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4528A - 플립-폰 커버 - Google Patents

플립-폰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4528A
KR20050084528A KR1020057013131A KR20057013131A KR20050084528A KR 20050084528 A KR20050084528 A KR 20050084528A KR 1020057013131 A KR1020057013131 A KR 1020057013131A KR 20057013131 A KR20057013131 A KR 20057013131A KR 20050084528 A KR20050084528 A KR 20050084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using portion
slider
guide memb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코 베치오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84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452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 기구를 가지며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반응하여 자동으로 하나의 하우징부가 나머지 하우징부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회전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용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자 기기를 개방할 때의 신규한 거동이 제공되고, 힌지가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된다. 또한, 개방 중에 하우징부 사이에는 간섭이 전혀 없다. 두 하우징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신규한 배치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플립-폰 커버{FLIP-PHONE COVER}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기기, 특히 통신 기기용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두 개의 하우징부를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회전시키기 위한 힌지 기구를 갖는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모바일 라디오, 핸드폰, 랩톱 컴퓨터, PDA와 같은 임의의 휴대용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폰용의 소위 U-플립 또는 클램(clam)형 팩터는 두 개의 하우징부를 가지며, 이들 하우징부는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 기구에 의해 하우징부의 하나의 에지를 따라서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 힌지 기구는 비교적 부피가 큰 경향이 있다. 모바일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 하우징 내부의 공간은 매우 중요하며, 따라서 힌지 기구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힌지는 하우징부 사이의 상대 회전 중에 하우징부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우징부의 에지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U-플립형 팩터에서는 디스플레이를 U-플립의 아암들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보다 큰 디스플레이를 수용하기 위해 또한 하우징의 보다 양호한 스타일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회전축이 하우징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힌지에 대해서는 보다 적은 공간이 이용될 수 있다.
도1a, 1b, 및 1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용 하우징의 개방 작동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는 힌지 기구의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 3차원 도시도이다.
도3은 하우징이 폐쇄된 위치에서 조립된 상태의 도2의 힌지 기구의 도시도이다.
도4는 슬라이더 부재와 슬라이더 스프링의 상세도이다.
도5는 안내 부재의 상세도이다.
도6은 폐쇄 위치에서의 힌지 기구의 부분도이다.
도7은 개방 위치에서의 힌지 기구의 부분도이다.
도8은 폐쇄 위치에서 조립된 상태에서 슬라이더 부재와 아암 부재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요성 커넥터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청구된 하우징이 제공된다.
힌지가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되는 한편, 전자 기기를 개방할 때의 신규한 거동이 제공된다. 또한, 개방 중에 하우징부 사이의 간섭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보다 양호한 이해를 위해서, 또한 본 발명이 어떻게 효과를 발휘하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첨부도면을 예시적으로 참조할 것이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명료함을 위해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병기될 것이다.
도1a, 1b, 및 1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용 하우징(100)의 개방 동작을 도시한다. 도시된 예시적 하우징(100)은 "U-플립"형이지만, 본 발명은 다른 하우징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도1a는 하우징(100)의 제1 하우징부(10)와 제2 하우징부(12)를 도시한다. 상기 제2 하우징부(12)는, 제1 하우징부(10)의 양쪽으로 연장되고 보다 상세히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에 따른 힌지 기구를 사용하여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조립되는 두 개의 아암 부재(14)를 갖는다. 후술하듯이 제2 하우징부(12)가 제1 하우징부(10)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제1 하우징부(10)에는 슬롯(16a, 16b)(16b는 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된다.
도1a에 도시하듯이, 힌지 기구는 폐쇄 위치에서 래치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100)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2 하우징부(12)를 도1a에 도시된 X방향으로 민다. 이러한 조작은 후술하듯이 힌지 기구를 해제하며, 도1b에 도시하듯이 제2 하우징부(12)의 아암 부재(14)를 슬롯(16a) 및 대응 슬롯(16b)(도시되지 않음)을 따라서 중간 위치로 슬라이딩시킨다. 일단 중간 위치에 있게 되면, 제2 하우징부(12)의 아암 부재(14)는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제2 하우징부(12)는 도1c에 도시된 개방 위치로 회전한다.
