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774B1 -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774B1
KR100840774B1 KR1020070134164A KR20070134164A KR100840774B1 KR 100840774 B1 KR100840774 B1 KR 100840774B1 KR 1020070134164 A KR1020070134164 A KR 1020070134164A KR 20070134164 A KR20070134164 A KR 20070134164A KR 100840774 B1 KR100840774 B1 KR 100840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part
molding
spring
actuator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김병한
Original Assignee
(주)쉘-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쉘-라인 filed Critical (주)쉘-라인
Priority to KR1020070134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7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774B1/ko
Priority to JP2010515969A priority patent/JP2010533407A/ja
Priority to EP08778667A priority patent/EP2174424A4/en
Priority to US12/668,376 priority patent/US20100295222A1/en
Priority to PCT/KR2008/004006 priority patent/WO2009008655A2/en
Priority to CN200880024214A priority patent/CN101785195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중앙 몰딩부, 제1 및 제2 몰딩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액츄에이터가 개시된다. 액츄에이터의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 외곽에 몰딩부가 제공되어 토션 스프링의 비틀림, 뒤틀림 등을 방지하여 토션 스프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션 스프링이 나란하게 제공되어 토션 스프링의 탄성 회전에 따른 동선이 최소화되어 토션 스프링이 장착되는 이외의 영역의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 토션 스프링, 몰딩부

Description

액츄에이터{ACTUATOR}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슬라이딩 구동에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드 방식의 개인휴대단말기에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토션스프링은 본체부와 슬라이드부가 반자동 또는 자동으로 움직이도록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인 토션스프링은 코일부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토션 스프링의 양단이 슬라이트 힌지 장치 또는 본체에 장착되어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코일부는 일반적으로 나선형으로 절곡되지만, 토션스프링에는 여러 장력 및 비틀림이 발생하기 때문에 토션스프링 자체가 한 평면 내에서 움직일 수가 없다. 슬라이딩 방식의 단말기를 보면, 토션스프링에서 코일부와 와이어부는 언제나 동일 평면 상에서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로 비틀림 발생시 코일부 및 각 와이어부가 하나의 평면상에서 평형을 유지하지 않고 위 아래로 맥동하면서 움직이게 되며, 슬라이드 힌지 장치 또는 본체의 다른 구조물과 필요 이상의 마찰을 발생시킬 수 있다.
위아래로 움직이는 스프링은 주변 구조물과 마찰을 일으켜 분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주변 구조물에 걸려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 과정을 방해할 수 있다. 특히, 코일부의 감긴 회수를 증가하거나 감긴 직경을 작게 하는 경우, 스프링이 돌출되는 경향이 증가할 수 있으며, 스프링 유동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이 이동하는 영역에는 다른 장치 또는 요소를 위치시킬 수 없으며, 스프링의 위아래 움직임을 고려한 설계가 단말기 설계시 고려되어야 한다. 즉, 스프링 또는 대체물이 한 평면 내에서 움직일 수 있고, 스프링 또는 대체물이 작동시 차지하는 영역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개인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구동시 힘의 방향이 바뀌는 정점에서 슬라이드부가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경향이 발생하는데,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줄 수 있으며, 사용자는 확실히 슬라이드 동작을 완료하도록 신경써서 충분한 길이만큼 밀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프링 부재의 작동시 스프링의 위아래 유동을 최소화하고 거의 한 평면 내에서 움직이도록 하여 유동에 따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프링 부재의 장착 및 작동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액츄에이터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앙 몰딩부; 중앙 몰딩부의 일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는 제1 몰딩부; 중앙 몰딩부의 타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는 제2 몰딩부; 중앙 몰딩부 및 제1 몰딩부에 고정되도록 양 제1 스프링 암을 포함하는 제1 토션 스프링; 중앙 몰딩부 및 제2 몰딩부에 고정되도록 양 제 2 스프링 암을 포함하는 제2 토션 스프링;을 포함한다. 토션 스프링의 스프링 암이 몰딩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스프링의 유동을 최소로 줄일 수 있으며, 토션 스프링의 중심 축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탄성 회전하면 슬라이딩 구동시에 최소의 영역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영역의 활용성 향상될 수 있다.
