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2165A - 슬라이드업 기능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업 기능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62165A KR20110062165A KR1020090118770A KR20090118770A KR20110062165A KR 20110062165 A KR20110062165 A KR 20110062165A KR 1020090118770 A KR1020090118770 A KR 1020090118770A KR 20090118770 A KR20090118770 A KR 20090118770A KR 20110062165 A KR20110062165 A KR 201100621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deformation
- fixed end
- deformation portion
- plane
- elast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25—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전자기기의 슬라이드업(Slide-up)을 위한 슬라이드업 기능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와이어 스프링은 제1 고정단부, 제2 고정단부, 제1 내지 제3 탄성변형부로 구성된다. 제1 고정단부는 제1 평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고정단부는 제1 고정단부와 간격을 두고 제1 평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탄성변형부는 수평력에 의하여 탄성변형하도록 제1 고정단부로부터 제2 고정단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제1 평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탄성변형부는 수평력에 의하여 탄성변형하도록 제2 고정단부로부터 제1 고정단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제1 평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3 탄성변형부는 제1 탄성변형부와 제2 탄성변형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제2 평면에 배치되어 있고 회전력에 의하여 제1 평면에 근접될 때 제1 탄성변형부와 제2 탄성변형부에 비틀림력이 축적되도록 제1 탄성변형부와 제2 탄성변형부에 연결되어 있고 제1 탄성변형부와 제2 탄성변형부가 제1 평면을 따라 이동될 때 탄성복원력을 보유하도록 탄성변형된다. 전자기기는 본체와 본체의 상부에 슬라이딩 및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고정단부는 본체에 고정되어 있고, 제3 탄성변형부는 디스플레이에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의 벤딩 구조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 등의 슬라이드업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탄성변형부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의 슬라이딩과 회전에 의한 기립 동작을 연동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 등의 본체 와 디스플레이 사이에 슬림형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와이어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전자기기의 슬라이드업(Slide-up)을 위한 슬라이드업 기능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은 하중을 부여하면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하였다가 하중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기계요소이다. 스프링은 용도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개발되어 있으며, 크게 선재로 만든 코일스프링(Coil spring)과 판재로 만든 판스프링(Plate spring)으로 구분되고 있다. 코일스프링은 압축 코일스프링, 인장 코일스프링, 원추 코일스프링,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세분되고 있다. 비틀림 코일스프링은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이라 부르고도 있다. 비틀림 스프링은 비틀림을 받아서 탄성변형되어 제1 부재에 대하여 제2 부재를 회전시키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자기기의 일례로 사용자가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디에이비/디엠비(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휴대용 수신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전자책(Electronic book), 전자수첩(Electronic scheduler) 등 매우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일례로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더(Slider)를 슬라이딩(Sliding)시켜 여닫는 구조가 개발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와 디스플레이는 본체에 대하여 경사지게 세워서 사용할 수 있는 슬라이드업 타입(Slide-up type)이 개발되어 있다.
슬라이드업 휴대 단말기는 한국등록특허 제10-0675734호, 제10-0675721호와 제10-0917435호 등 많은 특허 문헌들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들은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더 또는 디스플레이를 회전에 의하여 세워주기 위하여 많은 수의 부품들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단가가 비싼 문제가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의 회전을 위하여 비틀림 스프링을 축에 장착하는 구조는 비틀림 스프링의 코일 외경과 암(Arm) 길이에 의하여 휴대 단말기의 두께를 얇게 제작하기 매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의 벤딩 구조에 의하여 전자기기 등의 슬라이드업에 사용할 수 있는 슬 라이드업 기능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전자기기 등의 본체와 디스플레이 사이에 슬림형으로 설치할 수 있는 슬라이드업 기능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제1 평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고정단부와; 제1 고정단부와 간격을 두고 제1 평면에 배치되어 있는 제2 고정단부와; 수평력에 의하여 탄성변형하도록 제1 고정단부로부터 제2 고정단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제1 평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탄성변형부와; 수평력에 의하여 탄성변형하도록 제2 고정단부로부터 제1 고정단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제1 평면에 배치되어 있는 제2 탄성변형부와; 제1 탄성변형부와 제2 탄성변형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제2 평면에 배치되어 있고, 회전력에 의하여 제1 평면에 근접될 때 제1 탄성변형부와 제2 탄성변형부에 비틀림력이 축적되도록 제1 탄성변형부와 제2 탄성변형부에 연결되어 있고, 제1 탄성변형부와 제2 탄성변형부가 제1 평면을 따라 이동될 때 탄성복원력을 보유하도록 탄성변형되는 제3 탄성변형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업 기능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본체와; 본체의 상부에 슬라이딩 및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와;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제1 고정단부와, 본체의 타측에 고정되어 있는 제2 고정단부와, 디스플레이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탄성변형하도록 제1 고정단부로부터 제2 고정단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제1 탄성변 형부와, 디스플레이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탄성변형하도록 제2 고정단부로부터 제1 고정단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제2 탄성변형부와, 제1 탄성변형부와 제2 탄성변형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1 