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705B1 - 슬라이드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705B1
KR100798705B1 KR1020070076199A KR20070076199A KR100798705B1 KR 100798705 B1 KR100798705 B1 KR 100798705B1 KR 1020070076199 A KR1020070076199 A KR 1020070076199A KR 20070076199 A KR20070076199 A KR 20070076199A KR 100798705 B1 KR100798705 B1 KR 100798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guide
plate
body plat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김병한
Original Assignee
(주)쉘-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쉘-라인 filed Critical (주)쉘-라인
Priority to KR1020070076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별도의 샤프트 구조 없이 프레스 구조의 변형으로 향상된 슬라이드감을 제공할 수 있는 슬라이드 힌지장치가 개시된다. 슬라이드 힌지장치는 몸체 플레이트와 몸체 플레이트 양 측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몸체 플레이트와 함께 E-자 형상의 프레스 구조를 형성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레일 힌지부, 각각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가이드와 슬라이드 가이드를 연결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힌지부 및 개방된 몸체 플레이트와 가이드 플레이트의 단부에 결속되어 슬라이드 힌지부가 레일 힌지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레일 커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힌지장치 {SLIDING HINGE DEVICE}
본 발명은 슬라이드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별도의 샤프트 구조 없이 프레스 구조의 변형으로 향상된 슬라이드감을 제공할 수 있는 슬라이드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휴대단말기는 누구나 손쉽게 휴대할 수 있고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현재 그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개인휴대단말기는 외형이나 작동방식에 따라 일반적으로 바(bar)형 개인휴대단말기, 플립형(flip-type) 개인휴대단말기, 폴더형(folder-type) 개인휴대단말기,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sliding-type)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라 함은 본체부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슬라이드부가 본체부에 대해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말한다. 일반적인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는 본체부 및 본체부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본체, 슬라이드부가 본체부에 대해 상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본체부와 슬라이드부를 연결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슬라이드 모듈은 일반적으로 메인 파트와 슬라이드 파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슬라이드 모듈은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하기 위해 샤프트(shaft)로 구성된 가이드 바(bar) 등을 별도로 제작한 후 메인 파트의 양 측부에 상기 가이드 바를 결합하고 슬라이드 파트가 상기 가이드 바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슬라이드 모듈은 가이드 바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있고, 가이드 바를 메인 파트에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조립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이드 바를 메인 파트에 안정적으로 결속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부품들이 더 사용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모듈 자체의 부품 개수가 많아지고 슬라이드 모듈을 제작하기 위한 작업공정도 증가하게 되어 제조 비용 및 제조공수가 증가하고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가이드 바를 결속시키기 위해서는 가이드 바를 결속시키는 부분의 두께가 적어도 가이드 바의 두께보다는 두꺼워야 하므로 슬라이드 모듈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종래의 슬라이드 모듈을 채용한 개인휴대단말기의 슬림화가 저해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별도의 샤프트 구조 없이 원활한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가이드 바를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할 필요 없이 일체로 제작된 메인 파트를 통하여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할 수 있어 슬라이드 모듈의 부품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 원가 및 조립공수를 줄일 수 있는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단순한 구조만으로도 메인 파트와 슬라이드 파트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슬라이드 모듈의 슬라이드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프레스 가공과 같은 간소한 공정만으로도 가이드 바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메인 파트를 제작할 수 있어 슬라이드 모듈의 구조 및 조립공수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힌지장치는 몸체 플레이트와 몸체 플레이트 양 측부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일단부가 몸체 플레이트와 일체로 연결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레일 힌지부 및 가이드 플레이트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레일 힌지부와 결속되는 슬라이드 힌지부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는 통상의 개인휴대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l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는 본체부 및 본체부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본체, 슬라이드부가 본체부에 대해 상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본체부와 슬라이드부를 연결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몸체부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갖는 키패드 및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로 구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각종 제어를 위한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는 전면에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전달받기 위한 수화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레일 힌지부는 몸체 플레이트와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후술할 슬라 이드 힌지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몸체 플레이트는 개인휴대단말기를 구성하는 본체 중 하나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슬라이드부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는 몸체 플레이트 양 측부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플레이트는 슬라이드 힌지부의 일부분이 가이드 플레이트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몸체 플레이트 측부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의 일단부는 몸체 플레이트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 플레이트와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레일 힌지부는 E-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레일 힌지부는 몸체 플레이트와 가이드 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작될 수 있다.
