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8099A -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8099A
KR20080008099A KR1020060067550A KR20060067550A KR20080008099A KR 20080008099 A KR20080008099 A KR 20080008099A KR 1020060067550 A KR1020060067550 A KR 1020060067550A KR 20060067550 A KR20060067550 A KR 20060067550A KR 20080008099 A KR20080008099 A KR 20080008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steering wheel
guide
airbag module
airba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광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7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8099A/ko
Publication of KR20080008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으로써,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을 조향하는 휠 본체와; 상기 휠 본체에 형성된 에어백 설치부에 장착되고 인플레이터와 쿠션 등이 설치된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에어백 커버와; 상기 에어백 커버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에어백 커버와 에어백 설치부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와; 상기 에어백 커버의 일측에서 하향 돌출된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에어백 설치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부와; 상기 가이드 홈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에 의해 온/오프 작동되면서 경적 기구의 전원을 단속하는 경적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휠 본체에 에어백 모듈이 단순한 구조로 설치되어 에어백 모듈의 설치시 작업성이 향상되고, 스티어링 휠의 부품수와 제조 공정수가 감소되며, 휠 본체와 에어백 커버 사이에 부품들의 공차 누적으로 인한 단차와 갭이 제거되어 스티어링 휠의 외관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스티어링 휠, 휠 본체, 에어백 모듈, 마운팅 플레이트, 에어백 커버, 탄성부재, 경적 기구

Description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 {STEERING WHEEL WITH AIR BAG MODULE}
도 1은 종래의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이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에어백 모듈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과 경적 기구의 연결 관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
도 6은 도 5의 A-A 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경적이 울릴 때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스티어링 휠 52: 휠 본체
54: 에어백 설치부 56: 탄성부재
58: 가이드 돌기 60: 가이드 홈부
62: 경적 스위치 70: 에어백 모듈
72: 마운팅 플레이트 72A: 후크
77: 에어백 커버 77A: 후크홀
80: 경적 기구 82: 배터리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의 승강되면서 경적이 울리는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백 모듈이 단순한 구조로 설치되어 스티어링 휠의 부품수가 감소되고, 에어백 모듈을 누르는 조작감이 향상되며, 차량의 주행시 에어백 모듈의 진동이 방지될 수 있는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휠은 차량의 진행방향을 운전자 임의대로 바꾸는 조향장치의 한 부분으로써, 차량의 운전석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는 차량의 충돌 사고시 운전자를 보호하는 에어백 모듈이 장착된다.
상기 에어백 모듈은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순간적으로 쿠션이 팽창되면서 탑승자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데,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어 운전석의 운전자를 보호하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과, 조수석 전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되어 조수석의 승객을 보호하는 조수석 에어백 모듈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의 스티어링 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설치된 스티어링 컬럼의 상단에 연결되어 차량의 조향을 수행하는 휠 본체(2)와, 상기 휠 본체(2)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안착부(3)에 절연 가능하게 안착 고정되고 경적 기구와는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 안착 플레이트(4)와, 상기 안착 플레이트(4)의 상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에어백 모듈(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안착부(3)와 에어백 모듈(6) 사이에는, 상기 에어백 모듈(6)을 탄성적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에어백 모듈(6)의 하강시 상기 안착 플레이트(4)와 안착부(3)를 통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도록 복수개의 코일 스프링(8)을 포함하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휠 본체(2)는 배터리의 음극 전원이 공급되는 차체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안착 플레이트(4)는 상기 휠 본체(2)의 안착부(3)에 절연 가능하게 고정되어 음극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이다.
상기 경적 기구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4)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될 뿐만 아니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양극 전원이 공급되도록 배터리와 연결된다.
