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221B1 -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221B1
KR100516221B1 KR1020050019809A KR20050019809A KR100516221B1 KR 100516221 B1 KR100516221 B1 KR 100516221B1 KR 1020050019809 A KR1020050019809 A KR 1020050019809A KR 20050019809 A KR20050019809 A KR 20050019809A KR 100516221 B1 KR100516221 B1 KR 100516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lide assembly
torsion spring
guid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길
Original Assignee
최용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길 filed Critical 최용길
Priority to KR1020050019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2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2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12Devices for exhausting mist of oil or coolant; Devices for collecting or recovering materials resulting from grinding or polishing, e.g. of precious metals, precious stones, diamon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plate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순한 구조로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또한 휴대폰이 바나나 모양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한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해결 방법의 요지는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절곡홈이 형성되고, 각 절곡홈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가이드 개구가 형성된 제1몸체와, 제1몸체의 절곡홈에 결합되도록 양측에 가이드 날개가 형성되고, 제1몸체의 가이드 개구에 결합되도록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제2몸체와,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결합되어,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약간의 힘만으로도 끝단까지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조립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Slide assembly for portable telephone}
본 발명은 슬라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단순한 구조로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또한 유선형으로 슬라이드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바 타입, 플립 타입 및 폴더 타입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폰이 유행하고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폰은 통상 다수의 키 및 배터리 등이 설치되는 주몸체와, 상기 주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액정 몸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주몸체와 액정 몸체 사이에는 슬라이드를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조립체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조립체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453644호(공고일자 2004년10월21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액정 몸체가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 부재, 상기 가이드 레일 부재에 결합된 2개의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에 결합되어 슬라이드되는 동시에 주몸체가 결합되는 슬라이드 부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 레일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는 약간의 힘으로 가이드 레일 부재(또는 슬라이드 부재)를 밀어줘도 나머지 구간을 모두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스프링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 부재에 결합된 가이드 바의 양단에는 슬라이드시 발생하는 기계적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완충 고무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가이드 레일 부재의 일단에는 가이드 바 및 슬라이드 부재의 탈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감대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슬라이드 조립체는 가이드 레일 부재가 주물 제작에 이용되는 다이캐스팅(die casting) 방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제조 비용이 매우 고가인 단점이 있다. 즉, 위의 다이캐스팅 방법은 가이드 레일 부재 형태로 금형을 미리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록 대량 생산에 적합하기는 하지만 초기 비용 투자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더구나, 최근의 슬라이드 휴대폰은 그 유행 주기가 매우 짧기 때문에, 그것에 채택되는 슬라이드 조립체의 모양도 빠르게 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다이캐스팅 방법을 이용하여 가이드 레일 부재를 만들게 되면 이와 같이 빠르게 변하는 유행을 따라잡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 부재에는 슬라이드 부재를 슬라이드시키기 위해 별도의 가이드 바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바에는 기계적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완충 고무가 결합되며, 더욱이 가이드 레일 부재의 일단에는 별도의 마감대가 결합됨으로써 구성 요소가 비교적 많고 따라서 조립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도 있다. 물론, 위와 같이 구성 요소가 많음으로서 그 제조 비용은 더욱 상승한다.
