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003B1 - 탄성기구 - Google Patents

탄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003B1
KR101184003B1 KR20100013039A KR20100013039A KR101184003B1 KR 101184003 B1 KR101184003 B1 KR 101184003B1 KR 20100013039 A KR20100013039 A KR 20100013039A KR 20100013039 A KR20100013039 A KR 20100013039A KR 101184003 B1 KR101184003 B1 KR 101184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plate
arm member
elastic mechanism
extending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13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3162A (ko
Inventor
한 상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브
Priority to KR20100013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003B1/ko
Priority to PCT/KR2011/000763 priority patent/WO2011099727A2/ko
Publication of KR20110093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3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Abstract

하우징부와 박판연장부로 이루어진 팔부재를 가지는 탄성기구가 개시된다. 상기 탄성기구는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긴 감김부와 상기 감김부에서 상기 감김부 외부로 연장된 연장팔을 갖는 토션 스프링 및 상기 토션 스프링과 연결된 팔부재를 구비하는 탄성기구에 있어서, 상기 팔부재는, 상기 감김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감김부의 단부를 일측에 고정적으로 지지하며, 적어도 일측에 상기 연장팔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팔부재에 대해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부를 가지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부 바깥으로 연장된 박판연장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Description

탄성기구{Elastic device}
본 발명은 탄성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전화기, PDA, PMP, 휴대용 게임기 등 휴대형 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탄성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자가 발명하여 출원한 바 있는 탄성기구로서 토션 스프링과 연결되는 팔부재 등을 두개의 박판을 서로 마주보게 결합하여 구성하고 토션 스프링의 감김부가 두 박판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성한 것이 특허공개번호 10-2008-0005087호(이하, “선출원 발명”이라 함)의 도 34 내지 도 36에 개시되어 있다.
1.특허공개번호10-2008-0005087호공개공보(공개일:2008.1.10)
본 발명은 본 발명자가 발명하여 출원한 바 있는 선출원 발명을 개선한 개선발명 또는 선출원 발명을 이용한 이용발명에 대한 것이다.
선출원 발명의 도면들에 개시된 것 중 두 박판부를 마주보고 결합한 팔부재를 가지는 것은 팔부재 전체가 동일 길이의 두 박판부가 마주보고 결합되어 전 길이에 걸쳐 동일한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팔부재의 회동범위 내에 박판 두께 정도의 작은 간격이 존재하는 곳에는 사용할 수 없다.
선출원 발명의 도면에 개시된 것은 팔부재의 회동범위 내에 측방에서 돌출된 장애물이 있는 곳에는 사용하지 못한다.
또한, 선출원 발명은 두 박판부 전체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이 까다롭고 결합에 사용되는 부속품의 크기가 커지고, 팔부재의 재료도 많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부분을 가지면서도 팔부재의 회동범위 내에 종래보다 작은 간격의 틈새가 있는 곳에도 장착이 가능하고 재료도 절약할 수 있는 탄성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팔부재의 회동범위 내에 측방으로 돌출된 장애물이 있는 곳에도 사용할 수 있는 탄성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것에 비해 결합길이를 줄일 수 있고, 재료도 적게 소요되는 탄성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것에 비해 제작공정이 단순화된 탄성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긴 감김부와 상기 감김부에서 상기 감김부 외부로 연장된 연장팔을 갖는 토션 스프링 및 상기 토션 스프링과 연결된 팔부재를 구비하는 탄성기구에 있어서, 상기 팔부재는,
상기 감김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감김부의 단부를 일측에 고정적으로 지지하며, 적어도 일측에 상기 연장팔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팔부재에 대해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부를 가지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부 바깥으로 연장된 박판연장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팔부재는 상기 감김부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제1박판연장부를 구비하는 제1박판부 및 상기 제1장착부와 마주보고 결합되어 상기 제1장착부와 함께 상기 하우징부를 형성하는 제2박판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박판부에는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제1박판연장부 사이에 그 두께 방향으로 꺾인 꺾임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팔부재는 상기 감김부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제1박판연장부를 구비하는 제1박판부 및 상기 제1장착부와 마주보고 결합되어 상기 제1장착부와 함께 상기 하우징부를 형성하는 제2장착부와 상기 제2장착부에서 상기 제1박판연장부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박판연장부와 결합되는 제2박판연장부를 가지는 제2박판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박판연장부와 상기 제2박판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하나를 향해 또는 다른 하나의 반대편을 향해 꺾여진 꺾임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 2개 이상이 상하로 