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397B1 -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 - Google Patents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397B1
KR100960397B1 KR1020080005755A KR20080005755A KR100960397B1 KR 100960397 B1 KR100960397 B1 KR 100960397B1 KR 1020080005755 A KR1020080005755 A KR 1020080005755A KR 20080005755 A KR20080005755 A KR 20080005755A KR 100960397 B1 KR100960397 B1 KR 100960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block
stage
dock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630A (ko
Inventor
도일웅
Original Assignee
도일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일웅 filed Critical 도일웅
Priority to KR1020080005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397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30Moving or transporting modules or hull blocks to assembly sites, e.g. by rolling, lifting or fl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8Grav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6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vertical movement of vessel, i.e. by c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1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using releas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에 관한 것으로,
선체의 조립공법이, S1 내지 S5 단계로 구성된 본 발명 구성의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을 채택하여 선체의 건조주기가 최대한 단축되는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에 관한 발명으로;
상기 단계의 건조야드에서 비교적 긴 스키드라인 상에 건조 선박의 선체를 예정 건조주기에 맞춰, 도크 건조는 SS1 내지 SS3 단계의 1 내지 3개의 분할 스테이지, 육상건조에서는 SS1 내지 SS4 단계의 1 내지 4개의 분할 스테이지로 기공(Keel Laying) 블록의 위치를 정하고,
상기 기공 블록을 스키드라인을 따라 흘리면서 점차 대형화하여 선체를 완성시키며, 상기 선체의 이송방식은 스키드라인 상에 설치한 초중량물 이송장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밀면서 진행되는 구성의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에 관한 발명으로,
종래 기술의 선체 건조공법은, 도크 회전율을 높이기 위해 별도의 장소에서 육상 대형장비를 사용하여 3,000톤급의 메가블록(Mega Block)으로 대형화하여 바지와 해상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도크로 운송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침으로 인하여, 선체의 건조주기가 장기간 소요 되었고, 운송비가 과다히 발생 되었으며, 불필요한 블록의 이동과 작업자의 이동 재배치에 따른 맨파워의 LOSS와 작업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바,
본 발명의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을 제공 함으로서, 직접 건조라인에서 블록을 스키드라인을 따라 흘리면서 순차적으로 대형화하여 완성 한 후 진수시키는 선체의 연속흐름 생산 공정에 의하여,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선체의 조립공정의 생산성 극대화를 통하여 선체의 건조주기를 최대한 단축 및, 대형 블록을 별도의 장소에서 건설하여 운반해 올 필요가 없어 운송비가 대폭 절감되며;
선체의 조립 공정수를 늘리고 줄임에 따라 선체의 건조주기를 임의 조절이 가능하여 추가로 도크를 건설하지 않고도 생산량의 극대화와, 원가절감이 되는 동시에,
도크 건조방식이나 육상 건조방식 중, 어느 건조방식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이동 재배치에 따른 맨파워의 낭비를 줄이고, 또한 작업자가 정해진 장소에서 같은 종류의 작업만을 수행 함으로써 작업 능률과 품질, 생산성이 향상되는 구성의,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에 관한 발명이다.
스키드라인, 건조주기, 기공블록, PE블록, 초중량물 이송장치, 중간게이트, 잠수바지, 도크 건조, 육상 건조.

Description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Continuous Assembly Line System of Hull}
본 발명은,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에 관한 것으로,
선체의 조립공법이, S1 내지 S5 단계로 구성된 본 발명 구성의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을 채택하여 선체의 건조주기가 최대한 단축되는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에 관한 발명으로;
상기 단계의 건조야드에서 비교적 긴 스키드라인 상에 건조 선박의 선체를 건조 예정주기에 맞춰, 도크 건조는 작업 스테이지를 SS1 내지 SS3 단계의 1 내지 3개의 분할 스테이지, 육상건조에서는 작업 스테이지를 SS1 내지 SS4 단계의 1 내지 4개의 분할 스테이지로 기공(Keel Laying) 블록의 위치를 정하고,
상기 기공 블록을 스키드라인을 따라 흘리면서 점차 대형화하여 선체를 완성시키며, 상기 선체의 이송방식은 스키드라인 상에 설치한 초중량물 이송장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밀면서 진행되는 구성의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에 관한 발명이다.
