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198B1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198B1
KR100973198B1 KR1020087016111A KR20087016111A KR100973198B1 KR 100973198 B1 KR100973198 B1 KR 100973198B1 KR 1020087016111 A KR1020087016111 A KR 1020087016111A KR 20087016111 A KR20087016111 A KR 20087016111A KR 100973198 B1 KR100973198 B1 KR 100973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suction port
heat exchange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6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5020A (ko
Inventor
즈밍 정
히로시 오마에
토시히로 키자와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5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편류(偏流)를 완화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한다. 공기 조화기는, 케이싱과 필터(3a)와 실내 열교환기(4)와 송풍 장치와 취출 통로를 구비한다. 케이싱은, 실내로부터 받아들여지는 공기가 통하는 흡입구와, 실내로 불어내지는 공기가 통하는 취출구를 가진다. 필터(3a)는 흡입구의 하류에 설치되고, 공기가 투과하는 부재이다. 실내 열교환기(4)는, 필터(3a)의 하류에 있어서 필터(3a)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통과하는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한다. 송풍 장치는, 실내 열교환기(4)의 하류에 배치되며, 흡입구로부터 빨아들여지고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지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한다. 취출 통로는, 실내 열교환기(4)의 하류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4)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공기 도입구를 가지고, 공기 도입구로부터 취출구까지 공기를 안내한다. 그리고 필터(3a)는 실내 열교환기(4)에 대하여 경사한 외형을 가진다.
공기 조화 장치, 열교환기, 케이싱, 필터, 송풍 장치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에는, 흡입구와 취출구가 설치된 케이싱과, 흡입구의 하류에 배치되는 필터와, 필터의 하류에 있어서 필터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열교환기와, 원심 팬과, 취출 통로를 구비한 것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취출 통로는, 열교환기의 하류에 있어서 열교환기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공기 도입구를 가지며, 이 공기 도입구로부터 취출구까지 공기를 안내하는 통로이다. 원심 팬은, 흡입구로부터 빨아들여지고, 필터, 열교환기, 취출 통로를 통하여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지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소61-79938호 공보
상기와 같은 공기 조화기에서는, 흡입구로부터 빨아들여진 실내의 공기는, 필터 및 열교환기를 통한 후에, 공기 도입구로부터 취출 통로로 들어간다. 이 경우, 공기의 유속은 공기 도입구의 둘레 가장자리 근방에 있어서 커지기 쉽고, 공기 도입구의 둘레 가장자리 근방을 흐르는 공기의 유량이 많아진다. 이 때문에,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치우침이 생기기 쉬워져, 열교환의 효율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편류(偏流)를 완화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정면에 설치되는 패널부와, 패널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실내로부터 받아들여지는 공기가 통하는 제1 흡입구 및 제2 흡입구를 가지는 흡입구와, 실내로 불어내지는 공기가 통하는 취출구를 가지는 케이싱과, 흡입구의 하류에 있어서 패널부에 대항하여 배치되고 공기가 투과하는 필터와, 필터의 하류에 있어서 필터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통과하는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기와, 열교환기의 하류에 배치되며, 흡입구로부터 빨아들여지고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지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는 원심 팬과, 열교환기의 하류에 있어서 열교환기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공기 도입구를 가지고, 공기 도입구로부터 취출구까지 공기를 안내하는 취출 통로를 구비한다. 그리고, 필터의 패널부측의 표면은, 패널부측으로 돌출한 볼록상(狀)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필터의 패널부측의 표면은, 열교환기에 대하여 경사한 형상을 가진다.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필터는 열교환기에 대하여 경사한 외형을 가진다. 이 때문에, 필터가 열교환기에 대하여 평행한 외형을 가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변화를 생기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패널부의 주위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는 패널부의 내면(內面)을 따라 나아가는 것과 함께, 흐름의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필터를 투과하여 열교환기로 나아간다. 여기서, 필터의 패널부 측의 표면은 열교환기에 대하여 경사한 형상이기 때문에, 필터의 부분에 따라 공기의 투과 용이성이 다르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삭제
더욱,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필터의 패널부 측의 표면이 패널부 측으로 돌출한 볼록상의 형상이기 때문에, 필터의 부분에 따라 공기의 투과 용이성이 다르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의 공기 조화기이고, 필터의 패널부 측의 표면은, 제1 흡입구 측에 배치되는 제1 경사면과, 제2 흡입구 측에 배치되는 제2 경사면을 가진다.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1 흡입구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는, 제1 경사면을 투과하는 것에 의하여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의 흐름의 치우침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제2 흡입구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는, 제2 경사면을 투과하는 것에 의하여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의 흐름의 치우침을 완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2방향으로부터 공기가 빨아들여지는 경우라도,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제4 발명의 공기 조화기이고, 흡입구는, 제1 흡입구와 제2 흡입구를 연결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패널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3 흡입구와 제4 흡입구를 더 가진다. 그리고 필터의 패널부 측의 표면은, 제3 흡입구 측에 배치되는 제3 경사면과, 제4 흡입구 측에 배치되는 제4 경사면을 더 가진다.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1 흡입구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는, 제1 경사면을 투과하는 것에 의하여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의 흐름의 치우침을 완화할 수 있다. 제2 흡입구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는, 제2 경사면을 투과하는 것에 의하여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의 흐름의 치우침을 완화할 수 있다. 