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704B1 -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디아실글리세롤 및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강화 오일 - Google Patents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디아실글리세롤 및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강화 오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704B1
KR100959704B1 KR1020057014677A KR20057014677A KR100959704B1 KR 100959704 B1 KR100959704 B1 KR 100959704B1 KR 1020057014677 A KR1020057014677 A KR 1020057014677A KR 20057014677 A KR20057014677 A KR 20057014677A KR 100959704 B1 KR100959704 B1 KR 100959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acid
acid esters
oil
phytosterol
phytost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4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1672A (ko
Inventor
도리트 플랫
도리 펠레드
아비도르 슐만
Original Assignee
엔지모테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IL15438103A external-priority patent/IL154381A0/xx
Application filed by 엔지모테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엔지모테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50121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7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ingredients other than fatty acid triglycerides
    • A23D9/013Other fatty acid esters, e.g. phosphat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23L33/11Plant sterols or derivatives thereof, e.g. phytoster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hree or more carbon atoms, e.g. cholane, cholestane, ergosterol, sitoste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Abstract

본 발명은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둘 다의 혈액 수준을 감소시키고, 혈청 산화 수준, 혈청 LDL 산화 수준 및 대식세포 산화 수준을 저하시키고, 포말 세포의 형성을 억제하고, 지질 유도된 산화성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된 해로운 영향을 방지하는 것 중의 하나 이상을 위한 영양 보충제 및 경구 투여가능한 제약 제제의 제조에서의 식용 오일, 식용 지방 또는 식용 오일 및 식용 지방, 특히 올리브유, 캐놀라유 및 어유 중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디아실글리세롤류 (DAG), 주로 1,3-디아실글리세롤류, 및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 (PSE)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이의 제약 제제는 심혈관 질환 (CVD), 예컨대 죽상동맥경화증,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CHD) 및 당뇨병과 관련된 상태의 치료 및 예방에 적합하다.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디아실글리세롤,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 LDL 산화, 심혈관 질환, 죽상동맥경화증

Description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 디아실글리세롤 및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강화 오일 {OILS ENRICHED WITH DIACYLGLYCEROLS AND PHYTOSTEROL ESTERS FOR USE IN THE REDUCTION OF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본 발명은 혈청에서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모두의 수준을 감소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LDL-항산화 특성을 나타내며, 심혈관 질환 (CVD) 및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CHD)의 치료 및 예방에 적합한 영양 보충제 및 경구 투여가능한 제약 제제의 제조에서의 식용 오일, 식용 지방 또는 식용 오일 및 식용 지방 중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디아실글리세롤류 (DAG), 주로 1,3-디아실글리세롤류, 및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 (PSE)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을 통해 언급된 모든 공개문헌은 이에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을 비롯한 참고문헌으로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인용된다.
관상 동맥 질환 (죽상동맥경화증 등)은 서구 세계에서 이환율 및 사망률의 주요 원인이며, 이의 병리상태는 동맥벽의 세포, 혈액 세포, 및 혈장 지단백질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포함한다 (문헌 [Ross R. (1993) Nature 362: 801-809; Glass C. K. and Witztum J. L. (2001) Cell 104: 503-516] 참고). 오늘날, 콜레스테롤 수준의 저하가 심장 발작, 뇌졸중 및 기타 형태의 죽상경화 혈관 질환의 위 험을 감소시킨다는 것은 일반적인 지식이다. 또한, 다수의 최근 연구가 산화성 스트레스가 죽상동맥경화증, 암 및 기타 만성 질환의 병리상태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메카니즘이라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핵심적인 역할은 산화된 저밀도 지단백질 (ox-LDL)에 의해 활성화되는, 내피하의 공간 중의 대식세포에 의해 수행된다. 최근, 산화성 스트레스에 의한 내피 기능장애는 죽상경화판의 발생 과정에서 기폭제 요인으로서 확인된다.
초기 죽상경화성 병변은 콜레스테롤 부하된 대식세포로부터 유래된 포말 세포를 특징으로 한다 (문헌 [Gerrity R. G. (1981) Am. J. Pathol. 103: 181-190; Schaffner T. et al. (1980) Am. J. Pathol. 100: 57-80] 참고). 대식세포 콜레스테롤 축적 및 포말 세포 형성은 초기 죽종형성의 특징이며, 이러한 세포 내의 대부분의 콜레스테롤은 혈장 저밀도 지단백질 (LDL)로부터 유래된다. 그러나, 천연 LDL이 대규모의 대식세포 콜레스테롤 축적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약간의 변형을 거쳐야만 한다 (문헌 [Brown M. S. and Goldstein J. L. (1983) Annu. Rev. Biochem. 52: 223-261; Kaplan M. and Aviram M. (1999) Clin. Chem. Lab. Med. 37: 777-787; Aviram M. (1993) Atherosclerosis 98: 1-9.; Steinberg D. et al. (1989) N. Engl. J. Med. 320: 915-924] 참고). 잠재적인 병리학적 유의성을 갖는 가장 많이 연구된 변형은 LDL 산화이다 (문헌 [Aviram M. (1996) Europ. J. Clin. Chem. Clin. Biochem. 34: 599-608; Aviram M. (1995) Isr. J. Med. Sci. 31: 41-249; Chisolm G. M. and Steinberg D. (2000) Free Radic. Biol. Med. 28: 1815-1826] 참고). 이러한 변형은 변형된 지단백질의 대식세포 섭취를 증가시켜 지질-적재된 포말 세포의 형성을 초래하는 세포성 콜레스테롤 축적을 증가시킨다 (문헌 Aviram (1996) id ibid.; Aviram (1995) id ibid.; Chisolm (2000) id ibid.; Aviram M. (1999) Antiox. Redox. Signal 1: 585- 594] 참고).
여러 보고서가 죽상동맥경화증을 유발하는 주요 요소로서 산화성 스트레스를 포함하고 있다 (문헌 [Heinecke, J. W. (2003) Am. J. Cardiol. 91: 12A-16A; Ceconi, C. et al. (2003) Arch. Biochem. Biophys. 420: 217-221; Dhalla, N. S. et al. (2000) J. Hypertens. 18: 655-673] 참고). 산화성 스트레스는 세포 막과 접촉하고, 생물학적 분자, 예컨대 지질, 탄수화물, 단백질 및 핵산에 산화성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과량의 자유 라디칼 (FR)의 결과로 정의된다 (문헌 [Thomas C. E. and Aust, S. D. (1986) Ann. Emerg. Med. 15 (9): 1075-83]). FR에 의해 공격될 수 있는 분자 중 하나가 LDL이며, 이로써 죽상동맥경화증을 일으킬 수 있는 높은 수준의 ox-LDL을 형성한다.
실험 및 임상적인 연구 모두에서 증가된 증거는 산화성 스트레스가 두 유형의 당뇨병의 병리상태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반응성 산소 종의 과다생성을 위한 가능한 공급원은 광범위하며, 효소적인 경로, 글루코스의 자동산화 및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한다. 비정상적으로, 이들 높은 수준의 자유 라디칼 및 동시에 일어나는 자동산화 방어 메카니즘의 쇠퇴는 지질 과산화, 세포 소기관 및 효소의 손상을 증가시키고, CVD의 발병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당뇨병에서 산화성 스트레스의 방지는 다수의 연구자에 의해 당뇨병성 혈관 질환의 발병에 대한 1차적인 방어가 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일부 최근 연구는 기본적인 변칙 으로서 산화성 스트레스, 소르비탈 경로의 활성, 개진된 무효소당화 최종생성물 (AGE) 및 AGE 전구체가 이러한 환자에서 고혈당증보다 CVD를 일으킨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문헌 [Duckworth W. C. (2001) Curr. Atheroscler. Rep. 3: 383-91; Yorek M. A. (2003) Free Radic. Res. 37: 471-80; Maritim A. C. (2003) J. Biochem. Mol. Toxicol. 17: 24-38.] 참고).
파라옥소나제 (PON1)는 HDL의 성분으로서 혈장에서 수동되는 당단백질이다. PON1이 LDL의 산화성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시험관내에서 밝혀졌다. 따라서, HDL 중의 PON1의 존재가 이들 지단백질의 항산화 특성의 일부를 설명할 수 있다 (문헌 [Mackness, M. I. et al. (1991) FEBS Lett. 286: 152-154] 참고).
죽상동맥경화증의 LDL 산화 가설이 죽상동맥경화증의 가능한 예방성 치료로서 LDL 산화에 대한 항산화의 역할에 대한 대규모의 조사를 불러 일으켰다. 산화에 대한 LDL의 증가된 저항성이 다양한 합성 제약 제제로의 치료 후에 관찰되었으나, LDL 산화에 대한 항산화 방어를 제공하는 천연 식품을 확인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올리브유는 LDL 산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효과는 이의 고 올레산 함량 뿐 아니라 일부 페놀류 (히드록시톨루엔, 올레오로페인) 및 피토스테롤, 예컨대 시토스테롤과 관련될 수 있다 (문헌 [Aviram M. and Kasem E. (1993) Ann. Nutr. Metabol. 37: 75-84; Visioli F. et al. (1995) Atherosclerosis 117: 25-32] 참고).
LDL 산화 외에,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CHD) (관상동맥에서의 죽상동맥경화 증의 결과임)에 대한 공지된 위험 요소는 고 혈청 LDL 콜레스테롤 농도를 포함한다. 혈청 전체 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 농도, 및 CHD의 위험성 또는 CHD에 의한 사망률 사이의 양성 선형 관계가 존재한다 (문헌 [Jousilahtu et al. (1998) Circulation 97: 1084-1094] 참고).
혈청 트리아실글리세롤의 고농도가 또한 CHD의 원인이 될 수 있으나 (문헌 [Austin, M. A. (1989) Am. J. Epidemiol. 129: 249-259] 참고), 증거는 덜 명확하다. 디아실글리세롤 (DAG)은 건강한 인간에서 트리아실글리세롤에 비해 혈청 트리아실글리세롤 수준의 식후 상승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보여진다 (문헌 [Taguchi et al. (2000) J. Am. Coll. Nutr. 19: 789-796] 참고). DAG 오일 44 g의 섭취 후 혈청 트리글리세리드 (TG) 농도는 TG 오일 44 g의 섭취 후의 혈청 트리글리세리드 (TG) 농도와 비교하여 식후 6 시간째에 유의하게 낮았다. 상기 차이는 저 지방 투여량으로도 반복가능하였다 (10 및 20 g) (문헌 [Robert A. Moreau et al. (2002) Progress in Lipid Research 41: 457-500] 참고).
