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418B1 - 회전하여 펼쳐지고 접히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 및그 휴대장치에 사용되는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하여 펼쳐지고 접히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 및그 휴대장치에 사용되는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418B1
KR100692418B1 KR1020050129564A KR20050129564A KR100692418B1 KR 100692418 B1 KR100692418 B1 KR 100692418B1 KR 1020050129564 A KR1020050129564 A KR 1020050129564A KR 20050129564 A KR20050129564 A KR 20050129564A KR 100692418 B1 KR100692418 B1 KR 100692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upport
coupling device
rotation axi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4862A (ko
Inventor
한영수
강종웅
조승희
Original Assignee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74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4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7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arallel to the piv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0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non-parallel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펼쳐지고 접히는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에서 상기 두 유닛을 결합해주는 결합장치로서, 상기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며 접고 펼쳐지도록 결합된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와, 상기 두 유닛이 접혔을 때 서로 마주보게 되는 면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인 제2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지지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제1 지지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유닛과는 상기 제2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제1 회전부재와, 상기 두 유닛이 접혔을 때 서로 마주보게 되는 면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인 제3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지지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제2 지지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유닛과는 상기 제3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결합장치가 제공된다.
휴대전화기, 제1 유닛, 제2 유닛, 결합장치, 힌지장치, 회전부재

Description

회전하여 펼쳐지고 접히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 및 그 휴대장치에 사용되는 결합장치 {PORTABLE DEVICE HAVING TWO UNITS BEING FOLDED OR UNFOLDED BY ROTATION AND COUPLING DEVICE FOR USE IN THE SAME}
도1의 (a)와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결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한 결합장치의 평면도
도4는 도3에 도시한 결합장치를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5의 (a), (b) 및 (c)는 도2에 도시한 힌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6은 도2에 도시한 힌지장치의 단면도
도7의 (a) 내지 (d)는 도1의 힌지장치의 캠면을 전개하여 캠종동돌기와 함께 도시한 도면으로서, 힌지장치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8의 (a) 내지 (f)는 도1에 도시한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9의 (a) 내지 (c)는 도3에 도시한 결합장치의 제1 몸체에서 제1 회전부재의 상태를 회전단계별로 도시한 도면
도10의 (a)와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11은 도10에 도시한 회전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12는 도10에 도시한 폴더형 휴대전화기가 조립된 상태의 평면도
도13의 (a) 내지 (c)는 도12에 도시한 폴더형 휴대전화기에서 결합장치가 P1에 위치할 경우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14의 (a)와 (b)는 도12에 도시한 폴더형 휴대전화기에서 결합장치가 P2에 위치할 경우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15의 (a) 내지 (c)는 도11에 도시한 회전힌지를 작동단계별로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제1 유닛 9 : 제2 유닛
10 : 결합장치 20 : 힌지부재
200 : 제1 지지체 220 : 걸림홈
300 : 제2 지지체 400 : 제1 회전부재
500 : 제2 회전부재 550, 650 : 걸림부재
560 : 탄성부재
본 발명은 서로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장치(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PDA, 휴대용 컴퓨터 등)에서 상기 두 유닛을 연결하는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더형 휴대전화기와 같은 휴대장치는 힌지장치로 결합된 두 개의 케이스유닛을 구비한다. 한쪽 유닛에는 버튼이 마련되는 키패드가 구비되며, 다른 쪽 유닛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보통이다. 전화기를 사용할 때에는 키패드와 액정 디스플레이가 노출되도록 펼쳐서 사용한다. 힌지장치는 이 두 케이스유닛 사이를 결합해줌과 동시에 두 유닛을 원활하게 접고 펼 수 있도록 한다.
통상의 힌지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힌지장치는 회전부재와, 직선이동부재와, 탄성부재와, 하우징을 구비한다. 하우징은 회전부재와, 직선이동부재와, 탄성부재를 수용한다. 회전부재는 하우징 내에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회전축을 포함하는 일부분이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결합부를 형성한다. 직선이동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접하되, 하우징 내에서 회전하지 않으며 하우징의 회전축을 따라 직선운동한다. 탄성부재는 하우징 내에서 상기 직선이동부재와 회전부재가 서로 밀착하도록 힘을 가한다. 이때, 직선이동부재와 회전부재가 접하는 면을 적절히 성형하여, 회전부재가 일부 구간에서는 외력이 없이도 쉽게 회전하고, 정해진 위치에서는 정지된 상태를 잘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힌지장치에 연결하고자 하는 휴대 전화기의 두 케이스유닛 중 하나는 하우징에 고정하고 다른 하나는 회전부재의 결합부에 고정한다. 이렇게 연결된 두 유닛은 힌지장치의 작용에 의해 펼쳐진 상태 또는 닫힌 상태에서는 휴대 전화기의 두 유닛은 서로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펼쳐진 상태 또는 닫힌 상 태에서 두 부재를 닫거나 펼치기 위해서는 처음에 손으로 두 부재에 외력을 가해야 한다. 그 이후의 구간에서는 두 유닛이 자동으로 닫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방향으로 접고 펼칠 수 있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 및 그 휴대장치의 두 유닛을 결합해주는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고 펼칠 수 있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에서 두 유닛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두 유닛을 결합해주는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정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휴대장치에서 액정디스플레이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휴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펼쳐지고 접히는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에서 상기 두 유닛을 결합해주는 결합장치로서,
상기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며 접고 펼쳐지도록 결합된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와,
상기 두 유닛이 접혔을 때 서로 마주보게 되는 면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인 제2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지지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제1 지지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유닛과는 상기 제2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제1 회전부재와,
