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122B1 -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122B1
KR101185122B1 KR1020100133150A KR20100133150A KR101185122B1 KR 101185122 B1 KR101185122 B1 KR 101185122B1 KR 1020100133150 A KR1020100133150 A KR 1020100133150A KR 20100133150 A KR20100133150 A KR 20100133150A KR 101185122 B1 KR101185122 B1 KR 101185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inding
arm
torsion spr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1558A (ko
Inventor
안진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아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to KR1020100133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122B1/ko
Publication of KR20120071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0Spiral springs with turns lying substantially in plane su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888Reciprocating to or from oscillating
    • Y10T74/18896Snap action
    • Y10T74/18904Plate spring

Abstract

동작 시 불규칙한 변형이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두께가 슬림한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모듈은 겹침 없이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겨진 권선부와 권선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아암부를 갖는 토션스프링과, 권선부와 아암부를 외측에서 지지하는 제1아암커버와, 제1아암커버와 결합하여 권선부를 내측에서 지지하는 권선커버와, 권선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편 토션스프링의 권선부와 결합하여 제1아암커버와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제2아암커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는 제1,2아암커버에 의해 탄성 변형이 안내되며, 권선커버에 의해 토션스프링의 두께방향 변형이 규제되기 때문에 동작 시 토션스프링의 불규칙한 변형이나 뒤틀림을 방지되어 이를 채용하는 기기에서 다른 부품들과 간섭 없이 원활히 동작가능하다.

Description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Spring Module and Slide Device of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프링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등에 적용되어 탄성복원력을 부여함으로써 원활한 슬라이딩 동작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드 방식의 개인휴대 전자기기에는 원활한 슬라이드 동작이 구현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부재에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모듈이 채용되고 있으며, 스프링모듈의 일례로 기기의 슬림화에 유리한 토션스프링이 많이 쓰이고 있다.
토션스프링은 소용돌이 형태로 감은 권선부와, 권선부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아암부들을 구비한다. 토션스프링이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에 적용될 때는 한쪽 아암부가 제1슬라이드부재에 결합되고 다른 쪽 아암부가 제1슬라이드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운동을 하는 제2슬라이드부재에 결합되어 탄성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동작이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토션스프링은 동작 시 권선부와 양측의 아암부가 평면상에서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토션스프링은 실제 동작이 이루어질 때 권선부에서 비틀림이 생기면서 들뜸이나 불규칙한 변형(뒤틀림)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채용하는 기기와 마찰이 생기고 기기의 동작이 불안정해질 수 있었다. 또한, 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은 권선부의 권취량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보다 강력한 슬라이딩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권선부의 권취량 즉,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착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작 시 불규칙한 변형이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모듈은 겹침 없이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겨진 권선부와, 권선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아암부를 갖는 토션스프링과, 권선부와 아암부를 지지하는 제1아암커버와, 제1아암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권선부를 지지하는 권선커버와, 권선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토션스프링의 권선부와 결합하여 제1아암커버와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제2아암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상기 권선커버는 권선부의 내측 끝단이 노출되는 중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2아암커버는 상기 중공을 통해 상기 권선부와 결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상기 토션스프링의 아암부는 상기 제1아암커버의 측벽에 마련되는 절곡부를 밴딩하여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상기 권선커버는 호 형상의 가이드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2아암커버는 외주에 상기 가이드슬릿에 결합하는 플랜지를 구비하여 회동 범위가 제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상기 제1아암커버와 토션스프링의 권선부는 리벳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아암커버와 토션스프링의 권선부는 상기 리벳에 의해 고정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측단과 외측단을 가지며 겹침 없이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겨진 권선부를 