좌우 한 쌍의 상측 프레임(17)에 대해 각각 고정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와, 이들 다리부의 상단부에 연결된 수평 부분을 갖고, 상기 보강 프레임(RF)의 상변은 상기 캐 빈 프레임(11)의 상부 전방 프레임(15)의 가장 높은 부분보다도 높은 레벨에 위치하고 있는 캐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9)의 좌우측부 내면(35, 36)이 전후 방향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외측방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캐빈 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9)의 내측 루프(40)의 하면이 전후 방향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상방을 향하도록 상방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캐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11)의 전방면측 하부의 좌우 방향 중앙측에 상기 캐빈(9)의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전방 패널(23)을 구비하고, 이 전방 패널(23)에 상하 한 쌍의 덕트 삽입 관통구(71, 72)를 형성하고, 상측의 덕트 삽입 관통구(71)를 거쳐서 상기 중계 덕트(77)의 상단부측을 상기 취출측 덕트(76)에 접속하고, 하측의 덕트 삽입 관통구(72)를 거쳐서 상기 중계 덕트(77)의 하단부측을 상기 송출측 덕트(73)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11)의 전방면측 하부의 좌우 방향 중앙측에 캐빈(9)의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전방 패널(23)을 구비하고, 이 전방 패 널(23)의 캐빈(9) 실내측에 캐빈(9)의 전방 유리의 내면측에 공조 공기를 취출하는 디프로스터 덕트(82)를 설치하고, 에어컨 본체(60)로부터 송출되는 공조 공기를 디프로스터 덕트(82)로 안내하는 제2 송출측 덕트(7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9)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상기 플로어 시트(31)에는 상방측으로부터 움푹 패여 있어 송출측 덕트(73, 74)를 수용하는 오목부(9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로스터 덕트가 좌우 한 쌍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 부분과 상기 좌우측 부분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수평의 상부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어 전방 패널에 부착 고정되고, 상기 디프로스터 덕트에 계기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장치.
  11. 차체(1)에 캐빈 프레임(11)을 구비하는 캐빈(9)이 탑재된 캐빈 장치에 있어서,
    캐빈실(43)의 상하 방향 중앙부의 작업 공간이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캐빈(9)의 일부 또는 전부가 외측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고,
    상기 캐빈 프레임(11)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플로어 시트(31)가 설치되는 캐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11)의 상부 전방 프레임(15)이 좌우 방향 양단부로부터 좌우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상방을 향하도록 상방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상기 캐빈 프레임(11)의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주(12)가 상하 방향 양단부로부터 상하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외측방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전방 지주(12)의 상하 방향 중앙보다도 상부측이, 상단부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후방으로 향하도록 후방 경사형으로 만곡되어 있고,
    상기 캐빈 프레임(11)의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주(13)가 상기 한 쌍의 전방 지주(12)의 상반부에 대응하여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감에 따라서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고,
    상기 캐빈 프레임(11)의 좌우 한 쌍의 상측 프레임(17)이 전후 방향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좌우 외측을 향하도록 외측방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상측 프레임(17)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들에 고정되어 있는 보강 프레임(RF)이 구비되어 있는 캐빈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RF)은 상기 좌우 한 쌍의 상측 프레임(17)에 대해 각각 고정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와, 이들 다리부의 상단부에 연결된 수평 부분을 갖고, 상기 보강 프레임(RF)의 상변은 상기 캐 빈 프레임(11)의 상부 전방 프레임(15)의 가장 높은 부분보다도 높은 레벨에 위치하고 있는 캐빈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9)에 설치된 전방 유리(34)의 상단부가 