제3 흡입구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는, 제3 경사면을 투과하는 것에 의하여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의 흐름의 치우침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제4 흡입구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는, 제4 경사면을 투과하는 것에 의하여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의 흐름의 치우침을 완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4방향으로부터 공기가 빨아들여지는 경우라도,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의 공기 조화기이고, 필터의 패널부 측의 표면은, 제1 흡입구 측과 제2 흡입구 측을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이 패널부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彎曲)한 곡면부를 가진다.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1 흡입구로부터와 제2 흡입구로부터의 2방향으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가 곡면부를 투과한다. 그리고 곡면부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에 변화를 생기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제1 발명의 공기 조화기이고, 흡입구는, 패널부를 사이에 두고 사방(四方)으로 나누어져 배치되는 제1 흡입구와 제2 흡입구와 제3 흡입구와 제4 흡입구를 가진다. 그리고 필터의 패널부 측의 표면은 패널부 측으로 돌출한 구면상(球面狀)의 형상을 가진다.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필터의 패널부 측의 표면이 상기와 같은 구면상의 구면부를 가지기 때문에, 4방향으로부터 공기가 빨아들여지는 경우라도,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케이싱과 필터와 열교환기와 원심 팬과 취출 통로를 구비한다. 케이싱은, 실내로부터 받아들여지는 공기가 통하는 흡입구와, 실내로 불어내지는 공기가 통하는 취출구를 가진다. 필터는, 흡입구의 하류에 설치되고, 공기가 투과하는 부재이다. 열교환기는, 필터의 하류에 있어서 필터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통과하는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한다. 원심 팬은, 열교환기의 하류에 배치되며, 흡입구로부터 빨아들여지고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지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한다. 취출 통로는, 열교환기의 하류에 있어서 열교환기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공기 도입구를 가지고, 공기 도입구로부터 취출구까지 공기를 안내한다. 그리고 필터는, 공기 도입구의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큰 육후부(肉厚部)를 가진다.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필터 중 공기 도입구의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큰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필터의 투과 용이성이 다른 부분과 다르다. 이 때문에, 필터가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변화를 생기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는, 제8 발명의 공기 조화기이고, 케이싱은 정면에 설치되는 패널부를 더 가지고, 흡입구는 패널부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필터는 패널부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패널부의 주위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는 패널부의 내면을 따라 나아가는 것과 함께, 흐름의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필터를 투과하여 열교환기로 나아간다. 여기서, 필터 중 공기 도입구의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큰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필터의 투과 용이성이 다른 부분과 다르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필터는 열교환기에 대하여 경사한 외형을 가진다. 이 때문에, 필터가 열교환기에 대하여 평행한 외형을 가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변화를 생기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패널부의 주위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는 패널부의 내면을 따라 나아가는 것과 함께, 흐름의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필터를 투과하여 열교환기로 나아간다. 여기서, 필터의 패널부 측의 표면은 열교환기에 대하여 경사한 형상이기 때문에, 필터의 부분에 따라 공기의 투과 용이성이 다르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필터의 패널부 측의 표면이 패널부 측으로 돌출한 볼록상의 형상이기 때문에, 필터의 부분에 따라 공기의 투과 용이성이 다르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1 흡입구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는, 제1 경사면을 투과하는 것에 의하여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의 흐름의 치우침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제2 흡입구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는, 제2 경사면을 투과하는 것에 의하여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의 흐름의 치우침을 완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2방향으로부터 공기가 빨아들여지는 경우라도,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제5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1 흡입구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는, 제1 경사면을 투과하는 것에 의하여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의 흐름의 치우침을 완화할 수 있다. 제2 흡입구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는, 제2 경사면을 투과하는 것에 의하여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의 흐름의 치우침을 완화할 수 있다. 제3 흡입구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는, 제3 경사면을 투과하는 것에 의하여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의 흐름의 치우침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제4 흡입구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는, 제4 경사면을 투과하는 것에 의하여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의 흐름의 치우침을 완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4방향으로부터 공기가 빨아들여지는 경우라도,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1 흡입구로부터와 제2 흡입구로부터의 2방향으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가 곡면부를 투과한다. 그리고 곡면부에 의하여 공기의 흐름에 변화를 생기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필터의 패널부 측의 표면이 상기와 같은 구면상의 구면부를 가지기 때문에, 4방향으로부터 공기가 빨아들여지는 경우라도,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제8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필터 중 공기 도입구의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큰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필터의 투과 용이성이 다른 부분과 다르다. 이 때문에, 필터가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변화를 생기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제9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패널부의 주위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는 패널부의 내면을 따라 나아가는 것과 함께, 흐름의 방향을 변화시키면서 필터를 투과하여 열교환기로 나아간다. 여기서, 필터 중 공기 도입구의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큰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필터의 투과 용이성이 다른 부분과 다르다. 이것에 의하여,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도 1은 공기 조화기의 전면도.
