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629B1 - 탄성부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장치를 이용한탄성부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성부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장치를 이용한탄성부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78629B1 KR100678629B1 KR1020050105918A KR20050105918A KR100678629B1 KR 100678629 B1 KR100678629 B1 KR 100678629B1 KR 1020050105918 A KR1020050105918 A KR 1020050105918A KR 20050105918 A KR20050105918 A KR 20050105918A KR 100678629 B1 KR100678629 B1 KR 1006786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nding
- elastic member
- gap
- wire rod
- manufactu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00—Bending wire other than coiling; Straightening wire
- B21F1/04—Undul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35/00—Making springs from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Wire Processing (AREA)
- Flexible Shaf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직선의 선재를 지그재그 형태로 구부려 다수의 직선 연결부와 상기 다수의 직선 연결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곡선 연결부를 구비하는 탄성부재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원통형상의 서로 이격된 2개의 고정기둥을 구비하는 고정부재와,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두 고정부재 주위를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굽힘기둥을 구비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두 고정부재 사이에는 상기 선재가 끼워지게 마련된 제1 틈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굽힘기둥이 사전 설정된 양만큼 회전이동하여 위치한 후,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한 탄성부재 제조장치와 그 제조장치를 이용한 탄성부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탄성부재, 제조방법, 제조장치, 고정기둥, 굽힘기둥, 회전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탄성부재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2 내지 도12는 도1에 도시한 탄성부재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13 내지 도23은 도1에 도시한 탄성부재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탄성부재 20 : 탄성부재 제조장치
30 : 고정부재 36, 38 : 고정기둥
39 : 제1 틈 40 : 이동부재
44 : 굽힘기둥 49 : 제2 틈
90 : 선재
본 발명은 탄성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직선의 선재를 지그재그로 형태로 굽혀 제조하는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여 탄성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더형 또는 슬라이드형 휴대전화기와 같이 개폐되는 2개의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에는 두 유닛을 연결해주는 개폐장치('힌지장치'라고도 함)가 구비된다. 개폐장치는 휴대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하기위하여 두 유닛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이동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제공된다. 슬라드형 휴대전화기의 경우 종래에는 코일형의 토션스프링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휴대전화기의 두께가 점점 얇아짐에 따라 보다 얇으면서도 신뢰성이 높은 성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요구되며, 이러한 스프링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도 함께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선의 선재를 지그재그로 형태로 굽혀 탄성부재를 제조하는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굽혀진 부분의 피로한도 및 신뢰성에서 좋은 성능을 발휘하는 직선의 선재를 지그재그 형태로 굽혀 탄성부재를 제조하는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직선의 선재를 지그재그 형태로 구부려 다수의 직선 연결부와 상기 다수의 직선 연결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곡선 연결부를 구비하는 탄성부재를 제조하는 장치 로서,
원통형상의 서로 이격된 2개의 고정기둥을 구비하는 고정부재와,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두 고정기둥 주위를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굽힘기둥을 구비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두 고정기둥 사이에는 상기 선재가 끼워지게 마련된 제1 틈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굽힘기둥이 사전 설정된 양만큼 회전이동하여 위치한 후,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한 탄성부재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탄성부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 고정기둥의 반경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굽힘기둥의 반경은 상기 두 고정기둥의 반경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 제조장치로 탄성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직선의 선재를 제1 틈에 끼우고 연장축선을 따라 배치하는 단계와,
굽힘기둥에 상기 선재가 걸리는 제1 위치에 상기 굽힘기둥이 위치하도록 이동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동부재를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선재를 굽혀 제2 틈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직선 연결부와 제1 틈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직선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굽힘기둥에 상기 선재가 걸리지 않는 제2 위치에 상기 굽힘기둥이 위치하도록 이동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선재를 상기 연장축선을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굽힘기둥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선재의 제2 직선 연결부를 굽혀 상기 제2 틈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a 직선 연결부와 상기 제1 틈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b 직선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성부재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탄성부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굽힘기둥은 상기 직선 연결부들이 서로 평행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직선의 선재를 지그재그 형태로 구부려 다수의 직선 연결부와 상기 다수의 직선 연결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곡선 연결부를 구비하는 탄성부재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몸체와,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중심기둥 및 굽힘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기둥은 상기 회전축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중심기둥과 굽힘기둥 사이에는 상기 선재가 끼워지고 미끄러지며 이동 할 수 있게 마련된 틈이 형성된 탄성부재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탄성부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굽힘기둥의 반경은 상기 중심기둥의 반경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 제조장치로 탄성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직선의 선재를 틈에 끼우고 연장축선을 따라 배치하는 단계와,
몸체를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선재를 굽혀 상기 틈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직선 연결부와 중심기둥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직선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선재를 상기 틈에서 빼내어 상기 연장축선을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직선 연결부를 상기 틈에 끼우는 단계와,
상기 몸체를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 직선 연결부를 굽혀 상기 틈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a 직선 연결부와 상기 중심기둥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b 직선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성부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탄성부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굽힘기둥은 상기 직선 연결부들이 서로 평행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는 탄성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도1을 참조하면, 탄성부재(10)는 선재로서,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져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12)를 구비한다. 탄성부 (12)는 평행하게 연장된 다수의 직선 연결부(13)와, 다수의 직선 연결부(13)를 연결하는 다수의 곡선 연결부(14)를 구비한다. 곡선 연결부(14)는 대체로 반원형의 형태를 갖는다.
