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190B1 - 토션 스프링, 탄성기구와 그 부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와 휴대용 응용기기 - Google Patents

토션 스프링, 탄성기구와 그 부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와 휴대용 응용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190B1
KR100977190B1 KR1020080030380A KR20080030380A KR100977190B1 KR 100977190 B1 KR100977190 B1 KR 100977190B1 KR 1020080030380 A KR1020080030380 A KR 1020080030380A KR 20080030380 A KR20080030380 A KR 20080030380A KR 100977190 B1 KR100977190 B1 KR 100977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sion spring
winding
winding portion
arm
elastic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2631A (ko
Inventor
한 상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텔
한 상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89474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7719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텔, 한 상 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텔
Publication of KR20080032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2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0Spiral springs with turns lying substantially in plane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pring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무선전화기, PDA, PMP 등 휴대형 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토션 스프링과 탄성기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탄성기구는 내측 일단에서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바깥쪽으로 감겨진 제1감김부와 상기 제1감김부의 외측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 제1연장팔을 갖는 제1토션 스프링, 상기 제1토션 스프링과 동일 평면상에 이웃하여 배치되고 내측 일단에서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바깥쪽으로 감겨진 제2감김부와 상기 제2감김부의 외측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 제2연장팔을 갖는 제2토션 스프링 및 상기 제1토션 스프링의 양단 중 어느 일단과 상기 제2토션 스프링의 양단 중 어느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종래의 겹치는 부위를 갖는 토션 스프링에 비해 그 두께를 작게 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 폰 등의 휴대형 기기의 두께를 얇게 만들 수 있도록 해주고, 감김부의 감김 횟수를 늘릴 수 있고, 이에 따라 응력이 분산되어 수명이 길어지며, 직경이 작은 강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뒤틀림에 의해 스프링이 뒤집어지려고 하는 힘이 발생되지 않는다.
슬라이드, 슬라이딩, 스프링, 탄성기구, 개폐

Description

토션 스프링, 탄성기구와 그 부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와 휴대용 응용기기 {Torsion spring, elastic device, part for the device and sliding apparatus and portable appliance utilizing the device}
본 발명은 토션 스프링과 탄성기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와 휴대형 응용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전화기, PDA, PMP 등 휴대형 응용기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토션 스프링과 탄성기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와 휴대형 응용기기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들이 두께가 얇은 기기를 선호함에 따라, 슬라이드식 휴대형 응용기기에서 그 두께를 줄이는 것이 큰 기술적 과제이다.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토션 스프링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개폐장치(10)는 안내부(11)가 형성되어 있는 안내부재(12)와 이 안내부재(12)에 이동 가능케 설치된 슬라이드부재(16) 및 안내부재(12)와 슬라이드부재(16) 사이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슬라이드부재(16)가 안내부(11)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회동되면서 수축하였다가 외력이 제거 되면 회동되면서 팽창하여 슬라이드부재(16)를 안내부(11)의 길이방향으로 밀어주는 토션 스프링(20)을 구비한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토션 스프링(20)은 강철선과 같이 탄성력이 큰 스프링선(22)의 일부를 원형 또는 소용돌이모양으로 감아서 일체로 만들어지며, 스프링선(22)이 원형 또는 소용돌이모양으로 감겨진 감김부(24)와 이 감김부(24)에서 외부로 연장된 연장팔(26)을 구비한다. 슬라이딩 개폐장치(10)의 토션 스프링(20)에 사용되는 스프링선(22)은 그 직경이 0.5㎜의 것이 많이 사용되며, 슬라이딩 개폐장치(10)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 직경이 0.45㎜의 스프링선(22)이 사용되기도 한다. 직경이 0.45㎜보다 작은 스프링선(22)을 이용하여 토션 스프링(20)을 만드는 경우 슬라이드부재(16)를 밀어줄 수 있는 비틀림 모멘트의 크기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겹치는 부위 때문에 토션 스프링(20)이 틀어지면서 뒤집어지려고 하는 경향이 생긴다. 이 경우 토션 스프링(20)은 회전동작 시 안내부재(12) 또는 슬라이드부재(16)와 큰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조립작업을 어렵게 만든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런 토션 스프링(20)은 슬라이딩 개폐장치(10)에 사용될 수 없다.
특히 종래의 토션 스프링(10)은 겹치는 부위 때문에 그 연장팔(26)은 감김부(24)에서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 때문에 연장팔(26)이 회전되면 자연적으로 일측 감김부(24)가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안내부재(12)와 슬라이드부재(16) 사이에 스프링선(22)의 직경의 2배 이상의 간격이 필요하다. 통상 작동 시의 여유를 스프링선(22)의 직경의 약 3배 높이의 간격이 필요하다. 이는 슬라이딩 개폐장치(10) 또는 슬라이딩 개폐장치(10)가 설치되는 휴대 용 무선전화기 등 최종제품의 두께를 줄이는 데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안내부재(12)와 슬라이드부재(16) 사이의 간격은 토션 스프링(20)의 원활한 회전동작을 고려하여 스프링선(22)의 직경의 2배보다 조금 더 크게 유지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스프링선(22)의 직경이 0.5㎜라면 안내부재(12)와 슬라이드부재(16) 사이의 간격은 약 1.5㎜ 정도로는 유지되어야 한다.
그리고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토션 스프링(20)은 연장팔(26)이 감김부(24) 외부로 빠져나와야 되기 때문에 여러 회 감기 어렵다. 감긴 횟수가 줄어들면, 응력의 분산정도가 떨어지고 감김부의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탄성력도 줄어든다는 단점이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토션 스프링에 비해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탄성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응력을 분산시키고 토션 스프링의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탄성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탄성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되는 스프링선의 직경을 줄일 경우 겹침에 의해 뒤집어지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일한 토션 스프링으로도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탄성력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탄성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슬라이딩 개폐장치에 비해 그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스프링선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도록 해주는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를 적용하여 그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해주는 휴대형 응용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토션 스프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진 감김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일단은 상기 감김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토션 스프링 및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 또는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에 대한 회동각도에 따라 상기 감김부의 감김 정도를 변화시키고 상기 감김부의 감김 정도에 대응되는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탄성력을 받는 팔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탄성기구 한 쌍이 상기 팔부재를 통해 소정 각도 회동 가능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은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진 제1감김부와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진 제2감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감김부와 상기 제2감김부는 각각의 바깥쪽 연장부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팔부재는 제1감김부의 내측 끝단에 연결되는 제1팔부재와 상기 제2감김부의 내측 끝단에 연결되는 제2팔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좋다.
