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180B1 - 투과형 스크린 및 도포 장치 - Google Patents

투과형 스크린 및 도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180B1
KR100969180B1 KR1020077017679A KR20077017679A KR100969180B1 KR 100969180 B1 KR100969180 B1 KR 100969180B1 KR 1020077017679 A KR1020077017679 A KR 1020077017679A KR 20077017679 A KR20077017679 A KR 20077017679A KR 100969180 B1 KR100969180 B1 KR 100969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ens sheet
sheet
transfer roll
reduc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5383A (ko
Inventor
히로유키 모노에
고우조 야스다
유키히로 야나가와
오사무 기무라
요시오 아베
가타시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2462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20903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3533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312131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ublication of KR20070095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02B3/0068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arranged in a single integral body or plate, e.g. laminates or hybrid structures with othe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03B21/625Lenticular translucen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2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the work being a web or sheets
    • B05C1/083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the work being a web or sheets being passed between the coating roller and one or more backing roll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프레넬 렌즈 시트 (1),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등의 복수의 광학 시트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투과형 스크린 (3A) 에 있어서, 광학 시트 (1, 2) 의 적어도 1 개의 표면에 마찰 저감제 (20) 를 두께 0.3㎚ 이상 10㎚ 이하 형성한다. 이 마찰 저감제 (20) 의 도포 장치로는, 전사 롤 (31), 전사 롤 (31) 에 도포액 (20) 을 공급하는 도포액 공급 수단 (32) 및 전사 롤 (31) 에 부착되는 도포액 (20) 의 두께를 조정하는 스크래치 수단 (35) 을 갖는 도포 장치 (30) 에 있어서, 전사 롤 (31) 의 표면 조도 (Ra) (JIS B 0601-1982) 를 0.01∼1㎛ 로 한다. 이에 의해, 마찰 저감제를 원인으로 하는 미광의 발생이나 외관 불량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투과형 스크린 및 도포 장치{TRANSMISSION SCREEN AND APPL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배면 투사형 표시 장치 등에 사용되는 투과형 스크린, 그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유용한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면 투사형 표시 장치에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넬 렌즈 시트 (1) 와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를 밀착시킨 투과형 스크린 (3) 이 이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프레넬 렌즈 시트 (1) 는, 복수의 동심원형의 렌즈날이 미세한 피치로 형성된 프레넬 렌즈로 이루어지고, 투과형 스크린 (3) 에서는 프레넬 렌즈 시트 (1) 의 광출사면에 이 프레넬 렌즈가 배치된다.
한편,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는, 통상 광입사면 및 광출사면의 각각에 복수의 실린드리컬 렌즈를 등간격으로 배치한 것이고, 또한 명실에서의 콘트라스트 향상을 위해,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의 광출사면에는, 광입사면의 실린드리컬 렌즈에 의한 비집광 부위에, 표면에 광흡수층이 형성된 볼록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의 광출사면의 전면 (前面) 에는, 평탄하고 투명한 유리나 수지판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시트 (도시 생략) 가 배치되는 경우도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면 투사형 표시 장치 (10) 에서는, 투과형 스크린 (3) 이 프레임 (11) 에 장착되고, 케이싱 (12) 에 장착된다. 케이싱 (12) 내에는 영상 광원 (13) 과 반사경 (14) 이 설치되어 있고, 영상 광원 (13) 으로부터 투사된 영상광이 반사경 (14) 에서 반사되고, 투과형 스크린 (3) 을 통해 확대 투영된다.
그런데, 투과형 스크린 (3) 이 장착된 배면 투사형 표시 장치 (10) 의 수송에는, 철도, 차량 등의 일반적인 수송 수단이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수송시의 진동이 투과형 스크린 (3) 에 전달된다. 그 결과, 프레넬 렌즈 시트 (1) 와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가 스치거나 서로 부딪치거나 하고, 경우에 따라 이들 광학 시트의 일부가 손상되어, 외관상 흐려지거나, 영상을 표시했을 때 밝기에 불균일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프레넬 렌즈 시트 (1) 와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를 밀착시켜 투과형 스크린 (3) 을 구성할 때,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의 프레넬 렌즈 시트 (1) 측의 면에 마찰 저감제로서 실리콘 오일을 수 ㎛ 두께로 도포하여, 쌍방의 광학 시트의 스침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61738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특허 문헌 1 에서 제안된 기술을 프레넬 렌즈 시트 (1) 에 적용한 경우, 투과형 스크린 (3) 을 상방 또는 하방의 비스듬한 위치에서 관찰했을 때 그 광학 중심 부근이 돌출되어 밝아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 특허 문헌 1 에서 제안된 기술을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에 적용한 경우, 투과형 스크린 (3) 을 우측 또는 좌측의 비스듬한 위치에서 관찰했을 때 세로 줄무늬 형상의 밝기 불균일이 눈에 띈다는 문제가 생긴다.
