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253Y1 - 코받침 연동구조 - Google Patents

코받침 연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253Y1
KR200270253Y1 KR2020020000116U KR20020000116U KR200270253Y1 KR 200270253 Y1 KR200270253 Y1 KR 200270253Y1 KR 2020020000116 U KR2020020000116 U KR 2020020000116U KR 20020000116 U KR20020000116 U KR 20020000116U KR 200270253 Y1 KR200270253 Y1 KR 2002702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ing
nose support
guide
bracket
n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곤
Original Assignee
김명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곤 filed Critical 김명곤
Priority to KR2020020000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2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2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253Y1/ko

Link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의 코받침이 착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켜 주기 위해 연동가능하게 고안된 그 연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코받침을 수용하는 연동 수납브라켓트의 좌.우측판에 형성된 가이드구와 받침판과 일체된 연동봉에 성형된 가이드공이 서로 대응되어 하나의 가이드수단이 되며, 항상 대향하는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지지되어 안경의 착용시 편한 위치까지 수축, 팽창 및 연동함을 제공하는 코받침 연동구조이다.
종래의 코받침 좌우연동기능은 그 힌지를 축으로 좌우 연동에만 의존하기에 착용자가 충분한 안락감을 제공하기란 다소 부족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고안의 안경의 경우 착용자에게 그 착용감이 훌륭하여 편안함을 느끼게 한다.

