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640B1 - 안전진단용 통제봉 - Google Patents

안전진단용 통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640B1
KR102157640B1 KR1020200034694A KR20200034694A KR102157640B1 KR 102157640 B1 KR102157640 B1 KR 102157640B1 KR 1020200034694 A KR1020200034694 A KR 1020200034694A KR 20200034694 A KR20200034694 A KR 20200034694A KR 102157640 B1 KR102157640 B1 KR 102157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case
column member
main body
control rod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4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경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회덕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회덕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회덕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200034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4Removable barriers with permanently installed base members, e.g. to provide occasional passage
    • E01F13/026Detachable barrier bollards or park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8Flexible barrier members, e.g. cords; Means for rendering same conspicuous; Adapted supports, e.g. with storage r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직립되게 배치되는 기둥부재(10); 상기 기둥부재(10)의 상단에 구비되고, 작동공간을 제공하며, 외벽에 복수 개의 연결홈부(14)가 구비되는 본체케이스(12); 상기 본체케이스(12)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본체케이스(12)로부터 돌출시켜 인근에 배치되는 다른 통제봉의 상기 연결홈부(14)에 거치되는 연결띠(16); 상기 본체케이스(12)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띠(16)를 권취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권취부(30); 상기 기둥부재(10)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기둥부재(10)가 지면에 직립되도록 상기 기둥부재(1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흡착부(50); 상기 흡착부(50)가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권취부(30)의 구동을 구속하여 상기 연결띠(16)가 상기 본체케이스(12)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흡착부(50)를 구동시켜 상기 기둥부재(10)를 지면에 직립되게 고정시키면 상기 권취부(30)의 구속을 해제시켜 상기 연결띠(16)를 상기 본체케이스(12)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환시키는 연동구속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진단용 통제봉 {CONTROL ROD FOR SAFETY DIAGNOSIS}
본 제안은 안전진단용 통제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진행하는 동안에 통행자 및 차량을 통제하기 위해 구조물의 진입로 또는 주변도로에 설치되어 통행자 및 차량 운전자가 통행 제한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 개의 통제봉 사이의 연결하는 연결띠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띠를 연결하는 작업 중에 통제봉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진단용 통제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제봉은, 차량 또는 보행자가 특정 지역을 출입하지 못하도록 통제용으로 지면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봉을 의미한다.
차량 또는 보행자가 통과하는 길에 위치하는 구조물에 안전진단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통행을 차단하기 위해 복수 개의 통제봉을 직립되게 설치하고, 각각의 통제봉 사이에 연결띠를 설치하여 복수 개의 통제봉이 위치하는 지역에 차량 또는 보행자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통제봉은, 내부에 적색 LED가 장착된 겉봉과, 겉봉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내부에 적색 LED가 장착되며, 양단은 가운데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며, 양단의 외주면은 각각 겉봉의 일단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되는 속봉과, 속봉의 한쪽 외주면 끝단에 녹색 LED가 장착된 발광부와, 겉봉의 다른 쪽 끝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스위칭 회로와 건전지 수용공간이 구비된 손잡이와, 손잡이의 일측에 위치하는 스위치와, 손잡이의 끝단에 부착되는 스프레이 락카와, 속봉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그 테두리에는 야광띠가 부착된 깃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0931호(2010년 11월 18일 공고, 고안의 명칭 : 교통 통제용 안전봉)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안전봉은, 안전봉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복수 개의 안전봉을 위치시키고, 복수 개의 안전봉을 연결하는 연결띠를 설치할 때에 연결띠를 당기는 장력에 의해 안전봉이 넘어지면서 연결띠의 설치를 진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한 쌍의 안전봉에 연결띠를 설치할 때에 연결띠의 장력에 의해 안전봉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른 작업자가 안전봉을 잡고 유지해야 하므로 연결띠 설치가 어렵고, 복수 개의 안전봉 사이에 연결띠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진행하는 동안에 통행자 및 차량을 통제하기 위해 구조물의 진입로 또는 주변도로에 설치되어 통행자 및 차량 운전자가 통행 제한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 개의 통제봉 사이의 연결하는 연결띠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띠를 연결하는 작업 중에 통제봉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진단용 통제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면에 직립되게 배치되는 기둥부재(10); 상기 기둥부재(10)의 상단에 구비되고, 작동공간을 제공하며, 외벽에 복수 개의 연결홈부(14)가 구비되는 본체케이스(12); 상기 