하우징을 다시 폐쇄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2 하우징부(12)를 도1c에 도시된 개방 위치로부터 도1b에 도시된 중간 위치로 다시 회전시키고, 이후 제2 하우징부(12)를 도1a에 도시된 폐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X방향으로 민다.
도2는 힌지 기구의 부재들을 도시하는 확대 3차원 도시도이다.
제2 하우징부의 아암 부재(14)는 성형(shaped) 헤드 부재(18)를 갖는다. 상기 성형 헤드 부재(18)는 제1 및 제2 하우징부(10, 12)에 평행한 방향의 제1 치수가, 이 제1 치수 방향에 거의 수직한 방향의 제2 치수보다 크도록 성형된다. 도시하듯이, 성형 헤드 부재(18)의 외측 에지는 원의 호에 합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제1 하우징부(10)에는 도4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후술될 슬라이더 부재(20) 및 관련 슬라이더 스프링(22)이 제공된다. 상기 슬라이더 부재(20)는 도3에 보다 명백히 도시되는 안내 레일(24) 사이에 장착되며, 제1 하우징부(10)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스프링(22)은 각각의 슬라이더 부재(20)와 제1 하우징부(1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더 부재(20)에는 슬라이더 구멍(26)이 형성되며, 슬라이더 아암(28)(도2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된다.
상기 제1 하우징부(10)에는 또한 안내 부재(30)가 제공되는 바, 이에 대해서는 도4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안내 부재(30)는 제1 하우징부(10)에 부착되거나, 또는 제1 하우징부(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안내 부재(30)에는, 슬라이드 섹션을 형성하는 슬롯(34)을 갖는 개구(32), 및 회전 섹션을 형성하는 구멍(36)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 부재(30)는 또한 후술될 슬라이더 아암(28)을 수용하기 위한 슬라이더 아암 슬롯(38)을 갖는다.
상기 힌지 기구는 또한 아암 부재(14)의 헤드 부재(18)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20) 사이에 배치되는 나선형 스프링(40)을 포함하는 바, 이에 대해서는 도3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제1 하우징부(10)와 제2 하우징부(12)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가요성 커넥터(42) 및 대응 가요성 샤프트(44)가 또한 제공된다. 상기 전기적 연결은 도8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배치에서, 제2 하우징부(12)의 하나의 아암 부재(14)에는 하우징을 개방하기 위한 스프링(40)이 제공된다. 제2 하우징부(12)의 나머지 아암 부재(14)는 제1 및 제2 하우징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가요성 커넥터(42) 및 대응 가요성 샤프트(44)와 조립된다.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듯이, 본 발명은 그러한 배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양 아암 부재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스프링 및/또는 가요성 커넥터를 지지할 수 있다.
도3은 하우징의 폐쇄된 위치에서 조립된 상태에 있는 도2의 힌지 기구를 도시한다. 아암 부재(14)의 헤드 부재(18)는 슬롯(34)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치수가 더 큰 안내 부재(30)의 슬롯(34)을 통해서 또한 슬라이더 부재(20)의 슬라이더 구멍(26)을 통해서 조립된다. 상기 아암 부재(14)의 헤드 부재(18)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20) 사이에는 나선형 스프링(40)이 배치된다. 도시된 배치에서, 헤드 부재(18)에는 나선형 스프링(40)의 일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46)가 제공된다. 상기 나선형 스프링(40)은 제2 하우징부(12)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헤드 부재(18)에 회전력을 가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슬롯(34)의 폭은 헤드 부재(18)의 길이방향 치수보다 작고, 따라서 헤드 부재(18)는 슬롯(34) 내에서 회전할 수 없다.