따라서, 종래의 스티어링 휠(1)은 상기 에어백 모듈(6)이 운전자에 의해 눌러져 하강되면, 상기 안착 플레이트(4)와 안착부(3)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안착부(3)와 안착 플레이트(4)를 통해 경적 기구에 음극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경적 기구에 의해 경적이 울리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은 상기 경적 기구의 작동을 위해 안착 플레이트(4)와 그 이외의 많은 부품이 사용되므로, 상기 에어백 모듈이 매우 복잡한 구조로 설치되어 에어백 모듈의 설치시 작업성이 저하되고, 상기 스티어링 휠(1)의 부품수가 증가되어 스티어링 휠(1)의 중량과 제조 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휠 본체(2)에 에어백 모듈(6)을 설치하는 데 매우 많은 부품수가 사용되므로, 상기 휠 본체(2)와 에어백 모듈(6) 사이에는 부품들의 공차 누적으로 인해 소정의 크기로 단차 또는 갭이 발생되고, 상기 단차 또는 갭에 의해 스티어링 휠(1)의 외관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에어백 모듈(6)이 코일 스프링(8)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구조이므로, 차량의 주행시 에어백 모듈(6)이 관성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면서 경적 기구가 오작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스프링 상수가 큰 코일 스프링(8)을 사용하게 되면, 차량의 주행 중 에어백 모듈(6)의 진동은 방지되나, 상기 경적 기구의 작동시 에어백 모듈(6)을 누르는 누름력이 증가되어 조작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스티어링 휠의 휠 본체에 에어백 모듈이 단순한 구조로 간편하게 설치됨으로써, 에어백 모듈의 설치시 작업성이 향상되고, 스티어링 휠의 부품수도 감소될 수 있는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백 모듈 중 에어백 커버만 휠 본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에어백 커버가 스프링 상수가 작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에어백 커버의 조작감이 향상되고, 차량의 주행시 에어백 커버의 진동이 감소될 수 있는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휠 본체에 에어백 커버가 직접 설치됨으로써, 부품들의 공차 누적으로 인해 발생되는 휠 본체와 에어백 커버 사이의 단차와 갭이 방지될 수 있는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은,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을 조향하는 휠 본체와; 상기 휠 본체에 형성된 에어백 설치부에 장착되고 인플레이터와 쿠션 등이 설치된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에어백 커버와; 상기 에어백 커버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에어백 커버와 에어백 설치부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와; 상기 에어백 커버의 일측에서 하향 돌출된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에어백 설치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부와; 상기 가이드 홈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에 의해 온/오프 작동되면서 경적 기구의 전원을 단속하는 경적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와 에어백 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가 돌출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후크가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후크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외주에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은 상기 가이드 돌기의 상부에 형성된 단차부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은 상기 가이드 홈부의 상부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부의 내벽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외주에 압착되는 압착돌기가 둘레를 따라 돌출된다.
또한, 상기 경적 스위치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의해 눌러짐에 따라 온/오프 작동되는 누름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적 스위치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 홈부의 내벽에 통전 가능토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경적 기구에 통전 가능토록 연결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에어백 모듈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과 경적 기구의 연결 관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선에 따른 단면이 도시된 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의 경적이 울릴 때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된 스티어링 컬럼의 상단에 연결되어 차량의 조향을 수행하는 휠 본체(52)와, 상기 휠 본체(52)에 형성된 에어백 설치부(54)에 장착되고 인플레이터(73)와 쿠션(74) 등이 설치된 마운팅 플레이트(72)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72)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에어백 커버(77)와, 상기 에어백 커버(77)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에어백 커버(77)와 에어백 설치부(54)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56)와, 상기 에어백 커버(77)의 일측에서 하향 돌출된 가이드 돌기(58)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에어백 설치부(54)에 형성된 가이드 홈부(60)와, 상기 가이드 홈부(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58)에 의해 온/오프 작동되면서 경적 기구(80)의 전원을 단속하는 경적 스위치(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 설치부(54)는 상기 휠 본체(52)의 상면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는 데, 일측에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72)가 체결부재(미도시)로 체결 고정되는 복수개의 체결부(55)가 상향 돌출되고,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부(60)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휠 본체(52)와 에어백 설치부(54)는 차체와 연결된 스티어링 컬럼에 연결되므로, 차체와 동일하게 배터리(82)로부터 음극의 전원이 인가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72), 에어백 커버(77), 인플레이터(73), 쿠션 (74)은 에어백 모듈(70)을 구성하는 부품이다.