도 4에 도시한바와 같이,
일반적인 종래기술의 선체 건조 방식은, 조선소의 선각 공장(70)에서 선체
(10)를 다수개의 단위블록(45)으로 제작하여 선행 의장과 선행 도장 작업을 거쳐, 도크(20) 주변의 PE장(40)으로 운반한 후,
도크 크레인(60)이 들어 올릴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다수개의 소형블록인 단위블록(45)을 각기 선행 탑재 작업(PE)을 하고, 도크(20)에서 이를 순서대로 탑재하여 선체(10)를 완성한 후 도크(20)에 해수를 집어 넣어 선체(10)가 진수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건조방식은, 조선업 경쟁력의 핵심인 도크 회전율이 매우 낮아 선체의 건설 기간이 장기간 소요되며, 추가 도크를 건설 함에 따른 원가 상승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즉, 선체(10)를 건조하는 방식이, 도크 크레인(60)이 들어 올릴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인 다수개의 단위블록(45)을 도크 크레인(60)으로 고정 작업장인 작업실(21)에 각기 이동 후, 작업자가 일일히 이동하면서 다수개의 단위블록(45)을 선체로 일일히 조립하는 LOT 건조방식으로 구성 됨으로서,
특히, 선체 1척을 건조하는 기간이 통상 90 내지 100일이 소요되어 년간 선체 4척만이 건조 됨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와;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일일히 이동하며 조립을 함으로서, 작업자의 이동 재 배치에 따른 맨파워의 낭비가 발생 되었으며;
작업자가 선체의 선미와 선중, 선수 부위의 각기 다른 부위에 해당되는 단위블록(45)의 조립 작업을 동시에 수행 함으로서 작업 능률의 저하와 품질, 생산성이 저하 되었으며;
선체를 조립 작업시에, 초 고하중물 상태의 조립중인 선미와 선수에 해당되는 선체(10)를 후로팅(FLOATING) 공법으로 임시로 물위에 부상시켜 이송 함에 따른 작업성 저하와, 조립중인 상기 선체(10)의 일부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따라서, 조선소들은 도크 회전율을 높이기 위해 다각도로 연구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도 5에 도시한바와 같이;
블록의 대형화를 들 수 있는데, 작은 블록을 대형화 하는 방법으로는, 선체(10)의 블록 육상 조립장소인 별도의 조립장소(80)에서 상기 단위블록(45) 다수개가 조립된 상태의 대형블록(44) 다수개를 3000톤 급의 메가블록(43: Mega Block)으로 대형 육상장비를 구비하여 작업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여기서 완성된 메가블록(43: Mega Block)은, 바지 및 해상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도크(20)로 운반되어, 상기 도크 내의 작업실 1, 2(21,22)에 각각의 메가블록(43)을 적재 후,
상기 메가블록(43)을 각기 대형화 하여 선체(10)를 완성한 후 진수 시키는 블록의 대형화를 통한 선체의 조립 공법을 채택, 동일 도크(20) 내에서 선체가 반복하여 건조되는 세미탄뎀(SEMI TANDEM)방식을 사용하여, 선체 1척을 건조하는 기간을 통상 40 내지 50일로 단축하여, 년간 8척의 선박을 진수 시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세미탄뎀 방식 또한, 상기와 같이 이송된 각각의 메가블록(43: Mega Block)을 작업자가 일일히 이동하며 조립을 하는 LOT 생산 방식으로 구성 됨으로서,
작업자의 이동 재 배치에 따른 맨파워의 낭비가 발생 되었으며, 작업자가 선체의 선미와 선중, 선수 부위의 각기 다른 부위에 해당되는 메가블록(43)의 조립 작업을 동시에 수행 함으로서 작업 능률의 저하와 품질, 생산성이 저하 되었으며;
특히, 작업환경이 열악한 블록 육상 조립장소인 별도의 조립장소(80)에서 상기 단위블록(45) 다수개가 조립된 상태의 대형블록(44) 다수개를 3000톤 급의 메가블록(43 Mega Block)으로 대형 육상장비를 구비하여 조립 함으로서, 품질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상기 조립장소(80)에서 조립된 메가블록(43)을 바지 및 해상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도크(20)로 운박 함에 따른 해상 운반비와 설비투자비 등이 과도하게 소요되어 경제성과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선체(10)의 제작 기간이 통상 40 내지 50일로 장기간 소요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선체의 조립공정의 생산성을 극대화 하여 선체의 건조주기를 최대한 단축 및, 크기가 대형화된 대형블록을 별도의 조립장소에서 조립하여 운반해 올 필요가 없어 운송비가 대폭 절감되며;
선체의 조립 공정수를 늘리고 줄임에 따라 선체의 건조주기를 임의 조절이 가능하여 추가로 도크를 건설하지 않고도 생산량의 극대화와, 원가절감이 되는 동시에,
도크 건조방식이나 육상 건조방식 중, 어느 건조방식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이동 재 배치에 따른 맨파워의 낭비를 줄이고, 작업자가 정해진 장소에서 같은 종류의 작업만을 수행 함으로써 작업 능률과 품질, 생산성이 향상되는 구성의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을 제공 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 및 본 발명이 이루고저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 구성의,
PE장에서 다수개의 단위블록을 PE블록으로 조립하는 S1 단계 및;
도크 또는 육상 건조야드에, 스키드라인을 선체길이의 2.5 내지 3배로 설치하는 S2 단계와;
상기 PE블록을 도크 또는 육상 건조라인에 설치된 도크 크레인으로 들어 스 키드라인 상에 킬레잉 한 후, 상기 PE블록의 전후에 다른 PE블록을 취부 및 용접하여 대형 선체블록으로 조립하는 S3 단계와;
상기 대형 선체블록으로 조립된 선체를 초중량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스키드라인을 따라 도크 또는 육상 건조라인의 후공정으로 이송 시키는 S4 단계와;
상기 도크 또는 육상 건조라인의 후공정으로 이송된 대형 선체블록(41)의 전후로, 또 다른 PE블록을 각기 취부 및 용접하여 선체를 완성한 후,
도크 건조방식에서는 중간게이트를 설치한 후 도크에 해수를 넣어 진수시키며, 육상 건조방식에서는 잠수바지에 이송, 진수 시키는 단계; 로 구성된,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을 제공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코저 한다.