또한, 최근에는 바나나 모양으로 휘어진 슬라이드 휴대폰(소위, 바나나폰이라고도 함)을 제작하려는 리서치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종래의 슬라이드 조립체는 가이드 레일 부재 및 가이드 바 등이 모두 평판 또는 직선 봉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바나나폰에 종래의 슬라이드 조립체를 채택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적은 소위 바나나폰에 채택될 수 있도록 유선형으로 슬라이드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는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절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절곡홈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가이드 개구가 형성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절곡홈에 결합되도록 양측에 가이드 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의 가이드 개구에 결합되도록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약간의 힘만으로도 끝단까지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션 스프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 반경을 가지며 유선형으로 휘어진 형태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는 가이드 개구와 같은 면을 갖는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각 끝단에 상부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제2영역,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다시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절곡된 제3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 내지 제3영역에 의해 가이드 절곡홈이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3영역에는 상기 제2몸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대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에는 상단과 하단의 각 절곡홈에 마감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토션 스프링과,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적어도 한번 감긴 제1코일과, 상기 제1코일의 일단에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된 제1발과, 상기 제1코일의 타단에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2몸체에 결합된 제2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적어도 한번 감긴 제1코일과, 상기 제1코일의 일단에 형성된 동시에 적어도 한번 감긴 제2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타단에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된 제1발과, 상기 제1코일의 타단에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2몸체에 결합된 제2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절곡홈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양측의 날개부에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몸체의 가이드 돌기는 제1몸체의 가이드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노출된 가이드 돌기에는 주몸체 또는 액정 몸체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에는 액정 몸체 또는 주몸체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는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는 제1몸체, 제2몸체 및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성을 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는 제1몸체를 고가의 다이캐스팅 방법이 아닌 저가의 프레싱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음으로써, 급격하게 변하는 새로운 디자인에 저가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는 제1몸체가 소정 반경을 가지며 유선형으로 휘어진 형태를 함으로써, 소위 바나나폰에 용이하게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 배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100)는 대략 직사각 모양의 제1몸체(110)와, 상기 제1몸체(11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제2몸체(120)와,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에 결합되어 상호 탄력적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하는 토션 스프링(1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제1몸체(110)는 대략 직사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최근의 바나나폰에 채택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반경을 가지며 유선형으로 휘어진 형태를 한다. 또한, 상기 제1몸체(110)중 길이 방향을 따라서는 그 양측에 절곡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절곡홈(111)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 개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110)는 대략 중앙으로서 양측부에 토션 스프링(130,13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스프링 결합홀(113,113')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제1몸체(110)는 상단과 하단의 각 양측에 액정 몸체 또는 주몸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도록 또다른 결합홀(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몸체(120)는 상기 제1몸체(110)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대략 사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대략 평판 형태를 한다. 이러한 제2몸체(120)는 상기 제1몸체(110)의 양측에 형성된 절곡홈(111)에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 날개(1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몸체(120)는 상기 제1몸체(11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개구(11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배면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가이드 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몸체(12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날개(121)에는 상기 제2몸체(120)가 제1몸체(110) 내측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각각 롤러(125)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몸체(120)의 표면에는 토션 스프링(13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턱(123,124)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제2몸체(120)의 가이드 돌기(122)에는 상기 주몸체 또는 액정 몸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볼트 결합홀(1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130,130')은 제1토션 스프링(130)과 제2토션 스프링(1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상기 각 제1,2토션 스프링(130,130')은 일단이 제1몸체(1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몸체(120)에 결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2토션 스프링(130,130')은 적어도 한번 감긴 코일(131,131')과, 상기 코일(131,131')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110)의 결합홀(113,113')에 결합되는 제1발(132,132')과, 상기 코일(131,131')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몸체(120)의 걸림턱(123,124)에 결합되는 제2발(133)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제1몸체(110)의 상단과 하단의 절곡홈(111)에는 각각 상부 마감대(115)와 하부 마감대(116)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상부 마감대(115) 및 하부 마감대(116)에도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결합홀은 상기 제1몸체(110) 형성된 결합홀(11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액정 몸체 또는 주몸체는 상기 제1몸체(110) 및 마감대(115,116)의 결합홀(114)에 공통으로 볼트 등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몸체(110)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부 마감대(115) 및 하부 마감대(116)는 본 발명의 필수 구성 요소는 아니며, 경우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7은 액정 몸체와 주몸체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이 통과하는 소개구이다.