도2 내지 도12에는 도1에 도시한 형상을 갖는 탄성부재를 제조하는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여 탄성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실시예가 단계별로 도시되어 있다. 도2의 (a)와 (b)를 참조하면, 탄성부재 제조 장치(20)는 중심부에 위치하는 고정부재(30)와, 고정부재(30)의 주위를 에워싸는 이동부재(40)를 구비한다. 이동부재(40)는 회전축선(100)을 중심으로 고정부재(3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이동부재(40)는 회전축선(100) 방향으로 고정부재(30)에 대하여 직선이동이 가능하다. 고정부재(30)는 원통형상으로서 회전축선(100)과 직각을 이루는 제1 면(32)과, 제1 면(32)으로부터 연장된 측면(34)을 구비한다. 제1 면(32)에는 회전축선(100)과 대체로 평행하게 세워진 원통형의 제1, 제2 고정기둥(36, 38)이 마련된다. 두 고정기둥(36, 38)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회전축선(100)은 두 고정기둥(36, 38) 사이의 중심을 지난다. 두 고정기둥(36, 38) 사이에는 직선의 선재(90)가 끼워지는 제1 틈(39)이 마련된다. 제1 틈(39)은 선재(90)가 미끄러져 지나갈 수 있도록 선재(90)의 굵기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두 고정기둥(36, 38)의 둥근 측면(361, 381)이 선재(90)와 접한다. 이동부재(40)는 고정부재(30)의 측면(34)을 감싼다.
이동부재(40)는 고정부재(30)의 제1 면(32)과 같은 방향을 향하며 회전축선(100)과 대체로 수직인 고리형상의 제2 면(42)을 구비한다. 제2 면(42)에는 회전축 선(100)과 대체로 평행하게 세워진 원통형의 굽힘기둥(44)이 마련된다. 굽힘기둥(44)은 원통형으로서 둥근 측면(441)이 선재(100)와 접하게 된다. 굽힘기둥(44)의 반경은 고정부재(30)의 두 고정기둥(36, 38)의 반경과 같거나 작다. 굽힘기둥(44)은 고정부재(30)의 두 고정기둥(36, 38)과 일직선 상에 놓일 때(도3 참조) 근접한 고정기둥(도3에서는 제1 고정기둥(36))과의 사이에 형성된 제2 틈(49)이 두 고정기둥(36, 38) 사이에 형성된 제1 틈(39)과 대체로 그 크기가 동일하도록 위치한다. 이동부재(40)는 외력에 의해 회전축선(100)을 중심으로 고정부재(3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이동부재(40)가 회전함에 따라 굽힘기둥(44)도 함께 회전축선(100)을 중심으로 고정부재(30)의 두 고정기둥(36, 38)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또한, 이동부재(40)는 회전축선(100)을 따라 고정부재(30)에 대하여 외력에 의해 직선이동이 가능하다. 직선이동에 의해 이동부재(40)의 굽힘기둥(44)은 고정부재(30)의 두 고정기둥(36, 38)에 대하여 도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위치(P1) 또는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위치(P2)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위치(P1)는 이동부재(40)의 굽힘기둥(44)에 고정부재(30)의 두 고정기둥(36, 38) 사이에 끼워진 선재(90)가 걸리도록 위로 올라와 위치이다. 제2 위치(P2)는 이동부재(40)의 굽힘기둥(44)에 고정부재(30)의 두 고정기둥(36, 38) 사이에 끼워진 선재(90)가 걸리지 않도록 아래로 내려가 있는 상태이다.
