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880B1 -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880B1
KR100901880B1 KR1020080039500A KR20080039500A KR100901880B1 KR 100901880 B1 KR100901880 B1 KR 100901880B1 KR 1020080039500 A KR1020080039500 A KR 1020080039500A KR 20080039500 A KR20080039500 A KR 20080039500A KR 100901880 B1 KR100901880 B1 KR 100901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lastic
elastic wires
lower cas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범
이강성
박현서
하갑승
박종구
Original Assignee
삼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광공업(주) filed Critical 삼광공업(주)
Priority to KR1020080039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복원력이 우수하면서도 슬림한 휴대단말기에 적용이 가능하고 대량생산에 효과적인 스프링모듈을 갖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딩되도록 배치된 제2플레이트; 복수의 굴곡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탄성와이어들이 나란하게 배열되게 이루어진 스프링모듈; 및 상기 탄성와이어들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2플레이트 각각에 연결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단말기, 슬라이드, 스프링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Slide module of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복원력이 우수하면서도 슬림한 휴대단말기에 적용이 가능하고 대량생산에 효과적인 스프링모듈을 갖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기는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등으로 개폐되며, 상기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단말기는 내부에 별도의 슬라이드 모듈이 장착된다.
종래의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은 적어도 두개의 플레이트들이 서로 슬라이딩되게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들의 사이에 스프링모듈이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모듈은 외부의 힘이 가해지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들을 반자동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스프링모듈은 코일스프링, 탄성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와이어는 인장 또는 압축력에 의해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탄성와이어는 비교적 슬림한 구조의 휴대단말기에 적용되기 적합하다.
한편, 탄성와이어의 조립구조는 양단부를 권취시키거나 고리형상으로 만들어, 각 플레이트들에 체결된 보스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또는, 탄성와이어의 양단 부를 인서트(Insert) 몰딩하여 만들어진 고리부재를 각 플레이트들에 형성된 보스에 결합시켜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각 플레이트들에 연결되는 스프링모듈은 원할한 탄성 작용을 위해 하나의 슬라이드 모듈에 복수개 구비된다. 상기 각각의 스프링모듈들은 양단부가 각 플레이트들에 전술한 방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은 스프링모듈이 복수개 구비됨에 따라, 각각의 스프링모듈을 각 플레이트들에 결합시켜야 하므로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각 스프링모듈이 차지하는 공간이 많이 요구됨에 따라 효과적인 공간활용을 할 수 없었다.
한편, 종래의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은 스프링모듈의 단부를 권취시키거나 고리형상으로 형성시켜 플레이트들에 체결되는 보스에 결합시키기 때문에, 스프링모듈의 간격을 정확히 맞추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은 스프링모듈의 단부를 인서트 몰딩시켜 플레이트들에 체결되는 보스에 결합시키기 때문에, 대량생산시 매번 몰딩작업을 수행해야 하고, 몰딩시 스프링모듈의 단부가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탄성복원력이 우수하면서도 슬림한 휴대단말기에 적용이 가능하고 대량생산에 효과적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딩되도록 배치된 제2플레이트; 복수의 굴곡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탄성와이어들이 나란하게 배열되게 이루어진 스프링모듈; 및 상기 탄성와이어들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2플레이트 각각에 연결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은 복수개의 탄성와이어를 하나의 세트로 하는 스프링모듈을 사용하여 탄성복원력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은 탄성와이어들의 단부를 조립 가능한 결합부재에 고정시켜 플레이트들에 체결시키기 때문에, 인서트 몰딩 공정이 생략되어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스프링모듈이 하나로 형성되어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은 탄성와이어의 조립시, 간격 조정이 불필요하고 탄성와이어의 단부가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은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20)와, 스프링모듈(30)과, 결합부재(50)를 구비한다.
제1플레이트(10)는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후면케이스에 체결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10)는 자체로 후면케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하 지만, 상기 제1플레이트(10)는 이밖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제2플레이트(20)는 상기 제1플레이트(10)에 대해 슬라이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플레이트(20)는 상기 제1플레이트(10)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직접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플레이트(20)는 상기 제1플레이트(10)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것이지만, 상기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20)는 또 다른 플레이트나 부재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플레이트(20)가 제1플레이트(10)에 직접 연결된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2플레이트(20)는 제1플레이트(10)와 마찬가지로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휴대단말기의 전면케이스에 체결된다. 상기 제2플레이트(20)는 자체로 전면케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2플레이트(20)는 제1플레이트(10)와 체결을 반대로 하여 휴대단말기의 후면케이스에 체결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스프링모듈(30)은 복수의 탄성와이어들(40)(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은 복수의 굴곡부를 구비한다. 상기 굴곡부는 상기 제1,2플레이트(10)(20)들이 슬라이딩시 압축 또는 인장하면서 탄성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은 서로 거의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탄성와이어들(40)(40')은 자체 탄성력을 갖는 금속 재질의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스프링모듈(30)은 후술할 결합부재(50)에 의해 상기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20)에 각각 연결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20)를 연결하는 상기 스프링모듈(30)의 개수가 하나이다. 따라서, 하나의 스프링모듈(30)이 보수의 탄성와이어들(40)(40')을 구비하여 충분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조립 시간 및 비용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작용 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모듈(30)은 상기 제1플레이트(10) 또는 제2플레이트(20) 중 적어도 하나에 외부의 힘이 가해질 때,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들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플레이트(10)와 제2플레이트(20)를 서로 반자동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이 닫힌 상태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이 열린 상태라고 가정한다.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은 그 개수에 비례하여 큰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은 그 개수에 비례하여 내구성이 증가한다. 상기 스프링모듈(30)은 장기간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므로 내구성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기능저하가 발생하기 쉽다. 즉, 상기 스프링모듈(30)은 복수개의 탄성와이어들(40)(40')을 구비하여, 탄성복원력과 내구성이 우수하다.