도 2a는 도 1a의 2a-2a선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1a의 2b-2b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10)는 가이드 개구(112)와 같은 면을 갖는 제1영역(118a)과, 상기 제1영역(118a)의 각 끝단에 상부 방향인 동시에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제2영역(118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몸체(110)는 제2영역(118b)으로부터 다시 내측 방향으로 즉,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서는 소정 길이의 제3영역(118c)이 더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영역(118a), 제2영역(118b) 및 제3영역(118c)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몸체(120)의 가이드 날개(121)가 결합되는 절곡홈(111)이 형성된다. 물론, 상술한 상부 마감대(115)(도시되지 않음) 및 하부 마감대(116)(도시되지 않음) 역시 상기 가이드 절곡홈(111)에 결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몸체(110)에는 상기 제3영역(118c)중 대부분의 영역이 개방된 대개구(119)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2몸체(120) 및 토션 스프링(130,130')의 대부분이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이러한 제1몸체(110)는 저가의 프레스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얇은 강판을 준비하고, 이를 소정 형태로 디자인한 펀치로 프레싱함으로써,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제2영역(118b) 및 제3영역(118c)의 절곡 역시 프레스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몸체(110)중 상기 절곡홈(111)에는 제2몸체(120)중 가이드 날개(121)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110)중 가이드 개구(112)에는 제2몸체(120)중 하부로 약간 돌출된 가이드 돌기(122)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몸체(120)는 가이드 돌기(122)가 약간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 상부 영역은 약간 얇게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약간 얇게 형성된 영역에 토션 스프링(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코일이 위치됨으로써, 그 코일이 제1몸체(110)의 제3영역(118c)과 간섭되지 않는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에서 제2몸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3b-3b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120)의 표면에는 토션 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걸림턱(123,12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의 배면 방향으로는 약간 돌출된 가이드 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 돌기(122)에는 주몸체 또는 액정 몸체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홀(126)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제2몸체(12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날개(121)에는 한쪽 2개씩 총 4개의 롤러(125)가 더 결합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롤러(125)는 상기 제2몸체(120)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더 돌출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1몸체(110)중 제1영역(118a)에 접촉하면서 부드럽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중 제1몸체가 슬라이드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4c는 슬라이드 조립체에 휴대폰이 조립되어 슬라이드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대체로 제1몸체(110)에는 액정 몸체(141)가 결합되고, 제2몸체(120)는 주몸체(142)가 결합된다. 물론, 반대로 제1몸체(110)에 주몸체가 결합되고, 제2몸체(120)에 액정 몸체가 결합되어도 좋지만, 여기서는 전자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통상 휴대폰 사용자는 주몸체(142)를 잡은 상태에서, 액정 몸체(141)를 위로 올려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조립체(100)는 대체로 제2몸체(1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몸체(110)가 위로 슬라이드되는 방식이다.
한편, 상기 제1몸체(110)는 상부 방향으로 약간만 밀어주면, 나머지 구간은 토션 스프링(130,130')의 탄성력에 의해 자력에 슬라이딩된다. 즉, 사용자가 제1몸체(110)를 상부 끝단까지 밀어 올려줄 필요가 없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최초에 제1몸체(110)에 결합된 제2몸체(120)는 대략 상부에 위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1몸체(110)를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되면 당연히 제2몸체(120)는 반대로 제1몸체(110)를 따라 하부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이때, 제1토션 스프링(130) 및 제2토션 스프링(130')의 제1발(132,132')과 제2발(133,133')이 가장 가까운 거리로 이동하면서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게 된다. 즉, 제2몸체(120)가 제1몸체(110)의 대략 중앙 부근에 있을 때 상기 제1토션 스프링(130) 및 제2토션 스프링(130')의 제1발(132,132')과 제2발(133,133')이 가장 가까운 거리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몸체(120)가 제1몸체(110)의 대략 중앙 부근을 통과하여 하부로 슬라이드될 때는 상기 제1토션 스프링(130) 및 제2토션 스프링(130')의 축적된 에너지에 의해 자력으로 제1몸체(110)가 상부로 완전히 슬라이딩된다.
한편, 이때 상기 제2몸체(120)의 슬라이드 거리는 그 제2몸체(12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22) 및 제1몸체(110)에 형성된 가이드 개구(112)에 의해 제한된다. 즉, 상기 제2몸체(120)의 가이드 돌기(122)가 상기 제1몸체(110)의 가이드 개구(112)를 관통하는 형태를 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개구(112)의 외측으로는 제2몸체(120)가 슬라이드되지 않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 조립체(100)는 제1몸체(110)가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 반경을 가지며 휘어진 형태를 하기 때문에,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바나나 형태로 형성된 슬라이드 휴대폰에 채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43은 주본체에 부착된 배터리이고, 화살표는 슬라이드 방향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b는 이중 스프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러한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200)의 구조는 상술한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100)의 구조와 거의 같으며, 다만 토션 스프링(230,230')의 구조가 다르다.
