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894B1 - 판재의 부착 조정구 - Google Patents

판재의 부착 조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894B1
KR100940894B1 KR1020047004892A KR20047004892A KR100940894B1 KR 100940894 B1 KR100940894 B1 KR 100940894B1 KR 1020047004892 A KR1020047004892 A KR 1020047004892A KR 20047004892 A KR20047004892 A KR 20047004892A KR 100940894 B1 KR100940894 B1 KR 100940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ylinder
support surface
adhesiv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9478A (ko
Inventor
후쿠라마사오미
오카모토신이치
하마니시요이치
Original Assignee
고니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니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고니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9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9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1/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 F16B11/006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by glu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Abstract

길이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여 결합시킨 암 부재(1)를 구조체에, 수 부재(11)를 판재에 각각 부착하고, 조정한 간격을 접착제로 고정시켜서 판재를 구조체에 부착하도록 한 부착 조정구에 있어서, 암 부재는 지지면 중앙에 관통 구멍(3)이 설치된 외통(5)을, 수 부재는 지지면 중앙에 관통 구멍(13)이 설치된 내통(15)을 갖는다. 내외통 사이에는 간극(10)이 형성되고, 암 부재의 지지면에는 간극과 통하는 연통홈(6)이 형성된다. 수 부재의 지지면에는 접착제 주입 노즐을 안내하는 안내통(14)이 관통 구멍에 연통되어서 돌출설치되고, 안내통으로부터 주입한 접착제를 연통홈으로부터 내외통 사이의 간극에 도달시킨다.
접착 테이프, ABS 수지, 암수 부재, 노즐, 안내통, 돌기, 관통 구멍

Description

판재의 부착 조정구{FIXING/ADJUSTING TOOL OF PLATE MATERIAL}
본 발명은, 길이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여 결합시킨 암수 부재의 일방을 구조체에 타방을 판재에 각각 부착하고, 조정한 간격을 접착제로 고정시켜서 판재를 구조체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 부착 조정구에 관한 것으로, 천장이나 벽 등의 벽면에 화장판이나 내장용 바탕판을 부착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판재를 부착시킬 때에는, 일본 특개소 48-2932호 공보에서 개시되어 있는, 피설치부에 수분을 포함한 접착제를 경단 형상으로 도포하고, 그 위에 판재를 가압하면서 간격을 조정하여 판재를 접착시키는 방법이 한창 사용되고 있었다.
그렇지만, 대량으로 사용되는 접착제내의 수분이 곰팡이의 발생을 조장하는 것이 지적되고 있었기 때문에, 적은 접착제로 간격의 조정을 행할 수 있는 일본 특개평 7-300972호 공보 개시의 조정구가 제안되었다.
이 조정구는 바닥판에 접착제 주입구를 구비한 열가소성 수지제의 관을 부착한 부재와 바닥판에 그 외경이 관의 내경 이상의 크기로서 표면에 연속하는 홈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제의 봉형상체를 부착한 부재로 구성하고, 일방을 구조체에 부착하고, 타방을 판재에 부착시켜서 봉형상체를 관에 강제 삽입하고, 그 상태에서 접착제 주입구로부터 접착제를 주입함으로써, 조정한 간격을 고정시켜서 판재를 구조체에 부착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구성에서는, 관에 봉형상체를 강제 삽입한 뒤에 판재와 구조체와의 간격 조정을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밀고 당기기 작업에 큰 노동력을 요하게 된다.
또, 판재를 부착시킬 때, 위치 결정을 끝낸 단계에서 주입구로부터 봉형상체의 홈을 이용하여 관과의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시키지 않으면 안되게 된다. 따라서 판재는, 그 측면 가장자리측으로부터 조정구로 접착제를 주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의 것에 한정되게 되어, 큰 판재에 다수의 조정구를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이용할 수 없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길이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여 끼워맞추어지게 한 암수 부재의 일방을 구조체에 타방을 판재에 각각 부착하고, 조정한 간격을 접착제로 고정시켜서 판재를 구조체에 부착하도록 한 판재의 부착 조정구에 있어서, 암수 부재간에 미리 접착제를 주입시켜서 판재와 구조체와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다.
