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9207A -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9207A
KR20100039207A KR1020090056903A KR20090056903A KR20100039207A KR 20100039207 A KR20100039207 A KR 20100039207A KR 1020090056903 A KR1020090056903 A KR 1020090056903A KR 20090056903 A KR20090056903 A KR 20090056903A KR 20100039207 A KR20100039207 A KR 20100039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late
coupling member
hol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재
Original Assignee
이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재 filed Critical 이길재
Publication of KR20100039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2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을 플레이트에 간이 신속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결합된 스프링의 이탈이 방지되며,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하는 스프링의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슬라이드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을 슬림화하여 단말기의 보다 얇게 할 수 있고,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제조원가의 절감이 가능한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은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 상부에 배열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 일단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내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내면에 결합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슬라이드이동을 보조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되고 초중말(初中末) 형상이 광협중(廣狹中) 크기로 연속 형성된 삽입공, 걸림공, 체류공으로 이루어진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의 양단부에는 상기 결합부에 대응되며, 베이스 위에 상중하(上中下) 형상이 광중협(廣中狹) 크기로 연속 형성된 삽입부, 체류부, 걸림부가 형성된 대응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폰, 스프링, 모듈, 슬라이드, 스프링, 탄성, 조립, 체류

Description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SPRING MODULE FOR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을 플레이트에 간이 신속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결합된 스프링의 이탈이 방지되며,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하는 스프링의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슬라이드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하고,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을 슬림화하여 단말기의 보다 얇게 할 수 있고,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제조원가의 절감이 가능한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개방 방식에 따라 바형(bar type), 플립형(flip type), 폴더형(folder type)과 슬라이드형(slide type)으로 분류되며, 최근에는 슬라이드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슬라이드형 단말기에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포개어 겹쳐진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이동플레이트의 내면에 결합되고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주)쉘-라인의 특허등록 제0537699호(2005년12월13일) [개인휴대단말기]에는 도 1(해당 특허공보의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복잡한 가공을 생략할 수 있으며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1 단말기 몸체(210), 슬라이드 가이드(230), 샤프트(240), 토션 스프링(250) 및 제2 단말기 몸체(220), 제1 단말기 몸체(210)의 제1 상부 케이스(212)에 장착된 2개의 슬라이드 가이드(230)를 포함하고,
또 2개의 샤프트(240)가 슬라이드 가이드(230)와 거의 동일한 폭으로 제2 단말기 몸체(220)에 장착되어 있으며,
샤프트(240)를 제2 하부 케이스(224)에 조립 과정에서 샤프트(240)와 슬라이드 가이드(230)(체결부(236) 및 가이드부(238)를 갖는다)를 상호 결속시킬 수 있고,
샤프트(240)는 슬라이드 가이드(230)를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가 있어,
제2 단말기 몸체(220)는 슬라이드 파트로서 제1 단말기 몸체(210)에 대해 상 하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참조부호 '242'는 샤프트(240)의 양단부에는 끼워지는 O-링에 해당하고,
참조부호 '218'은 제1 상부 케이스(212)의 외면에는 슬라이드 가이드(230)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안착부(216)가 형성되며, 안착부(216)에는 슬라이드 가이드(230)를 체결하기 위한 피팅 홀이며,
참조부호 '226' 및 '228'은 각각 샤프트(240)의 양단부를 위한 제1 샤프트 수용부및 제2 샤프트 수용부이고,
참조부호 '229'는 샤프트(24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2 샤프트 수용부(228)의 아래로 삽입되는 고정구이며,
각 구성요소에 대한 유기적인 연결관계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해당 공보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과 대비되는 상기 등록특허의 핵심은 제1 상부 케이스(212) 및 제2 하부 케이스(224) 사이에 개재된 토션 스프링(250)의 고정방식과 관련된 것으로,
상기 스프링의 중앙부에 위치한 코일로부터 연장된 와이어의 단부는 제1 상부 케이스(212) 및 제2 하부 케이스(224)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에 있어,
토션 스프링(250)에서 제1 상부 케이스(212)와 결속되는 와이어의 단부는 작은 원을 그리며 구부러져 있으며, 구부러진 단부는 리벳(252)에 의해서 제1 상부 케이스(212)에 고정되며,