중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두 토션 스프링의 각각의 상기 감김부는 서로 같은 방향 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감겨져 있고, 상기 두 토션 스프링의 각각의 상기 연장팔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선출원 발명에 비해 두 부재의 결합 길이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팔부재의 재료가 적게 소요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팔부재의 회동범위 내에 종래의 것에 비해 상대적은 작은 틈새가 있는 곳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팔부재의 회동범위에 측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있는 곳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팔부재의 박판연장부를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 탄성기구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 탄성기구를 상하로 뒤집은 상태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과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예들을 각각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들을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탄성기구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 탄성기구를 상하로 뒤집은 상태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는 토션 스프링(110)을 구비한다. 두께보다는 큰 탄성력이 필요한 경우, 토션 스프링(110)은 2개가 상하로 중첩된 것이 사용된다. 이 토션 스프링(110)은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긴 감김부(112)와 이 감김부(112)에서 감김부(112) 외부로 연장된 연장팔(114)을 가진다. 연장팔(114)의 끝에는 다른 부재에 연결하기 위한 힌지부(1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힌지부(116)는 인서트 사출의 형태로 설치되며, 두 토션 스프링(110)의 연장팔(114)의 단부를 일체로 결합하는 역할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는 팔부재(130)를 구비한다. 이 팔부재(130)는 선출원 발명의 팔부재를 개선한 것으로, 선출원 발명과 차별화되는 본 발명의 큰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다.
이 팔부재(130)는 하우징부(132)와 하우징부(132)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박판연장부(134)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부(132)는 토션 스프링(110)의 감김부(112)를 내부에 수용하고 감김부(112)의 내측 단부를 일측에 고정적으로 지지한다. 이 하우징부(132)의 일 측면에는 연장팔(114)이 외부로 노출되어 팔부재(130)에 대해 회동될 수 있게 개방부(136)가 형성되어 있다. 개방부(136)는 바람직하게, 박판연장부(134)의 반대편에 형성된다.
위와 같은 팔부재(130)는 감김부(112)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138)와 제1장착부(138)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제1박판연장부(134a)를 갖는 제1박판부(130a)를 구비한다. 제1장착부(138)는 일측 가장자리를 남겨두고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138a)가 형성되어 있고, 테두리(138a) 상단을 따라 간격을 두고 돌기(138b)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장착부(138)의 중앙부에는 감김부(112)의 안쪽 단부가 고정될 수 있는 스프링 고정용 돌기(139)들이 형성되어 있다. 제1박판부(130a)가 두꺼운 경우 돌기 대신에 홈 또는 구멍을 형성하고 감김부(112)의 안쪽 단부를 구부려서 거기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제1장착부(138)와 제1박판연장부(134a)의 사이에는 상방으로 꺾인 꺾임부(137)가 형성되어 있다. 이 꺾임부(137)는 팔부재(130)가 연결되는 곳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 형성된다.
꺾임부(137)는 필요에 따라 하방으로 꺾인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팔부재(130)의 박판연장부(134)는 하우징부(132)에 대해 그 두께 방향으로 꺾일 수 있다. 이 경우 박판연장부(134) 쪽으로 배치된 제2박판부(140a)의 테두리(148a) 대신에 이 꺾임부(137)가 하우징부(132)의 측면을 막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 꺾임부(137)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팔부재(130)는 제1장착부(138)와 마주보고 결합되어 제1장착부(138)와 함께 하우징부(132)를 형성하는 제2박판부(140a)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박판연장부(134)는 제1박판부(130a)의 두께를 가진다. 이러한 박판연장부(134)의 단부에는 다른 부재에 연결하기 위한 힌지부(13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박판부(140a) 역시 그 일측 가장자리를 남겨두고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148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테두리(148a)의 저부를 따라 걸림홈(148b)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홈(148b)들은 돌기(138b)들이 꺾여져서 결합되어 제2박판부(140a)가 제1박판부(130a)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해준다. 걸림홈(148b)과 돌기(138b)는 서로 그 위치를 바꾸어서 또는 한 부재에 서로 혼합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탄성기구(100)는 하우징부(132)가 감김부(112)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고 다른 부재와 연결되는 팔부재(130)의 박판연장부(134)는 얇게 구성되어 있어서 팔부재(130)의 회동 반경 내에 작은 틈이 있는 곳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서는 제1박판부(130a)와 제2박판부(140a)를 걸림홈(148b)과 돌기(138b)를 사용하여 조립하여 일부분에 하우징부(132)를 가지는 팔부재(130)를 만드는 것을 나타내었지만, 제1박판부(130a)와 제2박판부(140a)는 필요에 따라 용접이나 융접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하우징부(132)를 부분적으로 가지는 팔부재(130)는 감김부(112)를 금형에 삽입한 상태로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 탄성기구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탄성력의 크기보다는 토션 스프링(110)이 설치되는 부분의 두께가 중요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는 1개의 토션 스프링(110)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부(132)에는 감김부(112)가 단층으로 설치되고, 하우징부(132)의 두께도 앞 실시 예보다 작아진다. 