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114B1 -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48114B1 KR100848114B1 KR1020080025641A KR20080025641A KR100848114B1 KR 100848114 B1 KR100848114 B1 KR 100848114B1 KR 1020080025641 A KR1020080025641 A KR 1020080025641A KR 20080025641 A KR20080025641 A KR 20080025641A KR 100848114 B1 KR100848114 B1 KR 1008481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g
- sliding
- elastic module
- thin elastic
- b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를 구성하는 고정 블록과 슬라이딩 블록을 서로 연결하여 슬라이딩 블록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박형 탄성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태엽 형태로 그 일단부에서 일정 길이까지 일방향으로 감긴 코일부와, 코일부의 단부에서 직선 상태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연장부, 및 연장부의 단부에서 코일부의 반대방향으로 감긴 고정부를 갖는 스프링과; 플레이트로 각각 구성되어, 스프링의 코일부를 그 상하부에서 각각 덮은 상태에서 제1 고정부재에 의해 스프링의 일단부와 함께 연결 고정되고, 스프링의 고정부가 제2 고정부재에 의해 어느 한 쪽에 고정되어, 서로 간에 둔각 상태로 배열되는 제1, 제2 바디를 포함하며; 제1, 제2 바디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작동 전 초기에는 서로 접촉하지만, 제1, 제2 바디를 서로 간에 선회시킴에 따라 이격되었다가 원위치하여 서로 접촉하는 스토퍼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태엽 형태로 일방향으로 감긴 스프링을 이용하여 고정 블록으로부터 슬라이딩 블록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함에 있어 두 바디의 일부분을 중첩시켜 서로 간에 상하 흔들림이 없도록 함과 더불어 선회 궤적을 좁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 발명은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태엽 형태로 일방향으로 감긴 스프링을 이용하여 고정 블록으로부터 슬라이딩 블록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함에 있어 두 바디의 일부분을 중첩시켜 서로 간에 상하 흔들림이 없도록 함과 더불어 선회 궤적을 좁힐 수 있는 박형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휴대를 주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크기가 작은 것을 선호하고 있으며, 디자인이 특별한 것이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추가적으로 선호하고 있다. 따라서, 요즘 출시되는 휴대폰을 참조하면, 작고 얇은 제품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으며, 가볍고 디자인이 우수한 제품일수록 시장에서 대중적으로 잘 판매 되고 있다.
휴대폰들은 외형이나 작동 방식에 따라 일반적으로 플립 방식, 폴더 방식(folder type) 및 슬라이딩 방식(sliding type)으로 구분되는데, 현재의 주류는 슬라이딩 방식 휴대폰이다.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 휴대폰은 메인 파트 및 슬라이딩 파트를 상호 겹쳐서 배치하고, 각 파트에 디스플레이부 및 키 입력부가 같은 방향을 향하는 방식의 휴대폰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방식 휴대폰은 전방의 슬라이딩 파트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후면에 가려진 디스플레이부 또는 키 입력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일례로, 전방의 슬라이딩 파트를 위로 밀어 올려 후방의 메인 파트 전면에 형성된 키 입력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휴대폰이 있다. 또한, 다른 예로, 키 입력부가 형성된 전방의 슬라이딩 파트를 아래로 이동시켜 후방의 메인 파트 전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휴대폰도 있다.
