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379B1 - 보행형 예초기 - Google Patents

보행형 예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379B1
KR100974379B1 KR1020080076272A KR20080076272A KR100974379B1 KR 100974379 B1 KR100974379 B1 KR 100974379B1 KR 1020080076272 A KR1020080076272 A KR 1020080076272A KR 20080076272 A KR20080076272 A KR 20080076272A KR 100974379 B1 KR100974379 B1 KR 100974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ure
cutting blade
mowing
shaft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4971A (ko
Inventor
요시히또 데이
마사히꼬 하야시
히데오 요시이
고시 구로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가부시끼가이샤 사이또오 노오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04676A external-priority patent/JP51397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04677A external-priority patent/JP495632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가부시끼가이샤 사이또오 노오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90014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4Cutting-heigh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76Driving mechanisms for the cut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835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A01D34/86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sloping ground, e.g. on embankments or in dit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28Control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when moving on slopes; Devices preventing lateral pull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주행기체를 전진시킨 예취 작업 및 주행기체를 후진시킨 예취 작업을 가능하게 구성하면서 예취날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절약할 수 있는 보행형 예초기를 간소한 구조로 실현하는 것이다.
보행형 예초기에 있어서, 주행기체(1)에 예취날(10)을 상하 축심(P2)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좌우 축심(P1)을 기준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주행기체(1)를 전진시키면 예취날(10)의 전방측이 하방으로 요동된 전방 내림 경사 자세로 자세 변경되고, 주행기체(1)를 후진시키면 예취날(10)의 후방측이 하방으로 요동된 후방 내림 경사 자세로 자세 변경되는 경사 자세 변경 기구를 구비한다.
Figure R1020080076272
보행형 예초기, 주행기체, 예취날, 요동 지지축, 구동축

Description

보행형 예초기 {WALK-BEHIND-TYPE MOWER}
본 발명은 주행기체에 원동부와, 원동부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주행 장치 및 예취날을 구비하고 있는 보행형 예초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53991호 공보(이하, [특허문헌 1]이라고 칭함)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행 차륜(특허문헌 1의 도1의 4)을 구비한 주행기체에 엔진(특허문헌 1의 도1의 5)을 탑재하여, 이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예취날(특허문헌 1의 도1의 2)을 구비한 보행형 예초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의 보행형 예초기에서는 예취날을 구성하는 기반(특허문헌 1의 도13의 66)이나 날 부재(특허문헌 1의 도13의 67)가 지면과 대략 수평이 되도록 구동 케이스(특허문헌 1의 도13의 9)의 하부에 예취날이 장착되어, 보행형 예초기를 전진시키면 전방으로부터 도입된 풀은 예취날의 전방부에서 예취되고, 보행형 예초기를 후진시키면 후방으로부터 도입된 풀이 예취날의 후방부에서 예취되도록 구성되 어 있었다.
그로 인해, 예취날 중 실제로 풀을 예취하는 부분은 예취날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인 것에 상관없이, 보행형 예초기를 전진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보행형 예초기를 후진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도, 예취날의 하면측이 거의 전역에 걸쳐서 지면과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예취날의 하측을 통과하는 예취된 후의 지면에 자란 풀이 예취날을 회전시키는 데 저항이 되기 쉬웠다. 그 결과, 예취날의 구동에 의한 엔진의 부하가 커져, 엔진의 소형화 및 보행형 예초기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주행기체를 전진시킨 예취 작업 및 주행기체를 후진시킨 예취 작업을 가능하게 구성하면서, 예취날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절약할 수 있는 보행형 예초기를 간소한 구조로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구성은 주행기체에 원동부와, 상기 원동부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주행 장치 및 예취날을 구비하고 있는 보행형 예초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체에 상기 예취날을 상하 축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좌우 축심을 기준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주행기체를 전진시키면 상기 예취날의 전방측이 하방으로 요동된 전방 내림 경사 자세로 자세 변경되고, 상기 주행기체를 후진시키면 상기 예취날의 후방측이 하방으로 요동된 후방 내림 경사 자세로 자세 변경되는 경사 자세 변경 기구를 구비하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주행기체를 전진(후진)시킴으로써, 전방 내림 경사 자세(후방 내림 경사 자세)로 자세 변경된 예취날의 전방부(후방부)에 의해 전방으로부터 도입된 풀을 예취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취날이 전방 내림 경사 자세(후방 내림 경사 자세)라도, 풀을 예취하는 것은 예취날의 전방측(후방측)이므로, 전방(후방)으로부터 도입된 풀을 지장 없이 예취할 수 있다. 전방 내림 경사 자세(후방 내림 경사 자세)에서는 예취날의 후방측(전방측)이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예취날의 하측을 통과하는 풀이 예취날을 회전시키는 저항이 되기 어려워져, 예취날의 구동에 의한 원동부의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주행기체를 전진시킨 예취 작업 및 주행기체를 후진시킨 예취 작업을 가능하게 구성하면서, 예취날을 구동하는 원동부의 출력을 작게 설정할 수 있어, 예취날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예취날은 주행기체에 좌우 축심을 기준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주행기체에 대해 예취날을 요동시킴으로써 예취날의 전방 내림 경사 자세 및 후방 내림 경사 자세를 용이하게 현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예취날의 전방 내림 경사 자세 및 후방 내림 경사 자세의 절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경사 자세 변경 기구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결과, 원동부의 소형화 및 보행형 예초기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보행형 예초기의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원동부의 하부에 상기 예취날을 상하 축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주행기체에 상기 원동부를 좌우 축심을 기준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경사 자세 변경 기구를 구성하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원동부를 주행기체에 대해 좌우 축심을 기준으로 요동시킴으로써, 예취날이 원동부와 일체로 주행기체에 대해 좌우 축심을 기준으로 요동하여 예취날의 전방 내림 경사 자세 및 후방 내림 경사 자세를 용이하게 현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예취날만을 좌우 축심을 기준으로 요동하도록 구성하면, 예취날과 원동부의 접속 구조가 복잡해질 우려가 있으나, 원동부 및 예취날을 일체로 좌우 축심을 기준으로 요동함으로써, 예취날과 원동부의 접속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예취날의 전방 내림 경사 자세 및 후방 내림 경사 자세의 절환을 더욱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경사 자세 변경 기구의 구조를 더욱 간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결과, 보행형 예초기의 경량화를 한층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보행형 예초기의 제조 비용을 더욱 삭감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원동부의 좌우 양측부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동심 형상의 구동축 및 요동 지지축을 연장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축을 통해 상기 원동부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주행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구동축 및 요동 지지축을 상기 주행기체에 좌우 축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경사 자세 변경 기구를 구성하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원동부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축을 회전시켜 주행기체를 전진(후진)시키면, 힘의 작용 반작용의 법칙에 의해 구동축이 회전하는 방향과 역방향의 힘이 원동부에 작용하여 원동부 및 예취날이 일체로 요동하여, 예취날의 전방측(후방측)이 하방으로 요동된 전방 내림 경사 자세(후방 내림 경사 자세)로 자세 변경된다. 그 결과, 주행 장치를 구동시킴으로써 관성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자동적으로 예취날을 전방 내림 경사 자세(후방 내림 경사 자세)로 자세 변경할 수 있는 동시에, 주행기체의 주행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전방 내림 경사 자세 및 후방 내림 경사 자세를 절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를 전진시켜 구동축(도13의 7a)이 좌우 축심(도13의 P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힘의 작용 반작용의 법칙에 의해 구동축의 좌우 축심 방향에서의 반시계 방향의 힘이 원동부(도13의 E)에 작용하여 원동부 및 예취날(도13의 10)이 일체로 전방으로 요동하여, 예취날의 전방측이 하방으로 요동된 전방 내림 경사 자세로 자세 변경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를 후진시켜 구동축을 좌우 축심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힘의 작용 반작용의 법칙에 의해 구동축의 좌우 축심 방향에서 시계 방향의 힘이 원동부(도14의 E)에 작용하여 원동부 및 예취날(도14의 10)이 일체로 후방으로 요동하여, 예취날(도14의 10)의 후방측이 하방으로 요동된 후방 내림 경사 자세로 자세 변경된다.