이 때 제1박판부(130a)에는 앞 실시 예에서 설명한 꺾임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3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5는 도 1의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토션 스프링(110)의 연장팔(114) 단부에 형성되는 힌지부(116)는 연장팔(114)의 단부가 원형으로 감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의 힌지부(116)는 그 설치되는 장소의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3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6은 도 1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 경우에 따라 상하로 중첩된 두 토션 스프링(110) 중 어느 하나에만 힌지부(116)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연장팔(114a)을 짧게 형성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연장팔(114)에 용접 등으로 고착시킬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탄성기구(100)는 힌지부(135)가 연결되는 부위의 틈이 작지만 큰 탄성력이 필요한 곳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3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7과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예들을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의 팔부재(130)는 둘 모두 박판연장부를 가지는 제1박판부(130a)와 제2박판부(140a)를 겹쳐서 만들 수 있다. 즉, 감김부(112)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138)와 제1장착부(138)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제1박판연장부(134a)를 구비하는 제1박판부(130a)와 제1장착부(138)와 마주보고 결합되어 제1장착부(138)와 함께 하우징부(132)를 형성하는 제2장착부(148)와 제2장착부(148)에서 제1박판연장부(134a)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박판연장부(134a)와 결합되는 제2박판연장부(144a)를 구비하는 제2박판부(140a)를 서로 겹쳐서 만들 수 있다.
이 때, 하우징부(132)는 도 1 내지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형성하되, 제1박판연장부(134a)와 제2박판연장부(144a)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 중 하나에만 꺾임부(147)를 형성하여 서로 부착하거나,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 모두에 서로를 향해 꺾인 꺾임부(137, 147)를 각각 형성하여 서로 부착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8과는 달리 제1박판연장부(134a)와 제2박판연장부(144a)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꺾임부(137, 147)를 형성하여 탄성기구(100)가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팔부재(130)가 회전할 때 제1박판연장부(134a)와 제2박판연장부(144a) 사이로 삽입되는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제1박판연장부(134a)와 제2박판연장부(144a) 중 어느 하나만 서로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꺾여진 꺾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위 실시 예들로부터 제1박판연장부(134a)와 제2박판연장부(144a) 모두에 같은 방향으로 꺾인 꺾임부가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 평면도이다.
앞 실시 예들은 감김부(112)가 내단에서 시작하여 겹침 없이 바깥쪽으로 감긴 후 감김부(112)의 외단에서 연장팔(114)이 감김부(112)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는, 두께가 중요하지 않은 경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김부(112)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감겨지고 감김부(112)의 내측단에서 연장팔(114)이 감김부(112) 외부로 연장된 형태로 구성된 토션 스프링(110a)을 팔부재(130)에 결합하여 만들 수 있다. 이 때, 토션 스프링(110a)의 감김부(112)의 외단이 고정되는 고정용 돌기(139a)는 하우징부(13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감김부(112)가 설치되는 높이까지는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박판연장부(134)는 앞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의 또 다른 실시 예들을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는 앞 실시 예들과는 달리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중첩된 두 토션 스프링(110)의 각각의 연장팔(114)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하고 그 단부에 힌지부(116)를 설치할 수 있다. 이 때 두 토션 스프링(110)의 각각의 감김부(112)는 같은 방향으로 감겨져 있다.
또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100)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토션 스프링(110)의 각각의 감김부(112)의 감김 방향을 서로 반대로 한 상태에서 그들의 연장팔(114)들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기구는 휴대형 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뿐만 아니라 서랍이나 문 등의 개폐에 이동될 수 있으며, 각종 기계장치의 스프링기구로도 사용될 수 있다.
100: 탄성기구 110: 토션 스프링
112: 감김부 114: 연장팔
130: 팔부재 130a: 제1박판부
132: 하우징부 134: 박판연장부
140a: 제2박판부

