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924B1 - 안전 차단봉 - Google Patents

안전 차단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924B1
KR101685924B1 KR1020140133292A KR20140133292A KR101685924B1 KR 101685924 B1 KR101685924 B1 KR 101685924B1 KR 1020140133292 A KR1020140133292 A KR 1020140133292A KR 20140133292 A KR20140133292 A KR 20140133292A KR 101685924 B1 KR101685924 B1 KR 101685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edestal
rod
insertion rod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3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9949A (ko
Inventor
정기호
Original Assignee
정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호 filed Critical 정기호
Priority to KR1020140133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924B1/ko
Publication of KR20160039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8Flexible barrier members, e.g. cords; Means for rendering same conspicuous; Adapted supports, e.g. with storage r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차단봉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벨트가 권취된 상태로 내설된 헤드; 상기 헤드 하부로 일정한 길이를 갖고 연장된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이 삽탈되도록 삽입봉 삽입구가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봉의 하단은 상기 받침대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봉 삽압구 측에 결합되거나 회전 탈거된다.

Description

안전 차단봉{Safety bar}
본 발명은 안전 차단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봉과 헤드의 결속력을 강하게 유지하면서도 각 구성들의 보관 및 이동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결속시에도 빠른 결속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하고, 조립이 완성된 중량의 차단봉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차단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 차단봉은 각종 행사장이나 공연장, 출입구 등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차량의 흐름을 일정한 방향으로 안내하거나 접근을 통제하는 구역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설치 운영된다.
이러한 안전 차단봉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태의 받침대(50) 중앙 부분에 수직하게 일정 길이 연장된 지지봉(40)을 볼트를 이용해 고정시킨 후 지지봉(40) 상단에 안전벨트(20)가 권치되는 헤드(10)를 결합시켜 운영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 차단봉의 경우 설치 위치의 특성상 많은 수량을 배치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항상 대량으로 이용하게 된다.
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가 일정한 직경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크기에 상응하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보관을 위한 공간을 매우 크게 필요하며 운반시에도 상당히 많은 차량을 동원하고 또한 설치 장소로 이동하는 것도 많은 인력이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179671호가 개시되어 있는 바, 이를 보면 받침대의 일부를 절개하고 헤드를 지지봉으로부터 분리하도록 구성하여 헤드와 지지봉을 별도로 보관 운영하도록 하고 있다.
즉, 절개된 축을 통해 지지봉을 적층시켜 보관시 보관 공간을 작게 차지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 또한 헤드와 지지봉의 잦은 결속과 해지로 인해 결속 부분이 손상되어 결속력이 약해져 헤드가 지지봉으로부터 흔들리거나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지지봉과 받침대의 공간 또한 불필요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차단봉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러한 경우 상당한 중량의 차단봉을 근거리 이동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지지봉과 헤드의 결속력을 강하게 유지하면서도 각 구성들의 보관 및 이동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결속시에도 빠른 결속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또한 조립이 완성된 중량의 안전 차단봉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차단봉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안전 차단봉은, 벨트가 권취된 상태로 내설된 헤드; 상기 헤드 하부로 일정한 길이를 갖고 연장된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이 삽탈되도록 삽입봉 삽입구가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봉의 하단은 상기 받침대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봉 삽입구 측에 회전 결합되거나 회전 탈거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 하단에는 삽입봉 삽입구에 삽입되는 삽입봉이 단차지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삽입봉 외주면 단부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중앙 