도 2는 공기 조화기의 측면도.
도 3은 공기 조화기의 측면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예의 필터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 단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 5는 제1 실시예의 필터의 전면도.
도 6은 제2 실시예의 필터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 단면도 및 전면도.
도 7은 제3 실시예의 필터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 단면도 및 전면도.
도 8은 제4 실시예의 필터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 단면도 및 전면도.
도 9는 제5 실시예의 필터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 단면도 및 전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 조화기 2 : 케이싱
3a - 3e : 필터 4 : 실내 열교환기(열교환기)
5 : 송풍 장치(원심 팬) 6 : 제1 취출구
7 : 제2 취출구 8 : 제1 흡입구
9 : 제2 흡입구 10 : 제3 흡입구
11 : 제4 흡입구 14 : 공기 도입구
20 : 플랫 패널부(패널부) 31a, 31c : 제1 경사면
31d : 곡면부 31b : 구면부
31e : 육후부 32a, 32c 제2 경사면
33a : 제3 경사면 34a : 제4 경사면
P2, P3 : 취출 통로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1)를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다. 도 1은 공기 조화기(1)의 전면도이고, 도 2는 공기 조화기(1)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공기 조화기(1)의 측면(側面) 단면도이다. 이 공기 조화기(1)는 바닥에 배치하는 형태의 실내기이며, 케이싱(2)과 필터(3a)와 실내 열교환기(4)와 송풍 장치(5)를 구비한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하 좌우라고 하는 경우는, 공기 조화기(1)를 전면(前面)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상하 좌우를 의미하고 있다.
〔케이싱(2)〕
케이싱(2)은 합성 수지제의 중공(中空)의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필터(3a), 실내 열교환기(4), 벨 마우스(13), 송풍 장치(5)를 내부에 수납하고 있다. 케이싱(2)에는, 제1 취출구(6), 제2 취출구(7), 제1 흡입구(8), 제2 흡입구(9), 제3 흡입구(10), 제4 흡입구(11)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취출구(6)와 제2 취출구(7)는 케이싱(2)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취출구(6)는, 케이싱(2)의 전면의 상단(上端)을 따라 설치된 가로로 긴 형상의 개구(開口)이며, 실내로 불어내지는 공기가 통한다. 제2 취출구(7)는, 케이싱(2)의 전면의 하단(下端)을 따라 설치된 가로로 긴 형상의 개구이며, 실내로 불어내지는 공기가 통한다. 덧붙여, 제1 취출구(6)에는, 제1 취출구(6)로부터 불어내지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1 플랩(61)이 회동(回動, 정방향 역방향으로 원운동 함)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제1 플랩(61)에 의하여 제1 취출구(6)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제2 취출구(7)에는, 제2 취출구(7)로부터 불어내지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2 플랩(62)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흡입구(8)와 제2 흡입구(9)는 케이싱(2)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흡입구(8)는, 케이싱(2)의 우측면의 전단(前端)을 따라 설치된 세로로 긴 형상의 개구이며, 실내로부터 케이싱(2)의 내부로 빨아들여지는 공기가 통한다. 제2 흡입구(9)는, 케이싱(2)의 좌측면의 전단을 따라 설치된 세로로 긴 형상의 개구이며, 실내로부터 케이싱(2)의 내부로 빨아들여지는 공기가 통한다.
제3 흡입구(10)와 제4 흡입구(11)는 케이싱(2)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제3 흡입구(10)는, 제1 취출구(6)의 하방(下方)에 설치된 가로로 긴 형상의 개구이며, 실내로부터 케이싱(2)의 내부로 빨아들여지는 공기가 통한다. 제4 흡입구(11)는, 제2 취출구(7)의 상방(上方)에 설치된 가로로 긴 형상의 개구이며, 실내로부터 케이싱(2)의 내부로 빨아들여지는 공기가 통한다. 또한, 케이싱(2)의 전면 중 제3 흡입구(10)와 제4 흡입구(11)의 사이에는, 개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평탄한 플랫 패널부(20)가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케이싱(2)은, 케이싱 본체(21)와 케이싱 본체(21)의 전면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면 패널(22)을 가지고 있고, 제2 취출구(7)와, 제1 흡입구(8), 제2 흡입구(9), 제3 흡입구(10), 제4 흡입구(11)는 전면 패널(22)에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제1 취출구(6)는 케이싱 본체(21)에 설치되어 있다.