상기 두 유닛이 접혔을 때 서로 마주보게 되는 면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인 제3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지지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제2 지지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유닛과는 상기 제3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결합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가 상기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하도록 두 지지체를 연결하는 힌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유닛과 함께 회전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유닛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1 회전축선을 따라 직선이동이 가능한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를 접촉시키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는 캠면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캠면과 상호작용하는 캠종동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면은 정상을 포함하는 제1 산부와 상기 정상보다 높게 위치하는 다른 정상을 포함하는 제2 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산부의 정상부를 포함하는 구간의 캠프로파일과 상기 제2 산부의 캠프로파일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캠종동부는 상기 제1 산부와 상호작용하는 제1 캠종동돌기와 상기 제2 산부와 상호작용하는 제2 캠종동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산부 제2 산부는 각 정상의 양측으로 내려오는 두 개의 경사면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산부와 제2 산부 사이에는 상기 제1 캠종동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산부의 경사면의 끝단과 상기 삽입홈 사이의 구간은 180도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산부는 두 경사면 중 하나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일정한 위치에서 유지하게 하는 수평면을 각각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제2 연결부재와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제1 지지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 회전축선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를 미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다른 하나는 상기 걸림부재가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홈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걸림홈 쪽으로 밀며, 상기 제2 회전부재와 제2 지지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3 회전축선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를 미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다른 하나는 상기 걸림부재가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홈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걸림홈 쪽으로 밀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둘 이상이며, 인접한 두 걸림홈은 90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와는 상기 제2 회전축선 또는 제3 회 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지지체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부재가 제1 회전위치 또는 제2 회전위치에 위치할 때 각각 다른 회전위치 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방향의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위치와 제2 회전위치 사이에 제3 회전위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위치가 상기 제1 회전위치와 제3 회전위치 사이일 때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제1 회전위치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위치가 상기 제3 회전위치와 제2 회전위치 사이일 때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제2 회전위치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선재이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와 접하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를 변형시키는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두 개가 서로 선대칭이 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접촉부에 의해 상기 두 탄성부재는 서로 벌어지거나 좁혀질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접촉부와 접하는 곡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 탄성부재의 곡선부는 중심부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 고정부재 및 탄성부재는 하나의 회전힌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유닛과,
제2 유닛과,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접고 펼칠 수 있도록 두 유닛을 결합시키는 상기 결합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휴대전화기(5)는 액정디스플레이가 마련되는 제1 유닛(7)과, 키패드(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되는 제2 유닛(9)을 구비한다. 제1 유닛(7)과 제2 유닛(9)은 접고 펼칠 수 있도록 결합장치(10)에 의해 결합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결합장치(10)는 제1 지지체(200)와, 제2 지지체(300)와, 제1 회전부재(400)와, 제2 회전부재(500)와, 힌지장치(20)를 구비한다. 제1 지지체(200)와 제2 지지체(300)는 힌지장치(20)에 의해 제1 회전축선(100)을 중심으로 상대회전하도록 연결된다. 제1 지지체(200)의 결합구멍(201)에는 힌지장치(20)의 후술하는 결합부(22)가 삽입된다. 제2 지지체(300)의 장착구멍(301)에 힌지장치(20)의 후술하는 하우징(30)이 삽입된다. 결합구멍(201)의 형상은 결합부(22)의 형상과 대체로 일치하며, 그 크기는 결합부(22)가 꼭 맞게 끼워지도록 정해져 제1 지지체(200)와 결합부(22)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장착구멍(301)의 형상도 하우징(30)의 형상과 대체로 일치하며 그 크기는 하우징(30)이 꼭 맞게 끼워지도록 정해져 제2 지지체(300)와 하우징(30)이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제1 지지체(200)와 제2 지지체(300)는 제1 회전축선(100)에 대하여 대체로 대칭인 형상으로서, 각각 제1 회전부재(400)와 제2 회전부재(500)가 수용되도록 안쪽으로 파여서 형성된 원형의 제1 수용부(600)와 제2 수용부(700)를 구비한다. 제1 수용부(600)와 제2 수용부(700)의 중심부에는 각각 제2 회전축선(110)과 제3 회전축선(120)을 따라 세워진 제1 결합기둥(210)과 제2 결합기둥(310)이 마련된다. 두 결합기둥(210)의 끝부분 외주에는 고리형 홈(211, 311)이 형성된다. 이 고리형 홈(211, 311)에 후술하는 결합링(490, 590)이 각각 끼워진다. 제2 회전축선(100)은 휴대전화기(5)가 완전히 접혔을 때 제1 유닛(7)이 제2 유닛(9)과 마주보는 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3 회전축선(120)은 휴대전화기(5)가 완전히 접혔을 때 제2 유닛(9)이 제1 유닛(7)과 마주보는 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수용부(600)와 제2 수용부(700)의 내측벽(610, 710)에는 각각 90도 간격으로 형성된 걸림홈(220, 320)이 마련된다. 이 수용홈(220, 320)에 후술하는 걸림부재(550, 650)가 끼워져 걸릴 수 있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제1 회전부재(400)는 링형상으로서 제1 지지체(200)의 수용부(600) 수용되어 제2 회전축선(11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1 회전부재(400)의 외주면은 수용부(600)의 내측벽(610)과 마주본다. 제1 회전부재(400)의 외주면에는 180도 간격으로 위치하며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용구멍(420)이 마련된다. 이 구멍(420)에 압축코일스프링인 탄성부재(560)와 구형의 걸림부재 (550)가 각각 차례대로 삽입된다. 걸림부재(550)는 탄성부재(560)의 작용에 의해 제2 회전축선(110)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받는다. 걸림부재(550)가 수용부(600)의 걸림홈(220)에 걸릴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빠질 수 있다. 결합기둥(210)에 끼워지는 와셔(450)와 결합기둥(210)에 결합되는 결합링(490)에 의해 제1 회전부재(400)는 제1 지지체(200)의 수용부(600)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제1 회전부재(400)는 휴대전화기(5)의 제1 유닛(7)과 함께 제2 회전축선(11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제2 회전부재(500)의 구성은 제1 회전부재(4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회전부재(500)는 휴대전화기(5)의 제2 유닛(9)과 함께 제3 회전축선(12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결합장치(10)는 휴대전화기(5)의 접혀지는 안쪽에 결합된다.