상기 제1감김부에 연결된 상기 제1팔부재의 일단과 상기 제2감김부에 연결된 상기 제2팔부재의 일단을 각각 회전 가능케 지지하고 상기 제1팔부재와 상기 제2팔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은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진 제1감김부 및 상기 제1감김부와 분리되어 상기 제1감김부와 동일 평면상에 이웃하여 배치되고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진 제2감김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팔부재는 상기 제1감김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1팔부재와 상기 제2감김부의 일단에 연결되는 제2팔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기구는 상기 제1감김부에 연결된 상기 제1팔부재의 일단과 상기 제2감김부에 연결된 상기 제2팔부재의 일단을 각각 회전 가능케 지지하고 상기 제1팔부재와 상기 제2팔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감김부의 타단과 상기 제2감김부의 타단은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제1팔부재와 제2팔부재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1 및 제2스토퍼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팔부재와 상기 제2팔부재에는 상기 스토퍼에 걸려 회동범위의 제한을 받는 제1 및 제2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제1감김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1감김부 수용홈과 상기 제2감김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감김부 수용홈을 갖는 토션 스프링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1팔부재에는 상기 제1감김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1감김부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팔부재에는 상기 제2감김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감김부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하로 가압되거나 컷팅 또는 인발에 의해 스프링선의 폭보다 두께가 감소된 두께 감소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팔부재에 복수 개의 상기 토션 스프링이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팔부재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이 연결되는 부위를 수용하여 지지하고 상기 팔부재의 회동을 허용하는 홈이 형성된 것이 좋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1감김부와 상기 제2감김부는 두께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팔부재 또는 연결부재는 상기 토션 스프링 두께의 2배 이하의 두께를 갖는 박판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팔부재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측을 사이에 두고 제1박판부재와 제2박판부재가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박판부재와 상기 제2박판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틈을 두고 양측에서 내측으로 가압되어 돌출된 토션 스프링 연결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 또는 타단은 상기 틈에 끼워져서 상기 팔부재에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팔부재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측을 사이에 두고 제1박판부재와 제2박판부재가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박판부재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회동을 허용하기 위한 부분 이외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상기 팔부재의 길이 방향의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2박판부재를 향해 꺾여진 제1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1테두리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용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박판부재는 상기 토션 스프링의 회동을 허용하기 위한 부분 이외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상기 팔부재의 길이 방향의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기 제1박판부재를 향해 꺾여진 제2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2테두리 저부에는 상기 결합용 돌기들이 꺾여서 결합되어 상기 제1박판부재와 상기 제2박판부재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결합용 홈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 연결용 돌출부는 상기 제1박판부재와 상기 제2박판부재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일측의 것은 많이 돌출되고, 타측의 것은 적게 돌출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내측 일단에서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바깥쪽으로 감겨진 제1감김부와 상기 제1감김부의 외측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 제1연장팔을 갖는 제1토션 스프링, 상기 제1토션 스프링과 동일 평면상에 이웃하여 배치되고 내측 일단에서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바깥쪽으로 감겨진 제2감김부와 상기 제2감김부의 외측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 제2연장팔을 갖는 제2토션 스프링 및 상기 제1토션 스프링의 양단 중 어느 일단과 상기 제2토션 스프링의 양단 중 어느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감김부의 내측 끝단과 상기 제2감김부의 내측 끝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토션 스프링의 일측과 제2토션 스프링의 일측을 사이에 두고 제1박판부재와 제2박판부재가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박판부재와 상기 제2박판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토션 스프링과 제2토션 스프링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틈을 두고 양측에서 내측으로 가압되어 돌출된 토션 스프링 연결용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토션 스프링과 상기 제2토션 스프링의 일단 또는 타단은 상기 틈에 끼워져서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토션 스프링의 일측과 제2토션 스프링의 일측을 사이에 두고 제1박판부재와 제2박판부재가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박판부재는 상기 제1토션 스프링과 제2토션 스프링의 회동을 허용하기 위한 부분 이외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 방향의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기 제2박판부재를 향해 꺾여진 제1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1테두리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용 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박판부재는 상기 제1토션 스프링과 상기 제2토션 스프링의 회동을 허용하기 위한 부분 이외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 방향의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기 제1박판부재를 향해 꺾여진 제2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2테두리 저면에는 상기 결합용 돌기들이 꺾여서 결합되어 상기 제1박판부재와 상기 제2박판부재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결합용 홈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토션 스프링 연결용 돌출부는 상기 제1박판부재와 상기 제2박판부재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션 스프링과 상기 제2토션 스프링이 연결되는 부위 사이의 상기 제1박판부재 또는 상기 제2박판부재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강성과 두 박판부재의 결합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서로를 향해 돌출시킨 가압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좋다.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제1감김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1감김부 수용홈과 상기 제2감김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감김부 수용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경우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연장팔의 끝단과 상기 제2연장팔의 끝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연장팔의 끝단과 상기 제2감김부의 내측 끝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팔의 끝단과 상기 제2연장팔의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내측으로 감겨진 감김부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상면에 결합되는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1토션스프링의 두께의 2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토션 스프링의 두께와 상기 제2토션 스프링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션 스프링과 상기 제2토션 스프링이 연결되는 부위의 상기 연결부재에는 연결부위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홈들의 일측은 외부로 개방되어 상기 제1연장팔과 상기 제2연장팔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홈들의 개방된 부분에 상기 제1연장팔과 상기 제2연장팔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안내부를 갖는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된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안내부재와 슬라이드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은 상기 안내부재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상기 안내부재에 대한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안내부의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밀어주는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응용기기는 안내부를 갖는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된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안내부재와 슬라이드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은 상기 안내부재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상기 안내부재에 대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밀어 올리거나 당겨 내리는 외력에 의한 움직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안내부의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밀어주는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탄성력을 제공하 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를 포함하여, 슬라이딩 개폐 메커니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션 스프링은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지고 일단이 그 내측에 배치되는 제1감김부 및 상기 제1감김부의 바깥쪽 연장부에서 겹치는 부위 없이 내측으로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지고 타단이 그 내측에 배치되는 제2감김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진 토션 스프링과 이 토션 스프링에 연결되는 박판의 팔부재 또는 연결부재로 구성하여 종래의 겹치는 부위를 갖는 토션 스프링에 비해 그 두께를 작게 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가 적용된 슬라이드 폰 등의 휴대형 기기의 두께를 얇게 만들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연장팔이 스토퍼에 걸리는 회전각도를 조정하여 설계할 수 있으므로 탄성기구의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탄성력의 크기 조절이 용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토션 스프링의 적어도 일단이 감김부 내측에서 끝나기 때문에 토션 스프링의 감김부의 감김 횟수를 늘릴 수 있고, 이에 따라 응력이 분산되어 토션 스프링, 탄성기구 및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수명이 길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 종래의 토션 스프링은 겹치는 부위 때문에 직경이 0.45㎜보다 작은 강선을 사용하는 경우 뒤틀림에 의해 스프링이 뒤집어지려고 하는 힘이 발생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그 토션 스프링이 겹치는 부분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직경이 0.45㎜보다 작은 0.35㎜, 0.3㎜ 등 직경이 상대적으로 각은 강선 등을 사용하여 토션 스프링을 만들더라도 뒤틀림에 의해 토션 스프링이 뒤집어지려고 하는 힘이 발생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와 이를 이용하는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그 두께가 매우 얇아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와 도 5는 도 3 탄성기구의 변형 예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는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진 감김부(112)를 갖는 토션스프링(110)을 구비한다. 감김부(112)는 적어도 1회 이상 감긴다. 감김부(112)는 1.5회, 더 나아가 2회 이상 감기는 것이 좋다.