본체케이스(12)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본체케이스(12)로부터 돌출시켜 인근에 배치되는 다른 통제봉의 상기 연결홈부(14)에 거치되는 연결띠(16); 상기 본체케이스(12)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띠(16)를 권취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권취부(30); 상기 기둥부재(10)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기둥부재(10)가 지면에 직립되도록 상기 기둥부재(1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흡착부(50); 상기 흡착부(50)가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권취부(30)의 구동을 구속하여 상기 연결띠(16)가 상기 본체케이스(12)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흡착부(50)를 구동시켜 상기 기둥부재(10)를 지면에 직립되게 고정시키면 상기 권취부(30)의 구속을 해제시켜 상기 연결띠(16)를 상기 본체케이스(12)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환시키는 연동구속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권취부(30)는, 상기 본체케이스(1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부재(32); 및 상기 드럼부재(32)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하는 탄성제공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탄성제공부(34)는, 상기 드럼부재(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31); 상기 회전축(31)과 상기 드럼부재(32) 내벽 사이에 코일 모양으로 감기도록 설치되는 판스프링(31a); 및 상기 판스프링(31a)의 일단은 회전축(31)에 연결하고, 상기 판스프링(31a)의 타단을 상기 드럼부재(32)의 내벽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흡착부(50)는, 상기 기둥부재(10)의 저면을 이루도록 상기 기둥부재(10)의 하부에 배치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흡착패널(52); 상기 흡착패널(52)의 상면에 안착되고,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가압부재(54); 상기 흡착패널(52)의 중앙부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가압부재(54)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기둥부재(10)에 연결되는 가압축(56); 상기 가압축(56)을 상기 기둥부재(10)에 연결하는 구동축(76)에 설치되고, 일측으로 돌출되게 편심되는 가압블록(57); 상기 구동축(76)에 연결되고 상기 기둥부재(10)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작업자가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축(76) 및 상기 가압블록(57)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가압블록(57)의 편심부가 상기 가압부재(54)를 상기 흡착패널(52) 측으로 가압시키도록 하는 레버부재(58); 및 상기 가압부재(54)의 내벽과 상기 흡착패널(52)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압부재(54)를 상기 흡착패널(52)로부터 먼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용 통제봉은, 통제봉의 하단을 지면에 밀착시키는 흡착부가 구비되므로 통제봉을 지면에 직립되게 배치시킨 후에 작업자가 흡착부를 작동시키면 흡착부의 작동에 의해 통제봉의 하단이 지면에 흡착되면서 통제봉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통제봉 상단에 구비되는 연결띠를 측 방향으로 연장시켜 다른 통제봉에 연결할 때에 연결띠에 작용되는 인장력에 의해 통제봉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연결띠를 통제봉으로부터 돌출시킬 때에 통제봉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1명의 작업자가 복수 개의 통제봉을 용이하게 연결하며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용 통제봉은, 흡착부의 작동에 요구되는 회전운동을 권취부의 구속작동 또는 해제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연동구속부가 구비되므로 흡착부를 작동시켜 통제봉을 지면에 직립되게 설치하면 권취부의 구속이 해제되어 연결띠를 용이하게 다른 통제봉에 연결시킬 수 있고, 흡착부가 작동되지 않아 통제봉의 하단이 지면에 흡착되지 않으면 권취부가 구속되어 연결띠를 통제봉으로부터 돌출시키기 어렵게 되어 통제봉을 지면에 흡착시키지 않을 상태에서 연결띠를 인출하면서 통제봉이 넘어지는 오작업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통제봉 및 흡착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통제봉의 권취부 및 연동구속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통제봉의 권취부 및 연동구속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진단용 통제봉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통제봉 및 흡착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통제봉의 권취부 및 연동구속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통제봉의 권취부 및 연동구속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진단용 통제봉은, 지면에 직립되게 배치되는 기둥부재(10)와, 기둥부재(10)의 상단에 구비되고, 작동공간을 제공하며, 외벽에 복수 개의 연결홈부(14)가 구비되는 본체케이스(12)와, 본체케이스(12)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고, 본체케이스(12)로부터 돌출시켜 인근에 배치되는 다른 통제봉의 연결홈부(14)에 거치되는 연결띠(16)와, 본체케이스(12) 내부에 설치되고, 연결띠(16)를 권취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권취부(30)와, 기둥부재(10)의 하단에 구비되고, 기둥부재(10)가 지면에 직립되도록 기둥부재(1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흡착부(50)와, 흡착부(50)가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권취부(30)의 구동을 구속하여 연결띠(16)가 본체케이스(12)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흡착부(50)를 구동시켜 기둥부재(10)를 지면에 직립되게 고정시키면 권취부(30)의 구속을 해제시켜 연결띠(16)를 본체케이스(12)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환시키는 연동구속부(70)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하나의 기둥부재(10)를 지면에 직립시킨 후에 흡착부(50)를 구동시키면 기둥부재(10)가 지면에 직립되게 고정되고, 이때, 연동구속부(70)의 작동에 의해 권취부(30)의 구속이 해제되므로 작업자는 지면에 직립되게 고정된 통제봉으로부터 연결띠(16)를 당기면서 측 방향으로 연장시켜 다른 통제봉의 연결홈부(14)에 연결띠(16) 단부에 설치되는 연결부재(18)를 거치시켠서 연결띠(16)의 설치를 이루게 된다.
