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757B1 - 단말기 접속 장치, 접속 제어 장치 및 다기능 전화 단말기 - Google Patents

단말기 접속 장치, 접속 제어 장치 및 다기능 전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757B1
KR100929757B1 KR1020047019358A KR20047019358A KR100929757B1 KR 100929757 B1 KR100929757 B1 KR 100929757B1 KR 1020047019358 A KR1020047019358 A KR 1020047019358A KR 20047019358 A KR20047019358 A KR 20047019358A KR 100929757 B1 KR100929757 B1 KR 100929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terminal
packet
communicatio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2255A (ko
Inventor
마사요시 손
미쯔오 구로베
Original Assignee
소프트뱅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프트뱅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프트뱅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12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04W40/14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based on s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23Media gateways
    • H04L65/103Media gateway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33Signalling gateways
    • H04L65/104Signalling gateway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43Gateway controllers, e.g.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GCP]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04M7/0057Services where the data services network provides a telephone service in addition or as an alternative, e.g. for backup purposes, to the telephone service provided by the telephone service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04M7/0066Details of access arrangements to the networks
    • H04M7/0069Details of access arrangements to the networks comprising a residential gateway, e.g. those which provide an adapter for POTS or ISDN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0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gateways and public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8Indicating faults in circuits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8Indicating faults in circuits or apparatus
    • H04M3/12Marking faulty circuits "busy"; Enabling equipment to disengage itself from faulty circuits ; Using redundant circuits; Response of a circuit, apparatus or system to an err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18Call detai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VoIP 게이트웨이(50a)는, 전화 단말기(17a)로부터 송신되는 접속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호출처의 전화 번호와 VoIP 게이트웨이(50a)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접속 요구를 IP 망(2) 또는 PSTN(1) 중 어느 하나에 송신하는 것이다. 또한, VoIP 게이트웨이(50a)는, IP 망(2)을 통한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IP 망(2)에 송신한다고 결정한 해당 접속 요구를 PSTN(1)에 송신하는 것이다. 또한, VoIP 게이트웨이(50a)는, 호출처의 전화 번호에 소정의 식별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접속 요구를 강제적으로 PSTN(1)에 송신할 수 있다.
전화 단말기, 통신, 접속 요구, 식별 정보, IP 망

Description

단말기 접속 장치, 접속 제어 장치 및 다기능 전화 단말기{TERMINAL CONNECTION DEVICE, CONNECTION CONTROL DEVICE, AND MULTI-FUNCTION TELEPHONE TERMINAL}
본 발명은, 패킷망에 의한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 접속 장치, 접속 제어 장치 및 다기능 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정보 기술(IT)의 진전에 수반하여, 지금까지의 가입 전화 서비스(Plain Old Telephone System, POTS) 외에 Voice over IP(VoIP) 기술을 채용한 IP 전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IP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망(IP 망)과, 가입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공중 전화 회선망(PSTN)과 접속되는 단말기 접속 장치, 소위 VoIP 게이트웨이에 통신 단말기, 즉 종래에 이용되고 있는 아날로그 전화 단말기 등을 접속함으로써, 해당 통신 단말기는, 패킷망 혹은 공중 전화 회선망을 경유하여 다른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패킷망과 공중 전화 회선망은, 소정의 신호 변환을 행하는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통신 단말기는, 공중 전화 회선망에만 접속되어 있는 다른 통신 단말기와도 통신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호출처의 통신 단말기와 패킷망을 통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패킷망 또는 공중 전화 회선망을 통하여 통신을 행할지에 대해, 단말기 접속 장치에 지시해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호출처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패킷망 또는 공중 전화 회선망 중 어느 하나의 망을 경유하여 통신을 행할지를 결정하여, 패킷망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공중 전화 회선망을 경유하는 통신을 행함과 함께, 호출처의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로의 경로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단말기 접속 장치, 접속 제어 장치 및 다기능 전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패킷 데이터를 송수하는 패킷망과, 음성 대역 신호를 송수하는 공중 전화 회선망과, 호출처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통신 단말기를 접속하고, 접속 요구를 패킷망 또는 공중 전화 회선망 중 어느 하나에 송신하는 단말기 접속 장치로서, 접속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호출처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접속 요구를 패킷망 또는 공중 전화 회선망 중 어느 하나에 송신하는 접속 처리부와, 패킷망을 통한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패킷망 상태 판정부를 구비하여, 접속 처리부가, 패킷망 상태 판정부에 의해 패킷망을 통한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패킷망에 송신한다고 결정한 접속 요구를 공중 전화 회선망에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접속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호출처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단말기 접속 장치가 접속 요구를 패킷망 또는 공중 전화 회선망 중 어느 하나에 송신할지 결정하기 때문에,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패킷망 또는 공중 전화 회선망 중 어느 하나의 망을 경유하여 통신해야 될지를 결정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패킷망 상태 판정부에 의해 패킷망을 통한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접속 처리부가, 패킷망에 송신한다고 결정한 접속 요구를 공중 전화 회선망에 송신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패킷망이 사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의식하지 않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특징에서, 접속 처리부가, 접속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호출처의 전화 번호에 소정의 식별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속 요구를 공중 전화 회선망에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호출처의 전화 번호에 소정의 식별 정보, 예를 들면 전화 번호와의 식별이 가능한 특정한 숫자가 연속되는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속 요구가 공중 전화 회선망에 송신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임의로, 용이하게 패킷망 또는 공중 전화 회선망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특징에서, 접속 처리부가 패킷망에 송신한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패킷망만을 경유하는 제1 통신로 또는 패킷망과 공중 전화 회선망을 경유하는 제2 통신로 중 어느 하나가 호출처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통신 단말기로 설정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소정의 패킷 데이터를 패킷망으로부터 수 신하고, 수신한 소정의 패킷 데이터에 기초하여, 접속 요구를 송신한 통신 단말기에 제1 통신로 또는 제2 통신로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었는지를 통지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경로 정보 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패킷 신호를 송수하는 패킷망과, 음성 대역 신호를 송수하는 공중 전화 회선망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 접속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호출처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단말기 접속 장치와 호출처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로를 설정하여, 패킷망 상에 설치되어 있는 접속 제어 장치로서, 패킷망만을 경유하는 통신로 또는 패킷망과 공중 전화 회선망을 경유하는 통신로 중 어느 하나를 호출처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설정했는지를 나타내는 소정의 패킷 데이터를 단말기 접속 장치에 송신하는 경로 정보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본 발명의 제4 특징에서, 경로 정보 송신부가, 소정의 패킷 데이터를 대신하여, 패킷망만을 경유하는 통신로 또는 패킷망과 공중 전화 회선망을 경유하는 통신로 중 어느 하나를 호출처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설정했는지를 나타내는 음성 대역 신호의 패킷을 단말기 접속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내지 제5 특징에 따르면, 패킷망만을 경유하는 통신로 또는 패킷망과 공중 전화 회선망을 경유하는 통신로 중 어느 하나가 호출처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통신 단말기로 설정되었는지를 통지하는 신호가, 접속 요구를 송신한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송신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송신한 접속 요구에 대하여, 패 킷망만을 경유하는 통신로, 또는 패킷망과 공중 전화 회선망을 경유하는 통신로 중 어느 하나가 호출처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통신 단말기로 설정되었는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은, 음성 통화용의 음성 대역 신호의 입출력 처리를 행하는 음성 신호 처리부와, 공중 전화 회선망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행할지, 또는 패킷망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행할지를 선택하는 접속 처리부와, 패킷망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행하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 음성 대역 신호와 패킷망 상에서 통신 가능한 패킷 데이터와의 사이의 변환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부와,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선을 통하여, 패킷망과의 사이에서, 음성 대역 신호가 변환된 패킷 데이터를 송수하는 패킷 송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접속 처리부가, 공중 전화 회선망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행할지, 또는 패킷망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행할지를 선택하여, 패킷 송수신부가,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선(ADSL)을 통하여 IP 망과의 사이에서, 음성 대역 신호가 변환된 패킷 데이터를 송수한다. 