한편, 슬라이딩 방식 휴대폰은 슬라이딩 파트를 메인 파트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하는 슬라이드 장치와, 메인 파트 및/또는 슬라이딩 파트에 각각 위치하는 키 입력부, 액정화면 및 배터리 등을 서로 접속시키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FPCB는 슬라이드 장치를 구성하는 고정 블록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 서로 접속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장치는 탄성 모듈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이동시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탄성 모듈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08240호 및 제2004-0104359호에서 채용하고 있는 한 쌍의 토션 스프링을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그런데, 한 쌍의 토션 스프링은 슬라이드 이동시에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가져야만 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파트를 메인 파트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해, 도 1a 및 도 1b와 같이 슬라이드 장치(100)를 구성하는 슬라이딩 블록(110)을 고정 블록(12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킬 경우, 한 쪽의 토션 스프링(130)이 슬라이딩 블록(110)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구(111) 쪽으로 선회하게 되고, 그로 인해 관통구(111)에 배치된 FPCB(도시안됨)와 간섭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슬라이딩 블록(110)의 길이를 길게 구성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슬라이딩 블록(110)의 길이만큼 휴대폰의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지고, 더 나아가 슬라이딩 파트를 메인 파트에 대해 슬라이드 업 시킬 경우 슬라이딩 블록(110)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성이 결여되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그런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05087호에는 무선전화기, PDA, PMP 등의 휴대형 기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태엽 형태로 일방향으로 감긴 토션 스프링이나 양방향으로 감긴 일체형 토션 스프링을 이용하여 구성한 탄성기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 등의 기술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이 기술에 사용되는 토션 스프링은 겹치는 부위 없이 태엽과 같이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겨진 스파이어럴 스프링으로서, 완구용 소형자동차나 브레이크, 안전벨트 등 직선운동이나 회전운동에 일반적으로 범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 기술은 충분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태엽 형태의 스파이 어럴 스프링을 이용함에 따라, 소형화가 가능하여 FPCB와의 간섭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 기술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엽 형태로 양방향으로 감긴 일체형 스파이어럴 스프링(210)을 이용할 경우에는, 스파이어럴 스프링(210)을 연결부재(220)에 안착시키고, 한 쌍의 팔부재(230)를 연결부재(220)에 결합함으로써, 탄성기구(200)를 구현하였다. 여기서, 연결부재(220)는 스파이어럴 스프링(210)을 안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러기 위해서는 일정 형상을 갖도록 성형되어야 한다. 그런데, 형상을 갖는 케이스 등은 프레스 성형 방법으로는 제작이 곤란하고, 사출 성형, 메탈인젝션 성형 또는 다이캐스팅 성형을 통해 제작해야 하는데, 이 경우 성형두께가 두꺼워지고 강도가 취약해질 수밖에 없다. 즉, 상기 성형 방법들은 제품의 강도나 성형두께의 조절에 관해서는 프레스 성형 방법의 장점을 따라가기 어려운게 현실이다.
즉, 도 2a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탄성기구(200)는 연결부재(220)로 인해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해 휴대형 기기가 두꺼워져 박형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