도5와 도6을 참조하면, 힌지장치(20)는 하우징(30)과, 제1 연결부재(40)와, 제2 연결부재(60)와, 탄성부재(80)와, 안내막대(90)를 구비한다. 하우징(30)은 길다란 통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30)의 길이방향 중심선이 제1 회전축선(100)이 된다. 하우징(30)은 일단부에 형성되는 단부벽(32)과, 단부벽(32)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측벽(34)을 구비한다. 상기 단부벽(32)의 반대편은 개방되어있다. 단부벽(32)의 중심부에는 관통구멍(33)이 마련된다. 이 관통구멍(33)의 통해 후술하는 안내막대(90)의 끝단이 돌출되어 E-링(99)에 의해 결합된다. 하우징(30)은 제2 지지체(300)와 제1 회전축선(100)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계속해서 도5와 도6을 참조하면, 제1 연결부재(40)는 결합부(22)와, 결합부(22)로부터 연장된 제1, 제2 캠종동돌기(42, 46)를 구비한다. 결합부(22)는 대체로 모서리를 모따기한 높이가 낮은 사각기둥 형상으로서, 회전축선(100)을 따라 중심을 관통하는 통로구멍(23)이 마련된다. 이 통로구멍(23)으로 후술하는 안내막대(90)가 지나간다. 통로구멍(23)의 입구 쪽은 후술하는 안내막대(90)의 머리(92)가 수용되도록 확장되어 수용부(231)를 형성한다. 제1 캠종동돌기(42)와 제2 캠종동돌기(46)는 각각 결합부(22)의 뒤편에 회전축선(100)을 가운데에 두고 직경방향 양쪽에 마련된다. 제1, 제2 캠종동돌기(42, 46)는 회전축선(100)과 평행인 방향으로 후술하는 제2 연결부재(60)의 캠면(64)을 향하여 연장된다. 제1, 제2 캠종동돌기(42, 46)는 그 끝 쪽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줄어들도록 경사지며 끝단은 둥글게 처리된다. 제1 캠종동돌기(42)의 끝단과 제2 캠종동돌기(46)의 끝단이 후술하는 제2 연결부재(60)의 캠면(64)의 제1 산부(70) 및 제2 산부(74)와 각각 상호작용한다. 제1 캠종동돌기(42)의 끝단이 제2 캠종동돌기(46)의 끝단보다 제2 연결부재(60) 쪽 방향으로 더 멀리 위치하도록 제1 캠종동돌기(42)가 제2 캠종동돌기(46)보다 제2 연결부재(60) 쪽으로 더 길게(결합부(22)로부터 더 높게) 연장된다. 제1 캠종동돌기(42)와 제2 캠종동돌기(46)는 회전축선(100)을 기준으로 서로 180도를 이루며 위치한다. 제1 연결부재(40)는 하우징(30)의 개방된 단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결합부(22)는 하우징(30) 밖으로 돌출되고 제1, 제2 캠종동돌기(42, 46) 부분은 하우징(30) 내부에 수용된다. 제1 연결부재(40)는 안내막대(90)에 의해 회전축선(100)을 중심으로 하우징(30)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5와 도6을 참조하면, 제2 연결부재(60)는 측벽(62)과, 캠종동부재(40)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캠면(64)과, 캠면(64)의 반대편에 중심부로부터 연 장되어 형성된 원통형의 보스(66)를 구비한다. 제2 연결부재(60)에는 회전축선(100)을 따라 캠면(64)으로부터 보스(66)를 관통하는 관통구멍(68)이 마련된다. 관통구멍(68)으로 안내결합막대(90)가 지나간다. 제2 연결부재(60)는 하우징(30) 내부에 끼워져 회전축선(100)을 따라 직선운동은 가능하되 회전운동은 안 된다. 캠면(64)은 제1 연결부재(40) 쪽에서 바라보았을 때 회전축선(10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차례대로 마련되는 제1 산부(70)와, 제1 골부(72)와, 제2 산부(74)와, 제2 골부(76)를 구비한다. 캠면(64)을 전개하여 도시한 도7을 함께 참조하면, 제1 산부(70)의 구간이 제2 산부(74)의 구간보다 길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산부(70)가 마련되는 제1 골부(72)와 제2 골부(76) 사이의 구간은 회전축선(100)을 기준으로 180도보다 크게 형성되며, 제2 산부(74)가 마련되는 제1 골부(70)와 제2 골부(76) 사이의 구간은 회전축선(100)을 기준으로 180도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5와 도7을 참조하면, 제1 산부(70)는 제1 연결부재(40) 쪽에서 바라보았을 때 회전축선(10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차례대로 마련되는 올라가는 제1 경사부(701)와, 정상(702)과, 내려가는 제2 경사부(703)와, 수평면(704)을 구비한다. 제2 산부(74)는 제1 연결부재(40) 쪽에서 바라보았을 때 회전축선(100)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차례대로 마련되는 올라가는 제1 경사부(741)와, 정상(742)과, 내려가는 제2 경사부(743)와, 수평면(744)을 구비한다. 제2 산부(74)의 형상(프로파일)은 정상(702)을 포함하는 제1 산부(70)의 일부구간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제2 산부(74)의 정상에서 내려오는 제1 경사부(741)는 제1 산부(70)의 정상에서 내려오는 제1 경사부(701)의 부분과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며, 그 연장길이가 제1 산부(70)의 제1 경사부(701)보다 짧다. 