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027B1 -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 - Google Patents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027B1
KR101922027B1 KR1020120113117A KR20120113117A KR101922027B1 KR 101922027 B1 KR101922027 B1 KR 101922027B1 KR 1020120113117 A KR1020120113117 A KR 1020120113117A KR 20120113117 A KR20120113117 A KR 20120113117A KR 101922027 B1 KR101922027 B1 KR 101922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sion box
block
transporter
box
pla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6903A (ko
Inventor
심형보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3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027B1/ko
Publication of KR20140046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컨테이너선의 대형화에 따른 큰 중량을 가진 토션 박스에 대한 대조시, 크레인(crane)을 대신한 트랜스포터(transporter)를 이용하여 대조를 수행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선박용 블록의 조립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여서 조립 작업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고, 토션 박스의 안정된 이동에 의해 작업자에 대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은 토션 박스(10)를 트랜스포터(40)에 의해 작업장에 입고시켜서 제 1 정반(50) 상에 수평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토션 박스(10)에 조립되기 위한 블록(20)을 트랜스포터(40)에 의해 상기 토션 박스(10)에 일렬을 이루도록 운반시켜서 제 2 정반(60) 상에 수평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토션 박스(10)와 상기 블록(20)을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토션 박스(10)와 상기 블록(20)의 조립체(30)를 트랜스포터(40)에 의해 반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METHOD FOR ASSEMBLING TORSION BOX OF BIG CONTAINER SHIP}
본 발명은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큰 중량을 가진 토션 박스에 대한 대조시, 크레인(crane)을 대신한 트랜스포터(transporter)를 이용하여 대조를 수행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선박용 블록의 조립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수주하게 되면 견적-설계-생산의 계획을 동시에 진행하게 되는바, 생산 단계에서는 중장기 계획인 선표(대일정)를 수립하고 각 부서별, 공종별로 6개월 내지 1년 정도의 계획인 중 일정 계획을 세우며, 다시 각 생산단계별로 소 일정 계획을 세우게 된다. 이러한 소일정 계획에 따라 생산 공정을 진행하게 되면, 선체를 이루는 각각의 블록을 작업장 즉, 고정 정반에서 조립을 진행하게 되는바, 조립, 도장, 의장, 탑재의 공정별로 고정 정반에서 블록을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조립의 예를 들면, 소조(소 조립), 중조(중 조립), 대조(대 조립)의 순서대로 조립을 하게 되는바, 소조에서 철판을 절단, 용접하여 작은 블록을 조립하게 되면, 이를 중조에 이동시킴과 아울러 다른 블록과 결합시켜 보다 큰 블록을 제작하게 되고, 다시 이를 대조 및 도크로 이동시켜 선체로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선박 중에서 컨테이너선은 다량의 컨테이너 박스를 적재하고 해상 운송을 수행하기 때문에 어퍼 데크(upper deck)의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구조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선은 설계에 있어서, 어퍼 데크의 상부가 폐쇄된 형태의 다른 선박과는 다른 기준, 예컨대 선체의 구조적 강성 내지 비틀림 강성 등에 대한 기준을 적용하게 된다. 즉, 컨테이너선은 종통부의 어퍼 데크가 아주 작고, 화물창(cargo hold)에 종통격벽(longitudinal bulkhead)이 없는 형태이므로, 선체의 종강도(longitudinal strength) 및 비틀림 강도(torsional strength)를 선급의 요구치에 만족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선체에 있어서 각종 케이블과 파이프 등의 의장품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토션 박스(torsion box)를 구비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토션 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토션 박스(1,2)는 선체(3)의 상부에 세로방향으로 마련되는 세로 토션 박스(longitudinal torsion box; 1)와, 선체(3)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마련되는 가로 토션 박스(transverse torsion box; 2)를 포함한다.