이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기술적 수단은, (가) 지지면 중앙에 관통 구멍을 설치하고 외통을 직립시킨 암 부재와 지지면 중앙에 관통 구멍을 설치하고 내통을 직립시킨 수 부재로 이루어지고, (나) 외통의 내경을 내통의 외벽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크기로 하고, (다) 일방의 부재의 지지면에 내외통이 형성하는 간극과의 연통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외측을 부착부로 하고, (라) 타방의 부재의 지지면에 접착제 주입 노즐을 안내하는 안내통을 관통 구멍에 연통시켜서 돌출설치하고, (마) 내외통의 수축 상태에서 안내통의 선단을 일방의 관통 구멍의 개구부에 맞닿게 하고, (바) 안내통으로부터 구조체 또는 판체에 부착시킨 지지면의 이면에 주입시킨 접착제를 연통부로부터 내외통의 간극에 도달시켜지도록 한 것 이다.
제 2 기술적 수단은, (사) 지지면 중앙에 관통 구멍을 설치하고 외통을 직립시킨 암 부재와 지지면 중앙에 관통 구멍을 설치하고 내통을 직립시킨 수 부재로 이루어지고, (아) 외통의 내경을 내통의 외벽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크기로 하고, (자) 일방의 부재의 지지면에 접착제 주입 노즐을 안내하는 안내통을 관통 구멍에 통과시켜서 돌출설치하는 동시에, (차) 내외통이 형성하는 간극에의 연통부를 형성하여 지지면의 외측을 부착부로 하고, (카) 안내통으로부터 구조체 또는 판체에 부착시킨 지지면의 이면에 주입시킨 접착제를 연통부로부터 내외통의 간극에 도달시켜지도록 한 것이다.
제 3 기술적 수단은 제 1, 2의 기술적 수단에서의 지지면의 이면의 구성을 개량한 것으로, 일방의 부재의 지지면의 이면에 내통의 둘레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그 직경보다 큰 직경의 접시형상 오목부를 형성하고, 오목부와 내외통의 간극과의 연통부를 지지면에 형성한 것이다. 제 4 기술적 수단은 외통의 선단 내벽면과 내통의 선단 외벽면에 결합가능한 돌기를 돌출설치한 것이고, 제 6 기술적 수단은 내외통의 단면형상을 원형으로 구성한 것이고, 제 5 기술적 수단은, 내통의 지지면측에 공기빼기용의 작은 구멍을 뚫어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암 부재의 지지면에 직립시킨 외통내에 수 부재의 지지면에 직립시킨 내통을 끼워맞추고, 내외의 통벽의 사이에 간극을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구조체 또는 판체에 대하여, 암수의 어느 부재를 부착시켜도 좋지만, 먼저 부착시킬 일방의 부재의 지지면에는 내외통 사이의 간극에 대응하는 위치에 연통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지지면의 이면과 간극이 연통되어져 있다. 지지면의 이면에서는 그 연통부의 외측을 부착부로 하고 있기 때문에, 양면 접착 테이프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재를 피부착부에 부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지지면의 이면 중앙부는 테이프나 접착제의 두께분만큼 피부착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게 된다.
타방의 부재의 지지면에는, 접착제 주입 노즐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통이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연통시켜서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통의 선단은, 내외통의 결합 수축 상태에서, 먼저 피부착부에 부착되어 있는 일방의 부재의 지지면 중앙의 관통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에 맞닿아져 있기 때문에, 안내통 선단과 관통 구멍과의 사이를 거의 수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일방의 부재를 구조체 또는 판체에 부착시켜, 타방의 부재를 이것에 끼워맞추고 내외통을 수축 상태로 한 후, 안내통을 이용하여 노즐로부터 접착제를 주입하면, 접착제는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지지면의 지지면의 이면측에 접하고, 이면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간극 및 연통부를 통과하여 내외통벽의 간극에 도달되어진다. 접착제는 요변성을 가진 겔 상태 내지 마요네즈 상태의 것이 사용되는데, 경화되어도 약간의 탄성을 갖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 조정구 자체에 쿠션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타방의 부재를 꺼냄으로써, 판재를 부착할 준비가 완료된다. 이 단계에서 타방의 지지면의 이면에 접착제의 도포와 양면 접착 테이프의 부착중의 어느 하나 또는 쌍방의 작업을 완료해 두게 된다.