이것은, 예를 들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에 도포된 실리콘 오일 등의 마찰 저감제 (20) 가, 렌즈열 또는 프리즘열의 곡부 (谷部) (2b) 에 모이고, 이 곡부 (2b) 에 입사된 광선이 마찰 저감제 (20) 의 경계면에서 굴절 반사되고, 본래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출사되어 미광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동일한 문제는, 일방의 광학 시트의 평탄면과, 타방의 광학 시트의 렌즈면을 대향시키고, 접촉시켜 투과형 스크린을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광학 시트의 평탄면에 마찰 저감제를 도포했을 때에도, 마찰 저감제가 타방의 광학 시트의 렌즈면에 전사되어, 렌즈열의 곡부에 모임으로써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렌즈 곡부에 모인 마찰 저감제의 영향은 렌즈의 피치가 작아질수록 커진다. 그 때문에, 고정세화 등의 목적으로 렌즈 시트의 피치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는 최근에는, 마찰 저감제가 투과형 스크린에 주는 악영향을 억제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 투과형 스크린은, 그 제조 공정이나 수송 공정에 있어서, 마찰 저감제를 도포한 광학 시트 상호 간에 쿠션재 (예를 들어, 폴리라미네이트지,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 등) 를 사이에 두고 적재, 곤포되는데, 이 경우, 쿠션재에 생긴 주름 등의 패턴이 광학 시트에 전사되어 외관 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것은, 마찰 저감제를 도포하지 않은 광학 시트에는 동일한 외관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점, 외관 불량이 발생한 마찰 저감제의 도포면을 천 등으로 닦으면 외관 불량이 경감되는 점 등에서, 쿠션재에 생긴 주름이 광학 시트 상의 마찰 저감제에 전사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프레넬 렌즈 시트, 렌티큘러 렌즈 시트 등의 광학 시트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투과형 스크린에 있어서, 마찰 저감제를 원인으로 하는 미광의 발생이나 외관 불량을 방지하는 것, 및 투과형 스크린을 구성하는 프레넬 렌즈 시트, 렌티큘러 렌즈 시트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의 광학 시트에 마찰 저감제 등의 도포액을 도포할 때, 도포액을 원인으로 하는 미광의 발생이나 외관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포액을 도포할 수 있는 도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복수의 광학 시트를 조합한 투과형 스크린에 있어서, 종래, 광학 시트 사이에 마찰 저감제를 많이 도포할수록, 광학 시트끼리가 스치거나 서로 부딪쳐서 생기는 손상을 없앨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수 ㎛ 두께의 마찰 저감제가 광학 시트의 표면에 도포되고 있었던 것에 대해, 본 발명자들은, 마찰 저감제의 도포량을 종전에 비해 극단적으로 적게 해도, 광학 시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마찰 저감제의 도포 두께를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미광이나 외관 불량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는 것과, 또한 그 경우 사용하는 마찰 저감제의 도포 장치로는, 전사 롤을 이용한 도포 장치로서, 전사 롤의 표면 조도를 특정한 범위로 한 것이 유효하다는 것을 찾아냈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광학 시트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투과형 스크린으로서, 광학 시트의 적어도 1 개의 표면에 마찰 저감제가 두께 0.3㎚ 이상 10㎚ 이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스크린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투과형 스크린의 제조 방법으로서, 그 투과형 스크린을 구성하는 복수의 광학 시트의 적어도 1 개의 표면에 마찰 저감제를 두께 0.3㎚ 이상 10㎚ 이하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스크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사 롤, 전사 롤에 도포액을 공급하는 도포액 공급 수단, 및 전사 롤에 부착되는 도포액의 두께를 조정하는 스크래치 수단을 갖는 도포 장치로서, 전사 롤의 표면 조도 (Ra) (JIS B 0601-1982) 가 0.01∼1㎛ 인 도포 장치를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투과형 스크린에 의하면, 광학 시트 표면의 마찰 저감제의 두께가 0.3㎚ 이상 10㎚ 이하로 매우 얇기 때문에, 마찰 저감제가 광학 시트의 단위 렌즈 또는 프리즘의 곡부에 잘 모이지 않는다. 그 때문에 투사된 광선이 본래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굴절 반사되지 않아 미광(迷光)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투과형 스크린을 장착한 배면 투사형 표시 장치에서는, 미광 현상이 없는 높은 품위의 화상을 비출 수 있다.
또, 광학 시트 표면의 마찰 저감제의 두께가 매우 얇기 때문에, 이 광학 시트에는, 그 광학 시트와 접촉하는 쿠션재 등의 주름이 잘 전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투과형 스크린에 의하면, 그 제조 공정에 있어서, 쿠션재를 이용하여 광학 시트를 적재, 곤포하는 경우에도, 외관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도포 장치에 의하면 전사 롤의 표면 조도가 0.01∼1㎛ 이고, 실질적으로 거울면으로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도포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광학 시트에 도포액을, 예를 들어 막두께 0.3∼100㎚ 로 매우 얇게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장치를 이용하여 광학 시트에, 예를 들어 마찰 저감제를 도포하면, 광학 시트에 마찰 저감제를 0.3㎚ 이상 10㎚ 이하라는 매우 얇은 도막으로서 형성할 수 있어, 본 발명의 투과형 스크린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 은, 전사 롤 상의 위치에서 표면 조도가 변하는 것을 나타내는 전사 롤 둘레면의 전개도이다.
도 4A 는, 렌티큘러 렌즈 시트의 렌즈면에 도포 롤이 접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4B 는, 프레넬 렌즈 시트의 렌즈면에 도포 롤이 접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5A 는, 도포 장치에 의해 렌티큘러 렌즈 시트에 도포되는 마찰 저감제의 프로파일의 설명도이다.
도 5B 는, 도포 장치에 의해 렌티큘러 렌즈 시트에 도포되는 마찰 저감제의 프로파일의 설명도이다.
도 5C 는, 도포 장치에 의해 렌티큘러 렌즈 시트에 도포되는 마찰 저감제의 프로파일의 설명도이다.
도 6 은, 일반적인 투사형 스크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 은, 배면 투사형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구성도이다.
도 8 은, 마찰 저감제를 형성한 종래의 렌티큘러 렌즈 시트에 있어서의 문제점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넬 렌즈 시트
1c : 프레넬 렌즈 시트의 정상부
2 : 렌티큘러 렌즈 시트
2a : 렌티큘러 렌즈 시트의 입사면
2b : 렌티큘러 렌즈 시트의 렌즈의 곡부
2c : 렌티큘러 렌즈 시트의 렌즈의 정상부
3 : 투과형 스크린
3A : 투과형 스크린
4 : 광학 시트
10 : 배면 투사형 표시 장치
11 : 프레임
12 : 케이싱
13 : 영상 광원
14 : 반사경
20 : 마찰 저감제 (실리콘 오일) 또는 도포액
30 : 도포 장치
31 : 전사 롤
32 : 도포액 공급 수단
33 : 도포액조
34 : 공급 롤
35 : 스크래치 수단 또는 닥터블레이드
36 : 도포 롤
37 : 백업 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도포액의 도포 두께는, 단위 면적당 도포한 도포액의 체적 (도포 중량을 비중으로 나눈 값) 을 단위 면적으로 나눈 수치로서 정의된 다. 도포액이 휘발성 유기 용제를 함유하고, 도포 직후와 용제의 휘발 건조 후의 도포 두께가 상이한 경우, 도포 두께는 도포 직후의 두께를 말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의 투과형 스크린 (3A) 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투과형 스크린 (3A) 은, 프레넬 렌즈 시트 (1) 의 출사면과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의 입사면을 대향시킨 것이고,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의 입사면 (2a) 에는 마찰 저감제 (20) 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마찰 저감제 (20) 로는, 마찰 저감 효과를 갖는 여러 가지의 제제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투명성, 마찰 저감 효과, 환경 안정성 등의 면에서 실리콘 오일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반명으로 「디메틸폴리실록산」 으로 불리고 있는 디메틸 실리콘 오일, 메틸페닐 실리콘 오일, 메틸하이드로겐 실리콘 오일 등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 폴리에테르 변성, 메틸스티릴 변성, 알킬 변성,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변성, 불소 변성 등의 변성 실리콘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클로로실란계, 알콕시실란계 오일이나, 일반명으로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으로 불리고 있는 불소계 오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마찰 저감제 (20) 의 동점도로는, 25℃ 에서 100∼1000㎟/S (JIS K 2283) 가 바람직하고, 200∼500㎟/S 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투과형 스크린 (3A) 은 마찰 저감제 (20) 의 두께가 0.3㎚ 이상 10㎚ 이하로 매우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마찰 저감제 (20) 의 두께를 10㎚ 이하로 함으로써, 마찰 저감제 (20) 가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의 렌즈열의 곡부에 모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곡부에 입사한 광선이 마 찰 저감제 (20) 의 경계면에서 굴절 반사되고, 본래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출사되어 미광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투과형 스크린 (3A) 의 제조 공정이나 수송 공정에서 마찰 저감제 (20) 가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로부터 프레넬 렌즈 시트 (1) 에 전사되고, 프레넬 렌즈 시트 (1) 의 프리즘열의 곡부에 모여 마찬가지로 미광이 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재 등의 곤포재를 이용하여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를 적재, 곤포하는 경우, 곤포재의 주름 등이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표면의 마찰 저감제 (20) 에 잘 전사되지 않게 되어 주름의 전사에 수반되는 외관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마찰 저감제 (20) 의 두께를 0.3㎚ 이상으로 함으로써,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와 프레넬 렌즈 시트 (1) 가 스치거나 서로 부딪치는 것에 의한 렌즈의 손상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마찰 저감제 (20) 를 그 젖음성에 따라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에 부착시키는 경우, 마찰 저감제 (20) 의 도포 두께를 0.3㎚ 미만으로 하는 것은 곤란하기도 하다. 이것은, 0.3㎚ 가, 마찰 저감제 (20) 의 1 분자의 크기에 기인하는 최소의 도포 두께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마찰 저감제 (20) 의 바람직한 두께는, 투과형 스크린의 시트 구성이나, 사용하는 마찰 저감제의 종류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 의 시트 구성으로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에 상기 서술한 마찰 저감제 (20) 를 사용하는 경우, 통상 0.5㎚ 이상 6㎚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이상 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도 1 에는,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의 입사면 (2a) 에 마찰 저감제 (20) 를 도포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의 투과형 스크린에 있어서, 마찰 저감제는 프레넬 렌즈 시트 (1) 에 도포해도 되고, 또한 투과형 스크린을 구성하는 다른 광학 시트에 도포해도 된다. 이들의 경우에 있어서도, 각각의 시트면에 있어서의 마찰 저감제의 도포 두께는 0.3㎚ 이상 10㎚ 이하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6㎚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상 5㎚ 이하이다.