캐빈 프레임(11)의 상기 상부 전방 프레임(15)보다도 전방 돌출하여 하방으로 구부러지도록 만곡 형성되고, 상기 전방 유리(34)의 상기 상단부보다도 하방측이, 상기 캐빈 프레임(11)의 상부 전방 프레임(15)보다도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9)의 좌우측부 내면(35, 36)이 전후 방향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외측방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캐빈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9)의 내측 루프(40)의 하면이 전후 방향 양단부로부터 전후 방향 중앙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상방을 향하도록 상방 팽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는 캐빈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실(43) 내의 후방부에 배치된 운전석(44)의 하방측에 에어컨 본체(60)를 설치하고, 이 에어컨 본체(60)로부터 송출되는 공조 공기를 안내하는 송출측 덕트(73)를 상기 캐빈(9)의 바닥부의 상기 플로어 시트(31)의 상면을 따라 상기 에어컨 본체(6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운전석(44)의 전방에 배치된 스티어링 핸들(45)의 근방에서 공조 공기를 취출하는 취출측 덕트(76)를 구비하고, 이들 상기 송출측 덕트(73)와 상기 취출측 덕트(76)를 중계하는 중계 덕트(77)를 상기 캐빈(9)의 전방면 외측에 배치하고,
    상기 캐빈 프레임(11)의 전방면측 하부의 좌우 방향 중앙측에 상기 캐빈(9)의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전방 패널(23)을 구비하고, 이 전방 패널(23)에 상하 한 쌍의 덕트 삽입 관통구(71, 72)를 형성하고, 상측의 덕트 삽입 관통구(71)를 거쳐서 상기 중계 덕트(77)의 상단부측을 상기 취출측 덕트(76)에 접속하고, 하측의 덕트 삽입 관통구(72)를 거쳐서 상기 중계 덕트(77)의 하단부측을 상기 송출측 덕트(73)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 프레임(11)의 전방면측 하부의 좌우 방향 중앙측에 캐빈(9)의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전방 패널(23)을 구비하고, 이 전방 패널(23)의 캐빈(9) 실내측에 캐빈(9)의 전방 유리의 내면측에 공조 공기를 취출하는 디프로스터 덕트(82)를 설치하고, 에어컨 본체(60)로부터 송출되는 공조 공기를 디프로스터 덕트(82)로 안내하는 제2 송출측 덕트(7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9)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상기 플로어 시트(31)에는 상방측으로부터 움푹 패여 있어 송출측 덕트(73)를 수용하는 오목부(9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프로스터 덕트가 좌우 한 쌍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 부분과 상기 좌우측 부분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수평의 상부 부분으로 형성되어 있어 전방 패널에 부착 고정되고, 상기 디프로스터 덕트에 계기판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장치.
KR1020080001570A 2004-06-29 2008-01-07 캐빈 장치 KR100996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91985A JP4381241B2 (ja) 2004-06-29 2004-06-29 キャビン装置
JPJP-P-2004-00191986 2004-06-29
JPJP-P-2004-00191988 2004-06-29
JP2004191988A JP4216773B2 (ja) 2004-06-29 2004-06-29 キャビンの空調装置
JPJP-P-2004-00191987 2004-06-29
JPJP-P-2004-00191985 2004-06-29
JP2004191986A JP4226520B2 (ja) 2004-06-29 2004-06-29 キャビン
JP2004191987A JP4226521B2 (ja) 2004-06-29 2004-06-29 キャビン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006A Division KR20060048576A (ko) 2004-06-29 2005-06-28 캐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005A KR20080013005A (ko) 2008-02-12
KR100996774B1 true KR100996774B1 (ko) 2010-11-25

Family

ID=355405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006A KR20060048576A (ko) 2004-06-29 2005-06-28 캐빈 장치
KR1020080001570A KR100996774B1 (ko) 2004-06-29 2008-01-07 캐빈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006A KR20060048576A (ko) 2004-06-29 2005-06-28 캐빈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90829B2 (ko)
KR (2) KR200600485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086B1 (ko) 2019-01-31 2020-05-25 주식회사 삼우농기 트랙터용 바디 마운트
KR20240012871A (ko) 2022-07-21 2024-01-30 주식회사 삼우농기 트랙터용 방진 마운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09787B2 (ja) * 2004-02-26 2009-01-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7770963B2 (en) * 2005-07-19 2010-08-10 Komatsu Ltd. Cab structure for construction machine