이제, 도2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도2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하여 도1에 도시된 형태의 탄성부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의 선재(90)를 고정부재(30)의 두 고정기둥(36, 38) 사이에 위치하도록 끼운 다. 선재(90)는 연장축선(110)을 따라 연장된다. 이때, 이동부재(40)의 굽힘기둥(44)은 제1 위치(P1)에 있다. 이 상태에서 도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40)를 고정부재(30)에 대하여 제1 회전방향(도면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동부재(40)가 회전함에 따라 굽힘기둥(44)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굽힘기둥(44)의 이동에 의해 선재(90)가 구부러지게 된다. 이동부재(40)는 굽힘기둥(44)이 고정부재(30)의 두 고정기둥(36, 38)과 일직선 상에 놓일 때까지 회전하여 도3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도3을 참조하면, 선재(90)는 평행한 제1, 제2 직선 연결부(91, 92)와, 두 직선 연결부(91, 92)를 연결하는 제1 곡선 연결부(93)를 구비한다. 제1 직선 연결부(91)는 제1 고정기둥(36)과 굽힘기둥(44) 사이에 형성된 제2 틈(49)으로부터 연장되며, 제2 직선 연결부(92)는 두 고정기둥(36, 38) 사이에 형성된 제1 틈(39)으로부터 연장된다. 이 상태에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40)를 고정부재(30)에 대하여 제2 회전방향(도면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굽힘기둥(44)을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직선 연결부(91)와 제2 직선 연결부(92)의 두 연장선(98, 99) 사이에 위치시킨다. 다음, 도5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40)를 고정부재(30)에 대하여 회전축선(100)을 따라 아래로 이동시켜 제2 위치(P2)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선재(90)를 이동부재(40)의 굽힘기둥(44)이 있는 쪽으로 연장축선(110)을 따라 일정거리(제조하고자 하는 탄성부재의 폭을 고려하여 결정)만큼 이동시키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6의 상태에서 이동부재(40)를 제1 위치(도2 (b)의 P1)에 위치시키면, 도7의 상태가 된다.
도7을 참조하면, 이동부재(40)의 굽힘기둥(44)이 선재(90)의 두 직선 연결부(91, 92)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40)를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동부재(40)가 회전함에 굽힘기둥(44)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굽힘기둥(44)의 이동에 의해 선재(90)의 제2 직선 연결부(92)가 구부러지게 된다. 이동부재(40)는 굽힘기둥(44)이 고정부재(36, 38)의 두 고정기둥(36, 38)과 일직선 상에 놓일 때까지 회전하여 도8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도8을 참조하면, 도7에 도시된 선재(90)의 제2 직선 연결부(92)는 제2a, 제2b 직선 연결부(921, 922)와, 제2a 직선 연결부(921)와 제2b 직선 연결부(922)를 연결하는 제2 곡선 연결부(94)로 변형된다. 제2a 직선 연결부(921)는 제2 고정기둥(38)과 굽힘기둥(44) 사이에 형성된 제2 틈(49)으로부터 연장되며, 제2b 직선 연결부(922)는 두 고정기둥(36, 38) 사이에 형성된 제1 틈(39)으로부터 연장된다. 이 상태에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40)를 고정부재(30)에 대하여 제1 회전방향(도면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굽힘기둥(44)을 제2a 직선 연결부(921)와 제2b 직선 연결부(922)의 두 연장선(9211, 9221) 사이에 위치시킨다. 다음,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40)를 고정부재(30)에 대하여 회전축선(도2 (b)의 100)을 따라 아래로 이동시켜 제2 위치(도2 (b)의 P2)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선재(90)를 이동부재(40)의 굽힘기둥(44)이 있는 쪽으로 연장축선(110)을 따라 일정거리만큼 이동시키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11의 상태에서 이동부재(40)를 제1 위치(도2 (b)의 P1)에 위치시키면, 도12의 상태가 된다. 도12를 참조하면, 이동부재(40)의 굽힘기둥(44)이 선재(90)의 제2a 직선 연결부(921)와 제2b 직선 연결부(922)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2로부터 도시된 단계를 반복하면 도1에 도시된 상태의 탄성부재를 얻을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3 내지 도23에는 도1에 도시한 형상을 갖는 탄성부재를 제조하는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여 탄성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의 다른 일실시예가 단계별로 도시되어 있다. 도13의 (a)와 (b)를 참조하면, 탄성부재 제조 장치(50)는 회전축선(100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통형의 몸체(60)와, 몸체(60)에 마련된 중심기둥(62) 및 굽힘기둥(64)을 구비한다. 몸체(60)는 회전축선(100)과 직각을 이루는 일단면(61)과, 일단면(61)으로부터 연장된 측면(63)을 구비한다. 