슬라이드 힌지부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레일 힌지부와 결속된다. 슬라이드 힌지부는 개인휴대단말기를 구성하는 본체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몸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는 별도의 샤프트 구조를 제작하여 조립할 필요 없이 적은 부품만으로도 원활한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일체로 연결된 가이드 플레이트와 몸체 플레이트를 통해 슬라이드 힌지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할 수 있으며, 가이드 플레이트와 몸체 플레이트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나 작업공정을 요하지 않아 슬라이드 힌지장치의 부품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 플레이트와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레일 힌지부가 프레스 가공과 같은 간소한 공정만으로도 제작될 수 있어 슬라이 드 힌지장치의 제조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힌지장치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슬라이드 힌지장치의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슬라이드 힌지부는 슬라이드 가이드 및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는 가이드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가이드에는 각각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는 2개의 슬라이드 가이드를 연결하여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가 일체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슬라이드 가이드는 커버 플레이트와 함께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로 제작된 후 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가이드는 통상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폴리 아세탈(polyoxymethylene), 폴리 아미드(polyamide) 및 폴리아미드 이미드(polyamide imide) 등과 같이 자기 윤활성이 뛰어나며 우수한 내피로 특성을 가지는 윤활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슬라이드 힌지부의 슬라이드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몸체 플레이트 양 측부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가이드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여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에 있어 슬라이드 힌지부는 레일 힌지부에 대하여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즉, 관통홀을 통해 슬라이드 가이드가 가이드 플레이트를 수용할 수 있어 슬라이드 가이드는 가 이드 플레이트를 따라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몸체 플레이트의 가이드 돌기가 슬라이드 가이드의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가이드가 몸체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힌지부는 레일 힌지부를 따라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힌지장치는 몸체 플레이트와 몸체 플레이트 양 측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몸체 플레이트와 함께 E-자 형상의 프레스 구조를 형성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레일 힌지부, 각각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가이드와 슬라이드 가이드를 연결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힌지부 및 개방된 몸체 플레이트와 가이드 플레이트의 단부에 결속되어 슬라이드 힌지부가 레일 힌지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레일 커버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는 각각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 플레이트 양 측부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슬라이드 가이드에는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여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돌기는 몸체 플레이트 측부에서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몸체 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는 별도의 샤프트 구조를 제작하여 조립할 필요 없이 일체로 연결된 몸체 플레이트와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레일 힌지부 및 슬라이드 힌지부만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구현할 수 있어 슬라이드 힌지장 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는 슬라이드 힌지부를 안내하는 레일 힌지부를 프레스 가공과 같은 간소한 공정만으로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힌지장치의 제조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는 그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과정도 상대적으로 간소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힌지장치의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고, 슬라이드 힌지장치의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는 관통홀을 통해 슬라이드 가이드가 가이드 플레이트를 수용하고 슬라이드 가이드의 일 부분이 몸체 플레이트의 가이드 돌기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레일 힌지부와 슬라이드 힌지부가 슬라이드 이동 중에도 그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보다 향상된 슬라이드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설명하 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100)는 레일 힌지부(110) 및 슬라이드 힌지부(150)를 포함한다.
레일 힌지부(110)는 몸체 플레이트(120)와 가이드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몸체 플레이트(120)는 대략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크류 등과 같은 통상의 체결수단을 통해 슬라이드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 플레이트(120)는 스크류 체결 가능한 통상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높은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또는 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부(200)는 전면에 영상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대방으로부터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수화부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몸체 플레이트(120)와 연결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인휴대단말기의 종류나 작동 방식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몸체 플레이트(1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에 있어 레일 힌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몸체 플레이트(120) 양 측부에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몸체 플레이트(120) 측부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술할 슬라이드 가이드(160)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를 수용한 채로 가이드 플레이트(13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일단부는 몸체 플레이트(120)와 일체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몸체 플레이트(120)와 가이드 플레이트(130)를 구비하는 레일 힌지부(110)는 E-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레일 힌지부(110)는 몸체 플레이트(120)와 가이드 플레이트(130)를 프레스 가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즉, 레일 힌지부(110)는 통상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일정한 형상 강도를 유지하면서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몸체 플레이트(120)와의 연결부(135)와 단차(段差)를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135)와 가이드 플레이트(130)는 계단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가이드(16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 일면이 상기 계단 형상의 수직한 면에 접할 수 있어 슬라이드 가이드(160)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이드 플레이트(130) 하단에서 자연스럽게 멈춰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에 있어 레일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에 있어 레일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레일 커버(140)를 설명한다.