프레넬 렌즈 시트 (1) 에 본 발명의 마찰 저감제 (20) 의 도포 두께를 적용하는 경우, 프레넬 렌즈 시트 (1) 로는, 렌즈 피치 0.2㎜ 이하, 렌즈 날 높이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넬 렌즈 시트 (1) 에서 특히 바람직한 피치는 0.15㎜ 이하이고, 더욱 더 바람직한 피치는 0.1㎜ 이하이다. 이것은, 렌즈의 피치가 작을수록 렌즈 곡부에 모인 마찰 저감제의 효과가 커 본 발명의 효과가 현저해지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에 본 발명의 마찰 저감제 (20) 의 도포 두께를 적용하는 경우,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로는, 렌즈 피치 0.7㎜ 이하, 렌즈 날 높이 7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렌티큘러 렌즈 시트에 있어서도 렌즈의 피치가 작을수록 렌즈 곡부에 모인 마찰 저감제의 효과가 커 본 발명의 효과가 현저해진다. 그래서, 렌티큘러 렌즈 시트에서 특히 바람직한 피치는 0.5㎜ 이하이고, 더욱 더 바람직한 피치는 0.3㎜ 이하이다.
또, 프레넬 렌즈 시트 (1) 에 마찰 저감제 (20) 를 도포하는 경우, 프레넬 렌즈의 광학 중심을 포함하는 프레넬 렌즈 시트 (1) 의 중심 영역에 대해서, 중심 영역 이외의 부분, 특히 주변 영역의 도포 두께를 크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프레넬 렌즈 시트 (1) 의 중심 영역의 도포 두께를 0.3∼3㎚ 로 하는 경우, 주변 영역의 도포 두께를 3∼10㎚ 로 한다.
이것은, 프레넬 렌즈는 주변 영역일수록 날 끝이 날카로우며 높고, 또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과형 스크린 (3) 의 주연부가 프레임 (11) 으로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프레넬 렌즈 시트 (1) 의 주변 영역일수록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와의 접촉압이 높아 흠집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마찰 저감제 (20) 의 도포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으로는, 프레넬 렌즈의 광학 중심에서는 렌즈 날의 높이가 낮고, 마찰 저감제 (20) 의 영향이 특히 크기 때문에, 렌즈의 곡부 (2b) 에 마찰 저감제 (20) 를 잘 모이지 않게 하기 위해, 마찰 저감제의 도포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이유 등 때문이다.
여기에서, 프레넬 렌즈 시트 (1) 의 중심 영역이란, 예를 들어 대각선 거리 40∼70 인치의 프레넬 렌즈 시트의 경우, 프레넬 렌즈의 광학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 50㎜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경 25㎜ 이내, 특히 바람직하게는 직경 10㎜ 이내의 대략 원형상의 영역을 의미한다. 종래의 방법으로 프레넬 렌즈 시트 (1) 에 마찰 저감제를 도포하면, 프레넬 렌즈 시트 (1) 의 중심 영역에서는 미광이 관찰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넬 렌즈 시트 (1) 의 중심 영역에 있어서의 미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찰 저감제의 구체적인 도포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마찰 저감제를 탈지면 에 부여하고, 손 또는 롤 등의 도포 도구로 도포하는 방법이나, 롤 전사 장치에 의한 도포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도포량의 균일성, 도포량 조절의 용이성 등의 면에서,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롤 전사형 도포 장치 (30) 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의 도포 장치 (30) 는, 본 발명의 도포 장치의 일 양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 도면의 도포 장치 (30) 는, 프레넬 렌즈 시트, 렌티큘러 렌즈 시트, 프리즘 시트, 회절 격자 시트, 확산 시트 등의 광학 시트 (4) 에, 마찰 저감제, 대전 방지제, 반사 방지제, 방현제 등의 도포액 (20) 을 도포하는 장치로서, 전사 롤 (31), 전사 롤 (31) 에 도포액 (20) 을 공급하는 도포액 공급 수단 (32), 전사 롤 (31) 에 부착되는 도포액 (20) 의 두께를 조정하는 스크래치 수단 (35), 및 광학 시트의 반송 수단 (도시 생략) 을 갖고 있다.
도포액 공급 수단 (32) 으로는, 마찰 저감제 (20) 가 충전되는 도포액조 (33), 및 도포액조 (33) 로부터 전사 롤 (31) 에 도포액 (20) 을 공급하는 공급 롤 (34) 을 구비하고 있다.
스크래치 수단 (35) 으로는, 닥터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포 장치 (30) 에 있어서, 스크래치 수단 (35) 으로 닥터 롤, 롤 나이프 등을 설치해도 된다.
