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731B1 - 회전기능을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및 슬라이드개폐형 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회전기능을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및 슬라이드개폐형 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731B1
KR100718731B1 KR1020050047348A KR20050047348A KR100718731B1 KR 100718731 B1 KR100718731 B1 KR 100718731B1 KR 1020050047348 A KR1020050047348 A KR 1020050047348A KR 20050047348 A KR20050047348 A KR 20050047348A KR 100718731 B1 KR100718731 B1 KR 100718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ember
unit
connecting member
opening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9528A (ko
Inventor
가성현
신웅수
전재구
Original Assignee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암페놀피닉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49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결합시키며,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 사이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유닛 또는 제2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로서, 상기 제1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궤도를 구비한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대하여 궤도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궤도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연결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궤도는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슬라이드, 개폐장치, 제1 연결부재, 제2 연결부재, 탄성부재

Description

회전기능을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및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전화기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HAVING ROTATORY FUNCTION FOR USE IN RADIO TELEPHONE AND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RADIO TELEPHONE HAVING ROTATORY FUNCTION}
도1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리고 닫히는 휴대전화기의 사시도
도2a 내지 도2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의 평면도로서, 동작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도3은 도2a의 제1 연결부재의 정면도
도4의 (a)와 (b)는 각각 도2a의 제2 연결부재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의 평면도로서, 동작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도6은 도5a의 개폐장치의 정면도
도7의 (a)와 (b)는 각각 도5a의 제1 연결부재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8의 (a)와 (b)는 각각 도5a의 제2 연결부재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9의 (a)와 (b)는 각각 도5a의 탄성부재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10의 (a)와 (b)는 각각 도5a의 이동걸림부재의 평면도 및 단면도
도11a 내지 도11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의 제2 판부를 제외하고 도시한 평면도로서, 직선이동상태에서 동작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도12는 도11a의 개폐장치의 정면도
도13a와 도13b는 도11a의 개폐장치의 평면도로서, 회전직선이동상태에서 동작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도14는 도11a의 개폐장치의 사시도로서,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14의 (a), (b) 및 (c)는 각각 도14의 제1 연결부재의 정면도, 평면도, 배면도
도16의 (a), (b), (c) 및 (d)는 각각 도14의 제2 연결부재의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
도17a 내지 도17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의 평면도로서, 동작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도18은 휴대전화기에 장착되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20 : 제2 연결부재
40 : 제1 연결부재 80 : 제1 탄성부재
90 : 제2 탄성부재
본 발명은 직선이동에 의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두 유닛을 결합시키고 두 유닛 중 어느 하나를 직선이동시켜 두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시키거나 폐쇄하도록 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8에는 휴대전화기에 장착되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개폐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18을 참조하면, 휴대 전화기(12a)는 점선으로 도시된 제1 유닛(16a)과 제2 유닛(14a)을 구비한다. 통상 제1 유닛(16a)에는 액정디스플레이가 마련되고 제2 유닛(14a)에는 키패드가 마련된다. 제1 유닛(16a)과 제2 유닛(14a)은 개폐장치(10a)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개폐장치(10a)는 제2 유닛(14a)에 고정되는 지지체(20a)와, 제1 유닛(16a)의 양쪽에 각각 고정되는 두 개의 슬라이더가 되는 이동막대(40a)와, 토션 스프링(50a)을 구비한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체(20a) 양쪽에는 안내레일이 마련되고, 그 안내레일을 따라 직선이동하도록 두 이동막대(40a)가 각각 끼워진다. 토션 스프링(50a)의 두 결합부는 각각 지지체와 두 이동막대(40a) 중 하나에 연결되어 있다. 두 이동막대(40a)가 지지체(20a)의 안내레일을 따라 직선이동함에 따라, 제2 유닛(14a)의 키패드가 노출되거나 폐쇄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유닛을 상대적으로 운동하게 하기 위한 슬라이드형 개폐장치로서 2개의 유닛 사이에 회전도 가능한 슬라이드형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개의 유닛을 상대적으로 운동하게 하기 위한 슬라이드형 개폐장치로서 2개의 유닛을 보다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개의 유닛을 상대적으로 운동하게 하기 위한 슬라이드형 개폐장치로서 2개의 유닛 사이에 회전도 가능하며 원하는 위치를 보다 잘 유지하게 해주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서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결합시키며,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 사이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유닛 또는 제2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로서,
상기 제1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궤도를 구비한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대하여 궤도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궤도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연결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궤도는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연결부재의 궤도는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도 록 마련된 안내통로와, 상기 안내통로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부재가 회전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상기 안내통로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형의 회전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회전을 90도로 제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서로 좁아지도록 작용하는 두 선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두 선재가 각각 접하는 두 면을 구비하는 연결기둥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기둥은 상기 두 면과 각각 일정한 각을 이루며 연결된 다른 두 면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부재와 함께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개의 이동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에는 상기 두 이동걸림부재가 각각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두 수용통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동걸림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 사이의 거리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이동을 허용하는 공간이 마련된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는 회전축선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연결부재의 