Description

코받침 연동구조{The moving structure of a nose-pad}
본 고안은 안경의 코받침이 착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켜 주기 위해 연동가능하게 고안된 그 연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코받침을 수용하는 연동 수납브라켓트의 좌.우측판에 형성된 가이드구와 받침판과 일체된 연동봉에 성형된 가이드공이 서로 대응되어 하나의 가이드수단이 되며, 항상 대향하는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지지되어 안경의 착용시 편한 위치까지 수축, 팽창 및 연동함을 제공하는 코받침 연동구조이다.
일반적으로 코 받침이란 안경의 프레임에 용접되는 코기둥의 끝단에 코를 받칠 수 있는 받침판을 체결시켜 놓은 것을 칭한다.
그런데 이러한 코 받침이란 코를 받칠때 안경의 편안한 착용감을 위해 약간의 좌우연동을 가능하게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이 좌우연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란 도시된 도 1에서 보이듯, 연동 수납브라켓을 관통하는 관통나사(13)가 바로 힌지의 역활을 하여 코받침(11)은 그를 축으로 좌우 연동할 수 있게 구성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코받침 좌우연동기능은 그 힌지를 축으로 좌우 연동에만 의존하기에 착용자가 충분한 안락감을 제공하기란 다소 부족한 점이 있었다.
즉, 간혹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하고, 힌지를 축으로 회전만 가능하기에 착용자는 그 충격을 모두 받을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종래안경 착용자는 항상 이러한 불편함을 감수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코받침을 수용하는 연동 수납브라켓트의 좌.우측판에 형성된 가이드구와 받침판과 일체된 연동봉에 성형된 가이드공이 서로 대응되어 하나의 가이드수단이 되며, 항상 대향하는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지지되어 안경의 착용시 편한 위치까지 수축, 팽창 및 연동하여 적당한 위치를 찾는 코받침 연동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코받침이 체결된 안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코받침 연동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코받침 연동구조를 단면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코받침 연동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실시예시도
본 고안은 안경의 코받침이 착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켜 주기 위해 연동가능하게 고안된 그 연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육면체의 외형면중 일측이 개방되고, 그 좌우측판에는 코받침(20)의 연동봉(22)에 구성된 장형의 가이드공(23)과 결합하여 하나의 가이드수단이 되는 가이드구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연동수납브라켓(31);
받침판(21)이 연동봉(22)의 일측에 구성되고 연동봉(22)의 타단 끝에는 탄성스프링 단턱부(25)가 돌출되며, 연동봉(22)의 좌우측면에서 상기 연동수납브라켓(31)의 돌출한 가이드구가 끼워져 연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형의 가이드공(23)을 구성한 코받침(20);
상기 브라켓(31)에 코받침(20)의 연동봉(22)이 삽입될때 연동봉(22)의 끝단에 형성한 단턱부(25)에 탄성스프링(35)을 끼워 넣어, 항상 코받침(20)을 밀어 내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며;
연동봉(22)의 좌우측으로 형성되어 연동공간을 제공하는 장형의 가이드공(23)은 상기 연동수납브라켓(31)에서 내부로 돌출되어 들어온 가이드구와 대응하여 코받침(20)의 연동을 수행하는 하나의 가이드수단을 이루는 것에 특징이 있는 코받침 연동구조이다.
상기 연동수납브라켓(31)의 내부로 돌출되는 가이드구는, 펀칭가공으로 브라켓(31)의 좌우측판이 절곡되어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구(32')나 좌우측판을 관통하는 체결나사로 구성된 체결나사가이드구(32'')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연동수납브라켓(31)의 내부로 돌출된 가이드구(32')에 연동봉(22)의 좌우측면을 길게 홈을 파서 형성된 장형의 가이드홈(23')을 결합시킨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앞에서는 본 고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았고, 뒤로는 도시된 도면과 함께 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코받침(20)에 일체되는 연동봉(22)의 경우 수지류로 제작될 수도 금속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다.
단지 제작된 연동봉(22)의 끝단에는 도 2,3,4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스프링 단턱부(25)가 돌출되어 있는데, 이 단턱부(25)에 탄성스프링(35)이 끼워져 연동봉 수납브라켓트(31) 속에 내장되게 된다.
이때 수납브라켓트(31)의 좌우측판은 도시된 도 2,4에서처럼 그 측판을 가압하여 내측으로 돌출시켜 논 가이드구(3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가이드구(32')는 코받침(20)의 연동봉(22)에 성형시켜논 장형의 가이드공(23)에 끼워져 하나의 가이드수단으로 사용된다.
즉, 코받침의 연동봉(22)에 성형된 장형의 가이드공(23)은 가이드구가 들어가 연동할 수있는 공간부를 제공하여, 그 연동의 제한된 폭을 형성시킨 것과 같다.
따라서 이 장형의 가이드공(23)폭에 끼어든 가이드구(32',32'')에 의해 그 연동폭을 자동으로 조절될 것이며, 그 연동을 위한 탄성력은 탄성스프링 단턱부(25)에 끼워진채 브라켓트(31)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스프링(35)에 의해 이루어 진다.
이렇듯 탄성스프링(35)이 내장된 상태로 안경의 프레임내에 코기둥(30)을 매개로 연결되는 코받침(20)은 착용자에게 수축, 팽창 및 연동함에 착용의 안락감을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코받침(2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도시된 듯이 수지류나 금속류로 제작되는 연동봉(22)의 좌우측면에 장형의 가이드홈(23')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 가이드홈(23')은 전술된 가이드공(23)과 동일한 역활을 수행하지만 연동봉(22)의 좌우측면을 완전히 관통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길게 홈을 판 형상이다.
이러한 가이드홈(23')이 형성된 코받침(20)은 도시된 도 3(b)에서 사용된 체결나사가이드구(32'')와는 대응할 수 없고, 단지 도시된 도 2,3(a),4에서 보이는 가압되어 연동수납브라켓(31)의 좌우측판이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가이드구(32')와 대응하여 하나의 가이드수단이 될 수 있겠다.
본 고안의 연동구조를 가진 코받침을 적용한 안경의 경우 착용자에게 그 착용감이 훌륭하여 편안함을 느끼게 한다.
물론 이러한 코받침을 연동시키기 위한 구조를 제작함에있어서 그 제작의 방식도 간단하고, 내구성도 뛰어 나며, 기존에 사용되어 온 부품들을 가공하여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에 그 제작비용도 저렴하다.
전술된 명세서의 내용에 비추어, 본 고안은 서술된 명세서에서 보이듯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에서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가 통상의 지식을 가지고 변경할 수 있는 정도의 실시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인 청구범위의 기재내의 사항으로 봄이 합당하다.