토션 스프링(11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팔 없이 구성될 수도 있고,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팔(114)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는 팔부재(130)를 구비한다. 이 팔부재(130) 의 일측은 토션 스프링(110)의 일단에 연결되며, 토션 스프링(110)에 대한 회동각도에 따라 감김부(112)의 감김 정도를 변화시키고 감김부(112)의 감김 정도에 대응되는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회전 방향의 탄성력을 받는다. 이러한 팔부재(130)는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김부(112)의 내측에 위치하는 토션 스프링(110)의 일단에 연결될 수도 있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110)의 연장팔(114)의 끝단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탄성기구(100)는 슬라이드 길이가 긴 슬라이딩 개폐장치에 사용하기는 힘들지만, 슬라이드 길이가 짧고 한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슬라이딩 개폐장치에는 사용될 수 있으며, 또 두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예를 들면 회전 슬라이드 장치의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 나타낸 탄성기구(100)에서 토션 스프링(110)의 연장팔(114)의 길이와 팔부재(130)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팔부재(130)로는 필요에 따라 토션 스프링(110) 두께보다 작거나 큰 플라스틱판 또는 금속판을 이용할 수 있다. 가능하면 토션 스프링(110)의 두께의 2배 이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더 좋기로는 1.5배 이하의 두께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뒤에서 설명되는 연결부재(150)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팔부재(130)는 힘을 받는 방향으로 폭이 넓기 때문에 그 두께는 매우 얇게 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110)이 놓이는 부분의 팔부재(130)에는 토션 스프링(110) 두께 정도의 감김부 수용홈(132) 또는 연장팔 연결홈(134)을 형성한다. 이 경우 토션 스프링(110) 하부에 놓이는 부분의 팔부재(130)의 두께는 토션 스프링(110)의 두께보다 작고, 토션 스프링(110)의 상면은 팔부재(130)의 높은 부분의 표면과 같은 높이에 놓이게 되고, 토션 스프링(110)을 만드는 스프링선 직경의 2배보다 작은 두께로 만들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는 그 두께를 대략 팔부재(130)와 같은 두께로 만들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는 종래 겹치는 부위를 갖는 종래 토션 스프링에 비해 그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두께가 중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토션 스프링(110) 두께의 2배 이상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는 겹침부위가 없으므로 0.45㎜ 이하의 직경을 갖는 스프링선을 사용하여 토션 스프링을 만들더라도 겹침부위 때문에 뒤틀려 뒤집어지려고 하는 현상이 생기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는 종래의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스프링선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는 효과도 가진다.
이러한 효과들은 이후의 실시 예들의 설명에서 언급되지 않더라도 그대로 적용되는 효과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토션 스프링(11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감김부(112a)와 제2감김부(112b)가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토션 스프링(110)은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진 제1감김부(112a)와 상기 제1감김부(112a)의 바깥쪽에 연결되고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진 제2감김부(112b)를 가지며 제1감김부(112a)와 제2감김부(112b)는 일체로 연결된 형 태를 가진다.
도 6에서, 토션 스프링(110)의 일단은 제1감김부(112a)의 내측에 배치되고 토션 스프링(110)의 타단은 제2감김부(112b)의 내측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감김부(112a)의 내측 끝단에는 제1팔부재(130a)가 연결되고, 제2감김부(112b)의 내측 끝단에는 제2팔부재(130b)가 연결된다. 물론, 제1팔부재(130a)와 제2팔부재(130b)에는 제1감김부(112a)의 끝단과 제2감김부(112b)의 끝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134a, 134b)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제1팔부재(130a)가 토션 스프링(110)과 연결되는 부분과 제2팔부재(130b)가 토션 스프링(110)과 연결되는 부분의 두 지점간의 거리보다 두 팔부재(130a, 130b)의 두 자유단 간의 거리가 커야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그 반대로 구성되어 소정 기기의 스프링 또는 탄성체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감김부(112a)가 연결되는 부위의 제1팔부재(130a)에는 제1감김부(112a)의 수용을 위한 제1감김부 수용홈(132a)이 형성되어 있고, 제2감김부(112b)가 연결되는 부위의 제2팔부재(130b)에는 제2감김부(112b)의 수용을 위한 제2감김부 수용홈(132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제2팔부재(130a, 130b)는 토션 스프링(110) 두께의 2배보다 훨씬 작은 두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110)을 0.5㎜의 스프링선으로 만든 경우, 제1, 제2팔부재(130a, 130b)는 0.2㎜~1.0㎜ 정도 두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재료 등 강성이 큰 박판의 재료로 감김부 수용홈 없이 팔부재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0.2㎜와 같이 매우 작은 두께의 것이 팔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두께가 중요하지 않은 경우 토 션 스프링의 두께보다 2배 이상의 두께를 갖는 팔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탄성기구(100)의 토션 스프링(110) 역시 겹치는 부위를 가지지 않으므로 0.45㎜ 보다 작은 직경의 강선 등의 스프링선(W)을 사용하여 만들더라도 뒤틀림에 의해 뒤집어지려고 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 경우 일반 토션 스프링을 만드는 강선으로 0.35㎜, 0.3㎜ 직경을 가지는 것을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의 토션 스프링(110)을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 탄성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을 저면 쪽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는 도 6에서 설명한 제1감김부(112a)와 제2감김부(112b)가 일체로 형성된 토션 스프링(110)과 제1감김부(112a)와 제2감김부(112b)의 내측 끝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팔부재(130a) 및 제2팔부재(130b) 및 토션 스프링(110)을 수용하여 지지하고 제1팔부재(130a)와 제2팔부재(130b)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50)를 구비한다.
제1감김부(112a)와 제2감김부(112b) 사이의 연결부위의 길이와 감김부에 대한 꺾임각도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7의 토션 스프링(110)은 그 연결부위가 짧게 그리고 양측 감김부의 감김 방향에 대해 약 90ㅀ 로 급격하게 꺾여진 형태로 되어 있다.
연결부재(150)에는 토션 스프링(110)을 수용하기 위한 토션 스프링 수용홈(152)이 형성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 수용홈(152)은 제1감김부(112a)를 수용하 기 위한 제1감김부 수용홈(152a)과 제2감김부(112b)를 수용하기 위한 제2감김부 수용홈(152b)을 구비하며, 제1감김부 수용홈(152a)과 제2감김부 수용홈(152b)의 중앙부에는 제1팔부재(130a)의 일단과 제2팔부재(130b)의 일단을 회전 가능케 지지하기 위한 구멍(154a, 154b)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대응되는 위치의 제1팔부재(130a)와 제2팔부재(130b)에도 구멍(135a, 135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135a, 135b, 154a, 154b)들을 통해 힌지핀(170a, 170b)이 각각 삽입되며, 각 힌지핀(170a, 170b)에 제1팔부재(130a)와 제2팔부재(130b)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힌지핀(170a, 170b)은 연결부재(150)에 고정될 수도 있고, 제1팔부재(130a) 및 제2팔부재(130b)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팔부재(130a) 및 제2팔부재(130b)가 연결부재(150)에 연결되는 부위는 여타의 부분에 비해 그 두께가 작아지도록 단이 지게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50)에는 구멍(154a, 154b) 주변을 따라 제1팔부재(130a)와 제2팔부재(130b)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장공 형태의 제1, 제2스토퍼(156a, 156b)가 각각 형성되고, 제1팔부재(130a)와 제2팔부재(130b)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장공형태의 제1, 제2스토퍼(156a, 156b)에 삽입되어 그 회동범위의 제한을 받는 제1, 제2걸림턱(136a, 136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156a, 156b)와 걸림턱(136a, 136b)은 서로 그 위치를 바꾸어 설치될 수 있고,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부분이다.
도 10은 도 8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제1감김부(112a)와 제2감김부(112b)의 감김 횟수를 앞 실시 예 에서보다 적게 한 것으로, 나머지 사항은 앞 실시 예와 동일하다.