이 때문에, 일반 전화 회선(가입자선)에 다기능 전화 단말기를 접속하는 것만으로, 브로드밴드 통신을 이용한 IP 전화가 가능해지고, 번잡한 접속 작업 및 배선을 회피할 수 있음과 함께, 사용자가, 패킷망 또는 공중 전화 회선망 중 어느 하나의 망을 경유하여 통신해야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은, 본 발명의 제6 특징에서, 접속 처리부가, 패킷망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행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 공중 전화 회선망을 통하여 음 성 통화를 행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호출처의 통신 단말기가 패킷망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공중 전화 회선망을 통하여, 해당 호출처의 전화 단말기(예를 들면, 다기능 전화 단말기나 일반 전화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패킷망이 사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의식하지 않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은, 본 발명의 제6 특징에서,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기지국으로서 PHS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한 기지국부를 구비하고, 음성 신호 처리부는, 기지국부를 통하여 PHS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음성 대역 신호의 입출력 처리를 행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9 특징은, 본 발명의 제6 특징에서, 코드리스 친기(親機)로서 코드리스 자기(子機)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한 친기부를 구비하고, 음성 신호 처리부가, 친기부를 통하여 코드리스 자기와의 사이에서 음성 대역 신호의 입출력 처리를 행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 특징은, 본 발명의 제6 특징에서, 무선 LAN 통신에 의해 휴대 정보 단말기와의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카드가 삽입 가능한 슬롯을 구비하고, 패킷 송수신부가,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선을 통하여, 패킷망과의 사이에서, 슬롯에 삽입된 통신 카드를 통하여 휴대 정보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통신된 패킷 데이터를 송수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패킷 송수신부가,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선을 통하여 패킷망과의 사이에서, 슬롯에 삽입된 통신 카드를 통하여 휴대 정보 단말기와의 사 이에서 통신된 패킷 데이터를 송수하기 때문에, 번잡한 접속 작업 및 배선을 필요로 하지 않고, 휴대 정보 단말기에 대하여 인터넷 상시 접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특징은, 본 발명의 제6 특징에 있어서, 비디오 전화용의 비디오 신호의 입출력 처리를 행하는 비디오 전화 처리부를 구비하고, 비디오 전화 처리부가, 비디오 신호와 패킷망 상에서 통신 가능한 패킷 데이터와의 사이의 변환 처리를 행하여, 패킷 송수신부가,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선을 통하여, 패킷망과의 사이에서, 비디오 전화 처리부 사이에서 통신된 패킷 데이터를 송수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접속 장치 및 접속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접속 장치의 기능 블록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접속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접속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경로 통지 신호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접속 장치에 의한 접속 요구의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접속 장치의 패킷망 상태 판정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수순을 도시하는 시퀀스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수순을 도시하는 시퀀스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 단말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 단말기의 기능 블록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 단말기의 기동 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통신 수순을 도시하는 시퀀스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시의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1 실시예]
(단말기 접속 장치 및 접속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접속 장치 및 접속 제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접속 장치 및 접속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VoIP 게이트웨이(50a)(단말기 접속 장치)는, 가입 전화 서비스(POTS)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인 공중 전화 회선망(1)(이하, PSTN(1))과, IP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인 IP 망(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음성 대역 신호를 송수하는 아날로그 전화 단말기인 전화 단말기(70a)(통신 단말기)가, VoIP 게이트웨이(50a)에 접속되어 있다.
VoIP 게이트웨이(50a)는, 전화 단말기(70a)와 음성 대역 신호를 송수함과 함께, 해당 음성 대역 신호와 IP 패킷과의 변환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VoIP 게이트웨이(50a)는, PSTN(1)과 음성 대역 신호를, IP 망(2)과 IP 패킷을 송수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VoIP 게이트웨이(50a)는, 전화 단말기(70a)로부터 송신되는 호출처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해당 접속 요구를 PSTN(1) 또는 IP 망(2) 중 어느 하나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VoIP 게이트웨이(50a)와, PSTN(1) 및 IP 망(2)은, 예를 들면 메탈릭 가입자 회선 상에서 디지털 전송을 실현하는 xDSL(Digital Subscriber Line) 모뎀과, 음성 대역 신호와 xDSL 모뎀 신호와의 분리 및 다중을 행하는 스플리터를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다. 또한, VoIP 게이트웨이(50a)는, xDSL 모뎀을 내장할 수도 있다.
한편, VoIP 게이트웨이(50b)도 PSTN(1) 및 IP 망(2)에 접속됨과 함께, 전화 단말기(70b)가 VoIP 게이트웨이(50b)에 접속되어 있다. VoIP 게이트웨이(50b)는, 전술한 VoIP 게이트웨이(50a)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IP 망(2)은, 본 실시예에서는, IP 패킷을 송수하는 레이어3 스위치인 L3SW(21a, 21b)와, PSTN(1)에서 송수되는 음성 대역 신호와 IP 망(2)에서 송수되는 패킷 데이터와의 변환을 행하는 게이트웨이(12)와, 전화 단말기 사이의 통신로를 설정하는 콜에이전트(20)(접속 제어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콜에이전트(20)는, VoIP 게이트웨이(50a) 또는 VoIP 게이트웨이(50b)로부터 송신된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전화 단말기 사이의 통신로를 설정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콜에이전트(20)는,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에서 규정되는 MGC(Media Gateway Controller)로서 동작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MGCP에 기초하여 VoIP 게이트웨이(50a)(50b) 또는 게이트웨이(12)와 통신로의 설정에 관한 처리 등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PSTN(1)에는, 디지털 전화 단말기인 전화 단말기(71)가 접속됨과 함께, 게이트웨이(12)를 통하여, PSTN(1)와 IP 망(2)이 접속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네트워크 구성에서는, 경로가 서로 다른 통신로를 전화 단말기(70a)와 전화 단말기(70b)와의 사이에 설정할 수 있다. 즉, 전화 단말기(70a)와 전화 단말기(70b)와의 통신로는, 이하에 기재하는 경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설정된다.
(a) VoIP 게이트웨이(50a)-L3SW(21a)-IP 망(2)-L3SW(21b)-VoIP 게이트웨이(50b)
(b) VoIP 게이트웨이(50a)-L3SW(21a)-IP 망(2)-게이트웨이(12)-PSTN(1)-VoIP 게이트웨이(50b)
(c) VoIP 게이트웨이(50a)-PSTN(1)-VoIP 게이트웨이(50b)
본 실시예에서는, VoIP 게이트웨이(50a)(50b) 및 콜에이전트(20)는, 가능한 한 IP 망(2)을 경유하는 통신로, 즉 (a) 또는 (b)에 도시한 경로에 의한 통신로를 설정한다. 단, IP 망(2)의 일부에 장해가 발생하는 경우(예를 들면 레이어3 스위치)에는, 게이트웨이(12)를 통하여 IP 망(2) 및 PSTN(1)을 경유하는 통신로가 설정된다. 또한, VoIP 게이트웨이(50a)는, 전화 단말기(70a)(70b)의 사용자가, 소정의 정보를 전화 번호에 부가함으로써 PSTN(1)을 지정한 경우, PSTN(1)만을 경유하는 통신로가 설정된다.
또한, 전화 단말기(70a) 또는 전화 단말기(70b)와 PSTN(1)에만 접속되어 있는 전화 단말기(71)와의 통신로는, 이하에 기재하는 경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설정된다.
(a) VoIP 게이트웨이(50a)(50b)-L3SW(21a)(21b)-IP 망(2)-게이트웨이(12)- PSTN(1)
(b) VoIP 게이트웨이(50a)(50b)-PSTN(1)
전화 단말기(70a) 또는 전화 단말기(70b)와 전화 단말기(71)와의 통신로에 대해서도, VoIP 게이트웨이(50a)(50b) 및 콜에이전트(20)는, 가능한 한 IP 망(2)을 경유하는 통신로, 즉 (a)에 기재한 경로에 의한 통신로를 설정한다. 단, IP 망(2)을 통하여 처리할 수 없는 특수한 서비스(예를 들면 착신자 과금 서비스)를 이용하는 통신에 대해서는, (b)에 기재한 경로에 의한 통신로가 설정된다.
(단말기 접속 장치의 구성)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접속 장치, 즉 VoIP 게이트웨이(50a)의 기능 블록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VoIP 게이트웨이(50b)도 VoIP 게이트웨이(50a)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하 VoIP 게이트웨이(50a)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VoIP 게이트웨이(50a)는, 단말기 접속부(51)와, IP 망 접속부(52)와, 공중 전화 회선망(PSTN) 접속부(53)와, 기억부(54)와, 접속 처리부(55)와, IP 망 상태 판정부(56)와, 경로 정보 처리부(57)와, 신호 변환부(58)를 갖고 있다.