JP4333657B2 (ja) * 2005-09-28 2009-09-1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小型作業機械のキャノピ構造
US7677646B2 (en) * 2006-03-13 2010-03-16 Kubota Corporation Vehicle frame for work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7950726B2 (en) * 2007-08-17 2011-05-31 Brown Keith R Air ride system for a tractor cab
US7731273B2 (en) * 2008-01-31 2010-06-08 Cnh America Llc Work vehicle viewing system
US9235644B2 (en) * 2008-07-14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Operator, device and platform independent aggregation, cross-platform translation, enablement and distribution of user activity catalogs
DE112009001218B4 (de) * 2008-07-16 2015-10-01 Komatsu Ltd. Führerhaus für eine Baumaschine
DE102009027334A1 (de) * 2009-06-30 2011-01-05 Deere & Company, Moline Rahmenkonstruktion
US20110162901A1 (en) * 2010-03-24 2011-07-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oling air duct for electric vehicle
US8485589B2 (en) * 2010-03-30 2013-07-16 Kubota Corporation Cabin system
US9914336B2 (en) * 2010-06-24 2018-03-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 compartment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IT1401209B1 (it) 2010-07-02 2013-07-12 Cnh Italia Spa Cabina per veicolo agricolo attrezzata con un sistema di ventilazione e di condizionamento dell'aria
US20110165832A1 (en) * 2010-08-25 2011-07-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 compartment exhaust duct with enhanced air cooling features
US8997908B2 (en) * 2011-02-11 2015-04-07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all terrain vehicle
US9650078B2 (en) 2011-02-11 2017-05-16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all terrain vehicle
US8973693B2 (en) * 2011-02-11 2015-03-10 Polaris Industries Inc. Side by side all terrain vehicle
GB201112314D0 (en) * 2011-07-18 2011-08-31 Valtra Oy Ab Rollover protection structure for an agricultural tra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EP3173316A3 (en) * 2012-05-04 2017-07-05 Polaris Industries Inc. Side by side all terrain vehicle
JP2013252073A (ja) * 2012-06-05 2013-12-19 Kubota Corp 対地作業ユニットを装備した作業車
CN104661903B (zh) 2012-09-20 2017-11-10 北极星工业有限公司 多功能车辆
US9440671B2 (en) 2012-09-20 2016-09-13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US10246153B2 (en) 2012-10-11 2019-04-02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vehicle
BR112015007825A2 (pt) 2012-10-11 2017-07-04 Polaris Inc veículo utilitário, choque de desvio, retentor de estepe, assento para um veículo, e, conjunto de acoplamento
US8702154B1 (en) * 2013-02-07 2014-04-22 Caterpillar Inc. Cab frame with integrated rollover protective structure
AU2014227985B2 (en) 2013-03-15 2017-05-25 Polaris Industries Inc. Utility vehicle
US9027687B2 (en) 2013-05-15 2015-05-12 Komatsu Ltd. Cab, and work vehicle
US10259287B2 (en) * 2013-07-18 2019-04-16 Orvell B. Reynolds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n open motorized vehicle
CN104350213B (zh) * 2014-03-28 2016-05-18 株式会社小松制作所 驾驶室及作业车辆
JP2016030559A (ja) * 2014-07-30 2016-03-07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US20160222691A1 (en) * 2015-01-29 2016-08-04 Clarence Williams, Jr. Screen canopy for zero turn mower