레일 힌지부(110)는 레일 커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일 커버(140)는 개방된 몸체 플레이트(120) 및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단부에 결속되어 슬라이드 힌지부(150)가 레일 힌지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몸체 플레이 트(120)와 가이드 플레이트(130)를 구비하는 레일 힌지부(110)는 E-자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슬라이드 가이드(16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라이드 힌지부(150)가 레일 힌지부(110)에 결속될 수 있다. 다만, 결속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 상기 개방된 단부를 폐쇄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레일 커버(140)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레일 커버(140)는 레일 힌지부(110)와 함께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별도로 제작된 후 부착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레일 힌지부(110)와 레일 커버(140)를 보다 견고하게 결속하기 위해, 레일 커버(140)에는 몸체 플레이트 수용홈(141, 142, 143) 및 가이드 플레이트 수용홈(145, 146)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 플레이트 수용홈은 몸체 플레이트(120) 단부의 돌출부를 수용하며, 몸체 플레이트(120) 단부의 돌출부 형상에 따라 적어도 1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3개의 몸체 플레이트 수용홈(141, 142, 143)이 형성된 레일 커버(140)와 3개의 돌출부(121, 122, 123)가 형성된 몸체 플레이트(120)가 예시되고 있으나, 몸체 플레이트 수용홈 및 돌출부의 형성 개수 및 형성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몸체 플레이트 수용홈(141, 142, 143)이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몸체 플레이트 수용홈(141, 142, 143)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것과 상호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플레이트 수용홈(141, 142, 143) 중 가운데 형성된 것(143)은 좌우에 형성된 것(141, 142)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몸체 플레이트(120)의 돌출부(121, 122, 123)가 몸체 플레이트 수용 홈(141, 142, 143)에 삽입된 상태에서 두께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도 몸체 플레이트(120)와 레일 커버(140)가 안정적으로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 플레이트 수용홈에는 제1 스크류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 플레이트(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개인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부(200)에 연결된다. 슬라이드부(200)와 몸체 플레이트(120)를 결속시키기 위해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플레이트(120)에는 상기 스크류를 위한 제1 스크류 홀(127)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제1 스크류 홀(127)은 몸체 플레이트 수용홈(141, 142)에 대응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스크류 수용홈(147)은 상기 제1 스크류 홀(127)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류를 제1 스크류 홀(127)을 통해 체결함으로써 슬라이드부(200)와 몸체 플레이트(120)를 결속시킬 수 있으며, 스크류의 단부가 제1 스크류 수용홈(147)에 수용됨으로써 체결과정에서 스크류의 단부에 의해 레일 커버(14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레일 커버(140)가 스크류의 진입을 방해하지 않아 보다 용이하게 스크류를 체결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 수용홈(145, 146)은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단부를 수용한다. 이때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단부가 보다 안정적으로 레일 커버(140)에 결속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수용홈(145, 146)에는 결속돌기(148)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30)의 단부에는 상기 결속돌기(148)에 대응하여 결속홈(138)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 커버(140)와 레일 힌지부(110) 사이에는 완충 댐퍼(191)가 개재될 수 있다. 슬라이드 힌지부(150)의 슬라이드 이동은 레일 커버(140)에 의해 멈춰질 수 있다. 즉, 레일 커버(140)와 슬라이드 힌지부(150) 사이에는 충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슬라이드 힌지부(150)의 슬라이드감이 저해될 수 있고, 슬라이드 힌지부(150)의 내구성이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 커버(140)와 레일 힌지부(110) 사이에 완충 댐퍼(191)를 개재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130) 하단에도 완충 댐퍼(19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슬라이드 힌지부(150)와 가이드 플레이트(130) 하단의 충돌을 완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에 있어 슬라이드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에 있어 슬라이드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슬라이드 힌지부(150)에 대해 설명한다.
슬라이드 힌지부(150)는 가이드 플레이트(13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레일 힌지부(110)에 결속된다. 슬라이드 힌지부(150)는 일반적으로 몸체부(300)에 연결된다. 여기서 몸체부(300)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키를 갖는 키패드 및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로 구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각종 제어를 위한 인쇄회로기판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힌지부(150)는 2개의 슬라이드 가이드(160) 및 커버 플레이트(1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가이드(160)에는 각각의 가이드 플레이트(130)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홀(16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62)에 가이드 플레이트(130)가 수용됨으로써 슬라이드 가이드(160)는 가이드 플레이트(13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바 또는 가이드 샤프트 등과 같은 샤프트 구조가 없어도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100)는 부드러운 슬라이드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몸체 플레이트(120)와 가이드 플레이트(130)가 일체로 형성된 레일 힌지부(110)와 슬라이드 힌지부(150)만으로 상기와 같은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여 샤프트 구조에 따른 추가 부품이 필요치 않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힌지장치(100)의 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으며, 이의 결과로 부품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 비용 및 제조공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레일 힌지부(110)와 슬라이드 힌지부(150)를 모듈화함에 따라 제품의 공용화를 확대할 수 있다.