결합부재(50)는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의 양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의 일단부에 결합된 결합부재(50)는 상기 제1플레이트(10)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의 타단부에 결합된 결합부재(50)는 상기 제2플레이트(20)에 연결된다.
상기 결합부재(50)는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의 양단부를 묶어 고정시키고, 상기 제1플레이트(10) 또는 제2플레이트(20)에 하나의 지점에서 연결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50)가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의 양단부를 고정시켜,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들을 단일체로 작용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의 양단부가 상기 제1플레이트(10) 또는 제2플레이트(20)에 여러 지점에서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스프링모듈(30)을 상기 제1플레이트(10) 및 제2플레이트(20)에 조립시키는 작업이 간결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50)는 하부케이스(60)와 상부케이스(7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60)와 상부케이스(70)는 서로 조립 가능하다. 상기 하부케이스(60)와 상부케이스(70)가 조립될 때,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들의 단부가 상기 하부케이스(60)와 상부케이스(70)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하부케이스(60) 또는 상부케이스(7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탄서와이어들(40)(40')의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끼움홈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의 단부는 "ㄱ"자 형상으로 하향으로 굽어진 절곡부(4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은 대량으로 성형되어 일정 길이로 절단 후 사용하게 되므로, 상기 절곡부(45)를 통해 조립시 탄성와이어들(40)(40')의 간격 조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절곡부(45)는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과 결합부재(50)간의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와이어들(40)(40')과 결합부재(50)가 일체로 조립된 하나의 세트는 상기 하부케이스(60)가 제1플레이트(10) 또는 제2플레이트(20)에 연결되어 조립이 용이하게 완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60)는 상기 제1플레이트(10) 또는 제2플레이트(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부케이스(70)가 상기 제1플레이트(10) 또는 제2플레이트(20)에 조립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끼움홈은 수평홈(51)과 수직홈(5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평홈(51)은 상기 하부케이스(60)와 상부케이스(7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상기 수평홈(51)은 상기 절곡부(45)의 수평부분이 삽입되는 공간이다. 상기 수평홈(51)은 상기 하부케이스(60) 또는 상부케이스(70) 중 하나에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의 대략 지름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케이스(60)와 상부케이스(70) 모두에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의 대략 반지름 크기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수직홈(52)은 상기 하부케이스(60)에 형성된다. 상기 수직홈(52)은 상기 절곡부(45)의 수직부분이 삽입되는 공간이다. 상기 수직홈(52)은 상기 수평홈(51)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끼움홈은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의 절곡부(45)와 대응되게 "ㄱ"자 형상을 이룬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60)는 보스(6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70)는 상기 보스(61)와 결합되는 조립공(7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60)와 상부케이스(70)는 사이에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의 단부를 끼우고 조립한 후 열융착 하여 결합이 완성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와이어들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상기 도 5a의 변형 예에 따른 탄성와이어들의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은 직선부(31)를 구비한다. 상기 직선부(31)는 상기 굴곡부와 결합부재(50) 사이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굴곡부는 3개의 굴곡부(32)(33)(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선부(31)는 상기 탄성와이어들(40)(40')의 양단부로부터 중앙부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굴곡부(32)(33)(34)는 상기 직선부(31)를 서로 연결한다. 양측의 굴곡부(32)(34)는 상기 직선부(31)로부터 중앙부로 연장되며 대칭되게 포물선형으로 굴곡된다. 한편, 중앙의 굴곡부(33)는 상기 양측의 굴곡부(32)(34)로부터 중앙부로 연장되며 포물선형으로 굴곡된다. 여기서, 굴곡부가 3개의 굴곡이 형성된다는 표현은 물결 형상에서 상부로 볼록한 포물선이 3개 형성된 것을 말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굴곡부(33)는 양측의 굴곡부(32)(34)보다 낮은 높이로 이루어지거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굴곡부(33)는 양측의 굴곡부(32)(34)보다 높은 높이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굴곡부(32)(33)(34)는 같은 높이로 형성될 때보다, 탄성와이어들(40)(40')의 폭 길이(L)를 줄일 수 있다. 즉, 탄성와이어들(40)(40')의 굴곡부(32)(33)(34)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게 되면, 비교적 짧은 폭 길이(L)에서도 큰 탄성에너지를 발생시킨다. 한편,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중앙의 굴곡부(33)가 양측의 굴곡부(32)(34)보다 낮은 높이로 이루어지면, 양측의 굴곡부(32)(34)가 중앙의 굴곡부(33)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켜 안정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탄성와이어들은 상부로 볼록한 두 개의 굴곡부와 하부로 볼록한 한 개의 굴곡부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탄성와이어들의 양 단부로부터 중앙으로 상부로 볼록한 두 개의 굴곡부가 연장되고, 상기 두 개의 굴곡부로부터 중앙으로 하부로 볼록한 한 개의 굴곡부가 연장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도 5a 및 5b에 도시된 구조에 비해 단순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정면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작용 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재의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탄성와이어들의 정면도.
