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869Y1 -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869Y1
KR200422869Y1 KR2020060013605U KR20060013605U KR200422869Y1 KR 200422869 Y1 KR200422869 Y1 KR 200422869Y1 KR 2020060013605 U KR2020060013605 U KR 2020060013605U KR 20060013605 U KR20060013605 U KR 20060013605U KR 200422869 Y1 KR200422869 Y1 KR 200422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in
cam
assembly
housing
hing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6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익
Original Assignee
대아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아테크(주) filed Critical 대아테크(주)
Priority to KR20200600136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8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8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드로잉공법으로 제조되는 하우징에 결합되는 축핀의 선단에 걸림 돌출부를 형성하고, 회전작동캠의 외측면에는 상기 걸림돌출부를 삽입 안내되기 위한 조립공과 상기 조립공에 다른 회전 각도로 로크홈을 형성하여 축핀을 삽입 회전하여 그 걸림 돌출부가 회전작동캠의 로크홈에 걸려 지지되도록 조립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와셔나 이링과 같은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지지 설치하므로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짐은 물론 조립 공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데 그 특징이 있다.
폴더,무선단말기, 힌지어셈블리, 조립, 하우징, 걸림 돌출부, 로크홈

Description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어셈블리{A HINGE ASSEMBLY OF A WIRELESS CELLULAR PHONE IN A FOLDER TYPE}
도 1은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일 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힌지어셈블리의 일 례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f는 본 고안의 조립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축핀 220: 걸림 돌출부
230: 걸림돌기 300: 회전작동캠
350: 조립공 360: 로크홈
400: 직선이동캠 500: 압축스프링
600: 하우징 620: 관통공
본 고안은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축핀의 지지작동을 링이나 고리와 같은 별도의 부품이 배제된 간단한 구조를 제공함은 물론 그 조립이 간단하여 작업성을 극대화하는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더형 무선단말기에 사용되는 힌지어셈블리(1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가 장착된 본체(main body)(B1)와, 키패드의 입력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서브본체(sub body)(B2)의 연결부분에 내장설치되어 서브본체(B2)가 소정 각도로 신속하게 회동 개폐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힌지어셈블리(1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금속판(metal plate)으로 드로잉(drawing)공법으로 가공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서브본체(B2)의 회동시에 함께 회전되도록 일측에 회전축(31)이, 그리고 타측에 한 쌍의 캠이 형성된 회전작동캠(30)과, 이 회전작동캠(30)에 맞물려서 직선이동되도록 축핀지지면에 한 쌍의 캠이 형성된 직선이동캠(40)과, 회전작동캠(30)과 직선이동캠(40)을 수용하도록 내부에 수용부(61)를 갖는 하우징(60)과, 직선이동캠(40)과 회전작동캠(30)을 하우징(60)에 결합시키는 축핀(20)과, 축핀(20)을 하우징(60)에 회전되게 고정하는 와셔(70) 및 스냅링(71)과, 직선이동캠(40)의 직선이동시에 압축 또는 확장되는 스 프링(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축핀(20)은 축봉(22)의 단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외주연에 스냅링(71)을 삽입하기 위한 걸림홈(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작동캠(30)과 직선이동캠(40)은 중앙에 축핀(20)이 관통결합되도록 관통공(33, 41)이 각각 형성되고, 하우징(60)도 이와 마찬가지로 관통공(62)이 형성된다. 회전작동캠(30)은 서브본체(B2)와 결합되도록 회전축(31)이 일측에 형성되고,
이 회전축(31) 내측에는 축핀(20)의 헤드(21)를 수용하도록 헤드 형상의 오목부(3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한 쌍의 캠(34)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작동캠(30)의 캠(34)에 대응하여 직선이동캠(40)도 일측에 한 쌍의 캠(42)이 돌출형성되고, 외면은 하우징(60)의 수용부(61)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60)의 수용부(61) 내에서 직선이동캠(40)의 회전이 방지되고 수용부(61) 내에서 직선이동되게 안내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본체(B1)와 서브본체(B2)의 연결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힌지어셈블리(10)는 서브본체(B2)의 개폐시에 회전작동캠(30)이 회전되고, 이 회전작동캠(30)에 의해 직선이동캠(40)이 후방(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되어 압축되거나 압축된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전방(도면에서 좌측)으로의 이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폴더형 힌지어셈블리(10)는 하우징에 회전작동 캠(30)과 직선이동캠(40)을 결합시키는 축핀(20)을 하우징(60)에 고정하기 위해 와셔(70)와 이링( E-ring)(71) 등의 다수 부품을 사용하였고, 따라서 힌지어셈블리의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과 제조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다수 부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축핀을 고정하되, 상기 축핀의 고정작업을 간단하게 제공하므로 작업성, 경제성을 극대화하는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본 고안은 통상의 드로잉(drawing) 공법으로 제조된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어셈블리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부를 갖는 하우징의 축핀지지면 중앙에 축핀(shaft pin)이 삽입 안내되도록 축핀의 단면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직선이동캠, 회전작동캠을 결합시키도록 선단에 걸림 돌출부와 타측단에 헤드(head)가 형성된 축핀;
상기 축핀을 조립하기 위해 외측면으로 축핀의 선단 걸림 돌출부가 삽입 안내되기 위한 조립공과 상기 조립공에 다른 회전 각도로 걸림 돌출부가 걸려 지지되는 로크홈이 형성된 회전작동캠;
으로 구성되어 축핀에 의해 직선이동캠과 회전작동캠이 하우징에 고정되어 각각 직선이동 및 회전작동되게 조립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즉, 도 4 내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어셈블리는 종래의 힌지어셈블리(10)와 대부분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힌지어셈블리(100)에 있어서, 회전작동캠(300)은 길이방향의 중앙에 축공(330)이 관통되어 한 쌍의 캠(310)이 축핀지지면으로 돌출 형성되고, 타측은 회전되는 몸체(도시되지 않음)에 끼움 결합되는 축결합부(320)를 갖는다.