돌기가 걸릴 수 있는 걸림부를 구비 하고,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외부 회전력에 의해 약간 회전하였을 때 상기 제2 연결부재의 돌기는 상기 제1 연결부재의 걸림부에 걸리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는 테두리가 원호부와 직선부로 이루어지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삽입부가 끼워지도록 서로 마주보며 형성된 제1, 제2 걸림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걸림홈은 상기 제2 걸림홈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 걸림홈과 이어지고 상기 제1 걸림홈과 마주보며 연장되어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삽입부에 형성된 직선부와 접하도록 형성된 접촉면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연결부재의 돌기가 접하며 상기 궤도를 따라 연장되는 단턱을 구비하며, 상기 단턱에 접하는 상기 제2 연결부재의 돌기는 2개일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단턱의 중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연결부재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개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두 돌기와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대칭인 위치에 마련되는 추가의 두 개의 돌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단턱과 마주보는 단턱을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과 대체로 직각을 이루며 연결된 가지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의 일부는 회전하여 상기 가지홈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삽입부는 회전축선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 이동방향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지홈의 폭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삽입부의 슬라이드 이동방향 길이보다 짧으며, 상기 수용홈과 가지홈을 연결하는 두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둥글게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는 회전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결합기둥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제1, 제2 코일부와, 상기 제1 코일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유닛과 연결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를 연결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코일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제3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코일부는 상기 제2 연결부재의 결합기둥에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유닛과,
상기 제1 유닛과 포개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유닛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 유닛과,
상기 제1 유닛에 연결되며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궤도를 구비한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대하여 궤도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궤도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연결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의 궤도의 어느 부분에는 상기 제2 연결부재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부가 마련되는 휴대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유닛과, 상기 제1 유닛과 포개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유닛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 유닛과, 상기 제1 유닛에 연결되며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궤도를 구비한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대하여 궤도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궤도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연결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의 궤도의 어느 부분에는 상기 제2 연결부재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부가 마련되는 휴대용 장치의 사용방법으로서,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포개어져 상기 휴대용 장치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닛을 상기 제1 유닛에 대해 직선이동시켜 상기 휴대용 장치를 개방하는 단계와,
상기 개폐장치의 제2 연결부재를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회전부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의 사용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사용방법은 상기 개폐장치의 제2 연결부재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회전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닛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방법은 상기 제1 유닛의 회전이 멈추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방법은 상기 제2 연결부재가 회전축선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부재가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회전부에 위치할 때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연결부재의 돌기가 걸릴 수 있는 걸림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회전부에 위치할 때 상기 제2 연결부재의 돌기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걸림부에 걸리도록 상기 제2 연결부재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휴대 전화기(12)는 액정디스플레이가 마련되는 제1 유닛(14)과, 키패드가 마련되는 제2 유닛(16)을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닛(14)도 필요한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휴대 전화기(12)의 두 유닛(14, 16)은 개폐장치에 의해 포개져서 결합되어 이동축선(100)을 따라 서로 상대적으로 직선 슬라이딩 운동하게 된다. 두 유닛(14, 16)을 결합하는 개폐장치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도2a 내지 도4에 도시되어 있다. 도2a를 참조하면, 개폐장치(10)는 제1 연결부재(40)와, 제2 연결부재(20)와, 제1 탄성부재(80)와, 제2 탄성부재(90)를 구비한다. 제1 연결부재(40)는 휴대 전화기(12)의 두 유닛(14, 16)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제2 연결부재(20)는 두 유닛(14, 16) 중 나머지 하나에 결합된다. 도2a와 도3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재(40)는 편평한 제1 판부(42)와, 제1 판부(42)의 양측에 마련되는 두 측벽부(43)와, 제1 판부(42)와 마주보며 두 측벽부(43)를 연결하는 제2 판부(44)를 구비한다. 제1 판부(42)는 직사각형의 평판형상으로서 중심부에는 측벽부(43)와 나란하게 연장된 수용홈(421)이 마련된다. 수용홈(421)에 후술하는 제2 연결부재(20)의 제2 돌출부(26)가 수용되어 직선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다. 측벽부(43)의 높이는 제1 판부(42)와 제2 판부(44) 사이의 공간에 후술하는 제2 연결부재(20)의 날개부(22)와 제1, 제2 탄성부재(80, 9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정해진다.
제2 판부(44)의 중심부에는 제1 판부(42)의 수용홈(421)과 평행하게 직선으로 연장되는 안내통로(50)와, 안내통로(50)와 연결된 원형의 회전통로(56)가 마련된다. 안내통로(50) 및 회전통로(56)에 의해 제1 연결부재(40)의 내부와 외부가 통한다. 제1 판부(42)의 수용홈(421) 및 제2 판부(44)의 안내통로(50)와 회전통로(56)는 제2 연결부재(20)의 직선이동 및 회전을 위한 궤도를 형성한다. 즉, 제2 판부(44)의 안내통로(50)와 제1 판부(42)의 수용홈(421)에서 안내통로(50)에 대응하는 부분은 궤도의 직선이동부를 형성하고, 제2 판부(44)의 회전통로(56)와 제1 판부(42)의 수용홈(421)에서 회전통로(56)에 대응하는 부분은 궤도의 회전부를 형성하게 된다. 안내통로(50)와 회전통로(56)를 통해 후술하는 제2 연결부재(20)의 제1 돌출부(24)가 돌출된다. 회전통로(56)의 크기는 안내통로(50)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제2 연결부재(20)의 제1 돌출부(24)가 회전가능하도록 정해진다. 회전통로(56)의 모서리에는 제2 연결부재(2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돌출된 두 개의 걸림턱(441, 442)이 마련된다. 걸림턱(441, 442)은 제2 연결부재(20)가 90도만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제2 판부(42)에는 안내통로(50)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제1 탄성부재(80)의 단부와 제2 탄성부재(90)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구멍(443, 444)이 마련된다.