그런데, 도 2b에 도시된 탄성기구(200a)는 태엽 형태로 일방향으로 감긴 2개의 스파이어럴 스프링(210a)과, 이 2개의 스파이어럴 스프링(210a)을 안착 고정하는 연결부재(220a) 및 덮개(230a)로 구성된다. 이 탄성기구(200a)는 프레스 성형 방식으로 제작된 연결부재(220a)를 이용하기 때문에 박형화가 가능하다. 그런데, 이 탄성기구(200a)는 덮개(230a)의 양측으로 스파이어럴 스프링(210a)의 일측이 각각 노출되고, 그 끝단이 슬라이딩 개폐장치의 블록에 각각 고정되기 때문에, 블록 간의 슬라이드 이동시에 노출된 단선인 스파이어럴 스프링(210a)의 일측이 비틀림에 따라 상하로 흔들림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흔들림에 따른 값만큼의 회전동작 공간을 더 높게 가져야 하기 때문에, 박형화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휴대폰 두께를 두껍게 하는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796944호에는 이 발명자가 개발한 탄성 모듈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이 탄성 모듈(300)은 태엽 형태로 그 일단부에서 일정 길이까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감긴 제1, 제2 코일부(311, 312)와 이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313)로 구성된 일체형 스프링(310)과, 일체형 스프링(310)의 양 단부를 각각 고정함과 더불어 연결부(313)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제1, 제2 코일부(311, 312)를 각각 내장하여 수용하며 일측에 힌지축 홈(321)을 각각 갖는 한 쌍의 케이스(320)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기술은 한 쌍의 케이스(320)가 일체형 스프링(310)의 연결부(313)에 의해서만 서로 연결되고 한 쌍의 케이스(320) 간에는 별도의 맞물림 관계를 갖지 않기 때문에, 블록간의 슬라이드 이동시에 상하 흔들림을 제어할 수 없어 정교한 슬라이딩의 어려움에 있었다. 또한, 블록간의 슬라이드 이동시에 한 쌍의 케이스(320)의 상하 흔들림에 의해 케이스와 블록 간에 마찰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소음이나 분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a 내지 도 3의 탄성기구(200, 200a) 및 탄성 모듈(300)은 태엽 형태로 양방향으로 감긴 일체형 스파이어럴 스프링(210), 태엽 형태로 일방향으로 감긴 2개의 스파이어럴 스프링(210a) 또는 태엽 형태로 양방향으로 감긴 일체형 스프 링(310)을 이용하기 때문에, 스프링들 간의 폭 크기가 커져 그 선회 궤적이 넓어질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선행기술을 비롯하여 이 발명자가 개발한 특허등록 제0796944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실험 제작한 결과이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태엽 형태로 일방향으로 감긴 일체형 스프링을 이용하여 고정 블록으로부터 슬라이딩 블록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함에 있어 두 바디의 일부분을 중첩시켜 서로 간에 상하 흔들림이 없도록 함과 더불어 선회 궤적을 좁힐 수 있는 박형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은,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를 구성하는 고정 블록과 슬라이딩 블록을 서로 연결하여 슬라이딩 블록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박형 탄성 모듈에 있어서, 태엽 형태로 그 일단부에서 일정 길이까지 일방향으로 감긴 코일부와, 코일부의 단부에서 직선 상태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연장부, 및 연장부의 단부에서 코일부의 반대방향으로 감긴 고정부를 갖는 스프링과; 플레이트로 각각 구성되어, 스프링의 코일부를 그 상하부에서 각각 덮은 상태에서 제1 고정부재에 의해 스프링의 일단부와 함께 연결 고정되고, 스프링의 고정부가 제2 고정부재에 의해 어느 한 쪽에 고정되어, 서로 간에 둔각 상태로 배열되는 제1, 제2 바디를 포함하며; 제1, 제2 바디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작동 전 초기에는 서로 접촉하지만, 제1, 제2 바디를 서로 간에 선 회시킴에 따라 이격되었다가 원위치하여 서로 접촉하는 스토퍼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스프링은 폭에 비해 높이가 낮은 직사각형의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발명의 스토퍼는 제1, 제2 바디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상향 경사각을 갖도록 돌출되는 상향 경사면을 갖다가 끝단에서 수직상태로 절단되는 절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제1, 제2 바디는 작동 전 초기 상태에서 스프링에 의해 토션력을 갖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제1 바디는 스프링의 일단부를 제1 고정부재로 고정하기 위해 일측에 형성된 제1 구멍과, 스프링의 고정부를 제2 고정부재로 고정하기 위해 타측 근처에 형성된 제2 구멍, 및 슬라이드 블록에 고정하기 위해 타측에 형성된 제3 구멍을 구비하고; 제2 바디는 스프링의 일단부를 제1 고정부재로 고정하기 위해 일측에 형성된 분할형 구멍과, 고정 블록에 고정하기 위해 타측에 형성된 구멍을 구비하며; 제1 고정부재는 제1 바디의 제1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 힌지축과, 힌지축의 상면에서 일정 깊이까지 절개되어 스프링의 일단부와 제2 바디의 분할형 구멍의 분할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홈으로 구성된 리벳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발명은, 