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8283A -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부를 가지는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부를 가지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8283A
KR20110098283A KR1020100017827A KR20100017827A KR20110098283A KR 20110098283 A KR20110098283 A KR 20110098283A KR 1020100017827 A KR1020100017827 A KR 1020100017827A KR 20100017827 A KR20100017827 A KR 20100017827A KR 20110098283 A KR20110098283 A KR 20110098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urface
slide
guide
deflection
slid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 상 이
Original Assignee
한 상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 상 이 filed Critical 한 상 이
Priority to KR1020100017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98283A/ko
Priority to US13/027,684 priority patent/US20110211779A1/en
Priority to CN2011100479633A priority patent/CN102170487A/zh
Publication of KR20110098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슬라이드체가 가이드면 둘레를 따라 이동하면서 왕복 이동 동력을 얻는 슬라이드 모듈이 개시된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제1가이드면과 제2가이드면이 하나의 일주 트랙을 형성하는 가이드구조부, 상기 일주 트랙을 따라 일주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슬라이드체, 상기 제1가이드면이 있는 쪽으로 향하는 제1편향가압면을 구비하는 제1편향가압부재와,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를 상기 제1가이드면을 향해 가압하는 제1가압수단을 가지는 제1편향가압구 및 상기 제2가이드면이 있는 쪽으로 향하는 제2편향가압면을 구비하는 제2편향가압부재와 상기 제2편향가압부재를 상기 제2가이드면을 향해 가압하는 제2가압수단을 가지는 제2편향가압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는 상기 슬라이드체가 외력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1편향가압면 사이로 진입하면 상기 제1가압수단이 제공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체를 상기 제1가이드면에 대해 편향가압하고, 상기 제2편향가압부재는 상기 슬라이드체가 외력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면과 상기 제2편향가압면 사이로 진입하면 상기 제2가압수단이 제공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체를 상기 제2가이드면에 대해 편향가압 하는 구성을 가진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부를 가지는 장치{Slide module and apparatus with slide part uti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부를 가지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이드면과 기구적 작동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이동 동력을 얻는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부를 가지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형 전화기, 휴대형 게임기, 피디에이, 전자수첩, 전자사전, 노트북, 넷북 등의 휴대형 단말기 형태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플립 타입, 바 타입, 폴더 타입의 휴대형 전화기가 알려져 있고, 슬라이드 타입 휴대형 전화기도 제품화되어 시중에 널리 유통되고 있다.
벽면을 이용하여 이동 동력을 얻는 기존 방식은 일측의 슬라이딩 플레이트에는 경사진 부분을 가지는 가이드 레일 등을 형성하고, 타측의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스프링에 의해 가이드레일의 경사진 측면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슬라이더 등을 설치하여 가이드레일에 대한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이동 동력을 얻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위에서설명한바와같은벽면을이용하여이동동력을얻는기존방식은US7,184,806B2(Chul-HoBae,2007.2.27등록)및US7,257,432B2(Ling-HanNan,2007.8.14.등록)에개시되어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벽면을 이용하여 이동 동력을 얻는 기존 방식은 슬라이더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개방하였다가 다시 닫기 위해 복귀시키는 과정에서 전체 이동구간의 1/2은 외력을 가해야만 한다.
또한 상기의 기존의 방식은 벽면을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품의 제작이 까다롭다.
또한 상기의 기존의 방식은 슬라이더의 이동거리를 길게 하기 위해서는 벽면의 경사를 작게 주어야 하는 데, 이 경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힘이 줄어들고, 슬라이더의 이동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벽면의 경사를 많이 주어야 하는 데, 이 경우에는 슬라이더를 이동시킬 수 있는 거리가 작아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벽면을 슬라이더의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품의 제작이 까다롭다.
또한 기존의 방식은 해당위치에서 스프링에 의해 벽면에 가해지는 힘은 슬라이더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개방하는 과정이나 복귀시키는 과정에 상관없이 동일하다. 이에 따라 기존 방식은 슬라이더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의 이동력과 복귀시킬 때의 이동력을 달리 적용할 필요가 있는 곳, 예를 들면 슬라이더에 중력이 작용하는 상하 개폐식 도어 등에는 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방식은 슬라이더를 일 방향으로 이동 후 복귀 시 일 방향으로 이동 할 때의 그 벽면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일 방향 이동과 복귀의 동작과정은 서로 반대로 진행된다. 이에 따라 기존의 방식으로는 슬라이더가 개방 시에는 일 지점에서 멈추고 복귀 시에는 그 지점에서 멈추지 않도록 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 방향으로 이동 후 다시 복귀하는 전체 이동구간의 1/2보다 훨씬 작은 일부 구간에서만 외력을 가하여도 슬라이드체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켰다가 다시 복귀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드체의 이동방향에 대한 가이드면의 경사여부에 상관없이 슬라이드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드체가 일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용하는 가이드면과 복귀할 때 이용하는 가이드면을 달리 함으로써 이동 및 복귀 시의 대응 위치에서 스프링에 의해 가이드면에 가해지는 힘, 이동 경로, 정지 위치 등을 달리 적용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 물건이나 장치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필요한 곳에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슬라이드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방식에 비해 슬라이드체의 이동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으면서도 큰 힘으로 슬라이드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는 목적은 슬라이드체가 일주 트랙을 따라 일주 운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대상물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모듈을 이용한 슬라이드부를 가지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은 제1가이드면과 제2가이드면이 하나의 일주 트랙을 형성하는 가이드구조부, 상기 일주 트랙을 따라 일주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슬라이드체, 상기 제1가이드면이 있는 쪽으로 향하는 제1편향가압면을 구비하는 제1편향가압부재와,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를 상기 제1가이드면을 향해 가압하는 제1가압수단을 가지는 제1편향가압구 및 상기 제2가이드면이 있는 쪽으로 향하는 제2편향가압면을 구비하는 제2편향가압부재와 상기 제2편향가압부재를 상기 제2가이드면을 향해 가압하는 제2가압수단을 가지는 제2편향가압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는 상기 슬라이드체가 외력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1편향가압면 사이로 진입하면 상기 제1가압수단이 제공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체를 상기 제1가이드면에 대해 편향가압하고, 상기 제2편향가압부재는 상기 슬라이드체가 외력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면과 상기 제2편향가압면 사이로 진입하면 상기 제2가압수단이 제공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체를 상기 제2가이드면에 대해 편향가압 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슬라이드체가 상기 일주 트랙의 일측 단부에 정지해 있는 제1정지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1편향가압면 사이로 진입하면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는 상기 제1가이드면에 대해 후퇴 하였다가 상기 제1가압수단이 제공하는 가압력에 의해 원상 복귀하면서 상기 슬라이드체를 편향가압하여 상기 제1가이드면을 따라 상기 일주 트랙의 타측 단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슬라이드체가 상기 일주 트랙의 타측 단부에 정지해 있는 제2정지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면과 상기 제2편향가압면 사이로 진입하면 상기 제2편향가압부재는 상기 제2가이드면에 대해 후퇴 하였다가 상기 제2가압수단이 제공하는 가압력에 의해 원상 복귀하면서 상기 슬라이드체를 편향가압하여 상기 제2가이드면을 따라 상기 일주 트랙의 일측 단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체가 상기 일주 트랙의 일측 단부에 정지해 있는 제1정지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1편향가압면 사이로 진입하면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는 상기 제1가이드면에 대해 후퇴 하였다가 상기 제1가압수단이 제공하는 가압력에 의해 원상 복귀하면서 상기 슬라이드체를 편향가압하여 상기 제1가이드면을 따라 상기 일주 트랙의 타측 단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슬라이드체가 상기 일주 트랙의 타측 단부에 정지해 있는 제2정지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면과 상기 제2편향가압면 사이로 진입하면 상기 제2편향가압부재는 상기 제2가이드면에 대해 후퇴 하면서 상기 제2가압수단이 제공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체를 편향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드체가 상기 제2가이드면을 따라 상기 일주 트랙의 일측 단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힘을 작용시키고 상기 슬라이드체가 외력에 의해 상기 방해하는 힘을 이기고 상기 제1정지상태로 빠져나가면 원상복귀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면은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선형이동구간과 이의 양끝에서 절곡되거나 스무스하게 굽은 형태로 연결된 방향전환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면의 상기 방향전환구간끼리 연결되어 육상 트랙 또는 유사 육상 트랙과 닮은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 또는 상기 제2편향가압부재는 상기 가이드구조부의 단부와 이격된 일 지점에서 또는 한정된 구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상기 마주보는 가이드면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상기 슬라이드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마주보는 가이드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벌어지는 각도가 변동되면서 상기 슬라이드체를 상기 마주보는 가이드면에 대하여 일측으로 편향되게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제1가이드면이 끝나는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드체를 상기 제2가이드면 쪽으로 밀어서 이동시킨 후 상기 제2편향가압부재의 일측에 대해 가압하여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주기 위한 제1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편향가압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제2가이드면이 끝나는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드체를 상기 제1가이드면 쪽으로 밀어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의 일측에 대해 가압하여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주기 위한 제2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일주 트랙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드체가 정지상태로 머무르다가 외력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 사이 또는 상기 제2가이드면과 상기 제2편향가압부재 사이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기 외력작용구간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2가이드면 사이를 따라 제1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드체와 연결된 채 상기 제1안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체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드체가 상기 제1및 제2가이드면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일주하도록 가이드해주는 제1안내부재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가이드구조부는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면의 상부를 그 일부로서 포함하면서 덮는 이탈방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1부재의 표면과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면을 따라 측면홈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체는 그 일부가 상기 측면홈 속에 삽입되어 구속된 상태로 활주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가이드구조부가 설치되는 제1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제1편향가압구, 상기 제2편향가압구 및 상기 슬라이드체를 두고 상기 제1부재에 결합되는 제2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부재의 결합체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체의 동력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제1가이드면 및 상기 제2가이드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길이 방향의 양측을 따라서는 제2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안내부에는 제2안내부재가 상기 개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제2안내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드체가 상기 제2안내부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체는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제2안내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 또는 상기 제2가압부재의 일측 단부에는 2이상의 돌기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구조부의 적어도 일측 단부 쪽에는 상기 가이드구조부와 이격한 위치에 상기 2이상의 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를 받는 돌기안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안내부는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 또는 상기 제2편향가압부재가 한정된 구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꺾임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슬라이드체는 상기 일주 트랙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이동할 때 상기 타측 단부의 정점을 통과한 다음 정지하고, 상기 일주 트랙의 타측 단부에서 일측 단부로 이동할 때 상기 일측 단부의 정점을 통과한 다음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와 제2편향가압부재는 각각 그의 상단과 하단이 상기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2가이드면의 상단과 하단을 지나 더 길게 연장되고, 상기 더 길게 연장된 부분들이 상기 슬라이드체를 상기 일주 트랙의 양단에서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가압수단과 상기 제2 가압수단은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인 것이 좋다.