도2a와 도4를 참조하면, 제2 연결부재(20)는 기초부(22)와, 기초부(22)의 상하 양면에 각각 위아래로 돌출된 제1, 제2 돌출부(24, 26)를 구비한다. 기초부(22)는 상하로 이격된 원형의 제1, 제2 날개판(23, 25)을 구비한다. 제1 날개판(23)에 제1 돌출부(24)가 연결되고, 제2 날개판(25)에 제2 돌출부(26)가 연결된다. 제1 날 개판(23)에는 제1 돌출부(24)를 사이에 두고 대칭인 위치에 마련된 두 결합구멍(221)이 구비된다. 두 결합구멍(221)에 각각 제1 탄성부재(80)의 단부와 제2 탄성부재(90)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된다. 두 날개판(23, 25) 사이의 공간으로 두 탄성부재(80, 90)의 단부가 지나간다. 기초부(22)는 제1 연결부재(40)의 제1 판부(42)와 제2 판부(44)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기초부(22)의 크기는 기초부(22)가 제1 연결부재(40)의 직선형의 안내통로(50)와 원형의 회전통로(56)를 통해 제1 연결부재(4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정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날개판(23, 25)이 원형인 것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돌출부(24)는 사각기둥형상으로서 기초부(22)의 제1 날개판(23)으로부터 제1 연결부재(40)의 안내통로(50) 또는 회전통로(56)를 통해 돌출된다. 제1 돌출부(24)의 마주보는 두 긴 측면(241, 242)이 제1 연결부재(40)의 안내통로(50)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근접한다. 이에 따라 제2 연결부재(20)는 제1 연결부재(40)의 안내통로(50)를 따라 직선이동하게 된다. 제2 연결부재(20)는 제1 연결부재(40)의 회전통로(56)를 통해 회전이 가능하다. 이때, 제2 연결부재(20)의 제1 돌출부(24)의 네 모서리가 회전통로(56)의 둥근 모서리와 근접한다. 제2 돌출부(26)는 낮은 원기둥형으로서 제1 연결부재(40)의 제1 판부(42)에 형성된 수용홈(421)에 직선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연결부재(20)가 제1 연결부재(40)의 안내통로(50)를 따라 회전통로(56) 쪽으로 이동하면 휴대전화기(도1의 12)는 열리게 되고, 반대로 제2 연결부재(20)가 제1 연결부재(40)의 안내통로(50)를 따라 회전통로(56)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면 휴대전화기(도1의 12)는 닫히게 된다.
제1 탄성부재(80)와 제2 탄성부재(90)는 토션스프링으로서, 각각 제1 연결부재(40)의 안내통로(50)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설치된다. 제1 탄성부재(80)와 제2 탄성부재(90)의 일단은 각각 제2 연결부재(20)의 두 결합구멍(221)에 각각 끼워져 결합된다. 제1 탄성부재(80)와 제2 탄성부재(90)의 나머지 단부는 제1 연결부재(40)에 결합된다.
이제, 도2a 내지 도2d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2a를 참조하면, 제2 연결부재(20)는 제1 연결부재(40)의 안내통로(50)에서 회전통로(56)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진 위치에 위치한다. 이 상태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전화기(도1의 12)의 두 케이스 유닛(도1의 14, 16)이 완전히 닫힌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1 탄성부재(80)와 제2 탄성부재(90)는 제2 연결부재(20)를 제1 연결부재(40)의 회전통로(5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고 있어 휴대전화기는 완전히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휴대전화기를 열기 위해 힘을 가하여 휴대전화기가 반쯤 열린 상태에서 개폐장치의 상태가 도2b에 도시되어 있다. 도2b를 참조하면, 제1 탄성부재(80)와 제2 탄성부재(90)가 제2 연결부재(20)에 가하는 힘은 평형을 이루어 제2 연결부재(20)는 중립위치에 놓여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휴대전화기를 열기 위해 힘을 더 가하면 제2 연결부재(20)가 중립위치로부터 회전통로(56) 쪽으로 약간 움직이게 되고, 제1 탄성부재(80)와 제2 탄성부재(90)는 제2 연결부재(20)를 제1 연결부재(40)의 회전통로(56) 쪽으로 밀게 되어, 제2 연결부재(20)는 회전통로(56)까지 자동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휴대전화기도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그때의 개폐장치의 상태가 도2c에 도시되어 있다. 도2c를 참조하면, 제1 탄성부재(80)와 제2 탄성부재(90)는 휴대전화기(도1의 12)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 연결부재(20)에 힘을 가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1 탄성부재(80)와 제2 탄성부재(90)가 제2 연결부재(20)에 가하는 회전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일측으로는 회전통로(56)의 두 걸림턱(441, 442)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휴대전화기는 완전히 열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휴대전화기의 두 케이스 유닛 중 어느 하나를 제2 연결부재(20)가 회전가능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회전시키면, 그 힘에 의해 두 탄성부재(80, 90) 중 회전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하는 탄성부재(80)의 힘을 이기고 제2 연결부재(20)는 회전하게 된다. 