즉, 상기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200)에 적용된 제1토션 스프링(230) 및 제2토션 스프링(230')은 이중 구조를 한다. 다른 말로, 상기 토션 스프링(230,230')은 적어도 한번 감긴 제1코일(231,231')과, 상기 제1코일(231,231')의 일단에 형성된 동시에 적어도 한번 감긴 제2코일(232,232')과, 상기 제2코일(232,232')의 타단에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1몸체(210)에 결합된 제1발(233,233')과, 상기 제1코일(231,231')의 타단에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2몸체(220)에 결합된 제2발(234,234')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이중 구조의 제1토션 스프링(230) 및 제2토션 스프링(230')에 의해 제1몸체(210) 및 제2몸체(220)의 상호 슬라이드 작용은 더욱 유연해진다. 즉, 상술한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100)에서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슬라이드 작용은 제1코일(131)의 탄성력이 제1발(132)을 통하여 제1몸체(110)에 그대로 전달되지만, 상술한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200)에서는 제1코일(231) 및 제2코일(232)의 탄성력이 복합적으로 제1발(233)을 통하여 제1몸체(210)에 전달됨으로서, 상기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의 상호 슬라이드 작용이 더욱 부드럽고 유연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는 제1몸체, 제2몸체 및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성을 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는 제1몸체를 고가의 다이캐스팅 방법이 아닌 저가의 프레싱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음으로써, 급격하게 변하는 새로운 디자인에 저가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는 제1몸체가 소정 반경을 가지며 유선형으로 휘어진 형태를 함으로써, 소위 바나나폰에 용이하게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 배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a의 2a-2a선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1a의 2b-2b선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에서 제2몸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3b-3b선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중 제1몸체가 슬라이드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4c는 슬라이드 조립체에 휴대폰이 조립되어 슬라이드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b는 이중 스프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200;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110; 제1몸체 111; 절곡홈
112; 가이드 개구 113,114; 결합홀
115,116; 마감대 117; 소개구
118a; 제1영역 118b; 제2영역
118c; 제3영역 119; 대개구
120; 제2몸체 12l 가이드 날개
122; 가이드 돌기 123,124; 걸림턱
125; 롤러 126;결합홀
130; 토션 스프링 131; 코일
132; 제1발 133; 제2발

Claims (10)

  1.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절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절곡홈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가이드 개구가 형성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절곡홈에 결합되도록 양측에 가이드 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의 가이드 개구에 결합되도록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약간의 힘만으로도 끝단까지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 반경을 가지며 유선형으로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가이드 개구와 같은 면을 갖는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각 끝단에 상부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제2영역,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다시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절곡된 제3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 내지 제3영역에 의해 가이드 절곡홈이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3영역에는 상기 제2몸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대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는 상단과 하단의 각 절곡홈에 마감대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토션 스프링과,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적어도 한번 감긴 제1코일과, 상기 제1코일의 일단에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된 제1발과, 상기 제1코일의 타단에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2몸체에 결합된 제2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적어도 한번 감긴 제1코일과, 상기 제1코일의 일단에 형성된 동시에 적어도 한번 감긴 제2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타단에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된 제1발과, 상기 제1코일의 타단에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2몸체에 결합된 제2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절곡홈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양측의 날개부에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가이드 돌기는 제1몸체의 가이드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노출된 가이드 돌기에는 주몸체 또는 액정 몸체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는 액정 몸체 또는 주몸체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평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KR1020050019809A 2005-03-09 2005-03-09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KR100516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809A KR100516221B1 (ko) 2005-03-09 2005-03-09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809A KR100516221B1 (ko) 2005-03-09 2005-03-09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404U Division KR200385491Y1 (ko) 2005-03-09 2005-03-09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KR20-2005-0006405U Division KR200385492Y1 (ko) 2005-03-09 2005-03-09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6221B1 true KR100516221B1 (ko) 2005-09-26

Family

ID=3730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809A KR100516221B1 (ko) 2005-03-09 2005-03-09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22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351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760996A2 (en) Slide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WO2007037596A1 (en) Link assembly with springs which can be extended and contracted and slider assembly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having the link assembly
KR100453644B1 (ko) 슬라이딩 개폐장치
KR100848858B1 (ko) 좁은 궤적을 갖는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100716446B1 (ko) 슬라이드형 무선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0516221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KR200385492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WO2013007115A1 (zh) 一种便携电子设备终端的滑板铰链
KR100516220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KR100913368B1 (ko) 슬라이드 힌지모듈의 동작스프링
KR20041609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KR10088473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200385490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KR200454455Y1 (ko) 댐퍼가 구비된 슬라이드 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0703853B1 (ko) 슬라이딩 개폐장치 및 그를 채용한 응용기기
KR100950259B1 (ko) 휴대폰용 힌지 스프링 모듈
KR20110066562A (ko) 슬라이드 휴대폰용 스프링모듈
KR10085365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KR20110015351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
KR100978948B1 (ko) 액츄에이터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힌지장치
KR200385491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KR20120058389A (ko) 슬라이딩 힌지용 탄성구동체
CN101370040A (zh) 用于打开和关闭便携式终端的滑动件机构
KR100538034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