상기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2가이드면은 그 측면을 따라 형성된 홈 또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홈 또는 돌기에 결합되어 안내를 받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은 가이드면을 가지는 가이드구조부, 상기 가이드면을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된 슬라이드체 및 상기 가이드면이 있는 쪽으로 향하는 편향가압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면과 이격된 일 지점을 중심으로 또는 한정된 구간 안에서 이동되면서 회동 가능케 설치된 편향가압부재와 상기 편향가압부재를 상기 가이드면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가지는 편향가압구를 포함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편향가압면과 상기 가이드면 사이에 상기 슬라이드체가 삽입되면 상기 편향가압부재는 상기 가이드면에 대해 경사지게 벌어지는 각도가 변동되면서 상기 가압수단이 제공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체를 상기 가이드면에 대하여 일측으로 편향되게 가압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체를 상기 가이드면과 적게 벌어진 제1위치에서 많이 벌어진 제2위치로 상기 가이드면을 따라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을 작용시키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면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편향가압구는 상기 가이드구조부 둘레를 따라 2이상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면은 원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편향가압구는 상기 가이드구조부 둘레를 따라 2이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체는 간격을 두고 2이상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부를 가지는 장치는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슬라이드 모듈,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슬라이드체 또는 상기 슬라이드체에 연결된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체의 이동에 따라 선형적인 왕복운동을 하거나 소정의 폐경로를 따라 일주 운동을 하거나 회전하는 운동부재 및 상기 운동부재가 상기 슬라이드체의 이동에 따라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은 종래에 비해 월등히 작은 일부 구간에서만 외력을 가하여 슬라이드체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복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은 슬라이드체를 가이드구조부 둘레를 따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은 편향가압부재가 회동되면서 슬라이드체를 밀어주기 때문에 종래의 방식에 비해 슬라이드체를 이동시키는 힘과 거리가 증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은 슬라이드체가 일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용하는 가이드면과 복귀할 때 이용하는 가이드면이 다르기 때문에 슬라이드체의 동작과정, 슬라이드체를 이동시키는 힘과 경로를 서로 달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은 제2부재 등을 한쪽 부재에 부착한 상태에서 슬라이드체 또는 슬라이드체에 연결된 부분을 스크루 등으로 다른 부재에 연결하기만 하면 두 부재 서로 간에 슬라이드 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 물건이나 장치의 구조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필요한 곳에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은 종래의 방식에 비해 슬라이드체의 이동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으면서도 큰 힘으로 슬라이드체를 이동시킬 수 있고, 가이드면을 경사지게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을 제작하기도 쉽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은 이동대상물을 제자리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도 1 슬라이드 모듈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 슬라이드 모듈의 제1부재에서 제2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 슬라이드 모듈의 분리 사시도,
도 5 내지 도 10은 도 1 슬라이드 모듈의 작동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도 1 슬라이드 모듈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와 13은 도 1 슬라이드 모듈의 또 다른 변형 예들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도 1 슬라이드 모듈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도 15 슬라이드 모듈의 저면 사시도,
도 17은 도 15 슬라이드 모듈의 내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8은 도 15 슬라이드 모듈의 분리 사시도,
도 19는 도 18 슬라이드 모듈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0은 도 1 내지 4에 나타낸 슬라이드 모듈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1은 도 1 내지 4에 나타낸 슬라이드 모듈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이 사용된 휴대형 전자기기의 평면도,
도 23은 도 22의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리사시도,
도 24는 도 23 휴대형 전자기기를 상하로 뒤집은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이 서랍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이 회동 개폐식 문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8은 가이드구조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9는 가이드면과 슬라이드체의 변형 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2는 도 5에 나타낸 슬라이드 모듈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도 1 슬라이드 모듈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 슬라이드 모듈의 제1부재에서 제2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 슬라이드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100)은 판상의 제1부재(110)를 구비한다. 제1부재(110)의 중앙부에는 가이드면을 가지는 가이드구조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구조부(120)는 바람직하게 두 개의 곡선구간(또는 방향전환구간) 가이드면과 두 개의 직선구간(또는 선형이동구간) 가이드면이 서로 연결되어 육상 트랙 모양(두 직선구간 가이드면 간의 폭에 비해 그 직선구간의 가이드면의 길이가 훨씬 더 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가이드면은 작동 메커니즘을 고려할 때 두 직선구간의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된 제1가이드면(122)과 제2가이드면(124)으로 구분된다. 이 제1가이드면(122)과 제2가이드면(124)은 제1부재(110)의 표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두 가이드면(122, 124)의 양쪽 단부를 곡선구간 가이드면으로 만든 이유는 슬라이드체(130)가 정지상태에 있다가 외력에 의해 미끄러져 이동하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므로, 이러한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면 다른 형상으로 만들 수도 있다.
이 실시 예에서, 가이드구조부(120)는 바람직하게 제1부재(110)의 중앙부에 형성된 것이 예시되었지만, 중앙이 아닌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판상의 제1부재(110)가 아닌 다른 형태의 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면(122)과 제2가이드면(124)의 양 단부에는 상단에서 제1정지상태로 구속되는 슬라이드체(130)를 제1가이드면(122)과 제1편향가압부재(151a) 사이로 그리고 하단에서 제2정지상태로 있는 슬라이드체(130)를 제2가이드면(124)과 제2편향가압부재(151b) 사이로 각각 삽입시키기 위한 외력이 작용되어야 하는 외력작용구간(126a, 126b)이 구비되는 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이 외력작용구간(126a, 126b)에서는 슬라이드체(130) 또는 슬라이드체(130)에 연결부재(132)를 통해 연결된 제1안내부재(134)를 통해 슬라이드체(13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진다. 이 외력작용구간(126a, 126b)은 종래의 슬라이드 모듈에서의 외력작용구간에 비해 매우 짧다.
여기에서, 슬라이드체(130)는 제1정지상태에서 제2정지상태로 이동할 때 트랙의 하단면의 정점을 통과한 다음 제2정지상태에 이르고, 제2정지상태에서 제1정지상태로 이동할 때에는 트랙의 상단면의 정점을 통과한 다음 제1정지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하에서, 슬라이드체(130)가 트랙 둘레를 따라 일주하는 것인 경우 일주 트랙이라고도 칭한다.