계속 회전력을 가하면, 중간에 제1 탄성부재(80)가 제2 연결부재(20)에 작용하는 회전력은 바뀌어 제2 연결부재(20)가 자동으로 회전하게 되고 결국 제2 연결부재(20)는 도2c의 상태로부터 도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 회전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도2d를 참조하면, 두 탄성부재(80, 90)는 제2 연결부재(20)가 계속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나, 제2 연결부재(20)의 제1 돌출부(24)의 두 측면(241, 242)이 각각 두 걸림턱(441, 442)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제한되며, 이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도2d의 상태에서 도2a의 상태로 다시 돌아가는 과정은 상기 설명한 과정의 반대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5a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5a와 도6을 참조하면, 개폐장치(10b)는 제1 연결부재(40b)와, 제2 연결부재(20b)와, 탄성부재(80b)와, 두 개의 이동걸림부재(90b)를 구비한다. 도5a, 도6, 도7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재(40b)는 제1 판부(42b)와, 제1 판부(42b)의 양측에 마련되는 측벽부(43b)와, 두 측벽부(43b)를 연결하며 제1 판부(42b)와 마주보는 제2 판부(44b)를 구비한다. 제1 판부(42b)는 직사각형의 평판형상으로서 중심부에는 측벽부(43b)와 나란하게 연장된 수용홈(421b)이 마련된다. 이 수용홈(421b)에 후술하는 제2 연결부재(20b)의 원판부(26b)가 수용되어 직선이동과 회전이 가능하다. 제1 판부(42b)와 제2 판부(44b) 사이의 공간 양측에는 두 측벽부(43b)를 따라 연장된 수용통로(49b)가 마련된다. 두 수용통로(49b)에 이동걸림부재(90b)가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수용된다. 제1 연결부재(40b)에서 그 외의 구성은 도1a의 제1 연결부재(4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5a, 도6, 도8을 참조하면, 제2 연결부재(20b)는 원판부(26b)와, 원판부(26b)로부터 위로 낮게 연장된 연결기둥(21b)과, 연결기둥(21b) 위에 형성된 원판형의 날개부(22b)와, 날개부(22b)로부터 위로 연장된 돌출부(24b)를 구비한다. 원판부(26b)와 연결기둥(21b)과 날개부(22b)는 제1 연결부재(40b)의 제1 판부(42b)와 제2 판부(44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다. 원판부(26b)는 제1 연결부재(40b)의 제1 판부(42b)의 수용홈(421b)에 수용된다. 연결기둥(21b)은 낮은 정사각기둥으로서 모서리는 둥글게 가공되어 있다. 연결기둥(21b)은 서로 마주보는 두 면(211b, 212b)과 마주보는 다른 두 면(213b, 214b)을 구비한다. 연결기둥(21b)의 마주보는 두 면에 후술하는 탄성부재(80b)의 두 선재(81b, 82b)가 접하며 지나간다. 날개부(22b)의 크기는 날개부(22b)가 제1 연결부재(40b)의 직선형의 안내통로(50b)와 원형의 회전통로(56b)를 통해 제1 연결부재(40b)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정해진다. 본 실시 예에서는 날개부(22b)가 원판형인 것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돌출부(24b)는 도2a의 제1 돌출부(24)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연결부재(20b)가 제1 연결부재(40b)의 안내통로(50b)를 따라 회전통로(56b) 쪽으로 이동하면 휴대전화기(도1의 12)는 열리게 되고, 반대로 제2 연결부재(20b)가 제1 연결부재(40b)의 안내통로(50b)를 따라 회전통로(56b)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면 휴대전화기(도1의 12)는 닫히게 된다.
도5a, 도6, 9를 참조하면, 탄성부재(80b)는 제1 선재(81b)와 제2 선재(82b)를 구비한다. 두 선재(81b, 82b)는 양끝에서 서로 접합되어 있으며 끝단이 꺾여져 걸림부(84b)를 형성한다. 걸림부(84b)는 후술하는 이동걸림부재(90b)의 수용부(92b)에 수용된다. 제1 선재(81b)의 제2 선재(82b)는 가운데 부분이 서로 이격되어 이 부분에 제2 연결부재(20b)의 연결기둥(21b)이 결합된다. 제1 선재(81b)와 제2 선재(82b)가 제2 연결부재(20b)의 연결기둥(21b)의 대향하는 두 면과 접한다. 두 선재(81b, 82b) 사이의 거리는 외력에 의해 더 벌어질 수 있다. 그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다시 좁아지게 된다.
도5a, 도6, 도10을 참조하면, 이동걸림부재(90b)는 탄성부재(80b)의 걸림부(84b)가 수용되는 수용부(92b)를 구비한다. 수용부(92b)는 탄성부재(80b)의 걸림부(84b)가 제2 연결부재(20b) 쪽으로 어느 정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것은 탄성부재(80b)가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동걸림부재(90b)는 제1 연결부재(40b)의 두 수용통로(49b)에 하나씩 수용되어 탄성부재(80b)와 함께 직선이동 하게 된다.
