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170B1 -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170B1
KR100964170B1 KR1020077020888A KR20077020888A KR100964170B1 KR 100964170 B1 KR100964170 B1 KR 100964170B1 KR 1020077020888 A KR1020077020888 A KR 1020077020888A KR 20077020888 A KR20077020888 A KR 20077020888A KR 100964170 B1 KR100964170 B1 KR 100964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lift
cables
cable
elon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0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6770A (ko
Inventor
조르지오 제젝
Original Assignee
조르지오 제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ITBZ20050021 external-priority patent/ITBZ20050021A1/it
Priority claimed from ITBZ20050022 external-priority patent/ITBZ20050022A1/it
Application filed by 조르지오 제젝 filed Critical 조르지오 제젝
Publication of KR20070106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트 축, 캐빈(1)(도1 및 도2), 평형추(7)(도1 및 도2), 풀리(4)(도1 및 도2) 상의 상기 평형추 및 상기 캐빈의 하나 이상의 매다는 케이블(3) 및 상기 캐빈의 하부면 및 평형추(도2)에 연결되며, 상기 시프트 축의 자유 회전 풀리(10)(도1 및 도2) 둘레로 통과되는 케이블(9)(도1 및 도2)을 포함하는, 리프트 유닛 내에 배열되어,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캐빈(11)(도2)의 하부면의 하나 이상의 케이블 신장 로드(27)의 단부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며, 캐빈 케이블에 인가되는, 압력 스프링들로 구성된 구동 수단, 및 상기 구동(16)(도1,도2,도3 및 도4)을 트리거하도록 작용하는, 스프링(12)(도1 및 도3) 상의 센서(34)를 포함한다. 부하가 인가되는 리프트 상에서 자동 부하 보상을 얻기 위한 두 가지 솔루션들이 주어진다.

Description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DEVICE FOR STRETCHING COMPENSATION IN LIFT CABLES}
본 발명은 청구항1의 특징에 따른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빈 내의 부하의 변화에 대해서 항상 균형된 상태로 있는 리프트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1에 따른 리프트 유닛에 의해 얻어진다 :
삭제
삭제
삭제
본 특허 출원은 하나의 케이블을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리프트는 다수의 케이블들을 포함하며 -(F1-F2-F3-F4)의 전체 부하가 여러 개의 케이블들 사이에 균일하게 분포된다(하나의 케이블에 대한 F - 5개의 케이블들의 경우에 다음과 같이 나타내진다.)
Figure 112007066150414-pct00001
F1은 스프링 12에 작용하는 힘에 관한 것이고 - F2는 스프링 13에 작용하는 힘에 관한 것이고 - F3는 스프링 14에 작용하는 힘에 관한 것이며 - F4는 판 15(도4)에 작용하는 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특징들 및 상세 내용들은, 첨부 도면들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1은 실시예의 제1 솔루션으로서의 리프트 유닛의 개략적인 도면,
도2는 실시예의 제2 솔루션의 리프트 유닛의 개략적인 도면,
도3은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도3의 III-III 단면의 단면도,
도5는 실시예의 제3 솔루션을 제공하는 리프트 유닛을 나타낸 도면, 및
도6은 도5의 C의 상세한 도면이다.
도1은, 본질적으로 알려진 방식으로, 위치(6)에서 평형추(7)에 연결되도록 구동 풀리(4) 둘레에 감겨있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3)에 위치(2)에서 매달려 있는 캐빈(1)을 포함하고 있는, 전체적인 리프트 유닛을 도시하고 있으며, 평형추의 타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9)에 위치(8)에 연결되고, 케이블(9)는 위치(15)에서 캐빈(1)의 플로어에 연결되도록 풀리(10)에 의해 감기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2)의 스프링(12), 위치(6)의 스프링(13) 및 위치(8)의 스프링(14)은 삽입되어 있으며 위치(15)에는, 상세하게 후술되는, 케이블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F1은 캐빈 상의 케이블(3) 상의 힘을 나타내며, F2는 평형추 상의 케이블들 상의 힘을 나타내며, F3은 하부 풀리 및 평형추 사이의 케이블 부분 상의 힘을 나타내며 F4는 상기 풀리 및 캐빈 플로어 사이의 케이블 부분 상의 힘을 나타내며, 이하의 관계들이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된다 :
실시예의 제1 솔루션(도1)은 캐빈 상에 지지되어 있는 부하에 대한 보상 부하를 제공하지 않지만, 제1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일례로서 주어졌다.