도 11은 도 8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을 저면 쪽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110)은 제1감김부(112a)와 제2감김부(112b)가 별도로 분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감김부(112a)와 제2감김부(112b)의 바깥쪽 일단은 연결부재(150)에 각각 고정된다. 이를 위해 제1감김부(112a)와 제2감김부(112b)의 바깥쪽 끝단은 디귿자 형태로 절곡하고, 연결부재(150)의 상측 중앙부에는 대응되는 디귿자 형태의 홈(158a, 158b)을 각각 형성하면 된다. 그리고 제1감김부(112a)와 제2감김부(112b)의 내측 끝단은 제1팔부재(130a)와 제2팔부재(130b)의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턱(136a, 136b)과 돌출부(138a, 138b) 사이에 삽입되어 제1팔부재(130a)와 제2팔부재(130b)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나머지 사항은 도 8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3 탄성기구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16에 나타낸 실시 예의 탄성기구(100)는 별도로 분리되어 구성된 제1토션 스프링(110a)과 제2토션 스프링(110b)을 구비한다.
제1토션 스프링(110a)은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진 제1감김부(112a)와 제1감김부(112a)의 일단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 제1연장팔(114a)을 가진다.
제2토션 스프링(110b)은 제1토션 스프링(110a)과 마주보고 배치되며, 제1토션 스프링(110a)과 대칭의 모양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제2토션 스프링(110b)은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진 제2감김부(112b)와 제2감김부(112b)의 일단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 제2연장팔(114b)을 가진다.
제1연장팔(114a)과 제2연장팔(114b)의 끝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감겨진 형태로 하여도 되나 하방 또는 상방으로 꺾여져 설치되는 부재에 형성된 슬롯 등에 삽입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제1토션 스프링(110a)과 제2토션 스프링(110b)이 연결부재(150)에 장착 시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 제2감김부(112a, 112b)를 형성할 때 내측으로 갈수록 조금씩 높아지도록 하거나 연결부재(150)에 연결되는 내측단이 약간 높아진 상태로 만들면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토션 스프링(110a)과 제2토션 스프링(110b) 사이에는 연결부재(150)가 설치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감김부(112a)의 내측 끝단과 제2감김부(112b)의 내측 끝단이 연결부재(150)에 간격을 두고 각각 연결되어도 되고,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연장팔(114a)과 제2연장팔(114b)의 끝단이 연결부재(150)에 간격을 두고 각각 연결되어도 되고,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방식을 혼합하여도 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도 13의 실시 예에서 제1연장팔(114a) 또는 제2연장팔(114b) 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제1, 제2연장팔(114a, 114b) 모두의 끝단에 겹치는 부위 없이 감겨진 감김부(116a, 116b)를 더 형성하여 탄성기구(100)를 구성할 수 있다. 제1감김부(112a)의 내측 끝단 또는 제 2감김부(112b)의 내측 끝단이 연결부재(150)에 연결되는 경우, 대응 부위의 연결부재(150)에는 제1감김부(112a) 또는 제2감김부(112b)가 수용될 수 있는 제1감김부 수용홈(152a) 및/또는 제2감김부 수용홈(152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연장팔(114a) 또는 제2연장팔(114b)의 끝단이 연결부재(150)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홈(152c, 152d)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150)에는 제1연장팔(114a)과 제2연장팔(114b)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스토퍼(156c, 156d)를 각각 형성하여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156c, 156d)는 예각으로 경사지게 하거나 연장팔(114a, 114b) 상면 쪽 일부가 걸리는 부분을 형성하여 연장팔(114a, 114b)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제1토션 스프링(110a)과 제2토션 스프링(110b)의 연장팔(114a, 114b)의 외력이 제거된 초기상태는 도 13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펼쳐질 수 있으나, 슬라이드부재의 동작에 필요한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탄성력 등을 고려하여 연장팔(114a, 114b)을 충분히 회전시켜 스토퍼(156c, 156d)에 걸리도록 장착한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150)에 고정되는 부위에 대한 연장팔(114a, 114b)이 스토퍼(156c, 156d)에 걸리는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탄성기구(100)의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탄성력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큰 장점 중의 하나이다.
이 경우 역시, 탄성기구(100)는 대부분의 경우 두 연장팔(114a, 114b) 끝단간의 거리가 연결부재(150)에 연결되는 두 지점간의 거리보다 크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경우에 따라서는 그 반대로 구성되어 소정 기기의 스프링 또는 탄성체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7과 도 18은 원형 외에 토션 스프링을 구성하기 위한 스프링선의 단면 모양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토션 스프링은 탄성이 큰 금속으로 만들어진 원형단면 모양의 스프링선(w)으로 주로 만들어지지만, 토션 스프링의 두께를 줄이고자하는 경우에는 토션 스프링을 만든 후 또는 만들기 전에 원형단면 모양의 스프링선(w)을 상하로 가압 또는 컷팅에 의해 또는 스프링선의 인발 시 폭보다 두께가 감소되도록 하여 도 17 또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일면이 평탄하게 되도록 하여 그 두께가 감소된 두께 감소부(118)를 형성한 것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 토션 스프링은 사각단면 등 다른 다각단면 모양의 스프링선으로 만들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작동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에서, 제1팔부재(130a)의 일단은 제1팔부재(130a)의 회동연결부(133a)를 통해 안내부재(210)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제2팔부재(130b)의 일단은 제2팔부재(130b)의 회동연결부(133b)를 통해 슬라이드부재(216)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슬라이드부재(216)에 상방으로 힘이 가해지면 제2팔부재(130b)는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연결부재(150)를 위쪽으로 밀어주고, 연결부재(150)는 제1팔부재(130a)를 반시계방향으로 밀어준다. 물론, 연결부재(150)는 제1팔부재(130a)와 제2팔부재(130b)의 회동을 허용한다. 이에 따라 제1팔부재(130a)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슬라이드부재(216)에 연결되는 제2팔부재(130b)의 끝단 지지점(s2)은 슬라이드부재(216)를 따라 상승되면서 제1팔부재(130a)의 지지점(s1)의 높이까지 탄성기구(100)는 수축된다. 탄성기구(100)가 수축되면 수축된 만큼 내측의 토션 스프링이 회전되면서 압축되고 그에 대응되는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탄성력이 저장된다. 제2팔부재(130b)의 지지점(s2)이 제1팔부재(130a)의 지지점(s1)을 통과한 후에는 외력을 제거하더라도 탄성기구(100)의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제1팔부재(130a)와 제2팔부재(130b)가 펼쳐지면서 슬라이드부재(216)를 상방으로 밀어 올린다. 이렇게 하여 탄성기구(100)가 완전히 펼쳐진 후, 다시 슬라이드부재(216)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앞의 동작과정과 역과정으로 동작된다.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가 설치된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예들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 한 쌍이 안내부재(210)와 슬라이드부재(216) 사이에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다. 도 20에서, 제1팔부재(130a)는 그의 회동연결부(133a)를 통해 안내부(211)를 갖는 안내부재(210)에 제자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팔부재(130b)는 그의 회동연결부(133b)를 통해 안내부(21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부재(216)에 제자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탄성기구(100)는 안내부재(210)에 대한 슬라이드부재(216)의 이동위치에 따라 회동되면서 수축 또는 팽창되고, 슬라이드부재(216)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회동 및 팽창되면서 슬라이드부재(216)를 안내부(211)의 제1방향(상방방향) 또는 제2방향(하방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는 종래의 것에 비해 그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슬라이드 개폐장치에 비해 안내부재(210)와 슬라이드부 재(216)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고, 따라서 슬라이드 개폐장치나 슬라이드 폰 등 완제품의 두께를 얇게 만들 수 있다. 종래의 것에 비해 감김부의 감김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토션 스프링에 작용하는 응력을 전체에 분산시킬 수 있고, 응력집중 현상이 방지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를 안내부재(210)와 슬라이드부재(216) 사이에 좌우로 나란하게 한 쌍을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200)를 구성할 수 있다. 나머지 사항은 도 20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를 안내부재(210)와 슬라이드부재(216) 사이에 좌우로 일부가 서로 엇갈리게 한 쌍을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200)를 구성할 수 있고,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 실시 예에서보다 상대적으로 큰 1개의 탄성기구(100)를 안내부재(210)와 슬라이드부재(216) 사이에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2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4는 도 7 토션 스프링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감김부(112a)와 제2감김부(112b) 사이의 연결부위(113)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하고 대략 감김부의 감김 방향에 대해 대략 접선방향으로 연장하여 서로 연결한 형태로 하여도 된다. 연결부위(113)의 길이를 도 24에서보다 짧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5는 도 13 탄성기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 탄성기구의 조립상태의 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토션 스프링(110a)과 제2토션 스프링(110b)이 장착되는 연결부재(150)의 상면에 덮개(160)를 결합하여 연결부재(150)를 덮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감김부(112a)와 제2감김부(112b)는 덮개(160)에 덮이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고, 제1, 제2연장팔(114a, 114b)만 외부로 노출된다.