즉, 상기 에어백 모듈(70)은 상기 에어백 설치부(54)의 체결부(55)에 체결부재로 체결되도록 하부에 체결홀(71A)이 형성된 체결판(71)이 하향 돌출된 마운팅 플레이트(72)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72)의 중앙에 고정되어 차량의 충돌 사고시 고압의 가스를 발생하는 인플레이터(73)와, 상기 인플레이터(73)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인플레이터(73)의 가스에 의해 운전자의 전방으로 전개되는 쿠션(74)과, 상기 쿠션(74)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된 쿠션 커버(75)와, 상기 쿠션(74)과 쿠션 커버(75)의 일측을 마운팅 플레이트(72)에 고정 지지하는 리테이너(76)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72)의 개방된 상부에 장착되어 스티어링 휠(50)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쿠션(74)의 전개시 쿠션 전개압에 의해 제거되는 에어백 커버(7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플레이터(73)의 외주면에는 차량의 충돌 사고시 고압의 가스를 분출하는 복수개의 가스분출구(73A)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가스분출구(73A)의 하측에는 체결공이 구비된 플랜지(78)가 형성되어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72)에 체결볼트(79)로 체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인플레이터(73)의 플랜지(78), 리테이너(76), 쿠션(74), 및 쿠션 커버(75)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72)에 체결볼트(79)로 함께 체결 고정된다.
상기 쿠션(74)은 상기 인플레이터(73)의 가스분출구(73A)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72)의 내부에 여러 번 폴딩된 구조로 수납된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72)와 에어백 커버(77)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후크(72A)가 돌출되고, 다른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후크(72A)가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복수개의 후크홀(77A)이 형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마운팅 플레이트(72)에 복수개의 후크(72A)가 형성되고, 에어백 커버(77)에 복수개의 후크홀(77A)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후크(72A)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72)의 측면에 복수개가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는 데, 상기 측면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다음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크홀(77A)은 상기 후크(72A)와 대응되는 에어백 커버(77)의 측면에 복수개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데, 상기 후크(72A)가 관통되게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 에어백 커버(77)가 승강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6)는 상기 가이드 돌기(58)의 외주에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으로써, 상단은 상기 가이드 돌기(58)의 상부에 형성된 단차부(58A)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하단은 상기 가이드 홈부(60)의 상부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58)는 상기 에어백 커버(77)에서 원기둥 형상으로 하향 돌출되는 데, 상기 에어백 커버(77)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 돌기(58)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부재(56)의 상단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돌기(58)가 구조적으로 안정화되도록 직경이 단계적으로 확장된 단차부(58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부(60)는 상기 에어백 설치부(54)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보스로써,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돌기(58)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부(60)의 내경은 상기 가이드 돌기(58)의 하부가 원활하게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돌기(58)의 승강시 마찰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58)의 하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부(60)의 상부 외경은 상기 탄성부재(56)의 하단이 상단면에 밀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탄성부재(56)의 하단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부(60)의 상부 내벽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58)의 외주에 압착되는 압착돌기(61)가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적 스위치(62)는 상기 가이드 돌기(58)에 의해 눌러지면서 온/오프 작동되도록 상기 가이드 홈부(60)의 내부에 설치된 누름 스위치로써, 일측이 상기 가이드 홈부(60)의 내벽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경적 기구(80)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경적 스위치(62)가 상기 가이드 돌기(58)에 의해 온/오프 작동되면, 상기 가이드 홈부(60)의 내벽과 경적 기구(80)가 통전 또는 단전되면서 상기 경적 기구(80)의 작동이 조절된다.
한편, 상기 경적 기구(80)는 차량의 주행시 운전자의 의사를 다른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알려주는 기기로써, 차량의 배터리(82)와 연결되어 양극 전원이 입력되고, 상기 경적 스위치(62)와 연결되어 운전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음극 전원 이 입력된다.
