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560B1 -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용 스프링 - Google Patents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용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560B1
KR100860560B1 KR1020070110581A KR20070110581A KR100860560B1 KR 100860560 B1 KR100860560 B1 KR 100860560B1 KR 1020070110581 A KR1020070110581 A KR 1020070110581A KR 20070110581 A KR20070110581 A KR 20070110581A KR 100860560 B1 KR100860560 B1 KR 100860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oil
outer coil
molding
spr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김병한
Original Assignee
(주)쉘-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쉘-라인 filed Critical (주)쉘-라인
Priority to KR1020070110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0Spiral springs with turns lying substantially in plane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공간활용성 및 설계자유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용 스프링이 개시된다.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용 스프링은 메인파트 및 메인파트에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파트의 사이에 제공되며, 제1외측코일, 제1외측코일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권선 직경을 가지며 일단이 제1외측코일의 일단에 연결되는 내측코일, 및 내측코일보다 상대적으로 큰 권선 직경을 가지며 일단이 내측코일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는 제2외측코일을 포함하는 코일탄성부, 제1외측코일의 다른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메인파트에 연결되는 제1스프링암, 제2외측코일의 다른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슬라이딩파트에 연결되는 제2스프링암을 포함하고, 제1외측코일 및 제2외측코일은 서로 밀착되게 배치되며, 내측코일은 제1 및 제2외측코일의 내부에 배치된다.
몰딩부, 스프링, 코일탄성부, 스프링암, 외측코일, 내측코일

Description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용 스프링{SPRING FOR SLIDE-TYPE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용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공간활용성 및 설계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에서 코일 탄성부를 중심으로 스프링 암이 선회운동을 하면서 단말기의 반자동 작동을 보조하는 단말기용 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스프링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스프링(101)은 나선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코일탄성부(201), 상기 코일탄성부(201)의 양단부 중 코일탄성부(201)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외측에 배치되는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와이어부(311), 상기 코일탄성부(201)의 양단부 중 코일탄성부(201)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내측에 배치되는 일단부로부터 제1와이어부(311)와 다른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2와이어부(32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101)은 상호 이동되는 피대상체 사이에 설치되어 각 피대상체의 상호 이동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스프링은 본체부 및 본체부에 대해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본체부와 슬라이드부를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 결하는 통상의 슬라이딩 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종래 스프링(101)은 그 구조적인 특성상 평형을 유지하면서 작동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스프링(101)은 코일탄성부가 절곡 형성됨에 따른 비틀림에 의해 코일탄성부(201) 및 각 와이어부(311,321)가 하나의 평면상에서 평형을 유지한 상태로 작동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곧 스프링(101) 작동시 유동이 발생됨을 의미한다.
더욱이 종래에는 스프링(101) 작동시 발생되는 유동에 의해 스프링(101)의 일부분이 인접한 주변 부품에 접촉되며 간섭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이에 따라 스프링(101)과 주변부품 간의 상호 접촉부위에 마모가 발생되고 작동소음이 발생되는 등 안정성 및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스프링(101) 작동시 발생되는 유동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피대상체의 사이에 스프링(101)의 유동을 허용하기 위한 일정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스프링(101)이 장착되는 피대상체의 공간활용성 및 설계자유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 및 이에 사용되는 스프링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스프링 작동시 스프링의 유동을 최소화하고, 코일 탄성부를 중심으로 스프링암이 선회운동을 하는 동안 스프링 유동에 따른 간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 및 이에 사용되는 스프링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의 장착 및 작동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고 스프링이 장착되는 피대상체의 공간활용성 및 설계자유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 및 이에 사용되는 스프링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터는 제1몰딩부, 제1몰딩부의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는 제2몰딩부, 제1몰딩부에 고정되는 제1스프링암 및 제2몰딩부에 고정되는 제2스프링암을 포함하고 제1스프링암 및 제2스프링암은 일체로 연결된 스프링부재를 포함한다.
제1몰딩부는 제2몰딩부상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부싱, 핀 등과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결속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몰딩부의 단부에는 원형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제2몰딩부에는 원형부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회전안내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부 및 회전안내면 을 매개로 제1몰딩부가 제2몰딩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다.