단말기 접속부(51)는, 전화 단말기(70a)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기 접속부(51)는, RJ-11 커넥터를 갖는 FXS(Foreign Exchange Station)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전화 단말기(70a)와 음성 대역 신호 등을 송수한다. 또한, 단말기 접속부(51)는, 전화 단말기(70a)의 작동 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것 등을 할 수 있다.
IP 망 접속부(52)는, IP 망(2)과의 가입자 회선을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100BASE-TX 등의 LAN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IP 망 접속부(52)는, xDSL 모뎀을 통하여 메탈릭 가입자 회선에 접속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VoIP 게이트웨이(50a)가 xDSL 모뎀을 내장하는 경우에는, IP 망 접속부(52)가 xDSL 모뎀의 기능도 갖는다. 이러한 경우, IP 망 접속부(52)는, xDSL 모뎀 신호를 송수하기 위한 RJ-11 커넥터를 구비하여, 메탈릭 가입자 회선에 접속한다.
PSTN 접속부(53)는, PSTN(1)과의 가입자 회선을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RJ-11 커넥터를 갖는 FXO(Foreign Exchange Office)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PSTN 접속부(53)는, IP 망 접속부(52)가 xDSL 모뎀을 통하여 메탈릭 가입자 회선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스플리터를 통하여 해당 메탈릭 회선에 접속된다.
기억부(54)는, 호출처의 전화 번호와 IP 망(2) 또는 PSTN(1)을 대응시킨 정보를 기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억부(54)는, PSTN(1)을 경유하는 통신을 행하는 것이 필요한 호출처의 전화 번호에 관한 정보를「PSTN 우회 테이블」로서 기억한다. 기억부(54)가, 해당 정보를 기억함으로써, IP 망(2)을 통하여 처리할 수 없는 특수한 서비스(예를 들면 착신자 과금 서비스)나, 경찰 등에 대한 긴급성이 높은 통신 등에 대한 접속 요구를 강제적으로 PSTN(1)에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기억부(54)에 기억되는 「PSTN 우회 테이블」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다. 예를 들면, 「PSTN 우회 테이블」의 1행째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 단말기(70a)로부터 송신되는 접속 요구에 포함되는 호출처의 전화 번호의 첫째 자릿수가 「1」인 경우, 후술하는 접속 처리부(55)에 의해, PSTN(1)에 송신해야되는 접속 요구라고 판정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호출처의 전화 번호가 「003○」이나 「003△」 등으로 시작되는 경우도 PSTN(1)에 송신해야되는 접속 요구라고 판정된다.
또한, 기억부(54)는, PSTN(1)을 경유하는 통신을 행하는 것이 필요한 호출처의 전화 번호에 관한 정보를 대신해서, IP 망(2)을 경유하는 통신을 행하는 것이 필요한 호출처의 전화 번호에 관한 정보를 기억해도 된다.
접속 처리부(55)는, 전화 단말기(70a)로부터 송신되는 접속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호출처의 전화 번호와 기억부(54)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접속 요구를 IP 망(2) 또는 PSTN(1) 중 어느 하나에 송신하는 것이다. 또한, 접속 처리부(55)는, IP 망 상태 판정부(56)에 의해서 IP 망(2)을 통한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IP 망(2)에 송신한다고 결정한 해당 접속 요구를 PSTN(1)에 송신하는 것이다. 또한, 접속 처리부(55)는, 호출처의 전화 번호에 소정의 식별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접속 요구를 강제적으로 PSTN(1)에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속 처리부(55)는, 전화 단말기(70a)로부터 송신된 접속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호출처의 전화 번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전화 번호를 기억부(54)에 기억되어 있는 「PSTN 우회 테이블」에 기초하여 대조한다. 해당 전화 번호가 「PSTN 우회 테이블」로서 기억되어 있는 전화 번호에 관한 정보에 의해 서 나타나는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접속 처리부(55)는, 해당 접속 요구를 PSTN(1)에 송신한다.
한편, 접속 처리부(55)는, 해당 전화 번호가 「PSTN 우회 테이블」로서 기억되어 있는 전화 번호에 관한 정보에 의해서 나타나는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MGCP에서 규정되는 NTFY(Notification) 커맨드를 이용하여, 해당 접속 요구를 IP 망(2)으로 신호 변환부(58) 등을 통하여 송신한다.
또한, 접속 처리부(55)는, 본 실시예에서는, 전화 단말기(70a)로부터 송신된 접속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호출처의 전화 번호의 선두에「0」이 4개 연속하여 부가되어 있는 경우, 해당 전화 번호가 「PSTN 우회 테이블」로서 기억되어 있는 전화 번호에 관한 정보에 의해서 나타나는 조건에 해당하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해당 접속 요구를 PSTN(1)에 송신한다.
따라서, 전화 단말기(70a)의 사용자는, 4개의 「0」을 호출처의 전화 번호의 선두에 부가함으로써, 통신 때마다, 임의로, 용이하게 PSTN(1)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처리부(55)는, IP 망(2)을 통한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의 판정 결과를 IP 망 상태 판정부(56)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접속 처리부(55)는, IP 망(2)을 통한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정되는 경우, 호출처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IP 망(2)에 송신한다고 판정한 해당 접속 요구도 PSTN(1)에 송신한다. 접속 처리부(55)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전화 단말기(70a)의 사용자는, IP 망(2)이 사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의식하지 않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접속 처리부(55)는, 전술한 접속 요구의 송신의 처리 외에 수신한 접속 요구 의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속 처리부(55)는, IP 망(2)으로부터 송신된 CRCX(Create Connection) 커맨드 등에 의한 접속 요구를 처리함과 함께, 신호 변환부(58)에 의해서 패킷 데이터로부터 변환된 음성 대역 신호를 전화 단말기(70a)에 단말기 접속부(51)를 통하여 송신한다. 또한, 접속 처리부(55)는, PSTN(1)으로부터 수신한 접속 요구를 처리함과 함께, PSTN 접속부(53)를 통하여 수신한 음성 대역 신호를 전화 단말기(70a)로 단말기 접속부(51)를 통하여 송신한다.
IP 망 상태 판정부(56)는, IP 망(2)을 통한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패킷망 상태 판정부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IP 망 상태 판정부(56)는, IP 망 접속부(52)에 접속되어 있는 가입자 회선을 통하여,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Echo 요구 패킷을 L3SW(21a)에 송신함과 함께, 해당 Echo 요구 패킷에 대한 L3SW(21a)로부터의 응답을 감시한다. IP 망 상태 판정부(56)는, Echo 요구 패킷을 정기적으로 L3SW(21a)에 송신하여, 소정의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IP 망(2)을 통한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정한다. 또한, IP 망 상태 판정부(56)의 보다 구체적인 IP 망(2)의 상태의 판정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IP 망(2)을 통한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ICMP를 이용하고 있지만,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등의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을 이용해도 된다.
경로 정보 처리부(57)는, 접속 처리부(55)가 IP 망(2)에 송신한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IP 망(2)만을 경유하는 통신로 또는 IP 망(2)과 PSTN(1)을 경유하는 통 신로 중 어느 하나가 호출처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전화 단말기로 설정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소정의 패킷 데이터를 IP 망(2)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이다. 또한, 경로 정보 처리부(57)는, 수신한 해당 패킷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접속 요구를 송신한 전화 단말기(70a)에, IP 망(2)만을 경유하는 통신로 또는 IP 망(2)과 PSTN(1)을 경유하는 통신로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었는지를 통지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경로 정보 처리부(57)는, 미리 규정된 내용의 MDCX(modify connection) 커맨드를 콜에이전트(20)로부터 수신하면, 접속 처리부(55) 및 단말기 접속부(51)를 통하여, 소정의 ON/OFF 패턴을 갖는 가청 신호를 전화 단말기(70a)에 송신한다.