이제, 도5a 내지 도5c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5a를 참조하면, 제2 연결부재(20b)는 제1 연결부재(40b)의 안내통로(50b)에서 회전통로(56b)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진 위치에 위치한다. 이 상태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전화기(도1의 12)의 두 케이스 유닛(도1의 14, 16)이 완전히 닫힌 상태이다. 이때 제2 연결부재(20b)는 돌출부(24b)와 안내통로(50b)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휴대전화기를 열기 위해 힘을 가하여 휴대전화기가 완전히 열렸을 때의 개폐장치의 상태가 도5b에 도시되어 있다. 도5b를 참조하면, 제2 연결부재(20b)의 돌출부(24b)가 제1 연결부재(40b)의 회전통로(56b)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제2 연결부재(20b)는 일측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 반대측으로는 걸림턱(441b, 442b)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외부에서 회전력을 가하면, 제2 연결부재(20b)는 탄성부재(80b)의 탄성력을 이기고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2 연결부재(20b)가 45도 정도 회전한 후에는 탄성부재(80b)의 힘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2 연결부재(20b)가 90도 회전된 상태가 도5c에 도시되어 있다. 도5c를 참조하면, 제2 연결부재(20b)는 걸림턱(441b, 442b)에 의해 더 이상의 회전이 제한되고, 탄성부재(80b)에 의해 현재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도5c의 상태에서 도5a의 상태로 다시 돌아가는 과정은 상기 설명한 과정의 반대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1a 내지 도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11a와 도12를 참조하면, 개폐장치(10c)는 제1 연결부재(40c)와, 제2 연결부재(20c)와, 제1 탄성 부재(80c)와, 제2 탄성부재(90c)를 구비한다. 도11a, 도12, 도14, 도15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재(40c)는 제1 판부(42c)와, 제1 판부(42c)의 양측에 마련되는 두 측벽부(43c)와, 두 측벽(43c)으로부터 기초판(42c)과 평행하게 연장된 두 제2 판부(44c)를 구비한다. 제1 판부(42c)는 직사각형의 평판형상으로서 중심부에는 측벽부(43c)와 나란하게 연장되며 파여진 통로(421c)가 마련된다. 통로(421c)의 양측 벽면에는 각각 제1, 제2 걸림홈(4211c, 4212c)이 형성된다. 제1 걸림홈(4211c)은 통로(421c)의 전 구간에 걸쳐 형성되고, 제2 걸림홈(4212c)은 통로(421c)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대체로 중간 부분까지 형성된다. 통로(421c)에 후술하는 제2 연결부재(20c)의 삽입판(26c)과 연결기둥(21c)이 수용되며, 제1, 제2 걸림홈(4211c, 4212c)에는 삽입판(26c)의 테두리부분이 끼워진다. 제1, 제2 걸림홈(4211c, 4212c)은 제2 연결부재(20c)의 직선이동 및 회전을 위한 궤도를 형성한다. 제1 판부(42c)에는 통로(421) 양측에는 각각 통로(421c)와 평행하게 연장된 제1, 제2 단턱(47c, 48c)이 마련된다. 제1 단턱(47c)은 통로(421c)를 따라 전 구간에 걸쳐 형성되고, 제2 걸림홈(4212c) 쪽에 위치한다. 제2 단턱(48c)은 제1 걸림홈(4211c) 쪽에 위치하며 제2 걸림홈(4212c)이 형성된 쪽의 끝단에 형성된다. 제1, 제2 단턱(47c, 48c)에 후술하는 제2 연결부재(20c)의 기초부(24c)의 돌기(291c, 292c, 293c, 294c)가 접하게 된다. 제1 단턱(47c)의 중간부분에는 개방부(471c)가 형성된다. 개방부(471c)에서 제2 걸림홈(4212c)이 형성된 쪽의 약간 안쪽에는 걸림부(4711c)가 마련된다. 이 걸림부(4711c)에 제2 연결부재(20c)의 돌기(291c)가 회전시 걸리게 된다.
도11a, 도12, 도14, 도16을 참조하면, 제2 연결부재(20c)는 정사각판형의 기 초부(24c)와 기초부(24c)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연결기둥(21c)과, 연결기둥(21c) 아래에 형성된 삽입판(26c)을 구비한다. 기초부(24c)의 네 모퉁이에는 각각 바깥으로 돌출된 돌기(291c, 292c, 293c, 294c)가 마련된다. 네 돌기(291c, 292c, 293c, 294c) 중 인접하는 두 돌기는 그 위치에 따라 제1 연결부재(40c)의 제1 단턱(47c)과 제2 단턱(48c)과 접하게 된다. 네 돌기(291c, 292c, 293c, 294c) 중 대각선으로 배치되는 두 돌기(291c, 293c)에는 제1 탄성부재(80c)와 제2 탄성부재(90c)의 일단이 연결된다. 연결기둥(21c)은 원형 기둥이다. 삽입판(26c)은 원판에서 일부가 직선으로 절단된 형상으로서 외곽은 원호부(261c)와 직선부(262c)를 구비한다. 삽입판(26c)은 제1 연결부재(40c)의 제1 걸림홈(4211c)과 제2 걸림홈(4212c)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삽입판(26c)이 제2 걸림홈(4212c)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에는 직선부(262c)가 통로(421c)의 제2 걸림홈(4212c)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벽면에 접하게 된다(도11a의 상태).
도11a와 도12를 참조하면, 제1 탄성부재(80c)와 제2 탄성부재(90c)는 토션스프링으로서, 각각 제1 연결부재(40c)의 통로(421c)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설치된다. 제1 탄성부재(80c)와 제2 탄성부재(90c)의 일단은 각각 제2 연결부재(20c)에서 대각으로 위치하는 돌기(291c, 292c)에 각각 끼워져 결합된다. 제1 탄성부재(80c)와 제2 탄성부재(90c)의 나머지 타단은 제1 연결부재(40c)에 결합된다.