상기 슬라이더 부재(20)의 슬라이더 아암(28)은 안내 부재(30)의 슬라이더 아암 슬롯(38)에 조립된다. 하우징의 폐쇄 위치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 아암(20)은 슬라이더 아암 슬롯(28) 내의 안정 위치에 존재하며, 따라서 힌지 기구는 래치 폐쇄된다. 이 상황에서, 슬라이더 스프링(22)은 연장되어, 도3에 도시된 Y방향으로 슬라이더(20)에 힘을 가한다.
도4는 슬라이더 부재(20) 및 슬라이더 스프링(22)을 상세 도시한다. 전술했듯이, 나선형 스프링(40)은 슬라이더 구멍(26) 안에 배치된다. 나선형 스프링(40)의 일단부는 슬라이더 부재(20)에 장착되며, 나선형 스프링(40)의 타단부는 도3에 도시하듯이 헤드 부재(18)가 슬라이더 구멍(26)에 삽입될 때 헤드 부재(18)에 부착된다. 슬라이더 아암(28)은 슬라이더 부재(20)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일 단부에 핀(50)을 갖는 비임(48)을 포함하며, 상기 비임은 그 타 단부에서 슬라이더 부재에 부착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비임(48)은 비임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며, 따라서 비임(48)은 도시하듯이 그 휴지 위치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편향될 수 있지만, 비임(48)의 편향은 비임(48)을 그 휴지 위치로 복귀시키는 경향의 힘을 발생시킬 것이다.
도5는 안내 부재를 상세히 도시한다. 전술했듯이, 상기 안내 부재(30)에는, 슬라이드 섹션을 구성하는 슬롯(34)과, 회전 섹션을 구성하고 아암 부재(14)의 헤드 부재(18)를 수용하는 구멍(36), 및 슬라이더 아암(28)의 핀(50)을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슬라이더 아암 슬롯(38)이 형성된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되듯이, 제1 및 제2 하우징부(10, 12)의 개폐 중에, 슬라이더 부재(20)는 안내 레일(24)을 따라서 안내 부재(30)에 대해 이동한다. 슬라이더 부재(20)가 안내 부재(30)에 대해 이동할 때, 슬라이더 아암(28)의 핀(50)은 슬라이더 아암 슬롯(38) 내에서 이동한다.
하우징의 폐쇄 위치에서, 핀(50)은 위치 A에 유지된다. 슬라이더 스프링(22)에 의해 슬라이더 부재(20)에 Y방향 힘이 가해지므로, 도3을 참조하여 설명했듯이, 핀(50)은 슬라이더 아암 슬롯(38)의 오목부(52)에서 안정적이다. 도5에 도시된 점선 RR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비임(48)이 그 휴지 위치에 있을 때 ZZ방향으로의 핀(50)의 레벨을 나타냄을 알아야 한다. 비임(48)이 그 휴지 위치로부터 편향되므로, 비임(48)에는 도시하듯이 하향 힘이 작용한다. 다시, 그러나, 핀(50)은 슬라이더 아암 슬롯(38)의 오목부(52)에서 안정적이다.
하우징의 개방 도중에, 핀(50)은 슬라이더 부재(20)에 X방향(후술됨)으로 가해지는 힘과 핀(50)에 작용하는 하향 편향 힘에 반응하여 슬라이더 아암 슬롯(38)에 의해 먼저 위치 B로 안내된다. X방향 힘이 제거되면, 슬라이더 부재(20)는 슬라이더 스프링(22)에 의해 슬라이더 부재(20)에 가해지는 힘에 반응하여 안내 부재에 대해 Y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핀(50)은 슬라이더 안내 슬롯을 따라서 위치 C로 이동하고, 이후 도시하듯이 비임(48)에 의해 가해지는 상향 편향력의 영향으로 위치 D로 이동한다. 핀(50)의 이 위치는 안정적인 위치이며, 후술하듯이 하우징의 개방 위치에 대응한다.