작업자는 양손으로 지지할 수 없이 멀게 배치되는 통제봉을 서로 연결할 때에 각각의 통제봉을 지면에 고정시키고, 이때, 연동구속부(70)의 작동에 의해 권취부(30)의 구속이 해제되므로 어느 하나의 통제봉으로부터 연결띠(16)를 당기면서 연장시켜 다른 통제봉의 연결홈부(14)에 연결부재(18)를 삽입하면서 손쉽게 연결띠(16)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권취부(30)는, 본체케이스(1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부재(32)와, 드럼부재(32)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하는 탄성제공부(34)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탄성제공부(34)는, 드럼부재(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31)과, 회전축(31)과 드럼부재(32) 내벽 사이에 코일 모양으로 감기도록 설치되는 판스프링(31a)과, 판스프링(31a)의 일단은 회전축(31)에 연결하고, 판스프링(31a)의 타단을 드럼부재(32)의 내벽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드럼부재(32)는 판스프링(31a)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연동구속부(70)의 작동에 의해 드럼부재(32)의 회전운동이 해제되면 드럼부재(32)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연결띠(16)를 드럼부재(32)의 둘레면에 감기게 하므로 연결띠(16)는 본체케이스(12) 내부로 삽입된다.
작업자가 연결부재(18)를 잡고 연결띠(16)를 본체케이스(12) 외부로 당기면 드럼부재(32)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판스프링(31a)이 압축되므로 본체케이스(12)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띠(16)를 다른 통제봉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흡착부(50)는, 기둥부재(10)의 저면을 이루도록 기둥부재(10)의 하부에 배치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흡착패널(52)과, 흡착패널(52)의 상면에 안착되고,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가압부재(54)와, 흡착패널(52)의 중앙부에 하단이 연결되고, 가압부재(54)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는 가압축(56)과, 가압축(56)의 상단을 관통하여 가압축(56)의 상단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기둥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76)과, 구동축(76)에 설치되고, 일측으로 돌출되게 편심되는 가압블록(57)과, 구동축(76)에 연결되고 기둥부재(10)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작업자가 회전시키면 구동축(76) 및 가압블록(57)을 회전시키면서 가압블록(57)의 편심부가 가압부재(54)를 흡착패널(52) 측으로 가압시키도록 하는 레버부재(58)와, 가압부재(54)의 내벽과 흡착패널(52)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가압부재(54)를 흡착패널(52)로부터 먼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59)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레버부재(58)를 잡고 회전시키면 가압블록(57)이 회전되면서 편심부가 가압부재(54)의 상면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시키면서 제1탄성부재(59)가 압축되고, 가압부재(54)의 테두리가 흡착패널(52)의 테두리를 지면 방향으로 변형시키면서 지면과 흡착패널(52) 사이의 간격에 진공을 이루는 공간부가 형성되면서 흡착패널(52)과 지면이 흡착되어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흡착부(50)의 작동에 의해 연동구동부가 구동되어 권취부(30)의 구속상태를 해제시키게 되며, 본 실시예의 연동구속부(70)는, 드럼부재(32)의 저면에 밀착되어 드럼부재(32)의 회전운동을 구속할 수 있도록 드럼부재(32) 저면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마찰판(72)과, 레버부재(58)의 회전운동을 마찰판(72)의 상승운동 또는 하강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연동부(74)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레버부재(58)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동부(74)의 작동에 의해 마찰판(72)이 하강하면서 드럼부재(32)와 이격되어 기둥부재(10) 내부에 배치되므로 작업자가 연결부재(18)를 당기면서 연결띠(16)를 본체케이스(12)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작업자가 연결띠(16)를 다른 통제봉으로부터 분리시키면 권취부(30)의 작동에 의해 연결띠(16)가 본체케이스(12) 내부로 삽입되고, 작업자가 레버부재(58)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흡착부(50)의 작동이 해제되어 기둥부재(10)가 지면과 분리됨과 동시에 마찰판이(72)이 상승되어 드럼부재(32)의 저면에 밀착되면 드럼부재(32)의 회전운동이 구속되어 연결띠(16)가 본체케이스(12) 외측으로 배출되는 작동이 구속된다.