포함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권선부의 외측단을 지지하며 권선커버부를 구비하는 제1아암커버와, 상기 권선부의 내측단을 지지하며 권선커버부를 구비하는 제2아암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아암커버와 제2아암커버는 각 권선커버부가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프링모듈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상기 토션스프링의 외측단은 상기 권선커버부 내에 수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상기 제2아암커버의 권선커버부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내측단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부를 구비하되, 상기 홀더부는 슬릿 형태의 개구로 마련되며, 중간에는 걸림턱이 마련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내측단은 제2아암커버 측으로 밴딩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면서 개구에 결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상기 토션스프링 내측단의 밴딩된 높이는 상기 제2아암커버의 두께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와 제2슬라이딩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대적인 슬라이딩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모듈은 겹침 없이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겨진 권선부와, 권선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아암부를 갖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권선부와 아암부를 외측에서 지지하는 제1아암커버와, 상기 제1아암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권선부를 내측에서 지지하는 권선커버와, 상기 권선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편 상기 토션스프링의 권선부와 결합하여 제1아암커버와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제2아암커버를 포함하는 스프링모듈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와 제2슬라이딩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대적인 슬라이딩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모듈은 내측단과 외측단을 가지며 겹침 없이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겨진 권선부를 포함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권선부의 외측단을 지지하며 권선커버부를 구비하는 제1아암커버와, 상기 권선부의 내측단을 지지하며 권선커버부를 구비하는 제2아암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아암커버와 제2아암커버는 각 권선커버부가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프링모듈을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는 제1,2아암커버에 의해 탄성 변형이 안내되며, 권선커버 또는 권선커버부에 의해 토션스프링의 두께방향 변형이 규제되기 때문에 동작 시 토션스프링의 불규칙한 변형이나 뒤틀림을 방지되어 이를 채용하는 기기에서 다른 부품들과 간섭 없이 원활히 동작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는 내부 토션스프링에 겹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전체 두께를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을 구비한 전자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일부 결합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Ⅸ-Ⅸ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은 권선부(12)와 아암부(14)를 갖는 토션스프링(10)과, 토션스프링(10)을 지지하는 제1아암커버(20)와, 제1아암커버(20)와 결합하는 권선커버(30)와, 권선커버(30)와 결합하여 제1아암커버(20)와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제2아암커버(40)를 포함한다.
토션스프링(10)은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겨진 권선부(12)와, 권선부(12)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아암부(14)를 포함한다. 권선부(12)는 두께가 슬림하도록 겹침이 없게 마련되며, 아암부(14)는 권선부(12)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된다. 토션스프링(10)은 하나의 스프링으로 마련되므로, 일단은 아암부(14)를 형성하고 타단은 권선부(12)를 형성하며, 권선부(12) 측의 끝단은 권선부(12) 중심에 위치한다.
제1아암커버(20)는 외측에서 토션스프링(10)의 일면을 지지한다. 제1아암커버(20)는 토션스프링(10)의 권선부(12)를 지지하는 회동부(22)와, 아암부(14)를 지지하는 아암지지부(24)를 포함한다. 회동부(22)와 아암지지부(24)는 하나의 금속플레이트로 마련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10)의 아암부(14)는 아암지지부(24)의 측벽에 마련되는 절곡편(26)을 밴딩하여 제1아암커버(20)에 고정된다. 회동부(22)의 중심에는 센터홀(27)이 마련되며, 이 센터홀(27)에는 리벳(28)을 이용하여 토션스프링(10)의 권선부(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권선커버(30)는 제1아암커버(20)의 회동부(22)에 결합하여 내측에서 토션스프링(10)의 권선부(12) 타면을 지지한다. 즉, 제1아암커버(20)와 권선커버(30)는 토션스프링(10)의 권선부(12)를 양 외측에서 감싸서 토션스프링(10)의 탄성 변형 시 두께 방향으로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권선커버(30)는 중심홀(32)을 구비하여 리벳(28) 및 토션스프링(10)의 권선부(1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권선커버(30)는 제1아암커버(20)의 측벽을 절곡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고정편(29)에 의해 제1아암커버(20)에 고정된다.
제2아암커버(40)는 토션스프링(10)의 권선부(12)와 결합하여 토션스프링(10)의 또 다른 아암부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2아암커버(40)는 토션스프링(10)의 권선부(12)와는 고정 결합하며, 권선커버(30)와는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아암커버(40)는 권선부(12) 상에 위치하는 회동커버부(42)와 회동커버부(42)로부터 연장 마련되는 지지커버부(44)를 포함한다. 회동커버부(42)와 지지커버부(44)는 리벳(28)을 중심으로 제1아암커버(20)의 회동부(22) 및 아암지지부(2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형을 가진다.