탄성변형부와 제2 탄성변형부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에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력에 의하여 제1 탄성변형부와 제2 탄성변형부를 향하여 탄성변형되는 제3 탄성변형부를 갖는 와이어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기능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는 와이어의 벤딩 구조에 의하여 전자기기 등의 슬라이드업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탄성변형부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의 슬라이딩과 회전에 의한 기립 동작을 연동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전자기기 등의 본체와 디스플레이 사이에 슬림형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기능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스프링(10)이 일례로 전자기기(100)에 적용되어 있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전자기기(100)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상부에 슬라이딩 및 기립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120)를 갖는다. 본체(110)의 상면 양측에 제1 보스(Boss: 122)와 제2 보스(1264)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본체(110)에 대하여 힌지장치(130)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힌지장치(130)는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긴 구멍(132)과, 긴 구멍(132)을 따라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120)에 형성되어 있는 축(134)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전자기기(100)는 본체(110)에 대하여 디스플레이(120)가 회전하는 것을 구속하는 잠금장치(Locking device: 140)를 구비한다. 잠금장치(140)는 잠금구멍(142)과 잠금돌기(144)로 구성되어 있다. 잠금구멍(142)은 본체(110)의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잠금돌기(144)는 잠금구멍(142)에 끼울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20)의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잠금돌기(144)가 잠금구멍(142)에 끼워져 있으면, 디스플레이(120)는 힌지장치(130)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못한다. 잠금돌기(144)가 잠금구멍(142)으로부터 빠져 있으면, 디스플레이(120)는 힌지장치(13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본체(110)의 상부에 세워진다.
전자기기(100)는 셀룰러폰, 피씨에스폰, 피디에이, 디에이비/디엠비 휴대용 수신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랩탑 컴퓨터, 전자책, 전자수첩 등 매우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셀룰러폰, 피씨에스폰 등의 슬라이더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스프링(10)은 제1 부재에 대하여 제2 부재의 슬라이딩과 회전을 위하여 탄성복원력을 부여하도록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기능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10)은 가는 와이어를 벤딩에 의하여 만든다. 와이어 스프링(10)은 제1 평면(30)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제1 고정단부(12)와 제2 고정단부(14)를 갖는다. 제1 탄성변형부(16)가 제1 고정단부(12)로부터 제2 고정단부(14)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제2 탄성변형부(18)가 제2 고정단부(14)로부터 제1 고정단부(12)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1 탄성변형부(16)와 제2 탄성변형부(18) 각각은 수평력, 즉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120)가 슬라이딩될 때 작용되는 힘에 의하여 탄성변형된다.
제3 탄성변형부(20)는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16, 18)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16, 18)로부터 연장되어 제1 평면(30)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제2 평면(32)에 배치되어 있다. 제3 탄성변형부(20)는 제1 탄성변형부(16)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 제1 연장부(20a)와, 제2 탄성변형부(18)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 제2 연장부(20b)와, 제1 연장부(20a)와 제2 연장부(20b)를 연결하는 둥근연결부(20c)로 구성되어 있다. 제3 탄성변형부(20)는 제1 연장부(20a), 제2 연장부(20b)와 둥근연결부(20c)에 의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대략 역"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연장부(20a, 20b)는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16, 18)가 제1 평면(30)을 따라 이동될 때 탄성복원력을 보 유하도록 탄성변형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3 탄성변형부(20)는 초기 상태의 제1 위치(P1)에서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16)로부터 경사지게 세워져 있다. 제1 탄성변형부(16), 제2 탄성변형부(18)와 제3 탄성변형부(20)는 디스플레이(120)에 내장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20)의 초기 위치, 즉 잠금돌기(144)가 잠금구멍(142)에 끼워져 디스플레이(120)가 본체(110)에 중첩되어 있는 위치에서 제3 탄성변형부(20)는 제2 위치(P2)에 배치된다. 제3 탄성변형부(20)가 제2 위치(P2), 즉 제2 평면(32)에 배치되면,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16, 18) 각각에 비틀림력(Torsion force)이 축적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탄성변형부(16)와 제2 탄성변형부(18)가 그 초기 위치의 제3 위치(P3)에서 제3 탄성변형부(20)와 이루는 제1 각도(θ1)는 예각으로 형성된다. 제3 탄성변형부(20)가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16, 18)의 비틀림력에 의하여 회전을 시작하는 회전 시작 위치의 제4 위치(P4)에서 제1 탄성변형부(16)와 제2 탄성변형부(18)가 제3 탄성변형부(20)와 이루는 제2 각도(θ2)는 둔각으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고정단부(12)는 제1 탄성변형부(16)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반원형 감김부(12a)를 갖는다. 제2 고정단부(14)는 제2 탄성변형부(18)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반원형 감김부(14a)를 갖는다. 제1 및 제2 반원형 감김부(12a, 14a) 각각은 제1 및 제2 보스(16a, 16b)에 감아 걸린다. 따라서 제1 및 제2 고정단부(12, 14)는 본체(110)에 고정된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업 기능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에 대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잠금돌기(144)가 잠금구멍(142)에 끼워져 있는 디스플레이(120)의 초기 위치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디스플레이(120)를 밀면, 디스플레이(120)는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잠금돌기(144)는 잠금구멍(142) 밖으로 빠져나와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잠금장치(14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디스플레이(120)는 힌지장치(13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디스플레이(120)의 회전이 시작되는 회전 시작 위치에서 제3 탄성변형부(20)의 제1 및 제2 연장부(20a, 20b)는 탄성변형에 의하여 탄성복원력을 보유한다.
