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581B1 - 다수 대의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 Google Patents

다수 대의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581B1
KR100802581B1 KR1020050107874A KR20050107874A KR100802581B1 KR 100802581 B1 KR100802581 B1 KR 100802581B1 KR 1020050107874 A KR1020050107874 A KR 1020050107874A KR 20050107874 A KR20050107874 A KR 20050107874A KR 100802581 B1 KR100802581 B1 KR 100802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ts
hull
crane
coupler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7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0547A (ko
Inventor
이태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7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581B1/ko
Publication of KR20070050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0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5/00Building or assembling floating offshore structures, e.g. semi-submersible platforms, SPAR platforms or wind turbin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30Moving or transporting modules or hull blocks to assembly sites, e.g. by rolling, lifting or fl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7/00Transporting or installing offshore structures on site using buoyancy forces, e.g. using semi-submersible barges, ballasting the structure or transporting of oil-and-gas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 대의 바지를 이용하여 선박을 건조하는 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이(PE) 작업장에서 육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다수의 선체 블록을 제작하는 단계; 다수 대의 바지(Barge)를 바지 안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각각의 상기 선체 블록을 각각의 상기 바지 위에 탑재하는 단계; 상기 선체 블록이 탑재된 다수 대의 바지를 안벽 지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다수 대의 바지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선체 블록을 상호 연결되도록 결합하여 선박을 완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서로 연결된 바지를 잠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 대의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조에 많은 비용을 들여 도크를 제작하여, 상기 도크에서 선박을 건조하던 종래에 비하여, 안벽 지역에서 잠수 및 부상이 가능한 다수 대의 바지(Barge)를 이용하여 선박을 제작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도크 설비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량을 분산시켜 인원을 효율적으로 배원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선박 건조 공법, 바지(Barge), 핀 결합, 해상 크레인

Description

다수 대의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Method of constructing Ship by using many Barge}
도 1은 종래의 도크를 이용한 선박 건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 대의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다수 대의 바지의 연결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단계에서 형성된 제 1 및 제 2 결합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PE 작업장 102 : 선체 블록
104 : PE 작업 운송용 크레인 106 : 작업 라인
108 : 바지(Barge)도크 110 : 바지
112 : 해상용 크레인 118 : 바지 연결부
150 : 안벽 지역 202 : 반원 판
204 : 반원 홈 250 : 핀
본 발명은 다수 대의 바지를 이용하여 선박을 건조하는 공법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벽 지역에서 잠수 및 부상이 가능한 다수 대의 바지(Barge)를 이용하여 선박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의 주문으로 시작하여 설계, 건조, 인도로 이루어지는 조선공업은 그 과정에서 빚어지는 영업상의 채산성이 그 산업의 생존 및 성공을 좌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채산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는 배의 건조 과정에서의 생산성이며, 모든 조선공업은 이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경쟁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블록건조법이 등장하게 되었다.
블록 건조법은 우선 선체를 수십 개 혹은 수백 개의 블록으로 분할하여 그 개개의 블록들을 지상에서 조립 제작하고, 제작된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선대 위에 탑재하여 하나의 선체로 조립해 내는 방법이다.
블록의 형상에 따라 가장 적합한 공장에서 가장 효율적인 공법으로 만들어 완성된 블록들은 도장이 이루어진다.
도장까지 마친 블록들은 몇 개의 블록씩 결합하게 되며, 이와 같이 여러 개의 블록끼리 하나로 결합시키는 작업을 PE(Pre-Erection)라 한다.
상기 PE 작업은 여러 개의 소형 블록들을 하나의 큰 블록으로 뭉쳐서, 한번에 탑재시킬 수 있어 선박의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생산 및 작업 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PE 작업이 이루어 진 후 각각의 선체 블록은 도크(Dock)로 이동된다. 상기 도크(Dock)는 선박을 수리, 건조하기 위해서 조선소 또는 항만에 세워진 시설물로써, 크게 건식 도크와 부유식 도크로 대별된다.
건식 도크란 선박의 건조 시에 필요한 구축물로서, 갑문(Dock Gate)을 이용하여 물을 가두기도 하고 바다로 빼 내기도 할 수 있는 작업장으로서, 물을 빼낸 건식 도크 내에서 PE 작업을 통해 만들어진 각각의 선체 블록을 조립, 완성하여 배를 진수할 수 있는 설비이다.