Claims (7)

  1.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긴 감김부와 상기 감김부에서 상기 감김부 외부로 연장된 연장팔을 갖는 토션 스프링 및 상기 토션 스프링과 연결된 팔부재를 구비하는 탄성기구에 있어서,
    상기 팔부재는,
    상기 감김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감김부의 단부를 일측에 고정적으로 지지하며, 적어도 일측에 상기 연장팔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팔부재에 대해 회동되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부를 가지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서 상기 하우징부 바깥으로 연장된 박판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팔부재는 상기 감김부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제1장착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제1박판연장부를 구비하는 제1박판부 및 상기 제1장착부와 마주보고 결합되어 상기 제1장착부와 함께 상기 하우징부를 형성하는 부분을 가지는 제2박판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박판연장부에는 상기 팔부재를 다른 부재에 회동 가능케 연결하기 위한 회동연결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박판부에는 상기 제1장착부와 상기 제1박판연장부 사이에 그 두께 방향으로 꺾인 꺾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기구.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 2개 이상이 상하로 중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기구.
  7. 삭제
KR20100013039A 2010-02-11 2010-02-11 탄성기구 KR101184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3039A KR101184003B1 (ko) 2010-02-11 2010-02-11 탄성기구
PCT/KR2011/000763 WO2011099727A2 (ko) 2010-02-11 2011-02-07 탄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3039A KR101184003B1 (ko) 2010-02-11 2010-02-11 탄성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162A KR20110093162A (ko) 2011-08-18
KR101184003B1 true KR101184003B1 (ko) 2012-09-21

Family

ID=44368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13039A KR101184003B1 (ko) 2010-02-11 2010-02-11 탄성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84003B1 (ko)
WO (1) WO2011099727A2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774B1 (ko) 2007-12-20 2008-06-24 (주)쉘-라인 액츄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491B1 (ko) * 2006-07-07 2008-10-27 주식회사 피앤텔 토션 스프링, 탄성기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개폐장치와 휴대용 응용기기
KR20080097666A (ko) * 2007-05-02 2008-11-06 주식회사 케이비에프 슬라이드 힌지
KR100947588B1 (ko) * 2008-06-20 2010-03-15 주식회사 세이텍 슬라이딩 타입의 핸드폰에 장착되는 슬라이딩 모듈용 탄성장치
KR100924079B1 (ko) * 2009-03-04 2009-11-02 (주)애니캐스팅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774B1 (ko) 2007-12-20 2008-06-24 (주)쉘-라인 액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3162A (ko) 2011-08-18
WO2011099727A3 (ko) 2012-01-05
WO2011099727A2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7425B2 (en) Cover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US7967346B2 (en) Slider mechanisms for opening and closing portable terminals
CN101170884B (zh) 滑动组件和具有该滑动组件的便携终端
JP2008170002A (ja) スライドタイプ携帯端末機用スプリング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端末機
KR100848858B1 (ko) 좁은 궤적을 갖는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101184003B1 (ko) 탄성기구
JP4728429B2 (ja) 移動通信端末機用スライド装置
JP4405501B2 (ja) スライド式携帯機器
US20130104343A1 (en) Torsion spring and folding device
KR200416846Y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스윙 모듈
KR100901880B1 (ko)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EP2020804A1 (en) Slider mechanism with zigzag springs for opening and closing a portable terminal
KR101025817B1 (ko) 슬라이드 탄성모듈과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KR100585621B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및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위한 토션스프링
KR100947588B1 (ko) 슬라이딩 타입의 핸드폰에 장착되는 슬라이딩 모듈용 탄성장치
US20110279950A1 (en) Elastic device, slide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utilizing the device
KR20100013239A (ko) 슬라이드 힌지용 탄성 스프링
US20110211779A1 (en) Slide module and apparatus with slide part utilizing the same
JP2014207068A (ja) バッテリカバー
KR101035124B1 (ko) 휴대폰의 슬라이드 모듈
US8391001B2 (en) Electronic device and sliding hinge thereof
KR101203884B1 (ko)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KR200270253Y1 (ko) 코받침 연동구조
KR100986410B1 (ko) 이동통신기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동작스프링
KR200452259Y1 (ko)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