본 실시예의 연동부(74)는, 레버부재(58)와 일체로 형성되고, 기둥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76)과, 구동축(76)에 설치되는 권취롤러(77a)와 마찰판(72) 사이에 설치되는 연동와이어(77)와, 마찰판(72)을 상승시켜 드럼부재의 저면에 밀착시키도록 마찰판(72)의 저면에 기둥부재(10)의 지지턱부(780)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78)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레버부재(58)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흡착부(50)의 작동을 해제시키면 마찰판(72)을 하측으로 당기는 장력이 해제되고, 제2탄성부재(78)의 복원력에 의해 마찰판(72)이 상측으로 상승되면서 드럼부재(32) 저면에 마찰판(72)이 밀착되면서 연결띠(16)와 마찰되어 권취부(30)의 작동을 구속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흡착부(50)의 작동이 해제되면 권취부(30)의 작동이 구속되면서 기둥부재(10)가 지면에 흡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연결띠(16)를 본체케이스(12) 외측으로 인출할 수 없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기둥부재(10)를 직립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연결띠(16)를 본체케이스(12)로부터 인출할 수 없어 연결띠(16) 설치 중에 기둥부재(10)가 넘어지는 오작업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진행하는 동안에 통행자 및 차량을 통제하기 위해 구조물의 진입로 또는 주변도로에 설치되어 통행자 및 차량 운전자가 통행 제한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 개의 통제봉 사이의 연결하는 연결띠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띠를 연결하는 작업 중에 통제봉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진단용 통제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안전진단용 통제봉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안전진단용 통제봉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통제봉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기둥부재 12 : 본체케이스
14 : 연결홈부 16 : 연결띠
18 : 연결부재 30 : 권취부
31 : 회전축 31a : 판스프링
32 : 드럼부재 34 : 탄성제공부
50 : 흡착부 52 : 흡착패널
54 : 가압부재 56 : 가압축
57 : 가압블록 58 : 레버부재
59 : 제1탄성부재 70 : 연동구속부
72 : 마찰판 74 : 연동부
76 : 구동축 77 : 연동와이어
77a : 권취롤러 78 : 제2탄성부재
780 : 지지턱부

Claims (4)

  1. 지면에 직립되게 배치되는 기둥부재(10);
    상기 기둥부재(10)의 상단에 구비되고, 작동공간을 제공하며, 외벽에 복수 개의 연결홈부(14)가 구비되는 본체케이스(12);
    상기 본체케이스(12)에 출몰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본체케이스(12)로부터 돌출시켜 인근에 배치되는 다른 통제봉의 상기 연결홈부(14)에 거치되는 연결띠(16);
    상기 본체케이스(12)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띠(16)를 권취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권취부(30);
    상기 기둥부재(10)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기둥부재(10)가 지면에 직립되도록 상기 기둥부재(10)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흡착부(50);
    상기 흡착부(50)가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권취부(30)의 구동을 구속하여 상기 연결띠(16)가 상기 본체케이스(12)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흡착부(50)를 구동시켜 상기 기둥부재(10)를 지면에 직립되게 고정시키면 상기 권취부(30)의 구속을 해제시켜 상기 연결띠(16)를 상기 본체케이스(12)로부터 돌출시킬 수 있는 상태로 변환시키는 연동구속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용 통제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30)는,
    상기 본체케이스(1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부재(32); 및
    상기 드럼부재(32)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하는 탄성제공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용 통제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제공부(34)는,
    상기 드럼부재(3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31);
    상기 회전축(31)과 상기 드럼부재(32) 내벽 사이에 코일 모양으로 감기도록 설치되는 판스프링(31a); 및
    상기 판스프링(31a)의 일단은 회전축(31)에 연결하고, 상기 판스프링(31a)의 타단을 상기 드럼부재(32)의 내벽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용 통제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50)는,
    상기 기둥부재(10)의 저면을 이루도록 상기 기둥부재(10)의 하부에 배치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흡착패널(52);
    상기 흡착패널(52)의 상면에 안착되고,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며,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가압부재(54);
    상기 흡착패널(52)의 중앙부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가압부재(54)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는 가압축(56);
    상기 가압축(56)의 상단을 관통하여 상기 가압축(56)의 상단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상기 기둥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축(76);
    상기 구동축(76)에 설치되고, 일측으로 돌출되게 편심되는 가압블록(57);
    상기 구동축(76)에 연결되고 상기 기둥부재(10)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작업자가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축(76) 및 상기 가압블록(57)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가압블록(57)의 편심부가 상기 가압부재(54)를 상기 흡착패널(52) 측으로 가압시키도록 하는 레버부재(58); 및
    상기 가압부재(54)의 내벽과 상기 흡착패널(52)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압부재(54)를 상기 흡착패널(52)로부터 먼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진단용 통제봉.