부유식 도크란 도크 내부에 밸라스트 탱크(Ballast Tank)가 있어 그 안에 물을 주수하면 물 속으로 가라 앉고, 상기 밸라스트 탱크로부터 물을 배수하면 물 위로 부상할 수 있는 도크이다.
상기 건식 도크는 대형 선박의 건조에 사용할 수 있으나, 물을 배출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설치 비용이 아주 고가이다. 이에 비하여, 상기 부유식 도크는 주로 소형 선박의 건조에 사용되며, 물을 배출시키는데 단시간이 소요되나, 해상의 기상상태에 따라 선체의 동요가 생길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크를 이용한 선박 건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크(10)는 건식 도크로서, 육상(30)에 "ㄷ"형상의 홈(14)을 파내어 상기 홈에 선박(20)이 들어 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크(10)와 바다(40)가 접한 부분, 즉 상기 도크(10)의 육상(30) 부분의 끝 단에는 해수의 출입을 위해 갑문(1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선박(20)이 진수되는 경우에는 상기 갑문(12)을 개방하여 해수를 유입시키며, 상기 선박(20)이 수리 또는 건조되는 경우에는 해수를 빼내고 상기 갑문(12)을 닫아 해수 유입을 차단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이 도크상에서 선박 건조 작업이 이루어지려면 상기 도크 설비의 제작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그 제작이나 유지에는 많은 비용이 든다.
또한, 상기 도크상에서 선박의 수리 또는 건조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기 도크 내부에 있는 물을 밖으로 내보내야 하는데, 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선박의 생산성 향상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설치 및 유지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도크를 이용하지 않고서, 다수 대의 바지를 이용하여 선박의 건조를 가능케 할 수 있는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이(PE) 작업장에서 육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다수의 선체 블록을 제작하는 단계; 다수 대의 잠수 및 부상이 가능한 바지(Barge)를 바지 안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각각의 상기 선체 블록을 각각의 상기 바지 위에 탑재하는 단계; 상기 선체 블록이 탑재된 다수 대의 상기 바지를 안벽 지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다수 대의 상기 바지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면서 상기 선체 블록을 상호 연결되도록 결합하여 선박을 완성시키는 단계; 및 서로 연결된 상기 바지를 잠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 대의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선체 블록을 각각의 상기 바지 위에 탑재하는 단계는, 다수 대의 바지를 바지 안벽상에 잠수시키는 단계; 상기 바지 안벽상으로 해상 크레인을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선체 블록을 해상 크레인으로 견인하고, 상기 해상 크레인은 바지 안벽 밖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바지 안벽상에 잠수된 다수 대의 바지를 부상시키고, 상기 선체 블록을 각각 싣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 대의 바지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는, 일 측의 바지에 핀 삽입홈이 구비된 반원 판, 반원 홈 및 핀 삽입홈이 구비된 반원 판을 포함하는 제 1 결합구를 형성하는 단계; 타 측의 바지에 상기 일 측의 바지에 대응하는 반원 홈, 핀 삽입홈이 구비된 반원 판 및 반원 홈을 포함하는 제 2 결합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결합구를 상기 제 2 결합구와 연결하여, 상기 두 개의 바지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결합구와 상기 제 2 결합구의 핀 삽입홈에 핀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상기 선체 블록을 각각의 상기 바지 위에 탑재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바지를 육상과 동일한 높이로 맞추는 단계; 상기 육상 크레인에 의해 상기 선체 블록을 트랜스포터에 싣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포터에 의해 상기 선체 블록을 각각의 상기 바지 상으로 이동 및 탑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 대의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를 도 2a 내지 도 2h에 도시된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는 피이(PE) 작업장에서 육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선체 블록을 제작하는 단계(301)를 포함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이 작업장(100)이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피이 작업장(100)에서는 여러 개의 소형 블록들이 하나의 큰 블록으로 합쳐진다.
또한, 상기 피이 작업장(100)에는 전후 이동 가능한 피이 작업 운송용 크레인(104)이 장착되어 있어, 상기 선체 블록들을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는 다수 대의 바지를 바지 안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303)를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이 작업장(100)에서 바다와 접한 일 측에는 바지 안벽(10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지 안벽(108)의 전후에는 작업 라인 및 소형 크레인 도로(106)가 육상에서 바다로 길게 돌출되어 있어, 상기 바지 안벽(108)에 위치한 선체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바지 안벽(108)으로 바지(110)를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는 다수 대의 바지를 바지 안벽 상에 잠수시키고, 상기 바지 안벽 상으로 해상 크레인을 이동시키는 단계(305)를 포함한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지 안벽(108) 상에 위치하던 바지(110)를 잠수시킨다.