빈 캐빈의 전체 중량=Q(캐빈의 공칭 지지 용량)이고 평형추의 중량에 대응하는 것을 고려한다
또한, 솔루션2-실시예의 도2 라고 기재할 수 있다
삭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되어, 동일하고 균일한 강도를 나타내며(도2) 부하=0을 가진, 스프링들 M12 및 M13은 3Q의 부하가 얻어질 때까지(변형도 참조) 로드된다. 마찬가지로 스프링 M14는 스프링들 M12 및 M13의 절반과 동일한 균일한 강도를 나타낸다.
KM14=KM12/2=KM13/2.
위치, 및 스프링들 M12 및 M13상의 부하에 대해, 케이블들은 스프링들 자체의 변형도가 부하(δ를 가진 3Q=0)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에 대응할 때까지 그들의 인장 로드들의 너트들 상에 힘을 가함에 의해 팽팽하게 긴장된다.
(3Q는 스프링들 M12 및 M13상의 부하를 나타낸다).
스프링 M14을 조정하기 위해, (δ=0)(빈 무부하 캐빈)에서 스프링 M14의 변형도=0(제로)(그러나, 너트들 및 카운터-너트들 상에 휴지됨)인 방식으로 진행한다.
솔루션3- 실시예의 도5 및 도6
스프링 M12는 항상 스프링 M13과 동일한 강도를 나타내며 스프링 M14는 스프링들 M12 및 M13의 절반과 동일한 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KM14=KM12/2=KM13/2이다.
위치와 관련된 모든 것은 도5 및 도6에서 설명된다. 조정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
부하 Q는 케이블 로드들의 너트들 상에 작용하여 캐빈 내로 로드되며, 스프링 M12 상의 부하 4Q(변형도 참조) 및 스프링 M13 상의 부하 3Q(변형도 참조)가 인가된다. 이는 너트 및 카운터-너트(37) 및 정지 장치(36)(도6)를 통해 스프링 M14 상 에 조정 가능한 힘들이 가해지면 얻어질 수 있게 된다.
설치의 공칭 지지 용량과 동일한 캐빈 부하로써 스프링들 M12 및 M13의 변형도가 값
Figure 112007066150414-pct00002
만큼 차이가 날 수 있다.
(M12의 변형도는 M13에 비해 증가한다).
p = 캐빈의 빈 중량 및 평형추의 중량(동일함) - 뉴톤
삭제
δ = 가변의 계산된 지지 용량(0 내지 1.5Q) - 뉴톤
삭제
△ = 힘의 차 및 변형도의 차 - 뉴톤 및 mm
삭제
F = 힘 - 뉴톤
f = 변형도 - mm
K = 스프링 강도 - 뉴톤/mm
Q = 리프트의 공칭 지지 용량(보통 = p) - 뉴톤
삭제
1. 실시예
캐빈 아래의 장치는, 캐빈의 플로어에 확고하게 고정된, 기부 판(15)을 포함한다. 캐빈(1)의 플로어의 반대측에서 상기 판이 그 판(15)에 설비된 트랜스미 션(16)을 지지한다. 트랜스미션(16)의 출력 축은, 피니언(17)을 단단하게 지지하고 있는, 케이블들(9)에 평행하게 배열되며, 위치(38)에서 케이블(9)(도1) 또는 (25)(도4)의 대응하는 인장 로드들에 용접 등에 의해 쐐기 고정되는 체인 휠들(19,20,21,22,23) 상에 감겨 있는, 링크 체인(18)이 상기 피니언 상에 말리게 된다.