부분을 관통하는 개구공과 상기 개구공 둘레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를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홈을 갖는 원판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공 측에 결합되며 삽입봉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봉 삽입구가 형성되고 삽입봉 삽입부의 하측으로 삽입봉이 위치되는 공간이 형성된 걸림하우징과, 상기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삽입봉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위치되어 지지판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또는 상기 받침대는 중앙 부분을 관통하는 개구공이 형성되고, 그 개구공 하부에는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이 설치되는 베어링안착부가 형성된 원판 형태의 몸체와, 상부가 개구공에 걸려지도록 걸림부가 크게 형성되고, 그 걸림부 하면에서 걸림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연장 형성된 원기둥 외주면이 상기 베어링 내부에 삽입되며, 삽입봉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봉 삽입구가 형성되고, 삽입봉 삽입부의 하측으로 삽입봉이 위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원기둥 외주면의 하방향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걸림하우징과, 상기 나사산과 체결되어 걸림하우징의 이 몸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너트와, 상기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삽입봉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위치되어 지지판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하우징 내에는 삽입봉의 걸림돌기가 공간 측으로 안내되게 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과 연결되며 걸림돌기가 공간 내에서 회전하며 결착되게 하는 안내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봉과 헤드의 결속력을 강하게 유지하면서도 각 구성들의 보관 및 이동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결속시에도 빠른 결속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받침대를 베어링으로 회전가능하게 함으로써, 필요에 의해서 안전 차단봉을 비스듬히 눕힌 상태로 받침대를 회전시켜 근거리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안전 차단봉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 차단봉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전 차단봉을 나타내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대와 지지봉의 결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차단봉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안전 차단봉의 받침대가 구름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 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안전 차단봉(100)은 헤드(110), 지지봉(120) 및 받침판(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110)는 원통 형태의 구조물을 하고 있으며, 벨트가 인출 및 권취되는 부분으로서 벨트의 인출 및 권취를 가능하게 하는 구성(예를 들어 태엽식판스프링, 벨트드럼 등)이 공지된 구성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봉(120)은 상기 헤드(110) 하단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하단부에는 단차진 형태로 삽입봉(1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봉(121)의 외주 하단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대(130)는 원판 형탱의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 하부에 배치되는 걸림하우징(1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31) 중앙 부분에는 일정한 직경을 가지고 개구공(131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개구공(131a)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절개홈(13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하우징(132)에는 내부에 공간(132a)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132a)과 연통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삽입봉 삽입구(133)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봉 삽입구(133) 내주면 상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홈(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132a) 내에는 삽입홈(134)과 연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봉의 걸림돌기(122)를 안내하여 결속하는 안내홈(135)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안내홈(135)은 삽입홈(134)과는 같은 직경으로 공간 내에 형성되지만, 상기 삽입봉 삽입구는 안내홈과 삽입홈 보다는 작은 직격으로 형성되어 안내홈과 삽입봉 삽입구 간에 단차를 형성시켜 이를 통해 걸림돌기가 공간에 걸리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간(132a) 내에는 삽입되는 삽입봉을 지지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가압판(137a)이 형성된 지지판(137)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137) 하부에는 지지판을 탄성 지지하여 삽입봉이 안내홈 내에서 가압될 