전면 패널(22)은, 케이싱 본체(21)의 전면보다도 작은 외형을 가지고 있고, 전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제1 취출구(6)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3 흡입구(10)는 전면 패널(22)의 상단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취출구(7)는 전면 패널(22)의 하단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제4 흡입구(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취출구(7)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면 패널(22)의 전면은, 케이싱 본체(21)의 전면으로부터 전방(前方)으로 약간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고, 전면 패널(22)의 전면 측 단부와 케이싱 본체(21)의 전면을 연결하는 전면 패널(22)의 측면에, 제1 흡입구(8) 및 제2 흡입구(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면 패널(22)의 전면 상단부와 케이싱 본체(21)의 전면을 연결하는 전면 패널(22)의 상면(上面)과, 전면 패널(22)의 전면 하단과 케이싱 본체(21)의 전면을 연결하는 전면 패널(22)의 하면은 닫혀져 있다. 덧붙여, 제3 흡입구(10)는, 전면 패널(22)의 전면이 아니라, 전면 패널(22)의 상면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이, 케이싱(2)에는, 전면 패널(22)의 플랫 패널부(20)의 주위의 상하 좌우 4방향에는, 각각 제3 흡입구(10)로부터 제2 흡입구(9)가 배치되어 있고, 플랫 패널부(20)의 상하 좌우 4방향으로부터 공기가 빨아들여진다.
케이싱 본체(21)는 전면이 크게 개구하고 있고, 케이싱 본체(21)의 내부에는, 필터(3a), 실내 열교환기(4), 벨 마우스(13), 송풍 장치(5)가 케이싱 본체(21)의 전면의 개구에 대향하여, 전방으로부터 후방(後方)으로 향하여 차례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2)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입 통로(P1)와 취출 통로(P2, P3)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 통로(P1)는, 전면 패널(22)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고, 제1 흡입구(8), 제2 흡입구(9), 제3 흡입구(10), 제4 흡입구(11)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를 벨 마우스(13)의 공기 도입구(14)까지 안내한다. 흡입 통로(P1)에는 필터(3a), 실내 열교환기(4)가 배치되어 있다.
취출 통로(P2, P3)는, 실내 열교환기(4)의 하류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4)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벨 마우스(13)의 공기 도입구(14, 후술)로부터 제1 취출구(6) 및 제2 취출구(7)까지 안내하는 통로이며, 제1 취출 통로(P2)와 제2 취출 통로(P3)를 가진다. 제1 취출 통로(P2)는, 공기 도입구(14)로부터 후방으로 향하여 송풍 장치(5)의 팬 커버(53, 후술)의 내부를 통하여 제1 취출구(6)에 연결되는 통로이다. 제2 취출 통로(P3)는, 공기 도입구(14)로부터 후방으로 향하여 팬 커버(53)의 내부를 통하여 제2 취출구(7)에 연결되는 통로이다.
〔필터(3a)〕
필터(3a)는, 플랫 패널부(20)의 후방에 있어서 플랫 패널부(20)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케이싱 본체(21)의 전면의 개구를 덮도록 장착되어 있다. 필터(3a)는, 흡입 통로(P1)를 통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각 흡입구(8 - 11)의 하류에 위치하고 있다. 필터(3a)는, 각 흡입구(8 - 11)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를 후방으로 투과시키고, 투과하는 공기를 청정화한다. 필터(3a)의 형상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서술한다.
〔실내 열교환기(4)〕
실내 열교환기(4)는, 도시하지 않는 실외 열교환기와 함께 냉매 회로를 구성하고 있고, 통과하는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한다. 실내 열교환기(4)는, 필터(3a)의 후방에 필터(3a)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흡입 통로(P1)를 통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필터(3a)의 하류에 위치하고 있다. 실내 열교환기(4)는, 얇은 판상(板狀)의 외형을 가지고 있고, 전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필터(3a)와 동일한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실내 열교환기(4)는 플랫 패널부(20)에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다.
〔송풍 장치(5)〕
송풍 장치(5)는, 실내 열교환기(4)의 후방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4)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송풍 장치(5)는, 흡입 통로(P1) 및 취출 통로(P2, P3)를 통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4)의 하류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송풍 장치(5)는, 원심 방향으로 바람을 불어내는 원심 팬의 일종인 터보 팬이며, 각 흡입구(8 - 11)로부터 빨아들여지고 각 취출구(6, 7)로부터 불어내지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한다. 송풍 장치(5)는 팬 로터(51), 팬 모터(52), 팬 커버(53)를 가지고 있다.
팬 로터(51)는, 회전 축(AX1)이 전후 방향으로 수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회전 축(AX1)으로부터 나선을 그리면서 멀어지도록 배치된 복수 매의 날개를 가지고 있다.
팬 모터(52)는 팬 로터(51)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원이며, 팬 로터(51)의 후방에 배치된다.