도 4는, 해당 MDCX 커맨드의 수신에 따라 전화 단말기(70a)에 송신되는 신호의 패턴예를 도시하고 있다. 경로 정보 처리부(57)는, 해당 MDCX 커맨드를 1회 수신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400㎐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25dBm의 송출 레벨을 갖는 신호를 전화 단말기(70a)로 1회 송신한다. 따라서, 전화 단말기(70a)의 사용자는, 도 4에 도시하는 신호가 전화 단말기(70a)에 의해 출력되면, 「뚜·뚜·뚜」하는 가청음을 들을 수 있다. 또한, 해당 MDCX 커맨드 및 해당 신호를 이용한 통신로의 경로에 관한 정보의 구체적인 통지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신호 변환부(58)는, IP 망 접속부(52)와 접속 처리부(55)와의 사이에서, 음성 대역 신호와 패킷 데이터와의 변환을 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신호 변환부(58)는, ITU-TG.729a/b 등에 준거한 CODEC를 구비함과 함께, 해당 CODEC 에 의해 디지털화된 음성 대역 신호와 패킷 데이터와의 변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변환부(58)는, IP 패킷의 리얼타임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용되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헤더를 부가 및 제거할 수 있다.
(접속 제어 장치의 구성)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 즉 콜에이전트(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콜에이전트(20)는, 수신부(20a)와, 통신로 설정부(20b)와, 데이터베이스 검색부(20c)와, 기억부(20d)와, 경로 정보 송신부(20f)와, 설정 정보 송신부(20e)를 갖고 있다.
수신부(20a)는, VoIP 게이트웨이(50a) 또는 VoIP 게이트웨이(50b)로부터, 호출처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요구를 수신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신부(20a)는, VoIP 게이트웨이(50a)(50b)로부터, MGCP에 기초하여 송신된 NTFY 커맨드나, 설정 정보 송신부(20e)가 송신한 RQNT(Request Notification) 커맨드 등에 대한 응답(ACK) 등을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20a)는, 수신한 커맨드의 내용이나 응답을 통신로 설정부(20b)에 송신한다.
기억부(20d)는, 전화 단말기(70a)나 전화 단말기(70b)에 할당되어 있는 전화 번호와, VoIP 게이트웨이(50a)나 VoIP 게이트웨이(50b), 게이트웨이(12)에 할당되어 있는 IP 어드레스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검색부(20c)는, 통신로 설정부(20b)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기억부(20d)에 기억되어 있는 전화 번호나 IP 어드레스의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통신로 설정부(20b)에 통지하는 것이다.
통신로 설정부(20b)는, 수신부(20a)로부터 송신된 커맨드의 내용에 기초하여, 호출처의 전화 번호와 관련되어 있는 IP 어드레스를 데이터베이스 검색부(20c)로부터 취득함과 함께,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통신로의 설정에 필요한 IP 어드레스나 포트 번호, RTP의 프로파일 등의 정보를 송수한다.
예를 들면, 통신로 설정부(20b)는, 전화 단말기(70a)와 전화 단말기(70b)와의 통신로를 설정하는 경우, VoIP 게이트웨이(50a)로부터 송신된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전화 단말기(70b)의 전화 번호, VoIP 게이트웨이(50a)의 IP 어드레스, 사용하는 포트 번호 및 RTP의 프로파일 등의 정보를 VoIP 게이트웨이(50b)에 송신한다.
여기서, VoIP 게이트웨이(50b)가 소정의 시간 내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 통신로 설정부(20b)는, IP 망(2)만을 경유하는 통신로의 설정이 불가능하다고 판정하여, 해당 정보를 게이트웨이(12)에 송신한다. 게이트웨이(12)는, 통신로 설정부(20b)로부터 설정 정보 송신부(20e)를 통하여 송신된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전화 단말기(70b)의 전화 번호 등의 필요한 정보를 PSTN(1)으로 전송한다. 또한, 호출처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전화 단말기가 PSTN(1)에만 접속되어 있는 경우(본 실시예에서는 전화 단말기(71)), 통신로 설정부(20b)는, 마찬가지로 해당 정보를 게이트웨이(12)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전화 단말기(70a)와 전화 단말기(70b)와의 사이에서, IP 망(2)만을 경유하는 통신로 또는 IP 망(2)과 PSTN(1)을 경유하는 통신로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된다.
경로 정보 송신부(20f)는, IP 망(2)만을 경유하는 통신로 또는 IP 망(2)과 PSTN(1)을 경유하는 통신로 중 어느 하나를 호출처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전화 단말기에 대하여 설정했는지를 나타내는 소정의 패킷 데이터를 VoIP 게이트웨이(50a)(50b)에 송신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경로 정보 송신부(20f)는, IP 망(2)만을 경유하는 통신로 또는 IP 망(2)과 PSTN(1)을 경유하는 통신로 중 어느 하나가 설정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로 설정부(20b)로부터 수신한다. 경로 정보 송신부(20f)는, 수신한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 요구를 송신한 VoIP 게이트웨이(50a)(50b)에 미리 규정된 MDCX 패킷을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로 정보 송신부(20f)는, IP 망(2)만을 경유하는 통신로가 설정된 경우, 해당 MDCX 패킷을 VoIP 게이트웨이(50a)(50b)로 2회 송신한다. 또한, 경로 정보 송신부(20f)는, IP 망(2)과 PSTN(1)을 경유하는 통신로가 설정된 경우, 해당 MDCX 패킷을 VoIP 게이트웨이(50a)(50b)로 1회 송신한다.
또한, 경로 정보 송신부(20f)는, 전술한 MDCX 패킷을 대신하여, IP 망(2)만을 경유하는 통신로, 또는 IP 망(2)과 PSTN(1)을 경유하는 상기 통신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호출처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설정했는지를 나타내는 음성 대역 신호의 패킷 데이터를 VoIP 게이트웨이(50a)(50b)에 송신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경로 정보 송신부(20f)는, IP 망(2)만을 경유하는 통신로가 설정된 경우, 도 4에 도시한 음성 대역 신호에 상당하는 IP 패킷을 VoIP 게 이트웨이(50a)(50b)로 2회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경로 정보 송신부(20f)는, IP 망(2)과 PSTN(1)을 경유하는 통신로가 설정된 경우, 도 4에 도시한 음성 대역 신호에 상당하는 IP 패킷을 VoIP 게이트웨이(50a)(50b)로 1회 송신할 수 있다.
(단말기 접속 장치에 의한 접속 요구의 처리 수순)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접속 장치, 즉 VoIP 게이트웨이(50a)(50b)에 의한 접속 요구의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VoIP 게이트웨이(50b)도 VoIP 게이트웨이(50a)와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이하, VoIP 게이트웨이(50a)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화 단말기(70a)의 사용자가, 전화 단말기(70a)를 오프훅하여, 호출처의 전화 번호를 다이얼하면, VoIP 게이트웨이(50a)는, 전화 단말기(70a)에 의해 송신된 해당 전화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접속 요구를 수신한다(S11). VoIP 게이트웨이(50a)는, 해당 전화 번호 데이터를 취득하여, 접속 처리부(55)에 일시적으로 기억한다(S12).
계속해서, VoIP 게이트웨이(50a)는, 기억부(54)에 기억되어 있는 「PSTN 우회 테이블」을 참조(S13)하여, 「PSTN 우회 테이블」의 내용과 접속 처리부(55)에 기억한 해당 전화 번호를 대조하여, 해당 접속 요구를 PSTN(1)에 송신해야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4).
단계 S14에서, 「PSTN 우회 테이블」의 내용에 의해 나타나는 조건에 접속 처리부(55)에 기억된 해당 전화 번호가 해당하지 않고, 해당 접속 요구를 IP 망(2)에 송신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VoIP 게이트웨이(50a)는, IP 망 상태 판정부(56) 에 의한 IP 망(2)의 사용 가부의 판정에 기초하여, 해당 접속 요구를 IP 망(2)에 송신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15).
VoIP 게이트웨이(50a)는, 단계 S15에서, 해당 접속 요구를 IP 망(2)에 송신한다고 판정한 경우, 해당 접속 요구를 IP 패킷(NTFY 커맨드)으로 변환한다(S16). 또한, VoIP 게이트웨이(50a)는 해당 IP 패킷을 IP 망(2)에 송신한다(S17).
단계 S17에서 IP 망(2)에 송신된 해당 NTFY 커맨드는, 콜에이전트(20)에 의해 처리되고, 그 후 전화 단말기(70a)와 해당 호출처의 전화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 전화 단말기와의 통신로가 설정된다.
한편, 단계 S14에서, VoIP 게이트웨이(50a)가 해당 접속 요구를 PSTN(1)에 송신한다고 판정한 경우, 및 단계 S15에서 IP 망(2)이 사용 불능이라고 판정된 경우, VoIP 게이트웨이(50a)는, 해당 접속 요구를 PSTN(1)에 송신한다(S18).