수 있게 하는 스프링(136)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걸림돌기가 안내홈 내에서 회전하며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기재하고 있지만 걸림돌기의 상부 또는 하부에 돌기(미도시)를 더 형성시켜 회전 삽입된 걸림돌기가 안내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안전 차단봉(100)은 조립이 완성된 상태에서 쉽고 간편하게 근거리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른 실시예를 제공하며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면 도 7과 같이, 받침대(130)는 원판 형태의 몸체(131)에 중앙을 관통하는 개구공(131a)이 형성되고, 그 개구공(131a)의 직하부에 베어링(140)이 안착한 상태에서 베어링(140) 측면과 개구공(131a) 내측면이 접촉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안착부(131c)가 형성된다.
또한, 걸림하우징(132)은 개구공(131a)의 상방향에서 삽입되어 베어링(140)의 내주면과 걸림하우징(132)의 원기둥 외주면(132b-1)이 접촉되되, 상부가 개구공(131a)에 걸려지도록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걸림부(132b)가 형성되어 하방향으로 이탈을 방지하고, 삽입봉(121)이 삽입 결합되도록 삽입봉 삽입구(133)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32b) 하면에서 걸림부(132b)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원기둥 외주면(132b-1)의 하부에는 나사산(132c)을 형성시켜 너트(150)로 체결시킴으로써, 걸림부(132b)와 더불어 걸림하우징(132)의 상,하방향 이탈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되는 너트(150)는 베어링안착부(131c)와 완전고정되지 않도록 간극을 갖도록 이격 되어야 몸체(131)가 베어링(140)에 의해 회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걸림하우징(132)의 공간에는 앞서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로 삽입봉(121)을 지지하는 지지판(137)이 구비되고, 그 지지판(137)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방향으로 가압 지지하는 스프링(136)이 구성된다.
이렇게 베어링(140)이 구성된 다른 실시예는 중량의 안전 차단봉(100)을 기울인 상태로 몸체(131)를 회전시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상태를 설명한다.
헤드(110)가 설치된 지지봉(120)과 받침대(130)는 분리된 상태로 적재함(미도시) 적층 보관한 상태로 설치할 장소로 운반한다. 적재함은 지지봉과 받침대가 개별적으로 보관되며 박스 형태를 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120) 하단의 삽입봉(121)을 받침대(130) 상부의 삽입봉 삽입구(133) 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삽입봉(121)의 걸림돌기(122)가 삽입봉 삽입구(133)의 삽입홈(134) 정렬되게 한 후 걸림돌기(122)를 삽입홈(134)에 삽입시키면 삽입봉(121) 하면이 공간(132a) 내의 지지판(137)의 가압판(137a) 상면과 밀착되며 지지판(137)을 가압하게 되고, 지지봉을 회전시켜 걸림돌기(122)가 안내홈(135)을 따라 안내되며 고정되게 된다.
즉, 상기 삽입봉이 삽입되기 전에는 지지판(137)의 가압판(137a)이 스프링(136)에 의해 안내홈(135) 상부까지 위치되어 가압판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지만 삽입봉에 의해 가압되면서 하측으로 이동하여 안내홈이 개방되어 걸림돌기가 회전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므로 지지봉을 회전시켜 걸림돌기가 안내홈을 따라 회전하며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프링은 지지판을 항상 상부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걸림돌기가 안내홈 내에서 밀착 고정되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삽입봉(121)의 걸림돌기(122)를 삽입홈(134)과 정렬시킨 후 삽입봉(121)틀 삽입봉이 가압하게 되어 지지판이 하측으로 이동하며 가압판(137a)에 의해 폐쇄된 상태의 안내홈(135)이 개방된다.
안내홈이 개방되면 지지봉을 회전시켜 걸림돌기(122)가 안내홈(135)을 따라 이동 결속되게 되고 하부의 지지판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안내홈 내에 밀착 고정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몸체(131)를 회전시키도록 베어링(140)이 구성된 경우에는 조립이 완성된 안전 차단봉(100)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 도면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안전 차단봉(100)을 기울여 몸체(131)의 하부테두리 일부와 지면이 맞닿도록 기울인 후, 변경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을 하면 몸체(131)가 구름 동작하면서 손쉽고 가볍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간단한 조작에 의해 지지봉과 받침대를 탈부착 가능한 구조가 되게 함으로써 분리된 상태에서의 지지봉과 받침대의 보관 공간을 최소화하여 보관할 수 있고 설치 위치로의 이동시에도 적은 공간에 많은 량을 이동할 수 있어 운반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시에도 빠른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중량의 안전 차단봉을 베어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위치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이나 개조는 청구범위의 해석상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안전 차단봉: 100 헤드: 110
지지봉: 120 삽입봉: 121
걸림돌기: 122 받침대: 130
몸체: 131 개구공:131a
절개홈: 131b 베어링안착부: 131c
걸림하우징: 132 공간: 132a
걸림부: 132b 나사산: 132c
삽입봉 삽입구 133 삽입홈: 134
안내홈: 135 스프링: 136
지지판: 137 가압판: 137a
베어링: 140 너트: 150