각 케이블(9)은 지지판(15)의 구멍들을 통과하는 로드들(27) 내에서 신축적으로 연장되며, 각각 볼 베어링 또는 스러스트 베어링을 통해 횡단하며 너트 및 카운터-너트(28,29)에 의해 나사 연결되며, 자유단은 너트 및 카운터-너트에서 돌출하며 스프린트(30)와 적절하게 접합된다.
구동 수단은, 예컨대 기다란 구멍 등에 의해, 조정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판(15)에 유익하게 접합되어, 링크 체인(18)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스프링(12) 상에 센서(34)가 스프링(12)의 길이 변화를 측정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센서는 구동 수단(16)(도3 및 도4)에 신호를 보내어 그의 작동을 개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피니언(17)이 스프링(12)의 길이 변화에 대해 보상하도록 케이블들(9)의 토크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각 로드(27)는, 체인의 정렬을 유지하도록, 압력 베어링(31)에 의해 상기 판(15)의 하부에 단단하게 접합될 수 있다.
상기한 모든 내용들은 여기에서 기술되는 고려 사항들 중 일부에 기초하고 있다 :
케이블들(n)의 수의 계산은, 위치 2에서 사용된 부하 F1이 다수의 케이블들에 균일하게 분포됨을 고려하는, 유력한 법률적 요구 조건들에 따라 행해진다. 따라서, 하나의 케이블 상의 부하는 다른 케이블들 각각의 부하에 대응한다. 따라서, 각 케이블은 F1/n의 부하를 가진다.
△f1(스프링들의 변형도)의 값은 15mm를 초과하지 않는다. Q와 동일한 캐빈의 부하에 대해 계산된다(Q=캐빈의 공칭 지지 용량).
△f1 또는 δ의 최대 값(캐빈의 계산된 부하의 최대)은 1.5Q 아래로 되지 않는다. - 상기한 설명에서, δ의 최대 값 = 1.5Q를 적용한다.
캐빈의 하부를(축의 디플렉터와 함께) 평형추의 하부(8) 및 그의 스프링들(14)에 연결하는 케이블들은 캐리어 케이블들(캐빈의 상부 - 평형추의 상부)에 대해 수, 사이즈 및 기술적 특성들이 대응한다. 이는 필수는 아니다; - 그들은 상부 케이블들과 동일한 중량으로 되어야 한다.
적절한 측정에 의해, 케이블 로드들이 그들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을 방지해야 한다(구동 수단에 의해 이동되는 인장 로드는 제외).
상기 구동 수단(16)은 비가역적이어야 한다.
트랜스미션의 이동을 제어하는 센서(34)는 캐빈이 비어있고(δ=0) 최고 정지점에 접근할 때(보상기가 캐빈 아래에 배치된 경우)에도 기능하여야 한다.
이들 의견은 케이블들의 강도가 ∞, 즉 무한대임을 가정하고 있다.
실시예의 제2 및 제3 솔루션에 관련하여, "Consiglio Nazionale delle Ricerche"에 의한 전문가 의견은, "비어있는 작동 중 F4"는 ≥2Q 또는 3Q 이어야 하는가 또는 아니면("비어있는 작동 중 F4"는 캐빈이 무부하 = δ = 0을 의미하는가), 라는 질문에서 얻어졌다.
리프트의 보상은, 각 케이블에 적절하게 배열된, 2-3-4-5-6-7-8-9-10 또는 심지어 그 이상의 스프링들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이 원리(실시예의 제2 및 제3 솔루션)를 이용하는 리프트들에서, 직물 코어를 가진 강으로 된 케이블들이 사용되어야 하고, "동일 리프트에 대해" 모두 동일 토크를 가진 스트랜드들을 포함하여야 한다(오른쪽에 대한 토크 또는 왼쪽에 대한 토크 모두에 대해).