상술한 결과, 예취날의 전방 내림 경사 자세 및 후방 내림 경사 자세를 간이하고 신속하게 절환할 수 있어, 예취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경사 자세 변경 기구의 구조를 더욱 간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전방 내림 경사 자세에서의 예취날의 전방 내림 경사 각도 또는 상기 후방 내림 경사 자세에서의 예취날의 후방 내림 경사 각도를 변경 조절 가능한 경사 각도 조절 기구를 구비하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경사 각도 조절 기구에 의해 예취날의 전방 내림 경사 각도 또는 후방 내림 경사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예취날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어, 풀의 길이에 따라서 경사 각도 조절 기구를 조절하여 길게 또는 짧게 풀을 예취할 수 있다. 그 결과, 풀의 예취 높이를 변경 조절하는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어, 풀의 예취 높이를 변경 조절하는 기구의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상술한 결과, 풀의 예취 높이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면서 보행형 예초기의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 구성은 주행기체에 원동부를 구비하여, 상기 원동부의 하부에 예취날을 상하 축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보행형 예초기에 있어서, 상기 예취날의 전방측이 하방으로 요동된 전방 내림 경사 자세가 되도록 상기 원동부를 좌우 축심을 기준으로 상기 주행기체에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원동부 및 예취날을 일체로 상기 좌우 축심을 기준으로 자세 변경함으로써, 상기 전방 내림 경사 자세에서의 상기 예취날의 전방 내림 경사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는 점에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원동부 및 예취날을 일체로 좌우 축심을 기준으로 자세 변경하여 전방 내림 경사 자세에서의 예취날의 전방 내림 경사 각도를 변경하면, 예취날의 전방측의 높이가 변경되어, 전방으로부터 도입되어 온 풀을 예취하는 예취날의 전방측의 높이가 변경된다. 이 경우, 예취날이 전방 내림 경사 자세라도, 풀을 예취하는 것은 예취날의 전방측이므로, 전방으로부터 도입된 풀을 지장 없이 예취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내림 경사 자세에서는 예취날의 후방측이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예취날의 하측을 통과하는 풀이 예취날을 회전시키는 저항이 되기 어려워져 예취날의 구동에 의한 원동부의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원동부 및 예취날을 일체로 좌우 축심을 기준으로 자세 변경함으로써 예취날에 의한 풀의 예취 높이를 변경 조절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예취날을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기구 등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예를 들어 예취날만을 좌우 축심을 기준으로 자세 변경하도록 구성하면, 예취날과 원동부의 접속 구조가 복잡해질 우려가 있으나, 원동부 및 예취날을 일체로 좌우 축심을 기준으로 자세 변경함으로써 예취날과 원동부의 접속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풀의 예취 높이를 변경 조절하는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어, 풀의 예취 높이를 변경 조절하는 기구의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상술한 결과, 보행형 예초기의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어, 예를 들어 보행형 예초기에 의한 예초 작업이나 보행형 예초기의 운반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기체를 전진시킨 예취 작업 및 주행기체를 후진시킨 예취 작업을 가능하게 구성하면서, 예취날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절약할 수 있는 보행형 예초기를 간소한 구조로 실현할 수 있다.
[보행형 예초기의 전체 구성]
도1 내지 도6을 기초로 하여 보행형 예초기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보행형 예초기의 전체 좌측면도 및 전체 평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도3 내지 도5는 주행기체(1)의 종단 좌측면도, 횡단 평면도 및 종단 배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6은 전륜(5) 및 후륜(6)의 지지 구조를 설명하는 종단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행기체(1)에 장비된 기계 본체 프레임(2)에 전방부 차축(3) 및 후방부 차축(4)이 피봇되어 있고, 이 전방부 차축(3) 및 후방부 차축(4)의 좌우 양단부의 각각에 판금제의 전륜(5, 5) 및 후륜(6, 6)(주행 장치에 상당)이 고정되어 있다. 기계 본체 프레임(2)의 상부에 전동 케이스(7)가 좌우 방향의 축심(P1)을 기준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전동 케이스(7)의 상부에 연료 탱크(8a)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엔진(8)이 연동 연결되어 원동부(E)가 구성되어 있다. 엔진(8)에는 리코일식 기동기(8b)가 장비되어 있고, 이 기동기(8b)에 의해 엔진(8)을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기체(1)의 우측부에는 체인 전동 기구(9)가 배치되어 있고, 엔진(8)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동 케이스(7) 내의 전달 경로를 통해 체인 전동 기구(9)로 전달되어 전방부 차축(3) 및 후방부 차축(4)이 회전하고, 좌우의 전륜(5) 및 후륜(6)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7)의 하부에는 예취날(10)이 장착되어 있고, 엔진(8)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동 케이스(7) 내의 전달 경로를 통해 예취날(10)로 전달되어 예취날(10)이 회전하여, 풀을 예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 본체 프레임(2)의 상부에는 평면에서 볼 때 U자 형상의 프레임(18)이 고정되어 있고, 이 프레임(18)의 기계 본체 프레임(2)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된 단부에 지지축(19)이 상하 방향의 축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19)의 상단부에는 횡방향의 축심을 기준으로 브래킷(2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브래킷(20)에 파이프 형상의 조종 핸들(21)이 고정되어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종 핸들(21)은 상하 방향의 축심을 기준으로 요동 변위 가능하고, 또한 프레임(18)과의 사이에 구비한 제1 로크 기구(22)의 작용으로, 미리 설정한 상하 방향의 축심 방향의 복수의 요동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횡방향의 축심을 기준으로 요동 변위 가능하고, 또한 프레임(18)과의 사이에 구비한 제2 로크 기구(23)의 작용으로, 미리 설정한 횡방향의 축심 방향의 복수의 요동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종 핸들(21)의 연장 단부에는 파지부(21a)가 장비되어 있고, 이 파지부(21a)에 로크 상태로 스프링 압박된 제1 로크 기구(22)의 로크 해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1 해제 레버(24) 및 로크 상태로 스프링 압박된 제2 로크 기구(23)의 로크 해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제2 해제 레버(25)가 설치되어, 제1 및 제2 로크 기구(22, 23)와 각각 연계되어 있다.
