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661A -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661A
KR20210057661A KR1020200135964A KR20200135964A KR20210057661A KR 20210057661 A KR20210057661 A KR 20210057661A KR 1020200135964 A KR1020200135964 A KR 1020200135964A KR 20200135964 A KR20200135964 A KR 20200135964A KR 20210057661 A KR20210057661 A KR 20210057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sensor
suspension means
parking brak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티 코스키넨
페트리 하르티카이넨
페카 할리카이넨
얀느 살로마키
안티 사렐라이넨
헨리 웬린
리스토 요키넨
티모 블라소브
미코 푸라넨
에사 푸트키넨
유르키 라크손헤이모
라우리 스톨트
투카 카우피넨
야르코 살로란타
힐카 하말라이넨
사미 사렐라
Original Assignee
코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코네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57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4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taking account of disturbance factors, e.g. variation of load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37Performance analy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6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Applications of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for lifts associated with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6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imbalance, e.g. passengers on the same side
    • B66B11/0293Suspension locking or inhibiting means to avoid movement when car is stopped at a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400)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가이드 레일(102)과 접촉하여 제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패드(104);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114)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가 제공된다.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는 엘리베이터 카(400)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4)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114)는 엘리베이터 카(400)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 내에서의 상기 이동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AN ELEVATOR PARKING BRAKE, A METHOD FOR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AND AN ELEVATOR SYSTE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카는 탑승자가 안전하게 타고 내릴 수 있게 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 문턱과 층계참 문턱(landing door sill)이 같은 높이에 있도록 층계참(landing)에서 문 구역 내에 유지되어야 한다. 서스펜션 로프의 탄성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 변화와 이로 인한 서스펜션 로프의 장력 변화는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킬 수 있고 발을 헛디딜 위험(tripping hazard)을 내포하는 엘리베이터 카와 층계참 사이의 단차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발을 헛디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계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를 다시 같은 높이가 되게 조정하는 조치가 수행될 수 있다. 하지만, 엘리베이터 카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은 복잡한 작업이고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loading) 및 언로딩(unloading) 동안 동적 하중 변화는 그 과정을 어렵게 만든다.
파킹 브레이크가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 동안 서스펜션 로프의 탄성에 의해 초래되는 문제를 해결한다. 파킹 브레이크는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 언로딩 동안 엘리베이터 카를 제자리에 유지시키고 하중이 서스펜션 로프로 이전되고 엘리베이터 카 및 층계참 문이 닫힌 후, 엘리베이터가 다시 운행을 시작하기 전에 제동상태를 풀어 준다. 파킹 브레이크가 풀어질 때 불쾌한 갑작스런 움직임을 피하기 위해서 서스펜션 로프의 장력은 엘리베이터 카의 변화된 하중과 부합하게 조정되어야 한다.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가 풀어질 때 불쾌한 갑작스런 움직임을 피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가진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가 필요하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가 제공된다. 상기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는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여 제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패드;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는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 내에서의 상기 이동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상기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상기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가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하는 제1 요소로서, 제1 요소를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1 피벗점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요소; 제1 요소에 연결된 제2 요소; 그리고 제2 피벗점을 통하여 제2 요소에 연결되어 있으며 슬링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제3 요소로서, 상기 제2 피벗점이 제3 요소를 제2 요소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하는, 상기 제3 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제2 요소에 대한 제3 요소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서 제2 요소와 제3 요소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상기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가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하는 제4 요소로서, 제4 요소를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3 피벗점을 포함하는, 상기 제4 요소; 제4 피벗점을 통하여 제4 요소에 연결되어 있으며 슬링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제5 요소; 그리고 제5 피벗점을 통하여 제4 요소에 연결된 연결 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부착 부재에 대한 연결 요소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 요소와 슬링 또는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부착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상기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가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브레이크 하우징 또는 브래킷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수직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이루어졌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압력 센서, 광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가속도 센서 또는 근접 센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카가 제공된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상황에서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여 제동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카와 결합된 제1 실시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로딩 및/또는 언로딩 상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분석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와 결합된 서스펜션 수단의 장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례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로부터 나온, 상기 언로딩 상황 동안 