회동커버부(42)의 외주에는 플랜지(43)가 돌출 마련된다. 플랜지(43)는 권선커버(30)에 호 형상으로 마련되는 가이드슬릿(34)에 끼워져 제2아암커버(40)가 제1아암커버(20)에 대해 상호 상대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회동 범위가 제한된다. 가이드슬릿(34)은 제2아암커버(40)을 간편하게 밀어 넣을 수 있도록 권선커버(30)의 표면보다 약간 돌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커버부(42)의 중심에는 고정홀(45)이 마련된다. 이 고정홀(45)을 통해 제1아암커버(20)와 권선커버(30) 사이에 수용되어 있는 리벳(28)과 토션스프링(10)의 권선부(12)가 외부로 노출 가능하다.
제2아암커버(40)와 리벳(28)과 권선부(12)는 일체로 고정된다. 제2아암커버(40)와 리벳(28)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제2아암커버(40)의 고정홀(45)에는 내측벽(46)이 형성되고, 이 내측벽(46)과 리벳(28)은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스프링모듈이 적용된 휴대폰과 같이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장치(1)는 평판형의 제1슬라이딩부재(2)와, 제1슬라이딩부재(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제2슬라이딩부재(3)와, 제1슬라이딩부재(2)와 제2슬라이딩부재(3)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복원력을 부여함으로써 원활한 슬라이딩동작이 상대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스프링모듈(SM)을 구비한다. 스프링모듈은 제1아암커버(20)에 마련되는 리벳홀에 리벳(R1)을 용접하여 제1슬라이딩부재(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제2아암커버(40)에 마련되는 리벳홀에 제1아암커버(20)와 마찬가지로 리벳(R2)을 용접하여 제2슬라이딩부재(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여기서 스프링모듈(SM)의 제1,2아암커버(20,40)는 제1,2슬라이딩부재(2,3)에 반대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스프링모듈(SM)이 두 슬라이딩부재(2,3) 사이에 설치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스프링모듈의 적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력이 작용하면 제2슬라이딩부재(3)는 제1슬라이딩부재(2)를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에서 실선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슬라이딩부재(3)는 제1슬라이딩부재(2)의 일 지점(S) 까지는 스프링모듈(SM)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슬라이딩하며, 일 지점(S)을 지나면 외력에 의해 변형되었던 스프링모듈(SM)이 탄성복원력을 가지면서 슬라이딩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이때 스프링모듈(SM)의 제1아암커버(20)는 토션스프링(20)의 아암부(14)에 의해, 권선커버(30) 및 제2아암커버(40)는 토션스프링(10)의 권선부(12)에 의해 각각 지지되면서 서로 상대적으로 탄성 변형 및 복귀되며, 이와 같이 리벳(28)을 중심으로 한 제1아암커버(20)와 제2아암커버(40)의 상대 회동을 위해 제1아암커버(20)와 토션스프링(10)의 권선부(12)는 리벳(28)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아암커버(40)와 토션스프링(10)의 권선부(12)는 리벳(28)에 고정 연결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예의 스프링모듈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토션스프링(10)과 제1아암커버(20)와 제2아암커버(50)를 포함한다.
먼저, 토션스프링(10)은 내측단(15)과 외측단(16)을 가진다. 내측단(15)은 겹침없는 소용돌이 형상의 권선부(12) 중심에 위치하며, 외측단(16)은 권선부(12)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된 아암부(14)의 끝단을 절곡하여 마련된다. 이러한 형상은 권선부(12)에 겹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스프링모듈의 두께를 얇게 구현할 수 있다.
제1아암커버(20)는 토션스프링(10)의 권선부(12)를 지지하는 제1권선커버부(22')(제1 실시예의 회동부(22)와 동일함)와, 제1권선커버부(22')로부터 연장된 아암지지부(24)를 포함하여 토션스프링(10)의 외측단(16)을 지지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부(14)로부터 절곡된 외측단(16)은 제1권선커버부(22')에 마련되는 슬릿 형태의 홀더부(21)를 관통하여 제1아암커버(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고정된다. 이것은 제1아암커버(20)와 토션스프링(10) 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1권선커버부(22')에 토션스프링(10)의 외측단(16)을 수용시킴으로써 제1 실시예에 비해 스프링모듈의 미관을 용이하게 한다. 제1권선커버부(22')의 중심에는 센터홀(27)이 마련되며, 이 센터홀(27)에는 리벳(28)이 결합된다.