각종 키 입력부들이 마련된 메인 파트와, 상면에 액정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슬라이딩 파트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 대폰의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 메인 파트의 정면 일부분에 결합 가능한 고정 블록과, 고정 블록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슬라이딩 파트의 배면 일부분에 결합 가능한 슬라이딩 블록, 및 고정 블록과 슬라이딩 블록을 서로 연결하여 슬라이딩 블록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은 태엽 형태로 일방향으로 감긴 스프링을 이용하여 고정 블록으로부터 슬라이딩 블록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함에 있어 두 바디의 일부분을 중첩시켜 서로 간에 상하 흔들림이 없도록 함과 더불어 선회 궤적을 좁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이 발명의 박형 탄성 모듈을 이용할 경우에는 그 선회 궤적을 좁힐 수 있어 휴대폰의 폭 크기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발명은 스프링의 코일부를 그 상하부에서 각각 덮은 상태에서 리벳으로 연결 고정하는 두 바디를 플레이트로 제작함에 따라 박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이 발명은 그 선회 궤적을 좁힐 수 있어 FPCB와의 간섭을 전혀 고려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리벳 등으로 단순 조립이 가능하므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들이고, 도 6 내지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순차적으로 단지 결합한 상태의 박형 탄성 모듈의 결합 사시도들 및 평면도들이고, 도 11 내지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바디들을 서로 간에 선회시킴으로써 완성된 상태의 박형 탄성 모듈의 결합 사시도들 및 평면도이며,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박형 탄성 모듈을 선 A-A', B-B' 및 C-C'를 따라 각각 절취한 단면도들이다.
도 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400)은 태엽 형태로 그 일단부에서 일정 길이까지 일방향으로 감긴 후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타단부를 갖는 스프링(410)과, 스프링(410)의 감긴 부분을 그 상하부에서 중첩되게 덮으면서 그 일단부를 고정하고 스프링(410)의 타단부를 어느 한 쪽에서 고정하는 제1, 제2 바디(420, 430)로 구성된다.
스프링(410)은 태엽 형태로 그 일단부에서 일정 길이까지 일방향으로 감긴 코일부(411)와, 코일부(411)의 단부에서 직선 상태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연장부(412), 및 연장부(412)의 단부에서 코일부(411)의 반대방향으로 감긴 고정부(413)로 구성된다. 이런 구조의 스프링(410)은 그 단면적에 따라 토션력이 결정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스프링(4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길고 높 이가 낮은 직사각형의 단면 형태를 갖는다. 즉, 이 실시예의 스프링(410)은 그 단면이 원형이거나, 원형 단면의 상하단부가 절단된 형태 등 여러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 실시예에서는 동일 면적을 갖는 사각 형태 중에서 폭에 비해 높이가 낮은 직사각형의 단면 형태의 스프링(410)을 이용함으로써, 박형 탄성 모듈(400)을 박형화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1, 제2 바디(420, 430)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플레이트로 제작된 것으로서,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그 너비가 점점 작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이때, 제1, 제2 바디(420, 430)의 일측은 스프링(410)의 코일부(411)를 상면 또는 하면에서 덮을 수 있는 정도의 너비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는 코일부(411)의 하면에 위치하는 바디를 제1 바디(420)라고 하고, 코일부(411)의 상면에 위치하는 바디를 제2 바디(420)라고 한다.
제1 바디(420)는 스프링(410)의 일단부를 고정부재의 일종인 제1 리벳(440) 등으로 고정하기 위해 일측에 형성된 제1 구멍(421)과, 스프링(410)의 타단부를 고정부재의 일종인 제2 리벳(440) 등으로 고정하기 위해 타측 근처에 형성된 제2 구멍(422), 및 제1 바디(420)를 슬라이드 장치의 고정 블록 또는 슬라이드 블록에 고정하기 위해 타측에 형성된 제3 구멍(423)을 갖는다. 또한, 제1 바디(420)는 그 일측 근처의 외측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424)를 갖는다. 이 스토퍼(424)는 제1 바디(420)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상향 경사각을 갖도록 돌출되는 상향 경사면(424a)을 갖다가 끝단에서 수직상태로 절단되는 절단면(424b)을 갖는다.