제1몰딩부와 제2몰딩부는 하나의 평면상에서 서로 평형을 유지한 상태로 회전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1몰딩부와 제2몰딩부가 서로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서로 다른 평면상에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2몰딩부의 일측에는 제1몰딩부의 이탈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구속돌기의 개수 및 배치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몰딩부 및 제1몰딩부에 각각 구속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몰딩부에는 제1스프링암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1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제2몰딩부에는 제2스프링암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2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각 스프링암은 제1 및 제2수용홈에 수용됨으로써 제1몰딩부 및 제2몰딩부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수용홈 및 제2수용홈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개구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제1수용홈 및 제2수용홈이 서로 같은 방향의 개구부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각 스프링암을 각 몰딩부상에 고정시키는 방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각 스프링암은 스냅피트(snap fit) 결합 방식으로 각 수용홈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및 제2몰딩부에는 각 스프링암이 각 수용홈에 스냅피트 결합되도록 스냅피트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스냅피트결합부를 배제하고 각 스프링암이 제1 및 제2수용 홈에 직접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몰딩부 및 제2몰딩부에는 피장착물에 피벗(pivot) 결합 가능하게 피벗결합부가 제공될 수 있다. 피벗결합부는 구조 및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제1몰딩부 및 제2몰딩부가 사출 성형될 시 함께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피벗결합부가 제1몰딩부 및 제2몰딩부에 별도로 장착될 수 있다.
스프링부재는 제1스프링암 및 제2스프링암의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는 코일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코일탄성부의 구조 및 형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코일탄성부는 제1스프링암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외측코일, 제1외측코일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권선 직경을 가지며 일단이 제1외측코일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는 내측코일, 내측코일보다 상대적으로 큰 권선 직경을 가지며 일단은 내측코일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제2스프링암에 연결되는 제2외측코일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1외측코일 및 제2외측코일은 서로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내측코일은 제1 및 제2외측코일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외측코일과 제2외측코일은 서로 대응되는 권선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1외측코일과 제2외측코일이 서로 다른 권선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외측코일 및 내측코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권수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외측코일 및 내측코일의 권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몰딩부는 코일탄성부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제1수용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몰딩부는 코일탄성부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제2수용공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제1수용공은 제2수용공은 서로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수용공은 서로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몰딩부에는 각 수용홈과 함께 각 수용홈과 연통되게 측면에 걸어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 및 스프링은 일반적인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본체부와 슬라이드부를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통상의 슬라이딩 모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슬라이딩 모듈 외에 각종 장치 및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부재의 각 스프링암이 제1 및 제2몰딩부에 의해 지지 고정된 상태로 작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스프링 작동시 발생되는 유동을 최소화하고, 스프링암이 코일탄성부를 중심으로 선회 운동을 하여도 스프링 유동에 따른 간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부재의 두께 증가 없이 일정 이상의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게 하며 액츄에이터 및 이가 채용되는 제품의 소형화 및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액츄에이터를 피대상체에 피벗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리벳팅 공정을 배제하고, 각 몰딩부가 사출 성형될 시 각 몰딩부와 함께 피벗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게 함으로써, 구조 및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원가 절감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I-I선 단면도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100)는 제1몰딩부(200), 제2몰딩부(300) 및 스프링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호 이동되는 피대상체(10,20) 사이에 설치되어 각 피대상체(10,20)의 상호 이동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몰딩부(200)와 제2몰딩부(300)는 일단부를 중심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속됨과 아울러 스프링부재(400)를 구속하며, 스프링부재(400)의 작동시 발생되는 비틀림 및 그에 따른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제1몰딩부(200) 및 제2몰딩부(300)는 통상의 사출 공법을 통해 