즉, 차량의 차체에 배터리(82)의 음극 전원이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휠 본체(52)와 에어백 설치부(54)에는 음극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에어백 설치부(54)에 형성된 가이드 홈부(60)에도 음극 전원이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58)에 의해 경적 스위치(62)가 온 작동되면, 상기 가이드 홈부(60)에서 경적 기구(80)로 음극 전원이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경적 기구(80)가 작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의 작동과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충돌 사고시에는 스티어링 휠(50)에 구비된 에어백 모듈(70)이 작동되는 데, 인플레이터(73)의 가스분출구(73A)를 통해 고압의 가스가 분출되고, 상기의 분출된 가스는 쿠션(74)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쿠션(74)이 운전자 쪽으로 전개된다.
이때, 상기 쿠션(74)이 전개됨에 따라 쿠션 커버(75)가 찢겨짐과 아울러 에어백 커버(77)가 파단되어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전개된 쿠션(74)에 의해 운전자의 충격이 흡수됨으로써 운전자의 상해가 최소화된다.
또한, 평상시에 경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에어백 모듈(70)을 운전자가 누름에 따라 에어백 커버(77)가 에어백 설치부(54)의 상면으로 하강되고, 상기 에 어백 커버(77)가 하강됨에 따라 가이드 돌기(58)도 하측으로 하강되어 상기 에어백 설치부(54)의 가이드 홈부(60)에 깊숙이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 홈부(60)로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58)에 의해 경적 스위치(62)가 눌러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백 커버(77)는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 돌기(58)와 가이드 홈부(60)에 의해 승강 동작이 안내될 뿐만 아니라, 측면에 형성된 후크홀(77A)과 마운팅 플레이트(72)의 후크(72A)에 의해 승강되는 높이가 한정된다.
상기와 같이 에어백 커버(77)에 의해 경적 스위치(62)가 눌러지게 되면, 상기 경적 스위치(62)는 온 작동되어 상기 가이드 홈부(60)의 내벽과 경적 기구(80)는 통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경적 기구(80)는 배터리(82)로부터 양극 전원이 인가된 상태이고, 상기 휠 본체(52)와 에어백 설치부(54) 및 가이드 홈부(60)는 배터리(82)로부터 음극 전원이 인가된 차체와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가이드 홈부(60)에서 경적 기구(80)로 음극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경적 기구(80)가 작동된다.
물론, 상기 에어백 커버(77)에 작용되는 누름력이 제거되면,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에어백 커버(77)가 상측으로 상승되되, 상기 에어백 커버(77)의 후크홀(77A)이 마운팅 플레이트(72)의 후크(72A)에 걸림되어 상기 에어백 커버(77)가 초기 위치까지만 상승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티어링 휠(50)은, 상기 가이드 돌기(58)와 가이드 홈부(60)에 의해 에어백 커버(77)가 에어백 설치부(54)에 직접 설치되므로 부품 간의 공차 누적이 작으며, 상기 에어백 커버(77)만이 탄성부재(56)에 의해 탄성 적으로 지지되므로 작은 스프링 상수의 탄성부재(56)가 사용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은, 휠 본체의 에어백 설치부에 경적 스위치가 내삽된 가이드 홈부가 형성되고 마운팅 플레이트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에어백 커버에 가이드 홈부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가 돌출되며 에어백 커버와 에어백 설치부 사이에 탄성부재가 탄성적으로 설치되므로, 휠 본체에 에어백 모듈이 단순한 구조로 설치되어 에어백 모듈의 설치시 작업성이 향상되고, 스티어링 휠의 부품수와 제조 공정수가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휠 본체에 에어백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부품수가 감소됨과 아울러 에어백 설치부에 에어백 커버가 직접 설치되므로, 스티어링 휠의 중량과 제조 원가가 저감되고, 휠 본체와 에어백 커버 사이에 부품들의 공차 누적으로 인한 단차와 갭이 제거되어 스티어링 휠의 외관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휠 본체의 에어백 설치부에 에어백 모듈의 에어백 커버만 탄성부재에 의해 승강 가능토록 지지되므로, 에어백 모듈 전체가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종래의 구조보다 작은 스프링 상수의 탄성부재가 사용되기 때문에 에어백 커버의 누름시 조작감이 향상되고, 차량의 주행시 에어백 커버의 관성이 작기 때문에 에어백 커버의 진동이 감소되어 경적 기구의 오작동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을 조향하는 휠 본체와;
    상기 휠 본체에 형성된 에어백 설치부에 장착되고 인플레이터와 쿠션 등이 설치된 마운팅 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에어백 커버와;
    상기 에어백 커버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에어백 커버와 에어백 설치부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와;
    상기 에어백 커버의 일측에서 하향 돌출된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에어백 설치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부와;