조종 핸들(21)의 연장 단부에는 메인 클러치 레버(21b)가 횡방향의 축심을 기준으로 상하로 요동 조작 가능하게 장비되어 있고, 후술하는 메인 클러치(63)와 연계되어 예취날(10)의 회전의 정지 및 주행기체(1)의 정지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종 핸들(21)의 후단부에는 전진 위치, 중립 위치 및 후진 위치로 절환 가능한 전후진 절환 레버(26)가 상하 방향의 축심을 기준으로 좌우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전후진 절환 레버(26)에 후술하는 조작 아암(85)이 연계되어 전후진 절환 레버(26)의 조작에 의해 보행형 예초기의 전진, 정지(중립), 후진의 절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3, 도4,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 본체 프레임(2)은 전후로 긴 우측 및 좌측의 메인 프레임(31, 32)과, 우측 및 좌측의 메인 프레임(31, 32)의 전단부에 걸쳐서 설치된 전방부 프레임(33)과, 우측 및 좌측의 메인 프레임(31, 32)의 후단부에 걸쳐서 설치된 후방부 프레임(34)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방부 및 후방부 프레임(33, 34)은 원통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전방부 프레임(33)에 좌우 베어링 부재(37)를 개재하여 좌우 방향의 전방부 차축(3)이 회전 가능하게 내부 끼움되고, 후방부 프레임(34)에 좌우의 베어링 부재(38)를 개재하여 좌우 방향의 후방부 차축(4)이 회전 가능하게 내부 끼움되어 있다.
우측 및 좌측의 메인 프레임(31, 32)의 전단부에 걸쳐서 주행기체(1)의 전방부를 보호하는 전방부 로드(35)가 장착되어, 우측 및 좌측의 메인 프레임(31, 32) 후단부에 걸쳐서 주행기체(1)의 후방부를 보호하는 후방부 로드(36)가 장착되어 있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케이스(7)로부터 우측으로 구동축(7a)이 연장되어 있고, 이 구동축(7a)이 우측의 메인 프레임(31)에 베어링 부재(39)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7)로부터 좌측으로 구동축(7a)과 동심 형상의 요동 지지축(7b)이 연장되어 있고, 이 요동 지지축(7b)이 좌측의 메인 프레임(32)에 베어링 부재(40)를 개재하여 좌우 방향의 축심(P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동 케이스(7), 전동 케이스(7)에 장착된 엔진(8) 및 예취날(10) 등을 좌우 방향의 축심(P1)을 기준으로 기계 본체 프레임(2)에 일체로 전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구동축(7a) 및 요동 지지축(7b)의 좌우 방향의 축심(P1)의 측면에서 볼 때의 전후 방향의 위치는 구동축(7a) 및 요동 지지축(7b)에 의해 지지되는 전동 케이스(7), 엔진(8) 및 예취날(10) 등의 전후 방향에서의 무게 중심 위치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구동축(7a)을 정지시켜 전동 케이스(7) 등에 관성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예취날(10)이 지면과 거의 수평인 상태로 유지되고, 구동축(7a)을 회전시켜 전동 케이스(7) 등에 관성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는 전동 케이스(7) 등의 자중에 의한 축심(P1) 방향의 힘보다 구동축(7a)을 회전시킴에 따른 관성력의 쪽이 커져, 예취날(10)이 전방 내림 경사 자세 및 후방 내림 경사 자세로 자세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13 및 도14 참조).
도3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메인 프레임(31)의 우측 외측에는 체인 전동 기구(9)가 장비되어 있다. 체인 전동 기구(9)는 구동축(7a)의 우측 외측 단부에 연동 연결된 구동 스프로킷(41)과, 전방부 차축(3)의 우측 외측 단부에 연동 연결된 전방부 스프로킷(42)과, 후방부 차축(4)의 우측 외측 단부에 연동 연결된 후방부 스프로킷(43)과, 구동 스프로킷(41)의 상부에 배치된 텐션 스프로킷(44)과, 구동 스프로킷(41), 전방부 및 후방부 스프로킷(42, 43) 및 텐션 스프로킷(44)에 걸쳐서 권회되어 팽팽하게 설치된 전동 체인(45)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우측의 메인 프레임(31)의 우측면에는 좌우로 2분할된 체인 커버(46)가 장비되어 있고, 좌측의 체인 커버(46a)를 우측의 메인 프레임(31)에 고정하여, 이 좌측의 체인 커버(46a)에 우측 외측으로부터 우측의 체인 커버(46b)를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체인 전동 기구(9)를 체인 커버(46)에 의해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측의 체인 커버(46a)의 전후 중앙부의 상부에는 텐션 스프로킷(44)이 좌우 방향의 축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텐션 스프로킷(44)은 좌측의 체인 커버(46a)에 상하 방향으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텐션 스프로킷(44)을 상하로 위치 조절함으로써 전동 체인(45)의 팽팽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측의 체인 커버(46b)의 전후 중앙부에는 우측 외측으로부터 커버(5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커버(50)를 제거함으로써 체인 커버(46) 내의 점검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방부 차축(3) 및 후방부 차축(4)의 좌우 양단부에는 횡외측으로부터 좌우 전륜(5, 5) 및 후륜(6, 6)이 외부 끼움 삽입되어, 전방부 차축(3) 및 후방부 차 축(4)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엔진(8)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동 케이스(7)를 개재하여 구동축(7a)으로 전달되고 체인 전동 기구(9)를 개재하여 전방부 차축(3) 및 후방부 차축(4)이 회전하면, 전륜(5) 및 후륜(6)이 회전하여 보행형 예초기가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주행기체(1)의 기계 본체 프레임(2)에 전동 케이스(7)로부터 연장된 구동축(7a) 및 요동 지지축(7b)을 좌우 방향의 축심(P1)을 기준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엔진(8)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동 케이스(7)를 개재하여 구동축(7a)으로 전달하고, 구동축(7a)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체인 전동 기구(9)를 개재하여 전륜(5) 및 후륜(6)을 회전시킴으로써, 주행기체(1)를 전진시키면 예취날(10)의 전방측이 하방으로 요동된 전방 내림 경사 자세로 자세 변경되고, 주행기체(1)를 후진시키면 예취날(10)의 후방측이 하방으로 요동된 후방 내림 경사 자세로 자세 변경되는 경사 자세 변경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도13 및 도14 참조).