제1가이드면(122)과 제2가이드면(124) 사이로는 통공 형태의 제1안내부(1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안내부(128)는 제1안내부재(134)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을 주된 역할로 한다. 또한 그에 병행하여 슬라이드체(130)가 외부의 이동대상 물체와 결합 내지 연결(이 연결에 의해 슬라이드체(130)의 이동력이 이동대상 물체에 전달됨)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역할도 한다. 이러한 연결 통로는 다른 형태로 마련할 수도 있으므로 제1안내부(128)는 반드시 통공형태로 형성되어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안내부(128)는 제1안내부재(134)에 안내홈 형태로 형성하고, 제2부재(170)에 연결 통로용 통공을 형성하는 방안이 가능하다. 다른 방안으로서, 제1안내부(128)를 제1부재(160)가 아닌 제2부재(170)에 통공형태로 마련하는 것이다. 또 다른 방안으로서, 제2부재(170) 없이 제1부재(110)가 직접 이동대상 물체의 일측에 부착되는 경우 그 이동대상 물체의 표면에 제1안내부(128)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안내부(128)의 상단 좌측과 하단 우측, 즉 제1편향가압부재(151a)의 일단 부근과 제2편향가압부재(151b)의 일단 부근에 통공 형태의 돌기안내부 (112a, 112b)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돌기안내부(112a, 112b)의 바깥쪽 단부 부근에 제1가압수단(152a)과 제2가압수단(152b)을 구성하는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114a, 114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돌기안내부(112a, 112b)들은 뒤에서 설명되는 제1편향가압부재(151a)와 제2편향가압부재(151b)의 회동동작을 한정하여주기 위한 것으로, 제1편향가압부재(151a)와 제2편향가압부재(151b)가 한정된 구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꺾임부(113a, 113b)를 구비한다. 이 꺾임부(113a, 113b)가 있음으로 해서 제1편향가압부재(151a)와 제2편향가압부재(151b)는 필요한 위치에서 각각 회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편향가압부재(151a)와 제2편향가압부재(151b)는 각각 마주보는 제1가이드면(122) 및 제2가이드면(124)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슬라이드체(130)의 위치에 따라 마주보는 제1가이드면(122) 및 제2가이드면(124)에 대하여 경사지게 벌어지는 각도가 변동되면서 슬라이드체(130)를 마주보는 제1가이드면(122) 및 제2가이드면(124)에 대하여 일측으로 편향되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도 3과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편향가압부재(151a)의 타단에는 제1굴곡부(151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굴곡부(151c)는 제1가이드면(122)이 끝나는 위치에서 슬라이드체(130)를 제2가이드면(124) 쪽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슬라이드체(130)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제1굴곡부(151c)가 없어도 슬라이드체(130)의 중심이 제2가이드면(124)쪽으로 치우칠 수 있지만, 슬라이드체(130)가 커지면 다른 부품의 크기와 이동시키기 위한 힘도 커져야 한다. 제1굴곡부(151c)는 또한 슬라이드체(130)를 제2편향가압부재(151b)의 일측에 대해 가압하여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주는 역할도 한다. 물론, 제1굴곡부(151c)가 슬라이드체(130)를 반드시 제2편향가압부재(151b)의 일측에 대해 가압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주변에 다른 구조물을 형성하고 거기에 대해 가압하여 슬라이드체(13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주어도 된다. 이는 제2굴곡부(151d)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슬라이드체(130)가 움직이면 슬라이드체(130)에 연결된 다른 부품이나 이동대상 물체도 움직이게 되고, 이는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슬라이드체(130)를 움직이지 못하게 잡아주는 것은 중요하다. 물론, 반드시 슬라이드체(13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주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슬라이드체(130)가 움직이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편향가압부재(151b)의 타단에는 제2가이드면(124)이 끝나는 위치에서 슬라이드체(130)를 제1가이드면(122) 쪽으로 밀어서 이동시킨 후 제1편향가압부재(151a)의 일측에 대해 가압하여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주기 위한 제2굴곡부(151d)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100)은 슬라이드체(130)를 구비한다. 이 슬라이드체(130)는 가이드구조부(120) 둘레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케 설치되는 것이다. 이 실시 예에서는 제1가이드면(122)을 따라 제1방향(도면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가 제1안내부(128)의 하단부에서 180도 회동한 다음 제2가이드면(124)을 따라 제2방향(도면에서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안내부(128)의 상단부에서 다시 회동하여 원래의 제자리로 복귀한다. 이 슬라이드체(130)로는 원형의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 타원형, 계란형, 쐐기형이나 삼각형 등 여타의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체(130)는 연결부재(132)를 통해 제1안내부재(134)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1안내부(128)의 양 단부에서 일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제1안내부(128)의 양 단부에서 슬라이드체(130)가 회동될 수 있기 위해서는 제1안내부재(134)가 제1안내부(128)에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되거나 연결부재(132)가 제1안내부재(134)에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면 된다. 슬라이드체(130)는 마주보는 가이드면에 밀착될 수 있게 연결부재(132)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100)은 슬라이드체(130)를 가이드면을 향해 일 방향으로 편향되게 가압하기 위한 편향가압구를 구비한다.
편향가압구는 편향가압부재를 구비한다. 이 편향가압부재는 가이드면과 이격된 지점의 한정된 구간 안에서 즉, 돌기안내부(112a, 112b)를 따라 이동되면서 회동 가능케 설치된다. 이 편향가압부재는 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슬라이드체(130)의 위치에 따라 가이드면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벌어지는 각도가 변동되면서 슬라이드체(130)를 가이드면에 대하여 일측으로 편향되게 가압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체(130)는 가이드면과 적게 벌어진 제1위치에서 많이 벌어진 제2위치로 가이드면을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슬라이드체(130)의 이동은 슬라이드체(130), 편향가압구 및 가이드면 상호간의 협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편향가압구는 또한 편향가압부재를 가이드면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가진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이 실시 예에서, 편향가압구는 슬라이드체(130)를 제1가이드면(122)에 대해 가압하여주기 위한 제1편향가압구(150a)와 제2가이드면(124)에 대하여 가압하여주기 위한 제2편향가압구(150b)로 구성된다.
제1편향가압구(150a)는 제1편향가압부재(151a)와 제1가압수단(152a)을 구비한다. 제2편향가압구(150b)도 마찬가지로 제2편향가압부재(151b)와 제2가압수단(152b)을 구비한다. 제1편향가압부재(151a)와 제2편향가압부재(151b)는 공히 제1가이드면(12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세로부와 이 세로부의 상단과 중단에서 가로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제1가로부 및 제2가로부(돌출부: 155a, 155b)가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서, 대략 F자 모양을 이룬다. 또한, 제1편향가압부재(151a)와 제2편향가압부재(151b)는 상기 세로부와의 경계지점 부근의 제1가로부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돌기(154a, 154b)를 가진다. 제1편향가압부재(151a)와 제2편향가압부재(151b)는 가이드구조부(120)를 사이에 두고 서로의 세로부가 등을 마주하면서 배치되는데, 이 때 그 세로부의 한쪽 면(등)이 편향가압면(153a)이 되는 것이다.
가압수단(152a, 152b)은 편향가압부재(151a, 151b)를 통해 전해지는 외력에 의해 수축되었다가 자체의 탄성에 의해 복원되는 과정에서 그 편향가압부재(151a, 151b)에 가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스프링, 여러 가지 형태로 설계된 탄성부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스프링으로 구현된 가압수단(152a, 152b)의 경우, 그의 양쪽 끝은 연결돌기(154a, 154b)와 지지돌기(114a, 114b)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제1편향가압부재(151a)와 제2편향가압부재(151b)에서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돌출부(155a, 155b)들은 가압수단(152a, 152b)으로부터 가압력을 받을 때 제1편향가압부재(151a)와 제2편향가압부재(151b)가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고 제1부재(110)에 바닥면에서 안정된 회동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1편향가압구(150a)와 제2편향가압구(150b)의 가압수단으로 사용하는 스프링의 크기나 개수, 지지 위치 등을 서로 달리 적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가이드면이나 편향가압면의 거칠기, 경사도 등을 달리 적용하여 본 발명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편향가압부재(151a)와 제2편향가압부재(151b)는 그의 제1가로부의 하면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156a-1, 156a-2)와 (156b-1, 156b-2)를 각각 갖는다. 한 쌍의 돌기(156a-1, 156a-2)는 이격된 채 돌기안내부(112a)에 결합되며, 하나의 돌기(156a-1)는 돌기안내부(112a)의 직선구간의 대략 절반에서만 이동할 수 있고 나머지 하나의 돌기(156a-2)는 그 직선구간의 나머지 일부 구간과 꺾임부(113a) 전 구간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돌기(156a-2)가 꺾임부(113a)의 끝부분에 위치할 때에는(도 5 참조) 제1편향가압부재(151a)의 세로부 즉, 편향가압면(153a)은 제1가이드면(122)과 거의 나란히 접해있는 상태이다. 그 상태에서, 외력이 인가되어 슬라이드체(130)가 편향가압면(153a)과 제1가이드면(122) 사이로 파고들어옴에 따라 돌기(156a-2)는 꺾임부(113a)를 전부 지나 돌기안내부(112a)의 직선구간의 대략 절반 부근까지 이동하였다가(이 때 돌기(156a-1)는 돌기안내부(112a)의 직선구간의 단부 근처까지 이동함) 다시 후퇴하여 원래의 자리로 돌아온다. 이 과정에서 제1편향가압부재(151a)는 소정 각도 회동하였다가(이 상태에서는 편향가압면(153a)과 제1가이드면(122) 간의 간격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점점 더 넓게 벌어짐) 다시 편향가압면(153a)이 제1가이드면(122)과 나란히 접하는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오게 된다(도 6-8 참조). 다른 한 쌍의 돌기(156b-1, 156b-2)도 위와 동일한 이동을 한다.