상기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1 표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서스펜션 수단의 장력을 제어하는 단계가, 나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로부터 나온 제1 표시를 감지하지 못할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을 느슨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로부터 나온, 상기 로딩 상황 동안 상기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표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서스펜션 수단의 장력을 제어하는 단계가, 나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로부터 나온 제2 표시를 감지하지 못할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을 팽팽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상기 서스펜션 수단의 장력을 제어하는 단계가 상기 분석에 기초하여 서스펜션 수단의 진폭 및/또는 진동수를 변경시키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카와 결합된 서스펜션 수단의 장력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단 하나의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방법이 상기 언로딩 상황에서 상기 센서의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는 단계; 상기 센서의 상태의 변화를 감지할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의 장력을 완화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센서의 상태의 후속적인 변화를 감지할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의 장력을 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단 하나의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방법이 상기 로딩 상황에서 상기 센서의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는 단계; 상기 센서의 상태의 변화를 감지할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의 장력을 강화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센서의 상태의 후속적인 변화를 감지할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의 장력을 완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 상기 엘리베이터 카와 결합된 제1 실시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지탱하도록 구성된 서스펜션 수단;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상황에서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여 제동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를 제어하고; 상기 로딩 및/또는 언로딩 상황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상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표시에 기초하여 모니터링하고; 상기 상태를 분석하고; 그리고 상기 분석에 기초하여 서스펜션 수단의 장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로부터 나온, 상기 언로딩 상황 동안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1 표시를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나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로부터 나온 제1 표시를 감지하지 못할 때까지 상기 서스펜션 수단을 느슨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로부터 나온, 상기 로딩 상황 동안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표시를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나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로부터 나온 제2 표시를 감지하지 못할 때까지 상기 서스펜션 수단을 팽팽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서스펜션 수단의 진폭 및/또는 진동수를 변경시키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카와 결합된 상기 서스펜션 수단의 장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단 하나의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언로딩 상황에서 상기 센서의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센서의 상태의 변화를 감지할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의 장력을 완화하고; 그리고 상기 센서의 상태의 후속적인 변화를 감지할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의 장력을 강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단 하나의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로딩 상황에서 상기 센서의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센서의 상태의 변화를 감지할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의 장력을 강화하고; 그리고 상기 센서의 상태의 후속적인 변화를 감지할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의 장력을 완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포함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례를 예시하며 아래의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도면에서:
도 1a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를 나타내고 있다.
도 1b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를 나타내고 있다.
도 1c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하나의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다양한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를 개시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는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여 제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패드와,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는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 내에서의 상기 이동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a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를 나타내고 있다.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는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 언로딩 동안 엘리베이터 카를 제자리에 유지시키고 하중이 서스펜션 수단 - 예를 들면, 서스펜션 로프 -으로 이전되고 엘리베이터 카 및 층계참 문이 닫힌 후, 엘리베이터가 다시 운행을 시작하기 전에 제동상태를 풀어 준다.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는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가이드 레일(102)과 접촉하여 제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패드(104)를 포함하고 있다. 도 1a는 단 하나의 브레이크 패드를 나타내고 있지만, 상기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는 하나보다 많은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는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은 여러 요소(108, 118, 120)와 여러 피벗점(106, 112)을 이용하여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는 브레이크 패드(104)를 포함하는 제1 요소(118)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요소(118)는 제1 요소(118)를 가이드 레일(10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1 피벗점(106)을 포함하고 있다. 제2 요소(108)는, 예를 들면, 볼트 또는 핀에 의해 제1 요소(118)에 연결되어 있다. 제3 요소(120)는 제2 피벗점(112)을 통하여 제2 요소(108)에 연결되어 있다. 제3 요소(120)는 슬링(sling)(116)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피벗점(112)은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제3 요소(120)를 제2 요소(108)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한다.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이 증가할 때(다시 말해서, 탑승자가 엘리베이터 카에 탈 때), 제3 요소(120)는 제2 피벗점(112)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이 감소될 때(다시 말해서, 탑승자가 엘리베이터 카에서 내릴 때), 제3 요소(120)는 제2 피벗점(112)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3 요소(120)의 형상은, 제2 피벗점(112)의 각 측면에서 제2 요소(108)와 제3 요소(1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게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3 요소(120)가 제2 요소(108)에 대하여 회전할 때, 제3 요소(120)와 제2 요소(108) 사이의 거리 또는 각도가 변한다.