도 27은 도 25 탄성기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7 탄성기구의 조립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7과 도 28에 나타낸 탄성기구(100)는 도 25와 도 26에 나타낸 실시 예에서 제2토션 스프링(110b)의 설치방향을 바꾼 것으로, 나머지 사항은 도 25와 도 26의 것과 같다.
도 29는 도 4 실시 예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팔부재(130)에 2개의 토션 스프링(110)을 이웃하여 평행하게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탄성기구(100)를 구성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큰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기구(100)가 만들어질 수 있고, 각 토션 스프링(110)의 감김부(112)의 감김 횟수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탄성력 크기의 선택폭이 매우 넓다. 이는 장치의 설계에 매우 유리한 점이다.
도 30 ~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가 기기본체와 덮개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0은 덮개가 닫힌 상태, 도 31은 덮개가 반정도 열린 상태, 도 32는 덮개가 열린 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30 ~ 도 3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300)가 슬라이드 폰에 직접 적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딩 개폐장치(300)는 본체(310)와 덮개(320) 및 본체(310)와 덮개(320)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기구(100)를 구비한다. 탄성기구(100)로는 도 26을 통해 설명한 탄성기구(100)가 사용되었다.
본체(31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부(미도시)가 형성되며, 덮개(320)는 그 안내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케 결합된다. 여기에서, 본체(310)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300)의 안내부재가 되고, 덮개(320)는 슬라이드부재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는 일단은 본체(310)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그 타단은 덮개(320)에 회동 가능케 연결된다.
도 30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덮개(320)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면 탄성기구(100)는 본체(310)에 지지된 제1토션 스프링(110a)의 제1연장팔(114a)의 회동연결부(117a)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 회전하고, 덮개(320)에 연결된 제2토션 스프링(110b)의 제2연장팔(114b)은 그 회동연결부(117b)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위쪽으로 상승한다. 제2연장팔(114b)의 지지점은 직선이동 한다.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될 때까지 탄성기구(100)는 수축하여 두 지지점이 가장 가까워진다. 도 31의 상태를 넘어선 상태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기구(100)는 두 연장팔(114a, 114b)이 펼쳐지면서 덮개(320)를 위쪽으로 밀어 올려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어 덮개(320)가 개방된다. 덮개(320)를 닫는 동작은 덮개(320)를 여는 동작의 역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33은 탄성기구의 다른 설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탄성기구(100)는 본체(310)와 덮개(320) 사이에 한 쌍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300)를 구성할 수 있다.
그 외에 사용되는 탄성기구(100)의 종류와 배치방법은 필요에 따라 도 20 내지 도 2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다른 탄성기구들도 만들고자하는 제품의 여건에 따라 안내부재와 슬라이드부재 사이의 적절한 위치에 단독으로 또는 한 쌍 이상이 좌우로 평행하게, 또는 상하로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5는 도 34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4와 35에서 토션 스프링(110)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김부(112)와 연장팔(114)로 이루어져 있다.
팔부재(130)는 제1박판부재(131a)와 제2박판부재(131b)가 토션 스프링(110)이 움직일 수 있도록 토션 스프링(110)의 일측을 사이에 두고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결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박판부재(131a)의 일단에는 토션 스프링(110)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틈(131c)을 두고 양측에서 내측으로 가압되어 돌출된 토션 스프링 연결용 돌출부(131d)가 형성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110)의 내측단은 이 틈(131c) 에 끼워져서 팔부재(130)에 연결된다.
이 제1박판부재(131a)에는 토션 스프링(110)이 회동되면서 움직여야할 부분과 다른 부품에 연결되는 타단을 제외하고는 팔부재(130)의 길이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2박판부재(131b)를 향해 꺾여져서 형성된 제1테두리(131e)가 형성되어 이고, 이 제1테두리(131e)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용 돌기(131f)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용 돌기(131f) 반대편에는 다른 부품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131g)이 뚫려 있다. 이 구멍(131g) 둘레의 가장자리는 내측으로 가압되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박판부재(131b)는 토션 스프링(110)의 회동을 허용하기 위한 부분과 다른 부재에 연결되는 타측단 부위를 제외한 팔부재(130)의 길이 방향의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1박판부재(131a)를 향해 꺾여진 제2테두리(131i)가 형성되고, 제2테두리(131i) 저부에는 결합용 돌기(131f)들이 꺾여서 결합되어 제1박판부재(131a)와 제2박판부재(131b)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결합용 홈(131j)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제2박판부재(131b)에는 틈(131)이 벌어지지 않도록 토션 스프링 연결용 돌출부(131d)의 상단부 틈(131c) 양측을 지지하여줄 수 있도록 틈(131c)보다 폭이 넓은 통공(131k)이 형성되어 있다. 통공(131k) 주변은 가압에 의해 조금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경우 돌출부(131d)의 틈(131c)이 벌어지지 않아 토션 스프링(110)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줄 수 있다. 또 돌출부(131d)의 상단이 통공(131k) 속으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돌출부(131d)의 높이를 충분히 높게 할 수 있다. 통공(131k) 반대편에 다른 부재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131m)이 형성되어 있다.