리벳(252)에서 리벳 헤드 및 제1 상부 케이스(212)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기 때문에 토션 스프링(250)의 구부러진 단부는 그 사이에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가 있 으며, 또 리벳(252)에 의해서 안내되기 때문에 흔들림 없이 안정된 선회를 할 수 있고,
아울러 토션 스프링(250)의 다른 단부는 제2 하부 케이스(224)의 스프링 결속부(25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제2 하부 케이스(224)의 벽면에는 비대칭 형상의 피넛형 홀(peanut shaped hole)(255)이 형성되어 있어,
스프링 결속부(254)는 피넛형 홀(255) 중 상대적으로 큰 공간에서 작은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피넛형 홀(255)에 고정되는데, 이때 스프링 결속부(254)의 요철 홈이 작은 공간의 테두리를 수용함으로써 안정된 결합 관계를 유지할 수 있고, 스프링 결속부(254)의 스프링 홀로는 토션 스프링의 단부가 삽입되며, 토션 스프링의 단부는 스프링 홀 안에서 안정적으로 선회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등록특허에서 토션스프링(250)의 스프링결속부(254)를 이용한 고정방식에서는
홀(255)의 잘록한록한(slim waisted) 허리부분은 스프링 결속부(254)의 요철홈이 통과가능한 크기를 가져야 하므로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결국 피넛형 홀(2550이 작은 공간의 내경과 같은 크기의 허리부분을 가져야 하므로
피넛형 홀(255)의 작은 공간에 머물던 스프링결속부가 큰 공간으로 이탈하는 문제를 완전히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구성을 단순화하고 스프링이 플레이트에 간이신속하게 결합되어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스프링의 구성부분들이 겹치지 아니하고 동일평면에 놓이도록 하여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의 전체 두께를 최소화하고,
각 플레이트에 형성된 결합부에 끼워지는 대응결합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시하며,
스프링의 단부에 대응결합부재를 사출성형하고 구비시키고 이 대응결합부재가 회전되도록 하여 내구성을 높인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은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 상부에 배열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
일단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내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내면에 결합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슬라이드이동을 보조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되고 초중말(初中末) 형상이 광협중(廣狹中) 크기로 연속 형성된 삽입공, 걸림공, 체류공으로 이루어진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의 양단부에는 상기 결합부에 대응되며, 베이스 위에 상중하(上中下) 형상이 광중협(廣中狹) 크기로 연속 형성된 삽입부, 체류부, 걸림부가 형성된 대응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은 상기 결합부의 체류공에 위치한 상기 대응결합부재의 체류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상기 대응결합부재는 사출성형되어 상기 스프링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거나,
상기 스프링의 양단부는 연장되어 원형으로 말려 중공을 갖는 권취부(捲取部)를 형성하고, 상기 권취부의 중공에는 상기 대응결합부재가 결합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한 스프링 자체를 탄성부재로 사용하므로 제조원가가 저렴하고,
스프링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대응결합부재를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에 삽입하여 밀어주기만 하면 스프링과 플레이트가 간이신속하게 결합되므로 인건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스프링의 구성요소인 제1,2절곡부 및 직선부가 동일평면상에 놓여 서로 겹치지 아니하므로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동플레이트의 이동에 따라 스프링의 단부가 직접 (고정 또는 이동)플레이트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것이 아니고, 스프링의 단부는 대응결합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대응결합부재가 플레이트의 결합부에서 자유회전하는 구조로 내구성이 뛰어나 장기 사용시에도 원활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며,
특히 대응결합부재의 분리가 방지되므로 제품 동작 성능 및 품질에 문제가 없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발명의 일태양(一態樣, aspect)에 따른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의 분해 사시도인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은 고정플레이트(10), 이동플레이트(20), 스프링(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30)의 양단과 상기 고정플레이트(10) 및 이동플레이트(20)의 내면에는 각각 결합부와 대응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0)와 이동플레이트(20) 내면 사이에는 일정 공간을 형성한채 서로 접하도록 포개지고, 양측면에서 레일을 통해 결합되어 이동플레이트(20)가 슬라이드 이동한다.
상기 레일로는 이동플레이트(20)의 양측면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21)과,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양측면에 돌출되어 있으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슬릿(11)을 사용하였는데, 다양한 변형예 레일의 선택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0)와 이동플레이트(20)는 종래의 것과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10)와 이동플레이트(20)에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30)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대응결합부재(50)가 결합되는 상기 결합부(40)는 삽입공(41), 걸림공(43) 및 수용홈(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도 2, 도 4, 도 5 각각에서 결합부의 각 부분 두께는 이해의 편의상 과장되게 표현함).
상기 삽입공(41)과 걸림공(43)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걸림공(43)은 삽입공(41)의 외측에 배치되고,
삽입공(41)은 상기 대응결합부재(50)의 삽입부(51)가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그 내경이 삽입부(51)의 외경보다 크고,
걸림공(43)은 상기 걸림부(53)가 삽입되되 걸림부(53)가 걸림공(43)을 형성하는 플레이트의 내외면에 걸릴 수 있게 삽입공(41)의 내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다.