보다 안정적인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몸체 플레이트(120) 양 측부에는 가이드 돌기(13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가이드(160)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37)에 대응하여 가이드 홈(164)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몸체 플레이트(120) 양 측부에는 몸체 플레이트(120) 측부에서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몸체 플레이트(120)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13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몸체 플레이트(120)의 측단부를 절곡하여 가이드 돌기(137)를 형성함으로써 몸체 플레이트(120)가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몸체 플레이트(120)는 평판 형태일 때보다 향상된 형상 강도를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몸체 플레이트(120)를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어 제품을 더욱 슬림하게 만들 수 있다. 다만, 상기 가이드 돌기(137)의 절곡 형태는 L-자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 으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 등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돌기(137)를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가이드(160)에는 가이드 홈(164)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 홈(164)은 상기 가이드 돌기(137)를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힌지부(150)가 레일 힌지부(1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을 하는 경우 슬라이드 가이드(160)의 일부분이 가이드 돌기(137)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이의 결과로 슬라이드 이동이 보다 원활해질 수 있고, 레일 힌지부(110)와 슬라이드 힌지부(150)의 배치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가이드(160)의 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돌기(16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160)의 일면은 상기 슬라이드부(200)와 마주보는 면을 의미한다. 슬라이드 가이드(160)는 슬라이드 이동 시 슬라이드부(200)와 맞닿을 수 있어 원활한 슬라이드 이동이 방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가이드(160)는 지지돌기(166)를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드 가이드(160)와 슬라이드부(200) 간의 접촉 면적을 줄여 슬라이드 가이드(160)가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가이드(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길게 형성된 지지돌기(166)가 예시되고 있으나, 지지돌기의 형상이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지돌기는 슬라이드 가이드(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160)는 통상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아세탈(polyoxymethylene), 폴리 아미드(polyamide) 및 폴리아미드 이미드(polyamide imide) 등과 같이 자기 윤활성이 뛰어나며 우수한 내피로 특성을 가지는 윤활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슬라이드 가이드(160)는 오랜 시간 동안 광범위한 온도 범위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기계적, 열적, 화학적 성질이 뛰어나고, 탁월한 치수안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커버 플레이트(170)는 상기 2개의 슬라이드 가이드(160)를 연결하여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160)가 일체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 슬라이드 가이드(160)는 커버 플레이트(170)와 함께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다만, 커버 플레이트(170)와 슬라이드 가이드(160)의 결합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슬라이드 가이드(160)를 별도로 제작한 후 커버 플레이트(170)에 부착 또는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170)에는 제2 스크류 홀(17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가이드(160)에는 상기 제2 스크류 홀(172)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스크류 수용홈(168)이 상기 관통홀(162)과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힌지부(1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개인휴대단말기의 본체부(300)에 연결된다. 본체부(300)와 커버 플레이트(170)를 결속시키기 위해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스크류를 위한 제2 스크류 홀(17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크류 수용홈(168)은 상기 제2 스크류 홀(172)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류를 제2 스크류 홀(172)을 통해 체결함으로써 몸체부(300)와 커버 플 레이트(170)를 결속시킬 수 있으며, 스크류의 단부가 제2 스크류 수용홈(168)에 수용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스크류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레일 힌지부(110)와 슬라이드 힌지부(150) 사이에는 레일 힌지부(110)에 대한 슬라이드 힌지부(150)의 슬라이드 이동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액츄에이터(180)가 제공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80)는 제1 링크(181), 제2 링크(183) 및 탄성부재(188)를 포함하며, 제1 링크(181)와 제2 링크(183)는 회전 가능하게 결속되고, 탄성부재(188)는 제1링크(181)와 제2 링크(183)의 결합체 내에 배치된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액츄에이터(180) 구조 없이 탄성부재(188)만이 레일 힌지부(110)와 슬라이드 힌지부(15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액츄에이터(180)의 일단은 레일 힌지부(1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슬라이드 힌지부(15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링크(181) 및 제2 링크(183)의 일단에는 결속구(18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 힌지부(110) 및 슬라이드 힌지부(150)에는 상기 결속구(182)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18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공(185)은 결속구(182)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경우에 따라서는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삽입공(186) 및 삽입공(186)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삽입공(186)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결속구(182)가 고정되는 고정공(18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결속구(182)가 용이하게 삽입공(186)에 삽입될 수 있으며, 결속구(182)가 삽입된 후에는 결속구(182)가 고정공(187)으로 이동함으로써 결속구(182)가 결합공(18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속 구(182) 및 결합공(185)은 액츄에이터(180)를 보다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이의 결과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액츄에이터(18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에 있어 레일 힌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에 있어 레일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에 있어 레일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에 있어 슬라이드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힌지장치에 있어 슬라이드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슬라이드 힌지장치 110 : 레일 힌지부
120 : 몸체 플레이트 130 : 가이드 플레이트
140 : 레일 커버 150 : 슬라이드 힌지부
160 : 슬라이드 가이드 170 : 커버 플레이트
180 : 액츄에이터 200 : 슬라이드부
300 : 본체부

Claims (19)

  1. 몸체 플레이트 및 상기 몸체 플레이트 양 측부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몸체 플레이트와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몸체 플레이트와 함께 E-자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 플레이트와 동일 재질로 제조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레일 힌지부;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레일 힌지부와 결속되는 슬라이드 힌지부;