제2 요소(108)에 대한 제3 요소(120)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114)가 제2 요소(108)와 제3 요소(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단 하나의 센서(114)가 제2 요소(108)와 제3 요소(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별개의 센서(114)들이 제2 피벗점(112)의 각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114)는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상기 이동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미리 정해진 이동량, 예를 들면, 1mm 내지 2mm 이동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가 상기 이동량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표시가, 예를 들면, 0 또는 1(2진 신호)인 상태 신호를 포함할 수 있거나, 상기 표시가 상기 이동량을 나타내는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표시를 제공하는 것은 폭넓게 이해되어야 하는데 표시를 제공하는 것이 센서가 어떠한 신호도 발신하지 않는, 다시 말해서, 센서로부터 신호가 없는 실시례를 나타낼 수도 있다. 따라서, 센서로부터 신호가 없는 것이 하나의 "표시"로 이해될 수도 있다. 게다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상기 센서(114)가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압력 센서, 광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가속도 센서 또는 (광학적 또는 자기적) 근접 센서이다. 가속도 센서가 사용되는 경우에, 가속도 센서에 의해서 제공된 값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서스펜션 수단에 의해서 매달려 있는지 여부 또는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36)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게다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하중 스프링(load spring)(110A, 110B)이 제2 요소(108)와 제3 요소(1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중 스프링(110A, 110B)은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를 중심에 오게 조정하도록(center)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킹 브레이크가 풀린 상태에 있을 때, 하중 스프링(110A, 110B)은 제2 요소(108)를 피벗점(112)에 대하여 위치시킨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114)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해결 방안의 개요로서, 이 해결 방안은 두 개의 피벗점(106, 112) 사이의 거리(140)와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에 가해진 수직력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에서의 토크에 기초하고 있다. 도시된 해결 방안은 서스펜션 수단의 장력이 엘리베이터 카의 변화된 하중과 부합하게 되었을 때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가 풀어질 때의 불쾌한 갑작스런 움직임을 방지한다.
도 1b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36)를 나타내고 있다.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36)는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 언로딩 동안 엘리베이터 카를 제자리에 유지시키고 하중이 서스펜션 수단 - 예를 들면, 서스펜션 로프 -으로 이전되고 엘리베이터 카 및 층계참 문이 닫힌 후, 엘리베이터가 다시 운행을 시작하기 전에 제동상태를 풀어 준다.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36)는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가이드 레일(102)과 접촉하여 제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패드(104)를 포함하고 있다. 도 1b는 단 하나의 브레이크 패드를 나타내고 있지만, 상기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는 하나보다 많은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36)는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36)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은 여러 요소(126, 138, 130)와 여러 피벗점(122, 124, 128)을 이용하여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36)는 브레이크 패드(104)를 포함하는 제4 요소(138)를 포함하고 있다. 제4 요소(138)는 제4 요소(138)를 가이드 레일(10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3 피벗점(122)을 포함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36)는 제4 피벗점(124)을 통하여 제4 요소(138)에 연결되어 있으며 슬링(116)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제5 요소(126)를 더 포함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36)는 제5 피벗점(128)을 통하여 제4 요소(138)에 연결된 연결 요소(13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36)는 부착 부재(134)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 또는 슬링(116)에 연결될 수 있다.