양면 접착 테이프는 설치작업중에 판체를 가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영구부착은, 지지면의 이면측에 접한 접착제에 의해 행해진다. 이 가고정은 양면 접착 테이프 대신에 순간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부착 조정구를 구조체측에 먼저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구조체의 요철상태에 대응하여 돌출상태에 있는 지지면의 위치에 어긋남이 발생하고 있다. 이들 지지면에 대해 판재를 직립시키면서 전진시키면 타방의 부재의 지지면이 그 돌출위치에 따라 순차 판체에 접착해 가게 된다. 소정의 위치까지 판재를 전진시킴으로써 부착 위치에 대응하여 지지면이 밀리고,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판재의 전진을 정지시키면 지지면의 이동도 정지한다. 이 때, 내외통의 간극내에 충전되어 있는 접착제는, 통벽에 부착된 채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양생 경화시킴으로써 내외통이 고정되어, 판체의 구조체에의 부착이 완료된다.
또한, 판체를 일단 강하게 밀어서 지지면을 확실하게 판체에 부착시킨 후, 판체를 되돌려서 위치의 조정을 하도록 해도 좋다.
또, 부착 조정구를 판체에 먼저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돌출 상태에 있는 지지면은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된다. 부착 조정구를 부착시킨 판체를 직립시키면서 구조체측으로 전진시키면, 타방의 부재의 지지면이 구조체의 요철상태에 따라 구조체와 접착해 간다. 소정의 위치까지 판재를 전진시킴으로써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지지면이 밀리고,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지지면의 이동이 정지한다. 상기와 동일하게 접착제의 경화에 의해 판체의 구조체에의 부착이 완료한다.
이 경우도, 판체를 일단 강하게 밀어서 지지면을 확실하게 판체에 부착시킨 후, 판체를 되돌려서 위치의 조정을 할 수 있다.
제 2 기술적 수단은, 구조체 또는 판체에 대해 먼저 부착시키는 부재의 지지면측에 접착제 주입 노즐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통을 관통 구멍에 연통시켜서 돌출설치한 것으로, 접착제가 지지면의 이면측에 직접 주입되기 때문에, 상기 수단과 같이 안내통과 관통 구멍과의 실링이 문제가 되는 일은 없다.
타방의 지지면의 관통 구멍은, 안내통에 꽂아 넣는 노즐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이면 된다. 주입된 접착제의 압력에 의해 타방의 지지면이 떠오를 가능성이 있지만, 노즐의 측벽에서 관통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를 가압시키거나, 작업자가 손으로 지지면을 누르면서 주입 작업을 행함으로써 떠오름을 회피할 수 있다. 이 관통 구멍은, 안내통의 상단에 접촉시켜 두지 않아도, 접착제의 주입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또한, 판체의 구조체에의 설치 수순은, 상기 단락에서 설명한 수순과 거의 동일하게 된다.