팬 커버(53)는 팬 로터(51)의 전방에 배치되는 부재이며, 공기 도입구(14)로부터 불어내지는 공기를 팬 로터(51)로 안내한다. 팬 커버(53)의 전면에는, 팬 커버(53) 내로 받아들여지는 공기가 통하는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팬 커버(53)의 전면의 개구를 통한 공기는, 팬 로터(51)에 의하여 원심 방향으로 불어내지는 것에 의하여 상하로 분기하여, 제1 취출구(6) 및 제2 취출구(7)로부터 실내로 불어내진다.
〔벨 마우스(13)〕
벨 마우스(13)는, 실내 열교환기(4)와 송풍 장치(5)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흡입 통로(P1)와 취출 통로(P2, P3)를 칸막이하는 부재이다. 벨 마우스(13)는 평탄부(15)와 원관부(圓管部, 16)를 가지고 있다. 평탄부(15)는, 전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4)와 동일한 정도의 크기의 외형을 가지고 있고, 실내 열교환기(4)의 후면에 대향하여 실내 열교환기(4)와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다. 평탄 부(15)에는 상술한 공기 도입구(14)가 설치되어 있고, 평탄부(15)의 공기 도입구(14)의 둘레 가장자리에 원관부(16)의 전단이 연결되어 있다. 덧붙여, 원관부(16)은 전단 측이 직경이 커지도록 만곡하고 있고, 공기 도입구(14)의 둘레 가장자리와 완만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원관부(16)의 후단(後端)은, 팬 커버(53)의 전면의 개구를 통하여 팬 커버(53)의 내부로 들어가 있다. 덧붙여, 공기 도입구(14)는 전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4)보다도 작은 외형을 가지고 있고, 원관부(16)도 전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 실내 열교환기(4)보다도 작은 외형을 가지고 있다.
〔필터(3a)의 형상〕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 특징적인 필터(3a)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터(3a)의 플랫 패널부(20) 측의 표면은, 플랫 패널부(20) 측으로 돌출한 볼록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실내 열교환기(4), 플랫 패널부(20) 및 벨 마우스(13)의 평탄부(15)에 대하여 경사한 외형을 가진다. 덧붙여, 도 4(a)는 필터(3a)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 단면도이고, 도 4(b)는 필터(3a)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필터(3a)의 전면도이다.
필터(3a)의 플랫 패널부(20) 측의 표면은, 제1 경사면(31a), 제2 경사면(32a), 제3 경사면(33a), 제4 경사면(34a)을 가진다. 제1 경사면(31a), 제2 경사면(32a), 제3 경사면(33a), 제4 경사면(34a)은 각각 평탄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이들이 조합되는 것에 의하여 필터(3a)의 볼록상의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제1 경사면(31a)은 필터(3a)를 상하 좌우의 4개로 나눈 것 중 우측(제1 흡입 구(8) 측)에 배치되어 있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경사면(33a)과 제4 경사면(34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경사면(31a)은, 좌단부가 우단부보다도 플랫 패널부(20)에 근접하도록 경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경사면(31a)과 플랫 패널부(20) 사이의 공간은, 우측이 넓고 좌측 즉 필터(3a)의 중앙부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제2 경사면(32a)은 좌측(제2 흡입구(9) 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3 경사면(33a)과 제4 경사면(34a)의 사이에 있으며, 제1 흡입구(8)의 좌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경사면(32a)은, 우단부가 좌단부보다도 플랫 패널부(20)에 근접하도록 경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2 경사면(32a)과 플랫 패널부(20) 사이의 공간은, 좌측이 넓고 우측 즉 필터(3a)의 중앙부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제3 경사면(33a)은 상측(제3 흡입구(10) 측)에 배치되어 있고,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단부가 상단부보다도 전면 패널(22)에 근접하도록 경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3 경사면(33a)과 플랫 패널부(20) 사이의 공간은, 상방이 넓고 하방 즉 필터(3a)의 중앙부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제4 경사면(34a)은 하측(제4 흡입구(11) 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3 경사면(33a)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4 경사면(34a)은, 상단부가 하단부보다도 플랫 패널부(20)에 근접하도록 경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4 경사면(34a)과 플랫 패널부(20) 사이의 공간은, 하방이 넓고 상방 즉 필터(3a)의 중앙부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있다.