[커버의 상세 구조]
도4 내지 도7을 기초로 하여 주행기체(1)에 장착되어 있는 커버의 상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7은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의 구조를 설명하는 기계 본체 내측에서 본 종단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메인 프레임(31, 32)의 전후 중앙부 하면측에 좌우 상측 커버(51)가 고정되어 있고, 이 좌우 상측 커버(51)에 좌우 고정 비산 방지 커버(52)가 고정되어 있다. 좌측의 고정 비산 방지 커버(52)의 하단부와 지면 사이의 간극은 우측의 비산 방지 커버(52)의 하단부와 지 면 사이의 간극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고, 좌측의 비산 방지 커버(52)는 후술하는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와의 협동으로 예초의 좌측으로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5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8)으로부터 하방으로 전후 브래킷(53)이 연장되어 있고, 이 전후 브래킷(53)에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가 장착되어 있다.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에는 상하로 긴 전후 긴 구멍(54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전후의 긴 구멍(54A)에 전후 브래킷(53)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된 전후 핀(53A)이 연통되어 있다.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스프링 설치부(54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 설치부(54a)와 전후 브래킷(53)에 걸쳐서 탄성 스프링(55)이 장착되어 있다.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의 전단부 하부에는 측면에서 볼 때 전방 상방으로 절결된 전방부 경사부(54b)가 형성되어 있고,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의 후단부 하부에는 측면에서 볼 때 후방 상방으로 절결된 후방부 경사부(54c)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보행형 예초기를 전진시켜 좌측 전방으로부터의 돌 등의 장해물이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에 접촉하면,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에 형성된 긴 구멍(54A)에 의해 탄성 스프링(55)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보행형 예초기를 후진시켜 좌측 후방으로부터 돌 등의 장해물이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에 접촉하면,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에 형성된 긴 구멍(54A)에 의해 탄성 스프링(55)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의 전방부 및 후방부는 좌측의 전륜(5) 및 후륜(6)의 외면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전단부 및 후단부가 각각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성형되고, 이 내측으로 절곡된 전단부 및 후단부가 평면에서 볼 때에 전륜(5) 및 후륜(6)과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의 하단부와 지면 사이의 간극은 우측의 고정 비산 방지 커버(52)의 하단부와 지면 사이의 간극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의 하단부와 지면 사이의 간극 및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와 전륜(5) 및 후륜(6)의 간극을 작게 설정할 수 있어, 예초의 좌측으로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를 구성함으로써, 통상 시에는 탄성 스프링(55)의 압박력에 의해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를 하방측으로 압박하여 전륜(5)과 후륜(6) 사이를 넓게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에 의해 측방으로부터 덮을 수 있고, 장해물에 접촉하였을 때에는 탄성 스프링(55)의 압박력에 저항하여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행기체(1)의 우측에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를 설치해도 되고, 주행기체(1)의 좌우 양측에 가동 비산 방지 커버(54)를 설치해도 된다.
도3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메인 프레임(31, 32)에 걸쳐서 설치된 전방부 프레임(33)에는 좌우 전륜(5) 사이를 덮는 고무제의 전방부 비산 방지 부재(56)가 좌우 방향의 축심을 기준으로 전후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우측 및 좌측의 메인 프레임(31, 32)에 걸쳐서 설치된 후방부 프레임(34)에는 좌우 후륜(6) 사이를 덮는 고무제의 후방부 비산 방지 부재(57)가 좌우 방향의 축심을 기준으로 전후로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방부 및 후방부 비산 방지 커버(56, 57)의 좌우 양단부는 각각 전륜(5) 및 후륜(6)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이에 의해 예초의 전방 및 후방으로의 비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4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 본체 프레임(2)은 전후로 2분할된 전후 상부 커버(58)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덮여 있다. 전후 상부 커버(58)의 중앙부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으로 성형되고, 외주부가 수평인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전후 상부 커버(58)의 수평인 형상으로 성형된 좌우 양측부가 우측 및 좌측의 메인 프레임(31, 32)의 상면측의 복수 개소에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예취날의 상세 구조]
도5 및 도8을 기초로 하여 예취날(10)의 상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8은 예취날(10)의 구조를 설명하는 횡단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5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날(10)은 전동 케이스(7)의 하부에 예취날(10)을 장착하는 보스 부재(11)와, 이 보스 부재(11)에 고착된 회전 원판(12)과, 회전 원판(12)에, 외주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예취날체(13)와, 회전 원판(12)의 상면측에 고정된 복수의 확산 블레이드(1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회전 원판(12)은 보스 부재(11)와의 고정부로부터 외측으로 서서히 지면과의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도록 외측 하방으로 경사진 하방향의 접시 형상으로 성형되 고, 외주부에 지면과 거의 수평인 수평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예취날체(13)는 경사 외측 상방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성형된 상측 예취날체(13a)와, 경사 외측 하방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성형된 하측 예취날체(13b)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회전 원판(12)의 외주부의 수평부(12a)의 복수 개소에 상측 예취날체(13a)와 하측 예취날체(13b)가 교대로, 약 90도의 등간격의 피치로 핀(1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확산 블레이드(14)는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블레이드의 면적이 넓어지도록 그 상단부가 경사 외측 상방으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축심(P2)으로부터 서로 인접하는 예취날체(13)의 중간 위치를 방사 형상으로 약 90도의 등간격의 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7)의 하부에는 예취날 커버(16)가 장착되어 있고, 이 예취날 커버(16)에 의해 예초의 회전 중심측으로의 진입이 저지되어 회전 중심에서의 예초의 들러붙기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행형 예초기의 전동 구조]
도9 내지 도12를 기초로 하여 보행형 예초기의 전동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9는 보행형 예초기의 전동 계통도를 도시하고, 도10 및 도11은 보행형 예초기의 전동 구조의 종단 배면도 및 횡단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또한, 도12는 예취날 클러치(68)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9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케이스(7)의 상부에 한 쌍의 베어링(61)을 개재하여 상하 방향 입력축(6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입력 축(62)의 상단부가 전동 케이스(7)의 상부에 고정된 엔진(8)의 출력축(8c)에 메인 클러치(63)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입력축(62)의 하부에 전동 기어(64)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이 전동 기어(64)가 후술하는 상부 전동축(65)에 연동 연결된 전동 기어(72)에 맞물려 있다.
전동 케이스(7)의 상하 방향의 축심(P2) 방향으로 동심 형상으로 배치된 상부 전동축(65) 및 하부 전동축(66)이 복수의 베어링(67)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부 전동축(65)과 하부 전동축(66)에 걸쳐서 예취날 클러치(68)가 장착되어 있다. 하부 전동축(66)의 하단부에는 예취날(10)의 보스 부재(11)가 하방측으로부터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고, 예취날 클러치(68)를 입구측으로 조작하면, 엔진(8)으로부터의 동력이 입력축(62), 상부 전동축(65) 및 예취날 클러치(68)를 개재하여 하부 전동축(66)으로 전달되어 예취날(10)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0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날 클러치(68)는 상부 전동축(65)에 연동 연결된 상부 클러치(69)와, 하부 전동축(66)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스플라인 구조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외부 끼움된 하부 클러치(7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부 클러치(69) 및 하부 클러치(70)에는 서로 결합하는 결합편(69a, 70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하부 클러치(70)의 하면측과 베어링(67)의 상면측에 걸쳐서 하부 클러치(70)를 상방으로 압박하는 탄성 스프링(68a)이 장착되어 있고, 이 탄성 스프링(68a)에 의해 예취날 클러치(68)가 입구측으로 압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결합편(69a, 70a)에는 비스듬히 경사진 경사부(69b, 70b)가 형성되어 있고, 엔진(8)으로부터의 동력이 상부 전동축(65)을 개재하여 하부 전동축(66)으로 전달되는 상태에서는 상부 클러치(69)의 결합편(69a)과 하부 클러치(70)의 결합편(70a)이 맞물려 엔진(8)으로부터의 동력이 하부 전동축(66)으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엔진(8)을 정지시켜 상부 전동축(65)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로 예취날(10)이 관성력에 의해 회전하고, 예취날(10)로부터의 관성력이 하부 전동축(66)으로부터 상부 전동축(65)으로 전달되고자 하면, 결합편(69a, 70a)의 경사부(69b, 70b)에 의해 상부 클러치(69)에 대해 하부 클러치(70)가 상대 회전하여 미끄러져, 하부 전동축(66)으로부터의 관성력의 상부 전동축(65)으로의 전달이 차단된다. 예취날(10)의 관성력에 의한 회전이 멈추면, 탄성 스프링(68a)의 압박력에 의해 하부 클러치(70)가 상방으로 조작되고, 예취날 클러치(68)가 입구측으로 조작된다.