종래의 토션 박스로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공개된 특허공개 제10-2010-0050648호의 "컨테이너선의 토션 박스와 이의 용접방법(2010.5.14 공개)"에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선체의 아우터 쉘부에 대해 어퍼 덱부와 종통 격벽부를 박스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접합하고, 상기 어퍼 덱부의 상부에 직립하게 해치코밍 사이드부를 접합하며, 상기 해치코밍 사이드부의 상부에 수평하게 해치코밍 탑부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컨테이너선의 토션 박스에 있어서, 상기 해치코밍 사이드부와 상기 해치코밍 탑부 사이의 면접부에서 각각 대향된 부위로 제1개선부를 형성하고, 상기 해치코밍 사이드부와 상기 어퍼 덱부 사이의 면접부에서 각각 대향된 부위로 제2개선부를 형성하며, 상기 어퍼 덱부와 상기 종통 격벽부 사이의 면접부에서 각각 대향된 부위로 제3개선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개선부 내지 제3개선부를 각각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으로 접합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컨테이너의 토션 박스에 대한 조립은 PBS 숍(Push Button Switch shop)의 자체 200톤 크레인을 이용하여 대조를 완료하였다.
18,000TEU 대형 컨테이너선과 같이, 토션 박스가 약 340톤에 달하는 큰 중량을 가지는 경우, PBS 크레인으로는 대조 작업이 어렵고, 이로 인해 대용량의 크레인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대조시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심지어는 작업자의 안전 문제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을 발견하여,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컨테이선의 대형화에 따른 큰 중량을 가진 토션 박스에 대한 대조시, 크레인(crane)을 대신한 트랜스포터(transporter)를 이용하여 대조를 수행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선박용 블록 조립 작업의 효율을 높이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자에 대한 안전을 도모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에 있어서, 토션 박스를 트랜스포터에 의해 작업장에 입고시켜서 제 1 정반 상에 수평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토션 박스에 조립되기 위한 블록을 트랜스포터에 의해 상기 토션 박스에 일렬을 이루도록 운반시켜서 제 2 정반 상에 수평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토션 박스와 상기 블록을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토션 박스와 상기 블록의 조립체를 트랜스포터에 의해 반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블록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스포터가 상기 토션 박스에 일렬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진입하여 상기 블록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블록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정반이 상기 트랜스포터의 진입 경로로부터 벗어나는 위치에 다수로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블록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스포터가 상기 블록을 상기 제 2 정반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운반하여 상기 제 2 정반 상에 하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에 있어서, 토션 박스에 조립되기 위한 블록을 트랜스포터에 의해 작업장에 입고시켜서 제 1 정반 상에 수평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토션 박스를 트랜스포터에 의해 상기 블록에 일렬을 이루도록 운반시켜서 제 2 정반 상에 수평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토션 박스와 상기 블록을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토션 박스와 상기 블록의 조립체를 트랜스포터에 의해 반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토션 박스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스포터가 상기 블록에 일렬을 이루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입하여 측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토션 박스가 상기 블록에 일렬을 이루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토션 박스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정반이 상기 트랜스포터의 진입 경로로부터 벗어나는 위치에 다수로 배열되도록 하고, 상기 토션 박스의 코밍부가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토션 박스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스포터가 상기 토션 박스를 상기 제 2 정반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운반하여 상기 제 2 정반 상에 하강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에 있어서, 토션 박스와 이에 조립되는 블록 중 어느 하나를 트랜스포터에 의해 작업장에 미리 입고시켜서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한 다음, 상기 토션 박스와 상기 블록 중 다른 하나를 트랜스포터에 의해 미리 설치된 상기 토션 박스 또는 상기 블록에 일렬을 이루도록 설치하고, 상기 토션 박스와 상기 블록을 조립하여 트랜스포터에 의해 반출하는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선의 대형화에 따른 큰 중량을 가진 토션 박스에 대한 대조시, 크레인(crane)을 대신한 트랜스포터(transporter)를 이용하여 대조를 수행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선박용 블록의 조립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여서 조립 작업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고, 토션 박스의 안정된 이동에 의해 작업자에 대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토션 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은, 18,000TEU 대형 컨테이너선에 한정되는 것으로, 토션 박스(torsion box)와 이에 조립되는 블록(block) 중 어느 하나를 트랜스포터(transporter)에 의해 작업장에 미리 입고시켜서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한 다음, 토션 박스와 블록 중 다른 하나를 트랜스포터에 의해 미리 설치된 토션 박스 또는 블록에 일렬을 이루도록 설치하고, 토션 박스와 블록을 조립하여 트랜스포터에 의해 반출하도록 한다. 