도 5b는 상기 도 5a의 변형 예에 따른 탄성와이어들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플레이트 20 : 제2플레이트
30 : 스프링모듈 40,40' : 탄성와이어
45 : 절곡부 50 : 결합부재
51 : 수평홈 52 : 수직홈
60 : 하부케이스 61 : 보스
70 : 상부케이스 71 : 조립공

Claims (6)

  1. 삭제
  2.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에 대해 슬라이딩되도록 배치된 제2플레이트; 복수의 굴곡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탄성와이어들이 나란하게 배열되게 이루어진 스프링모듈; 및 상기 탄성와이어들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2플레이트 각각에 연결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제2플레이트에 연결되며, 일측에 보스가 형성된 하부케이스;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보스와 결합되는 조립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와 열융착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사이에 상기 탄성와이어들의 단부를 삽입고정시키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은 상기 탄성와이어들의 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절곡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탄성와이어들의 길이조정을 용이하게 한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이어들은:
    상기 굴곡부와 결합부재 사이에 형성된 직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굴곡부는 3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중앙의 굴곡부는 양측의 굴곡부보다 낮은 높이로 이루어지거나, 중앙의 굴곡부는 양측의 굴곡부보다 높은 높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상기 스프링모듈은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1020080039500A 2008-04-28 2008-04-28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100901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500A KR100901880B1 (ko) 2008-04-28 2008-04-28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500A KR100901880B1 (ko) 2008-04-28 2008-04-28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1880B1 true KR100901880B1 (ko) 2009-06-09

Family

ID=40982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500A KR100901880B1 (ko) 2008-04-28 2008-04-28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8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073Y1 (ko) * 2009-07-24 2012-01-18 이신우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
WO2012064029A1 (ko) * 2010-11-10 2012-05-18 에이치케이에스테크(주) 휴대단말기용 탄성 모듈
KR101200983B1 (ko) * 2010-08-02 2012-11-1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기용 반자동 슬라이드 힌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500Y1 (ko) * 2005-11-23 2006-02-13 정길석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718731B1 (ko) 2004-06-07 2007-05-15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회전기능을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및 슬라이드개폐형 휴대전화기
KR100788726B1 (ko) 2006-07-07 2008-01-02 (주) 프렉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0861773B1 (ko) 2007-08-07 2008-10-06 김봉길 슬라이딩방식 휴대폰용 힌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731B1 (ko) 2004-06-07 2007-05-15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회전기능을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및 슬라이드개폐형 휴대전화기
KR200408500Y1 (ko) * 2005-11-23 2006-02-13 정길석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788726B1 (ko) 2006-07-07 2008-01-02 (주) 프렉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0861773B1 (ko) 2007-08-07 2008-10-06 김봉길 슬라이딩방식 휴대폰용 힌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073Y1 (ko) * 2009-07-24 2012-01-18 이신우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
KR101200983B1 (ko) * 2010-08-02 2012-11-1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기용 반자동 슬라이드 힌지
WO2012064029A1 (ko) * 2010-11-10 2012-05-18 에이치케이에스테크(주) 휴대단말기용 탄성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7898B2 (en) Electronic device-to-charger set,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0901880B1 (ko)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20060085886A (ko) 슬라이드식 핸드폰의 탄성부재
US8622630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WO2010124612A1 (en) Spring and spring assembly
KR200446584Y1 (ko) 조립구조를 개선 시킨 침대 매트리스용 보조스프링
KR10088473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CN108737708A (zh) 一种摄像模组及其电源线布置方法
KR100868686B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0863931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모듈
KR101156627B1 (ko) 탄성 모듈
CN211019116U (zh) 拆装结构及楼宇对讲分机
CN210838364U (zh) 一种易折易装配电源系统连接片
KR101025817B1 (ko) 슬라이드 탄성모듈과 이를 장착한 휴대단말기
KR20190062796A (ko) 안경테
CN211555742U (zh) 充电宝及其按键安装结构
JP5007324B2 (ja) 携帯端末用カーブスライド機構
KR101568322B1 (ko) 확장가능한 배터리셀 조립홀더
KR20090132480A (ko) 슬라이딩 타입의 핸드폰에 장착되는 슬라이딩 모듈용 탄성장치
KR200270253Y1 (ko) 코받침 연동구조
JP5041452B2 (ja) 光コネクタ
KR0122971Y1 (ko) 매트리스용 스프링
KR20220079147A (ko) 와이어커버
KR20110007916A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용 스프링
KR101101702B1 (ko)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 단말기용 힌지 스프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