    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힌지부는 개방된 상기 몸체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단부에 결속되어 상기 슬라이드 힌지부가 상기 레일 힌지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레일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프레스 가공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커버에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의 단부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몸체 플레이트 수용홈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단부를 수용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수용홈에는 결속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단부에는 상기 결속돌기에 대응하여 결속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몸체 플레이트 수용홈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것과 상호 단차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플레이트 수용홈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 플레이트에는 제1 스크류 홀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 플레이트 수용홈에는 상기 제1 스크류 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스크류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커버와 상기 레일 힌지부 사이에 완충 댐퍼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커버는 조립 또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레일 힌지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힌지부는, 각각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슬라이드 가이드 및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를 연결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는 제2 스크류 홀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에는 상기 제2 스크류 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스크류 수용홈이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플레이트 양 측부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여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 측부에서 L-자 형상으로 절곡되 어 상기 몸체 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의 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는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와의 연결부와 단차(段差)를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레일 힌지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 힌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힌지부가 상기 레일 힌지부에 대해 탄성적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17. 몸체 플레이트 및 상기 몸체 플레이트 양 측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몸 체 플레이트와 함께 E-자 형상의 프레스 구조를 형성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레일 힌지부;
    각각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가이드 및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를 연결하는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힌지부; 및
    개방된 상기 몸체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단부에 결속되어 상기 슬라이드 힌지부가 상기 레일 힌지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레일 커버;
    를 구비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는 각각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플레이트 양 측부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여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몸체 플레이트 측부에서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몸체 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KR1020070076199A 2007-07-30 2007-07-30 슬라이드 힌지장치 KR100798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199A KR100798705B1 (ko) 2007-07-30 2007-07-30 슬라이드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199A KR100798705B1 (ko) 2007-07-30 2007-07-30 슬라이드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8705B1 true KR100798705B1 (ko) 2008-01-29

Family

ID=39219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199A KR100798705B1 (ko) 2007-07-30 2007-07-30 슬라이드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7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114B1 (ko) 2008-03-20 2008-07-24 (주)제이엠씨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20100120979A (ko) * 2009-05-07 2010-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120040826A (ko) * 2010-10-20 2012-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694A (ko) * 2005-01-18 2006-04-19 주식회사 디에스테크놀러지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슬라이딩 플레이트의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물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슬라이드 힌지
KR20070018224A (ko) * 2005-08-09 2007-02-14 (주)쉘-라인 윤활성 결속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3694A (ko) * 2005-01-18 2006-04-19 주식회사 디에스테크놀러지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용 슬라이딩 플레이트의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물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슬라이드 힌지
KR20070018224A (ko) * 2005-08-09 2007-02-14 (주)쉘-라인 윤활성 결속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힌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114B1 (ko) 2008-03-20 2008-07-24 (주)제이엠씨 좁은 궤적을 갖는 박형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20100120979A (ko) * 2009-05-07 2010-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101641224B1 (ko) 2009-05-07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120040826A (ko) * 2010-10-20 2012-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662082B1 (ko) * 2010-10-20 2016-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4806B2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KR100537698B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개인휴대단말기 및 힌지장치의제조방법
KR101733808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모듈
KR200408500Y1 (ko)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798705B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KR100800808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727073B1 (ko) 스윙형 개인휴대단말기
KR100891459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100521336B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개인휴대단말기 및 힌지장치의 제조방법
KR100629241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20090004264A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JP4823353B2 (ja) スライド式の個人用携帯端末機
KR100619184B1 (ko) 개인휴대단말기
KR20080095070A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100803457B1 (ko)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모듈
KR100677364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78281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200391861Y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
KR101013101B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KR100622585B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KR200391862Y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
KR100927966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및 이에 사용되는 액츄에이터
KR100668456B1 (ko)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200411625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1020986B1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