또, 이 도포 장치 (30) 는 전사 롤 (31) 로부터 광학 시트 (4) 에 도포액 (20) 을 전사하는 고무제 도포 롤 (36) 과, 광학 시트 (4) 를 도포 롤 (36) 에 가압하는 백업 롤 (37) 을 구비하고 있다. 이 도포 롤 (36) 은, 본 발명의 도포 장치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설치된다. 따라서, 도포 롤 (36) 을 생략하고, 전사 롤 (31) 을 직접적으로 피도포물에 접촉시켜 도포액 (20) 을 피도포물에 전사시킬 수도 있지만, 피도포물이 단단한 경우나, 두께가 폭방향에서 상이한 경우에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 롤 (36) 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광학 시트 (4) 가 단단한 경우, 광학 시트 (4) 와 전사 롤 (31) 을 직접적으로 접촉시키면, 광학 시트 (4) 또는 전사 롤 (31) 에 흠집이 나는 경우가 있다. 또, 광학 시트 (4) 의 두께가 폭방향으로 상이한 경우 광학 시트 (4) 와 전사 롤 (31) 을 직접적으로 접촉시키면, 두께가 두꺼운 지점과 얇은 지점에서 접촉압에 불균일이 발생하여 도포 불균일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들의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포 롤 (36) 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 롤 (31) 은,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또는 이것에 크롬 등의 도금 처리를 실시한 것,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 에폭시 수지 등의 플라스틱, 알루미나 등의 세라믹스 등으로 형성된다. 전사 롤 (31) 의 표면만을 다른 소재로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도포 장치는, 이 전사 롤 (31) 의 표면 조도 (Ra) (JIS B 0601-1982) 를 0.01∼1㎛ 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전사 롤 (31) 의 표면 조도를 이러한 범위로 하고, 전사 롤 (31) 상의 여분의 도포액 (20) 을 닥터블레이드 등의 스크래치 수단 (35) 으로 스크래치함으로써, 전사 롤 (31) 상의 도포액 (20) 을 극소량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표면 조도 0.01∼1㎛ 라는 실질적인 거울면과 같은 전사 롤 (31) 의 표면을 닥터블레이드 등의 스크래치 수단 (35) 으로 스크래치하면, 전사 롤 (31) 의 표면에는 도포액 (20) 이 존재하지 않게 되는 것처럼 생각되기도 하지만, 도포액 (20) 이, 예를 들어 실리콘 오일계 마찰 저감제인 경우, 도포액 (20) 은 전사 롤 (31) 의 표면재를 이루는 상기 서술한 금속, 플라스틱 또는 세라믹스와 친화성이 높기 때문에, 스크래치 수단 (35) 으로 스크래치해도 매우 적은 도포액 (20) 이 전사 롤 (31) 상에 존재한다. 그리고, 그 도포액 (20) 을 광학 시트 (4) 에 접촉시키면, 바람직하게는 도포 롤 (36) 을 통하여 광학 시트 (4) 에 접촉시키면, 도포액 (20) 과 광학 시트 (4) 의 친화성에 의해, 0.3㎚∼100㎚, 특히 0.3㎚∼10㎚ 로 종래에 없는 얇기로 도포액 (20) 을 광학 시트 (4) 에 전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표면 조도의 전사 롤 (31) 을 이용하는 도포법은, 전사 롤 (31) 의 미세한 표면 요철을 이용한 그라비아 인쇄의 한 종류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전사 롤 (31) 의 표면 조도는, 전사 롤 (31) 상의 위치에 따라 바꿔도 된다. 예를 들어, 전사 롤 (31) 의 중앙부의 조도를 작게 하고, 외주부의 조도를 크게 함으로써, 광학 시트 (4) 의 중앙부에서는 도포 두께를 얇게 하고, 외주부에서는 도포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사 롤 (31) 상의 위치에 따라 표면 조도를 바꿈으로써, 스침에 의한 손상 발생의 용이성에 따라, 광학 시트 (4) 내에서의 도포 두께를 바꿀 수 있다. 즉, 광학 시트 (4) 에 있어서의 손상은, 반드시 시트면 내에 일정하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특정 위치에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을 프레임에 고정시킬 때 스크린에 국소적인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프레임의 근방에 손상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 스크린이 외부로부터의 진동으로 공진되면, 그 진폭의 배에 상당하는 위치에서는 스크린끼리 부딪치는 충격이 커서 이 위치에서 손상이 발생하기 쉽다. 프레넬 렌즈 시트와 같이 시트면 내에서 단위 렌즈의 높이가 다른 경우, 렌즈 높이에 따라 손상이 일어나기 쉬운 정도가 다르다. 이에 대하여, 전사 롤 (31) 상의 위치에 따라 표면 조도를 바꿈으로써, 손상이 일어나기 쉬운 정도에 따른 도포량을 설정할 수 있다.
전사 롤 (31) 의 표면 조도를 전사 롤 (31) 상의 위치에 따라 변화시키는 경우,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조도는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도포량이 변화되는 경계 위치에 도포 불균일이나 외관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포 장치 (30) 에 있어서, 전사 롤 (31) 의 표면 조도의 구체적인 크기는, 상기 서술한 범위에서, 광학 시트 (4) 의 종류 (예를 들어, 렌티큘러 렌즈 시트나 프레넬 렌즈 시트), 도포면의 표면 형상 (예를 들어, 렌즈면이나 평탄면), 도포액 (20) 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하게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의 렌즈면에 도포액 (20) 을 도포하는 경우, 단면 반원형의 실린드리컬 렌즈의 정상부 (2c) 가 직선상으로 도포 롤 (36) 상의 도포액 (20) 에 접하는 반면,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넬 렌즈 시트 (1) 의 렌즈면에 도포하는 경우에는, 단면 다각형의 정상부 (1c) 가 도포 롤 (36) 상의 도포액 (20) 에 접한다. 이 때문에, 전사 롤 (31) 의 표면 조도가 동일해도,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의 렌즈면과 프레넬 렌즈 시트 (1) 의 렌즈면에서는,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의 렌즈면에 많이 도포되게 된다. 따라서, 전사 롤 (31) 의 표면 조도는,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의 렌즈면을 피도포물로 하는 경우, 통상 0.01∼0.5㎛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의 피치가 0.3㎜ 이하인 경우에는, 0.01∼0.2㎛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프레넬 렌즈 시트 (1) 의 렌즈면을 피도포물로 하는 경우, 전사 롤 (31) 의 표면 조도는 0.01∼1㎛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프레넬 렌즈 시트 (2) 의 피치가 0.1㎜ 이하인 경우에는, 0.01∼0.5㎛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전사 롤 (31) 의 표면 조도를 0.01㎛ 미만까지 매끄럽게 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표면 조도를 0.01㎛ 미만으로 하면, 오히려 흠집 등에 의한 도포 불균일이 눈에 띄게 된다. 또, 표면 조도를 0.01㎛ 미만으로 함으로써, 그에 수반하여 도포 두께가 얇아지는 것도 아니다. 예를 들어, 실리콘 오일계 마찰 저감제를 도포하는 경우, 도포 두께를 0.3㎚ 보다 얇게 할 수는 없다. 이것은, 전사 롤 (31) 에 실리콘 오일계 마찰 저감제의 단분자막이 부착된 상태가 최소의 도포 두께이고, 이 두께가 0.3㎚ 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 도포 장치 (30) 로 도포할 수 있는 도포액 (20) 의 두께는, 광학 시트 (4) 의 표면 형상에 따라서도 다르고, 그 도포면이 요철 형상이면, 평탄한 경우에 비해 얇은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것을, 도 5A ∼ 도 5C 에서 설명한다.