마찬가지로 제2 산부(74)의 정상에서 내려오는 제2 경사부(743)는 제1 산부(70)의 정상에서 내려오는 제2 경사부(703)와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며, 그 연장길이 또한 같다. 제2 산부(74)의 정상(742)은 제1 산부(702)의 정상(702)보다 제1 연결부재(40) 쪽으로 더 멀리 위치하는데, 그 높이차이는 제1 연결부재(40)의 제1 캠종동돌기(42)와 제2 캠종동돌기(46) 사이의 높이차이와 같다. 결국, 제2 산부(74)는 제1 산부(70)의 양쪽 끝의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그대로 융기되어 형성된 형상이 된다. 제1 산부(70)의 정상(702)과 제2 산부(74)의 정상(742)은 회전축선(100)을 기준으로 서로 180도를 이루며 즉 직경방향으로 위치한다.
제2 연결부재(60)는 하우징(30)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삽입된다. 이때, 캠면(64)은 제1 연결부재(40)의 제1, 제2 캠종동돌기(42, 46)를 향한다. 대체로 제2 연결부재(60)는 하우징(30) 내부에 맞게 삽입되어, 하우징(30) 내에서 회전축선(100) 방향으로 직선운동은 가능하나 회전은 제한된다.
도5와 도6을 참조하면, 탄성부재(80)는 제2 연결부재(60)를 제1 연결부재(40) 쪽으로 민다. 탄성부재(80)는 압축 코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80)의 일측 안으로 캠부재(60)의 보스(60)가 들어간다.
안내결합막대(90)는 머리(92)와, 머리(92)로부터 회전축선(100)을 따라 길게 연장된 원통형의 몸통(94)을 구비한다. 몸통(94)의 끝 부분에는 고리형의 결합홈(941)이 마련된다. 머리(92)는 캠종동부재(40)의 통로구멍(23) 입구 쪽에 마련된 수용부(231)에 수용된다. 몸통(94)은 캠종동부재(40)의 통로구멍(23)과 캠부재(60) 의 관통구멍(68)과 탄성부재(80)의 내부를 차례로 지나서 끝단이 하우징(30)의 단부벽(32)에 마련된 관통구멍(33)을 통해 밖으로 돌출된다. 이때, 몸통(94)의 끝 부분에 마련된 결합홈(941)도 하우징(30)의 단부벽(32) 밖으로 돌출되는데, 이 결합홈(941)에 E-링이라고 불리는 멈춤링(99)을 결합하여 안내막대(90)와 하우징(30)을 결합시킨다. 캠종동부재(40)는 안내막대(90)의 몸통(94)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힌지장치(20)의 구성에 의해 힌지장치(20)에 의해 연결된 두 지지체(200, 300)는 제1 회전축선(100)을 중심으로 180도 구간을 접고 펼칠 수 있으며, 회전구간 상의 한 기준점을 중심으로 일측으로는 자동으로 펼쳐지고 반대측으로는 자동으로 접히게 된다. 또한, 완전히 펼쳐지기 전 일부구간에서는 프리스톱 구간이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다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제, 도7과 도8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사용예 및 결합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8의 (a)는 휴대전화기(5)가 완전히 접힌 상태이다. 이때 제1 회전축선(100)은 휴대전화기(5)의 길이방향 상단에 위치한다. 이때, 힌지장치(20)의 캠부(64)에서 제1 캠종동부(421)와 제2 캠종동부(461)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 도7의 (a)이다. 도7의 (a)를 참조하면, 제1 캠종동부(421)는 제1 캠면(70)의 제1 경사면(701)에 접하며 위치하고, 제2 캠종동부(561)는 삽입홈(73)이 마련되는 제1 골부(72)에 이격되어서 위치한다. 도6을 함께 참조하면, 이 상태에서 탄성부재(80)의 힘에 의해 캠부재(60)가 캠종동부재(40)를 밀게 된다. 그러면 탄성부재(80)와 제1 경사면(701)에 의해 캠종동부재(40)는 회전력을 받게 되는데, 이 회전력은 제1 유닛(7)이 제2 유닛(9)쪽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즉, 도8의 (a)에 도시된 휴대전화기(5)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는 제1 케이스 유닛(7)과 제2 케이스 유닛(9)이 서로 밀착되도록 하는 회전력이 힌지장치(20)에 의해 발생되어 휴대 전화기(5)는 접혀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5)를 사용할 수 있게 펼치기 위해서 휴대 전화기(5)의 두 케이스 유닛(5, 7) 사이를 벌리면, 제1 캠종동부(421)는 제1 캠면(70)의 제1 경사면(701)을 따라 올라가게 되고, 제2 캠종동부(461)도 중간에 제2 캠면(74)의 제1 경사면(741)에 도달한 후부터 제1 경사면(741)에 접하며 따라 올라가게 된다. 계속 두 케이스 유닛(5, 7) 사이를 벌리면, 제1 캠종동부(421)와 제2 캠종동부(461)가 각각 제1 캠면(70)의 제1 경사면(701)과 제2 캠면(74)의 제1 경사면(741)을 따라 올라가다가 제1 캠면(70)의 정상부(702)와 제2 캠면(74)의 정상부(742)에 각각 도달하게 된다. 