덧붙여, 제1 경사면(31a)과 제2 경사면(32a)은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 고 좌우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3 경사면(33a)과 제4 경사면(34a)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상하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필터(3a)는 상하 대칭이고 또한 좌우 대칭인 볼록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중심은 벨 마우스(13)의 공기 도입구(14)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특징〕
(1)
이 공기 조화기(1)에서는, 제1 흡입구(8), 제2 흡입구(9), 제3 흡입구(10), 제4 흡입구(11)로부터 빨아들여진 공기는, 플랫 패널부(20)의 내면을 따라 나아가고, 공기 도입구(14)에 대향하는 위치 근방에 있어서 공기 도입구(14)를 향하여 흐름의 방향을 바꾼다(도 4의 파선 화살표 참조). 여기서, 필터(3a)는 상기와 같이 경사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플랫 패널부(20)의 내면을 따라 나아가는 공기의 진행 방향에 교차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랫 패널부(20)의 내면을 따라 나아가는 공기의 유속이나 흐름의 방향이, 필터(3a)의 경사면(31a - 34a)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변화한다. 이것에 의하여, 벨 마우스(13)의 공기 도입구(14)의 둘레 가장자리부 근방에 공기의 흐름이 집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실내 열교환기(4)를 통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의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2)
이 공기 조화기(1)에서는, 제1 흡입구(8), 제2 흡입구(9), 제3 흡입구(10), 제4 흡입구(11)에 대응하여, 제1 경사면(31a), 제2 경사면(32a), 제3 경사면(33a), 제4 경사면(34a)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랫 패널부(20)의 상하 좌우의 4방 향으로부터 공기가 빨아들여지는 경우라도, 벨 마우스(13)의 공기 도입구(14)의 둘레 가장자리부 근방에 공기의 흐름이 집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의 필터(3a)에 대신하여 도 6에 도시하는 필터(3b)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6(a)는 필터(3b)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 단면도이고, 도 6(b)는 필터(3b)의 전면도이다. 이 필터(3b)의 플랫 패널부(20) 측의 표면은, 플랫 패널부(20) 측으로 돌출한 구면상의 형상을 가지는 구면부(31b)를 가진다. 구면부(31b)는 벨 마우스(13)의 공기 도입구(14)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여기서 말하는 「구면」이란, 엄밀한 구면인 것까지를 요하지 않고, 구면에 근사한 곡면이면 충분하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 필터(3b)에서는, 구면부(31b)에 의하여, 플랫 패널부(20)의 내면을 따라 나아가는 공기의 유속이나 흐름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필터(3b)가 이용되어도, 제1 실시예의 필터(3a)와 마찬가지로, 실내 열교환기(4)를 통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의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플랫 패널부(20)의 상하 좌우의 4방향으로부터 공기가 빨아들여지는 경우에도 유효하다.
<제3 실시예>
제1 실시예의 필터(3a)에 대신하여 도 7에 도시하는 필터(3c)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7(a)은 필터(3c)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 단면도이고, 도 7(b)는 필터(3c)의 전면도이다. 이 필터(3c)의 플랫 패널부(20) 측의 표면은, 2개의 경 사면(31c, 32c)이 좌우 대칭으로 조합된 산형(山型)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필터(3c)는, 제1 흡입구(8) 측(우측)에 배치되는 제1 경사면(31c)과, 제2 흡입구(9) 측(좌측)에 배치되는 제2 경사면(32c)을 가지고 있다. 제1 경사면(31c)의 좌단부는, 제2 경사면(32c)의 우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제1 경사면(31c)과 제2 경사면(32c)의 접속 부분이 볼록상의 형상의 정점(頂點)으로 되어 있다. 덧붙여, 제1 경사면(31c) 및 제2 경사면(32c)의 경사의 방향은, 제1 실시예의 필터(3a)의 제1 경사면(31a) 및 제2 경사면(32a)과 마찬가지이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필터(3c)에 의해서도, 제1 실시예의 필터(3a)가 이용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내 열교환기(4)를 통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의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특히, 이 필터(3c)에서는, 플랫 패널부(20)의 좌우 2방향으로부터의 공기의 흡입에 유효하다.
덧붙여, 상기의 필터(3a)를 전후 방향으로 평행한 회전 축을 중심으로 90° 회전시킨 형상의 필터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는, 특히, 플랫 패널부(20)의 상하 2방향으로부터의 공기의 흡입에 유효하다.
<제4 실시예>
제1 실시예의 필터(3a)에 대신하여 도 8에 도시하는 필터(3d)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8(a)는 필터(3d) 근방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 단면도이고, 도 8(b)는 필터(3d)의 전면도이다. 이 필터(3d)의 플랫 패널부(20) 측의 표면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이 플랫 패널부(20)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한 곡면 부(31d)를 가지고 있고, 좌우 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필터(3d)에 의해서도, 제1 실시예의 필터(3a)가 이용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내 열교환기(4)를 통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의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특히, 이 필터(3d)에서는, 플랫 패널부(20)의 좌우 2방향으로부터 공기가 빨아들여지는 경우에 유효하다.
덧붙여, 상기의 필터(3d)를 전후 방향으로 평행한 회전 축을 중심으로 90° 회전시킨 형상의 필터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는, 특히, 플랫 패널부(20)의 상하 2방향으로부터의 공기의 흡입에 유효하다.
<제5 실시예>
제1 실시예의 필터(3a)에 대신하여 도 9에 도시하는 필터(3e)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 필터(3e) 중 공기 도입구(14)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큰 육후부(31e)로 되어 있다.