케이블들이 짧은 신축도를 가진 채 사용된다면, 케이블 길이들을 보상함에 의한 리프트의 보상은 상기 케빈 아래에 배열된 장치(40)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 케이블의 길이들이 상당히 긴 경우 두 개의 장치들(39,40)이 사용되어야 한다; 캐빈 및 평형추 위의 케이블들 중 하나(39) 및 하부면 위의 캐빈 및 평형추를 연결하는 케이블들 중 하나(40), (실시예의 제3 솔루션 참조, 도5).
본 발명에 따르면, 6개의 스트랜드들, 114개의 와이어들 및 직물 코어를 가진 시일(seale)-케이블들이 가장 적합하다. 그 케이블들은 가장 작은 신축도를 나타낸다.
K3n 또는 KM14 스프링 14의 강도를 나타낸다.
K2n 또는 KM13는 스프링 13의 강도를 나타낸다.
K1n 또는 KM12는 스프링 12의 강도를 나타낸다.
"n"은 견인 케이블들의 수를 나타낸다.
실시예의 제2 및 제3 솔루션은 캐빈이, 모터 브레이크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된, 상부 케이블 풀리에 의해 로딩되는 점을 고려하여 밝혀졌다.
도6에서, "36"은 스프링 M14의 조정 가능한 정지 장치를 나타낸다.
케이블들에 인가되는 스프링들의 강도는 항상 "n" 스프링 M12의 기준 베이스로부터 시작하여 계산되며; 항상 :
Figure 112007066150414-pct00003
상기 식의 파라미터 15는 변경될 수 있지만, 실제 값 "25"를 초과할 수 없다[(유럽 법률 규정에 따라 허용 가능한 값을 나타냄); (캐빈 자체가 공칭 부하 "Q"로 로딩된 경우 캐빈 문턱치가 플로어 레벨 문턱치를 형성하는 스텝)]
기준 수 2-5-6은 도1에 따른 기준 수와 동일하다.
실시예의 제2 및 제3 솔루션은 리프트 유닛이 하나의 단일 케이블만을(현실적인 경우는 아님) 가졌다는 가정하에 제안된다.
설치의 보상을 얻을 수 있는 두 개의 솔루션들, 즉 실시예의 제2 및 제3 솔루션은, 캐빈이 평형추와 동일 레벨 상에 배치된 상태로 조정되며 케이블들의 중량 더하기 캐빈의 중량(그의 모든 액세서리들과 함께)은 지지 용량 "Q"와 동일하게 제공된다.

Claims (17)

  1. 리프트 축, 캐빈(1), 평형추(7), 풀리(4)를 통하여 상기 평형추와 상기 캐빈을 매다는 하나 이상의 서스펜션 케이블(3), 및 상기 캐빈과 평형추의 하부면에 연결되는, 리프트 축에서 자유 회전 풀리(10) 둘레에 감겨 있는 케이블(9)을 포함하는 리프트 유닛의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캐빈(11)의 하부면의 하나 이상의 케이블 신장 로드(27)의 단부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수단(16),
    상기 캐빈(1)의 케이블(3)의 상부에 연결된 하나의 스프링(12) 및
    상기 구동 수단(16)을 트리거하도록 작용하는 센서(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하나 내지 5개의 케이블들을 작용시킬 수 있는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캐빈(1)의 프레임에 단단하게 접합된, 기부 판(15)을 포함하며; 상기 판은 구동 수단(16) 및 피니언(17)을 지지하며, 상기 판(15)에 트랜스미션(16)이 접합되며 상기 트랜스미션(16)의 출력 축은 인장 로드(27)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피니언의 둘레 및 체인 휠들의 둘레에 링크 체인(18)이 감겨있고, 상기 인장 로드(27)는 대응하는 체인 휠들에 용접 또는 쐐기 고정되며, 상기 체인 휠들(19,20,21,22,23)은 상기 피니언(17)의 동일 평면에 배치되는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이 구동 수단(16)을 제어하는, 센서(34)를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
  5. 제2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16)은 비가역적임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
  6. 제2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이동되지 않는, 신장 로드들(35)은 그들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
  7. 제2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개의 케이블들의 스트랜드들의 꼬임들의 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
  8. 제2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 상에 장착되어 케이블의 신장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제외하고, 케이블 신장도를 보상하는 판(15)에 전체 콤플렉스가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
  9. 제2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장 로드들(27) 상에 너트들 및 카운터-너트들(28,29,32,33)뿐만 아니라 압력 베어링들(26,31)이 제공되며, 케이블들이 대응하는 신장 로드들에 접합 되기 전 및 링크 체인(18)을 설치하기 전에 상기 로드가 그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나사-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
  10. 제2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로드들(27)이 여러 개의 기어휠들(19,20,21,22,23)에 용접 또는 쐐기 접합 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
  11. 제2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9) 및 신장 로드(27) 사이에, 신장 로드들 및 케이블들 모두에 공통으로, 연결부(24)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
  12. 제2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센서들(34)(도1 및 도2)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