상기 수용홈(45)은 상기 걸림공(43)의 외면에 형성되고,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는 상기 대응결합부재(50)의 삽입부(51)의 단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3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고정 또는 이동 플레이트의 결합부(40)에 결합되는 대응결합부재(50)(도 2의 확대된 원 내 단면도 참조)는 삽입부(51), 걸림부(53) 및 베이스(5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사출성형되어 상기 스프링(30)의 단부에 결합된다.
즉, 스프링(30)을 금형에 인서트시킨 후에 수지를 금형에 부어 대응결합부재(50)를 형성함과 동시에, 대응결합부재(50)가 스프링(30)의 단부(36A)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50A)의 일단에는 상기 스프링(30)의 단부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삽입부(5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51)는 상기 베이스(50A)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외경은 상기 삽입공(41)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걸림부(53)의 폭보다는 크다. 그리하여 삽입공(41)에는 쉽게 삽입되고, 걸림부(53)에는 걸리게 된다.
상기 걸림부(53)는 상기 삽입부(51)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공(43)에 삽입되어 걸림부(53)의 상하부 내면이 상기 걸림공(43)을 형성하는 플레이트의 내외면에 접촉되어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결합부(40)와 대응결합부재(50)를 통해 스프링(30)과 플레이트(10,20)가 결합되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은 스프링(30)과 플레이트(10,20)를 결합시키기 위해 별도의 공구가 필요치 않고, 대응결합부재(50)를 결합부(40)에 삽입시킨 후 밀어주기만 하면 되므로 간이신속하게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걸림공(43)이 삽입공(41)의 외측에 배치되고 스피링(30)의 단부(36A)는 탄성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므로, 스프링(30)이 플레이트(10,20)에서 자연적 또는 우발적으로 이탈될 위험을 줄였다.
상기 스프링(3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자 형태와 양단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져 있고 전체적으로 반원 형태인 두 가지가 있다.
일자 형태의 스프링은 탄성력 증강을 위해 다수개의 와이어(강선)가 서로 꼬아져서 이루어지고, 반원 형태의 스프링은 탄성력 증강을 위해 와이어의 양단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아져 있다.
상기 스프링(30)의 재질은 스테인레스나 피아노선과 같이 탄성이 뛰어나고 신뢰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30)은 그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고정플레이트(10) 및 이동플레이트(20)의 내면에 결합되어 이동플레이트(20)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한다. 즉, 고정플레이트(10)의 중앙선을 기준으로 이동플레이트(20)가 중앙선 아래에 위치하면 스프링(30)의 탄성력은 아래로 작용하고, 중앙선 위에 위치하면 스프링(30)의 탄성력은 위로 작용하여, 사용자는 휴대폰을 개폐시에 중앙선까지 이동플레이트(20)를 밀면 그 이후에는 스프링(30)에 의해 자동으로 휴대폰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것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원 형태의 스프링(30)은 그 단부인 일단에서 시계방향(또는 반시계방향)으로 감겨있는 제1감김부(31)와, 타단에서 반시계방향(또는 시계방향)으로 감겨있는 제2감김부(32)와, 상기 제1감김부와 제2감김부를 연결하는 곡선형의 연결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감김부(31), 제2감깁부(32) 및 연결부(33)는 일체로 이루어지고 동일평면상에 위치한다.
상기 스프링(30)은 이동플레이트(20)의 이동에 따라 응축되고 신장되는 과정에서 변형이 발생되는 부분이 연결부(33)에 집중되고, 연결부에 연결되고 (고정 또는 이동)플레이트(10,20)에 결합되는 감김부(31,32)에는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장기 사용에 따라 제1감김부(31)와 제2감김부(32)가 변형되어 서로 접촉되어 슬라이드이동이 방해받지 않고, 스프링(30)의 회전축이 되는 단부에 힘이 집중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개량하였다.