Claims (5)

  1. 벨트가 권취된 상태로 내설된 헤드(110)와 상기 헤드(110) 하부로 일정한 길이를 갖고 연장된 지지봉(120) 및 상기 지지봉(120)이 삽탈되도록 삽입봉 삽입구(133)가 형성된 받침대(1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봉(120) 하단에는 삽입봉 삽입구(133)에 삽입되는 삽입봉(121)이 단차지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삽입봉(121) 외주면 단부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122)가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130)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봉 삽입구(133) 측에 회전 결합되거나 회전 탈거되는 안전 차단봉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30)는 중앙 부분을 관통하는 개구공(131a)이 형성되고, 그 개구공(131a) 직하부에 형성되는 베어링안착부(131c)로 이루어진 원판 형태의 몸체(131)와,
    상기 베어링안착부(131c)에 안착되어 몸체(131)를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베어링(140)과,
    상부가 개구공(131a)에 걸려지도록 걸림부(132b)가 크게 형성되고, 그 걸림부 하면에서 걸림부(132b)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연장 형성된 원기둥 외주면(132b-1)이 상기 베어링(140) 내부에 삽입되며, 삽입봉(121)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봉 삽입구(133)가 형성되고, 삽입봉 삽입부(133)의 하측으로 삽입봉(121)이 위치되는 공간(132a)이 형성되며, 상기 원기둥 외주면(132b-1)의 하부에 나사산(132c)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삽입봉(121)의 걸림돌기(122)가 공간 측으로 안내되게 하는 삽입홈(134)과, 상기 삽입홈(134)과 연결되며 걸림돌기(122)가 공간 내에서 회전하며 결착되게 하는 안내홈(135)이 형성된 걸림하우징(132)과,
    상기 베어링안착부(131c)와 간극을 갖도록 하여 몸체(131)를 회전가능하도록 나사산(132c)과 체결되어 걸림하우징(132)이 몸체(13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너트(150)와,
    상기 공간(132a)에 위치되어 상기 삽입봉(121)을 지지하는 지지판(137)과, 상기 지지판(137)의 하부에 위치되어 지지판(137)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3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차단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33292A 2014-10-02 2014-10-02 안전 차단봉 KR101685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292A KR101685924B1 (ko) 2014-10-02 2014-10-02 안전 차단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3292A KR101685924B1 (ko) 2014-10-02 2014-10-02 안전 차단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949A KR20160039949A (ko) 2016-04-12
KR101685924B1 true KR101685924B1 (ko) 2016-12-13

Family

ID=55801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3292A KR101685924B1 (ko) 2014-10-02 2014-10-02 안전 차단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9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152B1 (ko) 2019-02-22 2019-08-19 신동오 안전 차단봉
KR102157640B1 (ko) * 2020-03-20 2020-09-18 주식회사 회덕기술공사 안전진단용 통제봉
KR20220001759U (ko) 2021-01-08 2022-07-15 김민수 안전 차단봉용 헤드 연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3674B (zh) * 2018-10-25 2020-11-03 泉州台商投资区红金天商贸有限公司 一种路柱
KR102155784B1 (ko) * 2020-01-13 2020-09-14 장효우 포스트 분리 타입의 파손 방지형 안전 표시 삼각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9926Y2 (ko) * 1990-02-19 1992-11-25
KR20120068315A (ko) * 2010-12-17 2012-06-27 안종갑 착탈식 차선 규제봉
KR200465536Y1 (ko) * 2011-05-17 2013-02-25 최성열 도로 규제봉의 봉회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152B1 (ko) 2019-02-22 2019-08-19 신동오 안전 차단봉
KR102157640B1 (ko) * 2020-03-20 2020-09-18 주식회사 회덕기술공사 안전진단용 통제봉
KR20220001759U (ko) 2021-01-08 2022-07-15 김민수 안전 차단봉용 헤드 연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949A (ko) 201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924B1 (ko) 안전 차단봉
RU2432700C2 (ru) Упругий элемент (варианты), часть упругого элемента, скользящий механизм и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 которых использован такой элемент
EP2972022B1 (en) Adjustable hinge for mounting a door on a cabinet
CN113840972B (zh) 家具驱动装置
US8671520B2 (en) Slide assist device
US20060221262A1 (en) Support structure for liquid crystal television receiver and support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CN103385650B (zh) 转盘式快速开合压盖锅
KR20140148422A (ko) 캡슐을 이용하여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머신용 위치결정 및 추출 어셈블리
US20100148104A1 (en) Water saving valve device
CN203654954U (zh) 用于冰箱的铰链组件及具有它的冰箱
US20100147470A1 (en) Blind cord winder fixing structure
KR101080706B1 (ko) 자동 접철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JP7232907B2 (ja) 電子膨張弁
KR101642824B1 (ko) 차량시트 조립용 지그장치
US10605377B2 (en) Safety faucet for hot water
KR101544144B1 (ko) 힌지장치
CN204024247U (zh) 用于冷柜的锁和具有其的冷柜
CN203515221U (zh) 一种旋转门
CN110466398A (zh) 头枕与椅背联接机构及儿童安全座椅
KR20110120629A (ko) 접이식 테이블
JP6795196B2 (ja) 排水栓装置
KR102012152B1 (ko) 안전 차단봉
KR101218207B1 (ko) 레일용 슬라이드 장치
CN205805241U (zh) 定位装置
US10856695B2 (en) Selector unit and coffe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