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490Y1 -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490Y1
KR200385490Y1 KR20-2005-0006403U KR20050006403U KR200385490Y1 KR 200385490 Y1 KR200385490 Y1 KR 200385490Y1 KR 20050006403 U KR20050006403 U KR 20050006403U KR 200385490 Y1 KR200385490 Y1 KR 2003854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lide assembly
torsion spring
guid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길
Original Assignee
최용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길 filed Critical 최용길
Priority to KR20-2005-00064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4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4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4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보다 부드럽게 슬라이드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는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절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절곡홈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가이드 개구가 형성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절곡홈에 결합되도록 양측에 가이드 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의 가이드 개구에 결합되도록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약간의 힘만으로도 끝단까지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션 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Slide assembly for portable telephone}
본 고안은 슬라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보다 부드럽게 슬라이드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바 타입, 플립 타입 및 폴더 타입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폰이 유행하고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폰은 통상 다수의 키 및 배터리 등이 설치되는 주몸체와, 상기 주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액정 몸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주몸체와 액정 몸체 사이에는 슬라이드를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조립체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조립체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453644호(공고일자 2004년10월21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액정 몸체가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 부재, 상기 가이드 레일 부재에 결합된 2개의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에 결합되어 슬라이드되는 동시에 주몸체가 결합되는 슬라이드 부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 레일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는 약간의 힘으로 가이드 레일 부재(또는 슬라이드 부재)를 밀어줘도 나머지 구간을 모두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스프링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 부재에 결합된 가이드 바의 양단에는 슬라이드시 발생하는 기계적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완충 고무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가이드 레일 부재의 일단에는 가이드 바 및 슬라이드 부재의 탈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감대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슬라이드 조립체는 가이드 레일 부재가 주물 제작에 이용되는 다이캐스팅(die casting) 방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제조 비용이 매우 고가인 단점이 있다. 즉, 위의 다이캐스팅 방법은 가이드 레일 부재 형태로 금형을 미리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록 대량 생산에 적합하기는 하지만 초기 비용 투자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 더구나, 최근의 슬라이드 휴대폰은 그 유행 주기가 매우 짧기 때문에, 그것에 채택되는 슬라이드 조립체의 모양도 빠르게 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다이캐스팅 방법을 이용하여 가이드 레일 부재를 만들게 되면 이와 같이 빠르게 변하는 유행을 따라잡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 부재에는 슬라이드 부재를 슬라이드시키기 위해 별도의 가이드 바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바에는 기계적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완충 고무가 결합되며, 더욱이 가이드 레일 부재의 일단에는 별도의 마감대가 결합됨으로써 구성 요소가 비교적 많고 따라서 조립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도 있다. 물론, 위와 같이 구성 요소가 많음으로서 그 제조 비용은 더욱 상승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단순한 구조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는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절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절곡홈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가이드 개구가 형성된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절곡홈에 결합되도록 양측에 가이드 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의 가이드 개구에 결합되도록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약간의 힘만으로도 끝단까지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션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제1몸체는 가이드 개구와 같은 면을 갖는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각 끝단에 상부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제2영역,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다시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절곡된 제3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 내지 제3영역에 의해 가이드 절곡홈이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3영역에는 상기 제2몸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대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에는 상단과 하단의 각 절곡홈에 마감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토션 스프링과,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적어도 한번 감긴 제1코일과, 상기 제1코일의 일단에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된 제1발과, 상기 제1코일의 타단에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2몸체에 결합된 제2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적어도 한번 감긴 제1코일과, 상기 제1코일의 일단에 형성된 동시에 적어도 한번 감긴 제2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타단에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된 제1발과, 상기 제1코일의 타단에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2몸체에 결합된 제2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절곡홈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양측의 