제 1, 제 2 기술적 수단에 있어서, 피부착부에 먼저 부착시키는 일방의 부재의 이면에, 내통의 가장자리에 대응시키고, 그 직경보다 큰 직경의 접시형상 오목부를 형성하고, 오목부로부터 내외통 사이의 간극에 통하는 연통부를 지지면에 형성하면, 지지면의 이면과 피부착부와의 간극을 접착제층이나 테이프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면측에 접한 접착제를 내외통 사이의 간극에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외통의 선단 내벽면과 내통의 선단 외벽면에 걸기가능한 돌기를 돌출설치해 두면, 일방의 부재를 타방의 부재로부터 꺼낼 때에, 부착 조정구의 최장 상태에서 돌기끼리가 걸어지게 되므로, 부재끼리의 벌어짐을 방지하고, 작업중에 내외통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설치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내외통의 단면형상을 원형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내외통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지지면을 경사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구조체의 요철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면에 부재를 부착시켜도, 판재의 평면의 형성에 지장이 생기는 일은 없다. 또, 이 형태의 부착 조정구에서는, 구조체와 판재와의 층간에 진동이나 흔들림에 기인하는 변위가 발생해도, 내외통이 약간 회전함으로써 층간 변형에 추종시킬 수 있다.
더욱이, 수 부재의 내통의 지지면측에 관통 구멍을 뚫어서 설치해 두면,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때에 부재내의 공기를 원활하게 출입시킬 수 있게 된다.
내외통을 끼워맞추고 수축시킨 상태에서는, 타방의 통벽의 선단을 먼저 부착시키고 있는 일방의 지지면에 맞닿게 해 두면, 연통부를 통과한 접착제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주입한 접착제를 원활하게 내외통의 간극에 도달시키기 위해서, 그 간극의 상부측(외측의 지지면측)에서의 내통이나 외통의 벽면 또는 지지면에 공기빼기 용의 작은 구멍을 형성해 두면 편리하다. 이 공기구멍은, 접착제가 여기로부터 누출함으로써, 간극내에의 충전이 완료된 것을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 적어도 부재의 지지면을 투명체로 형성해 두면 접착제의 충전 상황을 시각에 의해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더 편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작은 구멍을 뚫어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 지지면의 점착테이프나 접착제에도 간극을 설치해 두면,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의 공기빼기 구멍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지지면에 형성하는 연통부는, 내외통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에 대응하여 형성되지만,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해 둠으로써 간극에 거의 균등한 속도로 도달시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내통의 외측과 외통의 내측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쌍방에 오목홈을 형성해 두면, 간극에 접착제를 충전시킨 상태에서 내외통을 밀고 당기고 하여 접착제가 이동해도, 접착제의 도중에서 끊김을 방지하여, 양자를 확실하게 접착제로 고정할 수 있다. 이 오목홈은, 나선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고,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형성해도 좋고, 이것들을 조합시킬 수도 있다.
부착 조정구에 미리 접착제를 주입시켜서 판재와 구조체와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어서, 부착 조정구의 고정, 접착제의 주입, 부재의 꺼내기를 행함으로써 구조체와 판체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효율이 극히 높아지고, 게다가, 큰 판체를 구조체에 부착하는 경우나 다수의 부착 조정구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경쾌하게 설치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사용하는 접착제의 량을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판재 부착 조정구에서의 암수 부재를 결합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중앙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판재 부착 조정구의 일부인 암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판재 부착 조정구의 일부인 수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판재 부착 조정구의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암수 부재를 결합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중앙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도시된 판재 부착 조정구의 일부인 암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도시한 판재 부착 조정구의 일부인 수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층간 변위 시험을 실시할 때의 판재의 고정 상태도이다.
도 1∼3은 제 1 기술적 수단에 대응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암수의 부재를 결합시킨 상태에서의 중앙 단면도, 도 2는 암 부재의 저면도, 도 3은 수 부재의 저면도이다.
암 부재(1) 및 수 부재(11)중 어느 쪽의 부재도 ABS 수지로 형성하고 있지만,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다른 수지로 형성해도 된 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암 부재(1)는, 직경 80mm의 지지면(2)의 표면에 내경 49mm, 높이 15mm의 단면 원형의 외통(5)을 직립시킨 구성이며, 수 부재(11)는, 직경 80mm의 지지면(12)의 이면에 외경 46mm, 높이 15mm의 단면 원형의 내통(15)을 직립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내외통(15, 5)을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내외통 벽의 사이에 1.5mm의 간극(10)이 형성되게 된다. 이들의 치수는, 부착할 판체의 크기, 무게, 강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설계되게 된다.