여기서, 토션 박스는 컨테이너선의 선체 상부에 세로방향으로 마련되는 세로 토션 박스(longitudinal torsion box)와 선체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마련되는 가로 토션 박스(transverse torsion box) 각각이 모두 해당될 수 있으며,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은 옥외 작업장에서 실시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은 토션 박스(10)를 설치하는 단계, 토션 박스(10)에 일렬을 이루도록 블록(20)을 설치하는 단계, 토션 박스(10)와 블록(20)을 조립하는 단계, 그리고 토션 박스(10)와 블록(20)의 조립체(30)를 반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박스(10)의 설치를 위하여, 먼저 토션 박스(10)를 트랜스포터(40) 상에 적재하도록 한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박스(10)를 트랜스포터(40)에 의해 작업장에 입고시켜서 제 1 정반(50) 상에 수평되게 설치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장에 제 1 정반(50)을 다수로 배열하되, 제 1 정반(50)이 진입하는 트랜스포터(40)와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위치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토션 박스(10)를 적재한 트랜스포터(40)가 제 1 정반(50) 사이로 진입하여 토션 박스(10)를 제 1 정반(50) 상에 안착시킨다. 이때, 트랜스포터(40)는 토션 박스(10)의 저면이 제 1 정반(50)의 상단으로부터 100mm 이상 이격되도록 토션 박스(10)를 운반하여 제 1 정반(50) 상에 하강시킴으로써 토션 박스(10)가 다수의 제 1 정반(5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한다.
트랜스포터(40)는 수십 내지 백여개의 바퀴를 가지고, 150 ~1,000톤에 달하는 선박용 블록, 선실, 엔진, 대형 배관설비 등을 운반할 수 있으며, 전진 및 후진뿐만 아니라,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적재된 토션 박스(10)나 블록(20)을 정해진 범위 내에서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박스(10)의 설치 후, 토션 박스(10)에 조립되기 위한 블록(20)을 트랜스포터(40) 상에 적재한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포터(40)에 의해 토션 박스(10)에 일렬을 이루도록 블록(20)을 운반시켜서 제 2 정반(60) 상에 수평되게 설치한다. 이때, 토션 박스(10)와 블록(20)은 조립되는 부분이 서로 맞닿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제 2 정반(60)은 작업시 안전과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트랜스포터(40)의 진입 경로로부터 벗어나는 위치에 다수로 배열되도록 미리 설치될 수 있다.
트랜스포터(40)는 블록(20)의 설치를 위하여 진입시, 일례로 토션 박스(10)에 일렬을 이루는 방향, 즉 토션 박스(10)의 조립 부분이 향하는 방향을 따라 진입하여 블록(20)을 설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반드시 한하지 않고, 토션 박스(10)에 일렬을 이루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 구체적으로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입하여 블록(20)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트랜스포터(40)는 블록(20)을 제 2 정반(60)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운반하여 제 2 정반(60) 상에 하강시킴으로써 블록(20)에 대한 설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정반(60)에 대한 블록(20)의 이격 거리는 100mm 이상일 수 있으며, 그 상한치는 트랜스포터(40)의 승강 범위에 따라 정해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20)의 설치를 마치면, 토션 박스(10)와 블록(20)을 용접 등에 의해 조립함으로써 조립체(30)를 이루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박스(10)와 블록(20)을 조립을 마치면, 토션 박스(10)와 블록(20)의 조립체(30)를 트랜스포터(40)에 의해 반출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트랜스포터(40)는 적재면을 낮추어서 조립체(3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진입한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30)를 후속 작업을 위해 반출시키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은 블록(20)을 설치하는 단계, 블록(20)에 일렬을 이루도록 토션 박스(10)를 설치하는 단계, 토션 박스(10)와 블록(20)을 조립하는 단계, 그리고 토션 박스(10)와 블록(20)의 조립체(30)를 반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과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션 박스(10)에 조립되기 위한 블록(20)이 작업장에 미리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블록(20)을 트랜스포터(40)에 의해 작업장에 입고시켜서 제 1 정반(50) 상에 수평되도록 설치한다.