CN113183701A (zh) 2015-05-15 2021-07-30 北极星工业有限公司 多用途车辆
US9878614B1 (en) 2016-01-27 2018-01-30 Textron Innovations Inc. All-terrain vehicle
US10946736B2 (en) 2018-06-05 2021-03-16 Polaris Industries Inc. All-terrain vehicle
WO2020129980A1 (ja) 2018-12-19 2020-06-25 株式会社クボタ キャビン
IT201900004621A1 (it) * 2019-03-27 2020-09-27 Italcab S P A Struttura antiribaltamento per cabine
USD955952S1 (en) 2019-07-25 2022-06-28 Polaris Industries Inc. Door for a utility vehicle
US11447040B2 (en) 2019-07-26 2022-09-20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vehicle
USD942344S1 (en) 2019-07-26 2022-02-01 Polaris Industries Inc. Set of vehicle components
JP6795109B1 (ja) * 2020-02-10 2020-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室構造
JP2022154981A (ja) * 2021-03-30 2022-10-1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
CN114802492B (zh) * 2022-03-10 2023-07-28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一种驾驶室骨架、驾驶室及联合收割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4036A (en) 1987-07-14 1989-10-17 Sanden Corporation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forklift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5769A (en) * 1943-02-01 1946-02-26 Ray F Thornton Vehicle construction
DE2536820A1 (de) * 1975-08-19 1977-03-03 Kloeckner Humboldt Deutz Ag Fahrzeugkabine, insbesondere fuer land- und/oder bauwirtschaftlich nutzbare schlepper
US4097085A (en) * 1976-08-10 1978-06-27 Harmon's Northern Mfg., Inc. Tractor
JPH0624134B2 (ja) 1983-12-09 1994-03-30 株式会社東芝 燃料電池
NZ213234A (en) * 1984-11-26 1987-09-30 Kubota Ltd Front screen for tractor cabin
US5016722A (en) * 1989-01-31 1991-05-21 Kubota Ltd. Cab structure for riding type working vehicle
DE4001148A1 (de) * 1990-01-17 1991-07-18 Deere & Co Belueftungseinrichtung fuer fahrzeugkabine
US5286081A (en) * 1993-01-21 1994-02-15 Martin Sheet Metal, Inc. Panel cab
JP2986307B2 (ja) 1993-06-17 1999-12-06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におけるキャビンの空調装置の外気導入構造
DE19541934A1 (de) 1995-11-10 1997-05-15 Same Spa Fahrzeugkabine
CN1075852C (zh) * 1996-01-30 2001-12-05 日立建机株式会社 摇摆式液压挖掘机
JP3120736B2 (ja) * 1996-08-02 2000-12-2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キャブオーバ型車両の安全装置
JP3934221B2 (ja) 1997-09-26 2007-06-20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のキャビン
JP3779454B2 (ja) * 1997-12-04 2006-05-3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運転室
US6394212B1 (en) * 1997-12-22 2002-05-2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Rotary type construction machine and cab, equipment housing cover and counterweight for such construction machine
KR100327728B1 (ko) * 1998-05-26 2002-03-15 세구치 류이치 건설기계용 캐브
US6149228A (en) * 1998-12-09 2000-11-21 Deere & Company Modular operator enclosure
JP3579279B2 (ja) 1999-01-28 2004-10-20 株式会社クボタ キャビン
US6322136B2 (en) * 1999-10-05 2001-11-27 Deere & Company Vehicle headliner mounting structure
DE10013065A1 (de) 2000-03-17 2001-09-20 Still Gmbh Kabine eines Flurförderzeugs
US6189955B1 (en) * 2000-04-18 2001-02-20 Deere & Company Operator enclosure for an agricultural tractor
DE60001403T2 (de) * 2000-07-28 2003-10-30 Same Deutz Fahr Spa Kabinerahmen für landwirtschaftliche Maschine
DE10044175A1 (de) * 2000-09-07 2002-03-21 Deere & Co Vormontierte Verkleidungsbaueinheit für eine Fahrzeugkabine