도 5A ∼ 도 5C 는, 상기 서술한 도포 장치 (30) 를 이용하여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의 표면에, 도포액 (20) 으로서 실리콘 오일계 마찰 저감제를 여러 가지의 도포 두께로 도포한 경우의, 그 도포액 (20) 의 프로파일의 설명도이다.
먼저, 도포 장치 (30) 의 도포 롤 (36) 에,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의 렌즈의 정점이 접함으로써, 도포 롤 (36)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마찰 저감제 (20) 가 적어도 렌즈의 정상부 부근에 부착된다. 이 때, 마찰 저감제 (20) 의 부착량이 비교적 소량이면, 도 5A 와 같이 렌즈의 정상부 (2c) 에만 도포액 (20) 이 부착된 상태에서 안정된다. 따라서, 평탄한 도포면에 도포하는 경우에 비해 요철이 있는 도포면에 도포하는 경우, 보다 얇은 도포막을 얻을 수 있다.
도 5A 의 상태보다 부착량이 많아지면, 도포액 (20) 은 도 5B 와 같이 렌즈 전체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안정된다. 이 경우, 렌즈의 곡부 (2b) 에도 도포액 (20) 은 부착되지만, 본 발명의 투과형 스크린에 있어서는, 도포액 (마찰 저감제) (20) 의 도포 두께를 10㎚ 이하로 하므로, 렌즈의 곡부 (2b) 에 부착되는 도포액 (20) 은 미광 등의 광학적인 문제를 일으킬 정도의 부착량은 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도포액 (20) 의 도포 두께가 10㎚ 를 초과하면, 도 5C 와 같이 렌즈의 곡부 (2b) 를 매우도록 도포액 (20) 이 모이게 된다. 이 상태가 되면, 렌즈의 곡부 (2b) 에 입사한 영상 광원이, 본래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굴절 반사되어 미광이 되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투과형 스크린을 비스듬한 방향에서 본 경우에 명암의 불균일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광학 시트의 표면 형상에 따라서는, 도포 두께가 100㎚ 를 초과하는 경우에 렌즈의 곡부 (2b) 에 마찰 저감제 (20) 가 모이게 되어, 광학적인 문제가 일어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도포 장치 (30) 에서는, 도포 두께 100㎚ 까지는 도포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도포 장치 (30) 에서는, 전사 롤 (31) 또는 도포 롤 (36) 의 회전 속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 롤 (31) 과 도포 롤 (36) 의 회전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전사 롤 (31) 과 도포 롤 (36) 의 상대 속도 (선속도) 를 바꿈으로써도 광학 시트 (4) 에서의 도포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 도포 장치 (30) 에서는, 전사 롤 (31) 또는 도포 롤 (36) 과 광학 시트 (4) 의 상대 속도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상대 속도를 바꿈으로써도 광학 시트 (4) 에서의 도포량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포 장치 (30) 로는, 광학 시트 (4) 에 복수 방향으로부터 도포를 반복할 수 있도록 광학 시트 (4) 의 반송 수단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방향으로부터 도포를 반복함으로써, 한 번의 도포로 광학 시트에 발생하는 도포 불균일을 경감시킬 수 있다.
특히,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 조도에 분포를 갖는 전사 롤 (31) 을 이용하여 광학 시트 (4) 면내의 도포량을 변화시키는 경우, 도포 두께의 분포 패턴은, 한 번의 도포에서는 띠상이 되는데, 복수 방향으로부터 도포함으로써, 광학 시트 (4) 의 중앙부에 대해서 주변부의 도포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또는 프레넬 렌즈의 중앙 부분의 도포 두께를 주변부에 대해서 적게 하는 등, 도포 두께를 특정 위치마다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투과형 스크린에 사용하는 마찰 저감제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동점도 (JIS K 2283) (25℃) 가 100∼1000㎟/s 인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의 도포 장치 (30) 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포액 (20) 으로는, 전사 롤 (31) 의 표면 조도가 매우 작다는 이 장치의 특징을 실효성 있게 하고, 또 취급 용이성 등을 고려한다는 점에서, 동점도 (JIS K 2283) (25℃) 가 30∼3000㎟/s 가 바람직하고, 100∼1000㎟/s 가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200∼500㎟/s 가 바람직하다. 동점도가 너무 높으면 전사 롤 (31) 의 표면을 닥터블레이드 등으로 스크래치할 때, 충분히 얇게 스크래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동점도가 너무 낮으면 롤 상의 도포액이 중력으로 편재되는 등 취급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특히 휘발성 용제를 함유함으로써 동점도가 낮게 조제되어 있는 마찰 저감제에서는, 마찰 저감 효과가 시간 경과에 따라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또, 이 도포 장치 (30) 에서 사용하는 도포액 (20) 으로는, 상기 서술한 마찰 저감제 외에, 대전 방지제, 반사 방지제, 방현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도포 장치 (30) 로 도포액 (20) 을 도포하는 데에 바람직한 광학 시트 (4) 로는, 예를 들어 대각선 거리 40∼70 인치, 렌즈 피치 0.04∼0.2㎜, 렌즈 날 최대 높이 40∼100㎛ 의 프레넬 렌즈 시트를 들 수 있다. 또, 렌티큘러 렌즈 시트로는, 대각선 거리 40∼70 인치, 렌즈 피치 0.05∼1㎜, 렌즈 최대 높이 10∼100㎛ 인 것을 들 수 있다. 특히 렌즈 피치가 작을수록 렌즈 곡부에 모인 도포액 (20) 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렌즈 피치가 작을수록 이 도포 장치의 효과가 현저해진다. 프레넬 렌즈 시트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한 피치는 0.15㎜ 이하이고, 더욱 더 바람직한 피치는 0.1㎜ 이하이다. 렌티큘러 렌즈 시트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한 피치는 0.7㎜ 이하이고, 더욱 더 바람직한 피치는 0.5㎜ 이하이다.
이상, 도 1 에 나타낸 시트 구성의 투과형 스크린 (3A) 에 기초하여 본 발명 의 투과형 스크린, 및 투과형 스크린을 구성하는 광학 시트에 마찰 저감제를 도포하는 경우에 유용한 도포 장치를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투과형 스크린은 더욱 더 다양한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형 스크린을 구성하는 광학 시트로는, 프레넬 렌즈 시트 (1) 나 렌티큘러 렌즈 시트 (2) 외에, 광확산 시트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 투과형 스크린을 구성하는 광학 시트의, 하나의 또는 복수의 표면 어디에 마찰 저감제를 도포하는지에 대하여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투과형 스크린은, 종래의 배면 투사형 표시 장치의 투과형 스크린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시험예 1
먼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를 주원료로 하고, 압출 성형에 의해 렌티큘러 렌즈 시트 (렌즈 피치 0.15㎜, 렌즈 최고 높이 50㎛) 를 제조하였다.