피토스테롤 및 CHD
용어 "피토스테롤"은 식물 스테롤 및 식물 스탄올을 포함한다. 식물 스테롤은 식물성 오일의 소량 성분으로서 음식에 존재하는 천연적으로 발생되는 물질이다. 식물 스테롤은 식물에서 동물에서의 콜레스테롤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데, 예를 들어 세포 막 구조를 형성한다. 인간 영양에서, 식물 스테롤 및 식물 스탄올 둘 다는 전체 혈장 콜레스테롤 수준 및 LDL-콜레스테롤 저하에 효과적이다.
식물 스테롤 및 식물 스탄올의 소비는 소장으로부터의 식이 콜레스테롤 및 내인적 생성성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억제하여 혈액 콜레스테롤 수준을 저하시킨다. 식물 스테롤/스탄올은 매우 불량하게 흡수되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억제는 콜레스테롤과 식물 스테롤 및 스탄올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있어서의 유사성과 관련된다.
식물 스테롤의 혈액 콜레스테롤-저하 효과를 3년의 기간 동안 하루 당 25 그람의 투여량을 사용한, 2,400여명의 대상체를 포함한 다수의 임상적인 시험에서 조사하였다. 식물 스테롤의 10년 동안의 의약적으로 통제된 임상적인 효능 시험 또는 일반적인 임상적인 사용을 통해 어떠한 유의한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약물 시텔린 (Cytellin) (주로, β-시토스테롤)을 20년 이상 동안 처방하여, 우수한 안전성을 기록하였다.
추가로, 식물 스테롤 및 식물 스탄올 둘 다를 엄격한 독물학 평가를 수행하였다. 흡수, 분배, 대사 및 배출에 대한 연구가 식물 스테롤이 소장으로부터 불량하게 흡수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1 내지 10%).
4 주 동안 하루 당 식물 스테롤 8.6 그람을 흡입시킨 스프레드 중의 식물성 오일 식물 스테롤 에스테르로의 일련의 인간 연구를 수행하였다. 임상적인 화학성, 혈액학, 소화 미생물군의 세균성 프로파일 및 일반적인 물리적 상태를 평가하였다. 모든 다른 연구에서와 같이, 어떠한 부작용도 관측되지 않았다.
미국에서, 독립적인 전문가들의 패널이 적절한 식품 등급 세부사항을 충족하고, 현재 우수한 제조 실시 (21 C.F.R. §182.1(b))에 의해 제조된 식물성 오일 스테롤 에스테르가 식물 스테롤 에스테르의 20%를 초과하지 않는 양으로 식물성 오일 스프레드 중의 성분으로서 사용되기에 안전하다고 결론내렸다. 이것은 당업계의 유자격 전문가와 함께 이 패널의 의견으로서, 식물성 오일 스테롤 에스테르가 사용하기에 안전한 것으로 인지되며, 즉 식물성 오일 스테롤 에스테르는 GRAS (Generally Recognazed As Safe) 위상을 승인받았다. GRAS 승인에 기초하면, 미국 식품의약국 (FDA)은 식물 스테롤 에스테르 또는 그 밖의 식물 스탄올 에스테르를 20% 이하로 함유하는 스프레드를 사용하는 것을 허가하고 있다. 유사한 승인이 여러 유럽 국가뿐 아니라 아시아 및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주어졌다.
심장 질환의 촉진 또는 예방에서의 음식의 역할이 고려되어야 할 연구의 주제이다. 그러나, LDL-콜레스테롤 및 트리클리세리드 수준을 저하시킬 수 있고, LDL-산화를 억제시킬 수 있는 천연적으로 발생된 물질의 사용이 합성 약물의 사용에 비해 유리할 것이다.
최근 관찰은 최근 몇 년 동안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피토스테롤의 사용이 상당한 추진력을 부여하였다 (문헌 [Stark, A. H. et al. (2002) Nutrition Reviews 60 (6): 170-176] 참고). 이는 특히 피토스탄올을 지방산과 에스테르화하여 (스타닐 에스테르) 피토스테롤을 함유하는 식품, 예컨대 마가린의 상업적인 규모의 생산을 제공하는데 공헌하였을 것이다. 스타닐 에스테르과 같이 피토스테릴 에스테르 (스테릴 에스테르)가 임상적인 연구에서 HDL-콜레스테롤 (HDL-C)의 값에는 어떠한 변화도 보이지 않으면서 일관되게 혈청 LDL-콜레스테롤 (LDL-C) 수준을 저하시키는 것을 보였다 (약 10% 이상까지 감소시켰음). 이러한 관찰은 불량하게 조성된 유리 피토스테롤 및 스탄올이 인간에서 LDL-C 수준을 저하시키는데 스타닐 및 스테릴 에스테르만큼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제WO 01/32035호는 식물 스탄올 에스테르, 식물 스테롤 에스테르, 또는 식물 스탄올 에스테르 및 식물 스테롤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올리브유-기재된 생성물, 특히 보다 높은 등급의 올리브유를 기재로 한 생성물을 교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843,499호는 콜레스테롤-저하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여지는 페룰레이트 에스테르 (페룰산으로 에스테르화되는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특히 시토스타닐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옥수수 섬유로부터 추출가능한 오일을 개시하고 있다. 옥수수 섬유 오일 (약 73% 지방 (트리아실글리세롤), 8% 스테롤 (지방산 아실) 에스테르, 4% 유리 스테롤, 6% 디아실글리세롤 및 6% 페룰레이트 (스테롤 에스테르)를 함유함)이 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보충 식품에 첨가제로서 사용된다는 것이 언급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6,326,050호는 오일 또는 지방, 상기 오일 또는 지방 중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디아실글리세롤, 유리 피토스테롤 및 토코페롤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조성물은 고콜레스테롤혈증 개체의 혈액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언급된 공개문헌 중 어떠한 것도 혈청에서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둘 다의 수준의 감소를 기재하지 않았다.
기타 언급된 식물성 오일 (예컨대, 옥수수 섬유 오일, 주방 요리 오일, 대두유, 평지씨 오일, 쌀겨 오일 및 야자유 오일)과 반대로 올리브유는 특히 55 내지 85%의 단일포화된 지방산 (MUFA), 특히 이 오일의 영양 가치를 높이는데 공헌하는 올레산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식물성 오일을 사용하는데 비해 올리브유를 사용하 는 것은 몇몇의 개별적인 이점이 있다. 올리브유가 풍부한 음식은 고 수준의 MUFA를 함유하지 않은 통상적인 식이 치료보다 전체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보여졌다 (문헌 [Brown M. S and Goldstein J. L. (1983) Ann. Rev. Biochem. 52: 223-261] 참고).
또한, 올리브유는 지중해식 음식의 중요한 성분이고, 축적된 데이타는 올리브유가 심장 동맥 질환의 위험 인자를 감소시키고, 여러 유형의 암, 면역의 변형 및 염증성 반응을 예방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강상의 이점을 가질 수 있다고 제안한다 (문헌 [Brown and Goldstein (1983) id ibid.] 참고).
본건과 공동-소유된 동시-계류중인 이스라엘 특허 출원 번호 제147942호는 오일, 지방, 또는 오일 및 지방 중에 분산된 디아실글리세롤류, 주로 1,3-디아실글리세롤 (DAG) 및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 (PSE)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병용 효과의 영양 보충제 또는 제약에 대한 연구에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이르러 상기 제IL147942호의 혼합물, 즉 오일, 지방, 또는 오일 및 지방 중의 디아실글리세롤류, 주로 DAG 및 PSE의 배합물이 상승적인 효과를 가지며, 혈액에서 LDL-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수준 둘 다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 조성물은 증가된 혈청 항산화 특성 및 대식세포 항산화 특성, 및 특히 LDL 항산화 특성을 추가로 나타내어, CHD 및 동맥혈관 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들 신규 치료 용도는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이다.
혈액 콜레스테롤 수준을 각각의 상기 두 성분 (DAG 및 PSE)을 오일 중에 개 별적으로 사용하여 얻어진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의 합하여진 감소와 비교하여 보다 큰 범위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진 상기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혈액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수준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포유동물에서 CHD에 대한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이다. 상기 상승적인 효과는 선행 기술에서 연구되거나 증명되지 않았다. 언급한 바와 같이, 미국 특허 제6,326,050호는 디아실글리세롤 및 유리 피토스테롤의 배합물을 언급한다. 이것이 상기 특허에서 진술되었다 하더라도, 디아실글리세롤의 양이 80 중량% 초과일 때, 지질 대사에 대한 상승적인 효과가 예측될 것이며, 상기 특허에서는 이러한 효과를 증명하거나 논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에 따라 증가된 항산화 특성과 함께 혈청에서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둘 다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단지 20 중량% DAG 및 11 중량% 피토스테롤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였을 때에도 관찰되었다는 것을 강조할 수 있을 것이다.
식이/영양 보충제 (식품 첨가제) 또는 제약 제제 형태로서 상기 조성물의 용도가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 및 그 밖의 목적은 이후 기술로서 분명해 질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식용 오일, 지방, 또는 식용오일 및 지방의 혼합물 중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DAG, 주로 1,3-DAG류 및 PSE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둘 다의 혈액 수준을 감소시키고, 혈청 산화 수준, 혈청 LDL 산화 수준 및 대식세포 산화 수준을 저하시키고, 포말 세포의 형성을 억제하고, 지질 유도된 산화성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된 해로운 영향을 방지하는 것 중의 하나 이상을 위한 식용 조성물을 함유한 식이 영양제 또는 식품 보충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배합물이 상기 식용 오일, 지방, 또는 식용오일 및 지방의 혼합물 중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경우, 본원에서는 또한 멀트오일 (MultOil)로 언급한다.
상기 조성물 중에 포함된 오일은 예를 들어, 올리브유, 대두유, 해바라기유, 홍화유, 캐놀라유, 참깨유, 야자유, 아보카도유 또는 어유와 같은 임의의 천연 오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오일은 올리브유, 캐놀라유 또는 어유이다.
상기 조성물 중에 포함된 지방은 예를 들어 버터 지방, 코코아 버터, 무수 유지방 또는 라드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지방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 중의 DAG의 지방산 잔기는 사용된 오일의 지방산 잔기에 상응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잔기는 올레산, 팔미트산, 팔미트올레산,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도코사헥사엔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및 에이코산산 잔기이다.