본 발명의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을 제공하여;
선체의 조립공정의 생산성을 극대화 하여 선체의 건조주기를 최대한 단축 및, 크기가 대형화된 대형블록을 별도의 조립장소에서 조립하여 운반해 올 필요가 없어 운송비가 대폭 절감되며;
선체의 조립 공정수를 늘리고 줄임에 따라 선체의 건조주기를 임의 조절이 가능하여 추가로 도크를 건설하지 않고도 생산량의 극대화 효과와, 원가절감이 되는 동시에,
도크 건조방식이나 육상 건조방식 중, 어느 건조방식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이동 재배치에 따른 맨파워의 낭비를 줄이고, 또한 작업자가 정해진 장소에서 같은 종류의 작업만을 수행 함으로써 작업 능률과 품질, 생산성이 향 상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에 대한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크 건조방식에 의한 선체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a은 본 발명에 의한 육상 건조방식에 의한 선체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b는 상기 도 3a의 본 발명 육상 건조방식에 의한 선체의 조립 상태의 다른 실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은, 다음과 같은 S1 내지 S5 단계로 구성되며, S3 내지 S5 단계가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진행된다.
S1 단계;
PE장(40)에서 다수개의 단위블록(45)을 PE블록(42)으로 조립하는 단계
S2 단계;
도크 또는 육상 건조야드(20,30)에, 스키드라인(50)을 선체길이의 2.5 내지 3배로 설치하는 단계
S3 단계;
상기 PE블록(42)을 도크 또는 육상 건조라인에 설치된 도크 크레인으로 들어 스키드라인(50) 상에 킬레잉 한 후, 상기 PE블록(42)의 전후에 다른 PE블록(42a,42b)을 취부 및 용접하여 대형 선체블록(41)으로 조립하는 단계
S4 단계;
상기 대형 선체블록(41)으로 조립된 선체를 초중량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스키드라인(50)을 따라 도크 또는 육상 건조라인의 후공정으로 이송 시키는 단계
S5 단계;
상기 도크 또는 육상 건조라인의 후공정으로 이송된 대형 선체블록(41)의 전후로, 또 다른 PE블록(42c,42d,42e,42f,42g)을 취부 및 용접하여 선체(10)를 완성한 후,
도크 건조방식에서는 중간게이트(24)를 설치한 후 도크(20)에 해수를 넣어 진수시키며, 육상 건조방식에서는 잠수바지에 이송, 진수 시키는 단계; 로, 구성된다.
상기 S1 단계는;
선체의 단위블록 육상 조립장소인 PE장에서 75 내지 200톤급 중량인 다수개의 단위블록(45)을 300 내지 800톤급 중량의 PE블록(42)으로 연속, 조립하는 단계이다.
상기 S2 단계는;
PE장(40)에서 이송되는 300 내지 800톤급 중량의 PE블록(42)을 선체의 건조장인 도크 또는 육상 건조야드(20,30)에 이송 시키기 위하여, 상기 건조야드에 스키드라인(50)을 선체 길이의 2.5 내지 3배로 설치하는 단계이며,
예를 들어 선체의 길이가 300M의 경우는 스키드라인을 중간게이트 및 도크 건조의 경우 750M, 육상 건조의 경우 900M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스키드라인을 선체 길이의 2.5 내지 3배로 설치하는 구성은,
상기 2.5 내지 3배로 설치된 스키드라인 상에, 건조 선박의 선체를 건조주기에 맞춰 작업 스테이지를 도크 건조는 3개, 육상 건조에서는 4개로 분할하여 기공(Keel Laying) 블록의 위치를 정하기 위함이다.
상기 S3 단계는;
상기 S1단계의 조립된 PE블록(42)을, 건조라인에 설치된 도크 크레인으로 각기 들어 다수 열로 구성된 운송장치인 스키드라인(50)상에 각기 킬레잉 한 후, 상 기 PE블록(42)의 전,후면에 다른 PE블록(42a,42b)을 각기 취부 및 용접하여 대형 선체블록(41)으로 연속,조립하는 단계이다.
상기 S4 단계는;
상기 대형 선체블록(41)으로 조립된 선체를 초중량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스키드라인(50)을 따라 후공정 작업 스테이지로 연속, 이송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S3 단계의 운송장치인 다수 열로 구성된 스키드라인(50)상에서, 초중량물 이송장치인 에어패드 슬라이딩 시스템(AIRPAD SLIDING SYSTEM), 트랜스포터(TRANSPORTER), 보기 시스템(BOGIE SYSTEM), 윈치(WINCH)에 의해 후공정 작업 스테이지로 연속, 이송되는 단계이다.