계속해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VoIP 게이트웨이(50a)의 IP 망 상태 판정부(56)에 의한 IP 망(2)의 상태의 판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IP 망 상태 판정부(56)는, 전화 단말기(70a)가, 온훅 상태인지 또는 오프훅 상태인지를 확인한다(S21). IP 망 상태 판정부(56)는, 전화 단말기(70a)가 온훅 상태인 경우, 전화 단말기(70a)가 사용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하고, 오프훅 상태인 경우, 전화 단말기(70a)가 사용 중으로 판정한다(S22).
IP 망 상태 판정부(56)는, 단계 S22에서, 전화 단말기(70a)가 온훅 상태로 판정된 경우, VoIP 게이트웨이(50a)가 가입자 회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L3SW(21a)에 대하여, ICMP Echo 패킷을 4회 송신한다(S23). 계속해서, IP 망 상태 판정부(56)는, L3SW(21a)로부터 ICMP Echo 패킷에 대한 응답인 ICMP Echo Reply 패킷을 1회 이상 수신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24).
단계 S24에서, L3SW(2la)로부터 ICMP Echo Reply 패킷을 1회 이상 수신한 경우, IP 망 상태 판정부(56)는, 단계 S22의 처리를 개시할 때까지, IP 망(2)을 사용 가능하다고 판정하였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이한 처리를 실행한다(S25).
즉, IP 망 상태 판정부(56)는, 단계 S22의 처리를 개시할 때까지, IP 망(2)을 사용 가능하다고 판정하였던 경우, 계속해서 IP 망(2)을 사용 가능하다고 판정한다(S25에서의 "예" 및 S28).
한편, IP 망 상태 판정부(56)는, 단계 S22의 처리를 개시할 때까지, IP 망(2)을 사용 불능이라고 판정한 경우, 콜에이전트(20)에 대하여, VoIP 게이트웨이(50a)가 IP 망(2)을 사용 가능하게 된 것을 통지한다(S26). 계속해서, IP 망 상태 판정부(56)는, 해당 통지에 대한 콜에이전트(20)로부터의 응답의 유무를 확인한다(S27). 단계 S27에서, 콜에이전트(20)로부터의 응답이 있었던 경우에는, IP 망 상태 판정부(56)는, IP 망(2)을 사용 가능하다고 판정한다(S28).
또한, 단계 S27에서, 콜에이전트(20)로부터의 응답이 없던 경우에는, IP 망 상태 판정부(56)는, IP 망(2)을 사용 불능이라고 판정한다(S29). 또한, 단계 S24에서, IP 망 상태 판정부(56)가 L3SW(21a)로부터 ICMP Echo Reply 패킷을 전혀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도, IP 망 상태 판정부(56)는, IP 망(2)을 사용 불능이라고 판정한다.
그 후, IP 망 상태 판정부(56)는, 단계 S28 또는 단계 S29에서의 처리로부터 15초 대기하여, 단계 S21로부터 시작되는 전술한 처리를 반복한다(S30). 또한, 단계 S22에서, 전화 단말기(70a)가 오프훅 상태로 판정된 경우에는, IP 망 상태 판정부(56)는, 마찬가지로 단계 S22에서의 처리로부터 15초 대기하여, 단계 S21로부터 시작되는 전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IP 망 상태 판정부(56)는, VoIP 게이트웨이(50a)와 L3SW(21a)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ICMP 패킷을 송수함으로써, IP 망(2)의 상태를 판정하지만, ICMP를 대신하여, IETF RFC1901 등에 의해 규정되는 SNMP 리퀘스트나 리스펀스를 VoIP 게이트웨이(50a)와 L3SW(21a)와의 사이에서 송수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또한, VoIP 게이트웨이(50a)는, L3SW(21a)를 대신하여, IP 망(2)을 구성하는 다른 네트워크 기기(도시 생략)나, 콜에이전트(20)와의 사이에서, 해당 패킷, 리퀘스트 또는 리스펀스를 송수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단말기 접속 장치와 접속 제어 장치를 이용한 통신 수순)
계속해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접속 장치와 접속 제어 장치, 즉 VoIP 게이트웨이(50a), VoIP 게이트웨이(50b) 및 콜에이전트(20)를 이용한 통신 수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전화 단말기(70a)와 전화 단말기(70b), 즉 VoIP 게이트웨이(50a)와 VoIP 게이트웨이(50b)와의 사이에서, IP 망(2)을 경유하는 통신로가 설정되는 경우 의 통신 수순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통신 수순은, 전술한 VoIP 게이트웨이(50a)의 IP 망 상태 판정부(56)에 의해, IP 망(2)이 사용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전화 단말기(70b)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해, 전화 단말기(70a)가 오프훅 상태로 된다(S41). 전화 단말기(70a)와 접속되어 있는 VoIP 게이트웨이(50a)는, 전화 단말기(70a)가 오프훅 상태로 된 것을 나타내는 NTFY 커맨드를 IP 망(2)에 송신한다(S42a). IP 망(2)은, 해당 NTFY 커맨드에 대한 응답(리턴 코드200)을 VoIP 게이트웨이(50a)에 송신한다(S42b).
또한, IP 망(2)은, 호출처의 전화 번호 등의 정보를 VoIP 게이트웨이(50a)에 송신시키기 위해, RQNT(Request Notification) 커맨드를 VoIP 게이트웨이(50a)에 송신한다(S43).
RQNT 커맨드를 수신한 VoIP 게이트웨이(50a)는, 호출처 전화 번호의 송출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다이얼톤을 전화 단말기(70a)에 송신한다(S44). 또한, VoIP 게이트웨이(50a)는, 해당 RQNT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IP 망(2)에 송신한다(S45).
그 후, 전화 단말기(70a)는, 전화 단말기(70b)의 전화 번호(호출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요구를 송신한다(S46).
해당 접속 요구를 수신한 VoIP 게이트웨이(50a)는, 해당 접속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호출처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NTFY 커맨드를 IP 망(2)에 송신한다(S47a). IP 망(2)은, 해당 NTFY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VoIP 게이트웨이(50a)에 송신한다(S47b).
또한, IP 망(2)은, 통신로의 설정에 필요해지는 VoIP 게이트웨이(50a)의 IP 어드레스나 사용하는 포트 번호 등을 수신할 준비가 된 것을 나타내는 CRCX 커맨드를 VoIP 게이트웨이(50a)에 송신한다(S48a). 해당 CRCX 커맨드를 수신한 VoIP 게 이트웨이(50a)는, VoIP 게이트웨이(50a)의 IP 어드레스나, VoIP 게이트웨이(50a)로부터 VoIP 게이트웨이(50b) 방향의 통신에 사용하는 포트 번호, RTP 프로파일 등의 정보를 SDP에 기초하여 IP 망(2)에 송신한다(S48b).
계속해서, IP 망(2)은, VoIP 게이트웨이(50a)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VoIP 게이트웨이(50b)에 CRCX 커맨드로서 송신한다(S49a). 해당 CRCX 커맨드를 수신한 VoIP 게이트웨이(50b)는, VoIP 게이트웨이(50b)로부터 VoIP 게이트웨이(50a) 방향의 통신에 사용하는 포트 번호나 RTP 프로파일 등의 정보를 SDP에 기초하여 IP 망(2)에 송신한다(S49b).
VoIP 게이트웨이(50b)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한 IP 망(2)은, 소정의 MDCX 커맨드(inactive 모드의 MDCX 커맨드)를 VoIP 게이트웨이(50a)에 송신한다(S50a). VoIP 게이트웨이(50a)는, 해당 MDCX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IP 망(2)에 송신함(S50b)과 함께, 도 4에 도시한 소정의 ON/OFF 패턴을 갖는 가청 신호를 전화 단말기(70a)에 송신한다(S51). 또한, IP 망(2) 및 VoIP 게이트웨이(50a)는, 단계 S50a로부터 단계 S51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S52a로부터 S53).
이와 같이, IP 망(2)은, IP 망(2)만을 경유하는 통신로가, 전화 단말기(70a)와 전화 단말기(70b)와의 사이에 설정되는 경우, 소정의 MDCX 커맨드를 VoIP 게이트웨이(50a)로 2회 송신한다(S50a 및 S52a). 이에 의해, 전화 단말기(70a)로부터는, 도 4에 도시한 소정의 ON/OFF 패턴을 갖는 가청 신호가 2회 출력된다.