게다가, 부착 부재(134)에 대한 연결 요소(130)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114)가 연결 요소(130)와 부착 부재(13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4 요소(138)의 회전 방향에 따라, 연결 요소(130)가 오른쪽으로 이동하거나(엘리베이터 카에서 하중이 감소한다) 왼쪽으로 이동한다(엘리베이터 카에서 하중이 증가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센터링 스프링(centering spring)(132)이 부착 부재(134)와 연결 요소(1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센터링 스프링(132)은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36)가 풀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기계 부품들을 중심에 오게 조정하도록(center)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연결 요소(130) 자체가 압축 또는 압축 해제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부착 부재(134)와 연결 요소(130)의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114)가 부착 부재(134)에 대한 연결 요소(130)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압축 또는 압축 해제 동안 어느 시점에, 연결 요소(130)와 부착 부재(134)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14)로 상기 표시를 나타나게 하기에 충분히 변화되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이루어졌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가 상기 이동량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표시가, 예를 들면, 0 또는 1(2진 신호)인 상태 신호를 포함할 수 있거나, 상기 표시가 상기 이동량을 나타내는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표시를 제공하는 것은 폭넓게 이해되어야 하는데 표시를 제공하는 것이 센서가 어떠한 신호도 발신하지 않는, 다시 말해서, 센서로부터 신호가 없는 실시례를 나타낼 수도 있다. 따라서, 센서로부터 신호가 없는 것이 하나의 "표시"로 이해될 수도 있다. 게다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상기 센서(114)가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압력 센서, 광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가속도 센서 또는 (광학적 또는 자기적) 근접 센서이다. 가속도 센서가 사용되는 경우에, 가속도 센서에 의해서 제공된 값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서스펜션 수단에 의해서 매달려 있는지 여부 또는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36) 내에서의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36)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해결 방안의 개요로서, 이 해결 방안은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36)가 작용되고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하중이 변화될 때 브레이크 패드(104) 파지 지점(gripping point)과 슬링 고정 지점(fixing point) 사이의 거리로 인한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36)에서의 토크에 기초하고 있다. 도시된 해결 방안은 서스펜션 수단의 장력이 엘리베이터 카의 변화된 하중과 부합하게 되었을 때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가 풀어질 때의 불쾌한 갑작스런 움직임을 방지한다.
도 1c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42)를 나타내고 있다.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42)는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 언로딩 동안 엘리베이터 카를 제자리에 유지시키고 하중이 서스펜션 수단 - 예를 들면, 서스펜션 로프 -으로 이전되고 엘리베이터 카 및 층계참 문이 닫힌 후, 엘리베이터가 다시 운행을 시작하기 전에 제동상태를 풀어 준다.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42)는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가이드 레일(102)과 접촉하여 제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패드(104)를 포함하고 있다. 도 1c는 단 하나의 브레이크 패드를 나타내고 있지만, 상기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는 하나보다 많은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42)는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42)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은 여러 요소(108, 118)를 이용하여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42)는 브레이크 패드(104)를 포함하는 제1 요소(118)를 포함하고 있다. 제2 요소(108)는 연결 장치, 예를 들면, 볼트 또는 핀에 의해 제1 요소(118)에 연결되어 있다. 제3 요소(108)는 또한 슬링(116)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이 증가할 때(다시 말해서, 탑승자가 엘리베이터 카에 탈 때), 제1 요소(118)와 제2 요소(108) 사이의 연결 장치는 제2 요소(108)가 제1 요소(118)로부터 멀어지게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이 감소될 때(다시 말해서, 탑승자가 엘리베이터 카에서 내릴 때), 제1 요소(118)와 제2 요소(108) 사이의 연결 장치는 제2 요소(108)가 제1 요소(118)쪽으로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2 요소(108)에 대한 제1 요소(118)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144)가 제1 요소(118)와 제2 요소(108)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로서, 하나의 센서는 위쪽 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센서는 아래쪽 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단 하나의 센서가 위쪽 방향 또는 아래쪽 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144)는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제1 요소(118)에 대한 제2 요소(108)의 이동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미리 정해진 이동량, 예를 들면, 1mm 내지 2mm 이동되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표시가 상기 이동량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표시가, 예를 들면, 0 또는 1(2진 신호)인 상태 신호를 포함할 수 있거나, 상기 표시가 상기 이동량을 나타내는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표시를 제공하는 것은 폭넓게 이해되어야 하는데 표시를 제공하는 것이 센서가 어떠한 신호도 발신하지 않는, 다시 말해서, 센서로부터 신호가 없는 실시례를 나타낼 수도 있다. 따라서, 센서로부터 신호가 없는 것이 하나의 "표시"로 이해될 수도 있다. 게다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상기 센서(144)가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압력 센서, 광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가속도 센서 또는 (광학적 또는 자기적) 근접 센서이다. 가속도 센서가 사용되는 경우에, 가속도 센서에 의해서 제공된 값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서스펜션 수단에 의해서 매달려 있는지 여부 또는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42) 내에서의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이루어졌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해결 방안의 개요로서,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42)는 엘리베이터 카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브레이크 하우징 또는 브래킷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수직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144)는 수직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서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42)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144)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컨트롤러(200)를 나타내고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 3 및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 4와 함께 도 2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방법은 엘리베이터 카(400)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상황에서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여 제동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카(400)와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를 제어하는 단계 300을 포함하고 있다.