제2 바디(430)는 스프링(410)의 일단부를 제1 리벳(440) 등으로 고정하기 위해 일측에 형성된 분할형 구멍(431)과, 제2 바디(430)를 슬라이드 장치의 고정 블록 또는 슬라이드 블록에 고정하기 위한 구멍(432)을 갖는다. 또한, 제2 바디(430)는 그 일측 근처의 외측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433)를 갖는다. 이 스토퍼(433)는 제2 바디(430)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상향 경사각을 갖도록 돌출되는 상향 경사면(433a)을 갖다가 끝단에서 수직상태로 절단되는 절단면(433b)을 갖는다.
제1, 제2 바디(420, 430)의 스토퍼(424, 433)는 도 12 및 도 13과 같이 그 절단면(424b, 433b)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제1, 제2 바디(420, 430) 간의 초기 각도를 결정할 뿐만 아니라, 가해진 토션력이 제거되어 복귀될 때에 초기 상태까지만 선회하도록 제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스토퍼(424, 433)의 상향 경사면(424a, 433a)은 도 9 및 도 10과 같이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단지 결합함으로써, 각각의 스토퍼(424, 433)가 상호 접촉하지 않는 자유 상태에서,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박형 탄성 모듈(400)이 완성된 상태를 이루기 위해 제1, 제2 바디(420, 430)를 상호 간에 선회시킬 경우, 상호간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원활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리벳(440)은 제1 바디(420)의 제1 구멍(42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 힌지축(441)과, 힌지축(441)의 상면에서 일정 깊이까지 절개되어 스프링(410)의 일단부와 제2 바디(420)의 분할형 구멍(431)의 분할부(431a)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홈(442)을 갖는다. 즉, 제1 리벳(440)은 스프 링(410)의 일단부를 고정함과 더불어 제2 바디(420)가 선회하지 못하도록 고정하지만, 제1 바디(420)는 힌지축(441)의 둘레면을 따라 선회 가능하도록, 제1 바디(420), 스프링(410) 및 제2 바디(430)를 연결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리벳(440)은 스프링(410)의 타단부에 형성된 고정부(413)를 제1 바디(420)의 제2 구멍(422)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에 따른 박형 탄성 모듈(400)은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 제작된다. 먼저, 도 4 및 도 5와 같이 배열된 구성요소들을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1 리벳(440)을 이용해 제1 바디(420), 스프링(410) 및 제2 바디(430)를 서로 연결 고정한다. 그러면,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1, 제2 바디(420, 430)는 상호 일정 각도로 배열됨과 더불어, 스프링(410)의 고정부(413)가 제2 리벳(450)이 고정되는 제2 구멍(422)과 일정 각도로 이격되는 위치에 위치한다. 즉, 이 실시예의 스프링(410)은 그 일단부를 제1 리벳(440)에 고정할 경우 스프링(410)의 고정부(413)가 제2 리벳(450)이 고정되는 제2 구멍(422)과 일정 각도로 이격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410)을 이렇게 구성한 것은 도 11 내지 도 13과 같이 박형 탄성 모듈(400)이 완성된 초기 상태에서도, 제1, 제2 바디(420, 430)가 어느 정도의 토션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다.