상기 S5 단계는,
상기와 같이, 후공정 작업 스테이지로 이송된 대형 선체블록(41)의 전,후면에 또 다른 PE블록(42c,42d,42d,42e,42f,42g)을 순차적으로 각기 취부 및 용접하여 선체를 완성하는 단계로서,
도크 건조방식에서는, 상기와 같이 최종 건조된 선체가, 도크 작업실 2(22)와 3(23)의 사이에 해수의 유입 또는 해수의 차단을 위한 중간게이트(24)를 설치한 후, 도크 작업실 3(23)에 해수를 넣어 전방수문(25)을 개방하여 완성된 선체(10)를 진수시키며,
육상 건조방식에서는, 상기와 같이 최종 건조된 선체(10)가, 잠수바지를 안벽에 길이방향으로 접안시켜 발라스트를 조절하면서 상기 선체(10)를 초중량물 이송장치에 의해 잠수바지 위로 옮겨 실어 선체를 진수 시키는 단계이다.
또한, 다른 구성으로 상기 본 발명의 육상 건조방식의 S1 내지 S5 단계의 상기 S2 단계, S3 단계, S5 단계가 필요에 따라;
PE장(40)에서 이송되는 PE블록(42)을 선체의 건조장인 육상 건조야드(30)에 이송 시키기 위하여, 상기 육상 건조야드(30)에 스키드라인(50)을 선폭의 4 내지 5배로 설치하는 S2 단계와;
상기 S1단계의 조립된 PE블록(42)을, 건조라인에 설치된 도크 크레인으로 각기 들어 다수 열로 구성된 운송장치인 스키드라인(50)상에 각기 킬레잉 한 후, 상기 PE블록(42)의 상,하부면에 다른 PE블록(42a,42b)을 취부 및 용접하여 대형 선체블록(41)으로 연속,조립하는 S3단계와;
상기와 같이, 후공정 작업 스테이지로 이송된 대형 선체블록(41)의 상,하부면에 또 다른 PE블록(42c,42d,42e,42f,42g)을 순차적으로 취부 및 용접하여 선체를 완성하는 S5단계로, 구성되어;
작업실 1,2,3,4(31,32,33,34)로 구성된 육상 건조야드(30)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키드라인(50)의 길이가 선폭의 4 내지 5배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즉, 선폭이 40M, 선체의 길이 300M의 선박의 경우, 육상 건조야드(30)에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키드라인(50)의 길이가 160 내지 200M로 설치되어,
상기 본 발명 구성의, 건조야드에 스키드라인(50)을 선체 길이의 2.5 내지 3배로 설치하는 구성인 길이 방향의 스키드라인(50)의 길이가 750 내지 900M에 비하여, 선체의 길이인 300M 로 설치되어, 길이 방향의 스키드라인의 길이가 대폭 단축되는 구성으로, 육상 건조야드(30)의 길이가 단축 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S3 내지 S5 단계의 도크라인의 건조는, SS1 내지 SS3 단계의 1 내지 3개의 분할 스테이지로 분할된 구성으로, 작업실 1,2,3(21,22,23)에서 연속적으로 분할, 진행 됨으로서, 선체의 건조주기에 일치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SS1 내지 SS3 단계의 1 내지 3개의 분할 스테이지는,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작업실 1(21)에서 선체의 선중부위에 해당되는 PE블록(42)의 전,후면에 다른 PE블록(42a,42b)을 각기 취부 및 용접하여 대형 선체블록(41)으로 조립, 작업실 2로 이송되는 스테이지인 SS1 스테이지와;
작업실 2(22)에서 상기 대형 선체블록(41)의 전,후면부에, 도크 크레인(60)에 의하여 작업실 2의 스키드라인 상에 킬레잉 된 선체의 선중부위와 선미 부위에 해당되는 또 다른 PE블록(42c,42d)을 취부 및 용접하여 작업실 3으로 이송되는 스테이지인 SS2 스테이지와;
작업실 3(23)에서 상기 SS2 단계의 또 다른 PE블록(42c,42d)이 취부 및 용접된 상기 또 다른 PE블록(42c,42d)의 전면부에, 도크 크레인에 의하여 작업실 3의 스키드라인 상에 킬레잉 된 선체의 선수 부위에 해당되는 PE블록(42e)을 취부 및 용접하고, 상기 선미부위에 해당되는 PE블록(42d)의 상부에 조타실 구성부품에 해당되는 PE블록(42f)를 취부 및 용접하여 선체의 건조가 완성되는 스테이지인 SS3 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작업실 1에서 각 PE블록(42,42a,42b)이 취부 및 용접되어 제작된 대형 선체블록(41)의 전,후면에, 순차적으로 다른 PE 블록(42c,42d,42e,42f)이 각기 취부 및 용접되는 작업을,