이 필터(3e)에서는, 육후부(31e)에 의하여, 플랫 패널부(20)의 내면을 따라 나아가는 공기의 유속이나 흐름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 실시예의 필터(3a)가 이용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실내 열교환기(4)를 통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의 편류를 완화할 수 있다. 특히, 육후부(31e)를 공기 도입구(14)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마찬가지로 원형으로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플랫 패널부(20)의 상하 좌우 4방향으로부터의 공기의 흡입에도 유효하다.
<다른 실시예>
(A)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바닥에 배치하는 형태의 실내기인 공기 조화기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 있지만, 천장 매입형이나 벽걸이형 등 다른 타입의 공기 조화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B)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플랫 패널부(20)의 주위로부터 공기가 빨아들여지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 있지만, 플랫 패널부(20)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흡입구가 설치된 공기 조화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다만, 상기와 같은 편류의 문제는, 플랫 패널부(20)의 주위로부터 공기가 빨아들여지는 경우에 생기기 쉽기 때문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타입의 공기 조화기에 특히 유효하다.
(C)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플랫 패널부(20)의 상하 좌우의 4방향으로부터 공기가 빨아들여지고 있지만, 플랫 패널부(20)의 상하 2방향만, 혹은 좌우 2방향만으로부터 공기가 빨아들여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본 발명은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있어서 편류를 완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 공기 조화기로서 유용하다.

Claims (9)

  1. 정면에 설치되는 패널부(20)과, 상기 패널부(2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고 실내로부터 받아들여지는 공기가 통하는 제1 흡입구(8) 및 제2 흡입구(9)를 가지는 흡입구(8-11)와, 실내로 불어내지는 공기가 통하는 취출구(6, 7)를,
    가지는 케이싱(2)과,
    상기 흡입구(8 - 11)의 하류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20)에 대항하여 배치되고 공기가 투과하는 필터(3a - 3d)와,
    상기 필터(3a - 3d)의 하류에 있어서 상기 필터(3a - 3d)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통과하는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기(4)와,
    상기 열교환기(4)의 하류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8 - 11)로부터 빨아들여지고 상기 취출구(6, 7)로부터 불어내지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는 원심 팬(5)과,
    상기 열교환기(4)의 하류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4)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공기 도입구(14)를 가지고, 상기 공기 도입구(14)로부터 상기 취출구(6, 7)까지 공기를 안내하는 취출 통로(P2, P3)
    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3a - 3d)의 상기 패널부(20) 측의 표면은, 상기 패널부(20) 측으로 돌출한 볼록상(狀)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필터(3a - 3d)의 상기 패널부(20)측의 표면은, 상기 열교환기(4)에 대하여 경사한 형상을 가지는,
    공기조화기(1)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3a, 3c)의 상기 패널부(20) 측의 표면은, 상기 제1 흡입구(8) 측에 배치되는 제1 경사면(31a, 31c)과, 상기 제2 흡입구(9) 측에 배치되는 제2 경사면(32a, 32c)을 가지는,
    공기 조화기(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8 - 11)는, 상기 제1 흡입구(8)와 상기 제2 흡입구(9)를 연결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2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3 흡입구(10)와 제4 흡입구(11)를 더 가지고,
    상기 필터(3a)의 상기 패널부(20) 측의 표면은, 상기 제3 흡입구(10) 측에 배치되는 제3 경사면(33a)과, 상기 제4 흡입구(11) 측에 배치되는 제4 경사면(34a)을 더 가지는,
    공기 조화기(1).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3d)의 상기 패널부(20) 측의 표면은, 상기 제1 흡입구(8) 측과 상기 제2 흡입구(9) 측을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이 상기 패널부(20) 측으로 돌출하도록 만곡(彎曲)한 곡면부(31d)를 가지는,
    공기 조화기(1).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8 - 11)는, 상기 패널부(20)를 사이에 두고 사방(四方)으로 나누어져 배치되는 제1 흡입구(8)와 제2 흡입구(9)와 제3 흡입구(10)와 제4 흡입구(11)를 가지고,
    상기 필터(3b)의 상기 패널부(20) 측의 표면은 상기 패널부(20) 측으로 돌출한 구면상(球面狀)의 구면부(31b)를 가지는,
    공기 조화기(1).
  8. 실내로부터 받아들여지는 공기가 통하는 흡입구(8 - 11)와, 실내로 불어내지는 공기가 통하는 취출구(6, 7)를 가지는 케이싱(2)과,
    상기 흡입구(8 - 11)의 하류에 설치되고 공기가 투과하는 필터(3e)와,
    상기 필터(3e)의 하류에 있어서 상기 필터(3e)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통과하는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기(4)와,
    상기 열교환기(4)의 하류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8 - 11)로부터 빨아들여지고 상기 취출구(6, 7)로부터 불어내지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는 원심 팬(5)과,
    상기 열교환기(4)의 하류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4)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공기 도입구(14)를 가지고, 상기 공기 도입구(14)로부터 상기 취출구(6, 7)까지 공기를 안내하는 취출 통로(P2, P3)
    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3e)는, 상기 공기 도입구(14)의 가장자리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큰 육후부(肉厚部, 31e)를 가지는,
    공기 조화기(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은 정면에 설치되는 패널부(20)를 더 가지고,
    상기 흡입구(8 - 11)는 상기 패널부(20)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필터(3e)는 상기 패널부(20)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1).