그런 다음, 토션 박스(10)를 트랜스포터(40)에 의해 블록(20)에 일렬을 이루도록 운반시켜서 제 2 정반(60) 상에 수평되게 설치하도록 한다. 이때, 트랜스포터(40)가 블록(20)에 일렬을 이루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입하여 측방향 이동에 의해 토션 박스(10)가 블록(20)에 일렬을 이루도록 설치할 수 있다.
즉, 트랜스포터(40)가 블록(20)의 조립 부분이 이루는 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진입한 다음, 게걸음 진행(crab motion)에 의한 측방향 이동으로, 토션 박스(10)가 블록(20)에 서로 맞닿아서 일렬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정반(60)은 트랜스포터(40)의 진입 경로로부터 벗어나는 위치에 다수로 배열되도록 할 수 있고, 토션 박스(10)의 코밍부(11)는 서포트(7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제 2 정반(60) 중 일부는 트랜스포터(40)와의 간섭을 고려하여 설치된 토션 박스(10)에 보강을 위하여 후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토션 박스(10)의 설치 위치가 불변인 점을 고려하여, 제 2 정반(60)은 유압으로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높이가 가변되는 정반 또는 서포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트랜스포터(40)가 측방향 이동에 의해 토션 박스(10)를 설치시, 제 2 정반(60)과의 간섭을 최소화하면서도 토션 박스(10)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하여, 토션 박스(10)가 트랜스포터(40)로부터 돌출되도록 적재될 수 있다.
토션 박스(10)를 설치시, 트랜스포터(40)는 토션 박스(10)를 제 2 정반(60)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운반하여 제 2 정반(60) 상에 하강시키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제 2 정반(60)으로부터 토션 박스(10)의 상방 이격 거리는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100mm 이상이 될 수 있다.
토션 박스(10)의 설치를 마치면, 토션 박스(10)와 블록(20)의 조립을 수행한 다음, 토션 박스(10)와 블록(20)의 조립체(30)를 트랜스포터(40)에 의해 후속 작업을 위한 작업장으로 반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에 따르면, 18,000TEU의 컨테이너선과 같이, 선박의 대형화로 인해 큰 중량을 가진 토션 박스에 대한 대조시, 크레인(crane)을 대신하여 옥외 작업장에서 트랜스포터(transporter)를 이용하여 대조를 수행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선박용 블록의 조립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여서 조립 작업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고, 토션 박스의 안정된 이동에 의해 작업자에 대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존의 크레인에 대한 용량 증가가 불필요하여 시설 확장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 : 토션 박스 11 : 코밍부
20 : 블록 30 : 조립체
40 : 트랜스포터 50 : 제 1 정반
60 : 제 2 정반 70 : 서포트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에 있어서,
    토션 박스(10)에 조립되기 위한 블록(20)을 트랜스포터(40)에 의해 작업장에 입고시켜서 제 1 정반(50) 상에 수평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토션 박스(10)를 트랜스포터(40)에 의해 상기 블록(20)에 일렬을 이루도록 운반시켜서 제 2 정반(60) 상에 수평되게 설치하는 단계;
    상기 토션 박스(10)와 상기 블록(20)을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토션 박스(10)와 상기 블록(20)의 조립체(30)를 트랜스포터(40)에 의해 반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토션 박스(10)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스포터(40)가 상기 블록(20)에 일렬을 이루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진입하여 측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토션 박스(10)가 상기 블록(20)에 일렬을 이루도록 설치하는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토션 박스(10)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정반(60)이 상기 트랜스포터(40)의 진입 경로로부터 벗어나는 위치에 다수로 배열되도록 하고, 상기 토션 박스(10)의 코밍부(11)가 서포트(7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토션 박스(10)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스포터(40)가 상기 토션 박스(10)를 상기 제 2 정반(60)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상태로 운반하여 상기 제 2 정반(60) 상에 하강시키도록 하는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