암 부재의 지지면(2)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접착제를 주입하기 위한 관통 구멍(3)이 뚫어 설치되어 있고, 또, 이면에는 이 관통 구멍(3)을 중심으로 하여 접시 형상의 오목부(4)가 형성되어 있어서, 그 외주는, 외통(5)의 기단부에 도달해 있다. 오목부(4)의 외주부의 내측에는, 지지면에 연통부로서의 홈(6, 6)을 단속적으로 설치하고 간극(10)과 연통시키고 있다.
도 1에서는 오목부(4)의 외측에 양면 접착 테이프(9)를 부착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도 2에서는 테이프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부재(1)를 도시하지 않은 구조체나 판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지지면과의 사이에 오목부(4)의 깊이에 이 테이프(9)의 두께를 더한 깊이의 간극이 형성되게 된다.
수 부재(11)의 지지면(12)의 중앙에는, 관통 구멍(13)이 뚫어 설치되어 있고, 그 이면에는, 이것에 연속하여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 주입 노즐을 삽입하는 안내통(14)을 돌출설치시키고 있다. 이 안내통(14)의 기단측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노즐 삽입시에 안내하는 동시에 노즐 벽이 수 부재(11)를 가압하면 서 접착제를 주입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안내통(14)의 선단부에는 단차부(16)를 형성하고 선단부가 가늘게 형성되어 있고, 안내통(14)의 선단부가 관통 구멍(3)의 내측에 진입하는 동시에 단차부(16)가 관통 구멍(3)의 개구 가장자리를 가압함으로써, 수밀 상태를 형성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단차부 대신에 테이퍼 벽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외통(5)의 상단부 내측에 돌기(8, 8)가, 내통의 하단부 외측에 돌기(18, 18)가 각각 돌출시켜져 있어서, 끼워맞춤 상태에 있는 내외통(15, 5)을 꺼낼 때는, 돌기끼리(8, 18)가 서로 걸어맞추어져서 상호 이탈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내외통(15, 5)이 원활하게 끼워맞추어지도록, 돌기(8)의 상단부 내측 및 돌기(18, 18)의 하단부 외측 부분을 테이퍼 벽으로 구성하고 있다. 각 돌기(8, 18)는, 둘레 방향으로 4개씩 형성되어 있지만, 돌기의 개수 및 그 간격은 부재의 크기 등에 대응하여 적당히 설계하게 된다. 돌기를 링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 내통(15)의 지지면측에는, 공기빼기용의 작은 구멍(7, 7)이 뚫어 설치되어 있어서, 접착제의 주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수 부재(11)를 이동시키는 정도로 공동(20)내와 외측과의 공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4∼6은 제 2 기술적 수단에 대응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4는 암수의 부재를 결합시킨 상태에서의 중앙단면도, 도 5는 암 부재의 저면도, 도 6은 수 부재의 저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안내통(24)을 암 부재(1)측에 설치한 점, 및 수 부재의 지지면 형상을 방형으로 한 점에서 상기한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안내통(24)은, 관통 구멍(3)에 연속하여 지지면(2)의 표면에 돌출설치시켜져 있고, 그 상단은, 수 부재(11)의 지지면 중앙에 뚫어 설치한 관통 구멍(13)의 내측에 접해져 있고, 그곳에서 직접 접착제를 주입하게 된다. 또한, 접착제 주입시에 있어서의 지지면(12)의 떠오름을 방지하기 위해서, 접착제 주입 노즐에 칼라를 돌출설치시키고, 이 칼라로 지지면을 가압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접착제의 주입이 완료해도, 안내통(24), 내통(15), 지지면(2, 12)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은 밀봉 상태로 되지 않기 때문에, 수 부재(11)를 꺼낼 때에 저항이 걸리지 않는다.