날개부에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용이 수단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용이 수단은 롤러 또는 볼(ball)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몸체의 가이드 돌기는 제1몸체의 가이드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노출된 가이드 돌기에는 주몸체 또는 액정 몸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에는 액정 몸체 또는 주몸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몸체는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는 판금 가공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는 제1몸체, 제2몸체 및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성을 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는 제1몸체를 고가의 다이캐스팅 방법이 아닌 저가의 판금 가공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음으로써, 급격하게 변하는 새로운 디자인에 저가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의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 배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100)는 슬라이드 타입(Slide Type) 휴대폰에 사용되는 것으로, 대략 직사각 모양의 제1몸체(110)와, 상기 제1몸체(11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제2몸체(120)와, 상기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에 결합되어 상호 탄력적 슬라이딩이 가능토록 하는 토션 스프링(1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제1몸체(110)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1몸체(110)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는 그 양측에 절곡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절곡홈(111)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가이드 개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110)는 대략 중앙으로서 양측부에 토션 스프링(130,13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스프링 결합홀(113,113')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제1몸체(110)는 상단과 하단의 각 양측에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의 액정 몸체 또는 주몸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도록 또 다른 결합홀(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몸체(120)는 상기 제1몸체(110)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대략 사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대략 평판 형태를 한다. 이러한 제2몸체(120)는 상기 제1몸체(110)의 양측에 형성된 절곡홈(111)에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 날개(1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몸체(120)는 상기 제1몸체(11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개구(11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배면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가이드 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몸체(12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날개(121)에는 상기 제2몸체(120)가 제1몸체(110) 내측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각각 롤러 또는 볼(ball)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용이 수단(125)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몸체(120)의 표면에는 토션 스프링(130)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턱(123,124)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제2몸체(120)의 가이드 돌기(122)에는 상기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의 주몸체 또는 액정 몸체(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볼트 결합홀(1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130,130')은 제1토션 스프링(130)과 제2토션 스프링(130')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상기 각 제1,2토션 스프링(130,130')은 일단이 제1몸체(1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몸체(120)에 결합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2토션 스프링(130,130')은 적어도 한번 감긴 코일(131,131')과, 상기 코일(131,131')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110)의 결합홀(113,113')에 결합되는 제1발(132,132')과, 상기 코일(131,131')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2몸체(120)의 걸림턱(123,124)에 결합되는 제2발(133)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제1몸체(110)의 상단과 하단의 절곡홈(111)에는 각각 상부 마감대(115)와 하부 마감대(116)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상부 마감대(115) 및 하부 마감대(116)에도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결합홀은 상기 제1몸체(110) 형성된 결합홀(11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의 액정 몸체 또는 주몸체는 상기 제1몸체(110) 및 마감대(115,116)의 결합홀(114)에 공통으로 볼트 등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몸체(110)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상부 마감대(115) 및 하부 마감대(116)는 본 고안의 필수 구성 요소는 아니며, 경우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17은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의 액정 몸체와 주몸체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이 통과하는 소개구이다.
도 2a는 도 1a의 2a-2a선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1a의 2b-2b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10)는 가이드 개구(112)와 같은 면을 갖는 제1영역(118a)과, 상기 제1영역(118a)의 각 끝단에 상부 방향인 동시에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제2영역(118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몸체(110)는 제2영역(118b)으로부터 다시 내측 방향으로 즉,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서는 소정 길이의 제3영역(118c)이 더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영역(118a), 제2영역(118b) 및 제3영역(118c)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몸체(120)의 가이드 날개(121)가 결합되는 절곡홈(111)이 형성된다. 물론, 상술한 상부 마감대(115)(도시되지 않음) 및 하부 마감대(116)(도시되지 않음) 역시 상기 가이드 절곡홈(111)에 결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몸체(110)에는 상기 제3영역(118c)중 대부분의 영역이 개방된 대개구(119)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2몸체(120) 및 토션 스프링(130,130')의 대부분이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이러한 제1몸체(110)는 저가의 판금 가공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금 가공이란 금속판을 소재(素材)로 하여, 구부린다든가, 접합한다든가, 때로는 구멍을 뚫고, 절단하기도 해서, 자기가 원하는 모양의 물품을 만드는 금속공작을 말한다. 예컨대 판금의 절단에는 보통 금속 톱이 사용되지만, 판이 두꺼울 때는 산소 아세틸렌 불꽃으로 녹여서 절단하는 방법도 있다. 