작업실 1,2,3(21,22,23)에서 SS1 내지 SS3의 3개의 스테이지로 분할하여 취부 및 용접 작업을 함으로서, 선체(10)의 건조주기가 1/3로 단축되는 구성의, 분할 스테이지 공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종래 90일 소요되는 선체의 건조주기를 1/3인 30일로 단축이 가능하며, 이는 도크의 전체 길이를 750M로 실제 건설 가능한 도크 길이로 기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예를 들어, 선체의 건조주기를 15일로 단축코저 할 경우는, 상기 도크의 전체 길이를 1500M로 스테이지를 6개로 분할하여, 각 작업장에서 분할하여 동시에 취부 및 용접 함으로서, 선체의 건조주기가 1/6인 15일로 단축되는 이론 상의 논리가 가능한 분할 스테이지 공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S3 내지 S5 단계의 육상라인의 건조는, SS1 내지 SS4 단계의 1 내지 4개의 분할 스테이지로 분할된 구성으로, 작업실 1,2,3,4 (31,32,33,34)에서 연속적으로 분할, 진행 됨으로서, 선체의 건조주기에 일치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SS1 내지 SS4 단계의 1 내지 4개의 분할 스테이지는,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작업실 1(31)에서 선체의 선중부위에 해당되는 PE블록(42)의 전,후면에 다른 PE블록(42a,42b)을 각기 취부 및 용접하여 대형 선체블록(41)으로 조립, 작업실 2로 이송되는 스테이지인 SS1 스테이지와;
작업실 2(32)에서 상기 대형 선체블록(41)의 전,후면부에, 도크 크레인(60)에 의하여 작업실 2의 스키드라인 상에 킬레잉 된 선체의 선중부위와 선미 부위에 해당되는 또 다른 PE블록(42c,42d)을 취부 및 용접하여 작업실 3으로 이송되는 스테이지인 SS2 스테이지와;
작업실 3(23)에서 상기 SS2 단계의 또 다른 PE블록(42c,42d)이 취부 및 용접된 상기 PE블록(42c)에, 도크 크레인에 의하여 작업실 3의 스키드라인 상에 킬레잉 된 선중부위에 해당되는 PE블록(42g)을 취부 및 용접하고, 상기 선미 부위에 해당되는 PE블록(42d)의 상부에 조타실 구성부품에 해당되는 PE블록(42f)를 취부 및 용접하여 작업실 4로 이송되는 스테이지인 SS3 스테이지와;
작업실 4(34)에서 상기 SS3 단계의 선체의 선중 부위에 해당되는 PE블록(42g)의 전면에, 도크 크레인에 의하여 작업실 4의 스키드라인 상에 킬레잉된 선체의 선수 부위에 해당되는 PE블록(42e)을 취부 및 용접하여, 선체(10)가 완성되는 스테이지인 SS4 스테이지; 로 구성되어,
작업실 1에서 각 PE블록(42,42a,42b)이 취부 및 용접되어 제작된 대형 선체블록(41)의 전,후면에, 순차적으로 다른 PE 블록(42c,42d,42e,42f,42g)이 각기 취부 및 용접되는 작업을, 작업실 1,2,3,4(31,32,33,34)에서 SS1 내지 SS4의 4개의 스테이지로 분할하여 취부 및 용접 작업을 함으로서, 선체(10)의 건조주기가 1/4로 단축되는 구성의, 분할 스테이지 공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종래 90일 소요되는 선체의 건조주기가 1/4인 22.5일로 단축이 가능하며,
이 또한, 육상 건조야드의 전체 길이를 1,000M로 실제 건설 가능한 육상 건조야드의 길이를 기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예를 들어, 선체의 건조시기를 20일로 단축코저 할 경우는, 상기 육상 건조야드의 전체 길이를 1,250M로 작업실을 1 내지 5개인 5PART로 분할하여, 각 작업장에서 동시에 취부 및 용접 함으로서, 선체의 건조주기가 1/5인 20일로 단축 가능한 분할 스테이지 공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도 3a의 육상 건조방식에 의한 SS1 내지 SS4 단계의 분할 스테이지가 필요에 따라;
작업실 1,2,3,4(31,32,33,34)로 구성된 육상 건조야드(30)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키드라인(50)의 길이가 선폭의 4 내지 5배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육상 건조야드(30)에 설치되는 길이 방향의 스키드라인의 길이가 대폭 단축되는 구성의 SS1 내지 SS4 단계로 구성 될 수도 있다.