도 2와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120)의 구속이 해제되면, 탄성변형부(20)는 그 탄성복원력과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16, 18)의 비틀림력에 의하여 초기 위치로 복원되고, 디스플레이(120)는 힌지장치(13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본체(110)의 상방으로 경사지게 세워진다. 사용자는 본체(110)의 상방으로 세워져 있는 디스플레이(120)를 편안한 자세로 볼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세워져 있는 디스플레이(120)를 누르면, 디스플레이(120)는 회전력을 부여받아 힌지장치(130)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디스플레이(120)를 누르는 힘에 의하여 탄성변형부(20)가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16, 18)를 향하여 눕혀지고, 제1 및 제2 탄성변형부(16, 18)는 비틀림력을 보유하게 된다. 디스플레이(120)의 회전이 멈춰지면, 잠금구멍(142)의 전방에 잠금돌기(144)가 정렬된다.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세워져 있는 디스플레이(120)를 초기 위치로 밀면, 디스플레이(120)는 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제4 위치(P4)에서 제3 위치(P3)로 복귀되는 제3 탄성변형부(20)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디스플레이(120)의 슬라이딩을 보조한다. 디스플레이(120)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면, 잠금돌기(144)는 잠금구멍(132)에 끼워진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20)는 힌지장치(130)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못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스프링이 적용되어 있는 전자기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스프링이 적용되어 있는 전자기기에서 디스플레이가 세워져 있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스프링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스프링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스프링이 적용되어 있는 전자기기에서 디스플레이가 초기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스프링이 적용되어 있는 전자기기에서 디스플레이가 슬라이딩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스프링이 적용되어 있는 전자기기에서 디스플레이가 세워져 있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와이어 스프링 12: 제1 고정단부
14: 제2 고정단부 16: 제1 탄성변형부
18: 제2 탄성변형부 20: 제3 탄성변형부
100: 전자기기 110: 본체
120: 디스플레이 130: 힌지장치
Claims (8)
- 제1 평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고정단부와;상기 제1 고정단부와 간격을 두고 상기 제1 평면에 배치되어 있는 제2 고정단부와;수평력에 의하여 탄성변형하도록 상기 제1 고정단부로부터 상기 제2 고정단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1 평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탄성변형부와;수평력에 의하여 탄성변형하도록 상기 제2 고정단부로부터 상기 제1 고정단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평면에 배치되어 있는 제2 탄성변형부와;상기 제1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2 탄성변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평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제2 평면에 배치되어 있고,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평면에 근접될 때 상기 제1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2 탄성변형부에 비틀림력이 축적되도록 상기 제1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2 탄성변형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2 탄성변형부가 상기 제1 평면을 따라 이동될 때 탄성복원력을 보유하도록 탄성변형되는 제3 탄성변형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업 기능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탄성변형부는,상기 제1 탄성변형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 제1 연장부와;상기 제2 탄성변형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 제2 연장부와;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를 연결하는 둥근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업 기능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2 탄성변형부가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3 탄성변형부와 이루는 제1 각도는 예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2 탄성변형부가 서로에 대하여 정렬됨과 동시에 상기 제3 탄성변형부가 회전력을 받을 때 상기 제1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2 탄성변형부가 상기 제3 탄성변형부와 이루는 제2 각도는 둔각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업 기능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단부는 상기 제1 탄성변형부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반원형 감김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고정단부는 상기 제2 탄성변형부에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반원형 감김부를 갖는 슬라이드업 기능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
- 본체와;상기 본체의 상부에 슬라이딩 및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와;상기 본체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제1 고정단부와, 상기 본체의 타측에 고정되어 있는 제2 고정단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탄성변형하도 록 상기 제1 고정단부로부터 상기 제2 고정단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제1 탄성변형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탄성변형하도록 상기 제2 고정단부로부터 상기 제1 고정단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제2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1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2 탄성변형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2 탄성변형부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제1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2 탄성변형부를 향하여 탄성변형되는 제3 탄성변형부를 갖는 와이어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탄성변형부는,상기 제1 탄성변형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 제1 연장부와;상기 제2 탄성변형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 제2 연장부와;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를 연결하는 둥근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전자기기.