제1편향가압구(150a)의 제1편향가압부재(151a)는 제1가이드면(122)과 마주보는 편향가압면(153a)을 구비한다. 이 편향가압면(153a)은 제1가이드면(122)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슬라이드체(130)를 제1가이드면(122)에 대해 편향되게 가압하여 슬라이드체(130)를 제1가이드면(122)과 적게 벌어진 위치에서 많이 벌어진 위치로 제1가이드면(122)을 따라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편향가압부재(151a)는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는 제1가압수단(152a)에 의해 제1가이드면(122)을 향해 가압된다. 제2편향가압구(150b)의 제2편향가압부재(151b)는 제2가이드면(124)과 마주보는 편향가압면(153b)을 구비한다. 이 제2편향가압부재(151b)의 편향가압면(153b)은 제2가이드면(124)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슬라이드체(130)를 제2가이드면(124)에 대해 편향되게 가압하여 슬라이드체(130)를 제2가이드면(124)과 적게 벌어진 위치에서 많이 벌어진 위치로 제2가이드면(124)을 따라 제2방향으로 이동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편향가압부재(151b)는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는 제2가압수단(152b)에 의해 제2가이드면(124)을 향해 가압된다. 도 1 내지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 예에서는 제1가압수단(152a)과 제2가압수단(152b)을 구성하는 각 스프링은 바람직하게 제1편향가압부재(151a) 및 제2편향가압부재(151b)의 일단으로 치우친 위치, 즉, 슬라이드체(130)가 정지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제1가이드면(122) 및 제2가이드면(124)과의 사이에 삽입되어 이동을 시작하는 쪽을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편향가압면(153a, 153b)은 마주보는 가이드면과 사이에 슬라이드체(130)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마주보는 가이드면에 밀착되거나 약간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제1가압수단(152a)과 제2가압수단(152b)은 U자 모양의 스프링이 사용되었지만, 다른 모양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탄성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하로 중첩된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특수한 경우에는 제1가압수단(152a)과 제2가압수단(152b)으로는 가스 스프링이나 다른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작기계 등 일반 산업기계에서는 솔레노이드기구, 유압실린더기구, 공압실린더기구 등의 실린더기구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100)은 제2부재(170)를 구비한다. 이 제2부재(170)는 제1부재(110)와의 사이에 앞에서 설명한 제1편향가압부재(151a), 제2편향가압부재(151b), 슬라이드체(130)를 두고 제1부재(110)에 결합되어 이들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결합체(110a)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1부재(110)와 제2부재(170)를 결합하여 결합체(110a)를 형성하는 경우, 결합체(110a)의 적어도 일측에는 슬라이드체(130)의 동력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개방부는 제1부재(110)나 제2부재(170) 어디에도 형성될 수 있다. 두께 방향으로 여유가 있는 어떤 경우에는 제1부재(110)와 제2부재(170)가 연결되는 일 측면부에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편향가압구(150a)와 제2편향가압구(150b)는 제1부재(110) 또는 제2부재(170) 어느 쪽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양쪽 모두에 지지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특수한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100)이 장착되는 부재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제1편향가압구(150a)와 제2편향가압구(150b)가 단지 제1가이드면(122) 및 제2가이드면(124)과의 위치관계를 이 실시 예들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100)을 도 1과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원하는 두 부재들 사이에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제2부재(170) 없이도 본 발명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100)은 제2부재(170) 없이 슬라이드체(130) 등을 제1편향가압부재(151a) 등을 부착하기 위한 곳을 향하는 안쪽으로 두고 제1부재(110)를 필요한 곳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은 도 1 슬라이드 모듈의 작동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1내지 도 4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슬라이드체(130) 가 가이드구조부(120)의 상단에서 정지해 있는 제1정지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는, 슬라이드체(130)는 왼쪽으로 즉, 가이드구조부(120)의 중앙선에서 제1가이드면(122) 쪽으로 약간 치우친 위치의 가이드구조부(120) 상단부에 얹혀진 채, 제1편향가압부재(151a)의 제1가로부와 세로부의 경계지점의 경사진 단부와 제2편향가압부재(151b)의 제2굴곡부(151d)에 의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구속되어 있다. 이 제1정지상태에서 제1안내부재(134)에 연결된 부재(이동대상 물체 또는 그의 일부 또는 그와 연결된 제3의 부재)를 통해 제1안내부재(134)에 하방(+y방향)으로 제1정지상태의 구속력을 이기는 외력이 가해지면, 슬라이드체(130)는 제1안내부재(134)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제1편향가압부재(151a)의 편향가압면(153a)과 제1가이드면(122) 사이에 진입한다. 그러한 진입 과정에서 돌기안내부(112a)의 우측으로 쏠려 있던 한 쌍의 돌기(156a-1, 156a-2)들이 꺽임부(113a)와 직선구간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편향가압부재(151a)는 왼쪽으로 밀려나고 시계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면서 아래쪽으로 약간 이동하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가이드면(122)에 대해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갈수록 더 많이 벌어진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진입초기상태에서, 제1가압수단(152a)은 수축변형되면서 탄성에너지를 저장한다. 도 5의 제1정지상태의 위치에서 시작하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력의 작용 없이도 제1편향가압부재(151a)가 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드체(130)가 하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위치까지의 구간은 외력작용구간(126a)이다. 다시 설명하면, 외력작용구간은 제1정지상태의 위치에서부터 제1편향가압면(153a)이 슬라이드체(130)에게 가하는 가압력의 방향이 점점 바뀌어 제1가이드면(122)에 대하여 법선방향으로 향하게 될 때의 슬라이드체(130)의 위치까지이다. 이 외력작용구간(126a)은 제1가이드면(122) 전체 길이의 1/2보다 훨씬 작으며, 1/4보다 더 짧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제2가이드면(124)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6의 상태 즉, 외력에 의해 슬라이드체(130)가 편향가압면(153a)과 제1가이드면(122) 사이에 진입하여 적어도 외력작용구간(126a)의 끝 지점을 통과한 상태에서는, 슬라이드체(130)는 제1가압수단(152a)에 의해 제1가이드면(122)쪽으로 가압되는 제1편향가압부재(151a)의 편향가압면(153a)에 의해 아래쪽으로 편향가압 된다. 편향가압면(153a)이 슬라이드체(130)에 가하는 가압력은 제1가이드면(122)에 대한 수직방향(+x 방향)의 힘(Fx)과 수평방향(+y방향)의 힘(Fy)의 합력(F)이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체(130)와 제1안내부재(134)는 제1가이드면(122)과 제1안내부(128)의 안내를 각각 받으며 아래쪽으로(+y 방향 즉, 진입방향으로) 향하는 힘(Fy)에 의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드체(130)를 제1가이드면(122)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제1편향가압부재(151a)는, 이전과는 반대로, 그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오른쪽으로 밀고 들어가면서 약간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회동하고(이 때, 한 쌍의 돌기(156a-1, 156a-2)는 돌기안내부(112a)를 따라 우측 이동함), 앞선 돌기(156a-2)가 꺾임부(113a)의 말단까지 도달하면서부터는 제1편향가압부재(151a)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을 더 한다.