상기 바지(110)는 내부에 동일한 크기로 구분된 긴 통로를 가지고 있다.
상기 통로의 입구마다 구비된 배수구 및 주수구를 개폐하고, 내장된 모터를 이용하여 해수의 유입과 유출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바지(110)는 잠수 및 부상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통로는 상기 바지(110)의 전 구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역에 부분적으로 해수를 주입할 수 있어, 일정 부분만 더 잠수시키거나 더 부상시킬 수 있다.
점선으로 표현되어 있는 바지(110)는 잠수된 상태를 표현한 것으로, 상기 잠수된 바지(110)위의 바지 안벽(108)상으로 해상 크레인(112)을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는 상기 선체 블록을 해상 크레인으로 견인하고, 상기 해상 크레인은 바지 안벽 밖으로 이동하는 단계(307)를 포함한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지 안벽(108)상으로 이동한 해상 크레인(112)는 상기 피이 작업장(100)에 적재되어 있는 선체 블록들(114, 116)을 견인하며, 그 상태로 다시 바지 안벽(108) 밖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바지 안벽(108)에 잠수되어 있는 바지(110)를 다시 부상시킬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는 상기 바지 안벽 상에 잠수된 다수 대의 바지를 부상시키고, 상기 선체 블록을 각각의 바지에 싣는 단계(309)를 포함한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지 안벽(108) 밖으로 물러나 있던 해상 크레인(112)은 견인하고 있던 상기 선체 블록들(114, 116)을 부상된 다수 대의 바지(110)에 싣는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는 상기 선체 블록이 탑재된 다수 대의 바지를 안벽 지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311)를 포함한다.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지 안벽(108) 상에서 상기 선체 블록들(114, 116)을 실은 바지(110)를 안벽 지역(150)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상기 바지(110)의 네 귀퉁이에 로프를 멜 수 있게 러그(lug)를 만들고, 상기 로프의 일 단은 상기 러그에, 타 단은 터그보트(Tug Boat)에 메어 상기 바지(110)을 안벽 지역(150)으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하여, 작업량을 분산시킬 수 있어 선박의 건조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는 상기 다수 대의 바지를 서로 연결하고,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선체 블록을 결합하여 선박을 완성하는 단계(313)를 포함한다.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벽 지역(150)에는 하나의 선박을 이루는 선체 블록들(114, 116)을 선적하고 있는 바지(110)들이 탠덤(Tandem) 방식으로 나란히 계류한다.
상기 바지(110)들은 고정 링과 상기 링에 삽입되는 핀으로 결합되어 바지 연결부(118)를 구성하는데, 이에 관해서는 도 4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바지(110)들이 연결되고 선적되어 있는 상기 선체 블록들(114, 116)도 결합되어 하나의 선체로 완성된다.
마지막으로, 본 실시예는 서로 연결된 바지를 잠수시키는 단계(315)를 포함한다.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벽 지역(150)에서는 연결된 바지(110)들 위에서 완성된 선박(120)을 진수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된 바지(110)들에서 상기 완성된 선박(120)을 밀어 내릴 수 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된 바지(110)들을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잠수시켜서 자연스럽게 완성된 선박(120)을 진수시킨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다수 대의 바지의 연결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실시예는 일 측의 바지에 핀 삽입홈이 구비된 반원 판, 반원 홈 및 핀 삽입홈이 구비된 반원 판을 포함하는 제 1 결합구를 형성하는 단계(401)를 포함 한다.
다수 대의 바지들은 서로 결합되기 위한 구조를 가지는데, 그 중 일 측의 바지에는 선체 두께의 상부에서 하부로 핀 삽입홈이 구비된 반원 판, 반원 홈 및 핀 삽입홈이 구비된 반원 판을 순서대로 형성하고 있는 제 1 결합구를 가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는 타 측의 바지에 상기 일 측의 바지에 대응하는 반원 홈, 핀 삽입홈이 구비된 반원 판 및 반원 홈을 포함하는 제 2 결합구를 형성하는 단계(403)를 포함한다.