수 부재(11)의 지지면(12)에는 끝 가장자리를 따라 작은 구멍(17, 17)을 뚫어 설치하고 있다. 수 부재(11)를 구조체 또는 판체에 접착시키기 위해서, 지지면(12)의 표면에 끝 가장자리를 따라 접착제를 도포하면, 구조체 또는 판체에 수 부재(11)를 가압한 단계에서, 접착제가 작은 구멍(17)을 통과하여 이면측에 접하기 때문에, 스스로 앵커 작용을 수행하여, 구조체나 판체와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다음에 도 1∼3에 도시한 부착 조정구를 이용해서 구조체에 판재를 부착하고, 구조체와 판재 사이에 층간 변위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의 추종 성능의 시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험체)
ALC판(발포 콘크리트판)(27)에 부착 조정구(29)를 사용하여 석고 보드(28)를 고정한 벽체를 사용했다.
ALC판은, W600mm×H299mm×t100mm 크기의 것 6장을 세로로 병렬시키고, 상하의 가상 거더(25, 26)에 핀 지지에 의해 층간 변형에 대하여 회전하는 기구로 부착하여 가상의 구조체를 형성했다.
석고 보드는 두께 12.5mm×폭 910mm의 것 4장, 하단은 길이 1820mm의 것을, 상단은 길이 1170mm의 것 4장을 병렬시켰다.
부착 조정구(29)는, ABS수지로 형성하고, 변성 실리콘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ALC판(27)과 보드(28)를 고정하고 있다. 또한, 도면중의 숫자는 부착 조정구의 간격을 나타낸 것으로, 단위는 mm이다.
(시험 방법)
시험은, JIS 1414 「건재용 구성재(패널) 및 그 구조부분의 성능시험 방법」의 6.19(조립된 비내력용 패널의 면내 전단 굽힘에 의한 변형 성능 시험)에 기초하여 대형면내 전단시험 장치를 사용하고, 하부측을 유압 서보 액추에이터로 수평으로 힘을 가하고, 시험체의 정적층간 변위를, 가상 구조체의 높이에 대한 좌우측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를 표 1의 사이클에 따라서 서서히 크게 하는 방법에 의해 행했다. 표 1에서의 +는 우측 방향, -는 좌측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4013720225-pct00001
(시험 결과)
최종 사이클까지의 정적 부하 적재에서, 일부의 부착 조정구를 접착한 부위에서의 보드의 표면지의 박리가 확인되었는데, 보드 및 부착 조정 장치의 탈락 및 보드의 면 밖으로의 밀어내기나 떠오름 등의 이상은 확인할 수 없었다.
ALC판은 층간 변형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추종하고 있지만, 상기 결과로부터, ALC판의 회전에 동반하여 부착 조정구의 부재간의 상대적 회전을 이용해서 보드도 회전함으로써 대강 ALC판에 추종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6)

  1. 길이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여 결합시킨 암수 부재의 일방을 구조체에 타방을 판재에 각각 부착하고, 조정한 간격을 접착제로 고정시켜서 판재를 구조체에 부착하도록 한 판재의 부착 조정구에 있어서, 지지면 중앙에 관통 구멍을 설치하고 외통을 직립시킨 암 부재와 지지면 중앙에 관통 구멍을 설치하고 내통을 직립시킨 수 부재로 이루어지고, 외통의 내경을 내통의 외벽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크기로 하고, 상기 암 부재와 수 부재중 어느 한 부재의 지지면에 내통과 외통 사이에 형성된 간극과 연통하는 연통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연통부의 외측을 부착부로 하고, 타방의 부재의 지지면에 접착제 주입 노즐을 안내하는 안내통을 관통 구멍에 연통시켜서 돌출설치하고, 내외통의 수축 상태에서 안내통의 선단을 일방의 관통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에 접촉시키고, 안내통으로부터 구조체 또는 판체에 부착시킨 지지면의 이면에 주입시킨 접착제를 연통부로부터 내외통의 간극에 도달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부착 조정구.