하우징이 폐쇄될 때, 54부분에서의 슬라이더 아암 슬롯(38)의 형상은 핀(50)이 슬라이더 아암 슬롯(38)을 따라서 도시하듯이 위치 E로 이동하게 만든다. 위치 E에서, 핀(50)은 비임(48)에 의해 가해지는 하향 힘에 반응하여 위치 A로 되돌아갈 수 있다.
도6은 폐쇄 위치에 있는 조립된 힌지 기구의 부분 도시도이다. 슬라이더 아암(28)의 비임(48)과 핀(50) 외에 슬라이더 부재(20)는 명료함을 위해 윤곽만 도시하였다.
도3을 참조하여 설명했듯이, 아암 부재(14)의 헤드 부재(18)는 슬롯(34)에 평행한 방향으로의 치수가 더 큰 안내 부재(30)의 슬롯(34)을 통해서 또한 슬라이더 부재(20)의 슬라이더 구멍(26)을 통해서 조립된다. 도3을 참조하여 설명했듯이, 슬라이더 스프링(22)은 슬라이더 부재(20)에 대해 Y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도5를 참조하여 설명했듯이 핀(50)은 슬라이더 아암 슬롯(38)의 안정적인 위치 A에 존재한다.
전자 기기 하우징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는 도1a를 참조하여 설명했듯이 제2 하우징부(12)를 X방향으로 민다. 헤드 부재(18)가 안내 부재(30)의 슬롯(34)에 대해서는 이동할 수 있지만 슬라이더 부재(20)의 슬라이더 구멍(26)에 대해서는 이동할 수 없으므로, 제2 하우징부(12)의 아암 부재(14)의 헤드 부재(18)는 안내 부재(30)에 대해 슬라이더 부재(20)와 함께 X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핀(50)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했듯이 위치 B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도1a 및 1b를 참조하여 설명했듯이 하우징을 해제한다. 1b 방향으로의 힘이 해제되므로, 슬라이더 부재(20)는 슬라이더 스프링(22)에 의해 슬라이더 부재(20)에 가해지는 힘에 반응하여 헤드 부재(18)와 함께 Y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헤드 부재는 따라서 구멍(36)에 도달할 때까지 안내 부재(30)의 슬롯(34)을 따라서 이동한다. 헤드 부재(18)가 구멍(36)에 도달할 때까지 슬라이더 부재(20)가 Y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핀(50)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했듯이 위치 C로 이동하고 이후 안정적인 위치 D로 이동한다. 이것이 도1b를 참조하여 도시된 중간 위치이다. 도1b에 도시된 중간 위치로부터 도1c에 도시된 개방 위치로의 하우징의 개방은 도7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7은 하우징의 개방 위치에서의 힌지 기구의 부분 도시도이다. 슬라이더 부재(20)는 이제 고정적이며, 핀(50)은 안정한 위치 D에 위치한다. 전술했듯이, 제2 하우징부(12)의 아암 부재(14)의 헤드 부재(18)는 중간 위치에서 안내 부재(30)의 구멍(36)에 도달한다. 이제 슬롯(34)의 구속에서 벗어나면, 헤드 부재(18)는 나선형 스프링(40)으로부터 헤드 부재(18)에 작용하는 힘에 반응하여 안내 부재(30)의 구멍(36)과 슬라이더 부재(20)의 슬라이더 구멍(26) 안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2 하우징부(12)는 따라서 도1c에 도시하듯이 개방 위치로 회전한다.