도 36은 도 35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토션 스프링(110)의 스프링선을 원형 단면이 아닌 사각 단면으로 할 수 있고, 또 토션 스프링(110)의 연장팔(114)의 끝단에 힌지부재(115)를 인서트 사출하여 토션 스프링(110)을 만들 수 있다. 나머지는 도 34와 3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여기에서 돌출부(131d)와 결합용 돌기(131f), 결합용 홈(131j)은 제1박판부재(131a)와 제2박판부재(131b)에 위치를 바꾸어 설치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8은 도 37의 분리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제1토션 스프링(110a)과 제2토션 스프링(110b)은 제1, 제2감김부(112a, 112b)와 제1, 제2연장팔(114a, 114b)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부재(150)는 제1박판부재(151a)와 제2박판부재(151b)가 제1, 제2토션 스프링(110a, 110b)이 움직일 수 있도록 제1토션 스프링(110a)의 일측과 제2토션 스프링(110b)의 일측을 사이에 두고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결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박판부재(150a)의 양단에는 제1, 제2토션 스프링(110a, 110b)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틈(151c)을 두고 양측에서 내측으로 가압되어 돌출된 토션 스프링 연결용 돌출부(151d)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제2토션 스프링(110a, 110b)의 내측단은 이 틈(151c)에 끼워져서 연결부재(150)에 각각 연결된다.
이 제1박판부재(151a)에는 제1, 제2토션 스프링(110a, 110b)이 회동되면서 움직여야할 부분을 제외하고는 연결부재(150)의 길이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제2박판부재(151b)를 향해 꺾여져서 형성된 제1테두리(151e)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1테두리(151e)에는 간격을 두고 결합용 돌기(151f)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2박판부재(151b) 역시 제1, 제2토션 스프링(110a, 110b)의 회동을 허용하기 위한 부분을 제외한 연결부재(150)의 길이 방향의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1박판부재(151a)를 향해 꺾여진 제2테두리(151i)가 형성되고, 제2테두리(151i) 저부에는 결합용 돌기(151f)들이 꺾여서 결합되어 제1박판부재(151a)와 제2박판부재(151b)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결합용 홈(151j)들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제2박판부재(151b)에는 틈(151c)이 벌어지지 않도록 토션 스프링 연결용 돌출부(151d)의 상단부 틈(151c) 양측을 지지하여줄 수 있도록 틈(151c)보다 폭이 넓은 통공(151k)이 형성되어 있다. 통공(151k) 주변은 조금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경우 돌출부(151d)의 틈(151c)이 벌어지지 않아 토션 스프링(110a, 110b)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줄 수 있다. 또 돌출부(151d)의 상단이 통공(151k) 속으로 들어갈 수 있으므로 돌출부(151d)의 높이를 충분히 높게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토션 스프링(110a)과 제2토션 스프링(110b)이 연결되는 부위 사이의 제1박판부재(151a) 또는 제2박판부재(151b)에는 서로를 향해 돌출시킨 가압돌출부(151h, 151n)가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가압돌출 부(151h, 151n)는 연결부재(150)의 강성과 두 박판부재의 결합의 안정성을 증가시켜준다.
여기에서 돌출부(151d)와 결합용 돌기(151f), 결합용 홈(151j)은 제1박판부재(151a)와 제2박판부재(151b)에 위치를 바꾸어 설치될 수 있다.
도 39는 도 38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토션 스프링(110a, 110b)의 스프링선은 그 단면이 원형이 아닌 사각 단면의 것이 이용될 수 있고, 토션 스프링(110a, 110b)의 연장팔(114a, 114b)의 끝단에 힌지부재(115)를 인서트 사출하여 토션 스프링(110a, 110b)을 만들 수 있다. 나머지는 도 37과 38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도 40은 도 37의 변형 예를 나타낸 탄성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토션 스프링(110b)의 방향을 제1토션 스프링(110a)과 반대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를 만들 수 있다. 나머지는 도 37과 38을 통해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41은 도 37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2는 도 41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1과 도 42에서 제1토션 스프링(110a)과 제2토션 스프링(110b)은 도 37과 도 38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앞 실시 예에서 설명했던 제1테두리(151e)에 형성되어 있던 결합용 돌기와 제2테두리(151i) 저부에 형성되어 있던 결합용 홈 없이 제1박판부재(151a)와 제2박판부재(151b)를 마주보고 결합한 상태에 서 접촉부위를 레이저 솔더링 등으로 점용접하여 두 박판부재를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제1박판부재(151a)와 제2박판부재(151b)가 합성수지인 경우에는 고주파융착 등으로 점용접하여 두 박판부재(151a, 151b)를 결합하여도 된다.
제1박판부재(151a)에는 앞에서와 같이 그 양단에는 제1, 제2토션 스프링(110a, 110b)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틈(151c)을 두고 틈(151c)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가압되어 돌출된 토션 스프링 연결용 돌출부(151d)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제2토션 스프링(110a, 110b)의 내측단은 이 틈(151c)에 끼워져서 연결부재(150)에 각각 연결된다.
제2박판부재(151b)에는 앞 실시 예에서와는 달리 통공 없이 구성될 수 있다.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탄성기구(100) 2개를 토션 스프링(110) 반대편의 팔부재(130) 끝단을 통해 소정 각도 회동 가능케 서로 연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a)를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양측 토션 스프링(110)의 끝단이 연결되는 지점간의 거리에 따라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영역과 탄성력을 작용시키지 않는 영역을 둘 수 있다.
물론, 두 탄성기구(100)가 반드시 팔부재(130)의 양 끝단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연결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제1감김부와 제2감김부, 제1토션 스프링과 제2토션 스프링은 경우에 따라 서로 다른 직경의 스프링선으로, 즉 서로 다른 높이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렇게 하는 경우, 좌우의 탄성력이 달라지기 때문에 회전 또는 휨정도가 달라지고 어느 일측의 팔부재 또는 탄성팔이 먼저 회전되거나 휘어져야할 필요가 있는 곳, 어느 일측의 팔부재 또는 탄성팔이 적게 회전되거나 휘어져야할 필요가 있는 곳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어느 쪽의 팔부재 또는 탄성팔이 먼저 회전되거나 휘어질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조립작업 시 편리하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진 토션 스프링과 이 토션 스프링에 연결되는 박판의 팔부재 또는 연결부재로 구성하여 종래의 겹치는 부위를 갖는 토션 스프링에 비해 그 두께를 작게 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장치가 적용된 슬라이드 폰 등의 휴대형 기기의 두께를 얇게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연장팔이 스토퍼에 걸리는 회전각도를 조정하여 설계할 수 있으므로 탄성기구의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탄성력의 크기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토션 스프링의 적어도 일단이 감김부 내측에서 끝나기 때문에 토션 스프링의 감김부의 감김 횟수를 늘릴 수 있고, 이에 따라 응력이 분산되어 토션 스프링, 탄성기구 및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수명이 길어지도록 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또 종래의 토션 스프링은 겹치는 부위 때문에 직경이 0.45㎜보다 작은 강선을 사용하는 경우 뒤틀림에 의해 스프링이 뒤집어지려고 하는 힘이 발생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그 토션 스프링이 겹치는 부분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직경이 0.45㎜보다 작은 0.35㎜, 0.3㎜ 등 직경이 상대적으로 각은 강선 등을 사용하여 토션 스프링을 만들더라도 뒤틀림에 의해 토션 스프링이 뒤집어지려고 하는 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와 이를 이용하는 슬라이딩 개폐장치는 그 두께가 매우 얇아지도록 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토션 스프링의 확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와 도 5는 도 3 탄성기구의 변형 예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7 탄성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을 저면 쪽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1은 도 8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1을 저면 쪽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3 탄성기구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과 도 18은 원형 외에 토션 스프링을 구성하기 위한 스프링선의 단면 모양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작동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0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가 설치된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예들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
도 24는 도 7 토션 스프링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도 13 탄성기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6은 도 25 탄성기구의 조립상태의 사시도,
도 27은 도 25 탄성기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8은 도 27 탄성기구의 조립상태의 사시도,
도 29는 도 4 실시 예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0 ~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가 기기본체와 덮개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33은 탄성기구의 다른 설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5는 도 34의 분리 사시도,
도 36은 도 35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8은 도 37의 분리사시도,
도 40은 도 37의 변형 예를 나타낸 탄성기구의 사시도,
도 41은 도 37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2는 도 41의 분리 사시도,
도 4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00a : 탄성기구 110 : 토션 스프링
110a : 제1토션 스프링 110b : 제2토션 스프링
112 : 감김부 112a : 제1감김부
112b : 제2감김부 114 : 연장팔
114a : 제1연장팔 114b : 제2연장팔
130 : 팔부재 130a : 제1팔부재
131a, 151a : 제1박판부재 131c, 151c : 틈
131d, 151d : 돌출부 131e, 151e : 제1테두리
131i, 151i : 제2테두리 131f, 151f : 결합용 돌기
131j, 151j : 결합용 홈 130b : 제2팔부재
150 : 연결부재 200 : 슬라이딩 개폐장치
210 : 안내부재 216 : 슬라이드부재

Claims (4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진 감김부를 갖는 토션 스프링; 및
    상기 감김부 내측의 상기 토션 스프링 일단에 고정 연결된 채로 상기 감김부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에 대한 회동각도에 따라 상기 감김부의 감김정도를 변화시키고 상기 감김부의 감김정도에 대응되는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탄성력을 받으며 상기 감김부 외부로 연장된 부분에는 다른 부재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연결하기 위한 회동연결부가 설치되어 있는 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기구.