상기 조성물 중의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는 임의의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스티그마스테롤, 시토스테롤, 베타-시토스테롤, 브라씨카스테롤, 캄페스테롤, 5-아베나스테롤의 올레산 및 팔미트산 에스테르, 이들의 이성질체 및 이들의 유도체일 수 있으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식이 영양제 또는 식품 보충제에서, 상기 조성물은 영양 조성물의 통상적인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식이 영양제 또는 식품 보충제 중에 포함된 조성물에서 디아실글리세롤류 대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 사이의 몰비는 약 1:5 내지 약 5:1이다.
상기 조성물에서 디아실글리세롤류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이고,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 중의 디아실글리세롤류의 양이 1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7 내지 48 중량%이고, 상기 조성물 중의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의 양이 1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중량%인 상기 식이 영양제 또는 식품 보충제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이 올리브유 중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15 중량% DAG, 주로 1,3-디아실글리세롤류 및 25 중량% 전체 PSE로 이루어진 상기 식이 영양제 또는 식품 보충제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조성물에서, 피토스테롤 에스테르는 약 0.4 중량% 브라씨카스테롤 에스테르, 3.1 중량% 캄페스테롤 에스테르, 2.O 중량% 스티그마스테롤 에스테르, 5.3 중량% 베타-시토스테롤 에스테르, 0.2 중량% 아베나스테롤 에스테르로 이루어지고, DAG는 하기 지방산 잔기: 올레산 (65 중량%), 팔미트산 (15 중량%), 리놀레산 (10 중량%) 및 팔미트올레산, 스테아르산, 리놀렌산 및 아라키드산을 포함하는 지방산 잔기 10 중량%를 함유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올리브유 중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15 중량% DAG, 주로 1,3-디아실글리세롤류 및 25 중량% 전체 PSE로 이루어진다.
본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용어 식이 영양제는 또한 식료품 또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두번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식용 오일, 지방, 또는 식용오일 및 지방의 혼합물 중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DAG, 주로 1,3-디아실글리세롤류 및 PSE의 배합물을 포함하고, 임의로 제약상 허용가능한 첨가제, 희석제, 부형제 및 담체로 구성되는 군 중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둘 다의 혈액 수준을 감소시키고, 혈청 산화 수준, 혈청 LDL 산화 수준 및 대식세포 산화 수준을 저하시키고, 포말 세포의 형성을 억제하고, 지질 유도된 산화성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된 해로운 영향을 방지하는 것 중의 하나 이상을 위한 경구 투여가능한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에서, 상기 배합물 중의 디아실글리세롤류 대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의 몰비는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5:1이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에서, 상기 배합물 중의 디아실글리세롤류의 양은 1 중량% 이상이다.
추가로,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에서, 상기 배합물 중의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의 양은 1 중량% 이상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배합물은 1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7 내지 48 중량%의 양의 디아실글리세롤류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합물 중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의 양은 1 내지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중량%이다.
다른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올리브유 중에 용해되거 나 분산된 15 중량% DAG, 주로 1,3-디아실글리세롤류 및 25 중량% 전체 PSE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성물은 혈액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효과를 나타낸다. 예시적인 조성물에서, 상기 피토스테롤 에스테르는 0.4 중량% 브라씨카스테롤 에스테르, 3.1 중량% 캄페스테롤 에스테르, 2.0 중량% 스티그마스테롤 에스테르, 5.3 중량% 베타-시토스테롤 에스테르 및 0.2 중량% 아베나스테롤 에스테르로 이루어진다. 상기 DAG류은 올레산 잔기 (65 중량%), 팔미트산 잔기 (15 중량%), 리놀레산 잔기 (10 중량%), 및 주로 팔미트올레산, 스테아르산, 리놀렌산 및 아라키드산 잔기인 기타 지방산 잔기 10 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심혈관 장애 및 이와 관련된 질환, 예컨대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죽상동맥경화증 및 당뇨병, 특히 제II형 당뇨병과 같은 다른 질환에 의해 유도되거나 발현되는 심혈관 장애뿐 아니라 지질 관련 산화성 스트레스 또는 지단백질 및 대식세포 죽종형성성과 관련된 임의의 장애를 치료하고(거나) 예방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추가 측면에서, 본 발명은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둘 다의 혈액 수준을 감소시키고, 혈청 산화 수준, 혈청 LDL 산화 수준 및 대식세포 산화 수준을 저하시키고, 포말 세포의 형성을 억제하고, 지질 유도된 산화성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된 해로운 영향을 방지하는 것 중의 하나 이상을 위한 경구 투여가능한 제약 조성물의 제조에서의 식용 오일, 지방, 또는 식용오일 및 지방의 혼합물 중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DAG, 주로 1,3-디아실글리세롤류 및 PSE 및 임의로 제약상 허용가능한 첨가제, 희석제, 부형제 및 담체로 구성되는 군 중에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배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도 1A-B: 대식세포의 세포성 과산화물 함량에 대한 올리브유, 올리브유+피토스테롤 및 올리브 멀트오일의 효과.
도 1A: 세포 평균 형광 (DCF에 의해 방출됨) 강도로 측정된 대식세포 과산화물 수준.
도 1B: 형광 양성 세포의 백분율로 측정된 대식세포 과산화물 수준.
약어: PT, 피토스테롤; cont., 대조군; 0l. O., 올리브유, M.F.I, 평균 형광 강도; Perc. Pos. Ce.; 양성 세포의 백분율.
도 2: 대식세포 초과산화물 음이온 방출에 대한 올리브유, 올리브유+피토스테롤 및 올리브 멀트오일의 효과.
대식세포 초과산화물 이온 방출은 시트크롬 C의 초과산화물 디스뮤타제-억제가능한 감소에 의해 측정된다.
약어: PT, 피토스테롤; cont., 대조군; 0l. O., 올리브유; S.O. rel., 초과산화물 방출; prot., 단백질.
도 3: 혈청 트리글리세리드 프로파일에 대한 멀트오일-c 및 멀트오일-f 소비의 효과.
약어: Triglyc., 트리글리세리드; Plac., 플라시보; Can., 캐놀라.
도 4: 혈청 전체 콜레스테롤 프로파일에 대한 멀트오일-c 및 멀트오일-f 소비의 효과.
약어 : Chol., 콜레스테롤; Plac., 플라시보; Can., 캐놀라.
도 5: 혈청 산화성 스트레스에 대한 멀트오일-c 및 멀트오일-f 소비의 효과.
약어: Ser. lip. Per., 혈청 지질 과산화물; Plac., 플라시보; Can., 캐놀라.
도 6: 혈청 PON1 활성에 대한 멀트오일-c 및 멀트오일-f 소비의 효과.
약어: Ser. PON1 act., 혈청 PON1 활성; Plac., 플라시보; Can., 캐놀라.
도 7: 복막의 대식세포에 의한 ox-LDL 섭취에 대한 멀트오일-c 및 멀트오일-f 소비의 효과.
약어: prot., 단백질; Plac., 플라시보; Can., 캐놀라; deg., 분해; ass., 결합.
도 8: 대식세포 산화 상태에 대한 멀트오일-c 및 멀트오일-f 소비의 효과.
약어: Rel. Fluor. U., 상대적 형광 유닛; Plac., 플라시보; Can., 캐놀라.
도 9: 대식세포 중 PMA-유도된 초과산화물 음이온 방출에 대한 멀트오일-c 및 멀트오일-f 소비의 효과.
약어: S.O. rel., 초과산화물 방출; prot., 단백질; Plac., 플라시보; Can., 캐놀라.
명세서에 따라 하기 약어가 사용되었다:
캐놀라 멀트오일 (멀트오일-c): 기재가 캐놀라유인 멀트오일.
CHD: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CVD: 심혈관 질환
DAG: 디아실글리세롤류, 주로 1,3-디아실글리세롤
DHA: 도코사헥사엔산
생선 멀트오일 (멀트오일-f): 기재가 어유인 멀트오일.
HBSS: 핸크스 (Hanks') 평형된 염 용액
HDL: 고밀도 지단백질
LDL: 저밀도 지단백질
MPM: 마우스 복막의 대식세포
멀트오일: 오일, 지방, 또는 오일 및 지방 기재 중의 디아실글리세롤류, 주로 1,3-디아실글리세롤류 및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의 배합물.
올리브 멀트오일 (멀트오일-o): 기재가 올리브유인 멀트오일.
Ox-LDL: 산화된 LDL
PBS: 인산염 완충된 식염수
PSE: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
본 발명자들은 중증의 과콜레스테롤혈증 및 죽상경화판이 어린 나이에서 발생된 동물 모델 시스템 apoE°마우스를 사용하여 플라시보 또는 캐놀라유와 비교하여 본원에서 멀트오일-o, 멀트오일-c 및 멀트오일-f로 언급하는 신규 식용 조성물의 항-죽상경화성 특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오일, 지방, 또는 오일 및 지방 (또한 멀트오일로 언급됨) 중의 DAG, 주로 1,3-DAG 및 PSE의 배합물이 혈액에서 LDL-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수준 둘 다를 감소시킴으로써 향상된 효과를 제공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 배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증가된 혈청 항산화성 특성, 혈청 LDL 항산화성 특성 및 대식세포 항산화성 특성을 나타내고, 뿐만 아니라 포말 세포의 형성을 억제하고, 지질 유도된 산화성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된 해로운 영향을 방지하는 것 중의 하나 이상을 하여 CHD 및 예를 들어 당뇨병과 같은 동맥혈관-관련 질환에 대한 위험을 감소시킨다.