한편, 렌티큘러 렌즈 시트와는 별개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를 압출 성형한 프레넬 렌즈용 기판 표면에, 성형형에 따라 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자외선 경화 수지제의 프레넬 렌즈 형상을 부여하고, 프레넬 렌즈 시트 (렌즈 피치 0.07㎜, 렌즈 최고 높이 70㎛) 를 제조하였다.
그 후, 도 2 에 나타내는 도포 장치 (30) 를 이용하여, 프레넬 렌즈 시트의 렌즈측의 표면에, 도포액 (20) 으로서 실리콘 오일 (신에쯔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 조, 실리콘 오일 KF96) 을 다음과 같이 도포하였다. 먼저, 롤 표면이 합성 고무로 이루어지는 공급 롤 (34) 을 도포액조 (33) 내의 실리콘 오일에 접촉 회전시키고, 실리콘 오일을 금속제 전사 롤 (31) 에 공급하였다. 전사 롤 (31) 에서는 실리콘 오일의 두께를 닥터블레이드 (35) 로 조정하고, 층두께를 조정한 실리콘 오일층을 고무제 도포 롤 (36) 의 표면에 전사하고, 또한 백업 롤 (37) 로 도포 롤 (36) 에 가압되는 프레넬 렌즈 시트에 전사하였다.
이 경우, 표 1 과 같이, 전사 롤 (31) 의 표면 조도 (Ra) 를 0.02㎛ 에서 2.0㎛ 까지 바꾸어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다. 또, 전사 롤 (31) 과 도포 롤 (36) 의 속도는 모두 10m/분으로 하였다.
이렇게 하여 실리콘 오일을 도포한 프레넬 렌즈 시트와, 상기 서술한 렌티큘러 렌즈 시트를 조합하여 투과형 스크린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2
시험예 1 에 있어서, 프레넬 렌즈 시트에는 실리콘 오일을 도포하지 않고, 표 1 과 같이, 전사 롤 (31) 의 표면 조도 (Ra) 를 0.02㎛ 에서 2.0㎛ 까지 바꾸어 렌티큘러 렌즈 시트의 렌즈 표면에 실리콘 오일을 도포한 것 이외에는, 시험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투과형 스크린을 제조하였다.
평가
(1) 실리콘 오일의 도포 두께의 측정
각 시험예에서 실리콘 오일을 도포한 프레넬 렌즈 시트 또는 렌티큘러 렌즈 시트에 대해, 실리콘 오일의 도포 직후의 도포 두께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먼저, 미리 0.01g 의 실리콘 오일과 5mL 의 중수소화 클로로포름을 혼합한 기준액을 준비하였다. 이어서, 핵자기 공명 분광법 (H-NMR 법) 에 의해 기준액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오일의 메틸기의 피크 강도 (m) (피크 0.071ppm 의 면적 강도) 와, 중수소화 크로로포름에 존재하는 중수소 치환되어 있지 않은 클로로포름의 피크 강도 (c) (피크 7.24ppm 의 면적 강도) 를 측정하고, 피크 강도 (m) 와 피크 강도 (c) 의 피크 강도 비율 1 을 계산하고, 이 피크 강도 비율 1 을 가지고 5mL 의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중에 존재하는 실리콘 오일의 중량이 0.01g 이라는 기준을 두었다.
동일하게 하여, 실리콘 오일의 중량이 0.01∼0.1g 의 범위에서, 5 수준의 기준액을 제조, 평가하고, 피크 강도 비율 1∼5 를 얻었다.
이어서, 실리콘 오일을 도포한 프레넬 렌즈 시트 또는 렌티큘러 렌즈 시트를 사이즈 300㎜×300㎜ 로 절단하고, 그 절단한 시트의 실리콘 오일 도포면을 200mL 의 헥산액으로 세정하고, 그 헥산액을 제거하여 실리콘 오일만을 잔류시켰다. 그 실리콘 오일에 5mL 의 중수소화 클로로포름을 혼합하고, 이 혼합액 중의 실리콘 오일의 메틸기와 중수소화 클로로포름에 존재하는 중수소 치환되어 있지 않은 클로로포름의 피크 강도 비율 A 를 H-NMR 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피크 강도 비율 A 와, 미리 평가해 둔 기준액의 피크 강도 비율 1∼5 를 대비함으로써, 렌즈 시트에 존재하는 실리콘 오일 중량을 측정하고, 이어서 측정한 실리콘 오일 중량을 실리콘 오일의 비중으로 나누고, 또한 렌즈 시트의 면적 (300㎜×300㎜) 으로 나눔으로써 실리콘 오일의 도포 두께를 얻었다.
또한, 실리콘 오일의 도포량의 많고 적음에 따라, 기준액에 함유되는 실리콘 오일의 양을 증감시켰다. 또, 실리콘 오일의 도포 두께가 렌즈 시트의 전체면에서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절단 사이즈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동일한 취지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7055800931-pct00001
표 1 로부터, 실시예의 도포 장치에 의하면, 종래에 없는 얇기로 실리콘 오일을 도포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 곤포 시험
시험예 1(3), 1(4), 2(2), 2(4) 에서 실리콘 오일을 도포한 광학 시트 (프레넬 렌즈 시트 또는 렌티큘러 렌즈 시트) 100 장을 1㎜ 두께의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와 교대로 적층하고, 폴리라미네이트지와 폴리에틸렌 시트로 곤포한 상자를 제조하였다. 이것을 20℃ 의 환경 하에서 30 일 방치한 후에 개봉하고, 광학 시트에 부착되어 있는 실리콘 오일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7055800931-pct00002
표 2 로부터, 실리콘 오일의 도포 두께를 10㎚ 이하로 해도, 곤포 시험 후에 실리콘 오일은 수 ㎚ 두께로 부착되어 있어, 실리콘 오일의 곤포재로의 전사가 발생해도, 일정량의 도포 두께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3) 곤포 수송 시험
시험예 1(1) 의 프레넬 렌즈 시트 (실리콘 오일 도포 두께 0.3㎚), 시험예 1(3) 의 프레넬 렌즈 시트 (실리콘 오일 도포 두께 10㎚), 시험예 1(4) 의 프레넬 렌즈 시트 (실리콘 오일 도포 두께 20㎚), 시험예 1(6) 의 프레넬 렌즈 시트 (실리콘 오일 도포 두께 200㎚), 시험예 2(1) 의 렌티큘러 렌즈 시트 (실리콘 오일 도포 두께 1㎚), 시험예 2(2) 의 렌티큘러 렌즈 시트 (실리콘 오일 도포 두께 5㎚), 시험예 2(4) 의 렌티큘러 렌즈 시트 (실리콘 오일 도포 두께 20㎚), 시험예 2(5) 의 렌티큘러 렌즈 시트 (실리콘 오일 도포 두께 300㎚), 실리콘 오일을 도포하지 않은 프레넬 렌즈 시트, 실리콘 오일을 도포하지 않은 렌티큘러 렌즈 시트의 각 100 장을 1㎜ 두께의 발포 폴리에틸렌 시트와 교대로 적층하고, 폴리라미네이트지와 폴리에틸렌 시트로 곤포한 상자를 제조하였다. 이것을 1 톤 트럭에 적재하고, 1000㎞ 주행함으로써, 수송 시험을 실시하였다.