슬라이드체(130)가 제1가이드면(122)의 직선구간을 따라 내려가 하측 단부에 도달하면, 슬라이드체(130)는 제1편향가압부재(151a)의 제1굴곡부(151c)에 의해 제2가이드면(124)쪽으로 가압된다. 그에 따라 슬라이드체(130)는 제1안내부재(134)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구조부(120)의 중앙선을 넘어서 제2가이드면(124)의 곡선구간에 얹힌 제2정지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 제2정지상태에서는 슬라이드체(130)가 제1편향가압부재(151a)의 제1굴곡부(151c)와 제2편향가압부재(151b)의 경사면에 의해 갇혀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도록 구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슬라이드체(130)가 도 5의 제1정지상태에서 외력의 트리거링(triggering)과 기구적 메커니즘에 의해 제1가이드면(122)을 따라 도 8의 제2정지상태로 이동했던 것처럼, 도 8의 제2정지상태에 있는 슬라이드체(130) 역시 같은 방식으로 제2가이드면(122)을 따라 도 5의 원래의 제1정지상태로 이동해갈 수 있다. 도 8의 제2정지상태에서 제1안내부재(134)에 위쪽으로(-y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 제1안내부(128) 안에서 위쪽으로 끌려 올라가면, 슬라이드체(130)는 외력작용구간(126b)에서의 이동을 하게 된다. 즉, 제1안내부재(134)를 중심으로 회동된 후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제2편향가압부재(151b)와 제2가이드면(124) 사이를 비집고 들어간다. 그에 따라, 제2편향가압부재(151b)는 제2돌기안내부(112b)를 따라 우상방으로 약간 움직인 다음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돌기(156b-1, 150b-2)들과 꺾임부(113b)의 작용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때 제2가압수단(152b)은 수축되면서 탄성력을 저장한다. 도 8의 상태에서 시작하여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력의 작용 없이도 제2편향가압부재(151b)의 작용에 의해 슬라이드체(130)가 상방의 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직전의 위치까지가 또한 외력작용구간(126b)이다.
도 9의 상태에서 슬라이드체(130)는 제2편향가압부재(151b)의 편향가압면(153b)에 의해 위쪽으로 편향가압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체(130)와 제1안내부재(134)는 제2가이드면(124)과 제1안내부(128)의 안내를 각각 받으며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으로 이동한다. 제2편향가압부재(151b)는 제2가압수단(152b)에 의해 제2가이드면(124)을 향해 가압되고, 이 힘에 의해 슬라이드체(130)를 위쪽으로 이동시키면서 돌기(156b-1, 156b-2)들이 제2돌기안내부(112b)를 따라 왼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고 또한 돌기(156b-2)가 굴곡부(113b)에 진입하면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처음의 위치로 복귀한다.
슬라이드체(130)는 제2가이드면(124)의 직선구간의 상단부에 도달한 후에는 제2편향가압부재(151b)의 굴곡부(151d)에 의해 제1가이드면(122) 쪽으로 가압된다. 그에 따라 슬라이드체(130)는 제1안내부재(134)를 중심으로 제2가이드면(124)의 곡선구간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구조부(120)의 중앙선을 지나 제1가이드면(122)의 곡선구간 쪽으로 치우친 자세로 배치된다. 이 상태는 바로 제1정지상태로서, 슬라이드체(130)는 제1가이드면(122)의 곡선구간에 얹혀진 채, 제2편향가압부재(151b)의 굴곡부(151d)와 제1편향가압부재(151a)의 경사면에 의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구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처럼 슬라이드체(130)는 도5의 제1정지상태에서 외력작용구간(126a)을 벗어날 수 있는 최소한의 외력이 하방으로 가해지면 제1가이드면(122)을 타고 내려와 도8의 제2정지상태에 이르기까지 이동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드체(130)는 제2정지상태에서 다시 외력작용구간(126b)을 벗어날 수 있는 최소한의 외력이 상방으로 가해지면 이젠 제2가이드면(124)을 타고 올라가서 원래의 제1정지상태로 복귀한다. 제1안내부재(134)에 연결된 이동대상 물체가 개폐 동작을 하는 경우, 슬라이드체(130)의 이러한 이동은 여는 동작과 닫는 동작에 각각 대응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100)은 종래기술과 차별화되는 다음과 같은 큰 특징들을 갖는다.
첫째, 슬라이드체(130)가 제1정지상태에서 제2정지상태로 이동하는 가이드면과 제2정지상태에서 제1정지상태로 복귀하는 가이드면을 달리 사용한다. 이처럼 슬라이드체(130)는 트랙 모양의 닫힌 경로를 따라 일주 운동을 하는 동안에,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100)에 연결된 이동대상 물체는 동일한 직선경로를 왕복운동 한다. 이 점은 슬라이드체(130)가 제1가이드면(122)을 타고 이동할 때와 제2가이드면(124)을 타고 이동할 때 서로 다른 가압력을 적용할 필요가 있는 특수한 요구도 만족시켜 줄 수 있다.
둘째, 종래의 것에 비해 외력작용구간이 획기적으로 짧다. 그러므로 정지상태에 있는 슬라이드체(130)가 이동을 개시하는 데 필요한 외력도 잠깐만 가해지면 된다. 이점은 슬라이드 모듈(100)이 슬라이드폰 등의 휴대용기기에 적용되었을 때, 사용상의 편의성을 아주 좋게 해준다.
셋째, 편향가압부재가 회동되면서 그리고 상하로도(y축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면서 슬라이드체(130)를 편향가압하기 때문에 슬라이드체(13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거리가 종래의 것에 비해 훨씬 더 길다. 이 점은 슬라이드 모듈(100)의 응용 범위를 더 넓게 해준다.
도 11은 도 1 슬라이드 모듈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제1정지상태에서, 제1가이드면(122)과 제1편향가압면(153a)의 간격이 아래쪽으로 가면서 그 사이가 조금씩 더 넓어지면 외력이 가해졌을 때 슬라이드체(130)가 더 쉽게 제1가이드면(122)을 타고 이동할 수 있다. 제2정지상태에서 제1정지상태로 복귀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이 점을 고려하여, 제1가이드면(122)과 제2가이드면(124)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는 슬라이드체(130)가 더 쉽게 가이드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제1편향가압부재(151a) 또는 제2편향가압부재(151b)의 편향가압면(153a, 153b)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2와 13은 도 1 슬라이드 모듈의 또 다른 변형 예들을 각각 나타낸 평면도이다. 슬라이드체(130)는 그 중심이 제1정지상태에서는 가이드구조부(120)의 중앙선의 좌측 즉, 제1가이드면(122)의 곡선구간의 일 지점에 위치하여야 하고, 제2상태에서는 그 중앙선의 우측 즉, 제2가이드면(124)의 곡선구간의 일 지점에 위치하여야 한다. 앞의 실시 예에서는 이 요건을 제1 및 제2 편향가압부재(151a, 151b)의 세로부의 말단에 제1 및 제2 굴곡부(151c, 151d)를 각각 마련하는 방식으로 만족시켰다. 그런데 위 요건은 도 12의 (a)에 나타낸 것처럼, 제1 및 제2 편향가압부재(151a, 151b)의 말단의 제1 및 제2 굴곡부(151c, 151d)를 직선화하면서 슬라이드체(130)의 반경(r1)을 가이드구조부(120)의 중앙선에서 제1편향가압면(153a)(또는 제2 편향가압면(153b))까지의 최소가능이격거리(d1)보다 더 크게 만드는 방법으로도 충족시킬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서, 도 12의 (b)에 나타낸 것처럼, 슬라이드체(130)를 예컨대 원형의 본체 일부 구간에서 바깥으로 더 돌출된 부분(130a)을 갖는 계란 모양으로 만들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원형의 본체의 크기는 위 방법에 비해 더 작게 만들 수 있다.