제작될 수 있으며, 각 몰딩부(200,300)의 형상 및 구조는 스프링부재(400)의 구조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몰딩부(200)는 제2몰딩부(300)상에 직접 회전 가능하게 결속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부싱, 핀 등과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결속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몰딩부(200)의 단부에는 원형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몰딩부(300)에는 원형부(210)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회전안내면(310)이 형성되어, 상기 원형부(210) 및 회전안내면(310)을 매개로 제1몰딩부(200)가 제2몰딩부(3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속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몰딩부(200)와 제2몰딩부(300)는 하나의 평면상에서 서로 평형을 유지한 상태로 회전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1몰딩부(200)와 제2몰딩부(300)가 서로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서로 다른 평면상에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몰딩부(300)의 일측에는 제1몰딩부(200)의 이탈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돌기(3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돌기(312)는 제1몰딩부(200)의 둘레 일부 및 외면 일부를 덮도록 제2몰딩부(300)에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 축선 방향을 따른 제1몰딩부(200)의 이탈이 구속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구속돌기(312)의 개수 및 배치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몰딩부(300)에만 구속돌기(312)가 형성된 예 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몰딩부(200)에도 제2몰딩부(300)의 둘레 및 외면 일부를 덮도록 구속돌기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몰딩부(200)에는 제1스프링암(41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1수용홈(220)이 형성될 수 있고, 제2몰딩부(300)에는 제2스프링암(42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2수용홈(3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스프링암(410,420)은 제1 및 제2수용홈(220,320)에 수용됨으로써 제1몰딩부(200) 및 제2몰딩부(300)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홈(220) 및 제2수용홈(320)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개구부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1수용홈(220)은 제1몰딩부(20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수용홈(320)은 제1몰드의 외면과 반대 방향에 배치된 제2몰딩부(30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각 스프링암(410,420) 사이에 제1몰딩부(200) 및 제2몰딩부(300)가 배치될 수 있게 하며, 제1몰딩부(200) 및 제2몰딩부(300)의 결속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수용홈(220) 및 제2수용홈(320)이 서로 같은 방향의 개구부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스프링암(410,420)을 각 몰딩부(200,300)상에 고정시키는 방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각 스프링암(410,420)은 스냅피트(snap fit) 결합 방식으로 각 수용홈(220,320)에 고정될 수 있는 바, 이를 위해 상기 제1 및 제2몰딩부(200,300)에는 각 스프링암(410,420)이 각 수용홈(220,320)에 스냅피트 결합되도 록 스냅피트결합부(222,3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냅피트결합부(222,322)는 각 수용홈(220,320)의 개구부 근처에 각 수용홈(220,320)의 폭보다 작은 진입구를 형성하도록 제공되어, 각 스프링암(410,420)의 삽입 및 탈착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의 스냅피트결합부를 배제하고 각 스프링암(410,420)이 제1 및 제2수용홈(220,320)에 직접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몰딩부(200) 및 제2몰딩부(300)에는 피장착물에 피벗(pivot) 결합 가능하게 피벗결합부(240,34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각 피벗결합부(240,340)는 피대상체(10,20)의 결합공(30)에 피벗 결합될 수 있다. 피대상체(10,20)에 형성되는 결합공(30)은 대략 피넛형으로 피벗결합부(240,340)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도록(경우에 따라서는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삽입공(31) 및 삽입공(3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삽입공(31)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피벗결합부(240,340)가 고정되는 고정공(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공(32)은 피벗결합부(240,340)가 삽입공(31)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1/2원 보다 큰 원주면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비교적 큰 직경을 갖는 삽입공(31)을 통해 피벗결합부(240,340)가 삽입될 수 있으며, 피벗결합부(240,340)가 삽입된 후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고정공(32)으로 피벗결합부(240,340)가 이동됨으로써 피벗결합부(240,340)가 결합공(30)에 피벗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벗결합부(240,340)는 제1몰딩부(200) 및 제2몰딩부(300)에 별도로 장 착될 수 있으나, 구조 및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제1몰딩부(200) 및 제2몰딩부(300)가 사출 성형될 시 함께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부재(400)는 제1몰딩부(200)에 고정되는 제1스프링암(410) 및 제2몰딩부(300)에 고정되는 제2스프링암(420)을 포함하며, 각 스프링암(410,420)은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스프링부재(400)는 소정 두께를 갖는 선재를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부재(400)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400)는 제1스프링암(410) 및 제2스프링암(420)의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는 코일탄성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코일탄성부(430)는 소정 두께를 