이것이 도8의 (b)에서 제1 케이스 유닛(7)이 P1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제1, 제2 캠종동부(421, 461)가 각각 정상부(702, 742)에 도달하기 전에 휴대 전화기(5)의 두 유닛(7, 9)을 벌리던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80)가 캠부재(60)를 캠종동부재(40) 쪽으로 밀고 있으므로 제1, 제2 캠종동부(421, 461)가 각각 제1, 제2 캠면(70, 74)의 제1 경사면(701, 741)을 따라 이동하면서 휴대 전화기(5)는 다시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휴대 전화기(5)의 두 유닛(7, 9)을 계속 벌리면, 제1 캠종동부(421)와 제2 캠종동부(461)는 각각 제1 캠면(70)의 제2 경사면(703)과 제2 캠면(74)의 제2 경사면(743)에 놓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탄성부재(80)가 캠부재(60)를 캠종동부재 (40) 쪽으로 밀고 있으므로, 외력이 없이도 제1 캠종동부(421)와 제2 캠종동부(461)가 각각 제1 캠면(70)의 제2 경사면(703)과 제2 캠면(74)의 제2 경사면(743)을 따라 하강하다 제1 캠면(70)의 제2 경사면(703)과 제2 캠면(74)의 제2 경사면(743)의 끝에서 오게 된다. 이것이 도8의 (b)에서 제1 케이스 유닛(7)이 P2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P2의 위치에서부터는 제1 케이스 유닛(7)을 더 벌리기 위해서 외부에서 회전력이 계속 가해져야 한다. 중간에 회전력을 가하는 것을 멈추면 제1 케이스 유닛(7)은 그 위치에서 정지하고 탄성부재(80)의 힘에 의해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 때 캠종동부재(40)의 제1 캠종동부(421)와 제2 캠종동부(461)는 각각 제1 캠면(70)의 수평면(704)과 제2 캠면(74)의 수평면(744) 상의 어느 한 위치에 있게 된다. 제2 캠면(74)의 수평면(744)이 제1 캠면(70)의 수평면(704)보다 짧기 때문에 제2 케이스 유닛(14)이 계속 벌어짐에 따라 제2 캠종동부(461)가 제1 캠종동부(421)보다 먼저 제2 캠면(74)의 수평면(744)과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케이스 유닛(7)을 더 벌리면 제1 캠종동부(421)는 제1 연결경사면(721)을 지나 삽입홈(73)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1 케이스 유닛(7)의 도8의 (b)에서 P3에 위치하는 상태로서 두 케이스 유닛(7, 9)의 펼쳐진 각도는 180도를 이루게 된다. 이때 휴대 전화기(5)의 평면도가 도8의 (c)에 도시되어 있다.
이제, 휴대 전화기가 펼친 상태에서 접힌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힌지장치(20)의 작용을 설명한다. 즉, 도8의 (c)에 도시된 상태에서 (a)에 도시된 상태로 바뀌는 과정을 설명한다. 휴대 전화기(5)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도8의 (b)에서 P3 위치)는 제1 캠종동부(421)가 삽입홈골(73)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다. 이 상태에서, 휴대 전화기(5)를 닫기 위해서 도8의 (b)에서 P2 위치까지는 회전력을 가해야 한다. 고정상태에서 사전 설정된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면 삽입홈(73)의 주위에 제1 연결경사면(721)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1 캠종동부(421)가 그 경사면(721)을 타고 올라가면서 수평면(704)에 도달한다. 휴대 전화기(5)를 계속 닫으면 뒤따라서 캠면과 떨어져 있던 제2 캠종동부(461)도 제2 캠면(74)의 수평면(744)에 도달하게 된다. 제1, 제2 캠종동부(421, 461)가 도5의 (c) 상태(도8의 (b)의 P2위치)까지는 수평면(704, 744)을 지나기 때문에 일정한 회전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도8의 (b)의 P2위치에서 P1위치까지는 제1 캠종동부(421)와 제2 캠종동부(461)가 각각 제1 캠면(70)의 올라가는 제2 경사면(703)과 제2 캠면(74)의 올라가는 제2 경사면(743)을 지나야 하므로 보다 더 큰 회전력이 필요하다. 제1 캠종동부(421)와 제2 캠종동부(461)가 각각 제1 캠면(70)의 정상부(702)와 제2 캠면(74)의 정상부(742)를 지난 후에는 내려가는 제1 경사면(701, 741)을 각각 지나게 되므로 외부의 회전력이 필요없이 자동적으로 회전하며 휴대 전화기(5)가 접혀지게 된다. 제1, 제2 캠종동부(421, 461)가 각각 정상부(702, 742)에 도달하기 전에 휴대 전화기(10)의 닫는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80)가 캠부재(60)를 캠종동부재(40) 쪽으로 밀고 있으므로 제1, 제2 캠종동부(421, 461)가 각각 제1, 제2 캠면(70, 74)의 제2 경사면(703, 743)을 따라 이동하면서 휴대 전화기(5)는 자동으로 다시 열리게 된다.