이에 의해, 예취날(10)의 관성력의 전동 상류측[엔진(8)측 및 구동축(7b)측]으로의 동반 회전[예를 들어, 예취날(10)의 관성력에 의해 전륜(5) 및 후륜(6)이 움직이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예를 들어 예취날(10)의 회전을 강제적으로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 등(도시하지 않음)을 예취날(10)의 전동 상류측[예를 들어, 상부 전동축(65) 또는 하부 전동축(66) 등]에 장비하고, 엔진(8)을 정지시켰을 때의 예취날(10)의 회전에 의한 관성력이 전동 상류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예취날(10)로부터의 관성력의 전동 상류측으로의 전달을 억제하는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하부 클러치(70)는 예취날 클러치(68)의 시프트 부재로서도 기능하도록 하부 클러치(70)의 하부의 외주부에 시프트 홈(70c)이 형성되어 있고, 이 시프트 홈(70c)에 전후 방향의 축심을 기준으로 좌우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시프트 레버(71)의 조작부(71a)가 결합되고, 시프트 레버(71)의 레버 본체(71b)를 요동 조작하면 하부 클러치(70)가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예취날 클러치(68)의 단접(斷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9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전동축(65)에는 전동 기어(72, 73)가 연동 연결되어 있고, 전동 기어(72)가 입력축(62)에 고정된 전동 기어(64)에 맞물려 있다. 전동 케이스(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전후 방향의 전동축(74)에 전동 기어(75)가 연동 연결되어 있고, 이 전동 기어(75)가 상부 전동축(65)에 연동 연결된 전동 기어(73)에 맞물려, 상하 방향의 상부 전동축(65)으로부터의 동력이 90도 각도 변경되어 전후 방향의 전동축(74)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동축(74)에는 전동 기어(76)가 연동 연결되어 있고, 이 전동 기어(76)가 전동축(74)의 우측 하측에 배치되어 전동축(77)에 연동 연결된 전동 기어(78)에 맞물려 있다.
전동축(77)에는 베벨 기어(79)가 연동 연결되어 있고, 이 베벨 기어(79)가 좌우 방향의 구동축(7a)에 외부 끼움된 전진용 베벨 기어(80) 및 후진용 베벨 기어(81)에 맞물려 있다. 구동축(7a)은 전동 케이스(7)에 베어링(83)을 개재하여 좌우 방향의 축심(P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구동축(7a)에 전진용 및 후진용 베벨 기어(80, 81)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고, 전진용 베벨 기어(80)와 후진용 베벨 기어(81) 사이에 시프트 부재(82)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또한 구동축(7a)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있다.
전동 케이스(7)에는 조작축(84)이 상하 방향의 축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조작축(84)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조작 아암(85) 및 상하의 조작 부재(86)가 연결되어 있다. 시프트 부재(82)의 외주부에는 시프트 홈(82a)이 형성되어 있고, 이 시프트 홈(82a)에 조작축(84)에 연결된 조작 부재(86)가 결합되어 있다. 조작 아암(85)을 전후로 요동 조작하면 시프트 부재(82)가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전진용 베벨 기어(80) 또는 후진용 베벨 기어(81)에 맞물려, 주행기체(1)의 전진, 정지(중립) 및 후진의 절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베벨 기어(79), 전진용 베벨 기어(80), 후진용 베벨 기어, 시프트 부재(82) 등에 의해 전후진 클러치(87)가 구성되어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아암(85)은 조종 핸들(21)에 장비된 전후진 절환 레버(26)에 연계되어 있고, 전후진 절환 레버(26)를 전진측(좌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조작 아암(85)이 후방으로 요동 조작되어 시프트 부재(82)가 전진용 베벨 기어(80)에 맞물려 전후진 클러치(87)가 전진측으로 온 조작되고, 베벨 기어(79)로부터의 동력이 전진용 베벨 기어(80) 및 시프트 부재(82)를 개재하여 구동축(7a)으로 전달되어 구동축(7a)이 정회전 구동한다. 한편, 전후진 절환 레버(21)를 후진측(우측)으로 요동 조작하면, 조작 아암(85)이 전방으로 요동 조작되어 시프트 부재(82)가 후진용 베벨 기어(81)에 맞물려 전후진 클러치(87)가 후진측으로 온 조작되고, 베벨 기어(79)로부터의 동력이 후진용 베벨 기어(81) 및 시프트 부재(82)를 개재하여 구동축(7a)으로 전달되어 구동축(7a)이 역회전 구동한다.
도9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7a)의 우측 단부에는 체인 전동 기구(9)의 구동 스프로킷(41)이 연동 연결되어 있고, 구동축(7a)으로부터의 동력이 체인 전동 기구(9)를 개재하여 전방부 차축(3) 및 후방부 차축(4)으로 전달되어 전륜(5) 및 후륜(6)이 정역전하여, 주행기체(1)가 전진 또는 후진한다.
[예취 높이 조절 기구의 상세 구조]
도3 및 도4를 기초로 하여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경사 각도 조절 기구에 상당)의 상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메인 프레임(32)의 후방부 상면측에 체결되어 고정된 브래킷(91)과 전동 케이스(7)의 좌측부에 체결되어 고정된 판 형상의 브래킷(92)에 걸쳐서 연계 로드(93)를 연계함으로써, 예취 높이의 하한 범위를 규제하는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가 구성되어 있다.
브래킷(91)은 판재를 L자 형상으로 절곡 성형하여 구성되어 있고, 좌측의 메인 프레임(32)과의 고정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에 3개의 조절 구멍(91A, 91B, 91C)이 가공되어 있다. 상측의 조절 구멍(91A)은 둥근 구멍으로 성형되어 있고, 중앙의 조절 구멍(91B) 및 하측의 조절 구멍(91C)은 각각 전후로 긴 긴 구멍으로 성형되어 있다. 후술하는 예취 높이(H1, H2, H3)가 거의 동일한 간격으로 높아지도록 조절 구멍(91B, 91C)의 긴 구멍의 길이가 서서히 길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연계 로드(93)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각각 내측 및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연계 로드(93)의 전단부를 브래킷(92) 상부의 좌우 방향의 관통 구멍에 연계하고, 연계 로드(93)의 후단부를 브래킷(91)의 조절 구멍(91A, 91B, 91C) 중 어느 하나에 핀(94)으로 연계함으로써, 좌우 방향의 축심(P1) 방향에서의 전동 케이스(7) 등의 요동 범위의 상한을 규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계 로드(93)의 후단부를 조절 구멍(91A)에 연계하면, 좌우 방향의 축심(P1) 방향에서의 전동 케이스(7)의 요동이 규제되어 엔진(8)을 구동하여 예취날(10)을 회전시켰다고 해도, 예취날(10)의 하단부의 높이는 H1의 상태인채로 변화되지 않는다.