가이드구조부(120)의 상하 단부의 형상을 대칭 곡면으로 하지 않고 비대칭 경사면 내지 경사곡면으로 만들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가이드구조부(120)의 상단부는 그 중앙선을 기준으로 제1가이드면(122)쪽 경사면 내지 경사곡면과 제2가이드면(124)쪽 경사면 내지 경사곡면에 비해 기울기가 더 가파르게 만들고, 마찬가지로 가이드구조부(120)의 하단부는 제2가이드면(124)쪽 경사면 내지 경사곡면이 제1가이드면(122)쪽 경사면 내지 경사곡면에 비해 기울기가 더 가파르게 만든다. 이렇게 하면, 슬라이드체(130)가 제1정지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졌을 때 제2가이드면(124)쪽이 아니라 제1가이드면 쪽으로 진입하는 것(제2 정지상태에서의 경우는 제2가이드면 쪽으로 진입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4는 도 1 슬라이드 모듈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슬라이드 모듈(100)의 응용 예에 따라서는 슬라이드체(130)가 정지상태에서 어느 정도의 거리를 이동한 다음 정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다. 이 변형 예는 이런 경우를 위한 것이다. 도 14에 나타낸 슬라이드 모듈(100)을 참조하면, 제1편향가압부재(151a)의 편향가압면(153a)의 원하는 위치에서 슬라이드체(130)를 정지시키기 위한 홈(157)이 형성되어 있다. 홈(157) 대신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홈(157) 또는 돌기는 제1가이드면(122)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제2편향가압부재(151b)와 제2가이드면(124)에도 형성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4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도 15 슬라이드 모듈의 저면 사시도, 도 17은 도 15 슬라이드 모듈의 내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8은 도 15 슬라이드 모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17에 나타낸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102)은 도 1 내지 4를 통해 설명한 실시 예와 가이드구조부(120)와 제2부재(170) 및 제2안내부재(180)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5 내지 1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102)의 제1부재(110)에 설치되는 가이드구조부(120)는 폭은 좁고 길이는 길며 상방으로 일정한 높이로 돌출된 트랙 모양을 형성하는 가이드면부와 이 가이드면부의 상부를 그 일부로서 포함하면서 덮는 이탈방지부(125)를 가진다. 가이드면부는 길이방향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제1가이드면(122)과 제2가이드면(124)으로 구분된다. 제1부재(110)의 표면과 가이드구조부(120)의 이탈방지부(125)는 가이드면부의 측면을 따라 측면홈(121)을 형성한다. 슬라이드체(130)는 그 일부가 측면홈(121) 속으로 삽입되어서 상방으로 힘을 받더라도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가이드구조부제1가이드면(122)과 제2가이드면(124)이 그 측면을 따라 형성된 측면홈 또는 측방으로 돌출된 돌기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슬라이드체(130)도 그 측면 둘레를 따라 가이드면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에 대응되는 형태의 돌기나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체(130)는 제2부재(170), 제2안내부(174) 및 제2안내부재(180) 등에 의해 구속되기 때문에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반드시 측면홈(121)이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5, 17 및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부재(170)의 중앙부에는 제1가이드면(122)과 제2가이드면(1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부(172)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172) 양 측면을 따라 제2안내부(17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개구부(172)의 양단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부분은 슬라이드체(130)가 정지위치에서 바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2안내부(174)에는 제2안내부재(180)가 활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안내부재(180)에는 가이드구조부(120)의 폭방향 또는 제2안내부(174)의 폭방향으로 장공(182)이 형성된다. 또한, 제2안내부재(180)에는 슬라이드체(130)의 이동대상 물체(비도시)와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부(184)가 설치되어 있다. 제1부재(110)에 제2부재(170)가 결합되면, 개구부(172) 안에 가이드구조부(120)의 이탈방지부가 위치하여 육상 트랙 모양의 빈 공간이 마련되며, 이 빈 공간을 따라 슬라이드체(130)가 반시계방향으로 일주함으로써 제2안내부재(180)가 직선방향으로 왕복 활주운동을 하게 된다. 장공(182)은 슬라이드체(130)가 가이드구조부(120) 곡선구간을 따라 회전할 때 슬라이드체(130)가 제1안내부(128) 또는 제2안내부(174)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슬라이드체(130)와 제2안내부재(180) 상호간에 서로 힘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하는 경우, 슬라이드체(130)는 폭방향으로 움직이지만 결합부(184)는 직선운동만 하므로 결합부(184)에 연결된 부재는 폭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고 직선운동만 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4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9는 도 18 슬라이드 모듈의 변형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19의 슬라이드 모듈(103)을 참조하면, 슬라이드체(130)에 연결되는 부재 즉, 이동대상 물체에 슬라이드체(130)가 제2안내부(174)의 폭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장공이나 이동편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8에서 설명한 제2안내부(174)와 제2안내부재(180) 없이 동력을 전달하고자 하는 부재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2부재(170)를 사용하는 경우, 제2부재(170)에는 개구부(172)는 형성되어 있어야 된다. 나머지는 도 18에서와 같다.
도 20은 도 1 내지 4에 나타낸 슬라이드 모듈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0에 나타낸 슬라이드 모듈(104)을 참조하면, 제1편향가압부재(151a)와 제2편향가압부재(151b)는 그 일단(144a, 144b)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그것을 중심으로 제자리 회동이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앞 실시 예들과 차이가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가압수단(152a, 152b)은 제1편향가압부재(151a)와 제2편향가압부재(151b)의 회전중심 쪽은 물론 그 반대쪽만을 가압하여도 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체(130)를 편향가압 할 수 있다. 제1편향가압부재(151a)와 제2편향가압부재(151b)는 제1부재(110) 또는 제2부재(170) 중 어느 쪽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양쪽 모두의 지지를 받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제1편향가압부재(151a)와 제2편향가압부재(151b)가 회동되었을 때 슬라이드체(130)가 제1 및 제2가이드면(122, 124)과의 사이로 통과될 수 있어야 하므로 제1편향가압부재(151a)와 제2편향가압부재(151b)의 회전 중심(144a, 144b)은 제1가이드면(122) 및 제2가이드면(124)과는 이격되어 있어야 한다. 슬라이드체(130)가 가이드구조부(120)의 단부 쪽에 위치할 때 슬라이드체(130)가 제1편향가압부재(151a)와 제1가이드면(122) 사이 및 제2편향가압부재(151b)와 제2가이드면(124) 사이로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편향가압면(153a, 153b)은 마주보는 가이드면과 일측이 조금 더 벌어져 있을 수 있다. 편향가압면(153a, 153b)은 마주보는 가이드면과 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1, 제2가압수단(152a, 152b)으로는 가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스프링을 상하로 중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이전의 실시 예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9에서와 같이 편향가압부재들을 고정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회전반경이 앞 실시 예들보다 커지므로 제1부재(110)와 제2부재(170)의 폭도 다소 증가된다. 나머지는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21은 도 1 내지 4에 나타낸 슬라이드 모듈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1에 나타낸 슬라이드 모듈(105)을 참조하면, 경우에 따라, 제1가압수단(152a)으로 사용되는 스프링은 제1편향가압부재(151a)의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2곳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이는 제2가압수단(152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나머지는 도 20에서와 같다. 이는 이전의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이 사용된 휴대형 전자기기의 평면도, 도 23은 도 22의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 휴대형 전자기기를 상하로 뒤집은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2 내지 24에 나타낸 휴대형 전자기기(200)는 제1몸체(210)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제1몸체(210)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212)가 설치된다. 제1몸체(210)의 저면에는 안내부(222)를 양측에 가지는 슬라이드판(220)이 나사부재(224)를 통해 장착된다. 슬라이드판(220) 상면에는 슬라이드 모듈(100)이 장착될 수 있는 장착홈(226)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는 슬라이드 모듈(100)에 형성된 제1안내부(128) 및 돌기안내부(112a, 112b)와 대응되는 구멍(227)과 홈(228)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판(220)과 제1몸체(210)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100)이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200)는 제2몸체(230)를 구비한다. 제2몸체(230)의 상측부에는 안내판(240)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32)가 형성되어 있다. 양 측 가장자리를 따라 피안내부(242)가 형성되어 있는 안내판(240)은 나사부재(244)를 통해 장착부(232)에 고정된다. 이 안내판(240)의 중앙부에 통공(243)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통공(243)을 통해 나사부재(246)가 제1안내부재(134)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안내부재(134)는 제1몸체(210)에 대해서는 제1몸체(210)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가이드구조부(120) 둘레를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제2몸체(230)에 대해서는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100)이 장착된 제1몸체(210)를 상하로 세운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제2몸체(230)는 슬라이드체(1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하 왕복운동을 하는 운동부재가 된다.