  22. 삭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감김부의 외측에서 상기 감김부와 겹침없이 상기 감김부 외부로 연장된 연장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기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팔의 단부에는 다른 부재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연결하기 위한 회동연결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팔부재의 회동연결부와 상기 연장팔의 회동연결부 중 하나는 안내부를 갖는 안내부재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된 슬라이드부재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연결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기구.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감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팔부재의 반대편에서 상기 팔부재에 일부가 겹쳐진 상태로 상기 팔부재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단에 지지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에 대한 회동각도에 따라 상기 감김부의 감김정도를 변화시키고 상기 감김부의 감김정도에 대응되는 탄성력을 받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기구.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감김부는 제1감김부와 상기 제1감김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감김부를 구비하고, 상기 팔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상기 제1감김부의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탄성력을 받는 제1팔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상기 제2감김부의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탄성력을 받는 제2팔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기구.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팔부재는 상기 감김부를 사이에 두고 제1박판부재와 제2박판부재가 마주보고 결합되어 구성되거나 하나의 박판부재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기구.
  28. 삭제
  29. 삭제
  30. 일단은 안내부재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내부재에 슬라이드 가능케 결합된 슬라이드부재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상기 안내부재에 대한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슬라이드 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안내부의 어느 한 방향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탄성기구에 있어서,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 내측 일단이 고착되고, 이 고착된 부분에서부터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바깥쪽으로 감겨진 제1감김부와 상기 제1감김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1감김부와 상기 연결부재 바깥쪽으로 연장된 제1연장팔을 갖고, 상기 제1연장팔의 단부에는 상기 안내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 중 어느 하나에 회동 가능케 연결하기 위한 회동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토션 스프링;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에 내측 일단이 고착되고, 이 고착된 부분에서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바깥쪽으로 감겨진 제2감김부와 상기 제2감김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2감김부와 상기 연결부재 바깥쪽으로 연장된 제2연장팔을 갖고, 상기 제2연장팔의 단부에는 상기 안내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 중 다른 하나에 회동 가능케 연결하기 위한 회동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기구.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감김부와 상기 제2감김부를 사이에 두고 제1박판부재와 제2박판부재가 마주보고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연장팔과 상기 제2연장팔이 상기 연결부재 바깥쪽으로 각각 노출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측면개구를 가지도록 구성되거나 하나의 박판부재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기구.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감김부는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진 제1감김부와 겹치는 부위 없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진 제2감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감김부와 상기 제2감김부는 각각의 바깥쪽 연장부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되고, 상기 팔부재는 제1감김부의 내측 끝단에 연결되는 제1팔부재와 상기 제2감김부의 내측 끝단에 연결되는 제2팔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기구.
  3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기구 한 쌍이 상기 팔부재의 회동연결부를 통해 서로 소정 각도 회동 가능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기구.
  38. 삭제
  39. 안내부를 갖는 안내부재;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된 슬라이드부재; 및
    일단은 상기 안내부재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상기 안내부재에 대한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안내부의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밀어주는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1항, 제23항 내지 제27항, 제30항, 제31항, 제36항 및 제37항 중 어느 한 항의 탄성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장치.
  40. 안내부를 갖는 제1몸체;
    상기 안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된 제2몸체; 및
    일단은 상기 제1몸체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몸체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상기 제1몸체에 대하여 상기 제2몸체를 밀어 올리거나 당겨 내리는 외력에 의한 움직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몸체를 상기 안내부의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밀어주는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1항, 제23항 내지 제27항, 제30항, 제31항, 제36항 및 제37항 중 중 어느 한 항의 탄성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응용기기.
KR1020080030380A 2006-07-07 2008-04-01 토션 스프링, 탄성기구와 그 부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와 휴대용 응용기기 KR100977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684 2006-07-07
KR20060063684 2006-07-0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895A Division KR100865491B1 (ko) 2006-07-07 2007-07-04 토션 스프링, 탄성기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개폐장치와 휴대용 응용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631A KR20080032631A (ko) 2008-04-15
KR100977190B1 true KR100977190B1 (ko) 2010-08-20

Family

ID=3889474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895A KR100865491B1 (ko) 2006-07-07 2007-07-04 토션 스프링, 탄성기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개폐장치와 휴대용 응용기기
KR1020080030380A KR100977190B1 (ko) 2006-07-07 2008-04-01 토션 스프링, 탄성기구와 그 부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와 휴대용 응용기기
KR1020080030400A KR100887644B1 (ko) 2006-07-07 2008-04-01 탄성기구와 그 부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895A KR100865491B1 (ko) 2006-07-07 2007-07-04 토션 스프링, 탄성기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개폐장치와 휴대용 응용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400A KR100887644B1 (ko) 2006-07-07 2008-04-01 탄성기구와 그 부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121658B2 (ko)
EP (1) EP2047607A4 (ko)
JP (1) JP2009543006A (ko)
KR (3) KR100865491B1 (ko)
CN (1) CN101485099A (ko)
BR (1) BRPI0713269A2 (ko)
RU (1) RU2432700C2 (ko)
TW (1) TWI346749B (ko)
WO (1) WO20080048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5185A1 (en) * 2007-06-30 2009-01-08 Kbf Co., Ltd. Slide hinge
US20100295222A1 (en) * 2007-07-09 2010-11-25 Sang Ho Lee Actuator and spring used therefor
KR100887952B1 (ko) * 2007-07-10 2009-03-11 (주)애니캐스팅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
WO2009038371A2 (en) * 2007-09-18 2009-03-26 Jung Min Park Spring device, sliding module therewith and mobile device therewith
KR100979249B1 (ko) * 2008-01-11 2010-08-31 (주)제이엠씨 태엽 형태로 양방향으로 감긴 일체형 스프링을 이용한조립의 편리성을 갖는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100827740B1 (ko) * 2008-01-25 2008-05-07 (주)제이엠씨 박형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슬라이드 장치
JP4560092B2 (ja) * 2008-02-06 2010-10-13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4560093B2 (ja) * 2008-02-06 2010-10-13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848114B1 (ko) * 2008-03-20 2008-07-24 (주)제이엠씨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100884505B1 (ko) * 2008-03-31 2009-02-18 (주)쉘-라인 액츄에이터
WO2009128574A1 (en) * 2008-04-17 2009-10-22 P & Tel Inc. Dual sliding apparatus
KR100943943B1 (ko) * 2008-05-02 2010-02-26 에이치케이에스테크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장치
KR100947588B1 (ko) * 2008-06-20 2010-03-15 주식회사 세이텍 슬라이딩 타입의 핸드폰에 장착되는 슬라이딩 모듈용 탄성장치
KR100870974B1 (ko) * 2008-08-26 2008-12-01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EP2166736B1 (en) 2008-09-19 2012-05-23 LG Electronics Inc.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78724B1 (ko) * 2009-01-13 2015-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0924079B1 (ko) * 2009-03-04 2009-11-02 (주)애니캐스팅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
KR101033833B1 (ko) * 2009-12-04 2011-05-13 (주)제이엠씨 슬라이드타입 휴대폰용 힌지모듈의 커버 조립장치
KR101184003B1 (ko) * 2010-02-11 2012-09-21 주식회사 로브 탄성기구
KR200454602Y1 (ko) * 2010-03-11 2011-07-13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힌지장치
KR101004409B1 (ko) * 2010-07-16 2010-12-27 (주) 프렉코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 제작 방법
MX2014000287A (es) * 2011-07-08 2014-06-23 Mi Llc Abrazadera para un tamiz de cuña de angulo compuesto para un separador vibratorio.