중심기둥(62)과 굽힘기둥(64)은 몸체(60)의 일단면(61)에 각각 평행하게 회전축선(100)과 나란하게 세워진다. 두 기둥(62, 64)은 원통형이다. 굽힘기둥(64)의 반경은 중심기둥(62)의 반경과 같거나 그보다 작다. 중심기둥(62)은 회전축선(100) 상에 위치한다. 두 기둥(62, 64) 사이에는 직선의 선재(90a)가 끼워지는 틈(70)이 마련된다. 틈(70)은 선재(90a)가 미끄러져 지나갈 수 있도록 선재(90a)의 굵기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두 기둥(62, 64)의 둥근 측면(621, 641)이 선재(90a)와 접한다. 몸체(60)는 외력에 의해 회전축선(100)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몸체(60)가 회전함에 따라 굽힘기둥(64)은 중심기둥(6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제, 도13 내지 도23을 참조하여 도13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하여 도1에 도시된 형태의 탄성부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90a)를 몸체(60)의 두 기둥(62, 64) 사이에 위치하도록 끼운다. 이때, 선 재(90a)는 연장축선(110a)을 따라 연장된다. 이 상태에서 도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60)를 선재(90a)에 대하여 제1 회전방향(도면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몸체(60)가 회전함에 굽힘기둥(64)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굽힘기둥(64)의 이동에 의해 선재(90a)가 구부러지게 된다. 몸체(60)는 굽힘기둥(64)이 중심기둥(62)에 대하여 180도 회전하여 도14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도14를 참조하면, 선재(90a)는 평행한 제1, 제2 직선 연결부(91a, 92a)와, 두 직선 연결부(91a, 92a)를 연결하는 제1 곡선 연결부(93a)를 구비한다. 제1 직선 연결부(91a)는 중심기둥(62)과 굽힘기둥(64) 사이에 형성된 틈(70)으로부터 연장되며, 제2 직선 연결부(92a)는 중심기둥(6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다. 이 상태에서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90a)를 몸체(60)의 두 기둥(62, 64) 사이의 틈(70)으로부터 빼낸다. 이후, 도16 내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선재(90a)의 제2 직선 연결부(92a)를 두 기둥(62, 64) 사이의 틈(70)에 끼운다. 이 상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60)를 제2 회전방향(도면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몸체(60)가 회전함에 굽힘기둥(64)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굽힘기둥(64)의 이동에 의해 선재(90a)의 제2 직선 연결부(92a)가 구부러지게 된다. 몸체(60)는 굽힘기둥(64a)이 중심기둥(62a)에 대하여 180도 회전하여 도19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도19를 참조하면, 도18에 도시된 선재(90a)의 제2 직선 연결부(92a)는 제2a, 제2b 직선 연결부(921a, 922a)와, 제2a 직선 연결부(921a)와 제2b 직선 연결부(922a)를 연결하는 제2 곡선 연결부(94a)로 변형된다. 제2a 직선 연결부(921a)는 중심기둥(62)과 굽힘기둥(64) 사이에 형성된 틈(70)으로부터 연장되며, 제2b 직선 연결부(922a)는 중심기둥(6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다. 이 상태에서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90a)를 몸체(60)의 두 기둥(62, 64) 사이의 틈(70)으로부터 빼낸다. 선재(90a)가 점선으로 도시된 것은 선재(90a)가 몸체(60)의 두 기둥(62, 64)의 틈(70)으로부터 빠져 있음을 의미한다. 이후, 도21 내지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선재(90a)의 제2b 직선 연결부(922a)를 두 기둥(62, 64) 사이의 틈(70)에 끼운다. 이 상태에서 도13으로부터 도시된 단계를 반복하면 도1에 도시된 상태의 탄성부재를 얻을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을 따르면 앞에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통형상의 기둥의 회전에 의해 선재가 구부러져 탄성부재가 제조되므로 굽혀진 부분이 부드럽게 구부러져 피로한도 및 신뢰성에서 좋은 성능을 발휘한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 직선의 선재를 지그재그 형태로 구부려 다수의 직선 연결부와 상기 다수의 직선 연결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곡선 연결부를 구비하는 탄성부재를 제조하는 장치로서,원통형상의 서로 이격된 2개의 고정기둥을 구비하는 고정부재와,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두 고정기둥 주위를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굽힘기둥을 구비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며,상기 고정부재의 두 고정기둥 사이에는 상기 선재가 끼워지게 마련된 제1 틈이 형성되며,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굽힘기둥이 사전 설정된 양만큼 회전이동하여 위치한 후, 상기 회전축선 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한 탄성부재 제조장치.