하우징을 다시 폐쇄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2 하우징부(12)를 도1c에 도시된 개방 위치로부터 도1b에 도시된 중간 위치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헤드 부재(18)는 나선형 스프링(40)으로부터 헤드 부재(18)에 작용하는 힘에 대항하여 슬롯(34)과 정렬될 때까지 안내 부재(30)의 구멍(36)과 슬라이더 부재(20)의 슬라이더 구멍(26) 안에서 회전하게 된다. 제2 하우징부(12)가 이후 X방향으로 이동될 때, 헤드 부재(18)는 안내 부재(30)의 슬롯(34)을 따라서 이동한다. 헤드 부재(18)가 슬라이더 부재(20)의 슬라이더 구멍(26)에 수용되므로, 슬라이더 부재(20)는 또한 슬라이더 스프링(22)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대항하여 안내 부재에 대해 이동한다. 도5를 참조하여 전술했듯이, 핀(50)은 슬라이더 아암 슬롯(38)을 따라서 위치 E로 이동하며, 이어서 위치 A로 복귀한다. 이것이 도1a에 도시된 폐쇄 위치이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예를 들어 제2 하우징부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를 위해서 제1 및 제2 하우징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하우징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예시적인 방법에 대해 도2 및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며, 상기 도8은 폐쇄 위치에서 조립된 상태에 있는 슬라이더 부재와 아암 부재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요성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2에 가장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듯이, 가요성 커넥터(42)는 가요성 샤프트(44)에 조립되며, 가요성 커넥터(42)의 두 아암형 부재가 가요성 샤프트(44)의 비임부 주위에 조립된다. 이후 가요성 샤프트(44)는 헤드 부재(18)에 조립될 수 있으며, 가요성 커넥터(42)의 아암형 부재는 회로 및 제2 하우징부에 연결될 수 있다.
가요성 커넥터(42)의 나머지 부분은 도8에 보다 명료히 나타나 있듯이 헤드 부재(18) 위에 놓이며, 슬라이더 부재(20)에 부착된다. 전술했듯이 헤드 부재가 슬라이더 부재(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가요성 커넥터(44)에는 충분한 느슨함이 제공된다. 최종적으로, 슬라이더 부재(20)와 제1 하우징부 및/또는 그 위의 전기/전자 회로(도시되지 않음) 사이에는 가요성 커넥터가 제공된다. 이 가요성 커넥터는 슬라이더 부재(20)에서의 이동을 수용하도록 충분한 느슨함을 갖는다. 이런 식으로, 하우징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유리한 배치를 개시하였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하였지만,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여러가지 변형예가 있을 수 있으며, 그러한 모든 변형예들은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Claims (15)

  1. 제1 및 제2 하우징부와 힌지 기구를 갖는 하우징이며,
    상기 하우징부 중 하나의 하우징부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반응하여 자동으로 나머지 하우징부에 대해 슬라이딩하고 회전하는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에는 안내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제2 하우징부에는 상기 안내 부재에 조립되는 아암 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아암 부재는 안내 부재에 대해 이동할 수 있는 하우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와 아암 부재는, 제1 하우징부가 제1 배치에서는 제2 하우징부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제2 배치에서는 제2 하우징부에 대해 회전할 수 없도록 배열되는 하우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부재는 아암 부재가 안내 부재에 대해 회전할 수 없는 슬라이드 섹션과, 아암 부재가 안내 부재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회전 섹션을 갖는 하우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하우징부에는 개구를 갖는 슬라이딩 부재가 또한 제공되며, 개구 내로 제1 하우징부의 아암 부재가 끼워져서 개구에 대해 제1 하우징부의 아암 부재가 회전할 수 있는 하우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아암 부재 사이에는 회전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은 제1 하우징부의 아암 부재를 개방 위치로 회전시키는 경향이 있는 힘을 제공하도록 편의되는 하우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제2 하우징부 사이에는 슬라이더 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스프링은 슬라이딩 부재를 안내 부재의 슬라이드 섹션으로부터 안내 부재의 회전 섹션의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향이 있는 힘을 제공하도록 편의되는 하우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부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아암 부재를 안내 부재의 슬라이드 섹션에 유지하기 위한 래치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하우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안내 부재에 형성되는 슬롯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형성되는 가요성 바아를 포함하는 하우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가요성 바아가 하우징의 개방 및 폐쇄 중에 비복귀 경로를 따르게 하는 하우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아암 부재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우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제2 하우징부 상의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우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커넥터가 사용되는 하우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하우징을 갖는 휴대용 전자 기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하우징을 갖는 통신 기기.