  9. 삭제
KR1020120113117A 2012-10-11 2012-10-11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 KR101922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117A KR101922027B1 (ko) 2012-10-11 2012-10-11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117A KR101922027B1 (ko) 2012-10-11 2012-10-11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903A KR20140046903A (ko) 2014-04-21
KR101922027B1 true KR101922027B1 (ko) 2018-11-26

Family

ID=5065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117A KR101922027B1 (ko) 2012-10-11 2012-10-11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0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4241B (zh) * 2019-06-18 2020-12-04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分段组件的安装装置及方法
CN113998073B (zh) * 2021-11-30 2023-03-24 广州黄船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集装箱纵向舱口围与抗扭箱一体化安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257B1 (ko) * 2005-11-14 2008-01-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복수 대의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 제작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9973A (ko) * 2007-08-22 2009-02-26 신찬수 대형 블록 제작 방법
KR100960397B1 (ko) * 2008-01-18 2010-05-28 도일웅 선체의 연속조립 공법
KR101212417B1 (ko) * 2011-03-04 2012-12-13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모듈 트랜스포터용 자동 배치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257B1 (ko) * 2005-11-14 2008-01-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복수 대의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 제작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903A (ko) 201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18722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тсека фюзеляжа воздушного судна
EP3266696B1 (en) Lng tank container transport ship, and transport method using same
WO1994016937A1 (en) Unit cargo ship
JPH07205881A (ja) 準備部材からなる床なしの非自己運搬型の船室
KR101922027B1 (ko) 대형 컨테이너선용 토션 박스의 대조 방법
KR100718928B1 (ko) 복수 대의 해상크레인을 이용한 기가블록 공법
CN109625170A (zh) 一种平板车联动运输船舶总段的方法
KR101281644B1 (ko) 선체블록의 해상운송용 고박 방법 및 장치
US10612692B2 (en) Pipelay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101327867B (zh) 托盘箱及利用该托盘箱装载车门的方法
KR102009691B1 (ko) 선박의 기관실 정비를 위한 이동식 운반장치와 그 운반방법
KR20230029096A (ko) 블록 적치용 랙 구조물
CN113697313A (zh) 一种集装箱底架及集装箱
KR20100023374A (ko) 대형블록 조립방법
EP3485188B1 (en) Installation pallet
KR101376801B1 (ko) 철강제품 운반선용 반목장치
KR20200029799A (ko) 컨테이너선의 셀가이드 구조체 제작 및 설치 공법
CN102358398B (zh) 二甲板支撑装置
KR101595414B1 (ko) 컨테이너 상하역 시스템
KR102553425B1 (ko) Lng 생산기지 해상지역의 부두 설비 일체형 모듈화 시공방법
KR20130066217A (ko) T-bhd의 면재 취부용 지그
KR20230065338A (ko) 선박에 장비 모듈들을 적재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6031296B2 (ja) パレットチェンジャ及びパレットチェンジャの格納方法
KR100465145B1 (ko) 선박제작용 대형 철판 적재장치
KR20150033770A (ko) 선박의 횡격벽 운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