즉, 작업실 1(31)에서 PE장에서 운반된 PE블록(42)의 상, 하부면에 도크 크레인(60)으로 다른 PE 블록(42a,42b)을 취부 및 용접하여 대형 선체블록(41)으로 조립하는 SS1 스테이지와;
작업실 2(32)에서 상기 SS1 스테이지에서 이송된 대형 선체블록(41)의 상,하부면에, 도크 크레인(60)으로 또 다른 PE블록(42c,42d)을 취부 및 용접하여 작업실 3으로 이송되는 스테이지인 SS2 스테이지와;
작업실 3(23)에서 상기 SS2 스테이지에서 이송된 선체의 상,하부면에 도크 크레인(60)으로 또 다른 PE블록(42f,42g)를 취부 및 용접하여 작업실 4로 이송되는 스테이지인 SS3 스테이지와;
작업실 4(34)에서 상기 SS3 스테이지에서 이송된 선체의 상부면에, 도크 크레인(60)으로 또 다른 PE블록(42e)을 취부 및 용접하여, 선체(10)가 완성되는 스테이지인 SS4 스테이지; 로, 구성 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선폭이 40M, 선체의 길이 300M의 선박의 경우, 육상 건조야드(30)에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키드라인(50)의 길이가 160 내지 200M로 설치되어, 길이 방향의 스키드라인의 길이는 300M로 단축되어, 건조야드(30)의 길이가 대폭 단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S1 내지 S5 단계로 구성된 본 발명 구성의 스키드라인을 이용한 선체의 연속 조립공법과;
상기 SS1 내지 SS4 분할 스테이지 공법을 공히 채택하여;
본 발명은, 선체의 건조주기가 22.5일 내지 30일로 최대한 단축되는 구성 및;
크기가 대형화된 대형블록을 별도의 조립장소에서 조립하여 운반해 올 필요가 없어 운송비가 대폭 절감되며, 선체의 조립 공정수를 늘리고 줄임에 따라 선체의 건조주기를 임의 조절이 가능하여 추가로 도크를 건설하지 않고도 생산량의 극대화와, 원가절감이 되는 구성과;
도크 건조방식이나 육상 건조방식 중, 어느 건조방식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이동 재 배치에 따른 맨파워의 낭비를 줄이고, 작업자가 정해진 장소에서 같은 종류의 작업만을 수행 함으로써 작업 능률과 품질, 생산성이 향상되는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중, 필요에 따라;
상기 S5 단계의 완성된 선체가, 도크 건조방식에서는 선체(10)를 진수시킨 후 전방수문(25)을 닫고, 도크(20) 내의 물을 빼고 반목을 정비한 후 중간 게이트(24)를 치우고, 후공정의 선체를 초중량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스키드라인(50)을 따라 전진, 이송 될 수도 있으며;
상기 S5 단계의 완성된 선체(10)가, 도크 건조방식에서 선체 2척을 병렬 건조 시는, 중간게이트(24)를 설치한 후 전방수문(25)을 개방하여 선체를 진수시킬 때 진수 전후의 인력배치에 낭비를 줄이기 위해, 두 척을 동시에 진수시키지 않고 한 척씩 일정 기간 시차를 두어 교차 진수 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스테이지 분할 작업이, 도크 건조방식의 경우 SS1 내지 SS2의 1 내지 2개의 스테이지 분할 공법, 육상 건조방식의 경우는 SS1 내지 SS3의 1 내지 3개의 스테이지 분할 공법으로 구성 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상기 연속조립 공법에 의한 대상 물건인 선체는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연속조립 공법에 의한 대상 물건이 상기 선체가 아닌, 초 고하중물 상태의 타 물건에 대하여도 본 발명의 상기 구성을 적용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에 대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크 건조방식에 의한 선체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육상 건조방식에 의한 선체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b는 상기 도 3a의 육상 건조방식에 의한 선체의 조립 상태의 다른 실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 및 도 5는 종래 기술의 선체의 건조 방식을 도시한 개략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선체(선박)
20 도크 건조야드
21,22,23 작업실 1,2,3 24 중간게이트
25 전방수문
30 육상 건조야드
31,32,33,34 작업실 1,2,3,4
40 PE장
41 대형 선체블록
42,42a,42b,42c,42d,42e,42f,42g PE블록
43 메가블록 44 대형블록
45 단위블록
50 스키드라인
60 도크 크레인
70 선각공장
80 조립장소

Claims (9)

  1. 선체의 조립공법이, 다음과 같은 S1 내지 S5 단계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
    S1 단계;
    PE장(40)에서 다수개의 단위블록(45)을 PE블록(42)으로 조립하는 단계
    S2 단계;
    도크 또는 육상 건조야드(20,30)에, 스키드라인(50)을 선체길이의 2.5 내지 3배로 설치하는 단계
    S3 단계;
    상기 PE블록(42)을 도크 또는 육상 건조라인에 설치된 도크 크레인으로 들어 스키드라인(50) 상에 킬레잉 한 후, 상기 PE블록(42)의 전후에 다른 PE블록(42a,42b)을 취부 및 용접하여 대형 선체블록(41)으로 조립하는 단계
    S4 단계;
    상기 대형 선체블록(41)으로 조립된 선체를 초중량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스키드라인(50)을 따라 도크 또는 육상 건조라인의 후공정으로 이송 시키는 단계
    S5 단계;
    상기 도크 또는 육상 건조라인의 후공정으로 이송된 대형 선체블록(41)의 전후로, 또 다른 PE블록(42c,42d,42e,42f,42g)을 취부 및 용접하여 선체(10)를 완성한 후, 도크 건조방식에서는 중간게이트(24)를 설치한 후 도크(20)에 해수를 넣어 진수시키며, 육상 건조방식에서는 잠수바지에 이송, 진수 시키는 단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3 내지 S5 단계의 각 작업이 분할되어 동시에 실시 되는 구성의,
    도크 건조라인의 경우는 3개의 분할 스테이지 공법, 육상 건조라인의 경우는 4개의 분할 스테이지 공법으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스테이지 공법이,