  13. 제2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16)을 작용시키는 상기 센서(34)는, 단지 비어있는 캐빈이 리프트의 최고 레벨에 정지했을 때, 평형추가 그의 오버런(overrun) 지지에 관련된 최소 거리에 있을 때에만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
  14. 제2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케이블 신장도 보상 장치(39,40)들 - 캐빈 아래에 하나(40) 및 평형추 위에 하나(39) - 에 있어서 그들의 작동 모드는 동일의 센서에 의해 결정되지만, 상기 장치들은 그들의 작동 방법을 교대해야 하며 상기 캐빈은 항상 얻을 수 있는 최고 레벨에 있어야 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77020888A 2005-05-13 2005-12-29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 KR100964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BZ2005A000021 2005-05-13
ITBZ20050021 ITBZ20050021A1 (it) 2005-05-13 2005-05-13 Dispositivo per la compensazione di allungamenti di funi per ascensori.
ITBZ20050022 ITBZ20050022A1 (it) 2005-05-23 2005-05-23 Dispositivo per la compensazione di allungamenti di funi per ascensori.
ITBZ2005A000022 2005-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770A KR20070106770A (ko) 2007-11-05
KR100964170B1 true KR100964170B1 (ko) 2010-06-17

Family

ID=36611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888A KR100964170B1 (ko) 2005-05-13 2005-12-29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10094831A1 (ko)
EP (1) EP1879825B1 (ko)
JP (1) JP2008532891A (ko)
KR (1) KR100964170B1 (ko)
AT (1) ATE429400T1 (ko)
AU (1) AU2005331693A1 (ko)
CA (1) CA2598814A1 (ko)
DE (1) DE502005007164D1 (ko)
ES (1) ES2323144T3 (ko)
RU (1) RU2007131395A (ko)
WO (1) WO20061205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115641L (fi) * 2011-06-22 2012-12-23 Kone Corp Hissin vetoelimen kiristysjärjestely
FI125459B (fi) 2012-10-31 2015-10-15 Kone Corp Hissin vetohihnan kiristysjärjestelmä ja hissi
FI125336B (fi) * 2012-10-31 2015-08-31 Kone Corp Hissijärjestely
WO2014076370A1 (en) 2012-11-16 2014-05-22 Kone Corporation Elevator, and improvement for reducing elongation of the roping or belting of the elevator in a loading situation of the car of the elevator, and the use of pretensioning for bracing the roping or belting of the elevator
CN108203032A (zh) * 2016-12-16 2018-06-26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曳引钢丝绳张力测量调整装置及方法
KR101794202B1 (ko) * 2017-01-09 2017-12-01 케이알승강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KR101766914B1 (ko) 2017-01-09 2017-08-10 케이알승강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상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CN110944922A (zh) 2017-05-26 2020-03-31 T·艾伯林 电梯悬挂部件平衡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1412A (en) 1995-07-07 1997-03-1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hitch
US6223862B1 (en) 1999-06-17 2001-05-01 Michael Barnes Elevator cable tensioning device and method
EP1199276A1 (de) * 2000-10-20 2002-04-24 Dätwyler Ag Schweizerische Kabel-, Gummi- Und Kunststoffwerke Kompensationsgewichte und Aufzugs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1036A (en) * 1975-11-14 1977-05-20 Mitsubishi Electric Corp Device for holding rope
JPS5323448A (en) * 1976-08-16 1978-03-03 Mitsubishi Electric Corp Device for holding strings
JPH0312781Y2 (ko) * 1986-04-21 1991-03-26
JPH0867458A (ja) * 1994-08-31 1996-03-12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釣り合いロープ引き上げ装置
JPH1018190A (ja) * 1996-07-04 1998-01-20 Tokyo Seiko Co Ltd ワイヤロープ
JPH10236749A (ja) * 1997-02-25 1998-09-08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ヒッチ機構
ZA200002574B (en) * 1999-06-11 2000-12-01 Inventio Ag Synthetic fiber rope to be driven by a rope sheave.