단계 302에서는, 엘리베이터 카(400)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상황 동안, 컨트롤러(200)가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상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표시에 기초하여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게다가, 표시를 제공하는 것은 폭넓게 이해되어야 하는데 표시를 제공하는 것이 센서가 어떠한 신호도 발신하지 않는, 다시 말해서, 센서로부터 신호가 없는 실시례를 나타낼 수도 있다. 따라서, 센서로부터 신호가 없는 것이 하나의 "표시"로 이해될 수도 있다.
단계 304에서는, 컨트롤러(200)가 상기 상태를 분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계 306에서는, 컨트롤러(200)가 상기 분석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400)와 결합된 서스펜션 수단의 장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컨트롤러(200)가 단계 302에서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로부터 나온 표시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표시는 언로딩 상황 동안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그 다음에 컨트롤러(200)는,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로부터 나온 상기 표시가 변화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이 서스펜션 수단의 장력과 일치한다는 것을 나타낼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제어하여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컨트롤러(200)가 단계 302에서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로부터 나온 표시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표시는 로딩 상황 동안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그 다음에 컨트롤러(200)는, 나중에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로부터 나온 상기 표시를 수신하지 못할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제어하여 서스펜션 수단(402)을 팽팽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하나의 센서가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와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 사이의 평형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컨트롤러(200)는 단계 302에서 센서로부터 나온 표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 하나의 센서를 사용할 때, 상기 센서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이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보다 큰 것만 감지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이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보다 작으면, 상기 센서는 컨트롤러(200)에 아무런 표시도 제공할 수 없다. 이것은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이 감소할 때(다시 말해서, 언로딩 상황에서) 센서의 상태가 변화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컨트롤러(200)는 센서의 상태 변화를 초래하는 양으로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완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태가 변화하면, 서스펜션 수단(402)의 감소된 장력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가 이제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의 일부를 지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센서의 상기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컨트롤러(200)는 센서의 표시의 상태를 센서로부터 아무런 표시도 수신되지 않을 때의 상태로 다시 변화하게 하는 양으로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강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서스펜션 수단(402)이 다시 엘리베이터 카의 무게를 완전히 지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하나의 센서가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와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 사이의 평형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컨트롤러(200)는 단계 302에서 센서로부터 나온 표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 하나의 센서를 사용할 때, 상기 센서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이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보다 작은 것만 감지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이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보다 크면, 상기 센서는 컨트롤러(200)에 아무런 표시도 제공할 수 없다. 이것은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이 증가할 때(다시 말해서, 로딩 상황에서) 센서의 상태가 변화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컨트롤러(200)는 센서의 상태 변화를 초래하는 양으로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강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태가 변화하면, 서스펜션 수단(402)의 증가된 장력이 이제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보다 큰 하중과 부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센서의 상기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컨트롤러(200)는 센서의 표시의 상태를 센서로부터 아무런 표시도 수신되지 않을 때의 상태로 다시 변화하게 하는 양으로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완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서스펜션 수단(402)이 다시 엘리베이터 카의 무게를 완전히 지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례에서는, 컨트롤러(200)가 상기 분석에 기초하여 서스펜션 수단(402)의 진동의 진폭 및/또는 진동수를 변경하기 위해서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400)와 결합된 서스펜션 수단(402)은 자유롭게 진동하는 "줄(string)"로 간주될 수 있다. 이 줄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카(400)의 로딩/언로딩 동안과 이동하는 동안의 엘리베이터 카(400)의 이동, 건물 흔들림, 모터에 의해 초래된 가속도에 의해서, 진동하게 된다. 진동하는 요소의 길이를 증가시키면서 엘리베이터의 최대 이동 거리가 증가할 때 서스펜션 수단의 진동 문제가 증가한다. 