Claims (3)

  1. 안경의 코받침이 착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켜 주기 위해 연동가능하게 고안된 그 연동구조에 있어서,
    육면체의 외형면중 일측이 개방되고, 그 좌우측판에는 코받침(20)의 연동봉(22)에 구성된 장형의 가이드공(23)과 결합하여 하나의 가이드수단이 되는 가이드구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연동수납브라켓(31);
    받침판(21)이 연동봉(22)의 일측에 구성되고 연동봉(22)의 타단 끝에는 탄성스프링 단턱부(25)가 돌출되며, 연동봉(22)의 좌우측면에서 상기 연동수납브라켓(31)의 돌출한 가이드구가 끼워져 연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장형의 가이드공(23)을 구성한 코받침(20);
    상기 브라켓(31)에 코받침(20)의 연동봉(22)이 삽입될때 연동봉(22)의 끝단에 형성한 단턱부(25)에 탄성스프링(35)을 끼워 넣어, 항상 코받침(20)을 밀어 내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며;
    연동봉(22)의 좌우측으로 형성되어 연동공간을 제공하는 장형의 가이드공(23)은 상기 연동수납브라켓(31)에서 내부로 돌출되어 들어온 가이드구와 대응하여 코받침(20)의 연동을 수행하는 하나의 가이드수단을 이루는 것에 특징이 있는 코받침 연동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연동수납브라켓(31)의 내부로 돌출되는 가이드구는,
    펀칭가공으로 브라켓(31)의 좌우측판이 절곡되어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구(32')나 좌우측판을 관통하는 체결나사로 구성된 체결나사가이드구(32'')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에 특징 있는 코받침 연동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가이드수단은 연동수납브라켓(31)의 내부로 돌출된 가이드구(32')에 연동봉(22)의 좌우측면을 길게 홈을 파서 형성된 장형의 가이드홈(23')을 결합시킨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코받침 연동구조.
KR2020020000116U 2002-01-03 2002-01-03 코받침 연동구조 KR2002702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116U KR200270253Y1 (ko) 2002-01-03 2002-01-03 코받침 연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116U KR200270253Y1 (ko) 2002-01-03 2002-01-03 코받침 연동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253Y1 true KR200270253Y1 (ko) 2002-03-29

Family

ID=7311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116U KR200270253Y1 (ko) 2002-01-03 2002-01-03 코받침 연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2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858B1 (ko) 2012-12-21 2014-04-08 최철영 코받침의 경사각 전환이 가능한 안경뿔테
KR101505784B1 (ko) 2014-08-29 2015-03-25 금명섭 결속이 용이한 코 패드가 구비된 안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858B1 (ko) 2012-12-21 2014-04-08 최철영 코받침의 경사각 전환이 가능한 안경뿔테
KR101505784B1 (ko) 2014-08-29 2015-03-25 금명섭 결속이 용이한 코 패드가 구비된 안경
WO2016032238A1 (ko) * 2014-08-29 2016-03-03 금명섭 결속이 용이한 코 패드가 구비된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6843B2 (ja) カスタマイズ可能なフレームを備えためがね
US5889575A (en) Eyeglass temple device
US4780928A (en) Spring biased hinge for spectacle frames
US5987702A (en) Connecting device, particularly for eyeglasses
EP2000846B1 (en) Spring hinge structure for eyewear
JP3079119U (ja) めがねユニット
KR200270253Y1 (ko) 코받침 연동구조
US20020122152A1 (en) Angle adjustment mechanism for temple of eyeglasses
US6357874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endpiece and temple
JP3132646U (ja) ヒンジ機能を用いた補助眼鏡付きの眼鏡組立体の磁石構造
US6338556B1 (en) Rim lock of glasses frame and glasses frame
US20080098574A1 (en) Cord Lock
JP4873323B2 (ja) 眼鏡のテンプル連結構造及び眼鏡フレーム
KR20090028603A (ko) 안경용 스프링 힌지
KR200270252Y1 (ko) 코받침 연동구조
KR101059852B1 (ko) 안경테의 안경다리 탄성 구조
KR20000068576A (ko) 신축성을 갖는 안경테 측면부의 경첩
JP4022564B1 (ja) 眼鏡
JP2002268017A (ja) 眼鏡の新テンプル連結構造
IE910950A1 (en) Resilient hinge device, advantageously for incorporation in spectacles
KR101965959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JP3135210U (ja) バネ蝶番式眼鏡フレーム
JP3139184U (ja) メガネの蝶番構造
JP5717221B1 (ja) 連結具
KR200289965Y1 (ko) 무테안경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