경우에 따라, 피안내부(242)가 없는 상태에서 제2몸체(230)가 슬라이드체(130)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 제2몸체(230)는 한쪽 방향으로 폐경로를 따라 폐경로운동을 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212) 등은 제2몸체(230)의 저면에 설치되고 제2몸체(230) 내부에 설치되던 주기판 등의 부속품은 제1몸체(2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이 서랍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이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102)은 서랍(310)의 벽부(312)와 서랍(310)을 안내하는 서랍안내부(320)의 벽부(32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서랍안내부(320)의 벽부(322)에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102)을 부착하고, 서랍(310)의 벽부(312)에는 구멍(314)을 뚫은 상태에서 나사부재(316)를 제2안내부재(180)의 결합부(184)에 결합하여 책상 등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부를 가지는 장치(300)를 만들 수 있다. 슬라이드 모듈(102)은 서랍(310)의 양 측면에 모두 설치될 수 있고, 1측면에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102)은 서랍을 가지는 기존의 책상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300)를 구성하는 경우, 사용자가 서랍(310)을 조금만 당기면 자동으로 열린다. 그리고 서랍(310)을 닫을 때에도 사용자가 서랍(310)을 조금만 안쪽으로 밀어 넣으면 서랍(310)이 자동으로 닫힌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이 회동 개폐식 문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회동 개폐식 문(330)이 설치된 장치(302)에서는 내부 공간의 벽부(322)에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102)을 장착하고, 슬라이드체(130) 또는 슬라이드체(130)에 연결된 제2안내부재(180)의 결합부(184)에 링크(332)를 연결하고, 이 링크(332)를 문(330)에 연결하여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문(330)을 열거나 닫을 때 문(330)에 작용하는 중력을 고려하여 슬라이드 모듈(102)의 제1가이드면에서는 슬라이드체(130)를 큰 힘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여 문(330)이 쉽게 열리도록 하고, 제2가이드면에서는 문(330)이 중력에 의해 부드럽게 닫힐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아주 약한 힘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거나 저항하도록 하여 문(330)이 부드럽게 닫히도록 하거나 또는 제2가이드면의 단부를 굴곡 시켜 문(330)이 완전히 닫히기 직전에 슬라이드체(130)에 브레이크가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102)에서 제1가이드면 쪽에서의 슬라이드체(130)의 추진력과 제2가이드면 쪽에서의 슬라이드체(130)의 추진력이 다르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양측 스프링의 세기나 개수, 편향가압면의 거칠기나 표면형상, 제1가이드면과 제2가이드면의 표면의 거칠기나 형상 등을 서로 달리 적용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6과 같은 장치(302)에 사용하기 위한 슬라이드 모듈(106)로서 제1편향가압부재(151a)와 제2편향가압부재(151b)가 같은 방향을 향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편향가압구(150a)는 슬라이드체(130)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편향가압구(150b)는 도 26의 문(330)이 닫힐 때 문(330)에 작용하는 중력에 저항하는 힘을 작용시키도록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하나의 가이드면을 가지는 가이드구조부와 하나의 편향가압구와 슬라이드체만으로 구성하여 문(330)을 열 때와 닫을 때 모두 슬라이드체(130)가 문을 여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문(330)을 열 때에는, 문(330)은 슬라이드체(130)로부터 여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작은 힘으로도 열릴 수 있다. 반대로 문(330)을 닫을 때에는, 문(330)은 슬라이드체(130)로부터 문(330)의 중력에 저항하는 힘을 받아서 부드럽게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문(330)이 열린 상태에서 슬라이드체(130)는 외력이 가해질 때 열릴 때 이용했던 그 가이드면을 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슬라이드체(130)를 정지시켜두기 위한 별도의 정지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8은 가이드구조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모듈(100)의 가이드구조부(120)는 제1부재(110) 등에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가이드면(122)과 제2가이드면(124)은 홈의 일측 벽면이 된다. 도 28에 나타낸 실시 예에서는 제1가이드면(122) 및 제2가이드면(124)이 제1편향가압부재(151a) 및 제2편향가압부재(151b)와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홈이 깊지 않은 경우 슬라이드체(130)가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슬라이드체(130)의 상단부를 받쳐주는 제1가이드면(122)과 제2가이드면(124)을 가이드구조부(120)에 함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2부재(170)에는 대응부위에 개구(175)가 형성되어 있어야 된다. 가이드구조부(12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슬라이드체(130)가 빠져나갔을 때 제1편향가압부재(151a)와 제2편향가압부재(151b)가 걸릴 수 있는 턱(123)이 형성되어 있다. 나머지는 앞의 실시 예들에서와 같다.
도 29는 가이드면과 슬라이드체의 변형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경우에 따라, 도 2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구조부(120)의 제1가이드면(122)과 제2가이드면(124)이 그 측면을 따라 형성된 돌기를 구비하고, 슬라이드체(130)는 그 측면을 따라 대응되는 형태의 홈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경우에 따라, 도 2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구조부(120)의 제1가이드면(122)과 제2가이드면(124)이 그 측면을 따라 형성된 홈을 구비하고, 슬라이드체(130)는 그 측면을 따라 형성된 대응되는 형태의 돌기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경우에 따라, 제1부재(110) 등에 그 측면을 따라 3개의 가이드면(120a)을 가지는 삼각형 형태의 가이드구조부(120)를 형성하고, 그 둘레를 따라 편향가압구(150)를 각각 설치하여 슬라이드체(130)가 삼각형의 일주 트랙을 따라 운동을 하도록 슬라이드 모듈(100)을 구성 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체(130)는 삼각형의 각 꼭지점 부근에서 각각 정지상태로 머무를 수 있다. 슬라이드체(130)가 정지상태에서 가압수단(152)의 지지를 받는 편향가압부재(151)와 대응되는 가이드면(120a) 사이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앞 실시 예들에서와 마찬가지로 대응되는 외력이 가해져야 한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1에 나타낸 슬라이드 모듈(100)은 제1부재(110) 등에 형성된 원형의 가이드구조부(120)를 가진다. 이 가이드구조부(120)에는 그 측면의 벽면을 따라 원형의 가이드면(120a)이 구비되어 있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구조부(120) 둘레를 따라서는 3개의 편향가압구(150)가 설치되어 있다. 각 편향가압구(150)는 편향가압면(153)이 곡면을 이루는 편향가압부재(151)와 이를 가이드면(120a)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수단(15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체(130)는 3개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각 슬라이드체(130)는 연결체(131)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결체(13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3개의 슬라이드체(130)로부터 회전동력을 얻을 수 있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3개의 슬라이드체(130)로부터 회전에 저항하는 힘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연결체(131)의 회전중심을 벗어나는 위치의 연결부(131a) 또는 어느 하나의 슬라이드체(130)에 링크를 상호 회동 가능케 연결하는 경우 연결체(131)의 회전운동을 선형운동으로 바꿀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가이드면이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로 배치된 것, 가이드면이 원형이나 타원형 등의 곡면을 따라 배치된 것에도 본 발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고, 이동대상물을 회전시키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2는 도 5에 나타낸 슬라이드 모듈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슬라이드체(130)는 가이드구조부(120)의 양 단부에서 제1편향가압부재(151a)와 제2편향가압부재(151b) 등에 의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혀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편향가압부재(151b)의 굴곡부(151d) 및 제1편향가압부재(151a)의 마주보는 단부 사이의 간격 및 제1편향가압부재(151a)의 굴곡부(151c) 및 제2편향가압부재(151b)의 마주보는 단부 사이의 간격을 도 5에서보다 넓게 형성하여 슬라이드체(130)가 제1안내부재(134)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슬라이드체(130)가 상대적으로 일측의 가이드면 쪽으로 많이 회동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드체(130)를 제1편향가압부재(151a)와 제1가이드면(122) 사이 또는 제2편향가압부재(151b)와 제2가이드면(124) 사이로 진입시키는 데 필요한 외력의 크기를 도 5의 것에 비해 줄일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4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5와 도 32에 나타낸 실시 예에,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2안내부(174)가 형성된 제2부재(170)와 장공(182)과 결합부(184)가 형성된 제2안내부재(180)를 적용하여 슬라이드체(130) 중심에 외력이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앞 실시 예들에서 돌기안내부(112a, 112b)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두개 이상씩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모듈은 휴대형 전화기, 휴대형 게임기, 피디에이, 전자수첩, 전자사전, 노트북, 넷북 등의 휴대형 단말기는 물론이고 책상의 서랍, 각종 건축물이나 가전제품의 도어, 기계장치 등 두 부재 간에 슬라이드가 필요한 각종 장치에도 이용 가능성이 있다.