여기서, 해당 가청음이, 전화 단말기(70a)로부터 2회 출력된 경우에는, IP 망(2)만을 경유하는 통신로가 설정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 미리 사용자에게 주지되 어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전화 단말기(70a)의 사용자는, 「뚜·뚜·뚜, 뚜·뚜·뚜」의 가청음을 들은 경우, IP 망(2)만을 경유하는 통신로가, 전화 단말기(70a)와 전화 단말기(70b)와의 사이에 설정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계속해서, IP 망(2)은, VoIP 게이트웨이(50b)로부터, 단계 S49b에서 송신된 SDP에 기초하는 정보를 VoIP 게이트웨이(50a)에 송신한다(S54a). VoIP 게이트웨이(50a)는,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의 준비가 되었다는 응답을 IP 망(2)에 송신한다(S54b).
VoIP 게이트웨이(50a)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한 IP 망(2)은, 전화 단말기(70b)의 호출을 지시하는 RQNT 커맨드를 VoIP 게이트웨이(50b)에 송신한다(S55a). 해당 RQNT 커맨드를 수신한 VoIP 게이트웨이(50b)는, 전화 단말기(70b)를 호출함(S55b)과 함께, 해당 RQNT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IP 망(2)에 송신한다(S55c).
VoIP 게이트웨이(50b)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한 IP 망(2)은, VoIP 게이트웨이(50b)가 전화 단말기(70b)를 호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MDCX 커맨드를 VoIP 게이트웨이(50a)에 송신한다(S56a). 해당 MDCX 커맨드를 수신한 VoIP 게이트웨이(50a)는, 링백톤을 전화 단말기(70a)에 송신함(S56b)과 함께, 해당 MDCX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IP 망(2)에 송신한다(S56c).
그 후, VoIP 게이트웨이(50b)는, 전화 단말기(70b)의 사용자가 단계 S55b에서의 호출에 응답하여, 전화 단말기(70b)가 오프훅 상태로 된 것을 나타내는 NTFY 커맨드를 IP 망(2)에 송신한다(S57). 단계 S57의 처리가 완료됨으로써, 전화 단말 기(70a)와 전화 단말기(70b)와의 사이에서, IP 망(2)을 경유하는 통신로를 이용하여 통신이 개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IP 망(2)을 경유하는 통신로가 설정된 것을 전화 단말기(70a)에 통지하는 가청 신호는, 링백톤이 송신(전술한 단계 S56b)되기 전에 송신(전술한 단계 S51 및 S53)되지만, 해당 가청 신호의 송출 타이밍이나 소정의 MDCX 커맨드(전술한 단계 S50a 및 S52a)의 통지 타이밍은, 전화 단말기(70a)와 전화 단말기(70b)와의 사이에서 통화가 개시되는 시점(전술한 단계 S57) 등이어도 된다.
또한, 소정의 MDCX 커맨드(전술한 단계 S50a 및 S52a)의 송신을 대신하여, 도 4에 도시한 가청 신호(음성 대역 신호)에 상당하는 IP 패킷을 IP 망(2)으로부터 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 IP 망(2) 상에 설치되는 콜에이전트(20)가, 해당 IP 패킷을 전화 단말기(70a)에 송신한다.
도 9는, 전화 단말기(70a)와 PSTN(1)에만 접속되어 있는 전화 단말기(71)와의 사이에서, IP 망(2)과 PSTN(1)을 경유하는 통신로가 설정되는 경우의 통신 수순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통신 수순은, 도 8에 도시한 통신 수순과 마찬가지로, VoIP 게이트웨이(50a)의 IP 망 상태 판정부(56)에 의해, IP 망(2)이 사용 가능하다고 판정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단계 S61로부터 단계 S68b까지는, 도 8에 도시하는 단계 S41로부터 단계 S48b에 각각 대응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단계 S69a 이후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VoIP 게이트웨이(50a)로부터, 전화 단말기(71)의 전화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 NTFY 커맨드를 단계 S67a로부터 수신한 IP 망(2)은, 해당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게이트웨이(12)를 통하여 IP 망(2) 및 PSTN(1)을 경유하는 통신로를 설정한다고 판정하여, 소정의 MDCX 패킷을 VoIP 게이트웨이(50a)에 송신한다(S69a). VoIP 게이트웨이(50a)는, 해당 MDCX 패킷에 대한 응답을 IP 망(2)에 송신함(S69b)과 함께, 도 4에 도시한 소정의 ON/OFF 패턴을 갖는 가청 신호를 전화 단말기(70a)에 송신한다(S70).
이와 같이, IP 망(2)은, IP 망(2)과 PSTN(1)을 경유하는 통신로가, 전화 단말기(70a)와 전화 단말기(71)와의 사이에 설정되는 경우, 소정의 MDCX 패킷을 VoIP 게이트웨이(50a)로 1회 송신한다. 이에 의해, 전화 단말기(70a)로부터는, 도 4에 도시한 소정의 ON/OFF 패턴을 갖는 가청 신호가 1회 출력된다.
여기서, 해당 가청음이 전화 단말기(70a)로부터 1회 출력된 경우에는, IP 망(2)과 PSTN(1)을 경유하는 통신로가 설정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 미리 사용자에게 주지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전화 단말기(70a)의 사용자는, 「뚜·뚜·뚜」의 가청음을 들은 경우, IP 망(2)과 PSTN(1)을 경유하는 통신로가, 전화 단말기(70a)와 전화 단말기(71)와의 사이에 설정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계속해서, IP 망(2)은, 게이트웨이(12)의 IP 어드레스나 사용하는 포트 번호, RTP 프로파일 등의 정보를 SDP에 기초하여 VoIP 게이트웨이(50a)에 송신한다(S71a). VoIP 게이트웨이(50a)는,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의 준비가 되었다는 응답을 IP 망(2)에 송신한다(S71b).
VoIP 게이트웨이(50a)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한 IP 망(2)은, 게이트웨이(12)를 통하여, 접속 요구의 메시지(SETUP 메시지)를 전화 단말기(71)에 송신한다(S72a). 전화 단말기(71)는, 해당 접속 요구의 처리 중인 것을 나타내는 CALL PROC(Call Processing) 메시지를 IP 망(2)에 송신한다(S72b).
또한, 전화 단말기(71)는, 전화 단말기(71)의 사용자의 호출, 즉 전화 단말기(71)에서 호출음의 출력을 개시한 것을 나타내는 ALERT 메시지를 IP 망(2)에 송신한다(S73).
ALERT 메시지를 수신한 IP 망(2)은, 링백톤을 송신시키기 위한 MDCX 메시지를 VoIP 게이트웨이(50a)에 송신한다(S74a). 해당 MDCX 메시지를 수신한 VoIP 게이트웨이(50a)는, 해당 MDCX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IP 망(2)에 송신함(S74b)과 함께, 링백톤을 전화 단말기(70a)에 송신한다(S75).
그 후, 전화 단말기(71)는, 전화 단말기(71)의 사용자가 단계 S73에서 개시된 호출에 응답하여, 전화 단말기(71)가 오프훅 상태로 된 것을 나타내는 CONN(Connect) 메시지를 IP 망(2)에 송신한다(S76a).
CONN 메시지를 수신한 IP 망(2)은, CONN 메시지에 대한 확인을 나타내는 CONN ACK(Connect Acknowledge) 메시지를 전화 단말기(71)에 송신한다(S76b).
단계 S76b의 처리가 완료됨으로써, 전화 단말기(70a)와 전화 단말기(71)와의 사이에서, 1P망(2) 및 PSTN(1)을 경유하는 통신로를 이용하여 통신이 개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IP 망(2) 및 PSTN(1)을 경유하는 통신로가 설정된 것을 전화 단말기(70a)에 통지하는 가청 신호는, 링백톤이 송신(전술한 단계 S75)되기 전에 송신(전술한 단계 S70)되지만, 해당 가청 신호의 송출 타이밍이나 소정의 MDCX 커맨드(전술한 단계 S69a)의 통지 타이밍은, 전화 단말기(70a)와 전화 단말기(71)와의 사이에서 통화가 개시되는 시점(전술한 단계 S76b) 등이어도 된다.