도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5)의 두 유닛(7, 9)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제1 유닛(7)을 결합장치(10)의 제1 지지체(200)에서 제1 유닛(7)이 결합된 제1 회전부재(400)의 상태가 도9의 (a)에 도시되어 있다. 도9의 (a)를 참조하면, 제1 회전부재(400)는 걸림부재(550)가 제1 지지체(200)의 걸림홈(220)에 끼워져 있어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유닛(7)을 제1 지지체(200)에 대하여 제2 회전축선(110)을 중심으로 충분한 회전력을 제공하여 회전시키면, 걸림부재(550)가 걸림홈(220)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고 계속 회전시키면 도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550)는 수용부(600)의 내측벽(610)과 밀착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 회전력을 가하여 90도 회전시키면 도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재(550)가 걸림홈(220)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의 휴대 전화기(50)의 상태가 도8의 (d)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결합장치(10)의 제2 지지체(300)에 대하여 제3 회전축선(120)을 중심으로 제2 유닛(9)을 회전시키면 도8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닛(7)을 제2 유닛(9)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7의 (e)의 상태에서 제2 유닛(9)을 제1 유닛(7) 쪽으로 접으면 힌지장치(20)의 작용에 의해 도7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5)는 완전히 접히게 된다.
도10 내지 도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10을 참조하면, 휴대전화기(5a)는 액정디스플레이가 마련되는 제1 유닛(7a)과 키패드가 마련되는 제2 유닛(9a)을 구비한다. 제1 유닛(7a)과 제2 유닛(9a)은 결합장치(10a)에 의해 결합된다. 결합장치(10a)는 제1 지지체(200a)와, 제2 지지체(300a)와, 제1 회전힌지(50a)와, 제2 회전힌지(60a)와, 제1 힌지장치(20a)를 구비한다. 제1 지지체(200a)와 제2 지지체(300a)는 힌지장치(20a)에 의해 제1 회전축선(100a)을 중심으로 상대회전하도록 연결된다. 힌지장치(20a)의 구성 및 작용은 도5 내지 도7에 도 시한 힌지장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지지체(200a)와 제2 지지체(300a)에는 각각 제1 회전힌지(50a)와 제2 회전힌지(60a)가 안착되는 안착홈(210a, 310a)이 마련된다. 도10과 도11을 참조하면, 제1 회전힌지(50a)는 제1 고정부재(30a)와, 제1 회전부재(40a)와, 두 탄성부재(50a)와, 결합링(70a)을 구비한다. 도11과 도15를 참조하면, 고정부재(30a)는 본체(31a)와, 본체(31a)를 덮는 덮개(39a)를 구비한다. 본체(31a)는 원반형상으로서 안쪽에는 두 탄성부재(50a)가 수용도록 파인 수용공간(38a)이 마련된다. 수용공간(38a)의 중심부에는 관통구멍(341a)이 있는 결합기둥(34a)이 마련되고 조립의 최종 단계에서 결합기둥(34a) 끝단에 결합링(70a)이 끼워진다. 결합기둥(34a)의 뿌리측 양쪽에는 각각 걸림돌기(61a, 62a)가 돌출되어 있다. 걸림돌기(61a, 62a)의 원주방향 양단(611a, 612a, 621a, 622a)에 후술하는 제1 회전부재(40a)의 제1 접촉부(41a)와 제2 접촉부(43a)가 닿아 걸리게 된다. 수용공간(38a)에는 후술하는 두 탄성부재(50a)의 각 걸림부(54a)가 끼워지는 결합기둥 쌍이 4곳에 위치한다. 각 결합기둥 쌍은 인접한 제1, 제2 결합기둥(35a, 36a)을 구비한다. 덮개(39a)는 중앙에 원형구멍(제1 회전부재(40a)의 돌기들(41a, 43a, 45a, 47a)이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임)이 형성된 대체로 고리모양으로서, 본체(31a)의 수용공간(38a)을 덮는다. 제1 고정부재(30a)는 결합장치(10a)의 제1 지지체(200a)와 제2 회전축선(도12의 110a)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안착홈(210a)에 끼워져 결합된다.