KR1020200034694A 2020-03-20 2020-03-20 안전진단용 통제봉 KR102157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694A KR102157640B1 (ko) 2020-03-20 2020-03-20 안전진단용 통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4694A KR102157640B1 (ko) 2020-03-20 2020-03-20 안전진단용 통제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640B1 true KR102157640B1 (ko) 2020-09-18

Family

ID=72670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4694A KR102157640B1 (ko) 2020-03-20 2020-03-20 안전진단용 통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6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795B1 (ko) * 2022-07-29 2023-09-06 (주)미래원씨앤엠 안전진단 시 보행자 통제를 위한 안전봉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583Y1 (ko) * 2003-04-22 2003-07-25 김인수 다목적 차단봉
KR20110010503U (ko) * 2010-05-03 2011-11-09 김민수 안전 차단봉
KR101157800B1 (ko) * 2009-03-31 2012-06-19 광성기업 주식회사 설치 용이성과 시인성이 향상된 교통안전표지판
KR200480144Y1 (ko) * 2015-12-11 2016-04-18 신동오 차단봉
KR101685924B1 (ko) * 2014-10-02 2016-12-13 정기호 안전 차단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583Y1 (ko) * 2003-04-22 2003-07-25 김인수 다목적 차단봉
KR101157800B1 (ko) * 2009-03-31 2012-06-19 광성기업 주식회사 설치 용이성과 시인성이 향상된 교통안전표지판
KR20110010503U (ko) * 2010-05-03 2011-11-09 김민수 안전 차단봉
KR101685924B1 (ko) * 2014-10-02 2016-12-13 정기호 안전 차단봉
KR200480144Y1 (ko) * 2015-12-11 2016-04-18 신동오 차단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795B1 (ko) * 2022-07-29 2023-09-06 (주)미래원씨앤엠 안전진단 시 보행자 통제를 위한 안전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53560B (zh) 用于切断交通工具玻璃面板的设备和方法
KR102157640B1 (ko) 안전진단용 통제봉
WO2007116489A1 (ja) 支持中子及び車両用ホイール
EP1182090B1 (en) Rotary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rotation of housing prior to installation onto steering device
KR100415418B1 (ko) 자동차 윈드 스크린을 커팅-아웃하기 위한 공구
JP4040054B2 (ja) 車止め装置及び該装置用支柱
CN108930232A (zh) 一种车辆拦停带
US7765923B1 (en) Motorized press device for replacing or repairing transmission parts
KR20080008099A (ko)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
JPH0930425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2574795B1 (ko) 안전진단 시 보행자 통제를 위한 안전봉
EP1329342A1 (en) Improved tyre changing machine
CN101222872A (zh) 用于电气设备的电缆的绕线装置
CN217458759U (zh) 一种堆垛机载货台
CN216202190U (zh) 一种便携式汽车充气泵
KR101873874B1 (ko) 와이어 권취용 보빈
KR20030018814A (ko) 이동체용 휠체어 고정장치
CN110450757B (zh) 一种用于汽车的具有缓冲功能的雨滴传感系统
JP2019173276A (ja) 電動式駐輪装置
CN113882301A (zh) 一种清洁设备
KR20080013086A (ko) 전등부 분리식 가로등의 구동권취기
CN101134457A (zh) 一种工业车辆用制动器
CN109183677A (zh) 一种气动车辆拦停机构
CN217938055U (zh) 智能马桶
JP5382318B2 (ja) バキューム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