이하 도 2 및 도 5(결합부(40)와 대응결합부재(50)는 도 2와 다른 태양과 관련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으로, 결합부(40)는 윤곽만 개략적으로 도시함)를 참조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연결부(33)는 곡선형으로 하여 이동플레이트(20)의 이동에 따라 스프링(30)의 응축과 신장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응축과 신장에 따라 발생된 변형이 복원이 되지 않는 영구변형이 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감김부(31) 및 제2감김부(32)는 대칭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그 시작점(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절곡되어 있는 제1절곡부(36)와, 상기 제1절곡부의 단부에서 직선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직선부(37)와, 상기 직선부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절곡되어 있는 제2절곡부(38)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절곡부(38)와 직선부(37)는 스프링(30)의 응축과 신장에 따른 변형력이 더 이상 단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제1절곡부(36) 및 제2절곡부(38)는 실제 스프링(30)의 회전축이 되는 부분은 아니나 어느 정도 회전축과 같은 역할을 하여 스프링(30)의 회전시 회전축이 되는 삽입부에 집중될 힘을 일부 담당하여, 삽입부에 걸리는 부하를 분산시킴으로서 대응결합부재의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이동플레이트(20)의 이동과 동시에 삽입부가 자유회전되도록 하여 보다 원활하고 부드러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형태의 스프링 모듈은 스프링(30) 단부(36A) 탄성에 의하여 대응결합부재(59)가 플레이트(10)(20) 외측, 즉 결합부(40)의 걸림공(43)쪽으로 가압되므로
어느 정도 결합부재가 삽입공(41) 쪽으로 이탈될 위험이 적지만
플레이트(10)(20) 슬라이드 동작과정이나 스프링 탄성(또는 최초 고정 구조)에 따라서 결합부재(50)의 이탈 위험은 상존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도 2에 비하여 변형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의 전체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인 도 3 및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변형 태양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형예는 우선 각 플레이트(10)(20)에 형성된 결합부(40)가 초중말(初中末) 형상이 각각 광협중(廣狹中) 크기로 연속 형성된 삽입공(41), 걸림공(44), 체류공(44)을 갖고,
대응결합부재(50)(도 4의 확대된 원 내 단면도 참조)는 베이스(50A) 위에 상중하(上中下) 형상이 각각 광중협(廣中狹) 크기로 연속 형성된 삽입부(51), 체류부(54), 걸림부(53)가 구비된 점에서 주요하게 다르다.
상기 결합부(40)는 역시 상기 수용홈(45)(제조 용이성을 위하여 결합부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을 가지며,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는 상기 대응결합부재(50)의 삽입부(51)의 단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결합부(40)와 대응결합부재(50)의 각 부분 대응관계(각각 내경 및 외경 관련 관계)는 [삽입공(41)-삽입부(51), [걸림공(43)-걸림부(53)], [체류공(44)-체류부(54)]에 해당한다.
따라서 삽입공(41)에 삽입부(51)가 끼워진 후 걸림공(43)에 걸림부(53)가 위치하도록 플레이트(10)(20) 외면을 향하여 가압하여 통과한 후,
체류공(44) 부위에서는 체류부(54)가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결합부재(50)의 체류부(54) 외경이 걸림공(43) 내경 보다 작으므로 체류부에 위치한 결합부재(50)의 이탈 분리가 방지되는데,
이러한 이탈 방지 기능은 어느 정도 초기 형상(평면상에 위치하고 상하로 구부러지지 않은 형상)을 유지하려 하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고,
또 상기 결합부(40)의 전체 형상이 플레이트(10)(20)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도 2의 결합부(40)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프링의 탄성(연결부(33)의 중심을 향하여 작용하는 탄성)에 의하여 결합부재(50) 이탈방지 기능이 보완된다.
좀 더 이러한 결합부재(50) 이탈방지 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은 상기 걸림공(44)의 형상방향에 비하여 체류공(44)이 연통된 형상이되 체류공의 중심이 걸림공의 중심선에서 편심된 위치에 형성하는 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도 4의 하부에 변형예를 도시한 두 원 내 개략도 참조).
그러나 보다 확실한 방안은 도 4의 스프링(30) 관련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결합부재는 생략하고 개략적으로 도시함),
상기 결합부(40)의 체류공(44)에 위치한 상기 대응결합부재(50)의 체류부가(54)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스프링(30)의 일단(36A)은 상기 이동플레이트(20)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36A')은 상기 고정플레이트(10)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어,
각각 스프링(30) 일단(고정플레이트(10) 결합)의 결합부재(50)와 타단(이동플레이트(20) 결합)의 결합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4의 변형예 도시 원 내의 스프링(30) 양단(36A)(36A')의 평면 이탈 각도는 이해의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한 것이며, 실제로는 두 플레이트 내면 사이의 공간에 마찰없이 스프링이 내장될 수 있는 각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한편, 또 다른 변형예인 도 6에는 대응결합부재는 사출성형되어 스프링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형태인 것 대신에
상기 스프링(30)의 양단부(36A)(36A')는 연장되어 원형으로 말려 중공을 갖는 권취부(捲取部)(39)를 형성하고,
상기 권취부(39)의 중공(39A)에는 상기 대응결합부재(50)가 결합되는 형태이다.