최악의 경우에는, 상기 진동이 서스펜션 수단(402)이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벽 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벽에 고정된 구성요소와 접촉할 정도로 큰 진폭을 가질 수 있다. 진동하는 동안, 예를 들면, 금속제 둥근 로프들이 서로 쾅하고 맞부딪쳐서, 소음을 발생시키고 가벼운 추가적인 마모를 초래할 수도 있다. 엘리베이터 카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위로 이동할 때에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모터까지의 서스펜션 수단의 길이가 감소한다. 서스펜션 수단의 감소된 길이는 진동하는 로프의 진동수를 증가시키고 엘리베이터 카와 건물 움직임으로 인해 서스펜션 수단에 저장된 진동 에너지가 증가할 수도 있고, 다시 말해서, 에너지가 건물 움직임으로부터 서스펜션 수단 움직임으로 이전된다.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의 동적 조정(dynamic adjustment)에 의해, 진동하는 서스펜션 수단(402)의 진폭 및/또는 진동수가 변경될 수 있다. 이것은 서스펜션 수단(402)의 공명 진동수를 회피할 수 있게 하여 엘리베이터 카(400)의 로딩/언로딩 동안 강화되는 과도한 서스펜션 수단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가 결합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 하중의 변화, 다시 말해서, 상기한 것과 같은 파킹 브레이크 기구 내에서의 이동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적 로프 장력(dynamic rope tension)이 변화할 때 서스펜션 수단(402)의 진동이 감지될 수 있다.
게다가, 컨트롤러(200)는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적극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진동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컨트롤러(200)는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적극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이 최대치에 도달할 때, 다시 말해서, 서스펜션 수단(402)이 자신의 정상(일직선) 위치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장력이 감소되고, 서스펜션 수단(402)이 진동하여 정상(일직선) 위치로 복귀한 다음 계속해서 반대쪽으로 막 진동하려고 할 때, 장력이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적용된 핵심적인 새로운 특징들이 도시되어 있고 설명되어 있고 기술되어 있지만, 기술된 장치와 방법의 형태와 상세한 내용에 있어서의 다양한 생략 사항과 대체 사항과 변경 사항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당업자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임의의 개시된 형태 또는 실시례와 관련하여 도시 및/또는 기술된 구조 및/또는 요소 및/또는 방법 단계는 일반적인 설계상의 선택 사항으로서 임의의 다른 개시되거나 기술되거나 제안된 형태 또는 실시례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게다가, 청구범위에서 수단 플러스 기능 절(means-plus-function clause)은 기술된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조 및 구조적인 등가물뿐만 아니라, 등가 구조를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써 본 출원인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각각의 개별적 특징 또는 두 개 이상의 상기 특징들의 임의의 결합이, 상기 특징들 또는 특징들의 결합이 본 명세서에 제시된 임의의 문제를 해결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그리고 청구범위에 대한 제한없이, 당업자의 일반적인 상식을 고려하여,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실행될 수 있는 범위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각각의 개별적 특징과 두 개 이상의 상기 특징들의 임의의 결합을 따로 개시한다. 본 출원인은 개시된 실시형태/실시례는 상기의 임의의 개별적 특징 또는 특징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상기 설명을 고려하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9)

  1.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로서,
    엘리베이터 카(400)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가이드 레일(102)과 접촉하여 제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패드(104);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114);
    를 포함하고,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가 엘리베이터 카(400)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4)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114)가 엘리베이터 카(400)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4) 내에서의 상기 이동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
  2. 제1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패드(104)를 포함하는 제1 요소(118)로서, 제1 요소(118)를 가이드 레일(10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1 피벗점(106)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요소(118);
    제1 요소(118)에 연결된 제2 요소(108); 및
    제2 피벗점(112)을 통하여 제2 요소(108)에 연결되어 있으며 슬링(116)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제3 요소(120)로서, 제2 피벗점(112)이 제3 요소(120)를 제2 요소(108)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하는, 상기 제3 요소(120);
    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114)가 제2 요소(108)에 대한 제3 요소(120)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서 제2 요소(108)와 제3 요소(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3. 제1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패드(104)를 포함하는 제4 요소(138)로서, 제4 요소(138)를 가이드 레일(10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하는 제3 피벗점(122)을 포함하는, 상기 제4 요소(138);
    제4 피벗점(124)을 통하여 제4 요소(138)에 연결되어 있으며 슬링(116)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제5 요소(126); 및
    제5 피벗점(128)을 통하여 제4 요소(138)에 연결된 연결 요소(130);