이제, 도11a 내지 도11c를 참조하여 상기 개폐장치가 직선이동상태에서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11a를 참조하면, 제2 연결부재(20c)는 제1 연결부재(40c)의 통로(421c)에서 일측 끝단(제2 걸림홈(4212c)이 형성되지 않은 쪽)에 위 치한다. 이 상태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전화기의 두 케이스 유닛이 완전히 닫힌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1 탄성부재(80c)와 제2 탄성부재(90c)는 제2 연결부재(20c)를 제2 걸림홈(4212c)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고 있어 휴대전화기는 완전히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제2 연결부재(20c)의 삽입판(26c)의 직선부(262c)가 통로(421c)의 측면에 접해 있으므로 제2 연결부재(20c)의 회전은 제한된다. 이 상태에서 휴대전화기를 열기 위해 힘을 가하여 휴대전화기가 반쯤 열린 상태에서 개폐장치의 상태가 도11b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휴대전화기를 열기 위해 힘을 더 가하면 제2 연결부재(20c)가 더 이동하여 도1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11c를 참조하면, 제1 탄성부재(80c)와 제2 탄성부재(90c)는 제2 연결부재(20c)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 억제하는 힘을 가한다. 따라서 휴대전화기는 완전히 열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도11c의 상태에서 도11a의 상태로 다시 돌아가는 과정은 상기 설명한 과정의 반대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제, 도11a, 도13a, 도13b를 참조하여 상기 개폐장치가 회전직선이동상태에서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1a의 상태에서 제2 연결부재(20c)를 이동시키다 도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에(제2 연결부재(20c)의 삽입판(26c)의 직선부(262c)가 제1 연결부재(40c)의 제2 걸림홈(4212c)에 진입하는 순간) 회전력을 가하면 제2 연결부재(20c)는 약간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기초부(24c)의 한 돌기(291c)가 제1 연결부재(40c)의 걸림부(4711c)가 걸리게 된다. 계속해서 제2 연결부재(20c)를 밀면 제2 연결부재(20c)는 회전하며 이동하게 되어, 결국 도13b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재(20c)는 90도 이동한 상태에서 정지하게 된다. 도13b의 상태에서 도11a의 상태로 다시 돌아가는 과정은 상기 설명한 과정의 반대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7a 내지 도17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17a를 참조하면, 개폐장치(10d)는 제1 연결부재(40d)와, 제2 연결부재(20d)와, 탄성부재(80d)를 구비한다. 도17a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재(40d)는 직선으로 연장되는 수용홈(50d)과, 수용홈(50d)과 연결된 가지홈(60d)을 구비한다. 수용홈(50d)과 가지홈(60d)은 제2 연결부재(20d)를 위한 궤도를 형성한다. 수용홈(50d)에 제2 연결부재(20d)가 수용되어 수용홈(50d)의 연장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한다. 가지홈(60d)은 수용홈(50d)의 제1 끝단(52d) 제2 끝단(54d) 중 제1 끝단(52d)과 가까운 위치에서 수용홈(50d)의 연장방향과 직각을 이루며 연장된다. 수용홈(50d)과 가지홈(60)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수용홈(50d)의 제1 끝단(52d) 쪽에 가까운 모서리(58d)가 둥글게 라운드져 있어, 후술하는 제2 연결부재(20d)의 삽입부(22d)의 둥근 끝단(221d)과 상호작용한다. 제2 연결부재(20d)는 제1 연결부재(40d)의 수용홈(50d)에 수용되며 수용홈(50d)의 연장방향으로 약간 연장된 삽입부(22d)와, 삽입부(22d)에서 일측 끝단(수용홈(50d)의 제2 끝단(54d) 측에 가까운 쪽) 쪽에 마련되어 수용홈(50d) 바깥으로 회전축선을 따라 돌출된 결합기둥(24d)을 구비한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삽입부(22d)는 수용홈(50d)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수용되는데, 그 구성은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삽입부(22d)의 일측은 수용홈(50d)에서 가지홈(60d)이 연결되는 일측면(56d)과 면접촉한다. 삽입부(22d)는 결합기둥(24d)으로부 터 수용홈(50d)의 제1 끝단(52d) 쪽으로 연장되며 그 길이는 가지홈(60d)의 폭보다 길다. 삽입부(22d)에서 수용홈(50d)의 제1 끝단(52d) 측에 가까운 끝단(221d)은 둥글게 라운드져 있어 제1 연결부재(40d)의 수용홈(50d)과 가지홈(60d)이 연결되는 볼록한 모서리 부분(58d)과 부드럽게 접촉한다. 결합기둥(24d)에는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개폐장치(10d)가 장착되는 휴대전화기의 두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도17b의 90d)의 중심부가 결합된다. 결합기둥(24d)에는 후술하는 탄성부재(80d)의 제1 코일부(821d)가 끼워진다.
도17a를 참조하면, 탄성부재(80d)는 토션스프링으로서, 제1 토션부(82d)와, 제2 토션부(86d)를 구비한다. 제1 토션부(82d)는 제1 코일부(821d)와, 제1 코일부(821d)로부터 연장된 제1, 제2 연장부(822d, 823d)를 구비한다. 제1 코일부(821d)는 제2 연결부재(20d)의 결합기둥(24d)에 끼워진다. 제1 연장부(822d)의 끝단은 제2 연결부재(20d)와 결합된 휴대전화기의 두 유닛 중 하나(도17b의 90d)에 연결된다. 제2 연장부(823d)는 후술하는 제2 토션부(86d)의 제2 코일부(861d)와 일체로 연결된다. 제1 토션부(82d)는 제1 연장부(822d)가 연결된 유닛(도17b의 90d)이 제2 연결부재(20d)의 결합기둥(24d)을 중심으로 삽입부(22d)의 둥근 끝단(221d)이 제1 연결부재(40d)의 가지홈(60)이 연장된 쪽으로 이동하는 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한다. 제2 토션부(86d)는 제2 코일부(861d)와, 제2 코일부(861d)로부터 연장된 제2 연장부(823d)와 제3 연장부(862d)를 구비한다. 제2 코일부(861d)는 제1 연결부재(40d)에서 수용홈(50d)으로부터 가지홈(60d)이 연장된 측에 위치한다. 제2 연장부(823d)는 제1 토션부(82d)의 제1 코일부(821d)와 연결된다. 제3 연 장부(862d)의 끝단은 제1 연결부재(40d)에 연결된다. 제2 토션부(86d)는 제2 연결부재(20d)가 수용홈(50d)의 제2 끝단(54d)에 위치할 때에는 제2 연결부재(20d)를 수용홈(50d)의 제2 끝단(54d) 쪽으로 밀며, 제2 연결부재(20d)가 수용홈(50d)의 제1 끝단(52d)에 위치할 때에는 제2 연결부재(20d)를 수용홈(50d)의 제1 끝단(52d) 쪽으로 민다.