제1 몰딩부와 제2 몰딩부의 일 측에는 제1 원형부 및 제2 원형부가 형성되고, 제1 및 제2 몰딩부의 타 측에는 제1 원형부 및 제2 원형부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해 회전 안내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몰딩부와 제2 몰딩부는 하나의 평면상에 서로 나란하게 제공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기울어진 상태로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몰딩부에는 제1 스프링 암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1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몰딩부에는 제2 스프링이 암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2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각 스프링 암은 제1 및 제2 수용홈에 수용됨으로써, 제1 및 제2 몰딩부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이 서로 같은 방향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몰딩부 및 제2 몰딩부에는 레일 플레이트 및 게이트 플레이트에 피벗 결합 가능하도록 피벗 결합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피벗 결합부는 구조 및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제1 몰딩부 및 제2 몰딩부가 사출 성형될 시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피벗 결합부가 제1 몰딩부 및 제2 몰딩부에 별도로 장착될 수도 있다.
각 토션 스프링은 중심 축이 나란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 가능하게 코일형으로 절곡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코일부는 스프링 암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스프링 암은 제1 및 제2 코일부 외단의 공통 외접선 상에 형성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 제1 및 제2 코일부 하단의 공통 외접선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될 경우 중앙 몰딩부에 슬릿을 형성하여 스프링 암이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제1 토션 스프링 및 제2 토션 스프링은 중앙 몰딩부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 및 스프링은 일반적인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본체부와 슬라이드부를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는 통상의 슬라이딩 모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슬라이딩 모듈 외에 각종 장치 및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에 따르면, 토션 스프링 외곽에 몰딩부를 제공하여 토션 스프링이 탄성 회전에 의한 비틀림, 뒤틀림을 구속하여 토션 스프링의 형상 변화가 줄어들 수 있게 한다. 슬라이딩 구동력인 토션 스프링의 형상이 구속될 수 있으므로 슬라이딩의 수명이 향상되어 슬라이딩이 보다 원활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에 따르면, 토션 스프링이 나란하게 제공되어 토션 스프링의 탄성 회전에 따른 동선이 최소화 될 수 있다. 즉,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몰딩부가 일자형에 가깝게 형성되기 때문에 토션 스프링이 이동하는 동선의 너비가 최소화되어 토션 스프링 및 몰딩부가 제공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의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 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를 장착한 개인휴대단말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액츄에이터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100)는 슬라이드 방식을 이용하는 개인휴대단말기(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개인휴대단말기(10)는 본체부(80) 및 슬라이드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액츄에이터(100)는 본체부(80)와 슬라이드부(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100)가 본체부(80) 및 슬라이드부(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액츄에이터(100) 양 단은 레일 플레이트(40) 및 가이드 플레이트(60)에 고정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00)는 개인휴대단말기(10)가 슬라이딩 이동할 때, 슬라이드부(20)와 본체부(80) 사이에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일정 거리만큼 슬라이드부(20)를 밀어 올리면 나머지 구간은 슬라이드부(20)가 반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게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레일 플레이트(40)는 슬라이드부(20)의 케이스 후면에 장착되며 가이드 플레이트(60)는 본체부(80) 정면 상부에 고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플레이트(40)는 슬라이드부(20)와 분리되어 별도로 고정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레일 플레이트 자체가 슬라이드부의 케이스, 즉 하부 케이스로도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키패드의 위치에 따라 레일 플레이트가 본체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가이드 플레이트가 슬라이드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는 중앙 몰딩부, 제1 및 제2 몰딩부 및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을 포함한다.
제1 몰딩부(140)와 제2 몰딩부(160)는 중앙 몰딩부(12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속됨과 아울러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240, 260)을 구속하며,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240, 260)이 작동될 때 발생되는 비틀림 및 그에 따른 위아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제1 몰딩부(140) 및 제2 몰딩부(160)는 통상의 사출 공법을 통해 제작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몰딩부(140, 160)의 형상 및 구조는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240, 260)의 구조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몰딩부(140, 160)의 단부에 제1 및 제2 원형부(미도시, 166)가 형성되고, 중앙 몰딩부(120)에는 제1 및 제2 원형부(미도시, 166)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제1 및 제2 회전 안내면(128a, 128b)이 형성되어, 각 원형부(미도시, 166) 및 회전 안내면(128a, 128b)을 매개로 제1 및 제2 몰딩부(140, 160)가 중앙 몰딩부(120)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속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원형부와 회전 안내면의 위치가 상호 바뀔 수도 있다.