    상기 가이드 홈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에 의해 온/오프 작동되면서 경적 기구의 전원을 단속하는 경적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와 에어백 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가 돌출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후크가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후크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외주에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은 상기 가이드 돌기의 상부에 형성된 단차부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은 상기 가이드 홈부의 상부에 밀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부는 상기 가이드 돌기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부의 내벽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의 외주에 압착되는 압착돌기가 둘레를 따라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적 스위치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의해 눌러짐에 따라 온/오프 작동되는 누름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경적 스위치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 홈부의 내벽에 통전 가능토록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경적 기구에 통전 가능토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
KR1020060067550A 2006-07-19 2006-07-19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 KR200800080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550A KR20080008099A (ko) 2006-07-19 2006-07-19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550A KR20080008099A (ko) 2006-07-19 2006-07-19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099A true KR20080008099A (ko) 2008-01-23

Family

ID=39221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550A KR20080008099A (ko) 2006-07-19 2006-07-19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809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19952A (zh) * 2009-09-16 2011-04-20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公司 车辆的转向装置
KR20120047680A (ko) * 2010-11-04 2012-05-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
KR20150136203A (ko) * 2014-05-26 2015-12-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핸들장치
CN105216732A (zh) * 2008-09-16 2016-01-06 丰田合成株式会社 带有气囊装置的转向盘及其装配方法
KR20170011399A (ko) * 2015-07-22 2017-0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향휠 에어백 장치
CN108216105A (zh) * 2016-12-14 2018-06-29 奥托立夫开发公司 车辆的安全气囊模块
KR20210006316A (ko) * 2014-05-26 2021-0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핸들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16732A (zh) * 2008-09-16 2016-01-06 丰田合成株式会社 带有气囊装置的转向盘及其装配方法
CN102019952A (zh) * 2009-09-16 2011-04-20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公司 车辆的转向装置
KR20120047680A (ko) * 2010-11-04 2012-05-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구조물
KR20150136203A (ko) * 2014-05-26 2015-12-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핸들장치
KR20210006316A (ko) * 2014-05-26 2021-0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핸들장치
KR20170011399A (ko) * 2015-07-22 2017-0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향휠 에어백 장치
CN108216105A (zh) * 2016-12-14 2018-06-29 奥托立夫开发公司 车辆的安全气囊模块
CN108216105B (zh) * 2016-12-14 2021-08-31 奥托立夫开发公司 车辆的安全气囊模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8099A (ko)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
KR100506720B1 (ko) 커튼 에어백 장착 차량의 필러트림 설치 구조
KR20030090668A (ko) 차량의 안전 장치
KR100522872B1 (ko) 에어백 케이스의 조립구조
US6908102B2 (en) Airbag apparatus
KR20080017725A (ko) 혼 스위치 겸용 운전석 에어백
JP2009262785A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1341605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629340B1 (ko) 혼 스위치 겸용 에어백장치
KR20080008096A (ko) 에어백 모듈을 갖는 스티어링 휠
JP4227750B2 (ja)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20080026822A (ko)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장착구조
KR100698720B1 (ko) 운전석 에어백과 스티어링 휠의 마운팅구조
KR100616437B1 (ko) 에어백모듈장치
KR100547298B1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JP4337564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CN214728657U (zh) 立柱组件以及具有其的车辆
KR20080008110A (ko) 차량의 혼 스위치
KR101263034B1 (ko) 에어백 조립체
JP3967912B2 (ja) エアバッグ装置付き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0452846B1 (ko) 차량용 에어백 하우징
KR100315567B1 (ko) 루프 에어백이 장착된 자동차의 프론트 시트의 구조
KR20070121231A (ko) 혼 스위치 겸용 운전석 에어백
KR100538618B1 (ko) 운전석 에어백모듈의 설치구조
JP2015037913A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