상기 배합물에 대한 기재로서 사용된 오일에 따라, 이것이 올리브, 캐놀라 또는 해산물 기원의 오일인 경우, 본 발명의 배합물을 명세서를 통해 각각 멀트오일-o (올리브 멀트오일), 멀트오일-c (캐놀라 멀트오일) 또는 멀트오일-f (생선 멀트오일)로 언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로 식용 오일, 지방, 또는 식용오일 및 지방의 혼합물 중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디아실글리세롤 및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배합물의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둘 다의 혈액 수준을 감소시키고, 혈청 산화 수준, 혈청 LDL 산화 수준 및 대식세포 산화 수준을 저하시키고, 포말 세포의 형성을 억제하고, 지질 유도된 산화성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된 해로운 영향을 방지하는 것 중의 하나 이상을 할 수 있는 제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및 도면에 진술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멀트오일이 동물 모델 시스템에서 플라시보 치료와 비교하여 트리글리세리드 및 콜레스테롤의 혈액 수준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의해 사용되는 배합물은 본질적으로 식용 오일, 지방, 또는 식용오일 및 지방의 혼합물 중에 분산된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 및 디아실글리세롤류, 주로 1,3-디아실글리세롤로 이루어진다. 보다 특히, 상기 배합물은 상기 오일, 지방, 또는 오일 및 지방 중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1 중량% 이상의 디아실글리세롤류 및 1 중량% 이상의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오일, 지방, 또는 오일 및 지방 중에 함유된 디아실글리세롤류의 양은 1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7 중량% 내지 약 48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중량% 내지 약 22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오일 중에 함유된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의 양은 1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5 중량% 내지 약 5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 내지 약 35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디아실글리세롤류는 주로 불포화 지방산 잔기를 함유하는 1,3-디아실글리세롤류로 실질적으로 이루어진다. 디아실글리세롤류의 구조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를 용해시키거나 분산시키는데 사용되는 특정 오일, 지방, 또는 오일 및 지방에 따른다. 예를 들어, 올리브유가 사용되는 경우, 디아실글리세롤은 주로 1,3-디올레일 글리세롤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DAG의 지방산 잔기는 올레산, 팔미트산, 팔미트올레산,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및 에이코산 지방산 (DAG는 1,2-디올레일, 1,3-디올레일, 1,2-올레일 팔미토일 및 1,3-올레일 팔미토일 글리세롤임)을 포함한다.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은 임의의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에스테르의 예는 스티그마스테릴 올레이트, 스티그마스테릴 팔미테이트, 시토스테릴 올레이트, 시토스테릴 팔미테이트, 베타시토스테릴 올레이트 및 베타시토스테릴 팔미테이트이다.
오일 중 디아실글리세롤류에 대한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의 몰비는 약 5:1 내지 약 1:5, 바람직하게는 약 2:1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증에 포함된 오일은 임의의 식용 오일, 예컨대 올리브유, 대두유, 해바라기유, 홍화유, 캐놀라유, 참깨유, 야자유, 아보카도유 또는 어유일 수 있으나 이로써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오일은 하나 이상의 올리브유, 캐놀라유 또는 어유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함유된 지방은 예를 들어 버터 지방, 무수 유지방, 코코아 버터 뿐만 아니라 라드 또는 어유 농축물과 같은 동물성 지방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지방일 수 있다.
디아실글리세롤류를 임의의 통상적인 효소적 또는 비효소적 절차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오일, 지방, 또는 오일 및 지방 중에 존재하는 피토스테롤류 및 트리글리세리드류 사이의 상호-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수득된다.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은 임의의 통상적인 효소적 또는 비효소적 절차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식용 오일 또는 지방 중에 존재하는 피토스테롤류, 피토스탄올 또는 피토스테롤류 및 피토스탄올과, 트리글리세리드류 사이의 상호-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수득된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되는 배합물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은 참고문헌으로 본원에 전체적으로 인용된 상기 제IL 147942호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제IL 14794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오일, 지방, 또는 오일 및 지방과 함께 목적하는 양의 디아실글리세롤류 및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을 혼합 또는 블렌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혈청 ox-LDL 뿐 아니라 대식세포 산화를 방지하고, 감소시키는 것 중의 하나 이상을 하는데 시험되는 조성물의 유의한 효과를 얻었다. 따라서, 혈액 LDL-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의 감소에 대한 효과를 가지는 것 외에, 상기 배합물, 및 상기 배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혈청 LDL 항산화 특성 및 대식세포 항산화 특성을 나타낸다. 실시예는 올리브유, 캐놀라유 또는 어유 멀트오일 제제가 유의한 항산화 특성을 나타내어, 포말 세포의 형성을 억제하고, 지질 유도된 산화성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된 해로운 효과를 방지하는 것 중의 하나 이상을 하였다는 것을 추가로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도 5, 7, 8 및 9는 상이한 멀트오일 제제가 혈청 산화성 스트레스, 복막의 대식세포에 의한 ox-LDL 섭취, 대식세포 산화 상태 및 대식세포로부터의 PMA-유도된 초과산화물 음이온 방출과 같은 산화성 스트레스 파라미터를 저하시킬 수 있는지를 입증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혈청에서 PON1 활성을 측정하였다. PON1은 ox-LDL을 제거할 수 있는 HDL-연관된 에스테라제이다. 흥미롭게도, 도 6의 결과는 캐놀라유가 PON1 활성을 감소시키는 반면, 본 발명의 멀트오일 배합물은 PON1을 더 높은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었으며, 이는 본 발명이 프로-죽종형성 환경에서 PON1 활성을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멀트오일 배합물은 그 자체로 식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르게는, 추가로 식품 산업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첨가제, 예컨대 방부제, 착색제, 풍미제, 방향제, 항산화제 및 경화제, 비타민, 칼슘, 기타 무기 미량 원소, 프로바이오틱제, 이소플라본, 열량제 등을 임의로 함유할 수 있는 식품 또는 보충제의 성분일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식품 보충제는 기능성 식품, 기능성 음료 또는 식이 보충제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제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 보충제는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이 보충제를 이의 제조 동안 이와 혼합, 첨가 또는 혼입하여 도입할 수 있다.
별법으로, 배합물은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둘 다의 혈액 수준을 감소시키고, 혈청 산화 수준, 혈청 LDL 산화 수준 및 대식세포 산화 수준을 저하시키고, 포말 세포의 형성을 억제하고, 지질 유도된 산화성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된 해로운 영향을 방지하는 것 중의 하나 이상을 위한 제약 조성물의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제약상 허용가능한 첨가제, 희석제, 부형제 및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의 제조는 당업계에 익히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736 519호, 동 제5,733,877호, 동 제5,554,378호, 동 제5,439,688호, 동 제5, 418,219호, 동 제5,354,900호, 동 제5,298,246호, 동 제5,164,372호, 동 제4,900,549호, 제4,755,383호, 동 제4,639,435호, 동 제4,457,917호 및 동 4,064,236호 참고). 본 발명에 의해 사용된 배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부형제, 담체 또는 희석제 및 임의로 방부제 등, 당업계에 공지된 제약상 허용가능한 비히클과 혼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국 특허 참고). 부형제의 예는 글루코스, 만니톨, 이노시톨, 수크로스, 락토스, 프룩토스, 전분, 옥수수 전분,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포함한다. 임의로, 증점제, 예컨대 천연 고무, 셀룰로스 유도체, 아크릴 중합체 또는 비닐 중합체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액체, 고체 또는 반고체 형태로 제공된다. 액체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수성 현탁제, 오일 현탁제 또는 미세캡슐 조성물로서 제공된다. 반고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함수성 또는 오일성 겔 또는 크림으로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정제, 경질 정제, 캡슐제 및 특히 연질 젤라틴 캡슐제가 식이 보충제 또는 제약 투여형으로서 바람직할 수 있다. 본질적으로, 경구 투여에 적합한 임의의 제약 투여형이 본 발명의 배합물을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멀트오일 배합물의 투여량은 치료되는 상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주치의 또는 영양사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성인을 위한 바람직한 투여량은 하루 당 대략 PSE 1300 mg 및 DAG 800 mg을 포함하도록 하는 멀트오일 약 4 내지 약 6 g, 바람직하게는 5 g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 유효량의 식이 보충제 또는 이의 조성물을 필요한 대상체에게 경구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높은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드 혈액 수준, 혈청 산화성 스트레스, 대식세포에 의한 ox-LDL 섭취, 대식세포 산화 상태, 포말 세포 형성 및 지질 유도된 산화성 스트레스 중 어느 하나와 관련된 상태를 치료하고, 예방하는 것 중의 하나 이상을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방법은 또한 심혈관 장애 이와 관련된 질환, 예컨대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죽상동맥경화증, 및 당뇨병, 특히 제II형 당뇨병과 같은 다른 질환에 의해 유도되거나 발현되는 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별법으로, 이러한 상태는 본 발명에 따른 식이 제품의 소비에 의해 치료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치료 유효량의 식이 영양제 또는 이의 제약 조성물을 필요한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건강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고, 이의 내용은 명세서의 기재내용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공개되고 기재된 것은 본 발명이 본원에서 공개한 특정 실시예, 공정 단계 및 물질로 한정되지 않고, 이처럼 공정 단계들 및 물질들은 다소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주를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의 등가범위로만 한정할 것이므로,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된 것이며,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단수 형태는 본문이 다르게 명확히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지시대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항을 통해, 본문이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용어 "포함하다" 및 어미 변화, 예컨대 "포함된" 및 "포함하는"은 진술된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정수들 또는 단계들의 군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나, 임의의 다른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정수들 또는 단계들의 군을 배제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측면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자들에 의해 수행된 대표적인 기술이다. 이는 이들 기술이 본 발명의 실행을 위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예시인 반면, 당업자들 본 공개문헌으로 미루어 본 발명의 의도된 범주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수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고 인정된다.
물질:
- 올리브유: 메섹 에거 (Meshek Eger) (Yokeneam HaMoshava, Israel)에 의해 제조된 시판용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
- 캐놀라유: 쉐멘 타시오트 (Shemen Taasiot) (Haifa, Israel)에 의해 제조된 시판용 캐놀라유.
- 어유: 프로노바 (Pronova) (Lysaker, Norway)에 의해 제조된 시판용 어유.
본 발명에서 사용된 오일의 조성
오일 구성성분% (W/W) 캐놀라 멀트오일 올리브 멀트오일
(엔지모테크 (Enzymotec) FG S7/1.75)
생선
멀트오일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강화 올리브유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26 28.5 22.12 18
모노글리세리드 2.1 1.48 4.72 0.31
디글리세리드 14.9 14.62 20.02 0.81
트리글리세리드 46.9 48.9 40.3
유리 스테롤 3.1 1.5 5.2 0.2
FFA 7 5 5 3
글리세롤 N.D. N.D. 2.6 N.D.
브라씨카스테롤 0.54 0.46 0.82 N.D.
캄페스테롤 5.43 4.58 4.93 0.009
스티그마스테롤 2.84 3.86 3.25 0.00142
베타시토스테롤 8.9 8.41 8.1 0.166
모든 물질은 25 ℃를 초과하지 않는 온도에서 광선 및 냄새나는 생성물로부터 보호하였다.