제2아암커버(50)는 제1 실시예의 권선커버(30)와 제2아암커버(40)가 일체로 마련된 것으로, 제2권선커버부(52)와 지지커버부(54)를 포함하며 토션스프링(10)의 내측단(15)을 지지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10)의 내측단(15)은 제2권선커버부(22')에 슬릿 형태로 마련되는 홀더부(51)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 고정되어 제2아암커버(20)와 토션스프링(10) 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제2아암커버(50)의 제2권선커버부(52)와 지지커버부(54)는 제1아암커버(20)의 제1권선커버부(22') 및 아암지지부(2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제1아암커버(20)와 제2아암커버(50)의 제1,2권선커버부(22',52)는 리벳(28)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나아가 제2아암커버(50)의 회동가이드(56)가 제1아암커버(20)의 고정편(29)과 결합하면서 제1아암커버(20)와 제2아암커버(5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은 제1 실시예의 달리 제2아암커버(40)와 리벳(28)과 토션스프링(10)의 권선부(12)가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고정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프링모듈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휴대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에 적용되어 슬라이딩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며, 나아가 슬라이딩 동작 시 스프링모듈의 두께방향으로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이를 채용하는 전자기기에서 다른 부품들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나아가 슬림한 두께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제3 실시예는 상기 제2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예의 스프링모듈은 상기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토션스프링(10)과 제1아암커버(60)와 제2아암커버(70)를 포함한다.
먼저, 토션스프링(10)은 내측단(15)과 외측단(16)을 가진다. 내측단(15)은 겹침없는 소용돌이 형상의 권선부(12) 중심에 위치하며, 외측단(16)은 권선부(12)로부터 외부로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는 아암부(14)의 끝단에 위치한다.
제1아암커버(60)는 토션스프링(10)의 권선부(12)를 지지하는 제1권선커버부(62)(제1 실시예의 회동부(22)와 동일함)와, 제1권선커버부(62)로부터 연장된 아암지지부(64)를 포함하여 토션스프링(10)의 아암부(14) 및 외측단(16)을 지지한다. 제1권선커버부(62)의 중심에는 센터홀(67)이 마련되며, 이 센터홀(67)에는 리벳(69)이 결합된다.
제2아암커버(70)는 제1아암커버(60)와 마찬가지로 제2권선커버부(72)와 지지커버부(74)를 포함하며 토션스프링(10)의 내측단(15)을 지지한다. 내측단(15)을 고정하기 위해 제2권선커버부(72)에는 홀더부(71)가 마련된다. 홀더부(71)는 제2권선커버부(72)에 장공 형태로 개구되어 마련되며, 중간에 걸림턱(73)이 마련된다. 걸림턱(73)은 토션스프링(10)과 접촉하는 면 측으로 밴딩되어 돌출된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10)의 내측단(15)은 아암부(14)로부터 하측으로 밴딩되어 홀더부(71)의 걸림턱(73)에 걸리면서 홀더부(71)에 결합한다. 바람직하게 토션스프링(10)의 내측단(15) 높이(H1)는 제2아암커버(70)의 두께(H2)만큼 낮게 마련된다. 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73)에 걸기 위해 낮아진 토션스프링(10)의 내측단(15) 높이(H1)는 높이가 낮아지지 않았을 때의 걸림턱 높이(H1') 만큼 스프링모듈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최종 조립되는 스프링모듈을 보다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H1과 H2와 H1'는 모두 같은 높이이며, 토션스프링(10)의 내측단(15)과 걸림턱(73)는 결합 신뢰성을 위해 용접될 수 있다.
제1아암커버(60)와 제2아암커버(70)의 제1,2권선커버부(62,72)는 리벳(69)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아암커버(60)의 회동가이드(66)는 제2아암커버(70)의 고정편(79)과 결합한다. 또한, 제1아암커버(60)의 스토퍼(68)는 고정편(79)에 걸리면서 스프링모듈의 회동 범위를 제한한다.