  2. 길이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여 결합시킨 암수 부재의 일방을 구조체에 타방을 판재에 각각 부착하고, 조정한 간격을 접착제로 고정시켜서 판재를 구조체에 부착하도록 한 판재의 부착 조정구에 있어서, 지지면 중앙에 관통 구멍을 설치하고 외통을 직립시킨 암 부재와 지지면 중앙에 관통 구멍을 설치하고 내통을 직립시킨 수 부재로 이루어지고, 외통의 내경을 내통의 외벽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크기로 하고, 상기 암 부재와 수 부재의 어느 한 부재의 지지면에 접착제 주입 노즐을 안내하는 안내통을 관통 구멍과 연통시켜서 돌출설치하는 동시에, 내통과 외통 사이에 형성된 간극과 연통하는 연통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면의 외측을 부착부로 하고, 안내통으로부터 구조체 또는 판체에 부착시킨 지지면의 이면에 주입시킨 접착제를 연통부로부터 내외통의 간극에 도달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부착 조정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일방의 부재의 지지면의 이면에 내통의 둘레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그 직경보다 큰 직경의 접시형상 오목부를 형성하고, 오목부와 내외통 사이의 간극과의 연통부를 지지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판재의 부착 조정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외통의 선단 내벽면과 내통의 선단 외벽면에 걸기가능한 돌기를 돌출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부착 조정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내외통의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부착 조정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내통의 지지면측에 작은 구멍을 뚫어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의 부착 조정구.
KR1020047004892A 2001-10-04 2002-10-01 판재의 부착 조정구 KR100940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08163 2001-10-04
JPJP-P-2001-00308163 2001-10-04
PCT/JP2002/010222 WO2003031749A1 (fr) 2001-10-04 2002-10-01 Outil de fixation / ajustement pour materiau en plaqu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9478A KR20040039478A (ko) 2004-05-10
KR100940894B1 true KR100940894B1 (ko) 2010-02-09

Family

ID=1912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892A KR100940894B1 (ko) 2001-10-04 2002-10-01 판재의 부착 조정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428802B2 (ko)
EP (1) EP1441084B1 (ko)
KR (1) KR100940894B1 (ko)
CN (1) CN100339544C (ko)
AT (1) ATE474976T1 (ko)
DE (1) DE60237096D1 (ko)
HK (1) HK1068384A1 (ko)
TW (1) TW533260B (ko)
WO (1) WO20030317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74812B2 (en) * 2007-01-09 2009-08-18 Masco Corporation Pivot plate leveler
US8387316B2 (en) * 2008-03-04 2013-03-05 Jose Leon Garza Assembly system for insulating floors
US9003662B2 (en) 2013-01-31 2015-04-14 B/E Aerospace, Inc. Insert and method for anchoring in a cored panel
JP2015077203A (ja) * 2013-10-16 2015-04-23 Dipperホクメイ株式会社 取手および取手の取付方法
CN104790611B (zh) * 2015-03-27 2017-03-08 温州变则通企业管理咨询服务有限公司 由驱动杆驱动且带夹持架的建筑装饰面板及其贴附方法
CN104790612B (zh) * 2015-03-27 2017-02-01 谢彩红 使用夹持架和挡块的建筑装饰面板及其贴附方法
CN108340295B (zh) * 2017-01-23 2020-05-15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胶接工装
CN108591202B (zh) * 2018-06-29 2023-11-21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衬板固定结构及固定方法
CN110158848B (zh) * 2019-06-11 2021-06-15 东阳市天杨建筑工程设计有限公司 复合建筑砌块
CN110496755B (zh) * 2019-07-26 2021-02-12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一种固化工装的装配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3414A (ja) * 1992-12-10 1994-06-21 Japan Commun Sci:Kk 間隔調整装置