연계 로드(93)의 후단부를 조절 구멍(91B)에 연계하면, 연계 로드(93)의 후단부의 이동이 조절 구멍(91B)의 긴 구멍의 범위에서 허용되어 좌우 방향의 축심(P1) 방향에서의 전동 케이스(7) 등의 전방 및 후방으로의 요동이 조절 구멍(91B)의 긴 구멍의 범위에서 허용된다. 예를 들어, 엔진(8)을 구동시켜 전후진 절환 레버(26)를 전진측으로 조작하면, 전동 케이스(7)의 하단부에 연결된 예취날(10)이 지면과 거의 수평인 높이(H1)로부터 조절 구멍(91B)으로 허용된 범위에서 경사진다. 그리고, 연계 로드(93)의 후단부가 조절 구멍(91B)의 선단부에 접촉하여 예취날(10)의 하단부의 높이가 자동적으로 높이(H2)로 변경되어 그 높이(H2)가 유지된다.
연계 로드(93)의 후단부를 조절 구멍(91C)에 연계하면, 연계 로드(93)의 후단부의 이동이 조절 구멍(91C)의 긴 구멍의 범위에서 허용되고, 좌우 방향의 축심(P1) 방향에서의 전동 케이스(7) 등의 전방 및 후방으로의 요동이 조절 구멍(91C)의 긴 구멍의 범위에서 허용된다. 예를 들어, 엔진(8)을 구동시켜 전후진 절환 레버(26)를 전진측으로 조작하면, 전동 케이스(7)의 하단부에 연결된 예취 날(10)이 지면과 거의 수평인 높이(H1)로부터 조절 구멍(91C)으로 허용된 범위에서 경사진다. 그리고, 연계 로드(93)의 후단부가 조절 구멍(91C)의 선단부에 접촉하고, 예취날(10)의 하단부의 높이가 자동적으로 높이(H3)로 변경되어 그 높이(H3)가 유지된다.
또한, 엔진(8)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전후진 절환 레버(26)를 정지측(중립측)으로 조작하면, 예취날(10)의 높이가 자동적으로 지면과 거의 수평인 높이(H1)로 변경된다.
이상과 같이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를 구성함으로써, 핀(94)을 착탈하여 연계 로드(93)의 후단부의 조절 구멍(91A, 91B, 91C)으로의 연계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전동 케이스(7)의 요동 범위를 변경하여, 예취날(10)의 하단부의 높이를 H1, H2, H3의 3단계로 변경 조절할 수 있고, 예취날(10)에 의한 예취 높이[후술하는 예취날(10)의 전방 내림 경사 각도(α)(후방 내림 경사 각도α)]를 3단계로 변경 조절할 수 있다.
[예취날의 경사 상황의 설명]
도13 및 도14를 기초로 하여 예취날(10)의 경사 상황에 대해 설명한다. 도13은 주행기체(1)를 전진시킨 전방 내림 경사 자세에서의 예취날(10)의 경사 상황을 도시하고, 도14는 주행기체(1)를 후진시킨 후방 내림 경사 자세에서의 예취날(10)의 경사 상황을 도시한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날(10)이 회전하고 있지 않은 지면과 거의 수평해진 상태로 엔진(8)을 구동시켜 전후진 절환 레버(26)를 전진측으로 절환하면, 구동축(7a)이 좌우 방향의 축심(P1)을 기준으로 도13의 흑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축(7a)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힘의 작용 반작용의 법칙에 의해 도13의 흑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구동축(7a)이 회전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반시계 방향의 힘이 전동 케이스(7)에 작용한다. 전동 케이스(7)에 반시계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전동 케이스(7), 전동 케이스(7)에 연결된 엔진(8) 및 예취날(10)이 일체로 좌우 방향의 축심(P1)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요동하고,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에 의해 요동 범위가 규제되어(도13에서는, 예취 높이를 H3으로 설정한 경우), 전동 케이스(7), 엔진(8) 및 예취날(10)이 수평일 때보다도 각도(α) 전방 내림 경사진 상태가 된다.
한편,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취날(10)이 회전하고 있지 않은 지면과 거의 수평해진 상태로부터 엔진(8)을 구동시켜 전후진 절환 레버(26)를 후진측으로 절환하면, 구동축(7a)이 좌우 방향의 축심(P1)을 기준으로 도14의 흑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축(7a)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힘의 작용 반작용의 법칙에 의해 도14의 흑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구동축(7a)이 회전하는 방향과는 반대의 시계 방향의 힘이 전동 케이스(7)에 작용한다. 전동 케이스(7)에 시계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전동 케이스(7) 및 전동 케이스(7)에 연결된 엔진(8) 및 예취날(10)이 일체로 좌우 방향의 축심(P1)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요동하고,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에 의해 요동 범위가 규제되어(도14에서는, 예취 높이를 H3으로 설정한 경우), 전동 케이스(7), 엔진(8) 및 예취날(10)이 수평일 때보다도 각도(α) 후방 내림 경사진 상태가 된다.