10..토션스프링 12..권선부
14..아암부 20..제1아암커버
22(22')..회동부(권선커버부) 24..아암지지부
30..권선커버 40..제2아암커버
42..회동커버부 44..지지커버부
50..제2아암커버 52..권선커버부
54..지지커버부 56..회동가이드
60..제1아암커버 70..제2아암커버

Claims (11)

  1. 겹침 없이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겨진 권선부와, 권선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된 아암부를 갖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권선부와 아암부를 외측에서 지지하는 제1아암커버와, 상기 제1아암커버와 결합하여 상기 권선부를 내측에서 지지하는 권선커버와, 상기 권선커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토션스프링의 권선부와 결합하여 제1아암커버와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제2아암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권선커버는 표면에 호 형상으로 돌출 마련되는 가이드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2아암커버는 외주에 상기 가이드슬릿에 결합하도록 돌출 마련되는 플랜지를 구비하여, 상기 권선커버와 제2아암커버는 상호 회동하는 한편 회동 범위가 제한되는 스프링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커버는 권선부의 내측 끝단이 노출되는 중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2아암커버는 상기 중공을 통해 상기 권선부와 결합하는 스프링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의 아암부는 상기 제1아암커버의 측벽에 마련되는 절곡부를 밴딩하여 고정하는 스프링모듈.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암커버와 토션스프링의 권선부는 리벳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아암커버와 토션스프링의 권선부는 상기 리벳에 의해 고정 연결되는 스프링모듈.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커버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내측단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부를 구비하되,
    상기 홀더부는 슬릿 형태의 개구로 마련되며, 중간에는 걸림턱이 마련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내측단은 제2아암커버 측으로 밴딩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면서 개구에 결합하는 스프링모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스프링 내측단의 밴딩된 높이(H1)는 상기 제2아암커버의 두께(H2)와 동일한 스프링모듈.
  10. 삭제
  11. 삭제
KR1020100133150A 2010-12-23 2010-12-23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KR101185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150A KR101185122B1 (ko) 2010-12-23 2010-12-23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150A KR101185122B1 (ko) 2010-12-23 2010-12-23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558A KR20120071558A (ko) 2012-07-03
KR101185122B1 true KR101185122B1 (ko) 2012-09-21

Family

ID=46706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150A KR101185122B1 (ko) 2010-12-23 2010-12-23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1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114B1 (ko) 2008-03-20 2008-07-24 (주)제이엠씨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100848858B1 (ko) 2008-04-21 2008-07-31 (주)제이엠씨 좁은 궤적을 갖는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100860560B1 (ko) 2007-10-31 2008-09-26 (주)쉘-라인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용 스프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560B1 (ko) 2007-10-31 2008-09-26 (주)쉘-라인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용 스프링
KR100848114B1 (ko) 2008-03-20 2008-07-24 (주)제이엠씨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100848858B1 (ko) 2008-04-21 2008-07-31 (주)제이엠씨 좁은 궤적을 갖는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558A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7900B2 (ja) 小型情報端末用スライドヒンジ
US7729730B2 (en) Slide mechanism for a slide-type portable terminal device
JP5844651B2 (ja) スライド構造体への給電用装置
JP2010518774A (ja) 携帯端末機用ヒンジ式蓋開閉装置
US9094490B2 (en) Cover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8164889B2 (en) Sliding and tilting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848858B1 (ko) 좁은 궤적을 갖는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20080097666A (ko) 슬라이드 힌지
KR101185122B1 (ko)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KR101171079B1 (ko)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KR100860560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용 스프링
JP3161848U (ja) ばねユニット及びスライド機構
JP2008275136A (ja) スライド機構用付勢部材、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機器
JP4062322B2 (ja) 回転支持機構および携帯端末
JP4738193B2 (ja)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電話機
US8554289B2 (en) Portable apparatus having a slide mechanism for an upper casing and a lower casing
EP2410720A1 (en) Tilt slide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811048B1 (ko) 액츄에이터
KR101071930B1 (ko)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JP4998076B2 (ja) 開閉装置
JP2013155851A (ja) ばねユニット及びスライド機構
KR20110079186A (ko) 탄성모듈 및 그 조립 방법과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20110182567A1 (en) Strobe device
US7890151B2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JP2010098727A (ja) 弾性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スライド式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