-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제1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2 탄성변형부가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3 탄성변형부와 이루는 제1 각도는 예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제3 탄성변형부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회전을 시작하는 회전 시작 위치에서 상기 제1 탄성변형부와 상기 제2 탄성변형부가 상기 제3 탄성변형부와 이루는 제2 각도는 둔각으로 형성되는 전자기기.
-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단부는 상기 제1 탄성변형부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반원형 감김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고정단부는 상기 제2 탄성변형부에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반원형 감김부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일측과 타측에 제1 보스와 제2 보스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반원형 감김부와 상기 제2 반원형 감김부 각각은 상기 제1 보스와 상기 제2 보스에 감아 걸려 있는 전자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8770A KR20110062165A (ko) | 2009-12-02 | 2009-12-02 | 슬라이드업 기능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8770A KR20110062165A (ko) | 2009-12-02 | 2009-12-02 | 슬라이드업 기능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2165A true KR20110062165A (ko) | 2011-06-10 |
Family
ID=4439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8770A KR20110062165A (ko) | 2009-12-02 | 2009-12-02 | 슬라이드업 기능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62165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617545A1 (en) * | 2018-08-30 | 2020-03-04 | Koninklijke Philips N.V. | Vibration reducing mounting |
US11466739B2 (en) * | 2017-08-01 | 2022-10-11 | Zf Active Safety Gmbh | Brake calliper arrangement having lining restoring function |
-
2009
- 2009-12-02 KR KR1020090118770A patent/KR20110062165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66739B2 (en) * | 2017-08-01 | 2022-10-11 | Zf Active Safety Gmbh | Brake calliper arrangement having lining restoring function |
EP3617545A1 (en) * | 2018-08-30 | 2020-03-04 | Koninklijke Philips N.V. | Vibration reducing mounting |
WO2020043808A1 (en) * | 2018-08-30 | 2020-03-05 | Koninklijke Philips N.V. | Vibration reducing mount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93314Y1 (ko) | 휴대용 단말기 및 pc 장치용 스탠드 | |
KR101593042B1 (ko)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모듈 | |
CN101605439B (zh) | 滑动机构 | |
EP2508961A1 (en) | Fold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double-axis hinge and locking spring | |
EP1919171A2 (en) | Spring,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using the same and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 |
CN100571290C (zh) | 电子设备 | |
EP4198681A1 (en) |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 |
US7945299B2 (en) | Multiple torsion spring and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using the same | |
CN101854407B (zh) | 信息终端装置 | |
KR20110062165A (ko) | 슬라이드업 기능을 갖는 와이어 스프링 및 이것을 구비한 전자기기 | |
EP2482528A2 (en) | Cradling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US8255021B2 (en) | Rota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 |
KR100796944B1 (ko) | 태엽 형태로 양방향으로 감긴 일체형 스프링을 이용한 탄성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장치 | |
EP2040442A1 (en) | Portable device having a semi-automatic sliding cover mechanism | |
KR100998879B1 (ko) | 힌지 모듈 | |
KR100807722B1 (ko) | 슬라이드 힌지 | |
KR200450178Y1 (ko) |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힌지장치 | |
US8547700B2 (en) | Sliding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 |
JP5733311B2 (ja) | 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機器 | |
KR100967232B1 (ko) |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힌지 장치 | |
WO2009072701A1 (en) | Elasticity lever mechanism for mobile phone and slid type cover opening and shutting device using the same | |
KR101004409B1 (ko) |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 제작 방법 | |
JP6223510B1 (ja) | 携帯用端末機のケース | |
KR101045338B1 (ko) |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 |
KR100967123B1 (ko) | 슬라이드 개폐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