그런 다음,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스프링(410)의 고정부(413)를 제2 리벳(450)을 이용해 제2 구멍(422)에 고정한다. 그러면, 제1, 제2 바디(420, 430)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다 조금 큰 각도(둔각 상태)로 벌어진 상태로 최종 조립되어 상부 방향으로 열린 상태가 된다. 또한, 제1, 제2 바디(420, 430)의 스토퍼(424, 433)는 서로 간에 이격되어 각각 자유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의 박형 탄성 모듈(400)을 이용할 경우에는 제1, 제2 바디(420, 430)가 서로에 대해 양 방향으로 각각 선회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 상태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에 채용할 경우 오작동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1, 제2 바디(420, 430)를 상호 간에 선회시킨다. 그러면, 스토퍼(424, 433)의 상향 경사면(424a, 433a)이 상호간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이동하다가 절단면(424b, 433b)에 상호 접촉함으로써, 제1, 제2 바디(420, 430)가 하부 방향으로 열린 둔각 상태로 제작이 완성된다. 이렇게 제작된 박형 탄성 모듈(400)은 제1, 제2 바디(420, 430)가 어느 정도의 초기 토션력을 갖는다. 또한, 이 실시예의 박형 탄성 모듈(400)은 작동 전 초기 상태에서는 제1, 제2 바디(420, 430)의 스토퍼(424, 433)가 서로 접촉하지만, 제1, 제2 바디(420, 430)를 서로 간에 선회시킬 경우에는 스토퍼(424, 433)가 상호 이격되었다가 원위치하여 서로 접촉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에 따른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도 11에 도시된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을 구비한 이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로서, 슬라이딩 블록을 클로즈 및 오픈상태에 각각 위치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딩 블록의 슬라이딩 위치에 따른 박형 탄성 모듈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슬라이드 장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을 구성하는 슬라이딩 파트를 메인 파트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슬라이드 장치는 메인 파트의 키패드 상측 일부분에 결합 가능한 고정 블록(500)과, 이 고정 블록(50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슬라이딩 파트 중 LCD의 배면 일부분에 결합 가능한 슬라이딩 블록(600), 및 고정 블록(500)과 슬라이딩 블록(600)을 서로 연결하여 슬라이딩 블록(600)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박형 탄성 모듈(400)로 구성된다.
고정 블록(500)과 슬라이딩 블록(600)은 그 사이에 박형 탄성 모듈(400)이 설치될 수 있고, 상호간에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고정 블록(500), 슬라이딩 블록(600)과 박형 탄성 모듈(400)간의 연결은 박형 탄성 모듈(400)의 제1, 제2 바디(420, 430)의 구멍(423, 432)을 이용해 고정 블록(500) 및 슬라이딩 블록(600)의 일측에 각각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고정 블록(500), 슬라이딩 블록(600)과 박형 탄성 모듈(400)간의 연결은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이 오픈(open)되거나 클로즈(close)된 상태에서 박형 탄성 모듈(400)의 제1, 제2 바디(420, 430)의 구멍(423, 432) 사이의 거리가 최대인 상태로 배열되고, 외부 힘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코일부(411)의 탄성력(권취력,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오픈(open)되거나 클로즈(close)되는 시점인 만곡점 상태에서 구멍(423, 432) 사이의 거리가 최소이면서 제1, 제2 바디(420, 430)가 슬라이드 장치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폭방향 대칭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이 오픈(open)되거나 클로즈(close)된 상태에 서는 도 17의 (a), (f)와 같이 구멍(423, 432) 사이의 거리가 최대이면서 코일부(411)가 최대한 풀려 있는 상태가 되고, 도 17의 (c), (d)와 인접한 만곡점 상태에서는 구멍(423, 432) 사이의 거리가 최소이면서 코일부(411)가 최대한 감겨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을 오픈(open)하거나 클로즈(close)하기 위해, 슬라이딩 블록(600)을 고정 블록(50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때, 고정 블록(500) 및 슬라이딩 블록(600)에 고정된 제1, 제2 바디(420, 430)의 구멍(423, 432)을 고정축으로 박형 탄성 모듈(40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박형 탄성 모듈(400)을 구성하는 제1, 제2 바디(420, 430) 또한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각각의 구멍(423, 432)을 축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의 구성 및 작동관계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탄성기구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들이고,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탄성 모듈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들이고,
도 6 내지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순차적으로 단지 결합한 상태의 박형 탄성 모듈의 결합 사시도들 및 평면도들이고,
도 11 내지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바디들을 서로 간에 선회시킴으로써 완성된 상태의 박형 탄성 모듈의 결합 사시도들 및 평면도이고,