또 구멍을 뚫기 위해서 각종의 공구가 준비되며, 일정한 면적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그 부분을 따내는 방법(punch)이 취해지기도 한다. 판금을 구부리기 위해서는 별도로 준비된 공구강(工具鋼)으로 만든 틀에 대고 두드려서 그 모양에 맞춰 구부리는 경우와, 프레스라고 하는 가압 공작 장치를 써서 판금을 틀에 눌러 성형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몸체(110)는 얇은 강판을 준비하고, 이를 소정 형태로 디자인한 펀치로 프레싱함으로써,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제2영역(118b) 및 제3영역(118c)의 절곡 역시 프레스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몸체(110)중 상기 절곡홈(111)에는 제2몸체(120)중 가이드 날개(121)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110)중 가이드 개구(112)에는 제2몸체(120)중 하부로 약간 돌출된 가이드 돌기(122)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몸체(120)는 가이드 돌기(122)가 약간 더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 상부 영역은 약간 얇게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약간 얇게 형성된 영역에 토션 스프링(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코일이 위치됨으로써, 그 코일이 제1몸체(110)의 제3영역(118c)과 간섭되지 않는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에서 제2몸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3b-3b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120)의 표면에는 토션 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걸림턱(123,12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의 배면 방향으로는 약간 돌출된 가이드 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 돌기(122)에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의 주몸체 또는 액정 몸체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홀(126)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제2몸체(12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날개(121)에는 한쪽 2개씩 총 4개의 롤러 또는 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용이 수단(125)이 더 결합되어 있다. 물론, 이러한 슬라이딩 용이 수단(125)은 상기 제2몸체(120)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더 돌출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2몸체(120)가 상기 제1몸체(110) 중 제1영역(118a)에 접촉하면서 부드럽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중 제1몸체가 슬라이드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4c는 슬라이드 조립체에 휴대폰이 조립되어 슬라이드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대체로 제1몸체(110)에는 상기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의 액정 몸체(141)가 결합되고, 제2몸체(120)는 주몸체(142)가 결합된다. 물론, 반대로 제1몸체(110)에 주몸체가 결합되고, 제2몸체(120)에 액정 몸체가 결합되어도 좋지만, 여기서는 전자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통상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 사용자는 주몸체(142)를 잡은 상태에서, 액정 몸체(141)를 위로 올려 사용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드 조립체(100)는 대체로 제2몸체(1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몸체(110)가 위로 슬라이드되는 방식이다.
한편, 상기 제1몸체(110)는 상부 방향으로 약간만 밀어주면, 나머지 구간은 토션 스프링(130,130')의 탄성력에 의해 자력에 슬라이딩된다. 즉, 사용자가 제1몸체(110)를 상부 끝단까지 밀어 올려줄 필요가 없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최초에 제1몸체(110)에 결합된 제2몸체(120)는 대략 상부에 위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1몸체(110)를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되면 당연히 제2몸체(120)는 반대로 제1몸체(110)를 따라 하부로 움직이게 된다. 또한, 이때, 제1토션 스프링(130) 및 제2토션 스프링(130')의 제1발(132,132')과 제2발(133,133')이 가장 가까운 거리로 이동하면서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게 된다. 즉, 제2몸체(120)가 제1몸체(110)의 대략 중앙 부근에 있을 때 상기 제1토션 스프링(130) 및 제2토션 스프링(130')의 제1발(132,132')과 제2발(133,133')이 가장 가까운 거리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몸체(120)가 제1몸체(110)의 대략 중앙 부근을 통과하여 하부로 슬라이드될 때는 상기 제1토션 스프링(130) 및 제2토션 스프링(130')의 축적된 에너지에 의해 자력으로 제1몸체(110)가 상부로 완전히 슬라이딩된다.
한편, 이때 상기 제2몸체(120)의 슬라이드 거리는 그 제2몸체(12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22) 및 제1몸체(110)에 형성된 가이드 개구(112)에 의해 제한된다. 즉, 상기 제2몸체(120)의 가이드 돌기(122)가 상기 제1몸체(110)의 가이드 개구(112)를 관통하는 형태를 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개구(112)의 외측으로는 제2몸체(120)가 슬라이드되지 않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43은 주본체에 부착된 전원 배터리이고, 화살표는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방향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b는 이중 스프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러한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200)의 구조는 도 1a 내지 도 1c, 도 2a, 도 2b, 도 3a, 도 3b,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100)의 구조와 유사하다. 다만, 상기 토션 스프링(230,230')이 제 1 코일(231,231') 및 제 2 코일(232,232')을 구비하는 구조만이 다르다. 즉, 상기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200)에 적용된 제1토션 스프링(230) 및 제2토션 스프링(230')은 이중 코일 구조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토션 스프링(230,230')은 적어도 한번 감긴 제1코일(231,231')과, 상기 제1코일(231,231')의 일단에 형성된 동시에 적어도 한번 감긴 제2코일(232,232')과, 상기 제2코일(232,232')의 타단에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1몸체(210)에 결합된 제1발(233,233')과, 상기 제1코일(231,231')의 타단에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2몸체(220)에 결합된 제2발(234,234')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이중 구조의 제1토션 스프링(230) 및 제2토션 스프링(230')에 의해 제1몸체(210) 및 제2몸체(220)의 상호 슬라이드 작용은 더욱 유연해진다. 즉, 상술한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100)에서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슬라이드 작용은 제1코일(131)의 탄성력이 제1발(132)을 통하여 제1몸체(110)에 그대로 전달되지만, 상술한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200)에서는 제1코일(231) 및 제2코일(232)의 탄성력이 복합적으로 제1발(233)을 통하여 제1몸체(210)에 전달됨으로서, 상기 제1몸체(210)와 제2몸체(220)의 상호 슬라이드 작용이 더욱 부드럽고 유연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는 제1몸체, 제2몸체 및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성을 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는 제1몸체를 고가의 다이캐스팅 방법이 아닌 저가의 판금 가공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음으로써, 급격하게 변하는 새로운 디자인에 저가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 배면도 및 측단면도.