특히 상기 대응결합부재(50)는 삽입부(51) 상부가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이어서(특히 플레이트(10)(20) 외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두형(切頭形) 콘(cone) 타입이다)
그 상단이 권취부(39)의 중공(39A)에 끼워질 수 있어 가압하면 권취부(39)가 벌어지면서 전체 삽입부(51)가 통과되고,
다시 권취부는 오므라들므로 결합부재(5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삽입부(51)의 외경은 상기 권취부(39)의 중공(39A) 내경보다 작아 쉽게 결합되고 상기 체류부(54)가 결합부(40) 체류공(44)에 걸리면
베이스(50A)(삽입부 보다 외경이 크다)와 체류공(44) 주변 플레이트 플렌지에 권취부(39)가 개재되므로 이탈이 방지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0)의 권취부(39)는 특히 도면과 같이 두 가닥(또는 그 이상)의 강선으로 형성한 경우
각 강선의 개별 권취부가 상호 내외에 배열되어 하나의 동심원을 이루는 형태여서 하나의 강선 두께를 유지하여 스프링 모듈 박형화에 일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느 경우에든 도 6의 모델에서는 플레이트(10)(20)와 스프링(30)의 권취부(39)가 접촉하여 마찰 마모 및 소음을 일으키지 않도록 와셔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도 2 및 도 4의 모델에서도 와셔를 도입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특허등록 제0537699호에 제시된 도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비하여 변형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의 전체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도 3에 비하여 변형된 스프링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플레이트 20 : 이동플레이트
30 : 스프링 31,32 : 감김부
33 : 연결부 35,37 : 절곡부
36 : 직선부 40 : 결합부
41 : 삽입공 43 : 걸림공
44: 체류공 45 : 수용홈
50 : 대응결합부재 50A : 베이스
51 : 삽입부 53 : 결림부
54: 체류부

Claims (4)

  1.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 상부에 배열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동플레이트;
    일단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내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내면에 결합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슬라이드이동을 보조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이동플레이트에 각각 형성되고 초중말(初中末) 형상이 광협중(廣狹中)) 크기로 연속 형성된 삽입공, 걸림공, 체류공으로 이루어진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의 양단부에는 상기 결합부에 대응되며, 베이스 위에 상중하(上中下) 형상이 광중협(廣中狹) 크기로 연속 형성된 삽입부, 체류부, 걸림부가 형성된 대응결합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체류공에 위치한 상기 대응결합부재의 체류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결합부재는 사출성형되어 상기 스프링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양단부는 연장되어 원형으로 말려 중공을 갖는 권취부(捲取部)를 형성하고,
    상기 권취부의 중공에는 상기 대응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
KR1020090056903A 2008-10-06 2009-06-25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 KR201000392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742 2008-10-06
KR20080097742 2008-10-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207A true KR20100039207A (ko) 2010-04-15

Family

ID=42215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903A KR20100039207A (ko) 2008-10-06 2009-06-25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92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7608A (zh) * 2017-12-14 2018-06-15 黄河科技学院 便于安装的轻便型通讯盒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67608A (zh) * 2017-12-14 2018-06-15 黄河科技学院 便于安装的轻便型通讯盒
CN108167608B (zh) * 2017-12-14 2018-11-30 黄河科技学院 便于安装的轻便型通讯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6230A (ko) 슬라이더 조립체용 업/다운 유지수단 및 그러한 업/다운유지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조립체
KR20042690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20110066562A (ko)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
US20110072922A1 (en) Slid type cover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10085741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2축 슬라이딩장치
US20110017000A1 (en) Slid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16446B1 (ko) 슬라이드형 무선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20100039207A (ko)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
KR100782446B1 (ko) 복수의 스프링을 구비한 신축가능한 링크 조립체 및 그링크 조립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조립체
KR20041609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KR200403709Y1 (ko) 슬라이더 조립체용 업/다운 유지수단 및 그러한 업/다운유지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조립체
KR20070040136A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장치
KR101006261B1 (ko) 슬라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개폐식 휴대단말기
KR200379297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935402B1 (ko) 휴대장치용 슬라이드 개폐장치
KR20100083053A (ko) 휴대폰용 슬라이딩 개폐기구
KR20120097788A (ko) 슬라이딩모듈용 스프링 조립체
KR100965212B1 (ko)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
KR20070079494A (ko) 휴대폰의 슬라이드방식 개폐장치
KR100867180B1 (ko) 휴대폰의 슬라이딩 어셈블리
KR100592889B1 (ko) 단면캠을 이용한 반자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691777B1 (ko) 슬림화를 위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KR200355873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 조립체
KR100516221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KR101037891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초슬림형 힌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1211

Effective date: 20100507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