즉, 엔진(8)을 구동시켜 전후진 절환 레버(26)를 전진측 또는 후진측으로 절환하여 주행기체(1)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 자동적으로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에 의해 설정한 예취 높이에 예취날(10)이 자동적으로 요동하여, 미리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에 의해 설정된 예취날(10)의 예취 높이로 예취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예취날(10)을 전방 내림 경사 또는 후방 내림 경사시켜 풀을 예취함으로써, 예취날(10)의 전방 내림 경사 또는 후방 내림 경사시킨 하단부(전단부 또는 후단부)가 가장 풀(지면)에 가까운 위치가 되어, 그 위치로부터 주행 방향에 대한 역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예취날(10)과 예취날(10)의 하측을 통과하는 풀(지면)과의 사이의 간극이 서서히 넓어진다. 그 결과, 예취날(10)의 하면측과 예취날(10)의 하측을 통과하는 풀(지면)과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서, 예취날(10)의 하면측에 작용하는 예취한 풀(지면)로부터의 저항이 작아져, 풀을 예취할 때에 있어서의 예취날(10)에 작용하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예취날(10)이 지면과 대략 수평인 상태에서 풀을 예취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예취날(10)을 회전 구동시키는 동력(풀을 예취하는 동력)이 작아져 엔진(8)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고(예를 들어, 풀을 예취하는 능력을 확보하면서 마력이 작은 엔진으로 설정할 수 있음), 보행형 예초기의 콤팩트화 및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의 제1 별도 형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주행기체(1)의 전동 케이스(7)로부터 연장된 구동축(7a) 및 요동 지지축(7b)을 좌우 방향의 축심(P1)을 기준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예취날(10)을 전방 내림 경사 자세 및 후방 내림 경사 자세로 자세 변경하도록 경사 자세 변경 기구를 구성한 예를 나타냈으나, 주행기체(1)에 예취날(10)을 좌우 축심을 기준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면,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전동 케이스(7)의 하부에 예취날(10)을 좌우 축심을 기준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도시하지 않음)을 채용해도 되고, 엔진(8) 및 전동 케이스(7)와는 별도로 예취날(10)을 기계 본체 프레임(2)에 좌우 축심을 기준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도시하지 않음)을 채용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2 별도 형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구동축(7a)으로부터의 동력을, 체인 전동 기구(9)를 개재하여 전륜(5) 및 후륜(6)으로 전달하도록 구성한 예를 나타냈으나, 구동축(7a)으로부터의 동력을 다른 전동 기구를 개재하여 전륜(5) 및 후륜(6)으로 전달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예를 들어 V 벨트나 타이밍 벨트 등의 벨트 전동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채용해도 되고, 드라이브 샤프트(도시하지 않음)를 채용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브래킷(91)과 브래킷(92)에 걸쳐서 연계 로드(93)를 연계함으로써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를 구성한 예를 나타냈으나,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로서 다른 기구를 채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기계 본체 프레임(2)측에, 요동하는 엔진(8) 또는 전동 케이스(7)의 요동 범위의 상한을 규제하는 규제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도록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를 구성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취날(10)에 의한 예취 높이를 3단계로 변경 조절할 수 있도록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를 구성한 예를 나타냈으나, 예취날(10)에 의한 예취 높이를 다른 단계(예를 들어, 2단계와 같이 적은 단계, 또는 4단계, 5단계 등과 같이 많은 단계)로 변경 조절할 수 있도록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예취날(10)에 의한 예취 높이를 단계적으로 변경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무단계러 변경 조절할 수 있도록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를 구성해도 되고,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취날(10)에 의한 예취 높이의 미세 조절을 행할 수 있어, 예취 작업의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요동하지 않는 기계 본체 프레임(2)측에, 요동하는 엔진(8) 또는 전동 케이스(7)의 요동 범위의 상한을 규제하는 규제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이 규제구를 조절함으로써 엔진(8) 또는 전동 케이스(7)의 요동 범위의 상한을 무단계로 규제하도록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를 구성한다.
[발명의 실시의 제3 별도 형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예취날(10) 대신에, 바 블레이드(도시하지 않음)를 채용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주행 장치로서 전륜(5) 및 후륜(6)을 채용한 예를 나타냈으나, 전륜(5) 및 후륜(6) 대신에, 차륜을 3점 배치한 3륜 주행 사양(도시하지 않음)이나, 크롤러 주행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채용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엔진(8)으로부터의 동력으로 전륜(5) 및 후륜(6)을 구동하도록 구성한 예를 나타냈으나, 전륜(5) 또는 후륜(6)을 유동 바 퀴(idle wheel)로 하여 엔진(8)으로부터의 동력으로 전륜(5) 또는 후륜(6)이 구동하도록 보행형 예초기를 구성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원동부(E)로서 엔진(8)을 채용한 예초기를 예로 나타냈으나, 원동부(E)로서 상이한 구성을 채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엔진(8) 대신에 배터리나 상용 전원 등의 전력에 의해 구동하는 전동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채용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동 케이스(7)의 상부에 엔진(8)을 연동 연결하여 원동부(E)를 구성한 예로 나타냈으나, 전동 케이스(7)와 엔진(8)을 일체로 구성한 원동부(E)(도시하지 않음)를 채용해도 된다. 또한, 간이하게는 전동 케이스(7)를 생략하고 원동부(E)를 엔진(8)만으로 구성해도 된다(도시하지 않음). 이 경우, 엔진(8)으로부터 주행 장치(차륜 등)로의 좌우 방향의 구동축 및 요동 지지축을 연장하고, 엔진(8)의 하부로부터 예취날(10)로의 하방향의 전동축을 연장하고, 엔진(8)을 기계 본체 프레임(2)에 좌우 축심을 기준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다(도시하지 않음).
[발명의 실시의 제4 별도 형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브래킷(91)과, 브래킷(92)에 걸쳐서 연계 로드(93)를 연계함으로써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를 구성한 예를 나타냈으나,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로서 상이한 기구를 채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기계 본체 프레임(2)측에, 요동하는 엔진(8) 또는 전동 케이스(7)의 요동 범위의 상한을 규제하는 규제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도록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를 구성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예취날(10)에 의한 예취 높이를 3단계로 변경 조절할 수 있도록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를 구성한 예를 나타냈으나, 예취날(10)에 의한 예취 높이를 상이한 단계(예를 들어, 2단계와 같이 적은 단계, 또는 4단계, 5단계 등과 같이 많은 단계)로 변경 조절할 수 있도록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예취날(10)에 의한 예취 높이를 단계적으로 변경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무단계로 변경 조절할 수 있도록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를 구성해도 되고,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취날(10)에 의한 예취 높이의 미세 조절을 행할 수 있어, 예취 작업의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요동하지 않는 기계 본체 프레임(2)측에, 요동하는 엔진(8) 또는 전동 케이스(7)의 요동 범위의 상한을 규제하는 규제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이 규제구를 조절함으로써 엔진(8) 또는 전동 케이스(7)의 요동 범위의 상한을 무단계에서 규제하도록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를 구성한다.
[발명의 실시의 제5 별도 형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엔진(8)을 구동시켜 전후진 절환 레버(26)를 전진측 또는 후진측으로 절환하여, 주행기체(1)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에 의해 설정한 예취 높이로 예취날(10)이 자동적으로 요동하도록 보행형 예초기를 구성한 예를 나타냈으나, 주행기체(1)에 전동 케이스(7), 엔진(8) 및 예취날(10) 등을 전후 방향으로 일체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예취날(10)을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에 의해 설정한 각도로 고정[예를 들어, 연계 로드(93)를 브래킷(91)의 복수 개소에 고정]함으로써, 주행기체(1)를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키는 것에 관계없이, 미리 설정한 예취 높이로 예취날(10)이 요동된 전방 내림 경사 자세(또는 후방 내림 경사 자세)를 현출하도록 보행형 예초기를 구성해도 된다.
[발명의 실시의 제6 별도 형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보행형 예초기를 전후진 가능하게 구성하여 예취날(10)의 전방 내림 경사 각도 및 후방 내림 경사 각도를 변경 조절 가능하게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를 구성한 예를 나타냈으나, 보행형 예초기를 전진만(후진만) 가능하게 구성하거나, 또는 예취날(10)의 전방 내림 경사 각도만(후방 내림 경사 각도만)을 변경 조절 가능하게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전진시키는 경우와 후진시키는 경우에 예취 높이가 상이하도록 예취 높이 조절 기구(90)를 구성해도 된다.
도1은 보행형 예초기의 전체 좌측면도.
도2는 보행형 예초기의 전체 평면도.
도3은 주행기체의 종단 좌측면도.
도4는 주행기체의 횡단 평면도.
도5는 주행기체의 종단 배면도.
도6은 전륜 및 후륜의 지지 구조를 설명하는 종단 배면도.