아울러 제1 몰딩부(140)와 제2 몰딩부(160)는 중앙 몰딩부(120)의 양단에서 하나의 평면 내에서 회동하며, 중앙 몰딩부(120)의 장축을 기준으로 한 쪽 영역, 즉 180도 이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1 몰딩부(140)에는 제1 스프링 암(242)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제1 수용홈(142)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몰딩부(160)에는 제2 스프링 암(262)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제2 수용홈(16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프링 암(242, 262)은 제1 및 제2 수용홈(142, 162)에 수용됨으로써 제1 및 제2 몰딩부(140, 160)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제1 수용홈(142)에 대응하여 중앙 몰딩부(120)에도 제1 스프링 암(242)을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홈은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1 토션 스프링(240)의 제1 스프링 암(242)에 의해서 제1 몰딩부(140)와 중앙 몰딩부(120)가 상호 밀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수용홈(162)에 대응하여 중앙 몰딩부(120)에도 제2 스프링 암(262)을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홈 역시 제2 수용홈(162)와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수용홈(142) 및 제2 수용홈(162)이 서로 다른 방향 또는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몰딩부(140) 및 제2 몰딩부(160)에는 레일 플레이트(40) 및 가이드 플레이트(60)에 피벗(pivot)결합 가능하도록 피벗 결합부(130, 17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피벗 결합부(130, 170)는 리벳 헤드 형상 또는 볼트 헤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레일 플레이트(40) 및 가이드 플레이트(60)의 제1 및 제2 결합공(30, 70)에 피벗 결합될 수 있다.
레일 플레이트(40) 및 가이드 플레이트(60)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결합공(30, 70)은 대략 피넛형으로 삽입공과 고정공이 연통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결합공(30, 70)에서 제1 및 제2 삽입공(31, 71)은 피벗 결합부(130, 170)의 최대 직경과 같거나 적어도 큰 직경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으 며, 제1 및 제2 고정공(32, 72)는 피벗 결합부(130, 170)의 최대 직경보다 작은 직경, 바람직하게는 피벗 결합부(130, 170)의 안쪽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피벗 결합부(130, 170)와 실질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는 고정공은 삽입공보다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
피벗 결합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제1 및 제2 삽입공(31, 71)을 통해 피벗 결합부(130, 17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피벗 결합부(130, 170)가 제1 및 제2 삽입공(31, 71)에 삽입된 후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제1 및 제2 고정공(32, 72)으로 피벗 결합부(130, 170)를 이동함으로써 피벗 결합부(130, 170)가 제1 및 제2 결합공(30, 70)에 피벗 결합될 수 있다.
피벗 결합부(130, 170)는 제1 몰딩부(140) 및 제2 몰딩부(160)에 별도로 장착될 수 있지만 구조 및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몰딩부가 사출 성형될 때 함께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토션 스프링(240, 260)은 제1 및 제2 몰딩부(140, 160)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 스프링 암(242, 262)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240, 260)은 제1 및 제2 스프링 암(242, 262) 사이에 소정 두께를 갖는 선재를 절곡시킨 제1 및 제2 코일부(244, 2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프링 암(242, 262)은 제1 및 제2 원형부(미도시, 166)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코일부(244, 264)를 중심으로 양 단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코일부 및 제1 및 제2 스프링 암은 토션 스프링이 형성되는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코일부(244, 264)는 제1 및 제2 스프링 암(242, 262)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코일부(244, 264)의 중심축이 평행하도록 절곡되어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240, 260)이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몰딩부(140, 160) 역시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240, 260)의 형상에 따라 제공될 수 있도록 나란하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스프링 암(242, 262)의 단부에는 L형상의 절곡부(a. 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앙 몰딩부(120)에 결속되는 제1 및 제2 스프링 암(242, 262)에 형성된 절곡부(a)는 각 코일부(244, 264)가 절곡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몰딩부(140, 160)에 결속되는 절곡부(b)는 각 코일부(244, 264)의 절곡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수용홈(142, 162)은 각 절곡부(a, 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a, b)는 스프링 부재의 뒤틀림 및 비틀림을 구속하며 토션 스프링의 장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제1 몰딩부(140)는 제 1 코일부(244, 264)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공(14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몰딩부(160) 또한 제2 코일부(264)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제2 수용공(16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용공(144, 164)은 서로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각 수용공(144, 164)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각 스프링 암이 제1 및 제2 몰딩부의 외면측으로부터 각 수용홈에 