또한, 소정의 MDCX 커맨드(전술한 단계 S69a)의 송신을 대신하여, 도 4에 도시한 가청 신호(음성 대역 신호)에 상당하는 IP 패킷을 IP 망(2)으로부터 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 IP 망(2) 상에 설치되는 콜에이전트(20)가, 해당 IP 패킷을 전화 단말기(70a)에 송신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MGCP를 이용한 경우를 예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다른 접속 제어 프로토콜, 예를 들면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접속 장치 및 접속 제어 장치에 의한 작용·효과)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호출처의 전화 번호와 기억부(54)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VoIP 게이트웨이(50a)(50b)가 접속 요구를 IP 망(2) 또는 PSTN(1) 중 어느 하나에 송신할지를 결정하기 때문에, 전화 단말기(70a)(70b)의 사용자가, IP 망(2) 또는 PSTN(1) 중 어느 하나의 망을 경유하여 통신해야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IP 망 상태 판정부(56)에 의해 IP 망(2)을 통한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접속 처리부(55)가, IP 망(2)에 송신한다고 결정한 접속 요구를 PSTN(1)에 송신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IP 망(2)이 사용 가능한지의 여부를 의식하지 않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호출처의 전화 번호에 소정의 식별 정보, 예를 들면 전화 번호와의 식별이 가능한 특정한 숫자가 연속하는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속 요구가 PSTN(1)에 송신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임의로, 용이하게 IP 망(2) 또는 PSTN(1)을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IP 망(2)만을 경유하는 통신로 또는 IP 망(2)과 PSTN(1)을 경유하는 통신로 중 어느 하나가 호출처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전화 단말기로 설정되었는지를 통지하는 가청 신호가, 접속 요구를 송신한 전화 단말기에 대하여 송신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호출처의 전화 단말기가, 장해 등에 의해 IP 망(2)을 경유하는 통신을 행할 수 없는 경우, 또는 호출처의 전화 단말기가 PSTN(1)과만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콜에이전트(20)가, 송신된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게이트웨이(12)를 통하여 IP 망(2)과 PSTN(1)을 경유하는 통신로를 설정한 것을 사용자에 대하여 통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기능 전화 단말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
계속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 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ISP 서버(9, 10)와, 게이트웨이(12)와, 호 제어 서버(13)가 인터넷 등의 IP 망(2)에 접속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IP 망(2)은, 통신 프로토콜인 TCP/IP를 이용하여 전세계의 통신 네트워크를 서로 접속한 분산형 컴퓨터 네트워크로서, TCP/IP를 통하여, 각종 단말기 사이에서 서로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는, ADSL(3, 4) 및 스플리터(7, 8)를 통하여, ISP(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 서버 및 PSTN(공중 전화 회선망)(1)에 접속되어 있다.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는, ADSL(7, 9) 대신에, CATV 회선이나 광 케이블 등의 고속 회선을 통하여, ISP 서버(9, 10) 및 PSTN(1)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ISP 서버(9, 10)는, IP 망(2)에의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장치로서, 여기서는 ADSL 등의 액세스 회선(3, 4)을 통하여 사용자의 각종 단말기를 IP 망(2)에 접속한다.
또한, ISP 서버(9, 10)는,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가 IP 망(2)에 접속되었을 때에, 각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에 대하여 고유한 식별자인 「IP 어드레스」를 부여한다.
게이트웨이(12)는, IP 망(2)과 PSTN(1)을 서로 접속하는 통화 신호 변환 장치로서, IP 망(2)에서 통신 가능한 패킷 데이터와 PSTN(1)에서 통신 가능한 음성 대역 신호를 서로 변환하는 것이다.
호(呼) 제어 서버(13)는, IP 망(2)에 접속되어 있는 각 다기능 전화 단말기 (30a, 30b)에 부여된 식별자인 「IP 어드레스」와, 등록된「전화 번호」를 관련짓는 레코드를 축적하는 관리용 데이터베이스(14)에 접속되어 있다.
호 제어 서버(13)는,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또는, 30b)로부터의 문의에 대하여, 관리용 데이터베이스(14)에 등록되어 있는 통신처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또는, 30a)의 「IP 어드레스」를 통지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관리용 데이터베이스(14)에 등록되어 있는 전화 번호는, IP 전화용의 전화 번호로서, PSTN(1)에서의 가입 전화의 전화 번호와 구별하기 위해, 예를 들면, 「***-1234-5678」와 같이, 선두 부분에 「***」를 부가한 형식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호 제어 서버(13)는, 송신원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로부터 취득한 전화 번호에 「***」가 부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가 IP 망을 통한 음성 통화(IP 전화)를 희망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호 제어 서버(13)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지부(13a)와, 일반 회선 선택부(13b)와, 데이터베이스 검색부(13c)와, 인터페이스부(13d)와, 통신 이력 관리부(13e)를 구비하고 있다.
통지부(13a)는, 일반 회선 선택부(13b)에 접속되어 있고, 일반 회선 선택부(13b)에 의해 선택된 게이트웨이(12)에 관한 정보를, 송신원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에 통지하는 것이다.
일반 회선 선택부(13b)는, 통지부(13a)와 데이터베이스 검색부(13c)와 접속되어 있고, 관리용 데이터베이스(14) 상에, 데이터베이스 검색부(13c)로부터 다기 능 전화 단말기(30a)로부터 송신된 통신처의 「전화 번호」에 대응된 「IP 어드레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통지를 받은 경우에, 해당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게이트웨이(12)를 선택하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 검색부(13c)는, 관리용 데이터베이스(14)와 일반 회선 선택부(13b)와 접속되어 있고, 인터페이스부(13d)를 통하여, 관리용 데이터베이스(14)에 등록되어 있는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로부터, 통화처의 「전화 번호」를 취득한 경우, 관리용 데이터베이스(14)를 검색하여, 해당 「전화 번호」에 대응된 「IP 어드레스」를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검색부(13c)는, 해당 「전화 번호」에 대응된 「IP 어드레스」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그 취지를 일반 회선 선택부(13b)에 통지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검색부(13c)는,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가 본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IP 전화)를 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데이터베이스 검색부(13c)는,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의 「IP 어드레스」나 「MAC 어드레스」, 또는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ID」나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인증을 행한다.
인터페이스부(13d)는, 데이터베이스 검색부(13c)와 통신 이력 관리부(13e)에 접속되어 있고, 각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로부터 송신된 접속 확인 신호를 감시하는 것이다. 여기서, 인터페이스부(13d)는, 소정 시간 경과해도 다음의 접속 확인 신호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접속 신호를 확인할 수 없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레코드를, 데이터베이스 검색부(13c)를 통 하여 관리용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말소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d)는,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로부터 송신된 통신처의 「전화 번호」, 또는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로부터 송신된 「IP 어드레스」, 「MAC 어드레스」, 「사용자 ID」, 「패스워드」 등의 인증에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검색부(13c)에 송신한다.
통신 이력 관리부(13e)는, 인터페이스부(13d)에 접속되어 있고, 각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가 송수신한 패킷 데이터의 데이터수 또는 데이터량을 계수(카운트)하고, 그 계수 결과(패킷 데이터 수 또는 패킷 데이터량)를 「통신 이력」으로서 유지하는 것이다. 통신 이력 관리부(13e)는, 해당 패킷 데이터수 또는 패킷 데이터량을,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로부터 취득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이력 관리부(13e)는,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가 호 제어 서버(13)에 액세스한 수를 계수(카운트)하고, 그 계수 결과(액세스수)를 「통신 이력」으로서 유지할 수 있다. 통신 이력 관리부(13e)는, 해당 액세스수를,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로부터 취득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신 이력 관리부(13e)는, 음성 통화를 행한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를 판매한 대리점마다, 전술한 계수 결과(패킷 데이터수, 패킷 데이터량, 액세스수 등)에 기초한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를 판매하는 대리점의 판매 의욕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관리용 데이터베이스(14)에는, 본 통신 시스템에 의해 서비스를 받기 위해 등록 수속을 한 사용자의 「전화 번호」가 등록되어 있고, 이 등록된 「전화 번호 」에 대응되어, 각 사용자가 사용하는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의 「IP 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IP 어드레스는, ISP 서버(9, 10)에 의해 수시로 변경되기 때문에,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로부터의 확인 신호에 기초하여,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의 현재의 IP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갱신하고 있다.