방법
자유 라디칼 제거 능력
올리브유, 올리브유+피토스테롤 및 올리브 멀트오일의 자유 라디칼-제거 능력을 DPPH 검정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DPPH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는 다양한 항산화제의 자유 라디칼 제거 능력 (화합물의 전자를 제공하는 능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라디칼-발생 물질이다 (문헌 [Belinky, P. A. et al. (1998) Free Radic. Biol. Med. 24: 1419-29] 참고). DPPH 라디칼은 그의 손상된 전자로 인해 진보라색을 띄며, 라디칼 제거는 연황색 비-라디칼 형태가 생성됨에 따라 517 nm에서 흡수의 손실에 의해 분광광도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샘플의 스톡 용액으로부터의 15 ㎕를 에탄올 중의 0.1 mmol DPPH/L 1 mL와 혼합하고, 517 nm에서의 광학 밀도 중의 변화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하였다.
마우스 복막의 대식세포의 단리
마우스 복막의 대식세포 (MPM)를 식염수 (3 mL) 중 티오글리콜레이트 (24 g/L)의 복막내 주입 후 4일 째에 E°마우스의 복수 (15 내지 25 g)로부터 수확하였다. 세포 (10 내지 20 × 106/마우스)를 PBS로 3회 세척하고, 5% 소태아 혈청 (30 분 동안 56 ℃에서 열-불활성화시킴), 100 U 페니실린/mL, 100 ㎍ 스트렙토마이신/mL 및 2 mM 글루타민을 함유한 DMEM 중에 106/mL으로 재현탁하였다. 세포 현탁액을 배양 디쉬에 플레이팅하고, 습윤된 인큐베이터 (5% CO2, 95% 공기)에서 2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디쉬를 DMEM으로 1회 세척하여 부착되지 않은 세포를 제거하고, 단일층을 유사한 상태하에 18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마우스 복막의 대식세포를 각각의 군으로부터 6 마리의 마우스로부터 단리하고, 풀링하고, 각각의 검정법에 대해 이중 또는 삼중으로 분석하였다.
대식세포 초과산화물 방출
마우스 복막의 대식세포의 의한 초과산화물 음이온 (O2 -)의 발생을 시토크롬 C의 초과산화물 디스뮤타제-억제가능한 감소로서 측정하였다 (문헌 [Yanagitani Y. et al. (1999) Hypertension 33: 335-9] 참고). 세포 (1 × 106/웰)를 아세틸 시토크롬 C (80 μmol/L)를 함유한 HBSS 1 mL 중에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에 의한 초과산화물 생성을 1 시간 동안 포르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 (0.5 ㎍/mL)를 첨가하여 자극하였다. 일부 대조군 샘플에는 초과산화물 디스뮤타제 (SOD, 30 mg/L)를 첨가하였다. 초과산화물 방출의 양을 매질 중에서 측정하고, E550=21 mmol/L-1cm-1의 소광 계수를 사용하여 세포 단백질 mg 당 초과산화물의 nmole로 표현하였다.
대식세포 과산화물 함량
세포성 과산화물 수준을 디클로로플로레신-디아세테이트 (DCFH-DA)를 사용하는 유동 세포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문헌 [Goupy, P. et al. (2003) Fr.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1 (3): 615-622] 참고). DCFH-DA는 세포 내로 확산되는 비극성 염료이다. 세포에서, 극성이며, 세포내에서 포획되는 비형광 유도체인 2',7'-DCFH로 가수분해된다. 산화성 스트레스 하에, DCFH는 형광 화합물인 DCF (2',7'-디클로로플루오레신)로 산화된다. 복막의 대식세포 (2 × 106)를 30 분 동안 37 ℃에서 2.5 × 10-5 mol/L DCFH-DA와 함께 인큐베이션시켰다. 반응을 4 ℃에서 PBS로 세척하여 정지시켰다. 세포성 형광을 유동 세포측정 기기 (FACS-SCAN, Becton Dickinson, San Jose, CA,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488 nm에서 세포를 아르곤 이온 레이저로 여기시킨 후 510 내지 540 nm에서 측정하였다.
혈청 지질 프로파일
혈청 샘플을 시판되는 키트 (Roche Diagnostics, Penzberg, Germany)를 사용하여 전체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를 비롯한 이들의 지질 프로파일에 대해 분석하였다 (문헌 [Rosenblat, M. et al. (2002) Clin. Chem. Lab. Med. 40: 9- 14] 참고).
혈청 지질 과산화
혈청을 PBS 중에 1:4로 희석하였다. 산화에 대한 혈청 감수성을 혈청 샘플을 자유 라디칼 발생 화합물인 열적으로 분해되어 동일한 속도로 퍼옥실 라디칼을 생성하는 수용성 아조 화합물, 2'-2'-아조비스 2'-아미디노프로판 히드로클로라이드 (AAPH) 100 mM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여 측정하였다. 티오바르비투르산 반응성 물질 (TBARS) 및 지질 과산화물의 형성을 측정하고, AAPH가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 유사한 상태 하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PON1 활성 측정
혈청에서의 PON1 활성을 기질로서 페닐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아릴에스테라제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결정하였다. 가수분해의 초기 속도는 270 nm에서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였다. 검정 혼합물은 20 mM 트리스 HCl, pH 8.0 중의 1.O mM 페닐아세테이트 및 0.9 mM CaCl2를 포함하였다. 페닐아세테이트의 비-효소적 가수분해를 가수분해의 전체 속도에서 차감하였다. 반응에 대한 E270은 1,310 M-1 cm-1이었다. 아릴에스테라제 활성의 1 유닛은 1 ml 당 1 분 동안 가수분해된 페닐아세테이트 1μmol과 동등하다. 정제된 효소는 단백질 mg 당 아릴에스테라제 활성의 거의 2000 유닛을 가진다.
대식세포 산화 상태
세포의 산화성 스트레스를 지수로서 비-형광 DCFH-DA의 그의 형광 상응물 DCF로의 전환을 사용하는 유동 세포측정기에 의해 DCF-부하된 대식세포 중에서 평가하였다.
LDL의 대식세포- 매개된 산화
MPM을 산화성 스트레스 하에 (CuS04 μmol/L의 존재하에) 18 시간 동안 LDL (mL 당 단백질 100 ㎍)로 인큐베이션한 후, LDL 산화의 양을 TBARS 검정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산화된 LDL의 대식세포 섭취
MPM을 125I-표지된 산화된 LDL (mL 당 단백질 10 g)과 함께 인큐베이션하고, 지단백질 세포-결합 및 이들 세포에 의한 분해를 측정하였다. 지단백질 세포 분해를 유리 요오드화물에 의한 것이 아닌 가용성, 비-지질 방사능인 트리클로로아세트산 (TCA)으로서 수집된 매질 중에 측정하였다. 세포-유리 시스템 중의 지단백질 분해를 동일한 상태하에 측정하고, 전체 분해로부터 차감하였다. 나머지 세포를 냉각된 PBS로 3회 세척하고, 단백질 및 세포-관련된 지단백질 측정을 위해 0.1 N NaOH 중에 용해시켰다.
통계학적 분석
스튜던트 t-테스트를 결과의 통계학적 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실시예 1
E°마우스에서의 대식세포 지질 과산화에 대한 올리브유, 올리브유+피토스테롤 및 올리브 멀트오일의 항산화 효과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산화성 스트레스는 죽상동맥경화증의 병리상태와 관련된다. 죽상동맥경화증은 대식세포를 비롯한 동맥 세포 중의 혈장 LDL의 지질 과산화와 연관된다 (문헌 [Aviram M. (2000) Free. Radic. Res. 33: S85-97 ; Aviram M. and Fuhrman B. (1998) Mol. Cell. Biochem. 188: 149-159] 참고). 산화성 스트레스 하에, 대식세포 과산화물 수준이 증가되었으며, 대식세포는 반응성 산소 종을 발생시켜 이들의 죽종형성성을 증가시킨다 (문헌 [Plump A. S. et al. (1992) Cell 71: 343-353] 참고).
아포지단백질 E 결핍 (E°) 마우스는 일반 식이에서 중증의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죽상경화성 병변을 발병시키기 때문에 죽상동맥경화증에 대한 동물 모델로서 널리 사용된다. 또한, E°마우스에서 가속화된 죽상동맥경화증은 혈장 지단백질 및 동맥 세포의 증가된 지질 과산화와 관련된다 (문헌 [Hayek T. et al. (1994)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1: 1567-1574; Keidar S. (1998) Life Sci. 63: 1-11] 참고).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에 의해 생성되는 혈관수축제 안지오텐신 (Angiotensin) II (Ang-II)는 죽상동맥경화증과 관련되어 있다. Ang-II는 대식세포 NAD(P)H-옥시다제를 활성화시켜 대식세포 지질 과산화를 증가시킨다 (문헌 [Rajagopalan S. et al. (1996) J. Clin. Invest. 97: 1916-1923; Johnston R. B. Jr. (1984) Methods Enzymol. 105: 365-9] 참고).
본 실시예에서, 대식세포 산화성 스트레스에 대해 고안된 올리브유+피토스테롤, 올리브 멀트오일 및 올리브유인 올리브유의 3가지 제제의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하기 오일 샘플을 조사하였다 (모두는 물 중에 1/2 vol./vol.로 희석되었음, 스톡 용액):
1. 올리브유+피토스테롤
2. 올리브 멀트오일
3. 올리브유
올리브유+피토스테롤 및 올리브유와 비교되는 올리브 멀트오일의 대식세포 산화성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하기 2가지 파라미터에 의해 분석하였다: (i) 대식세포 과산화물 함량을 감소시키는 능력; 및 (ii) 초과산화물 이온을 방출시키는 대식세포 능력.
마우스 복막의 대식세포를 15 분 동안 올리브유+피토스테롤, 올리브 멀트오일 및 올리브유 ml 당 스톡 용액 50 ㎕와 함께 인큐베이션한 다음, 안지오텐신 II (10-7 M)와 함께 1 시간 동안 추가로 인큐베이션하여 산화성 스트레스를 유도하였다. 대조군 세포는 단지 안지오텐신 II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이어서, 대식세포를 DCFH 검정법을 사용하여 이들의 과산화물 함량에 대해 분석하고, 이들의 초과산화물 이온을 방출시키는 능력에 대해 분석하였다 (도 2A, B).