또한, 이 회전작동캠(300)에 결합되고 하우징(600)내에 수용되어 직선이동되는 직선이동캠(400)은 길이방향의 중앙에 축공(430)이 관통되어 일측에 한 쌍의 캠(410)이 형성되고, 외면은 하우징(600)내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직선이동되도록 하우징(600)의 수용부(630)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다.
하우징(6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압축스프링(500), 직선이동캠(400) 및 회전작동캠(300)을 하우징(600)에 결합하기 위해 축핀(200)은 양측단으로 헤드(210)와길이방향에 직교되는 걸림 돌출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축핀(200)의 걸림 돌출부(220)는 축봉(215) 선단에 "T"자형 걸림돌기(230)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축핀(200)을 조립하기 위한 구조로서, 축핀을 삽입하기 위해 하우징(600)의 축핀지지면(610)에는 축핀이 삽입안내되도록 축핀 단면형상의 관통공(620)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작동캠(300)의 외측면에는 축핀(200)의 선단 걸림 돌출부(220)가 삽입 안내되기 위한 조립공(350)과 상기 조립공에 다른 회전 각도로 걸림 돌출부(220)가 걸려 지지되는 로크홈(36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작동캠(300)의 조립공(350)과 로크홈(360)은 직교되는 열십자상의 위치로 형성하고, 상기 로크홈(360)은 축핀(200)의 걸림 돌출부(220)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힌지어셈블리(100)는 상기 하우징(600)과 축핀(200)이 도전성 금속재로 구성되는 바, 키패드가 장착된 본체(main body)(B1)와, 키패드의 입력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서브본체(sub body)(B2) 상에 구성된 그라운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최근 휴대폰에 구비되는 카메라, 안테나의 전자파 흡수율의 감소와, 누설전류를 차단하여 배터리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한편, 접지의 증가를 통해 송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힌지어셈블리의 접지기능은 이미 당업계의 휴대폰 기술에는 상용화된 기술임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상기한 본 고안의 조립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힌지어셈블리(100) 조립과정은 는 도 7a 내지 도 7f에 단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7a는 하우징(600)의 축핀지지면(610) 측으로 축핀(200), 그 대향측으로 하우징(600)내부에 수용되는 압축스프링(500), 직선이동캠(400) 및 회전작동캠(300)을 조립하기 위해 배열 준비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도 7b와 같이, 하우징(600)의 수용부(630)로 압축스프링(500)과 직선이동캠(400)을 삽입한다.
그리고 도 7c와 같이, 하우징(600)의 축핀지지면(610)에 형성된 관통공(620)을 통해 축핀(20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축핀(200)의 헤드(210)는 축핀지지면(610)에 밀착지지되고, 선단의 걸림 돌출부(220)는 직선이동캠(400) 중앙의 축공(430)을 통해 돌출된 상태로 조립된다.
이 상태에서 도 7d와 같이 축핀(200) 선단으로 회전작동캠(300)을 그 중앙의 축공(330)을 통해 삽입한다.