    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114)가 부착 부재(134)에 대한 연결 요소(130)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서 연결 요소(130)와 슬링(116) 또는 엘리베이터 카(40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부착 부재(13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36).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가 엘리베이터 카(400)의 로딩 및 언로딩 상황에서 브레이크 하우징 또는 브래킷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수직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이루어졌을 때 적어도 하나의 센서(114)가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114)가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압력 센서, 광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가속도 센서 또는 근접 센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400).
  8.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엘리베이터 카(400)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상황에서 가이드 레일(102)과 접촉하여 제동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카(400)와 결합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로딩 및/또는 언로딩 상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센서(114)에 의해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표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114)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분석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400)와 결합된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114)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가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로부터 나온, 상기 언로딩 상황 동안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1 표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제어하는 단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상태의 분석이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이 서스펜션 수단(402)에 의해서 지탱되고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에 의해서는 지탱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낼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402)을 느슨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114)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가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로부터 나온, 상기 로딩 상황 동안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표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제어하는 단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상태의 분석이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이 서스펜션 수단(402)에 의해서 지탱되고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에 의해서는 지탱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낼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402)을 팽팽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제어하는 단계가 상기 분석에 기초하여 서스펜션 수단(402)의 진폭 및/또는 진동수를 변경시키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카(400)와 결합된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단 하나의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방법이
    상기 언로딩 상황에서 상기 센서의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는 단계;
    상기 센서의 상태의 변화를 감지할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완화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센서의 상태의 후속적인 변화를 감지할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강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단 하나의 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방법이
    상기 로딩 상황에서 상기 센서의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는 단계;
    상기 센서의 상태의 변화를 감지할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강화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센서의 상태의 후속적인 변화를 감지할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완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14.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서,
    엘리베이터 카(400);
    엘리베이터 카(400)와 결합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엘리베이터 카(400)를 지탱하도록 구성된 서스펜션 수단(402); 및
    컨트롤러(200)로서,
    엘리베이터 카(400)의 로딩 및/또는 언로딩 상황에서 가이드 레일(102)과 접촉하여 제동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를 제어하고;
    상기 로딩 및/또는 언로딩 상황 동안,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상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서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표시에 기초하여 모니터링하고;
    상기 상태를 분석하고; 그리고
    상기 분석에 기초하여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기 컨트롤러(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컨트롤러(200)가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로부터 나온, 상기 언로딩 상황 동안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1 표시를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상태의 분석이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이 서스펜션 수단(402)에 의해서 지탱되고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에 의해서는 지탱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낼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402)을 느슨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컨트롤러(200)가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로부터 나온, 상기 로딩 상황 동안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 내에서 미리 정해진 양의 이동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표시를 모니터링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상태의 분석이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이 서스펜션 수단(402)에 의해서 지탱되고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100, 136)에 의해서는 지탱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낼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402)을 팽팽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컨트롤러(200)가 상기 분석에 기초하여 서스펜션 수단(402)의 진폭 및/또는 진동수를 변경시키기 위해서 엘리베이터 카(400)와 결합된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단 하나의 센서로 구성되고,