100, 102~106: 슬라이드 모듈 100a: 결합체
110: 제1부재 120: 가이드구조부
122: 제1가이드면 124: 제2가이드면
130: 슬라이드체 150a: 제1편향가압구
150b: 제2편향가압구 151a: 제1편향가압부재
151b: 제2편향가압부재 152a: 제1가압수단
152b: 제2가압수단 151c: 제1굴곡부
151d: 제2굴곡부 153a, 153b: 편향가압면
170: 제2부재

Claims (20)

  1. 제1가이드면과 제2가이드면이 하나의 일주 트랙을 형성하는 가이드구조부;
    상기 일주 트랙을 따라 일주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슬라이드체;
    상기 제1가이드면이 있는 쪽으로 향하는 제1편향가압면을 구비하는 제1편향가압부재와,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를 상기 제1가이드면을 향해 가압하는 제1가압수단을 가지는 제1편향가압구; 및
    상기 제2가이드면이 있는 쪽으로 향하는 제2편향가압면을 구비하는 제2편향가압부재와 상기 제2편향가압부재를 상기 제2가이드면을 향해 가압하는 제2가압수단을 가지는 제2편향가압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는 상기 슬라이드체가 외력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1편향가압면 사이로 진입하면 상기 제1가압수단이 제공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체를 상기 제1가이드면에 대해 편향가압하고,
    상기 제2편향가압부재는 상기 슬라이드체가 외력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면과 상기 제2편향가압면 사이로 진입하면 상기 제2가압수단이 제공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체를 상기 제2가이드면에 대해 편향가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체가 상기 일주 트랙의 일측 단부에 정지해 있는 제1정지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1편향가압면 사이로 진입하면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는 상기 제1가이드면에 대해 후퇴 하였다가 상기 제1가압수단이 제공하는 가압력에 의해 원상 복귀하면서 상기 슬라이드체를 편향가압하여 상기 제1가이드면을 따라 상기 일주 트랙의 타측 단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슬라이드체가 상기 일주 트랙의 타측 단부에 정지해 있는 제2정지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면과 상기 제2편향가압면 사이로 진입하면 상기 제2편향가압부재는 상기 제2가이드면에 대해 후퇴 하였다가 상기 제2가압수단이 제공하는 가압력에 의해 원상 복귀하면서 상기 슬라이드체를 편향가압하여 상기 제2가이드면을 따라 상기 일주 트랙의 일측 단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체가 상기 일주 트랙의 일측 단부에 정지해 있는 제1정지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1편향가압면 사이로 진입하면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는 상기 제1가이드면에 대해 후퇴 하였다가 상기 제1가압수단이 제공하는 가압력에 의해 원상 복귀하면서 상기 슬라이드체를 편향가압하여 상기 제1가이드면을 따라 상기 일주 트랙의 타측 단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슬라이드체가 상기 일주 트랙의 타측 단부에 정지해 있는 제2정지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제2가이드면과 상기 제2편향가압면 사이로 진입하면 상기 제2편향가압부재는 상기 제2가이드면에 대해 후퇴 하면서 상기 제2가압수단이 제공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체를 편향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드체가 상기 제2가이드면을 따라 상기 일주 트랙의 일측 단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는 힘을 작용시키고 상기 슬라이드체가 외력에 의해 상기 방해하는 힘을 이기고 상기 제1정지상태로 빠져나가면 원상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면은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선형이동구간과 이의 양끝에서 절곡되거나 스무스하게 굽은 형태로 연결된 방향전환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면의 상기 방향전환구간끼리 연결되어 육상 트랙 또는 유사 육상 트랙과 닮은 모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 또는 상기 제2편향가압부재는 상기 가이드구조부의 단부와 이격된 일 지점에서 또는 한정된 구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상기 마주보는 가이드면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상기 슬라이드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마주보는 가이드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벌어지는 각도가 변동되면서 상기 슬라이드체를 상기 마주보는 가이드면에 대하여 일측으로 편향되게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제1가이드면이 끝나는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드체를 상기 제2가이드면 쪽으로 밀어서 이동시킨 후 상기 제2편향가압부재의 일측에 대해 가압하여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주기 위한 제1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편향가압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제2가이드면이 끝나는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드체를 상기 제1가이드면 쪽으로 밀어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의 일측에 대해 가압하여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주기 위한 제2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주 트랙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드체가 정지상태로 머무르다가 외력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 사이 또는 상기 제2가이드면과 상기 제2편향가압부재 사이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기 외력작용구간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2가이드면 사이를 따라 제1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안내부에는 상기 슬라이드체와 연결된 채 상기 제1안내부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체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드체가 상기 제1및 제2가이드면을 이탈하지 않으면서 일주하도록 가이드해주는 제1안내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조부는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면의 상부를 그 일부로서 포함하면서 덮는 이탈방지부를 가지며, 상기 제1부재의 표면과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면을 따라 측면홈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체는 그 일부가 상기 측면홈 속에 삽입되어 구속된 상태로 활주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구조부가 설치되는 제1부재; 및
    상기 제1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제1편향가압구, 상기 제2편향가압구 및 상기 슬라이드체를 두고 상기 제1부재에 결합되는 제2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부재의 결합체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드체의 동력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제1가이드면 및 상기 제2가이드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길이 방향의 양측을 따라서는 제2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안내부에는 제2안내부재가 상기 개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제2안내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드체가 상기 제2안내부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체는 상기 장공을 통해 상기 제2안내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 또는 상기 제2가압부재의 일측 단부에는 2이상의 돌기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구조부의 적어도 일측 단부 쪽에는 상기 가이드구조부와 이격한 위치에 상기 2이상의 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를 받는 돌기안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안내부는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 또는 상기 제2편향가압부재가 한정된 구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꺾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체는 상기 일주 트랙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로 이동할 때 상기 타측 단부의 정점을 통과한 다음 정지하고, 상기 일주 트랙의 타측 단부에서 일측 단부로 이동할 때 상기 일측 단부의 정점을 통과한 다음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향가압부재와 제2편향가압부재는 각각 그의 상단과 하단이 상기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2가이드면의 상단과 하단을 지나 더 길게 연장되고, 상기 더 길게 연장된 부분들이 상기 슬라이드체를 상기 일주 트랙의 양단에서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수단과 상기 제2 가압수단은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2가이드면은 그 측면을 따라 형성된 홈 또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홈 또는 돌기에 결합되어 안내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17. 가이드면을 가지는 가이드구조부;
    상기 가이드면을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된 슬라이드체; 및
    상기 가이드면이 있는 쪽으로 향하는 편향가압면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면과 이격된 일 지점을 중심으로 또는 한정된 구간 안에서 이동되면서 회동 가능케 설치된 편향가압부재와 상기 편향가압부재를 상기 가이드면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가지는 편향가압구를 포함하고,
    외력에 의해 상기 편향가압면과 상기 가이드면 사이에 상기 슬라이드체가 삽입되면 상기 편향가압부재는 상기 가이드면에 대해 경사지게 벌어지는 각도가 변동되면서 상기 가압수단이 제공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체를 상기 가이드면에 대하여 일측으로 편향되게 가압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체를 상기 가이드면과 적게 벌어진 제1위치에서 많이 벌어진 제2위치로 상기 가이드면을 따라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을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편향가압구는 상기 가이드구조부 둘레를 따라 2이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은 원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편향가압구는 상기 가이드구조부 둘레를 따라 2이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체는 간격을 두고 2이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슬라이드 모듈;
    상기 슬라이드 모듈의 슬라이드체 또는 상기 슬라이드체에 연결된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체의 이동에 따라 선형적인 왕복운동을 하거나 소정의 폐경로를 따라 일주 운동을 하거나 회전하는 운동부재; 및
    상기 운동부재가 상기 슬라이드체의 이동에 따라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드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부를 가지는 장치.
KR1020100017827A 2010-02-26 2010-02-26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부를 가지는 장치 KR20110098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827A KR20110098283A (ko) 2010-02-26 2010-02-26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부를 가지는 장치
US13/027,684 US20110211779A1 (en) 2010-02-26 2011-02-15 Slide module and apparatus with slide part utilizing the same
CN2011100479633A CN102170487A (zh) 2010-02-26 2011-02-28 滑动模块和具有利用该滑动模块的滑动部件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827A KR20110098283A (ko) 2010-02-26 2010-02-26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부를 가지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283A true KR20110098283A (ko) 2011-09-01

Family

ID=44491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827A KR20110098283A (ko) 2010-02-26 2010-02-26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부를 가지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211779A1 (ko)
KR (1) KR20110098283A (ko)
CN (1) CN1021704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760A1 (ko) * 2020-07-17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4918B2 (en) * 2011-06-28 2013-09-17 First Dome Corporation Semiautomatic slide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53274B (en) * 2004-05-05 2006-04-11 Benq Corp Mobile phone
KR100630074B1 (ko) * 2004-08-27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CN101562956A (zh) * 2008-04-18 2009-10-2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盖机构及应用该滑盖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CN201256403Y (zh) * 2008-08-28 2009-06-10 富世达股份有限公司 滑移装置的改进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760A1 (ko) * 2020-07-17 2022-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327535B2 (en) 2020-07-17 2022-05-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70487A (zh) 2011-08-31
US20110211779A1 (en)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3475B1 (ko) 차량 도어 체커
KR100839415B1 (ko) 슬라이더 조립체용 업/다운 유지수단 및 그러한 업/다운유지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조립체
KR100977190B1 (ko) 토션 스프링, 탄성기구와 그 부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개폐장치와 휴대용 응용기기
JP5019898B2 (ja) 両方向引き込みユニット
KR100573084B1 (ko) 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
KR101197538B1 (ko) 도어 또는 서랍의 개폐조절장치
US20070001562A1 (en) Self closing device for a slide and slide having this
KR101114477B1 (ko)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슬라이딩 장치
CN101460023A (zh) 滑动机构
KR100537017B1 (ko)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JP5238845B2 (ja) スライドコア装置
KR101559676B1 (ko) 댐퍼수납부가 확장된 슬라이더 완충장치
KR20110098283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부를 가지는 장치
KR100843584B1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JP4200468B1 (ja) フラットドアの開閉機構
CN110313734B (zh) 一种用于家具按压反弹开闭的集成省力结构
KR100669990B1 (ko) 슬림형 슬라이드 모듈용 탄성스프링
KR101114484B1 (ko) 다중 탄성체가 설치된 자동 폐쇄 장치
KR101255681B1 (ko) 락 스위치
KR100890902B1 (ko) 자동폐쇄장치용 이동부재
JP2011204550A (ja) 操作装置
KR20110066562A (ko)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
US8281679B2 (en) Slide mechanism
KR200393608Y1 (ko) 슬라이드 레일의 자동제어장치
KR200455007Y1 (ko) 양 방향 슬라이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