JP2004067365A (ja) * 2002-08-09 2004-03-04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装置
FI112642B (fi) * 2002-11-15 2003-12-31 Kone Corp Menetelmä hissin nostoköyden sisäisen kireyden varmistamiseksi ja mittaamiseksi sekä menetelmän mahdollistava hissi
US20040154876A1 (en) * 2003-01-11 2004-08-12 Jeong-Du Choi Apparatus for equalizing tension of main ropes of elev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1412A (en) 1995-07-07 1997-03-1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hitch
US6223862B1 (en) 1999-06-17 2001-05-01 Michael Barnes Elevator cable tensioning device and method
EP1199276A1 (de) * 2000-10-20 2002-04-24 Dätwyler Ag Schweizerische Kabel-, Gummi- Und Kunststoffwerke Kompensationsgewichte und Aufzugs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79825A1 (de) 2008-01-23
RU2007131395A (ru) 2009-06-20
ATE429400T1 (de) 2009-05-15
ES2323144T3 (es) 2009-07-07
KR20070106770A (ko) 2007-11-05
DE502005007164D1 (de) 2009-06-04
AU2005331693A1 (en) 2006-11-16
CA2598814A1 (en) 2006-11-16
US20110094831A1 (en) 2011-04-28
EP1879825B1 (de) 2009-04-22
WO2006120504A1 (de) 2006-11-16
JP2008532891A (ja) 200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170B1 (ko) 리프트 케이블들의 신장도 보상을 위한 장치
US8162110B2 (en) Rope tension equalizer and load monitor
AU2008200495B2 (en) Lift and method of monitoring this lift
JP2001019292A (ja) 鉛直搬送装置の荷重支持手段の鉛直方向変位と鉛直方向振動とを防止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170087884A (ko) 리프트 카가 정지될 때에 제 1 롤러에서 로딩이 대체로 완화되도록 보상 디바이스를 갖는 리프트 설비
RU2002132265A (ru) Грузоподъем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канатных лифтов со встроенным грузоизмерите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CN104150303B (zh) 多功能电梯曳引传动摩擦测试装置及测试方法
KR101504152B1 (ko) 리프트의 승강실 하중 결정 장치
PL205025B1 (pl) Urządzenie do przejmowania obciążeń dla dźwigów linowych z wbudowanym miernikiem obciążenia
JP5677594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US20090139802A1 (en) Elevator
JP2007168938A (ja) エレベータの秤装置の調整方法
JP6742436B2 (ja) エレベータの秤装置
JP2012046340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
KR20210057661A (ko)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581247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부하 지지 부재의 텐셔닝 위한 방법
CN108689274B (zh) 电梯的称重装置
EP1109734A1 (en) Elevator arrangement for setting the starting torque of the motor of an elevator machinery
CN112557217B (zh) 超大幅宽连续尺寸岩体结构面抗剪强度试验系统
JPH0111656Y2 (ko)
KR20040044016A (ko) 픽업 크레인을 이용한 슬라브의 중량 측정 장치
CN110155904B (zh) 升降机和升降机钢丝绳张力消减控制方法
WO2005096719A2 (en) Self-adjusting elevator hitch
US1835032A (en) Suspension device for equalizing the strain on elevator cables
CN116265368A (zh) 电梯的轿厢和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