1) 대식세포 과산화물 함량에 대한 올리브유+ 피토스테롤 , 올리브 멀트오일 및 올리브유의 효과
올리브유+피토스테롤 및 올리브 멀트오일로의 대식세포의 프리-인큐베이션은 모두 단지 안지오텐신 II와 함께 인큐베이션한 대조군 대식세포와 비교하여 대식세포 과산화물 함량을 감소시켰다 (단지 올리브유와 함께 프리인큐베이션한 경우는 제외). 대식 세포 지질 과산화물 함량을 DCFH 검정법을 사용하여 다음의 2가지 파라미터로 분석하였다: 첫째는 DCF에 의해 방출된 평균 형광 강도이고, 둘째는 형광 방출에 양성인 세포의 백분율임.
올리브유+피토스테롤 또는 올리브 멀트오일 50 ㎕/ml과의 대식세포의 프리-인큐베이션이 대조군 세포에 비해 대식세포 평균 형광 강도를 83% 및 64% 감소시켰으나, 동일한 농도에서 올리브유는 대조군 세포에 비해 대식세포 평균 형광 강도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도 2A). 유사하게, 올리브유+피토스테롤 또는 올리브 멀트오일 50 ㎕/ml과의 대식세포의 프리인큐베이션은 대조군 세포에 비해 형광에 대한 양성 세포의 백분율을 74% 및 55% 감소시켰으나, 동일한 농도에서 올리브유는 대조군 세포에 비해 형광에 대한 양성 세포의 백분율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도 2B).
2) 대식세포 초과산화물 이온 방출에 대한 올리브유+ 피토스테롤 , 올리브 멀트오일 및 올리브유의 효과
E°마우스로부터 단리된 마우스 복막의 대식세포를 50 ㎕/ml의 올리브 멀트오일, 올리브유+피토스테롤 또는 단지 올리브유와 함께 15 분 동안 프리인큐베이션한 다음, 1 시간 동안 안지오텐신 II (10-7 M)와 함께 추가 인큐베이션하여 산화성 스트레스를 유도하였다. 대조군 세포는 단지 안지오텐신 II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되는 3가지의 모든 올리브유 제제가 안지오텐신 II에 의해 유도된 대식세포 초과산화물 방출을 어느 정도 억제하였다. 그러나, 올리브 멀트오일 및 올리브유+피토스테롤은 올리브유 단독보다 유의하게 효과적이었다. 대식세포를 50 ㎕/ml의 올리브 멀트오일, 올리브유+ 피토스테롤 또는 단지 올리브유와 함께 프리인큐베이션한 경우는 단지 안지오텐신 II와 함께 인큐베이션한 대조군 세포와 비교하여 대식세포 초과산화물 음이온 방출에 있어서, 각각 29%, 23% 및 단지 9% 감소시켰다 (도 3).
피토스테롤 강화 올리브유 제제, 특히 올리브 멀트오일은 대식세포 지질 과산화에 대해 유의한 항산화 특성 나타내었다. 반면에, 올리브유 단독으로는 어떠한 효과도 나타내지 않았다. 보다 중요하게는, 올리브 멀트오일은 올리브유+피토스테롤 제제 보다 대식세포 과산화물 함량 및 대식세포 초과산화물 방출을 감소시키는 능력에 있어서 보다 효력있었다.
이들 결과는 올리브유 및 추가적인 성분 (피토스테롤 및 디글리세리드)가 대식세포에 결합하여 내재화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추가로, 피토스테롤 강화 올리브유는 본 발명의 제제가 세포성 산화 시스템 (예컨대, NADPH 옥시다제, 리폭시게나제, 또는 NADPH 옥시다제 및 리폭시게나제)을 억제하거나 세포성 항산화 시스템 (예컨대, 글루타티온 또는 초과산화물 디스뮤타제 시스템)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추가로, DAG의 올리브유+피토스테롤로의 첨가 (올리브 멀트오일을 생성함)는 대식세포 지질 과산화에 대한 추가 항산화 효과를 일으킨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다수의 세포내 신호 전달 경로에 참여하는 DAG가 추가로 대식세포 지질 과산화 및 초과산화물 방출로 표현되는 안지오텐신 II-매개된 세포의 산화성 스트레스에 관여하는 상기 세포의 산화성/항산화성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추측한다.
실시예 2
지단백질 및 대식세포의 죽종형성성에 대한, 또한 죽상경화성 아포지단백질 E 결핍 (E°) 마우스 모델에서의 죽상동맥경화증 발병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8주령의 아포지단백질 E 결핍 (apoE°) 마우스를 하기 기재하는 바와 같이 다음의 군 (각각 5마리의 마우스)으로 무작위 분배하였다. 마우스에 규칙적인 먹이를 제공하였으며, 추가로 이들은 3일 마다 한번씩 다음과 같이 공급하였다 (위관 영양법을 사용하였음):
I 군:
1. 플라시보 군: 임의의 추가 오일을 제공하지 않았다.
2. 캐놀라유 군 (대조군): 캐놀라유 60 ㎕를 공급하였다.
3. 멀트오일-c 군: 멀트오일-c 60 ㎕를 공급하였다.
II 군:
1. 플라시보 군: 임의의 추가 오일을 제공하지 않았다.
2. 멀트오일-f : 멀트오일-f 60 ㎕를 공급하였다.
각각의 마우스는 대략 하루 당 5 ml의 물 및 5 g의 먹이를 소비하였다.
공급용 오일 제조
마우스에 공급되는 멀트오일-c 및 멀트오일-f의 양은 다음에 기초하였다:
인간을 위해 권장되는 피토스테롤 투여량은 하루 당 피토스테롤 1.5 g이다. 각각의 샘플에서 18.1% 피토스테롤을 기준으로 하여, 이에 따라 인간을 위한 멀트오일-c 및 멀트오일-f에 대한 투여량은 1인당 하루 1.5/0.18 = 8.33 g이다. 마우스에 대해서는, 체중을 고려하여 (인간 체중 60,000 g/마우스 체중 20 g = 3000), 마우스를 위한 하루 투여량은 마우스 당 하루 8.33 g/3000 = 2.78 mg으로, 이는 마우스 당 하루 2.78/0.93 = 2.99 mL와 동일하다. 실험이 제한된 기간 동안 수행되었기 때문에, 사용된 투여량은 5배 높았다. 따라서, 각각의 마우스에 하루 당 15 ml의 오일을 투여하였다 (마우스 당 4일 동안 60 mL).
실험 기간의 말기에서, 혈액 샘플을 혈청 분리 및 분석을 위해 모든 마우스로부터 수집하였다. 각각의 실험 군 내에서, 각각의 마우스의 혈액 샘플을 개별적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의 파라미터를 혈청에서 분석하였다.
1. 전체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를 비롯한 지질 수준의 측정.
2. 혈청 산화 상태의 측정.
3. 아릴에스테라제 활성으로 측정된 파라옥소나제의 측정.
MPM을 수거하고, 심장 및 대동맥을 제거하였다. 마우스를 국부 비강 용기 중의 에틸 에테르로 마취시켰다. 심장 및 전체 대동맥을 대동맥성 죽상경화성 병변의 조직학적 분석을 위해 모든 마우스로부터 빠르게 제거하였다.
실험 프로토콜 (No. IL-066-10-2001)은 테크니온 이스라엘 기술 연구소 (Technion Israel Institute of Technology)의 동물 관리 및 사용 위원회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Haifa, Israel)에 의해 승인받았다.
도 3은 멀트오일-c의 소비가 플라시보에 비해 혈청 중 트리글리세리드의 수준에서 확연하고 유의한 감소 (36%)를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p < 0.001).
유사하게, 도 4는 특히 멀트오일-c, 또한 멀트오일-f가 혈청에서 전체 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p < 0.1).
도 5는 멀트오일-c 치료가 AAPH-유도된 산화에 대한 혈청감수성을 (플라시보에 비해) 63% 이하로 급격하고 매우 유의하게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p < 0.001). 멀트오일-f는 플라시보에 비해 16%까지 지질 과산화물을 감소시키는 유사한 경향을 입증하였다.
도 6은 흥미로운 결과를 보여준다. 캐놀라유 소비가 혈청 PON1 활성의 수준에 있어서 유의한 감소를 유도하는데 (p < 0.1), 이는 죽상동맥경화증에 대해 불리할 수 있고 (문헌 [Mackness, B. et al. [2003] Circulation 107: 2775-9] 참고), 멀트오일-c 또는 -f의 소비는 PON1 활성을 처리하지 않은 마우스 (플라시보 군)와 견줄만한 수준으로 회복시켰다. 따라서, 멀트오일-c 및 멀트오일-f의 소비는 PON1 활성의 효과적인 수준을 유지하는데 유용하다.
도 7은 멀트오일-c의 소비가 ox-LDL 결합 (16%) 및 분해 (14%)를 감소시켜 (p < 0.05), ox-LDL를 유지하는 MPM 능력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감소된 산화 상태와 상호관련될 수 있으며, 보다 큰 범위로 멀트오일-f는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데, 이는 또한 ox-LDL 결합 (34%) 및 분해 (30%)를 감소시킨다 (p < 0.001). 반면에, 캐놀라유 소비는 ox-LDL 결합 및 분해 모두를 경미하게 증가시켰다 (플라시보에 비해 각각 4% 및 11%) (p 값 < 0.05).
도 8은 멀트오일-c 또는 멀트오일-f의 소비가 E°마우스 대식세포의 산화 상태를 유의하게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p < 0.0001). 멀트오일-f는 대식세포 산화 상태를 플라시보에 비해 34% 이하로 감소시키는 반면, 멀트오일-c는 플라시보에 비해 이를 29% 이하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멀트오일-f 및 멀트오일-c 모두는 대식세포의 산화 상태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이들 결과와 일치하게, 도 9에서 본 발명자들은 유사하게 멀트오일-f 또는 멀트오일-c의 소비는 또한 대식세포에서의 초과산화물 음이온의 PMA-유도된 방출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p < 0.05).