이제, 도17a 내지 도17d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17a를 참조하면, 제2 연결부재(20a)는 제1 연결부재(40a)의 수용홈(50d)에서 제2 끝단(54d)에 위치한다. 이 상태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전화기의 두 케이스 유닛이 완전히 닫힌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탄성부재(80d)의 제2 토션부(86d)는 제2 연결부재(20d)를 수용홈(50d)의 제2 끝단(54d) 쪽으로 밀고 있어, 휴대전화기는 안정적으로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탄성부재(80d)의 제1 토션부(82d)는 휴대전화기의 두 케이스 유닛 중 하나(도16b의 90d)에 반시계방향으로 작용하는 회전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제2 연결부재(20d)의 삽입부(22d)가 제1 연결부재(40d)의 수용홈(50d)의 일측면(56d)에 접하여 그 회전은 제한된다. 이 상태에서 휴대전화기를 열기 위하여 두 케이스 유닛 중 제2 연결부재(20d)에 결합된 유닛(도17b의 90d)을 이동시켜 대체로 절반정도 열린 상태의 개폐장치의 상태가 도17b에 도시되어 있다. 도17b를 참조하면, 제2 연결부재(20d)는 제1 연결부재(40d)의 수용홈(50d) 상에서 대체로 중간부분에 위치해 있다. 이 상태는 중립상태로서 탄성부재(80d)의 제2 토션부(86d)가 제2 연결부재(20d)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제2 연결부재(20d)는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휴대전화기를 더 열면 제2 연결부재(20d)가 수용홈(50d)의 제1 끝단(52d) 쪽으로 이동하며 탄성부재(80d)의 제2 토션부(86d)에 의해 휴대전화기는 자동으로 열려 개폐장치(10d)는 도17c의 상태가 된다. 휴대전화기가 열리는 과정에서 제2 연결부재(20d)의 삽입부(22d)가 제1 연결부재(40d)의 가지홈(60d) 옆을 지나갈 때, 탄성부재(80d)의 제1 토션부(82d)의 작용에 의해 회전력을 받으나 휴대전화기의 열리는 속도와 제2 연결부재(20d)의 삽입부(22d)의 둥근 끝단(221d)과 수용홈(50d)과 가지홈(60d)이 연결된 모서리(58d)의 둥근 형상이 상호작용하여 제2 연결부재(20d)는 회전하지 않고 그대로 수용홈(50d)의 제1 끝단(52d)까지 이동하게 된다. 도17c를 참조하면, 개폐부재(10d)의 제2 연결부재(20d)는 제1 연결부재(40d)의 수용홈(50d)의 제1 끝단(52d)에 위치한다. 이때, 탄성부재(80d)의 제2 토션부(86d)는 제2 연결부재(40d)를 수용홈(50d)의 제1 끝단(52d) 쪽으로 밀고 있어 휴대전화기는 열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또한, 제2 연결부재(20d)의 회전은 삽입부(22d)가 수용홈(50d)의 일측면과 접해 있으므로 제한된다.
도17c의 상태에서 제2 연결부재(20d) 수용홈(50d)의 제2 끝단(54d) 쪽으로 약간 내리면 제2 연결부재(20d)의 삽입부(22d)의 둥근 끝단(221d)이 가지홈(62d)의 옆에 위치하며 제2 연결부재(20d)는 회전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때,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80d)의 제1 토션부(82d)의 작용에 의해 제2 연결부재(20d)는 자동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17d의 상태가 된다. 도17d를 참조하면, 제2 연결부재(20d)의 삽입부(22d)가 제1 연결부재(40d)의 가지홈(60d)에 수용되어 제2 연결부재(20d)에 결합된 휴대전화기의 두 유닛 중 하나(90d)가 다른 하나(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90도 회전한 상태가 된다. 탄성부재(80d)의 제1 토션부(82d)가 휴대전화기의 두 유닛 중 제2 연결부재(20d)에 결합된 유닛(90d)에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력을 계속 제공하므로 휴대전화기는 도17d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TV시청 등의 동영상 감상을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17d의 상태에서 제2 연결부재(20d)에 결합된 유닛(90d)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휴대전화기를 닫으면 도17a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슬라이드형 개폐장치는 휴대전화기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슬라이드 방식으로 열고 닫히는 두 유닛을 구비한다면 상기 개폐장치가 장착되어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따르면 앞에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상대적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한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가 회전이 가능하므로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된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전화기를 통해 동영상 감상 등의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3)

  1. 서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결합시키며,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 사이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유닛 또는 제2 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로서,
    상기 제1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궤도를 구비한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대하여 궤도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궤도에 결합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연결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궤도는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2. 제1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궤도는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도록 마련된 안내통로와, 상기 안내통로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부재가 회전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상기 안내통로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형의 회전통로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3. 제2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회전 을 제한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4. 제3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회전을 90도로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인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서로 좁아지도록 작용하는 두 선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두 선재가 각각 접하는 두 면을 구비하는 연결기둥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기둥은 상기 두 면과 각각 일정한 각을 이루며 연결된 다른 두 면을 더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7. 제6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부재와 함께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개의 이동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에는 상기 두 이동걸림부재가 각각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두 수용통로가 마련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8. 제7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걸림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양단 사 이의 거리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이동을 허용하는 공간이 마련된 수용부를 구비하는 개폐장치.