    도크 건조라인의 경우, 작업실 1(21)에서 선체의 선중부위에 해당되는 PE블록(42)의 전,후면에 다른 PE블록(42a,42b)을 각기 취부 및 용접하여 대형 선체블록(41)으로 조립, 작업실 2로 이송되는 스테이지인 SS1 스테이지와;
    작업실 2(22)에서 상기 대형 선체블록(41)의 전,후면부에, 도크 크레인(60)에 의하여 작업실 2의 스키드라인 상에 킬레잉 된 선체의 선중부위와 선미 부위에 해당되는 또 다른 PE블록(42c,42d)을 취부 및 용접하여 작업실 3으로 이송되는 스테이지인 SS2 스테이지와;
    작업실 3(23)에서 상기 SS2 단계의 또 다른 PE블록(42c,42d)이 취부 및 용접된 상기 또 다른 PE블록(42c,42d)의 전면부에, 도크 크레인에 의하여 작업실 3의 스키드라인 상에 킬레잉 된 선체의 선수 부위에 해당되는 PE블록(42e)을 취부 및 용접하고, 상기 선미부위에 해당되는 PE블록(42d)의 상부에 조타실 구성부품에 해당되는 PE블록(42f)를 취부 및 용접하여 선체의 건조가 완성되는 스테이지인 SS3 스테이지; 로 구성되어 있으며,
    육상 건조라인의 경우, 작업실 1(31)에서 선체의 선중부위에 해당되는 PE블록(42)의 전,후면에 다른 PE블록(42a,42b)을 각기 취부 및 용접하여 대형 선체블록(41)으로 조립, 작업실 2로 이송되는 스테이지인 SS1 스테이지와;
    작업실 2(32)에서 상기 대형 선체블록(41)의 전,후면부에, 도크 크레인(60)에 의하여 작업실 2의 스키드라인 상에 킬레잉 된 선체의 선중부위와 선미 부위에 해당되는 또 다른 PE블록(42c,42d)을 취부 및 용접하여 작업실 3으로 이송되는 스테이지인 SS2 스테이지와;
    작업실 3(23)에서 상기 SS2 단계의 또 다른 PE블록(42c,42d)이 취부 및 용접된 상기 PE블록(42c)에, 도크 크레인에 의하여 작업실 3의 스키드라인 상에 킬레잉 된 선중부위에 해당되는 PE블록(42g)을 취부 및 용접하고, 상기 선미 부위에 해당되는 PE블록(42d)의 상부에 조타실 구성부품에 해당되는 PE블록(42f)를 취부 및 용접하여 작업실 4로 이송되는 스테이지인 SS3 스테이지와;
    작업실 4(34)에서 상기 SS3 단계의 선체의 선중 부위에 해당되는 PE블 록(42g)의 전면에, 도크 크레인에 의하여 작업실 4의 스키드라인 상에 킬레잉 된 선체의 선수 부위에 해당되는 PE블록(42e)을 취부 및 용접하여, 선체(10)가 완성되는 스테이지인 SS4 스테이지; 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의 초중량물 이송장치로,
    에어패드 슬라이딩 시스템, 트랜스포터, 보기 시스템, 윈치에 의해 연속으로 이송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
  5. 제 1항에 있어서, S5 단계의 선체(10)를 완성한 후 진수시키는 방법으로,
    도크 건조방식에서는, 중간게이트(24)를 설치한 후 전방수문(25)을 개방하여 완성된 선체(10)를 진수시키고;
    육상 건조방식에서는, 잠수바지를 안벽에 길이방향으로 접안시켜 발라스트를 조절하면서 선체(10)를 초중량물 이송장치에 의해 잠수바지 위로 옮겨 실어 진수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
  6. 제 5항에 있어서, 도크 건조방식에서 선체(10)를 진수시킨 후 전방수문(25)을 닫고, 도크(20) 내의 물을 빼고 반목을 정비한 후 중간게이트(24)를 치우고, 후공정의 선체(10)를 초중량물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스키드라인을 따라 전진, 이송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
  7. 제 5항에 있어서, 도크 건조방식에서 병렬 건조 시, 중간게이트(24)를 설치한 후 전방수문을 개방하여 선체(10)를 진수시킬 때 진수 전후의 인력배치에 낭비를 줄이기 위해, 두 척을 동시에 진수 시키지 않고 한 척씩 일정 기간 시차를 두어 교차 진수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 S3 단계, S5 단계가;
    PE장(40)에서 이송되는 PE블록(42)을 선체의 건조장인 육상 건조야드(30)에 이송 시키기 위하여, 상기 육상 건조야드(30)에 스키드라인(50)을 선폭의 4 내지 5배로 설치하는 S2 단계와;
    상기 S1단계의 조립된 PE블록(42)을, 건조라인에 설치된 도크 크레인으로 각기 들어 다수 열로 구성된 운송장치인 스키드라인(50)상에 각기 킬레잉 한 후, 상기 PE블록(42)의 상,하부면에 다른 PE블록(42a,42b)을 취부 및 용접하여 대형 선체블록(41)으로 연속,조립하는 S3단계와;
    상기와 같이, 후공정 작업 스테이지로 이송된 대형 선체블록(41)의 상,하부면에 또 다른 PE블록(42c,42d,42e,42f,42g)을 순차적으로 취부 및 용접하여 선체를 완성하는 S5단계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 건조라인 분할 스테이지 공법이;
    작업실 1(31)에서 PE장에서 운반된 PE블록(42)의 상, 하부면에 도크 크레인(60)으로 다른 PE 블록(42a,42b)을 취부 및 용접하여 대형 선체블록(41)으로 조립하는 SS1 스테이지와;
    작업실 2(32)에서 상기 SS1 스테이지에서 이송된 대형 선체블록(41)의 상,하부면에, 도크 크레인(60)으로 또 다른 PE블록(42c,42d)을 취부 및 용접하여 작업실 3으로 이송되는 스테이지인 SS2 스테이지와;
    작업실 3(23)에서 상기 SS2 스테이지에서 이송된 선체의 상,하부면에 도크 크레인(60)으로 또 다른 PE블록(42f,42g)를 취부 및 용접하여 작업실 4로 이송되는 스테이지인 SS3 스테이지와;
    작업실 4(34)에서 상기 SS3 스테이지에서 이송된 선체의 상부면에, 도크 크레인(60)으로 또 다른 PE블록(42e)을 취부 및 용접하여, 선체(10)가 완성되는 스테이지인 SS4 스테이지; 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
KR1020080005755A 2008-01-18 2008-01-18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 KR100960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755A KR100960397B1 (ko) 2008-01-18 2008-01-18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755A KR100960397B1 (ko) 2008-01-18 2008-01-18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630A KR20090079630A (ko) 2009-07-22
KR100960397B1 true KR100960397B1 (ko) 2010-05-28

Family