끼워지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 만, 다르게는 각 스프링 암이 걸어끼워지는 방식으로도 제1 및 제2 몰딩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액츄에이터의 구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토션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중앙 몰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을 참조하면, 제1 토션 스프링(440) 및 제2 토션 스프링(460)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코일부(444)에서 제2 코일부(464)에 인접한 제1 스프링 암(442) 및 제2 코일부(464)에서 제1 코일부(444)에 인접한 제2 스프링 암(462)은 스프링 암(450)을 통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코일부(444) 및 제2 코일부(464)의 각 외단을 연결하는 스프링 암(450)은 예를 들어 제1 코일부(444) 및 제2 코일부(464) 외단의 공통 외접선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코일부(444) 및 제2 코일부(464)는 스프링 암(450)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스프링 암(450)은 제1 및 제2 코일부(444, 464) 외단의 공통 외접선 중 상부 공통 외접선 상에 스프링 암이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스프링 암(450)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대응하여, 중앙 몰딩부(320)는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440, 460)이 연결되는 스프링 암(450)이 통과할 수 있는 슬릿(35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440, 460)은 스프링 암(450)이 슬릿(350)이 통과하여 중앙 몰딩부(32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슬릿은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이 연결되는 스프링 암의 형태에 따라 형상, 위치 등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및 제2 스프링 암(462)의 각 단부는 제1 및 제2 코일부(444, 464)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절곡부(c)는 제1 및 제2 스프링 암(442, 462)을 통해 제1 및 제2 몰딩부(340, 360)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의 작동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아울러,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100)는 레일 플레이트(40), 가이드 플레이트(6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00) 구동 설명에 앞서, 도 8 내지 도 10에 개재된 액츄에이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액츄에이터(100)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300)에 의해서도 개인휴대단말기(10)의 슬라이드는 구동될 수 있으며, 제시된 액츄에이터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가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피벗 결합부(130)는 제1 결합공(30)에 고정되어 레일 플레이트(40)가 슬라이딩 이동하면, 액츄에이터(100)는 일정 위치의 임계점까지 토션 스프링(240, 260)은 탄성력을 축적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100)가 임계점을 지나면 토션 스프링(240, 260)이 복원되면서 임계점 이후의 나머지 구간은 반 자동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토션 스프링(240, 260)은 개인휴대단말기(10)의 슬라이딩 이동의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중앙 몰딩부(120) 및 제1 및 제2 몰딩부(140, 160)는 토션 스프링(240, 260)의 탄성 회전에 따라 토션 스프링(240, 260)의 뒤틀림 및 비틀림을 구속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240, 260)의 뒤틀림 및 비틀림을 전체적으로 구속하기 때문에 토션 스프링(240, 260)의 형상 변화 등이 줄어들 수 있으며, 토션 스프링(240, 260)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개인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딩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레일 플레이트(40)가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 몰딩부(140, 160)의 길이 방향의 너비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각 토션 스프링(240, 260)이 나란하게 제공되기 때문에 각 몰딩부(140, 160)가 각 토션 스프링(240, 260)의 외곽을 따라 일정하게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액츄에이터(100)의 탄성 회전에 따른 이동 동선은 각 토션 스프링(240, 260)의 형상에 의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일자형에 가까운 액츄에이터는 탄성 회전에 따른 이동 동선이 각 스프링 암에만 의존되므로 각 스프링 암이 이동하는 동선 이외의 영역의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를 장착한 개인휴대단말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액츄에이터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액츄에이터의 구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토션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중앙 몰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의 작동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개인휴대단말기 30: 제1 결합공
70 제2 결합공 100, 300: 액츄에이터
120, 320: 중앙 몰딩부 130, 330: 제1 피벗 결합부
140, 340: 제1 몰딩부 160: 제2 몰딩부
170: 제2 피벗 결합부 240, 440: 제1 토션 스프링
260, 460: 제2 토션 스프링

Claims (8)

  1. 중앙 몰딩부;
    상기 중앙 몰딩부의 일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는 제1 몰딩부;