제1 회전부재(40a)는 휴대전화기(5a)의 제1 케이스 유닛(7a)에 결합되는 원형의 결합판(42a)과, 결합판(42a)에 원주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등간격으로 배치되 도록 돌출된 제1 접촉부(41a)와, 제1 나사구멍기둥(45a)과, 제2 접촉부(43a)와, 제2 나사구멍기둥(47a)을 구비한다. 결합판(42a)의 중앙부에는 통로(421a)가 마련된다. 이 통로(421a)로 제1 고정부재(30a)의 결합기둥(34a) 끼워져 제1 회전부재(40a)가 제2 회전축선(110a)을 중심으로 서로 안내되면서 회전가능하게 된다. 제1 접촉부(41a)와 제2 접촉부(43a)는 회전축선(110a)에 대해 대칭인 형상으로서 중앙의 통로(421a) 측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제1 접촉부(41a)와 제2 접촉부(43a)의 반경방향 끝단은 둥글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두 탄성부재(50a)의 곡선부(52a)와 접한다. 제1 고정부재(30a)와 제1 회전부재(40a) 사이의 회전시 제1 접촉부(41a)와 제2 접촉부(43a)는 제1 연결부재(30a)의 두 걸림돌기(61a, 62a)에 각각 걸릴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범위가 제한된다. 제1 회전부재(40a)는 제2 회전축선(110a)을 중심으로 휴대전화기(5a)의 제1 유닛(7a)과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도11과 도15를 참조하면, 두 탄성부재(50a)는 동일한 형상의 선재로서 각각은 양단의 걸림부(54a)와 중간의 둥근 원호형상의 곡선부(52a)를 구비한다. 걸림부(54a)는 곡선부(52a)로부터 일측으로 꺾여 약간 연장된 후 다시 반대측으로 꺾여서 형성된다. 걸림부(54a)가 두 걸림기둥(35a, 36a)을 감싸며 걸리게 된다. 두 탄성부재(50a)의 각 곡선부(52a)는 중간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진다. 두 탄성부재(50a)의 각 곡선부(52a)가 제2 연결부재(40a)의 제1, 제2 접촉부(41a, 43a)의 반경방향 끝단부의 원호와 접하며, 제1 회전부재(40a)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두 탄성부재(50a)는 회전부재(40a)가 제1 회전위치(도9의 (a)) 또는 제2 회전위치(도9의 (c)) 에 위치할 때 각각 다른 회전위치 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방향의 힘을 가한다. 도9의 (b)의 상태는 회전부재(40a)가 제3 회전위치에 위치한 상태로소 중립상태이다. 탄성부재(50a)는 회전부재(40a)의 회전위치가 제1 회전위치와 제3 회전위치 사이일 때 회전부재(40a)를 상기 제1 회전위치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고, 회전부재(40a)의 회전위치가 상기 제3 회전위치와 제2 회전위치 사이일 때 상기 회전부재(40a)를 상기 제2 회전위치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게 된다.
제2 회전힌지(60a)는 제1 회전힌지(50a)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회전힌지(60a)는 결합장치(10a)의 제2 지지체(300a)와 휴대전화기(5a)의 제2 유닛(9a)이 제3 회전축선(도12의 120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작용한다.
도12 내지 도14에는 도10에 도시한 휴대전화기(5a)의 사용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11을 참조하면, 결합장치(10a)는 P1 또는 P2에 위치할 수 있다. P1은 제1 회전축선(100a)이 휴대전화기(5a)의 길이방향 상단 쪽에 위치하고 P2는 제1 회전축선(100a)이 휴대전화기(5a)의 측면 쪽에 위치한다. 휴대전화기(5a)가 P1의 위치일 때 휴대전화기(5a)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고 펼쳐서 사용될 수 있다. 휴대전화기(5a)가 P2의 위치일 때 휴대전화기(5a)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고 펼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을 따르면 앞에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장치의 두 유닛을 접고 펼칠 수 있도록 결합해주는 결합장 치가 휴대장치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므로 휴대장치의 두 유닛을 서로 다른 두 방향에서 접고 펼칠 수 있어 휴대장치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결합장치에 구비되는 힌지장치는 두 유닛을 180도까지 펼칠 수 있게 작동하므로 휴대장치의 사용이 더욱 편리하다. 그리고 액정디스플레이가 마련되는 유닛이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액정디스플레이를 가로 또는 세로로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전화기의 두 유닛을 서로 다른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접고 펼칠 수 있으므로 휴대전화기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펼쳐지고 접히는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에서 상기 두 유닛을 결합해주는 결합장치로서,
    상기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며 접고 펼쳐지도록 결합된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와,
    상기 두 유닛이 접혔을 때 서로 마주보게 되는 면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인 제2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지지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제1 지지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유닛과는 상기 제2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제1 회전부재와,
    상기 두 유닛이 접혔을 때 서로 마주보게 되는 면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인 제3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지지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제2 지지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유닛과는 상기 제3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제2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결합장치.
  2. 제1항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와 제2 지지체가 상기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하도록 두 지지체를 연결하는 힌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결합장치.
  3. 제2항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유닛과 함께 회전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유닛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1 회전축선을 따라 직선이동이 가능한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를 접촉시키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는 캠면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캠면과 상호작용하는 캠종동부가 마련되는 결합장치.
  4. 제3항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면은 정상을 포함하는 제1 산부와 상기 정상보다 높게 위치하는 다른 정상을 포함하는 제2 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산부의 정상부를 포함하는 구간의 캠프로파일과 상기 제2 산부의 캠프로파일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캠종동부는 상기 제1 산부와 상호작용하는 제1 캠종동돌기와 상기 제2 산부와 상호작용하는 제2 캠종동돌기를 구비하는 결합장치.
  5. 제4항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산부 제2 산부는 각 정상의 양측으로 내려오는 두 개의 경사면을 각각 구비하는 결합장치.
  6. 제5항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산부와 제2 산부 사이에는 상기 제1 캠종동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구비되는 결합장치.
  7. 제6항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산 부의 경사면의 끝단과 상기 삽입홈 사이의 구간은 180도 이상인 결합장치.
  8. 제7항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산부는 두 경사면 중 하나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연결부재가 일정한 위치에서 유지하게 하는 수평면을 각각 더 구비하는 결합장치.
  9. 제8항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재와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결합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제1 지지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 회전축선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를 미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다른 하나는 상기 걸림부재가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홈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걸림홈 쪽으로 밀며,
    상기 제2 회전부재와 제2 지지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3 회전축선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를 미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다른 하나는 상기 걸림부재가 걸리도록 형성된 걸림홈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걸림홈 쪽으로 미는 결합장치.