- 제1항의 탄성부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 고정기둥의 반경은 동일한 탄성부재 제조장치.
- 제2항의 탄성부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굽힘기둥의 반경은 상기 두 고정기둥의 반경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탄성부재 제조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기재된 탄성부재 제조장치로 탄 성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직선의 선재를 제1 틈에 끼우고 연장축선을 따라 배치하는 단계와,굽힘기둥에 상기 선재가 걸리는 제1 위치에 상기 굽힘기둥이 위치하도록 이동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와,상기 이동부재를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선재를 굽혀 제2 틈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직선 연결부와 제1 틈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직선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굽힘기둥에 상기 선재가 걸리지 않는 제2 위치에 상기 굽힘기둥이 위치하도록 이동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와,상기 선재를 상기 연장축선을 따라 이동시키는 단계와,상기 굽힘기둥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와,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선재의 제2 직선 연결부를 굽혀 상기 제2 틈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a 직선 연결부와 상기 제1 틈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b 직선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성부재 제조방법.
- 제4항의 탄성부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굽힘기둥은 상기 직선 연결부들이 서로 평행하도록 회전하는 탄성부재 제조방법.
- 직선의 선재를 지그재그 형태로 구부려 다수의 직선 연결부와 상기 다수의 직선 연결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곡선 연결부를 구비하는 탄성부재를 제조하는 장치로서,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몸체와,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회전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중심기둥 및 굽힘기둥을 포함하며,상기 중심기둥은 상기 회전축선 상에 위치하며,상기 중심기둥과 굽힘기둥 사이에는 상기 선재가 끼워지고 미끄러지며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 틈이 형성된 탄성부재 제조장치.
- 제6항의 탄성부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굽힘기둥의 반경은 상기 중심기둥의 반경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탄성부재 제조장치.
- 제6항 또는 제7항에 기재된 탄성부재 제조장치로 탄성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직선의 선재를 틈에 끼우고 연장축선을 따라 배치하는 단계와,몸체를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선재를 굽혀 상기 틈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직선 연결부와 중심기둥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직선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선재를 상기 틈에서 빼내어 상기 연장축선을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직선 연결부를 상기 틈에 끼우는 단계와,상기 몸체를 상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2 직선 연결부를 굽혀 상기 틈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a 직선 연결부와 상기 중심기둥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b 직선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성부재의 제조방법.