JPH07300972A (ja) * 1994-04-28 1995-11-14 Sogo Kikaku Kensetsu Kk 連結具
JPH09324518A (ja) * 1996-06-06 1997-12-16 Sekisui Chem Co Ltd 床材に用いる接着固定部材
JPH10292455A (ja) 1997-04-17 1998-11-04 Toto Ltd 床パンの高さ調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3552A (en) * 1967-01-30 1970-08-11 John F Ogden Passageway forming sleeve
US4241553A (en) * 1979-02-05 1980-12-30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Mobile home ceiling construction and method for making
US4598519A (en) * 1984-09-10 1986-07-08 Reid Daniel B Composite concrete walls having tie and form spacer
JPH02256762A (ja) * 1989-03-30 1990-10-17 Inoue Mtp Co Ltd 内装下地ボードの取り付け方法
JP2707397B2 (ja) * 1993-04-21 1998-01-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床パネル支持脚および二重床
CN2193393Y (zh) * 1994-01-05 1995-03-29 王景川 装饰用壁板
JPH07292932A (ja) * 1994-04-25 1995-11-07 Heiji Sano 壁板と建造物壁面との接合具
CN2258894Y (zh) * 1996-07-02 1997-08-06 李炳庆 方便装饰板
US5772356A (en) * 1997-02-21 1998-06-30 Collins; Samuel W. Adjustable column connector apparatus
US6298633B1 (en) * 1999-02-03 2001-10-09 Shur-Lok Corporation Panel spacer and method and apparatus of install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73414A (ja) * 1992-12-10 1994-06-21 Japan Commun Sci:Kk 間隔調整装置
JPH07300972A (ja) * 1994-04-28 1995-11-14 Sogo Kikaku Kensetsu Kk 連結具
JPH09324518A (ja) * 1996-06-06 1997-12-16 Sekisui Chem Co Ltd 床材に用いる接着固定部材
JPH10292455A (ja) 1997-04-17 1998-11-04 Toto Ltd 床パンの高さ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37096D1 (de) 2010-09-02
ATE474976T1 (de) 2010-08-15
EP1441084B1 (en) 2010-07-21
CN1564900A (zh) 2005-01-12
KR20040039478A (ko) 2004-05-10
CN100339544C (zh) 2007-09-26
WO2003031749A1 (fr) 2003-04-17
US20040244319A1 (en) 2004-12-09
EP1441084A4 (en) 2007-12-26
HK1068384A1 (en) 2005-04-29
EP1441084A1 (en) 2004-07-28
US7428802B2 (en) 2008-09-30
TW533260B (en) 2003-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894B1 (ko) 판재의 부착 조정구
US7625623B2 (en) Joints formed by joining structures
CA2542535A1 (en) Method for preparing in-ground tunnel structures
CN101159399A (zh) 用于将构成磁极的永久磁铁固定在电机的转子上的方法
ATE464170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ensteranordnung und fensterscheibe
EP1282219A4 (en) PLATE FOR A FLAT LINEAR MOTOR
JP3686891B2 (ja) 板材の取付調整具
CN111622520B (zh) 一种避免植筋胶漏胶的装置
JPH0960306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止水器具
JPH0381467A (ja) ひび割れ補修方法及びこの方法に用いる接着剤注入装置
JP3716397B2 (ja) 中空部材への取付下地の形成方法及び中空部材の取付下地
JP2000248750A (ja) 後施工アンカー埋設工法および埋設工法用治具
CN213115291U (zh) 一种外墙保温装饰结构
WO1998039592A3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lining of pipes
CN220378649U (zh) 一种被动式建筑用锚栓
JP2835561B2 (ja) タイル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4418307B2 (ja) 板材の取付調整具
JP2011058317A (ja) 取付下地の形成方法及びその形成方法に用いる取付下地形成工具
JP2004324090A (ja) 板材の取付調整具
JPH02256762A (ja) 内装下地ボードの取り付け方法
JP3610836B2 (ja) 手摺りの取り付け方法
JPH0528288Y2 (ko)
JPH09182542A (ja) 水槽内壁面板の取付方法
CN113482391A (zh) 化学锚栓自动植栓机构
JP2001193116A (ja) 天板とシンクの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