    상기 중앙 몰딩부의 타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는 제2 몰딩부;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앙 몰딩부 및 상기 제1 몰딩부에 각각 고정되는 제1 스프링 암을 포함하는 제1 토션 스프링; 및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앙 몰딩부 및 상기 제2 몰딩부에 각각 고정되는 제2 스프링 암을 포함하는 제2 토션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몰딩부는 상기 중앙 몰딩부의 장축을 기준으로 180도 이내의 범위에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 암 중 상호 마주하는 스프링 암이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몰딩부에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에서 각각의 코일부는 상기 중앙 몰딩부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 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에서 상기 연결된 스프링 암은 상기 슬릿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은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 암에 대해 각각의 코일부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중앙 몰딩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몰딩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몰딩부는 상기 중앙 몰딩부의 장축을 기준으로 180도 이내의 범위에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몰딩부의 단부에는 리벳 헤드 형상의 피벗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몰딩부에 형성된 상기 피벗 결합부는 각각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몰딩부 중 단부에는 각각 제1 원형부 및 제2 원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원형부에 대응하여 상기 중앙 몰딩부의 양 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 원형부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해 회전 안내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원형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의 코일부가 수용되는 수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KR1020070134164A 2007-07-09 2007-12-20 액츄에이터 KR100840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164A KR100840774B1 (ko) 2007-12-20 2007-12-20 액츄에이터
JP2010515969A JP2010533407A (ja) 2007-07-09 2008-07-08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スプリング
EP08778667A EP2174424A4 (en) 2007-07-09 2008-07-08 ACTUATOR AND SPRING USED FOR THE SAME
US12/668,376 US20100295222A1 (en) 2007-07-09 2008-07-08 Actuator and spring used therefor
PCT/KR2008/004006 WO2009008655A2 (en) 2007-07-09 2008-07-08 Actuator and spring used therefor
CN200880024214A CN101785195A (zh) 2007-07-09 2008-07-08 致动器及用于该致动器的弹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164A KR100840774B1 (ko) 2007-12-20 2007-12-20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0774B1 true KR100840774B1 (ko) 2008-06-24

Family

ID=39772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164A KR100840774B1 (ko) 2007-07-09 2007-12-20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7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003B1 (ko) 2010-02-11 2012-09-21 주식회사 로브 탄성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704B1 (ko) * 2007-07-09 2008-01-29 (주)쉘-라인 액츄에이터 및 이에 사용되는 스프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704B1 (ko) * 2007-07-09 2008-01-29 (주)쉘-라인 액츄에이터 및 이에 사용되는 스프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003B1 (ko) 2010-02-11 2012-09-21 주식회사 로브 탄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54844A1 (en) Link assembly with springs which can be extended and contracted and slider assembly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having the link assembly
US20100295222A1 (en) Actuator and spring used therefor
US7729730B2 (en) Slide mechanism for a slide-type portable terminal device
US7831285B2 (en) Slider assembly for sliding-type mobile phone and cellular phone having the slider assembly
US7464500B2 (en) Moving wiring system for vehicle
US7400913B2 (en) Position-holding pivot/slide mechanism for cell phone
US7131401B2 (en) Retracting and locking leash assembly
US20100022286A1 (en) Sliding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7697280B2 (en) Sliding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60061744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 조립체
KR20070027576A (ko) 휴대 장치용 평행 평판 회전 힌지
KR100860560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용 스프링
KR20050084528A (ko) 플립-폰 커버
KR100840774B1 (ko) 액츄에이터
KR200376773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 조립체
KR100811048B1 (ko) 액츄에이터
JP2008275136A (ja) スライド機構用付勢部材、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機器
KR100798704B1 (ko) 액츄에이터 및 이에 사용되는 스프링
JP4738193B2 (ja)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電話機
KR100884505B1 (ko) 액츄에이터
US20110051379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ing mechanism thereof
JP5985194B2 (ja) ばねユニット及びスライド機構
KR200403709Y1 (ko) 슬라이더 조립체용 업/다운 유지수단 및 그러한 업/다운유지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조립체
KR10076985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힌지장치
KR100945242B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