도 14 내지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박형 탄성 모듈을 선 A-A', B-B' 및 C-C'를 따라 각각 절취한 단면도들이며,
도 17은 도 11에 도시된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을 구비한 이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0 : 박형 탄성 모듈 410 : 스프링
420 : 제1 바디 424 : 스토퍼
430 : 제2 바디 433 : 스토퍼
440 : 제1 리벳 450 : 제2 리벳
Claims (6)
-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를 구성하는 고정 블록과 슬라이딩 블록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슬라이딩 블록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박형 탄성 모듈에 있어서,태엽 형태로 그 일단부에서 일정 길이까지 일방향으로 감긴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단부에서 직선 상태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코일부의 반대방향으로 감긴 고정부를 갖는 스프링과,플레이트로 각각 구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코일부를 그 상하부에서 각각 덮은 상태에서 제1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와 함께 연결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의 고정부가 제2 고정부재에 의해 어느 한 쪽에 고정되어, 서로 간에 둔각 상태로 배열되는 제1, 제2 바디를 포함하며,상기 제1, 제2 바디는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작동 전 초기에는 서로 접촉하지만, 상기 제1, 제2 바디를 서로 간에 선회시킴에 따라 이격되었다가 원위치하여 서로 접촉하는 스토퍼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스프링은 폭에 비해 높이가 낮은 직사각형의 단면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1, 제2 바디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상향 경사각을 갖도록 돌출되는 상향 경사면을 갖다가 끝단에서 수직상태로 절단되는 절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
-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제1, 제2 바디는 작동 전 초기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에 의해 토션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제1 바디는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를 상기 제1 고정부재로 고정하기 위해 일측에 형성된 제1 구멍과, 상기 스프링의 고정부를 상기 제2 고정부재로 고정하기 위해 타측 근처에 형성된 제2 구멍, 및 상기 슬라이드 블록에 고정하기 위해 타측에 형성된 제3 구멍을 구비하고,상기 제2 바디는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를 상기 제1 고정부재로 고정하기 위해 일측에 형성된 분할형 구멍과, 상기 고정 블록에 고정하기 위해 타측에 형성된 구멍을 구비하며,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제1 바디의 제1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의 상면에서 일정 깊이까지 절개되 어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바디의 분할형 구멍의 분할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끼움홈으로 구성된 리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
- 각종 키 입력부들이 마련된 메인 파트와, 상면에 액정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슬라이딩 파트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에 있어서,상기 메인 파트의 정면 일부분에 결합 가능한 고정 블록과,상기 고정 블록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슬라이딩 파트의 배면 일부분에 결합 가능한 슬라이딩 블록, 및상기 고정 블록과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슬라이딩 블록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탄성 모듈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5641A KR100848114B1 (ko) | 2008-03-20 | 2008-03-20 |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5641A KR100848114B1 (ko) | 2008-03-20 | 2008-03-20 |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48114B1 true KR100848114B1 (ko) | 2008-07-24 |
Family
ID=3982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5641A KR100848114B1 (ko) | 2008-03-20 | 2008-03-20 |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48114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0166B1 (ko) * | 2009-08-31 | 2010-07-14 | (주)대영케이티엑스 | 토션스프링을 구비한 슬라이드 힌지 모듈 |
KR101045338B1 (ko) | 2009-03-11 | 2011-06-30 | (주) 프렉코 |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
KR101074862B1 (ko) * | 2009-06-30 | 2011-10-19 | 주식회사 다이아벨 | 힌지 모듈 |
KR101132259B1 (ko) | 2010-12-23 | 2012-04-02 |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 휴대폰용 슬라이드형 힌지구동체 |
KR101158850B1 (ko) | 2010-12-24 | 2012-06-22 | (주)제이엠씨 | 슬라이드타입 휴대단말기의 스프링 |