수송 후에 곤포를 개봉하고, 무작위로 추출한 10 명의 관찰자에 의해 렌티큘러 렌즈 시트 또는 프레넬 렌즈 시트의 외관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 각 시험예의 실리콘 오일을 도포한 프레넬 렌즈 시트에 실리콘 오일을 도포하지 않은 렌티큘러 렌즈 시트를 조합함과 함께, 각 시험예의 실리콘 오일을 도포한 렌티큘러 렌즈 시트에 실리콘 오일을 도포하지 않은 프레넬 렌즈 시트를 조합하여 쌍방의 렌즈면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그 주위를 점착 테이프로 고정시킴으로써 투과형 스크린을 제조하였다. 또, 실리콘 오일을 도포하지 않은 프레넬 렌즈 시트와 실리콘 오일을 도포하지 않은 렌티큘러 렌즈 시트로 동일하게 투과형 스크린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투과형 스크린을 배면 투사형 표시 장치 (삼성사 제조 프로젝션 TV 「SVP-47W」) 에 장착하여 그 영상 평가를 실시하였다.
여기에서, 시트의 외관 평가에 대해서는, 약 500 룩스 밝기의 실내에서 육안에 의한 문제의 유무를 판정하였다. 영상 평가는 암실 내에서 배면 투사형 표시 장치로 TV 영상 및 전체 백색 신호를 표시한 경우의 화면을 육안으로 평가하고, 문제의 유무를 판정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4) 실장 수송 시험
시험예 1(1) 의 프레넬 렌즈 시트 (실리콘 오일 도포 두께 0.3㎚), 시험예 1(3) 의 프레넬 렌즈 시트 (실리콘 오일 도포 두께 10㎚), 시험예 1(4) 의 프레넬 렌즈 시트 (실리콘 오일 도포 두께 20㎚), 시험예 1(6) 의 프레넬 렌즈 시트 (실리콘 오일 도포 두께 200㎚), 시험예 2(1) 의 렌티큘러 렌즈 시트 (실리콘 오일 도포 두께 1㎚), 시험예 2(2) 의 렌티큘러 렌즈 시트 (실리콘 오일 도포 두께 5㎚), 시험예 2(4) 의 렌티큘러 렌즈 시트 (실리콘 오일 도포 두께 20㎚), 시험예 2(5) 의 렌티큘러 렌즈 시트 (실리콘 오일 도포 두께 300㎚) 의 각각에 대해, 실리콘 오일을 도포한 프레넬 렌즈 시트에 실리콘 오일을 도포하지 않은 렌티큘러 렌즈 시트를 조합함과 함께, 실리콘 오일을 도포한 렌티큘러 렌즈 시트에 실리콘 오일을 도포하지 않은 프레넬 렌즈 시트를 조합하여 쌍방의 렌즈면끼리가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그 주위를 점착 테이프로 고정시킴으로써 투과형 스크린을 제조하였다. 또, 실리콘 오일을 도포하지 않은 프레넬 렌즈 시트와 실리콘 오일을 도포하지 않은 렌티큘러 렌즈 시트로 동일하게 투과형 스크린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투과형 스크린을 배면 투사형 표시 장치 (삼성사 제조 프로젝션 TV 「SVP-47W」) 에 장착함으로써 배면 투사형 표시 장치를 제조하고, 얻어진 배면 투사형 표시 장치를 곤포하고, 그것을 1 톤 트럭에 적재하고, 1000㎞ 주행함으로써, 실장 수송 시험을 실시하였다.
수송 후에 배면 투사형 표시 장치의 곤포를 개봉하고, 상기 (3) 의 곤포 수송 시험의 평가와 동일하게 하여, 투과형 스크린의 외관 및 영상의 투사에 의한 밝기 불균일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Figure 112007055800931-pct00003
표 3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포 장치에 의해 실리콘 오일을 0.3∼10㎚ 도포한 실시예 1-1, 2, 실시예 2-1, 2 의 광학 시트 및 투과형 스크린에 대해서는, 곤포 수송 시험에서도 실장 수송 시험에서도 10 명 전원이 외관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정하였고, 또 영상을 표시해도 밝기 불균일이 없어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한편, 비교예 1-1, 2 에 대해서는, 곤포 수송 시험의 영상 평가에 있어서 10 명 전원이 주름과 유사한 줄무늬 모양이 눈에 띄어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또, 실장 수송 시험의 영상 평가에 있어서, 비스듬한 상방으로부터 관찰했을 때 중앙부 약 20㎜φ 의 범위에만 돌출되어 밝은 부분이 관찰되어, 10 명 전원이 휘도 불균일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비교예 2-1, 2 에 대해서는, 곤포 수송 시험의 영상 평가에 있어서 10 명 전원이 주름과 유사한 줄무늬 모양이 눈에 띄어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고, 실장 수송 시험에 대해서도 영상 평가에 있어서, 비스듬한 우측 및/또는 좌측으로부터 관찰했을 때 수십 ㎜ 의 랜덤한 간격으로 세로 줄무늬 형상의 밝기 불균일이 있어 10 명 전원이 문제인 것으로 판정하였다.
비교예 3-1, 2 에 대해서는, 곤포 수송 시험에서는 문제가 없었지만, 실장 수송 시험에서는 외관 평가에 있어서는 주변부 50㎜ 의 프레임 근방에 스친 듯한 백탁부가 있어 10 명 전원이 외관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또, 영상 평가에 있어서도 해당 백탁부가 어느 각도로부터 관찰해도 어두운 그늘이 되어 눈에 띄어 10 명 전원이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또한, 비교예 3-1, 2 의 투과형 스크린을 배면 투과형 표시 장치로부터 떼어 내어 프레넬 렌즈 시트 표면을 관찰한 결과, 백탁된 부분에서는, 프레넬 렌즈의 렌즈 날의 정상부가 깍여 있었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의 투과형 스크린에 의하면, 마찰 저감제의 존재를 원인으로 하는 미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투과형 스크린을 구성하는 광학 시트를 쿠션재 등과 함께 적층한 경우에 발생하는 주름 모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투과형 스크린을 배면 투사형 표시 장치에 장착하여 수송한 경우, 그 투과형 스크린이 스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과형 스크린은, 배면 투사형 텔레비전 등의 배면 투사형 표시 장치에서 유용하다.