각각의 바지가 연결되기 위해서는, 타 측의 바지는 상기 일 측의 바지가 가지고 있는 구조와 반대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상기 타 측의 바지는 선체 두께의 상부에서 하부로 반원 홈, 핀 삽입홈이 구비된 반원 판 및 반원 홈을 순서대로 형성하고 있는 제 2 결합구를 가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는 제 1 결합구를 제 2 결합구와 연결하여, 각각의 바지를 연결하는 단계(405)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본 실시예는 제 1 결합구와 제 2 결합구의 삽입홈에 핀을 삽입하는 단계(407)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핀은 인력으로 들어 삽입하기에는 무거운 편이므로, 전용의 소형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핀을 삽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 1 단계와 제 2 단계는 역순으로 변환되어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단계에서 형성된 제 1 및 제 2 결합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에는 각각의 바지(200, 230)가 있고, 이들의 측면에는 서로간의 결합을 위해 제 1 결합구와 제 2 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다.
일 측의 바지(200)에 위치한 제 1 결합구는 선체 두께 방향에서 상하순서로, 먼저 핀 삽입홈(240) 이 구비된 반원 판(20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아래에 반원 홈(204)이 형성되어 있으며, 마지막에는 핀 삽입 홈(240)이 구비된 반원 판(20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달리, 타 측의 바지(230)에 위치한 제 2 결합구는 상기 제 1 결합구와 대응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선체 두께 방향에서 상하순서로, 먼저 반원 홈(23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아래에 핀 삽입홈(240)이 구비된 반원 판(234)이 형성되어 있으며, 마지막에는 반원 홈(23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 1 결합구와 상기 제 2 결합구의 대응 구조는 다른 실시예에서 조금씩 그 형태 및 결합순서가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결합구와 제 2 결합구는 각각의 바지(200, 230)의 연결단면의 측면 상단부에만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측면 하단부에도 배치된다. 이는 부력으로 인한 모멘트에 의해 연결부에 휨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한 파단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함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배치보다 많은 수의 배치를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결합구와 제 2 결합구의 연결부분에는 결합시 상기 반원 판에 미리 형성되어 있던 핀 삽입홈이 그대로 존재한다.
상기 삽입홈에 핀(250)이 삽입 고정된다. 이 때 상기 삽입홈과 핀(250)의 사 이에는 핀 턱걸이(254)가 추가적으로 삽입된다.
상기 핀 턱걸이(254)는 가운데에 삽입홈을 가진 원판 모양을 가지는데, 상기 핀(250)이 삽입된 후에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핀(250)의 머리 부분의 중심에는 크레인용 러그(Lug)(252)가 구비되어 있다.
이는 상기 핀(250)을 인력으로 삽입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소형 크레인을 이에 이용하는데, 이 때 상기 소형 크레인의 새클(Shackle)에 상기 핀을 걸 수 있게 형성된 고리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선체 블록을 각각의 바지 위에 탑재하기 위해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였지만, 이와 다른 실시예로서 트랜스포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랜스포트를 이용하여 각각의 선체 블록을 각각의 바지 위에 탑재하는 방법은, 각각의 바지를 육상과 동일한 높이로 맞추는 단계; 육상 크레인에 의해 선체 블록을 트랜스포터에 싣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포터에 의해 상기 선체 블록을 각각의 상기 바지 상으로 이동 및 탑재시키는 단계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인 다수 대의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 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 대의 바지를 이용하여 안벽 지역에서 선박을 건조함으로써, 도크 설비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량을 분산시켜 선박 건조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피이(PE) 작업장에서 육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다수의 선체 블록을 제작하는 단계;
    다수 대의 잠수 및 부상이 가능한 바지(Barge)를 바지 안벽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각각의 상기 선체 블록을 각각의 상기 바지 위에 탑재하는 단계;
    상기 선체 블록이 탑재된 다수 대의 상기 바지를 안벽 지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다수 대의 상기 바지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
    해상 크레인을 이용하면서 상기 선체 블록을 상호 연결되도록 결합하여 선박을 완성시키는 단계; 및
    서로 연결된 상기 바지를 잠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선체 블록을 각각의 상기 바지 위에 탑재하는 단계는,
    다수 대의 바지를 바지 안벽상에 잠수시키는 단계;
    상기 바지 안벽상으로 해상 크레인을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선체 블록을 해상 크레인으로 견인하고, 상기 해상 크레인은 바지 안벽 밖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바지 안벽상에 잠수된 다수 대의 바지를 부상시키고, 상기 선체 블록을 각각 싣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 대의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대의 바지를 서로 연결하는 단계는,