Claims (52)

  1. 오일, 지방, 또는 오일 및 지방의 혼합물 중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디아실글리세롤류 (DAG); 및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 (PSE)의 배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오일은 천연 오일, 식용 오일, 또는 천연 오일 및 식용 오일의 혼합물이며, 상기 지방은 천연 지방이고,
    상기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의 양이 20 중량% 내지 99 중량%이고,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둘 다의 혈액 수준을 감소시키고, 혈청 산화 수준, 혈청 저밀도 지단백질(LDL) 산화 수준 및 대식세포 산화 수준을 저하시키고, 포말 세포의 형성을 억제하고, 지질 유도된 산화성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된 해로운 영향을 방지하는 것 중의 하나 이상을 위한 식용 조성물을 함유한 식이 영양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의 양이 20 중량% 내지 50중량%인 식이 영양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의 양이 20 중량% 내지 35중량%인 식이 영양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실글리세롤류의 양이 7 중량% 내지 48 중량%인 식이 영양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실글리세롤류의 양이 10 중량% 내지 22 중량%인 식이 영양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이 영양제는 식품 보충제 또는 식료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이 영양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실글리세롤류는 1,3-디아실글리세롤류인 식이 영양제.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이 올리브유, 대두유, 해바라기유, 홍화유, 캐놀라유, 야자유, 아보카도유, 참깨유 및 어유 중의 하나인 식이 영양제.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이 올리브유, 캐놀라유 또는 어유인 식이 영양제.
  11. 삭제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이 버터 지방, 무수 유지방, 코코아 버터 및 라드 중의 하나인 식이 영양제.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아실글리세롤류의 지방산 잔기가 상기 디아실글리세롤류가 유도되는 오일의 지방산 잔기에 상응하는 것인 식이 영양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잔기가 올레산, 팔미트산, 팔미트올레산,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도코사헥사엔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및 에이코산산 잔기 중의 하나인 식이 영양제.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가 스티그마스테롤, 시토스테롤, 베타-시토스테롤, 브라씨카스테롤, 캄페스테롤, 5-아베나스테롤의 지방산 에스테르, 이들의 이성질체 및 이들의 유도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식이 영양제.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영양 조성물의 통상적인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식이 영양제.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의 상기 디아실글리세롤류 대 상기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하나 이상인 것의 몰비가 1:5 내지 5:1인 식이 영양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의 상기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하나 이상인 것 대 상기 디아실글리세롤류의 몰비가 2:1인 식이 영양제.
  1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의 총량 (중량%) 대 디아실글리세롤류의 총량 (중량%) 사이의 비율이 1.1, 1.75 및 1.95 중 하나인 식이 영양제.
  2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올리브유, 캐놀라유 및 어유 중 어느 하나 중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15 중량% 1, 3-디아실글리세롤류, 및 전체 25 중량%의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것인 식이 영양제.
  2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심혈관 장애 및 이와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것 중의 하나 이상을 위한 식이 영양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또는 질환은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죽상동맥경화증, 및 다른 질환에 의해 유도되거나 발현되는 심혈관 장애 중 하나인 식이 영양제.
  23. 삭제
  24. 삭제
  25. 오일, 지방, 또는 오일 및 지방의 혼합물 중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디아실글리세롤류 (DAG); 및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 (PSE)의 배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은 천연 오일, 식용 오일, 또는 천연 오일 및 식용 오일의 혼합물이며, 상기 지방은 천연 지방이고,
    상기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의 양이 20 중량% 내지 99 중량%이고,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둘 다의 혈액 수준을 감소시키고, 혈청 산화 수준, 혈청 저밀도 지단백질(LDL) 산화 수준 및 대식세포 산화 수준을 저하시키고, 포말 세포의 형성을 억제하고, 지질 유도된 산화성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된 해로운 영향을 방지하는 것 중의 하나 이상을 위한 경구 투여가능한 제약 조성물.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의 양이 20 중량% 내지 50 중량%인 제약 조성물.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의 양이 20 중량% 내지 35 중량%인 제약 조성물.
  28.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실글리세롤류의 양이 7 중량% 내지 48 중량%인 제약 조성물.
  29.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실글리세롤류의 양이 10 중량% 내지 22 중량%인 제약 조성물.
  30.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약 조성물은 제약상 허용가능한 첨가제, 희석제, 부형제 및 담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31.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심혈관 장애 및 이와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것 중의 하나 이상을 위한 제약 조성물.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또는 질환은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죽상동맥경화증, 및 다른 질환에 의해 유도되거나 발현되는 심혈관 장애 중의 하나인 제약 조성물.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질환은 당뇨병인 제약 조성물.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질환은 제II형 당뇨병인 제약 조성물.
  35. 삭제
  36.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이 올리브유, 대두유, 해바라기유, 홍화유, 캐놀라유, 야자유, 참깨유, 아보카도유 및 어유 중의 하나인 제약 조성물.
  37.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이 올리브유, 캐놀라유 또는 어유인 제약 조성물.
  38. 삭제
  39.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이 버터 지방, 무수 유지방, 코코아 버터 및 라드 중의 하나인 제약 조성물.
  40.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아실글리세롤류의 지방산 잔기가 상기 디아실글리세롤류가 유도되는 오일의 지방산 잔기에 상응하는 제약 조성물.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잔기가 올레산, 팔미트산, 팔미트올레산,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도코사헥사엔산, 에이코사펜타엔산 및 에이코산산 잔기 중의 하나인 제약 조성물.
  42.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가 스티그마스테롤, 시토스테롤, 베타-시토스테롤, 브라씨카스테롤, 캄페스테롤, 5-아베나스테롤의 지방산 에스테르, 이들의 이성질체 및 이들의 유도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제약 조성물.
  43.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의 상기 디아실글리세롤류 대 상기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하나 이상인 것의 몰비가 1:5 내지 5:1인 제약 조성물.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중의 상기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하나 이상인 것 대 상기 디아실글리세롤류의 몰비가 2:1인 제약 조성물.
  45.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둘 다의 혈액 수준을 감소시키고, 혈청 산화 수준, 혈청 저밀도 지단백질 산화 수준 및 대식세포 산화 수준을 저하시키고, 포말 세포의 형성을 억제하고, 지질 유도된 산화성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된 해로운 영향을 방지하는 것 중의 하나 이상의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브유 중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15 중량% 디아실글리세롤류 및 전체 25 중량%의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 또는 피토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및 피토스탄올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둘 다의 혈액 수준을 감소시키고, 저밀도 지단백질 산화를 감소시키는 것 중의 하나 이상을 위한 제약 조성물.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디아실글리세롤류는 1,3-디아실글리세롤류인 제약 조성물.
  47. 제45항에 있어서, 심혈관 장애 및 이와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것 중의 하나 이상을 위한 제약 조성물.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또는 질환은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죽상동맥경화증, 및 다른 질환에 의해 유도되거나 발현되는 심혈관 장애 중의 하나인 제약 조성물.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질환은 당뇨병인 제약 조성물.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질환은 제II형 당뇨병인 제약 조성물.
  51. 제25항 내지 제27항, 제45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 둘 다의 혈액 수준, 혈청 산화성 스트레스, 대식세포에 의한 산화성 저밀도 지단백질 섭취, 대식세포 산화 상태, 포말 세포 형성 및 지질 유도된 산화성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된 해로운 영향의 감소 및 방지 중의 하나 이상을 위한 제약 조성물.
  5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성 식품, 기능성 음료 및 식이 보충제 중 어느 하나의 제조에서 사용하기 위한 식이 영양제.
KR1020057014677A 2003-02-10 2004-02-10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디아실글리세롤 및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강화 오일 KR1009597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L154381 2003-02-10
IL15438103A IL154381A0 (en) 2003-02-10 2003-02-10 A composition for reducing blood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IL155136 2003-03-27
IL15513603A IL155136A0 (en) 2003-02-10 2003-03-27 A composition for reducing blood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672A KR20050121672A (ko) 2005-12-27
KR100959704B1 true KR100959704B1 (ko) 2010-05-25

Family

ID=32599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4677A KR100959704B1 (ko) 2003-02-10 2004-02-10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리드의 감소에 사용하기 위한디아실글리세롤 및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강화 오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60052351A1 (ko)
EP (1) EP1596670B1 (ko)
JP (1) JP2006517222A (ko)
KR (1) KR100959704B1 (ko)
AU (2) AU2004210244C1 (ko)
BR (1) BRPI0407338B8 (ko)
CA (1) CA2515290A1 (ko)
DK (1) DK1596670T3 (ko)
HK (1) HK1086168A1 (ko)
IL (2) IL155136A0 (ko)
NZ (1) NZ541887A (ko)
SI (1) SI1596670T1 (ko)
WO (1) WO200406915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47942A0 (en) * 2002-01-31 2002-08-14 Enzymotec Ltd Method of fractionation of phytosterol esters in oil and products obtained thereby
US20060233863A1 (en) 2003-02-10 2006-10-19 Enzymotec Ltd. Oils enriched with diacylglycerols and phytosterol esters and unit dosage forms thereof for use in therapy
US20080182801A1 (en) 2003-12-22 2008-07-31 Btg International Limited Core 2 glcnac-t inhibitors
GB0513881D0 (en) * 2005-07-06 2005-08-10 Btg Int Ltd Core 2 GLCNAC-T Inhibitors III
GB0329667D0 (en) * 2003-12-22 2004-01-28 King S College London Core 2 GlcNAc-T inhibitor
US20090232916A1 (en) * 2004-08-09 2009-09-17 Avidor Shulman Food products for diabetics
JP5118965B2 (ja) * 2004-08-10 2013-01-16 エンジモテック リミテッド 植物成分を必要とする治療方法
US20060286280A1 (en) * 2005-06-09 2006-12-21 Bradford Lisa L Compositions containing protein and DAG oil and methods for making them
GB0512726D0 (en) * 2005-06-22 2005-07-27 Btg Int Ltd Multiple sclerosis therapy and diagnosis