이때 도 7e와 같이 상기 회전작동캠(300)의 조립공(350)으로 축핀 선단의 걸림 돌출부(220), 즉 "T"자형 걸림돌기(230)가 삽입되어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작동캠(300)을 압축스프링(500)을 압압하도록 가압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축핀(200)을 회전시켜 축핀 선단의 "T"자형 걸림돌기(230)가 회전작동캠(300)의 로크홈(360)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7f와 같이 상기 가압하던 회전작동캠(300)의 가압력을 제거하면 압축스프링(500)의 탄발력에 의해 회전작동캠(300)이 탄발 이동하면서 축핀 선단의 "T"자형 걸림돌기(230)가 회전작동캠(300)의 로크홈(360)에 삽입되어 걸림 지지되면서 조립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축핀을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 와셔와 이링 등의 다수 부품 사용이 배제됨은 물론 조립 구조를 단순화하므로서 힌지어셈블리의 조립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조립작업을 간편하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조립된 본 고안의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조립어셈블리(100)는 무선단말기에 내장설치되어 무선단말기를 개폐작동시킬 때 회전작동캠(300)의 회전에 의해 직선이동캠(400)이 직선이동이 이루어지고, 직선이동캠(400)의 직선이동에 의해 압축되거나 반발되는 압축스프링(500)의 탄발력에 의해 무선단말기의 개폐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서, 축핀(200)은 회전작동캠(300)의 회전시에 함께 회전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어셈블는 축핀의 선단에 걸림 돌출부를 형성하고, 회전작동캠의 외측면에는 상기 걸림돌출부를 삽입 안내되기 위한 조립공과 상기 조립공에 다른 회전 각도로 로크홈을 형성하여 축핀을 삽입 회전하여 걸림 돌출부가 로크홈에 걸려 지지되도록 조립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와셔나 이링과 같은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짐은 물론 조립 공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회전작동을 위해 일측에 회전축(320)과 타측에 한 쌍의 캠이 형성된 회전작동캠(300)과, 이 회전작동캠(300)에 맞물려서 직선이동되도록 축핀지지면으로 한 쌍의 캠이 형성된 직선이동캠(400)과, 회전작동캠(300)과 직선이동캠(400)을 수용하도록 내부에 수용부(630)를 갖는 하우징(600)과, 직선이동캠(400)과 회전작동캠(300)을 하우징(600)에 결합시키는 축핀(200)과, 직선이동캠(400)의 직선이동시에 압축 또는 확장되는 스프링(5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축핀(200)은 회전작동캠(300)과 직선이동캠(400) 중앙의 관통공(330, 430) 및 하우징(600)의 축핀지지면(610) 중앙의 관통공으로 삽입되게 결합되어 고정되는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축핀(200)은 일측단에 헤드(210)와 타측 선단에 걸림 돌출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600)의 축핀지지면(610) 중앙에 축핀(shaft pin)이 삽입 안내되도록 축핀의 단면 형상의 관통공(620)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작동캠(300)의 외측면 중앙에는 축핀의 선단 걸림 돌출부(220)가 삽입 안내되기 위한 조립공(350)과 상기 조립공에 다른 회전 각도로 걸림 돌출부(220)가 걸려 지지되는 로크홈(360)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작동캠(300)의 조립공(350)과 로크홈(360)은 직교상의 열십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핀(200)의 걸림 돌출부(220)는 축봉(215) 선단에 "T"자형 걸림돌기(2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어셈블리.
KR2020060013605U 2006-05-22 2006-05-22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어셈블리 KR200422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605U KR200422869Y1 (ko) 2006-05-22 2006-05-22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605U KR200422869Y1 (ko) 2006-05-22 2006-05-22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470 Division 2006-05-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869Y1 true KR200422869Y1 (ko) 2006-08-02

Family

ID=4177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605U KR200422869Y1 (ko) 2006-05-22 2006-05-22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8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7062A (en) Hinge module for mounting a flip onto a portable telephone set
KR100557078B1 (ko)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49035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KR100969747B1 (ko) 힌지 장치를 이용한 그라운드 접속 장치를 구비하는휴대용 무선 단말기
US8453299B2 (en) Connecting module and slid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KR20050084528A (ko) 플립-폰 커버
EP1496673B1 (en) Swivel hing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060154701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20050056603A (ko) 회전 폴더형 휴대폰
KR200422869Y1 (ko)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어셈블리
KR101009933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403684Y1 (ko) 휴대폰용 로터리 힌지 모듈
KR100729715B1 (ko)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어셈블리 조립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된 힌지어셈블리
KR20060095310A (ko) 반자동 스윙모듈 및 이 스윙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417430Y1 (ko) 폴더형 무선단말기의 힌지어셈블리 힌지어셈블리
KR200392956Y1 (ko)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KR100975710B1 (ko)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810277B1 (ko) 듀얼 연결부재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
KR101045354B1 (ko) 접이식 휴대 단말기용 힌지 모듈
KR200379274Y1 (ko) 휴대폰용 로터리 힌지 모듈
KR2005006127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
KR10096572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KR200225611Y1 (ko)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483620B1 (ko) 폴더형 휴대폰의 힌지장치
KR200258171Y1 (ko) 휴대폰의 덮개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