ID=41290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755A KR100960397B1 (ko) 2008-01-18 2008-01-18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3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9019A (zh) * 2015-08-05 2015-12-09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舱室舾装件完整性的检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758B1 (ko) * 2010-09-03 2014-12-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드라이도크 내 탠덤블록 이동방법
KR101313548B1 (ko) * 2011-11-23 2013-10-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메가블록공법
KR101922027B1 (ko) * 2012-10-11 2018-11-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
CN103640669B (zh) * 2013-12-05 2017-02-08 江苏新时代造船有限公司 一种散货轮建造方式
CN105667709A (zh) * 2015-12-31 2016-06-15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体制造方法
CN108454798B (zh) * 2017-09-11 2022-04-26 青岛武船麦克德莫特海洋工程有限公司 浮式生产设施上部工艺模块的整体化建造安装方法
KR102672847B1 (ko) * 2023-01-04 2024-06-05 이유식 세미-드라이도크를 이용한 단일라인 선박건조공법 및 공정 레이아웃 설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608A (ja) 1974-07-15 1976-01-28 Hitachi Shipbuilding Eng Co Oogatasuijokozobutsuno kenzohoho
JPH0692287A (ja) * 1992-09-14 1994-04-0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ポンツーン進水方法
KR20060066520A (ko) * 2004-12-13 2006-06-16 Stx조선주식회사 스키드 론칭시스템을 이용한 육상 선박 건조 및 진수방법
KR100794257B1 (ko) 2005-11-14 2008-01-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복수 대의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 제작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608A (ja) 1974-07-15 1976-01-28 Hitachi Shipbuilding Eng Co Oogatasuijokozobutsuno kenzohoho
JPH0692287A (ja) * 1992-09-14 1994-04-0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ポンツーン進水方法
KR20060066520A (ko) * 2004-12-13 2006-06-16 Stx조선주식회사 스키드 론칭시스템을 이용한 육상 선박 건조 및 진수방법
KR100794257B1 (ko) 2005-11-14 2008-01-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복수 대의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 제작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9019A (zh) * 2015-08-05 2015-12-09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舱室舾装件完整性的检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630A (ko)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397B1 (ko)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
CN102596707B (zh) 多功能深水船舶
KR100809539B1 (ko)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US9625057B2 (en) Multi-activity pipe-laying vessel
CN102582784A (zh) 船舶的船台或船坞分段搭载工艺
KR100718928B1 (ko) 복수 대의 해상크레인을 이용한 기가블록 공법
CN110182313A (zh) 30万吨浮式生产储油轮艏货舱舷侧总段异地总组工艺
CN103395477A (zh) 可组合式半潜船及组合式半潜船
GB2439295A (en) Method and vessel for laying reeled articles at sea
JP4759620B2 (ja) タンデム建造方法に適用する浸水方法
SE434038B (sv) Forfarande for montering av den parallella midskeppsdelen till skrov for fartyg
JPH06107274A (ja) 2重船こく及びその製造方法
US3011252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shipbuilding
Vernes et al. Aasta Hansteen Hull-Topsides Dry Transport and Dual Barge Mating Operations
KR20110130018A (ko) 선박 건조방법
KR20090003615A (ko) 육상에서의 선박 건조 공법
KR101159029B1 (ko) 메가블록 슬라이딩 진수를 통한 선박건조공법
KR100802581B1 (ko) 다수 대의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KR101807600B1 (ko) 부유체 상부에서의 해양구조물 건조공법
KR20130109656A (ko) 선박의 진수방법
KR100938309B1 (ko) 두 대의 해상크레인을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의 런칭 및탑재방법
KR20140141320A (ko) 해상 구조물 건조 공법
US9592885B2 (en) Tubeships, and systems and methods of constructing
KR20080090828A (ko) 선박건조공법
KR20140075147A (ko) 드릴쉽의 호스 로딩 스테이션 배치 구조 및 드릴쉽의 호스 로딩 스테이션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