    일 측의 바지에 핀 삽입홈이 구비된 반원 판, 반원 홈 및 핀 삽입홈이 구비된 반원 판을 포함하는 제 1 결합구를 형성하는 단계;
    타 측의 바지에 상기 일 측의 바지에 대응하는 반원 홈, 핀 삽입홈이 구비된 반원 판 및 반원 홈을 포함하는 제 2 결합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결합구를 상기 제 2 결합구와 연결하여, 상기 두 개의 바지를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결합구와 상기 제 2 결합구의 핀 삽입홈에 핀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 대의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선체 블록을 각각의 상기 바지 위에 탑재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바지를 육상과 동일한 높이로 맞추는 단계;
    상기 육상 크레인에 의해 상기 선체 블록을 트랜스포터에 싣는 단계; 및
    상기 트랜스포터에 의해 상기 선체 블록을 각각의 상기 바지 상으로 이동 및 탑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수 대의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KR1020050107874A 2005-11-11 2005-11-11 다수 대의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KR100802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874A KR100802581B1 (ko) 2005-11-11 2005-11-11 다수 대의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7874A KR100802581B1 (ko) 2005-11-11 2005-11-11 다수 대의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547A KR20070050547A (ko) 2007-05-16
KR100802581B1 true KR100802581B1 (ko) 2008-02-13

Family

ID=38274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7874A KR100802581B1 (ko) 2005-11-11 2005-11-11 다수 대의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5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578B1 (ko) 2009-08-21 2011-04-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계단형 선박건조장치
KR20150127401A (ko) * 2014-05-07 2015-11-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바지선의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287A (ja) * 1992-09-14 1994-04-0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ポンツーン進水方法
JPH0986485A (ja) * 1995-09-28 1997-03-3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大型構造物の製造作業方法及び修理作業方法並にこれらの方法の実施に用いるバー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2287A (ja) * 1992-09-14 1994-04-05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ポンツーン進水方法
JPH0986485A (ja) * 1995-09-28 1997-03-3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大型構造物の製造作業方法及び修理作業方法並にこれらの方法の実施に用いるバー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578B1 (ko) 2009-08-21 2011-04-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계단형 선박건조장치
KR20150127401A (ko) * 2014-05-07 2015-11-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바지선의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는 방법
KR101606693B1 (ko) * 2014-05-07 2016-03-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바지선의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0547A (ko)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539B1 (ko)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KR100796410B1 (ko) 탠덤 건조공법에 적용되는 침수공법
KR100718928B1 (ko) 복수 대의 해상크레인을 이용한 기가블록 공법
CN100478248C (zh) 半条船船台建造下水及坞内漂浮合拢工艺
KR100914350B1 (ko) 반잠수 상태의 부력을 이용한 도크 단계에서의 탱크하이드로 테스트 방법
KR100802581B1 (ko) 다수 대의 바지를 이용한 선박 건조 공법
JP4759620B2 (ja) タンデム建造方法に適用する浸水方法
KR100785479B1 (ko) 선박용 stl 모듈화 설치방법 및 구조
KR100907680B1 (ko) 건조 공법 및 건조 공법용 구조물
KR100794257B1 (ko) 복수 대의 트랜스포터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 제작 공법
KR101735330B1 (ko) 해양 구조물의 페어리드 씨패스트닝 장치
KR100750893B1 (ko) 복수 구의 캐리어를 이용한 대형 선체 블록 제작 공법
KR101159029B1 (ko) 메가블록 슬라이딩 진수를 통한 선박건조공법
CN107313416B (zh) 水工构件拼装式水上预制平台及预制方法
KR100967887B1 (ko)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KR100953487B1 (ko) 탠덤 건조공법에 적용되는 고박을 이용한 침수공법
KR100960087B1 (ko) 해상교각을 이용한 선박건조공법
RU193886U1 (ru) Плавучий док
KR20120056639A (ko) 중소형 벌크선 조인트 건조공법
KR100914843B1 (ko) 잠수바지선을 이용한 선체 블록 건조 방법
KR101024553B1 (ko) 선박 건조 방법
KR900010541Y1 (ko) 수면하부 구조물 작업에 적용되는 플로팅박스 (floting box)
KR100461945B1 (ko) 선저 개구부의 밀폐방법
KR100640189B1 (ko) 선박의 독 구조
KR101807600B1 (ko) 부유체 상부에서의 해양구조물 건조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