RU2542812C2 (ru) * 2013-06-11 2015-02-27 Виктор Николаевич Матвеев Рессора
KR101738052B1 (ko) * 2015-12-04 2017-05-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암레스트의 잠금구조
CN108799379A (zh) * 2018-06-13 2018-11-13 苏州云联车控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卷簧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908A (ko) * 2004-06-15 2005-12-20 주식회사 우영 태엽 스프링을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장치
KR200411611Y1 (ko) * 2005-12-21 2006-03-16 이근주 슬림형 슬라이드 모듈용 탄성스프링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610236U1 (de) 1996-05-30 1996-10-10 Merete Gmbh Überstreifbares Schutzbekleidungsmittel für eine medizinische Untersuchung
JPH10133007A (ja) * 1996-11-01 1998-05-2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ミラー湾曲装置
FI112422B (fi) * 2000-04-28 2003-11-28 Nokia Corp Teleskooppirakenne puhelinlaitetta varten
ATE402466T1 (de) * 2001-12-13 2008-08-15 Murakami Corp Höhenregler einer anzeige
JP2005096728A (ja) * 2003-09-01 2005-04-14 Tokai Rika Co Ltd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100617690B1 (ko) * 2003-11-10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683059B1 (ko) * 2004-10-01 2007-02-15 주식회사 피앤텔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
JP4530686B2 (ja) * 2004-03-03 2010-08-25 株式会社リコー 電池接点機構、電池収納構造、電源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50089106A (ko) 2004-03-03 200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프링 댐퍼 장치
KR200361808Y1 (ko) * 2004-06-04 2004-09-16 조용수 슬라이드 방식 휴대폰의 슬라이딩장치
JP2006108881A (ja) * 2004-10-01 2006-04-20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電話機
TWI259715B (en) * 2005-01-25 2006-08-01 Wistron Corp Electronic device able to adjust the size of the display area
KR100662869B1 (ko) * 2005-02-04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
DE202005002847U1 (de) * 2005-02-21 2005-06-02 Wegner, Harald, Dr. Kabelaufwickler für Ohrhörer, insbesondere Sprechgarnituren für Mobiltelefone
TWI255634B (en) * 2005-03-14 2006-05-21 Benq Corp Slider-type electrical device, sliding device and sliding module
KR100790088B1 (ko) * 2005-03-17 2007-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스윙 장치
KR100709808B1 (ko) * 2005-03-31 2007-04-23 주식회사 팬택 회전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17355Y1 (ko) 2005-10-11 2006-05-26 (주)브티엘 슬라이딩 조립체
KR20060001898A (ko) * 2005-12-12 2006-01-06 배종현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장치
JP2007166216A (ja) * 2005-12-13 2007-06-28 Yamamoto Seimitsu:Kk 携帯電子機器
US7583989B2 (en) * 2006-04-18 2009-09-0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Sliding-type hin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908A (ko) * 2004-06-15 2005-12-20 주식회사 우영 태엽 스프링을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장치
KR100678516B1 (ko) 2004-06-15 2007-02-07 주식회사 우영 태엽 스프링을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장치
KR200411611Y1 (ko) * 2005-12-21 2006-03-16 이근주 슬림형 슬라이드 모듈용 탄성스프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087A (ko) 2008-01-10
EP2047607A1 (en) 2009-04-15
TW200811384A (en) 2008-03-01
RU2432700C2 (ru) 2011-10-27
KR100865491B1 (ko) 2008-10-27
KR20080032632A (ko) 2008-04-15
RU2008149847A (ru) 2010-08-20
TWI346749B (en) 2011-08-11
CN101485099A (zh) 2009-07-15
KR100887644B1 (ko) 2009-03-10
US8121658B2 (en) 2012-02-21
BRPI0713269A2 (pt) 2012-04-10
EP2047607A4 (en) 2010-01-13
WO2008004822A1 (en) 2008-01-10
US20080007870A1 (en) 2008-01-10
JP2009543006A (ja) 2009-12-03
KR20080032631A (ko) 2008-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7190B1 (ko) 토션 스프링, 탄성기구와 그 부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와 휴대용 응용기기
CN101009987B (zh) 滑动枢接模块
KR101279251B1 (ko) 회전각도 규제기구 부착 세미 오토형 힌지
US11572228B2 (en) Foldable container
KR100678629B1 (ko) 탄성부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장치를 이용한탄성부재의 제조방법
KR101685924B1 (ko) 안전 차단봉
WO2015195146A1 (en) An automatic tilt mechanism and an umbrella having the same
KR100683059B1 (ko) 가변선회축의 스프링을 채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
KR1009240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
KR20110066562A (ko)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
KR100947588B1 (ko) 슬라이딩 타입의 핸드폰에 장착되는 슬라이딩 모듈용 탄성장치
EP2020804A1 (en) Slider mechanism with zigzag springs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able terminal
KR100964416B1 (ko) 탄성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개폐장치와 휴대용응용기기
KR20110098283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부를 가지는 장치
KR20060074862A (ko) 회전하여 펼쳐지고 접히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 및그 휴대장치에 사용되는 결합장치
CN113830622B (zh) 卷线装置
KR20090006028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
KR102483171B1 (ko) 애자용 전선 고정 장치
KR20090006029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
KR20100039207A (ko)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
KR20100123242A (ko) 족동식 구동체
KR101184003B1 (ko) 탄성기구
KR200373577Y1 (ko) 스프링
CN114390981A (zh) 用于无盖门的复合弹簧
KR20110132100A (ko) 휴대폰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