  9. 제1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회전축선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연결부재의 돌기가 걸릴 수 있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외부 회전력에 의해 약간 회전하였을 때 상기 제2 연결부재의 돌기는 상기 제1 연결부재의 걸림부에 걸리는 위치로 이동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10. 제9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테두리가 원호부와 직선부로 이루어지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삽입부가 끼워지도록 서로 마주보며 형성된 제1, 제2 걸림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걸림홈은 상기 제2 걸림홈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2 걸림홈과 이어지고 상기 제1 걸림홈과 마주보며 연장되어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삽입부에 형성된 직선부와 접하도록 형성된 접촉면이 마련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11. 제10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연결부재의 돌기가 접하며 상기 궤도를 따라 연장되는 단턱을 구비하며, 상기 단턱에 접하는 상기 제2 연결부재의 돌기는 2개인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12. 제11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단턱의 중간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연결부재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개방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13. 제12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두 돌기와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대칭인 위치에 마련되는 추가의 두 개의 돌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단턱과 마주보는 단턱을 추가로 더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14. 제1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과 대체로 직각을 이루며 연결된 가지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의 일부는 회전하여 상기 가지홈에 끼워질 수 있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15. 제14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삽입부는 회전축선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 이동방향 일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지홈의 폭은 상기 제2 연결부재의 삽입부의 슬라이드 이동방향 길이보다 짧으며, 상기 수용홈과 가지홈을 연결하는 두 모서리 적어도 하나는 둥글게 처리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16. 제15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회전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결합기둥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인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17. 제16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제1, 제2 코일부와, 상기 제1 코일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 유닛과 연결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를 연결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코일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에 연결되는 제3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코일부는 상기 제2 연결부재의 결합기둥에 끼워지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18. 제1 유닛과,
    상기 제1 유닛과 포개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유닛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 유닛과,
    상기 제1 유닛에 연결되며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궤도를 구비한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대하여 궤도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궤도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연결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의 궤도의 어느 부분에는 상기 제2 연결부재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부가 마련되는 휴대용 장치.
  19. 제18항의 휴대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제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의 개폐장치인 휴대용 장치.
  20. 제1 유닛과, 상기 제1 유닛과 포개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유닛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 유닛과, 상기 제1 유닛에 연결되며 슬라이드 이동을 위한 궤도를 구비한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대하여 궤도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궤도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연결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의 궤도의 어느 부분에는 상기 제2 연결부재가 회전할 수 있는 회전부가 마련되는 휴대용 장치의 사용방법으로서,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이 포개어져 상기 휴대용 장치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닛을 상기 제1 유닛에 대해 직선이동시켜 상기 휴대용 장치를 개방하는 단계와,
    상기 개폐장치의 제2 연결부재를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회전부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의 사용방법.
  21. 제20항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의 제2 연결부재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회전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닛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의 사용방법.
  22. 제21항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닛의 회전이 멈추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의 사용방법.
  23. 제20항의 사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는 회전축선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회전부에 위치할 때 상기 제2 연결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연결부재의 돌기가 걸릴 수 있는 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회전부에 위치할 때 상기 제2 연결부재의 돌기가 상기 제1 연결부재의 걸림부에 걸리도록 상기 제2 연결부재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의 사용방법.
KR1020050047348A 2004-06-07 2005-06-02 회전기능을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및 슬라이드개폐형 휴대전화기 KR100718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1520 2004-06-07
KR20040041520 2004-06-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528A KR20060049528A (ko) 2006-05-19
KR100718731B1 true KR100718731B1 (ko) 2007-05-15

Family

ID=3558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348A KR100718731B1 (ko) 2004-06-07 2005-06-02 회전기능을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및 슬라이드개폐형 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18731B1 (ko)
CN (1) CN17082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784B1 (ko) 2006-11-24 2008-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스윙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901880B1 (ko) 2008-04-28 2009-06-09 삼광공업(주)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209B1 (ko) * 2006-07-05 2008-01-24 주식회사 힝스 이동통신단말기용 터치 슬라이드장치
WO2008038843A1 (en) * 2006-09-25 2008-04-03 Myung Hoon Choi Sliding module of mobile phone
KR100812626B1 (ko) * 2007-03-07 2008-03-13 주식회사 다이아벨 슬라이더 스윙 힌지 장치
JP5257199B2 (ja) * 2009-03-30 2013-08-07 富士通株式会社 携帯機器
JP5991928B2 (ja) * 2013-01-16 2016-09-14 三菱製鋼株式会社 開閉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542A (ko) * 2000-12-26 2002-07-04 황중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542A (ko) * 2000-12-26 2002-07-04 황중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5254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784B1 (ko) 2006-11-24 2008-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스윙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901880B1 (ko) 2008-04-28 2009-06-09 삼광공업(주)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08210A (zh) 2005-12-14
KR20060049528A (ko) 200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731B1 (ko) 회전기능을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및 슬라이드개폐형 휴대전화기
US8346320B2 (en) Sliding structure for housing, sliding opening and closing housing, and mobile phone
KR100624018B1 (ko) 슬라이드 방식 휴대폰용 슬라이딩 장치
JP5944095B2 (ja) 開閉装置
KR100865967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0692419B1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및 회전기능을 구비하는슬라이드 개폐형 휴대전화기
KR100554801B1 (ko) 디스플레이패널 회전 휴대폰
KR100966577B1 (ko)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100765179B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20050083235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935402B1 (ko) 휴대장치용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0997747B1 (ko) 슬라이드 틸팅 힌지장치
KR100904222B1 (ko) 슬라이더 모듈 및 힌지 장치
KR100998879B1 (ko) 힌지 모듈
KR100686398B1 (ko) 슬라이드와 로테이트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
JP2009105867A (ja) 移動通信端末機のスライドヒンジ装置
KR100673480B1 (ko) 회전기능을 갖는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
KR200350570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824385B1 (ko) 슬라이더 힌지 장치
KR20100107645A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
KR200454601Y1 (ko)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KR200455905Y1 (ko) 슬라이드형 휴대전화기용 개폐장치
KR100987406B1 (ko) 휴대폰 개폐장치
JP2012015888A (ja) 携帯端末機
KR100791994B1 (ko) 슬라이드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