KR1020057013131A 2003-01-17 2003-12-11 플립-폰 커버 KR200500845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3425020A EP1439685B1 (en) 2003-01-17 2003-01-17 Flip-phone cover
EP03425020.9 2003-01-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528A true KR20050084528A (ko) 2005-08-26

Family

ID=32524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131A KR20050084528A (ko) 2003-01-17 2003-12-11 플립-폰 커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439685B1 (ko)
KR (1) KR20050084528A (ko)
CN (1) CN1739277A (ko)
AU (1) AU2003299224A1 (ko)
DE (1) DE60310673T2 (ko)
TW (1) TWI337825B (ko)
WO (1) WO20040665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46792A1 (en) * 2004-08-31 2006-03-02 Hassemer Brian J Hinge apparatus and methods therefor
KR20060114905A (ko) * 2005-05-03 2006-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형 휴대 단말기
US20060270469A1 (en) * 2005-05-25 2006-11-30 Jon Godst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7522945B2 (en) * 2005-06-28 2009-04-21 Noki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713483B1 (ko) * 2005-08-05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재질을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EP1760998B1 (en) * 2005-09-02 2010-08-04 LG Electronics Inc.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mechanism for automatically opening at various angles
US20070067954A1 (en) * 2005-09-28 2007-03-29 Finney Benjamin M Hinge apparatus and methods therefor
KR101232951B1 (ko) * 2005-11-07 201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청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US7499264B2 (en) * 2006-05-03 2009-03-03 Nokia Corporation Compact devices with turn and slide concept
WO2008000288A1 (en) * 2006-06-28 2008-01-03 Nokia Corporation Slide-tilt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US8029309B2 (en) 2006-10-03 2011-10-04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s with sliding and tilting mechanisms, and associated methods
EP1916826B1 (en) * 2006-10-25 2009-10-14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s with sliding and tilting mechanisms
CN100442963C (zh) * 2006-11-07 2008-12-10 倚天资讯股份有限公司 滑动模组、滑盖装置、及具滑盖的电子装置
EP2100432A1 (en) * 2006-12-28 2009-09-16 Nokia Corporation Hinge apparatus for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8019394B2 (en) 2007-06-29 2011-09-13 Motorola Mobility, Inc. Component packaging for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US8204560B2 (en) 2008-12-17 2012-06-19 Motorola Mobility, Inc. Clamshell phone with edge access
CN117128233A (zh) * 2023-03-07 2023-11-28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阻尼机构、折叠铰链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2627B2 (en) * 2001-05-18 2005-01-1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multipart housing electrical conn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39277A (zh) 2006-02-22
EP1439685A1 (en) 2004-07-21
DE60310673T2 (de) 2007-10-04
AU2003299224A1 (en) 2004-08-13
EP1439685B1 (en) 2006-12-27
DE60310673D1 (de) 2007-02-08
TWI337825B (en) 2011-02-21
WO2004066597A1 (en) 2004-08-05
TW200503506A (en) 2005-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84528A (ko) 플립-폰 커버
US5937062A (en) Hinge module for mounting a flip onto a portable telephone set
US7184806B2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EP2134065B1 (en) Portable terminal
JP3959086B2 (ja) 移動通信端末機用スライダーアセンブリ
KR100694258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49035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US7650671B2 (en) Slide hinge module and slide type equipment utilizing the same
US7865151B2 (en) Swing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KR100658462B1 (ko) 개폐 장치
US20050288055A1 (en) Electronic equipment comprising a retractable screen
EP1883207B1 (en) Swing hinge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EP1715661B1 (en) Slide module for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and cover apparatus therefor
US20040196403A1 (en) Camera lens unit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20060154701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EP2410720A1 (en) Tilt slide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60133276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999105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100998268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100905318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힌지장치
JPWO2003012918A1 (ja) アンテナ切替装置および携帯機器
KR200379274Y1 (ko) 휴대폰용 로터리 힌지 모듈
KR200422869Y1 (ko)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어셈블리
KR100636536B1 (ko)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641201B1 (ko) 슬라이드폰의 안테나 노출형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