도7은 가동 비산 방지 커버의 구조를 설명하는 종단 측면도.
도8은 예취날의 구조를 설명하는 횡단 평면도.
도9는 보행형 예초기의 전동 계통도.
도10은 보행형 예초기의 전동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배면도.
도11은 보행형 예초기의 전동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
도12는 예취날 클러치의 사시도.
도13은 전진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예취날의 경사 상황을 설명하는 개략 우측면도.
도14는 후진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예취날의 경사 상황을 설명하는 개략 우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행기체
5 : 전륜(주행 장치)
6 : 후륜(주행 장치)
7a : 구동축
7b : 요동 지지축
10 : 예취날
90 : 예취 높이 조절 기구(경사 각도 조절 기구)
E : 원동부
P1 : 축심(좌우 축심)
P2 : 축심(상하 축심)
α : 전방 내림 경사 각도, 후방 내림 경사 각도

Claims (6)

  1. 주행기체(1)에 원동부(E)와, 상기 원동부(E)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주행 장치 및 예취날(10)을 구비하고 있는 보행형 예초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체(1)에 상기 예취날(10)을 상하 축심(P2)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좌우 축심(P1)을 기준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주행기체(1)를 전진시키면 상기 예취날(10)의 전방측이 하방으로 요동된 전방 내림 경사 자세로 자세 변경되고, 상기 주행기체(1)를 후진시키면 상기 예취날(10)의 후방측이 하방으로 요동된 후방 내림 경사 자세로 자세 변경되는 경사 자세 변경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보행형 예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부(E)의 하부에 상기 예취날(10)을 상하 축심(P2)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주행기체(1)에 상기 원동부(E)를 좌우 축심(P1)을 기준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경사 자세 변경 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보행형 예초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부(E)의 좌우 양측부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동심 형상의 구동축(7a) 및 요동 지지축(7b)을 연장하는 동시에, 상기 구동축(7a)을 통해 상기 원동부(E)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주행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구동축(7a) 및 요동 지지축을 상기 주행기체(1)에 좌우 축심(P2)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경사 자세 변경 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보행형 예초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7a) 및 상기 요동 지지축(7b)의 상기 좌우 방향의 축심(P1)의 측면에서 볼 때의 전후 방향의 위치는 상기 원동부(E)의 전후 방향에서의 중심 위치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구동축(7a)을 정지시켜 상기 원동부(E)에 관성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예취날(10)이 지면과 대략 수평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구동축(7a)을 회전시켜 상기 원동부(E)에 관성력이 작용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원동부(E)의 자중에 의한 상기 축심(P1) 방향의 힘보다 구동축(7a)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한 관성력의 쪽이 커져서, 상기 예취날(10)이 전방 내림 경사 자세 및 후방 내림 경사 자세로 자세 변경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보행형 예초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내림 경사 자세에서의 예취날(10)의 전방 내림 경사 각도 또는 상기 후방 내림 경사 자세에서의 예취날의 후방 내림 경사 각도를 변경 조절 가능한 경사 각도 조절 기구(90)를 구비하고 있는, 보행형 예초기.
  6. 주행기체(1)에 원동부(E)를 구비하고, 상기 원동부(E)의 하부에 예취날(10)을 상하 축심(P2)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보행형 예초기에 있어서,
    상기 예취날(10)의 전방측이 하방으로 요동된 전방 내림 경사 자세가 되도록 상기 원동부(E)를 좌우 축심(P1)을 기준으로 상기 주행기체(1)에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원동부(E) 및 예취날(10)을 일체로 상기 좌우 축심(P1)을 기준으로 자세 변경함으로써, 상기 전방 내림 경사 자세에서의 상기 예취날(10)의 전방 내림 경사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보행형 예초기.
KR1020080076272A 2007-08-06 2008-08-05 보행형 예초기 KR100974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04676A JP5139743B2 (ja) 2007-08-06 2007-08-06 歩行型草刈機
JPJP-P-2007-00204677 2007-08-06
JPJP-P-2007-00204676 2007-08-06
JP2007204677A JP4956320B2 (ja) 2007-08-06 2007-08-06 歩行型草刈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971A KR20090014971A (ko) 2009-02-11
KR100974379B1 true KR100974379B1 (ko) 2010-08-05

Family

ID=40684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272A KR100974379B1 (ko) 2007-08-06 2008-08-05 보행형 예초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4379B1 (ko)
TW (1) TWI3538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8802B2 (ja) * 2014-03-17 2017-11-29 株式会社クボタ 歩行型作業機
CN107667648B (zh) * 2017-10-17 2020-10-30 北方民族大学 山地割草机
JP7253460B2 (ja) * 2019-06-28 2023-04-06 株式会社やまびこ 往復動刈刃装置及び手持ち作業機
DE112020005936T5 (de) * 2019-12-04 2022-09-22 Husqvarna Ab Rasenmäher
SE544974C2 (en) * 2019-12-04 2023-02-14 Husqvarna Ab Lawnmower with pivotable cutting un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411A (ja) * 1991-12-17 1993-06-29 Honda Motor Co Ltd 歩行式芝刈機
JPH06296414A (ja) * 1993-04-14 1994-10-25 Kubota Corp 歩行型芝刈機
JPH08331960A (ja) * 1995-06-07 1996-12-17 Kubota Corp 歩行型刈取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411A (ja) * 1991-12-17 1993-06-29 Honda Motor Co Ltd 歩行式芝刈機
JPH06296414A (ja) * 1993-04-14 1994-10-25 Kubota Corp 歩行型芝刈機
JPH08331960A (ja) * 1995-06-07 1996-12-17 Kubota Corp 歩行型刈取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53817B (en) 2011-12-11
TW200936035A (en) 2009-09-01
KR20090014971A (ko)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6320B2 (ja) 歩行型草刈機
JP5139743B2 (ja) 歩行型草刈機
KR100974379B1 (ko) 보행형 예초기
JP2013078333A (ja) 歩行型草刈機
JP5603922B2 (ja) 歩行型草刈機
JP5603921B2 (ja) 歩行型草刈機
JP2002029274A (ja) 草刈り機における走行伝動機構
JP5222412B2 (ja) 歩行型草刈機
JP5222413B2 (ja) 歩行型草刈機
JP2002027815A (ja) 草刈り機における刈取り装置の昇降装置
JP5222415B2 (ja) 歩行型草刈機
JP5222414B2 (ja) 歩行型草刈機
JP2002027814A (ja) 草刈り機の燃料タンクの取付構造
JP7277333B2 (ja) 草刈機
JP7109358B2 (ja) 乗用型草刈機
JP2002027816A (ja) 草刈り機における刈取り装置のスライド支持機構
JP4737681B2 (ja) 作業車両のテンションクラッチ装置
JP2006345764A (ja) 乗用型田植機
JP3288595B2 (ja) 二面刈り用の歩行型草刈機
JP2017175984A (ja) 歩行型草刈機
JP2013066485A (ja) 歩行型草刈機
JP2012105685A5 (ko)
JP2012105684A5 (ko)
JPH10191754A (ja) 畦草刈機
JP4798656B2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