GB0513888D0 (en) 2005-07-06 2005-08-10 Btg Int Ltd Core 2 GLCNAC-T Inhibitors II
GB0513883D0 (en) * 2005-07-06 2005-08-10 Btg Int Ltd Diagnosis of Atherosclerosis
JP4852296B2 (ja) * 2005-10-27 2012-01-11 花王株式会社 血管炎症候群予防・治療剤
CN102176834A (zh) * 2008-08-11 2011-09-07 阿邦达营养学股份有限公司 富含二酰基甘油的脂肪、油和功能性食物
KR101760953B1 (ko) * 2008-09-04 2017-07-24 아밀린 파마슈티칼스, 엘엘씨. 비-수성 담체를 이용한 서방성 제형물
WO2010118362A1 (en) 2009-04-09 2010-10-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A Body Corporate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ducing physiological hypertrophy
KR100946641B1 (ko) * 2010-01-19 2010-03-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신코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이상지방혈증, 지방간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4529596A (ja) * 2011-08-16 2014-11-13 アボット・ラボラトリーズAbbott Laboratories 食事を変換する方法
JP5925638B2 (ja) 2011-08-22 2016-05-25 花王株式会社 油脂組成物
EP3023011B1 (en) 2013-06-24 2017-05-31 Mottainai Biomass Research Corporation Natural binder derived from lipophilic pith fibers (ground stem or stalk internal fibers) separated from sunflower stems or stalks for processed foods and processed foods contain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5000A1 (en) 2000-07-19 2002-04-18 Kao Corporation Edible oil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4236A (en) 1975-12-23 1977-12-20 Merck & Co., Inc. Peptide carbazat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DE3117934A1 (de) 1981-05-06 1982-12-09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3400 Göttingen Neues peptid, verfahren zu seiner gewinnung und dieses enthaltendes arzneimittel
JPS58500638A (ja) * 1981-05-07 1983-04-28 ユニリ−バ− ナ−ムロ−ゼ ベンノ−トシヤ−プ エステルの合成法
JPS608225A (ja) 1983-06-29 1985-01-17 Kowa Co 腸管吸収医薬組成物
JPS60136596A (ja) 1983-12-26 1985-07-20 Suntory Ltd ペプチド及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利尿剤
EP0231039B1 (en) 1986-01-14 1992-01-08 De Staat Der Nederlanden Vertegenwoordigd Door De Minister Van Welzijn, Volksgezondheid En Cultuur Process for preparing immunological complex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se complexes
US5164372A (en) 1989-04-28 1992-11-17 Fujisawa Pharmaceutical Company, Ltd. Peptide compounds having substance p antagonism, processes for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5439688A (en) 1989-07-28 1995-08-08 Debio Recherche Pharmaceutique S.A. Process for preparing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A2050425A1 (en) 1990-09-03 1992-03-04 Yoshiaki Ud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its mucous use
US5298246A (en) 1991-01-09 1994-03-29 Kanegafuch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JP2925391B2 (ja) 1992-01-09 1999-07-28 サントリー株式会社 Ards治療用医薬組成物
RU2107692C1 (ru) 1995-06-07 1998-03-27 Дейгин Владислав Исакович Пептид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JPH0827018A (ja) 1994-07-22 1996-01-30 Sanwa Kagaku Kenkyusho Co Ltd 生理活性ペプチド又は蛋白質を含有する薬剤組成物
US5843499A (en) * 1995-12-08 1998-12-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Agriculture Corn fiber oil its preparation and use
FR2750606B1 (fr) * 1996-07-03 1999-01-29 Maurel Sante Complexes organometalliques a base de sitosterols et de diglycerides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en contenant
US6046022A (en) * 1996-09-30 2000-04-04 Peking University Methods and compositions employing red rice fermentation products
JPH10231495A (ja) * 1996-12-20 1998-09-02 Jiyanifu Tec:Kk 抗肥満および内臓蓄積脂肪低減化機能を有する物質、およびその用途
DE69826592T2 (de) * 1997-08-22 2006-02-23 Unilever N.V.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tanolestern
AU8760898A (en) * 1997-09-24 1999-04-12 Enzymotec Ltd. Surfactant-lipase complex immobilized on insoluble matrix
BR9904796B1 (pt) * 1998-03-24 2012-02-22 composição de óleo ou gordura contendo fitosterol, composição de óleo ou gordura, produto alimentar, produto de bebida, e óleo de mesa de cozimento.
US6025348A (en) * 1998-04-30 2000-02-15 Kao Corporation Oil and fat composition containing phytosterol
FI111513B (fi) * 1998-05-06 2003-08-15 Raisio Benecol Oy Uudet fytosteroli- ja fytostanolirasvahappoesterikoostumukset, niitä sisältävät tuotteet sekä menetelmät niiden valmistamiseksi
US6277431B1 (en) * 1998-10-14 2001-08-21 Redeem, Inc. Anticholesterolemic edible oil
US6129945A (en) * 1998-12-10 2000-10-10 Michael E. George Methods to reduce free fatty acids and cholesterol in anhydrous animal fat
US6080173A (en) * 1999-05-26 2000-06-27 Idx Medical Ltd. Tissue punching instrument
US6365211B1 (en) * 1999-06-18 2002-04-02 The Procter & Gamble Co. Cooking aid with reduced foaming
JP2003512850A (ja) * 1999-11-03 2003-04-08 フォーブス メディ−テック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食用油または脂肪と、その中に実質的に溶解したフィトステロールおよび/またはフィロスタノールとを含む組成物、その製造方法、並びに心血管疾患およびその根底にある状態を治療または予防することにおけるその使用
US20020132035A1 (en) * 2001-01-10 2002-09-19 Dov Tamarkin Synthetic fat composition
JP4911815B2 (ja) * 2000-04-28 2012-04-04 株式会社Adeka 植物ステロール含有油脂組成物
JP4031219B2 (ja) * 2000-08-08 2008-01-09 花王株式会社 油脂組成物
US7008661B2 (en) * 2000-08-08 2006-03-07 Kao Corporation Oil/fat composition
KR20080064882A (ko) * 2000-11-13 2008-07-09 니폰스이산가이샤 에이코사펜타엔산(이피에이) 고농도 함유 두유류 및 그제조방법
SE523094C2 (sv) * 2001-01-11 2004-03-30 Karlshamns Ab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en fettkomposition som innehåller sterolestrar, fria steroler och glycerider, fettkomposition framställd genom förfarandet samt fettkompositionens användning
JP3746270B2 (ja) * 2001-01-29 2006-02-15 エムエルビー、エンタープライゼス、エルエルシー 抗コレステロール血症食用油
US6667068B2 (en) * 2001-01-29 2003-12-23 Kraft Foods Holdings, Inc. Method for preparing solid milk product
GB0104074D0 (en) * 2001-02-19 2001-04-04 Novartis Ag New composition
JP4995377B2 (ja) * 2001-04-26 2012-08-08 花王株式会社 油脂組成物
GB0114014D0 (en) * 2001-06-08 2001-08-01 Novartis Nutrition Ag Compostion and use
IL147942A0 (en) * 2002-01-31 2002-08-14 Enzymotec Ltd Method of fractionation of phytosterol esters in oil and products obtained thereby
US20060233863A1 (en) * 2003-02-10 2006-10-19 Enzymotec Ltd. Oils enriched with diacylglycerols and phytosterol esters and unit dosage forms thereof for use in therapy
US20040219188A1 (en) * 2003-05-02 2004-11-04 Comer Gail M. Composition and methods for nutritional management of patients with hepatic disease
US20050032757A1 (en) * 2003-08-06 2005-02-10 Cho Suk H. Nutritional suppleme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5000A1 (en) 2000-07-19 2002-04-18 Kao Corporation Edible oil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69150A2 (en) 2004-08-19
AU2004210244B9 (en) 2009-02-05
EP1596670A2 (en) 2005-11-23
EP1596670B1 (en) 2014-05-07
CA2515290A1 (en) 2004-08-19
KR20050121672A (ko) 2005-12-27
NZ541887A (en) 2007-05-31
BRPI0407338A (pt) 2006-01-10
IL170022A (en) 2015-11-30
AU2004210244A1 (en) 2004-08-19
US20060052351A1 (en) 2006-03-09
DK1596670T3 (da) 2014-07-28
WO2004069150A3 (en) 2004-09-23
SI1596670T1 (sl) 2014-08-29
BRPI0407338B8 (pt) 2021-05-25
HK1086168A1 (en) 2006-09-15
BRPI0407338B1 (pt) 2016-10-25
IL155136A0 (en) 2003-10-31
JP2006517222A (ja) 2006-07-20
AU2004210244C1 (en) 2009-07-16
AU2009200897B2 (en) 2011-12-08
AU2004210244B2 (en) 2008-12-11
AU2009200897A1 (en) 200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00897B2 (en) Oils enriched with diacylglycerols and phytosterol ester for use in the reduction of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US8507466B2 (en) Oils enriched with diacylglycerols and phytosterol esters and unit dosage forms thereof for use in therapy
La Lastra et al. Mediterrranean diet and health biological importance of olive oil
Aviram Interaction of oxidized low density lipoprotein with macrophages in atherosclerosis, and the antiatherogenicity of antioxidants
Sankar et al. A pilot study of open label sesame oil in hypertensive diabetics
KR101323513B1 (ko) 의학적 증상의 치료에서의 사용을 위한 피토스테롤에스테르(들) 및 1,3-디글리세라이드(들)의 혼합물
KR100678831B1 (ko) 피토스테롤 및/또는 피토스타놀 유도체
Soni et al. Chronic study of diacylglycerol oil in rats
JP2002534445A (ja) 血中コレステロール及び/又は血中トリグリセリドの低下方法
JP2005527539A (ja) 黒米からのアントシアニンの抽出方法およびその組成物
Chovančíková et al. Effects of hight–fat and Chlorella vulgaris feeding on changes in lipid metabolism in mice
EP2682116B1 (en) Metabolic syndrome ameliorating agent
ES2398847T3 (es) Composición que comprende uno o más fitoesteroles y/o fitoestanoles y glucomanano y usos de la composición para tratar trastornos de lípidos en individuos con y sin diabetes de tipo II
JP2006306812A (ja) 好酸球浸潤抑制剤
CN1809284B (zh) 用于降低胆固醇和甘油三酯的富含二酰甘油和植物甾醇酯的油
JPWO2011122389A1 (ja) 糖尿病の予防又は治療用油脂組成物
Kawabata et al. Influences of stearidonic acid-enriched soybean oil on the blood and organ biochemical parameters in rats
da Silva Marineli et al. Phytosterols: Biological effects and mechanisms of hypocholesterolemic action
Moghadasian et al. Anti-atherogenic effects of phytosteryl oleates in apo-E deficient mice
US8993551B2 (en) Composition for the regulation of the human immune system and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thereof
EP2090176B1 (en) Postprandial hyperglycemia-improving agent
Ho et al. Beneficial effects of plant sterols/stanols-containing milk powder on lipid metabolism in hamsters
CA2538494C (en) Composition for modulating blood parameters
Martchenko et al. Physiologic effects of the maqui berry (Aristotelia chilensis): a focus on metabolic homeostasis
KR20120017498A (ko)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