갖는 선재를 절곡시킴으로써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코일탄성부(430)의 일단은 제1스프링암(410)에 일체로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제2스프링암(420)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각 스프링암(410,420) 간의 각도 및 배치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코일탄성부(430)의 구조 및 형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코일탄성부(430)가 제1외측코일(432), 내측코일(434), 제2외측코일(436)을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외측코일(432)은 소정 권선 직경을 갖도록 권선되며, 그 일단은 제1스프링암(410)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내측코일(434)은 제1외측코일(43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권선 직경을 갖도록 권선되며, 그 일단은 제1외측코일(432)의 다른 일단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제2외측코일(436)은 내측코일(434)보다 상대적으로 큰 권선 직경을 갖도록 권선되며, 그 일단은 내측코일(434)의 다른 일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제2스프링암(420)에 일체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외측코일(432) 및 제2외측코일(436)은 서로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코일(434)은 제1 및 제2외측코일(432,436)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부재(400)는 두께 증가 없이 일정 이상의 탄성력이 제공할 수 있다. 즉, 코일탄성부(430)는 각 외측코일(432,436) 및 내측코일(434)을 포함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스프링 2개에 상응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스프링부재(400)의 전체 두께는 내측코일(434)이 각 외측코일(432,436)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내측코일(434)이 형성됨에 따른 두께 증가 없이 제1 및 제2외측코일(432,436)의 두께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외측코일(432)과 제2외측코일(436)은 동일한 권선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외측코일(432,436) 및 내측코일(434)의 권수가 각각 하나인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각 외측코일 및 내측코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권수가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외측코일 및 내측코일의 권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암(410,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대략 "L" 형상의 고정절곡부(411,4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수용홈(220,320)은 고정절곡부(411,42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몰딩부를 사출 성형할 때 고정절곡부가 몰딩부와 함께 일체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고정절곡부(411,421)는 스프링부재(400)의 뒤틀림 및 비틀림을 구속하며 스프링부재(400)의 장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외측코일(432,436) 및 내측코일(434)을 포함하는 코일탄성부(430), 각 스프링암(410,420)이 각각 독립적인 별개의 구성요소로 설명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코일탄성부(430) 및 각 스프링암(410,420)은 하나의 선재를 연속적으로 절곡시켜 일체로 통합된 하나의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몰딩부(200)는 코일탄성부(430)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제1수용공(2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몰딩부(300)는 코일탄성부(430)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제2수용공(33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수용공(230)과 제2수용공(330)은 서로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수용공(230,330)은 서로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스프링암(410,420)이 제1 및 제2몰딩부(200,300)의 외면측으로부터 각 수용홈(220,320)에 단순히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다르게는 각 스프링암(410,420)이 걸어끼워지는 방식으로 각 몰딩부(200,300)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몰딩부(200,300)에는 각 수용홈(220,320)과 함께 각 수용홈(220,320)과 연통되게 측면에 걸어끼움홈(225,325)이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각 스프링암(410,420)은 그 일부가 각 수용홈(220,320)에 끼워진 상태에서 각 스프링암(410,420)의 단부를 소정 각도로 절곡시킨 상태로 제1 및 제2몰딩부(200,300)의 측면측으로부터 각 걸어끼움홈(225,325)에 삽입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각 스프링암(410,420)의 단부는 각 걸어끼움홈(225,325)에 걸려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작동중 충격에 의해 각 스프링암(410,420)이 각 몰딩부(200,300)의 외면측으로 이탈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 외에도 각 스프링암(410,420)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각 몰딩부(200,300)상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스프링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액츄에이터 200 : 제1몰딩부
300 : 제2몰딩부 400 : 스프링부재
410 : 제1스프링암 420 : 제2스프링암
430 : 코일탄성부

Claims (4)

  1. 메인파트 및 상기 메인파트에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파트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메인파트 및 상기 슬라이딩파트 간의 슬라이드 이동을 반자동으로 작동시키는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용 스프링에 있어서,
    제1외측코일, 상기 제1외측코일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권선 직경을 가지며 일단이 상기 제1외측코일의 일단에 연결되는 내측코일, 및 상기 제1외측코일과 동일한 권선 직경을 가지며 일단이 상기 내측코일의 다른 일단에 연결되는 제2외측코일을 포함하는 코일탄성부;
    상기 제1외측코일의 다른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메인파트에 연결되는 제1스프링암; 및