- 제8항의 탄성부재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굽힘기둥은 상기 직선 연결부들이 서로 평행하도록 회전하는 탄성부재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5918A KR100678629B1 (ko) | 2005-11-07 | 2005-11-07 | 탄성부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장치를 이용한탄성부재의 제조방법 |
CNB2006101503588A CN100518987C (zh) | 2005-11-07 | 2006-10-30 | 弹性部件的制造装置及制造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5918A KR100678629B1 (ko) | 2005-11-07 | 2005-11-07 | 탄성부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장치를 이용한탄성부재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78629B1 true KR100678629B1 (ko) | 2007-02-06 |
Family
ID=38081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5918A KR100678629B1 (ko) | 2005-11-07 | 2005-11-07 | 탄성부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장치를 이용한탄성부재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678629B1 (ko) |
CN (1) | CN100518987C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139138A (zh) * | 2014-07-15 | 2014-11-12 | 中国南方航空工业(集团)有限公司 | 涡卷弹簧的成型方法及涡卷弹簧的成型装置 |
CN114260386A (zh) * | 2021-12-14 | 2022-04-01 | 海南电网有限责任公司儋州供电局 | 一种塔杆拉线回弯装置 |
CN114472628A (zh) * | 2021-12-20 | 2022-05-13 | 丹阳市龙鑫合金有限公司 | 一种用于抗振条棒材的快速折弯装置及其使用方法 |
KR20220063461A (ko) * | 2020-11-10 | 2022-05-17 | 삼성메카닉스 (주) | 그리드 커플링 성형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1015570B4 (de) * | 2011-03-30 | 2015-01-22 | Wafios Ag | Biegekopf zum Biegen stab- und rohrförmiger Werkstücke |
US9296034B2 (en) * | 2011-07-26 | 2016-03-29 | Medtronic Vascular,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wave form for a stent from a wire |
US10239111B2 (en) * | 2016-12-09 | 2019-03-26 |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 Feedback-based system for bending wire and forming springs |
CN108480520B (zh) * | 2018-03-12 | 2019-11-12 | 中山市森鹰电器有限公司 | 一种圆形发热丝自动成型机 |
CN110961558A (zh) * | 2019-12-23 | 2020-04-07 | 青岛大学 | 用于金属焊丝盘结构单元的制备装置 |
CN111266484A (zh) * | 2020-04-08 | 2020-06-12 | 昆山微容电子企业有限公司 | 一种用于线型引脚线制作的弯折装置 |
-
2005
- 2005-11-07 KR KR1020050105918A patent/KR10067862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
- 2006-10-30 CN CNB2006101503588A patent/CN100518987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139138A (zh) * | 2014-07-15 | 2014-11-12 | 中国南方航空工业(集团)有限公司 | 涡卷弹簧的成型方法及涡卷弹簧的成型装置 |
KR20220063461A (ko) * | 2020-11-10 | 2022-05-17 | 삼성메카닉스 (주) | 그리드 커플링 성형장치 |
KR102408221B1 (ko) | 2020-11-10 | 2022-06-13 | 삼성메카닉스 (주) | 그리드 커플링 성형장치 |
CN114260386A (zh) * | 2021-12-14 | 2022-04-01 | 海南电网有限责任公司儋州供电局 | 一种塔杆拉线回弯装置 |
CN114472628A (zh) * | 2021-12-20 | 2022-05-13 | 丹阳市龙鑫合金有限公司 | 一种用于抗振条棒材的快速折弯装置及其使用方法 |
CN114472628B (zh) * | 2021-12-20 | 2024-06-11 | 丹阳市龙鑫合金有限公司 | 一种用于抗振条棒材的快速折弯装置及其使用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0518987C (zh) | 2009-07-29 |
CN1962115A (zh) | 2007-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78629B1 (ko) | 탄성부재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장치를 이용한탄성부재의 제조방법 | |
EP3607413B1 (en) | Hinged device | |
KR101593042B1 (ko)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모듈 | |
JP2014192398A (ja) | 電子機器 | |
KR20080005087A (ko) | 토션 스프링, 탄성기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개폐장치와 휴대용 응용기기 | |
KR200350313Y1 (ko) | 슬라이드 방식 휴대폰용 슬라이딩 장치 | |
WO2009008655A2 (en) | Actuator and spring used therefor | |
JP2009141934A (ja) |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配線用ハーネス | |
CN118715495A (zh) | 具有柔性显示器的铰接式设备 | |
KR200439609Y1 (ko) |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 |
KR100692418B1 (ko) | 회전하여 펼쳐지고 접히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 및그 휴대장치에 사용되는 결합장치 | |
KR100765179B1 (ko) |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 |
JP7395058B2 (ja) | 折曲ユニット、ヒンジおよびフレキシブルモジュール折曲装置 | |
KR102317806B1 (ko) | 폴더블 힌지장치 | |
KR100781535B1 (ko) | 이통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 |
KR100964416B1 (ko) | 탄성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개폐장치와 휴대용응용기기 | |
JP2007013923A (ja) |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電話機 | |
KR100876552B1 (ko) | 휴대단말기용 탄성 레버기구 | |
KR200429779Y1 (ko) | 슬라이딩 휴대폰 나비모양스프링 | |
KR100663653B1 (ko) |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 |
KR20110062165A (ko) | 슬라이드업 기능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 | |
US8428250B2 (en) | Pivot braking structure of relative sliding device | |
KR100886947B1 (ko) |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 |
KR100970979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용 힌지모듈 | |
KR100840774B1 (ko) | 액츄에이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122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