도 2a는 도 1a의 2a-2a선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1a의 2b-2b선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에서 제2몸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3b-3b선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중 제1몸체가 슬라이드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 4c는 슬라이드 조립체에 휴대폰이 조립되어 슬라이드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b는 이중 스프링을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110; 제1몸체 111; 절곡홈
112; 가이드 개구 113,114; 결합홀
115,116; 마감대 117; 소개구
118a; 제1영역 118b; 제2영역
118c; 제3영역 119; 대개구
120; 제2몸체 12l 가이드 날개
122; 가이드 돌기 123,124; 걸림턱
125; 슬라이딩 용이 수단 126;결합홀
130; 토션 스프링 131; 코일
132; 제1발 133; 제2발

Claims (12)

  1.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 절곡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절곡홈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가이드 개구가 형성된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의 절곡홈에 결합되도록 양측에 가이드 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의 가이드 개구에 결합되도록 가이드 돌기가 형성된 제2몸체; 및,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가 약간의 힘만으로도 끝단까지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가이드 개구와 같은 면을 갖는 제1영역, 상기 제1영역의 각 끝단에 상부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제2영역, 상기 제2영역으로부터 다시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절곡된 제3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 내지 제3영역에 의해 가이드 절곡홈이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3영역에는 상기 제2몸체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대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는 상단과 하단의 각 절곡홈에 마감대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1토션 스프링과,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2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적어도 한번 감긴 제1코일과, 상기 제1코일의 일단에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된 제1발과, 상기 제1코일의 타단에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2몸체에 결합된 제2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은 적어도 한번 감긴 제1코일과, 상기 제1코일의 일단에 형성된 동시에 적어도 한번 감긴 제2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타단에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된 제1발과, 상기 제1코일의 타단에 형성된 동시에 상기 제2몸체에 결합된 제2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절곡홈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양측의 날개부에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용이 수단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용이 수단은 롤러 또는 볼(ball)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가이드 돌기는 제1몸체의 가이드 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노출된 가이드 돌기에는 주몸체 또는 액정 몸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는 액정 몸체 또는 주몸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는 평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판금 가공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KR20-2005-0006403U 2005-03-09 2005-03-09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KR2003854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403U KR200385490Y1 (ko) 2005-03-09 2005-03-09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403U KR200385490Y1 (ko) 2005-03-09 2005-03-09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808A Division KR100516220B1 (ko) 2005-03-09 2005-03-09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490Y1 true KR200385490Y1 (ko) 2005-05-27

Family

ID=43686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403U KR200385490Y1 (ko) 2005-03-09 2005-03-09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4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1849B2 (en) Device cov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8047112B2 (en) Hole-piercing punch
US10867759B2 (en) Keyswitch structure
US20070278920A1 (en) Locating structure for slide rail
EP1760996A2 (en) Slide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US7610789B1 (en) Curling die tool
CN101569907A (zh) 折弯模具
KR100516220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KR200385490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WO2016180295A1 (zh) 一种有剪刀限位配合面的组合键帽的键开关装置
WO2006070485A1 (ja) 書類等の綴じ具
KR100745823B1 (ko) 터미널 성형장치
CN211135169U (zh) 一种冲压模具的折弯成型结构
KR100516221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KR200385492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US20140144304A1 (en) Puncher
US20050133356A1 (en) Key top
KR200454455Y1 (ko) 댐퍼가 구비된 슬라이드 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0538034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EP2716423A1 (en) Puncher
KR100759868B1 (ko) 로터리 힌지장치, 그 로터리 힌지장치를 사용한개인휴대단말기 및 로터리 힌지장치의 제조방법
CN204323010U (zh) 车辆用遮阳装置
KR20110015351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장치
CN114749561B (zh) 超硬弹片成型模具及成型工艺
CN202667460U (zh) 内藏式斜楔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