  11. 제10항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둘 이상이며, 인접한 두 걸림홈 은 90도를 이루는 결합장치.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와는 상기 제2 회전축선 또는 제3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지지체와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부재가 제1 회전위치 또는 제2 회전위치에 위치할 때 각각 다른 회전위치 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방향의 힘을 가하는 결합장치.
  13. 제12항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위치와 제2 회전위치 사이에 제3 회전위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위치가 상기 제1 회전위치와 제3 회전위치 사이일 때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제1 회전위치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위치가 상기 제3 회전위치와 제2 회전위치 사이일 때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제2 회전위치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하는 결합장치.
  14. 제12항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선재이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와 접하며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를 변형시키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결합장치.
  15. 제14항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두 개가 서로 선대칭이 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접촉부에 의해 상기 두 탄성부재는 서로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결합장치.
  16. 제15항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 탄성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의 접촉부와 접하는 곡선부를 구비하는 결합장치.
  17. 제16항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두 탄성부재의 곡선부는 중심부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된 결합장치.
  18. 제12항의 청구항의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 고정부재 및 탄성부재는 하나의 회전힌지를 형성하는 결합장치.
  19. 제1 유닛과,
    제2 유닛과,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접고 펼칠 수 있도록 두 유닛을 결합시키는 결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제1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며 접고 펼쳐지도록 결합된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와, 상기 두 유닛이 접혔을 때 서로 마주보게 되는 면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인 제2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지지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제1 지지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유닛과는 상기 제2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제1 회전부재와, 상기 두 유닛이 접혔을 때 서로 마주보게 되는 면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인 제3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지지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도록 상기 제2 지지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유닛과는 상기 제3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제2 회전부재를 구비하는 휴대장치.
KR1020050129564A 2004-12-27 2005-12-26 회전하여 펼쳐지고 접히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 및그 휴대장치에 사용되는 결합장치 KR100692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12993 2004-12-27
KR1020040112993 2004-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862A KR20060074862A (ko) 2006-07-03
KR100692418B1 true KR100692418B1 (ko) 2007-03-13

Family

ID=36615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564A KR100692418B1 (ko) 2004-12-27 2005-12-26 회전하여 펼쳐지고 접히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 및그 휴대장치에 사용되는 결합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07901A1 (ko)
KR (1) KR100692418B1 (ko)
CN (1) CN101120512A (ko)
WO (1) WO20060710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040B1 (ko) * 2020-04-07 2020-09-04 주식회사 하이맥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4188B2 (en) * 2008-05-19 2014-01-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otebook computer docking stations
TWI705581B (zh) * 2016-09-09 2020-09-21 晶元光電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以及其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4099A (ko) * 2003-10-08 2005-04-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101523A (ko) * 2004-04-19 2005-10-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회전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449605S1 (en) * 1999-10-21 2001-10-23 Steven W. Schebesch Flip-ope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US6549789B1 (en) * 2000-04-28 2003-04-15 Motorola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 adaptable user interface
KR100455545B1 (ko) * 2002-06-17 2004-11-06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200317088Y1 (ko) * 2003-03-13 2003-06-25 주식회사 엠투시스 휴대용 단말기의 스윙 힌지장치
KR100754681B1 (ko) * 2003-07-23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 및 촬영 모드 감지 방법
KR100735266B1 (ko) * 2004-10-26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용 휴대용 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4099A (ko) * 2003-10-08 2005-04-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101523A (ko) * 2004-04-19 2005-10-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회전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040B1 (ko) * 2020-04-07 2020-09-04 주식회사 하이맥 휴대단말기용 접혀지는 힌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07901A1 (en) 2008-01-10
WO2006071040A1 (en) 2006-07-06
CN101120512A (zh) 2008-02-06
KR20060074862A (ko) 2006-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1957B2 (ja) 回転して広げられたり折り畳まれたりできる二つのユニットを備える携帯装置及びその携帯装置に使用されるヒンジ装置
US7299523B2 (en) Hinge mechanism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6950686B2 (en) Cover opening/close device of mobile terminal
KR100665709B1 (ko) 힌지장치
US20050155182A1 (en) Hinge device
US20040237259A1 (en) Hinge assembly
US7111361B2 (en) Hinge assembly
KR102310162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57749B1 (ko) 힌지장치
KR100692418B1 (ko) 회전하여 펼쳐지고 접히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 및그 휴대장치에 사용되는 결합장치
KR100473825B1 (ko) 힌지장치
KR100875851B1 (ko)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에사용되는 개폐장치
KR100335343B1 (ko) 힌지 장치
KR100468370B1 (ko) 힌지장치
KR100468369B1 (ko) 힌지장치
KR100620504B1 (ko) 휴대기기용 180도 이상 회전 힌지장치
KR100678627B1 (ko) 휴대 전화기용 180도 회전 힌지장치
KR20060041088A (ko) 2단 프리스톱 힌지장치
KR100641833B1 (ko) 평행한 두 축을 갖는 힌지장치 및 그 힌지장치가 장착된슬라이드 및 회전운동에 의해 펼쳐지는 휴대전화기
KR100605044B1 (ko) 휴대 전화기용 180도 회전 힌지장치
KR200304979Y1 (ko) 힌지장치
KR200176939Y1 (ko) 폴더형 휴대폰의 개폐구조
KR100620503B1 (ko) 2개의 회전축을 구비하는 폴더형 휴대장치
KR100515568B1 (ko) 힌지장치
KR20060041087A (ko) 360도 회전 프리스톱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