또, 본 발명의 도포 장치는, 프레넬 렌즈 시트, 렌티큘러 렌즈 시트 등의 광학 시트에 마찰 저감제 등의 도포액을 두께 0.3∼100㎚ 로 종래에 없는 얇기로 도포하는 장치로서 유용하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전사 롤, 전사 롤에 도포액을 공급하는 도포액 공급 수단, 및 전사 롤에 부착되는 도포액의 두께를 조정하는 스크래치 수단을 갖는 도포 장치로서, 전사 롤의 표면 조도 (Ra) (JIS B 0601-1982) 가 0.01∼1㎛ 인 도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피도포물에 두께 0.3∼100㎚ 의 도포막을 형성하는 도포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전사 롤의 표면 조도가 전사 롤 상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도포 장치.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전사 롤로부터 피도포물에 도포액을 전사하는 고무제 도포 롤을 갖는 도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전사 롤과 도포 롤의 회전의 상대 속도가 조정 가능한 도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전사 롤 또는 도포 롤과 피도포물의 상대 속도가 조정 가능한 도포 장치.
KR1020077017679A 2005-01-31 2006-01-31 투과형 스크린 및 도포 장치 KR1009691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24628 2005-01-31
JP2005024628A JP2006209036A (ja) 2005-01-31 2005-01-31 透過型スクリーン
JP2005135338A JP2006312131A (ja) 2005-05-06 2005-05-06 塗布装置
JPJP-P-2005-00135338 2005-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383A KR20070095383A (ko) 2007-09-28
KR100969180B1 true KR100969180B1 (ko) 2010-07-14

Family

ID=36740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679A KR100969180B1 (ko) 2005-01-31 2006-01-31 투과형 스크린 및 도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70263289A1 (ko)
KR (1) KR100969180B1 (ko)
CN (1) CN101683638B (ko)
TW (1) TW200641514A (ko)
WO (1) WO20060805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5013A1 (ja) * 2007-12-10 2009-06-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透過型スクリーン、投写型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DE202011108836U1 (de) * 2011-12-08 2011-12-29 Grenzebach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r industriellen Herstellung von photovoltaischen Konzentratormodulen
JP2015068923A (ja) * 2013-09-27 2015-04-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スクリーン、積層体、及び該積層体を内包した梱包体
JP2015068921A (ja) * 2013-09-27 2015-04-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積層体、及び該積層体を内包した梱包体
KR102547822B1 (ko) * 2017-11-24 2023-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Hud 시스템 및 hud를 위한 광학 소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157A (ko) * 1992-06-10 1994-01-03 이시다 아키라 롤 코터를 사용하여 기판표면상에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JPH1158833A (ja) 1997-08-19 1999-03-02 Fuji Xerox Co Ltd カラー画像形成方法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20040012580A (ko) * 2002-08-02 2004-02-1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도포 방법, 도포 장치, 광학 부재 및 광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4238A (en) * 1968-03-04 1972-09-26 Ibm Gravure printing process and apparatus using moisture-setting inks
JPS596964A (ja) * 1982-07-06 1984-01-14 Nisshin Steel Co Ltd ストリツプ塗装方法
JPS6061738A (ja) * 1983-09-16 1985-04-09 Hitachi Ltd 背面投写装置におけるスクリ−ン
JPS60189701A (ja) * 1984-03-12 1985-09-27 Hitachi Ltd プラスチツク製光学レンズ
EP0767457B1 (en) * 1990-01-19 2001-08-29 Sharp Kabushiki Kaisha Magneto-optical recording device
JPH03220542A (ja) * 1990-01-26 1991-09-27 Victor Co Of Japan Ltd 透過式スクリーン
JP2958833B2 (ja) * 1991-10-29 1999-10-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離型剤供給装置
JPH05289176A (ja) * 1992-04-07 1993-11-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透過型スクリーン
DE4321183C2 (de) * 1992-07-09 2002-12-12 Heidelberger Druckmasch Ag Feuchtwerkswalze einer Druckmaschine
JPH07261277A (ja) * 1994-03-25 1995-10-13 Tokyo Copal Kagaku Kk 透過型投影スクリ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308614A (ja) * 1994-05-18 1995-11-28 Sony Corp 光学素子用塗料の塗布装置と塗布方法
JP3374058B2 (ja) * 1997-09-29 2003-02-0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に具備される定着装置
JP2000221603A (ja) * 1999-01-29 2000-08-11 Dainippon Printing Co Ltd フレネルレンズシート
US7277227B2 (en) * 2002-09-24 2007-10-02 Dai Nippon Printing Co., Ltd. Fresnel lens sheet, transmission screen provided with the same and rear projection display
JP2005215519A (ja) * 2004-01-30 2005-08-11 Kuraray Co Ltd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157A (ko) * 1992-06-10 1994-01-03 이시다 아키라 롤 코터를 사용하여 기판표면상에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JP2813511B2 (ja) * 1992-06-10 1998-10-22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ロールコータによる基板表面への塗液塗布方法
JPH1158833A (ja) 1997-08-19 1999-03-02 Fuji Xerox Co Ltd カラー画像形成方法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20040012580A (ko) * 2002-08-02 2004-02-1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도포 방법, 도포 장치, 광학 부재 및 광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41514A (en) 2006-12-01
WO2006080518A1 (ja) 2006-08-03
CN101683638A (zh) 2010-03-31
CN101683638B (zh) 2014-07-16
US20100227053A1 (en) 2010-09-09
US20070263289A1 (en) 2007-11-15
KR20070095383A (ko) 200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9180B1 (ko) 투과형 스크린 및 도포 장치
US7688508B2 (en) Diffusion sheet, rear projection screen provided with diffusion sheet, method of manufacturing mold for diffusion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ffusion sheet
JP4847329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
US6639725B2 (en) Protective, diffusive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20170213486A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WO2019139150A1 (ja) 光学積層体、偏光板、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
JP5616639B2 (ja) 光拡散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装置
JP2007156132A (ja) 防眩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9258720A (ja) 透明支持体、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9140831B2 (en) Optical sheet, optical member,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634685B2 (ja) 画像表示装置
JP2004004148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用シート、光拡散シート、及び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JP2002055209A (ja) 保護拡散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2073487A (ja) 反射防止物品および表示装置
JP2009037984A (ja) レンズシート、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6209036A (ja) 透過型スクリーン
KR20160010326A (ko) 광학 필름 및 터치 패널이 부착된 표시 장치
KR101428127B1 (ko) 백라이트 장치
JP2009025384A (ja)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500495B2 (ja)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及び光学シート、並びに光学シートの選別方法及び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JP6972642B2 (ja) 表示装置
JP2006312131A (ja) 塗布装置
JP2005215519A (ja)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80145609A1 (en) Anti-glare optical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device
US20210271103A1 (en) Surface material for pen input device and pen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