US6523905B2 (en) * 2000-09-08 2003-02-25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rawler carrier having an engine, a hydraulic pump and a heat exchanger positioned in a lateral direction
GB2366822B (en) * 2000-09-13 2004-01-28 Bamford Excavators Ltd Support means for a window
CN1140676C (zh) * 2000-09-18 2004-03-03 日立建机株式会社 施工机械用驾驶室
CN1140675C (zh) * 2000-09-18 2004-03-03 日立建机株式会社 施工机械用驾驶室
GB2367038A (en) * 2000-09-20 2002-03-27 New Holland Uk Ltd Cab for an agricultural vehicle
US6543830B1 (en) * 2002-03-28 2003-04-08 Atv Cabs, Llc ATV cab assembly
JP3976246B2 (ja) * 2002-05-14 2007-09-12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における空調装置
JP2004042739A (ja) * 2002-07-10 2004-02-12 Komatsu Ltd 作業車両における運転室
FR2846677B1 (fr) 2002-11-06 2005-04-22 Bernard Coeuret Cabine de conducteur de vehicule de chantier notamment a roues ou a chaines
US6902024B2 (en) * 2002-11-27 2005-06-07 Clark Equipment Company Lateral operator restraint system and position sensor for material handler
US6957853B2 (en) * 2003-04-02 2005-10-25 Sears Manufacturing Co. Vehicle seating apparatus
JP4183549B2 (ja) * 2003-04-25 2008-11-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運転室屋根部材
USD505432S1 (en) * 2003-11-13 2005-05-24 Saf-T-Cab, Inc. Off highway mobile equipment cab
GB0327231D0 (en) * 2003-11-22 2003-12-24 Cnh Uk Ltd Utility box for an agricultural vehicle
JP4381241B2 (ja) 2004-06-29 2009-12-09 株式会社クボタ キャビン装置
JP4226520B2 (ja) 2004-06-29 2009-02-18 株式会社クボタ キャビン
JP4216773B2 (ja) 2004-06-29 2009-01-28 株式会社クボタ キャビンの空調装置
JP4226521B2 (ja) 2004-06-29 2009-02-18 株式会社クボタ キャビン
GB2418892A (en) * 2004-10-06 2006-04-12 Cnh Belgium Nv Cab for an agricultural vehicle
US7007999B1 (en) * 2004-12-13 2006-03-07 Schneller Daniel P Utility vehicle windscree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4036A (en) 1987-07-14 1989-10-17 Sanden Corporation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forklif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086B1 (ko) 2019-01-31 2020-05-25 주식회사 삼우농기 트랙터용 바디 마운트
KR20240012871A (ko) 2022-07-21 2024-01-30 주식회사 삼우농기 트랙터용 방진 마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06696A1 (en) 2006-01-12
KR20060048576A (ko) 2006-05-18
US7290829B2 (en) 2007-11-06
KR20080013005A (ko) 2008-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774B1 (ko) 캐빈 장치
US5897155A (en) Center console for a motor vehicle
US7069736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hydraulic shovel
JP2007062573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4381241B2 (ja) キャビン装置
JP4216773B2 (ja) キャビンの空調装置
JP4246162B2 (ja) キャビンのダクト構造
JP2006008076A5 (ko)
JP4216814B2 (ja) キャビン装置
JP2000219029A (ja) キャビン
JP4226521B2 (ja) キャビン
JP4443486B2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4326421B2 (ja) 走行車両用キャビンのドア取付支柱
CN102985269B (zh) 用于动力机械的通风系统
JP4226520B2 (ja) キャビン
JP6529272B2 (ja) 建設機械のデフロスタ
JP4246163B2 (ja) キャビンのダクト構造
JP6958389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9255919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JP201912724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4624869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6205764A (ja) キャビン装置
JP2008013033A (ja) 建設機械
JP2012116446A (ja) 車両における空調装置
JP2009255920A (ja) 作業車のキャビン用空調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