    컨트롤러(200)가
    상기 언로딩 상황에서 상기 센서의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센서의 상태의 변화를 감지할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완화하고; 그리고
    상기 센서의 상태의 후속적인 변화를 감지할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강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단 하나의 센서로 구성되고,
    컨트롤러(200)가
    상기 로딩 상황에서 상기 센서의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센서의 상태의 변화를 감지할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강화하고; 그리고
    상기 센서의 상태의 후속적인 변화를 감지할 때까지 서스펜션 수단(402)의 장력을 완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0200135964A 2019-11-12 2020-10-20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2100576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08552.0 2019-11-12
EP19208552.0A EP3822212A1 (en) 2019-11-12 2019-11-12 An elevator parking brake, a method for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and an elevato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661A true KR20210057661A (ko) 2021-05-21

Family

ID=6858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964A KR20210057661A (ko) 2019-11-12 2020-10-20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139275A1 (ko)
EP (1) EP3822212A1 (ko)
KR (1) KR20210057661A (ko)
CN (1) CN112850400A (ko)
AU (1) AU20202671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88380B1 (en) * 2017-04-12 2020-10-07 KONE Corporation Method and elevator
EP4197953A1 (en) * 2021-12-17 2023-06-21 KONE Corporation Elevator parking brake, method for operating an elevator parking brake, and control device for an elevator parking brak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15120A (en) * 1975-10-28 1978-06-21 Coal Ind Brake equipment
DE19505533A1 (de) * 1995-02-18 1996-08-22 Teves Gmbh Alfred Prüfeinheit mit verbesserter Simulationsgüte zur realitätsnahen Prüfung der Fahrdynamik von Kraftfahrzeugen
JP4710834B2 (ja) * 2004-12-15 2011-06-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非常止め装置
PL1671912T3 (pl) * 2004-12-17 2011-07-29 Inventio Ag Instalacja dźwigowa z urządzeniem hamującym i sposób hamowania i zatrzymywania instalacji dźwigowej
CN102009887B (zh) * 2010-10-30 2013-07-24 枣庄矿业(集团)有限责任公司蒋庄煤矿 主井摩擦式提升机防重载下放监控系统
CH707833A1 (de) * 2013-03-28 2014-09-30 Phoenix Mecano Komponenten Ag Aufzugsanlage mit einer Bremsvorrichtung.
CN106672735B (zh) * 2017-02-22 2019-05-17 西继迅达(许昌)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意外移动保护装置
EP3369686B1 (en) * 2017-03-02 2020-08-26 KONE Corporation Elevator comprising an electric linear motor
EP3388380B1 (en) * 2017-04-12 2020-10-07 KONE Corporation Method and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2212A1 (en) 2021-05-19
CN112850400A (zh) 2021-05-28
AU2020267146A1 (en) 2021-05-27
US20210139275A1 (en)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1658B1 (en) Elevator apparatus
JP5044079B2 (ja) 組み込み型負荷測定装置を備えたケーブル式エレベータ用負荷収容手段
KR20210057661A (ko) 엘리베이터 파킹 브레이크,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JP5318103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8104586B2 (en) Elevator motor brake torque measurement device
JP2001019292A (ja) 鉛直搬送装置の荷重支持手段の鉛直方向変位と鉛直方向振動とを防止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6170810B2 (ja)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テンション計測装置及び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H10194625A (ja) エレベータの負荷の測定方法および測定装置
US6483047B1 (en) Elevator brake load weighing system
JP502607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208538B2 (ja) エレベータの釣合補償用索状体案内装置
US20180312371A1 (en) Suspension arrangement for an elevator
WO2018105110A1 (ja) エレベータの秤装置
JP3868789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2187679A (ja) エレベータ装置
JP501478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664003B2 (ja) ロープ振動抑制装置
JP2682347B2 (ja) ワイヤロープ破断検出装置
US11738971B2 (en) Elevator governor tension frame damper
JP2001233564A (ja) エレベータ装置
JPH1121045A (ja) 小型エレベーターのかごの支持方法
CN116648419A (zh) 悬挂装置及其在电梯设备中的用途以及方法
JP2006131339A (ja) エレベータの衝撃吸収装置
KR19980023899A (ko) 엘리베이터 승강차의 진동 저감 장치
JPS6225590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