    상기 제2외측코일의 다른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파트에 연결되는 제2스프링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외측코일 및 제2외측코일은 서로 밀착되게 배치되며, 상기 내측코일은 상기 제1 및 제2외측코일의 두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스프링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고정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코일탄성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스프링암 및 상기 제2스프링암이 선회 운동을 하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용 스프링.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70110581A 2007-10-31 2007-10-31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용 스프링 KR100860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581A KR100860560B1 (ko) 2007-10-31 2007-10-31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용 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581A KR100860560B1 (ko) 2007-10-31 2007-10-31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용 스프링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587A Division KR100811048B1 (ko) 2007-07-09 2007-07-09 액츄에이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097A Division KR20090006026A (ko) 2008-07-16 2008-07-16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용 스프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560B1 true KR100860560B1 (ko) 2008-09-26

Family

ID=4002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581A KR100860560B1 (ko) 2007-10-31 2007-10-31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용 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5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444B1 (ko) 2008-10-21 2009-06-18 (주)애니캐스팅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
KR100930906B1 (ko) * 2009-04-02 2009-12-10 정의선 슬라이드 모듈용 스프링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 모듈
KR101059221B1 (ko) * 2008-10-14 2011-08-25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1171079B1 (ko) 2009-10-20 2012-08-06 주식회사 다이아벨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KR101185122B1 (ko) 2010-12-23 2012-09-21 주식회사 다이아벨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2244A (ja) * 2002-03-07 2003-09-19 Keihin Kinzoku Kogyo Kk ループスプリン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2244A (ja) * 2002-03-07 2003-09-19 Keihin Kinzoku Kogyo Kk ループスプリン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221B1 (ko) * 2008-10-14 2011-08-25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903444B1 (ko) 2008-10-21 2009-06-18 (주)애니캐스팅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
KR100930906B1 (ko) * 2009-04-02 2009-12-10 정의선 슬라이드 모듈용 스프링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 모듈
CN101854405A (zh) * 2009-04-02 2010-10-06 郑义先 滑动模块用扭簧及使用该扭簧的滑动模块
WO2010114271A2 (ko) * 2009-04-02 2010-10-07 Jung Eui Sun 슬라이드 모듈용 스프링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 모듈
WO2010114271A3 (ko) * 2009-04-02 2011-01-20 Jung Eui Sun 슬라이드 모듈용 스프링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 모듈
KR101171079B1 (ko) 2009-10-20 2012-08-06 주식회사 다이아벨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KR101185122B1 (ko) 2010-12-23 2012-09-21 주식회사 다이아벨 스프링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560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용 스프링
US6616080B1 (en) Retractable cord device
EP1736368B1 (en) Wiring harness excess length absorbing device
US7131401B2 (en) Retracting and locking leash assembly
JP2010533407A (ja)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スプリング
EP1829751B1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US20140061216A1 (en) Cover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EP2555345A1 (en) Rotary connector device
US9070496B2 (en) Rotatable connector device
US20060273980A1 (en) Antenna device having rotatable structure
US20130095672A1 (en) Rotatable connector device
KR100811048B1 (ko) 액츄에이터
JP4205516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巻き取り繰り出し装置
EP2642616A1 (en) Rotating connector device
JP2005137158A (ja) ハーネス保持具とそれを用いたハーネス配索構造
KR20080097666A (ko) 슬라이드 힌지
EP2555346A1 (en) Rotary connector device
KR100798704B1 (ko) 액츄에이터 및 이에 사용되는 스프링
KR20090006026A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용 스프링
KR100884505B1 (ko) 액츄에이터
JP5985194B2 (ja) ばねユニット及びスライド機構
KR100840774B1 (ko) 액츄에이터
US8554289B2 (en) Portable apparatus having a slide mechanism for an upper casing and a lower casing
JP2007326512A (ja) 電気接続構造
KR10076985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