KR101171079B1 (ko) | 2009-10-20 | 2012-08-06 | 주식회사 다이아벨 |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
US8249669B2 (en) | 2008-09-19 | 2012-08-21 | Lg Electronics Inc.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KR101185122B1 (ko) | 2010-12-23 | 2012-09-21 | 주식회사 다이아벨 |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05087A (ko) * | 2006-07-07 | 2008-01-10 | 주식회사 피앤텔 | 토션 스프링, 탄성기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개폐장치와 휴대용 응용기기 |
KR100798705B1 (ko) | 2007-07-30 | 2008-01-29 | (주)쉘-라인 | 슬라이드 힌지장치 |
-
2008
- 2008-03-20 KR KR1020080025641A patent/KR10084811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05087A (ko) * | 2006-07-07 | 2008-01-10 | 주식회사 피앤텔 | 토션 스프링, 탄성기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개폐장치와 휴대용 응용기기 |
KR100798705B1 (ko) | 2007-07-30 | 2008-01-29 | (주)쉘-라인 | 슬라이드 힌지장치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249669B2 (en) | 2008-09-19 | 2012-08-21 | Lg Electronics Inc. |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KR101045338B1 (ko) | 2009-03-11 | 2011-06-30 | (주) 프렉코 |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
KR101074862B1 (ko) * | 2009-06-30 | 2011-10-19 | 주식회사 다이아벨 | 힌지 모듈 |
KR100970166B1 (ko) * | 2009-08-31 | 2010-07-14 | (주)대영케이티엑스 | 토션스프링을 구비한 슬라이드 힌지 모듈 |
KR101171079B1 (ko) | 2009-10-20 | 2012-08-06 | 주식회사 다이아벨 |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
KR101132259B1 (ko) | 2010-12-23 | 2012-04-02 |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 휴대폰용 슬라이드형 힌지구동체 |
KR101185122B1 (ko) | 2010-12-23 | 2012-09-21 | 주식회사 다이아벨 |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
KR101158850B1 (ko) | 2010-12-24 | 2012-06-22 | (주)제이엠씨 | 슬라이드타입 휴대단말기의 스프링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8114B1 (ko) |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 |
EP1745555B1 (en) | A slid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of cellular phone | |
US8180416B2 (en) |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US20120149438A1 (en) | Mobile phone of folding type and hinge device of the same | |
KR100848858B1 (ko) | 좁은 궤적을 갖는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 |
KR20050040991A (ko) |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 | |
EP1892932A1 (en) | Mobile phone having dual connection member and hinge device thereof | |
KR100662869B1 (ko) | 단말기 | |
US7945299B2 (en) | Multiple torsion spring and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using the same | |
US8185171B2 (en) | Swing type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mobile phone | |
KR100800808B1 (ko) |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 |
KR100791266B1 (ko) | 휴대단말기용 힌지식 덮개 개폐장치 | |
KR100827740B1 (ko) | 박형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슬라이드 장치 | |
US8134844B2 (en) | Portable terminal of slide-down opening and closing type | |
KR100796944B1 (ko) | 태엽 형태로 양방향으로 감긴 일체형 스프링을 이용한 탄성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장치 | |
KR20080028252A (ko) | 슬라이딩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반자동 슬라이딩장치 | |
KR20040104359A (ko) | 내구성의 토션 스프링이 설치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슬라이드 장치 | |
KR20050083235A (ko) |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 |
KR100660940B1 (ko) | 레일을 따라 가변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 |
KR200353334Y1 (ko) |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장치 | |
KR20120058389A (ko) |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 |
KR101104952B1 (ko) |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
KR100788726B1 (ko) |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 |
KR200438864Y1 (ko) | 슬라이딩 휴대폰용 슬림 모듈 | |
KR20060031097A (ko) |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