KR1020087016111A 2006-01-04 2006-12-25 공기 조화기 KR1009731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00154 2006-01-04
JP2006000154A JP3979434B2 (ja) 2006-01-04 2006-01-04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020A KR20080075020A (ko) 2008-08-13
KR100973198B1 true KR100973198B1 (ko) 2010-07-30

Family

ID=3822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111A KR100973198B1 (ko) 2006-01-04 2006-12-25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56659B2 (ko)
EP (1) EP1970636B1 (ko)
JP (1) JP3979434B2 (ko)
KR (1) KR100973198B1 (ko)
CN (1) CN101351673B (ko)
AU (1) AU2006333879B2 (ko)
ES (1) ES2676507T3 (ko)
WO (1) WO20070777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7040B1 (fr) * 2009-06-23 2014-01-03 Cinier Radiateurs Radiateur reversible
JP5593187B2 (ja) * 2010-10-01 2014-09-17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空気清浄機用フィルタ
JP6489890B2 (ja) * 2015-03-23 2019-03-27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装置
CN108291726A (zh) * 2015-11-24 2018-07-17 三菱电机株式会社 空调机
US20190107296A1 (en) 2017-10-10 2019-04-11 Trane International Inc. Modular heat pump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834A (ja) * 1991-08-26 1993-03-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器
JP2005188768A (ja) * 2003-12-24 2005-07-14 Sanyo Electric Co Ltd 2方向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6837A (en) * 1969-02-07 1972-08-29 Walker Mfg Co Dual media air filter
US4586349A (en) * 1983-11-02 1986-05-0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Unitary air conditioner
JPS6179938A (ja) * 1984-09-26 1986-04-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風路開閉装置
JP2755608B2 (ja) * 1988-08-26 1998-05-20 三洋電機株式会社 エアフィルタの取付装置
JPH03181723A (ja) * 1989-12-12 1991-08-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両吹出し空気調和機
JP3177336B2 (ja) * 1992-08-24 2001-06-18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エアフィルタ
JPH06221598A (ja) * 1993-01-28 1994-08-09 Sanyo Electric Co Ltd エアフィルタ
IN189834B (ko) * 1997-04-18 2003-04-26 Mann & Hummel Filter
JP3825562B2 (ja) * 1998-03-31 2006-09-27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01263785A (ja) * 2000-03-17 2001-09-26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02310448A (ja) * 2001-04-05 2002-10-23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2002364908A (ja) * 2001-06-05 2002-12-18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AU2002300100B2 (en) * 2001-07-11 2003-10-1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ir filter and air conditioner
KR20050063592A (ko) * 2003-12-22 2005-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0651275B1 (ko) * 2004-04-29 2006-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성능 열교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9834A (ja) * 1991-08-26 1993-03-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器
JP2005188768A (ja) * 2003-12-24 2005-07-14 Sanyo Electric Co Ltd 2方向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79434B2 (ja) 2007-09-19
EP1970636B1 (en) 2018-06-06
WO2007077789A1 (ja) 2007-07-12
AU2006333879A1 (en) 2007-07-12
AU2006333879B2 (en) 2010-04-22
JP2007183014A (ja) 2007-07-19
EP1970636A4 (en) 2013-05-29
CN101351673A (zh) 2009-01-21
US20090266524A1 (en) 2009-10-29
CN101351673B (zh) 2011-12-14
US8356659B2 (en) 2013-01-22
ES2676507T3 (es) 2018-07-20
KR20080075020A (ko) 2008-08-13
EP1970636A1 (en) 200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198B1 (ko) 공기 조화기
JP6109313B2 (ja) 送風機及び室外機
KR20070024705A (ko) 공기 조화기
JP2007127089A (ja) 遠心送風機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KR20160044998A (ko) 원심팬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JP6078945B2 (ja) 遠心送風機
CN101595312B (zh) 带有消音盒的鼓风机
JP4897379B2 (ja) 空気調和機
KR20170050309A (ko) 공기청정기의 축류형 송풍팬
JP2007154685A (ja) ターボファ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4274229B2 (ja) 空気調和機
JP2016003641A (ja) 遠心ファン
JP2012017941A (ja) 空気調和機
JP2015124624A (ja) 送風機
JP2016191492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7183017A (ja) 空気調和機
JP7255448B2 (ja) 送風機
CN113439187B (zh) 空气调节机
JP2012112589A (ja) 空気調和機
JP2006316703A (ja) 送風構造
WO2021090648A1 (ja) 送風機
JP4687741B2 (ja) 空気調和機
CN207162860U (zh) 一种自循环风幕机以及风幕系统
JP200322081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6497514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