또한, 관리용 데이터베이스(14)는, 본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행할 수 있는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IP 어드레스」, 「MAC 어드레스」, 「사용자 ID」, 「패스워드」 등)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관리용 데이터베이스(14)에는, 각 지역의 「시외 국번」과, 각 지역에 설치된 게이트웨이(12)의 「IP 어드레스」를 대응시킨 게이트웨이용 테이블도 저장되어 있다.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는 음성 통화용의 음성 대역 신호를 패킷 데이터로서 IP 망(2)과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것으로, 통화처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호 제어 서버(13)로부터 취득한 IP 어드레스에 대하여, 해당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드세트(31)와, 표시부(32)와, 비디오 카메라(33)와, 안테나(35)와, PC 카드(34)를 삽입 가능한 슬롯(36)과, 전화 회선용 단자(LINE)(41)와, 스플리터(42)와, 패킷 송수신부(43)와, 접속 처리부(44)와, VoIP 어플리케이션(45)과, 음성 신호 처리부(46)와, 안테나 I/F(47)와, 비디오 전화 어플리케이션(48)을 구비하고 있다.
전화 회선용 단자(LINE)(41)는, 모듈러 콘센트(15, 16)에 접속되어 있는 전화 회선(5, 6)이 삽입되는 것이다.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는, 전화 회선용 단자(LINE)(41)에 전화 회선(5, 6)을 접속하는 것만으로 이용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번잡한 배선 작업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스플리터(42)는, ADSL에서 음성 통화용의 음성 대역 신호와 패킷 데이터를 혼재시키거나, ADSL 상에 혼재하는 음성 통화용의 음성 대역 신호와 패킷 데이터를 분리시키거나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플리터(42)는, 전화 회선용 단자(LINE)(41)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음성 통화용의 음성 대역 신호와 패킷 데이터로 분리하여, 음성 통화용의 음성 대역 신호를 접속 처리부(44)에 송신하고, 패킷 데이터를 패킷 송수신부(43)에 송신한다. 또한, 스플리터(42)는, 접속 처리부(44)로부터 송신된 음성 통화용의 음성 대역 신호와 패킷 송수신부(43)로부터 송신된 패킷 데이터를 혼재시켜 전화 회선용 단자(LINE)(41)에 송신한다.
패킷 송수신부(43)는, 본 실시예에서, ADSL(3)을 통하여 IP 망(2)과의 사이에서, VoIP 어플리케이션(45)에 의해 음성 대역 신호가 변환된 패킷 데이터를 송수하는 패킷 송수신부를 구성한다.
또한, 패킷 송수신부(43)는, ADSL(3)을 통하여 IP 망(2)과의 사이에서, 슬롯(36)에 삽입된 통신 카드(34)(PCMCIA 카드 등)를 통하여 휴대 정보 단말기(61)와의 사이에서 통신된 패킷 데이터를 송수한다.
또한, 패킷 송수신부(43)는, ADSL(3)을 통하여 IP 망(2)과의 사이에서, 비디오 전화 처리 수단(비디오 전화 어플리케이션)(48)과의 사이에서 통신된 패킷 데이터를 송수한다.
또한, 패킷 송수신부(43)는,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가 송수신한 패킷 데이터의 데이터수 또는 데이터량을 계수(카운트)하여, 그 계수 결과(패킷 데이터수 또는 패킷 데이터량)를 「통신 이력」으로 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패킷 송수신부(43)는, 해당 패킷 데이터수 또는 패킷 데이터량을, 소정의 타이밍에서, 호 제어 서버(13)에 송신할 수도 있다.
또한, 패킷 송수신부(43)는,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가 호 제어 서버(13)에 액세스한 수를 계수(카운트)하여, 그 계수 결과(액세스수)를 「통신 이력」으로 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패킷 송수신부(43)는, 해당 액세스수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호 제어 서버(13)에 송신할 수도 있다.
접속 처리부(44)는, 본 실시예에서, PSTN(1)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행할지, 또는 IP 망(2)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행할지를 선택하는 접속 처리부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속 처리부(44)는, 발호자에 의해 다이얼된 상대편의 전화 번호가 IP 전화용의 전화 번호인 경우, IP 망(2)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행하는 것으로 선택하여, 음성 신호 처리부(46)와 VoIP 어플리케이션(45)을 접속한다. 한편, 접속 처리부(44)는, 발호자에 의해서 다이얼된 상대편의 전화 번호가 가입 전화의 전화 번호인 경우, PSTN(1)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행하는 것으로 선택하여, 음성 신호 처리부(46)와 스플리터(42)를 접속한다.
또한, 접속 처리부(44)는, IP 망(2)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행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 PSTN(1)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행하는 것을 선택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속 처리부(44)는, 여러가지 이유로부터 VoIP 어플리케이션(45)이 IP 망(2)을 통한 음성 통화가 불가능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PSTN(1)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행하는 것을 선택한다.
VoIP 어플리케이션(45)은, 본 실시예에서, IP 망(2)을 통하여 음성 통화를 행한다고 선택된 경우, 음성 대역 신호와 해당 IP 망(2) 상에서 통신 가능한 패킷 데이터와의 사이의 변환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VoIP 어플리케이션(45)은, 아날로그 신호인 음성 대역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화함과 함께, 소정 주기마다 패킷 데이터로 변환한 후, TCP/IP 등의 프로토콜에 따라, 헤더 등을 부가하는 것이다.
또한, VoIP 어플리케이션(45)은, 패킷 송수신부(43)로부터 수신한 패킷 데이터로부터, 아날로그 신호인 음성 대역 신호를 복원하여 음성 신호 처리부(46)에 송신하는 것이다.
또한, VoIP 어플리케이션(45)은, ADSL(3)을 통하여, 발호자에 의해 다이얼된 통신처의 전화 번호를 디지털 데이터로서 IP 망(2)에 송신한다.
또한, VoIP 어플리케이션(45)은, 호 제어 서버(13)로부터 통신처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하여, 음성 대역 신호가 변환된 패킷 데이터에, 이 IP 어드레스를 헤더로서 부가하는 기능도 하고 있다.
VoIP 어플리케이션(45)은, 자신의 기기(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에 할당된 전화 번호나 IP 어드레스 등을 기억해 둘 수도 있다.
예를 들면, VoIP 어플리케이션(45)은, H.323, SIP, MGCP/MEGACO(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의 호 제어 프로토콜에 대응한다.
음성 신호 처리부(46)는, 본 실시예에서, 음성 통화용의 음성 대역 신호의 입출력 처리를 행하는 음성 신호 처리 수단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음성 신호 처리부(46)는,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가 구비하는 핸드세트(31)의 스피커를 통하여, 스플리터(42)나 VoIP 어플리케이션(45)이나 비디오 전화 어플리케이션(48)으로부터 송신된 음성 통화용의 음성 대역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음성 신호 처리부(46)는,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가 구비하는 핸드세트(31)의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 통화용의 음성 대역 신호를, 스플리터(42)나 VoIP 어플리케이션(45)이나 비디오 전화 어플리케이션(48)에 송신한다.
또한, 음성 신호 처리부(46)는, 호 제어 서버(13)나 게이트웨이(12)로부터 취득한 메시지 신호에 기초하여, 음성이나 경고음, 멜로디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신호 처리부(46)는, 안테나 I/F(47)를 통하여 PHS 단말기(63)와의 사이에서 음성 대역 신호의 입출력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음성 신호 처리부(46)는, PHS 단말기(63)로부터 송신된 음성 통화용의 음성 대역 신호를 스플리터(42)나 VoIP 어플리케이션(45)에 송신한다. 또한, 음성 신호 처리부(46)는, 스플리터(42)나 VoIP 어플리케이션(45)으로부터 송신된 음성 통화용의 음성 대역 신호를 안테나 I/F(47)를 통하여 PHS 단말기(63)에 송신한다.
또한, 음성 신호 처리부(46)는, 안테나 I/F(47)를 통하여 코드리스 자기(62) 와의 사이에서 음성 대역 신호의 입출력 처리를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음성 신호 처리부(46)는, 코드리스 자기(62)로부터 송신된 음성 통화용의 음성 대역 신호를 스플리터(42)나 VoIP 어플리케이션(45)에 송신한다. 또한, 음성 신호 처리부(46)는, 스플리터(42)나 VoIP 어플리케이션(45)으로부터 송신된 음성 통화용의 음성 대역 신호를 안테나 I/F(47)를 통하여 코드리스 자기(62)에 송신한다.
안테나 I/F(47)는, 본 실시예에서, 안테나(35)를 통하여 PHS 기지국으로서 PHS 단말기(63)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한 기지국 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안테나 I/F(47)는, 본 실시예에서, 안테나(35)를 통하여 코드리스 친기로서 코드리스 자기(62)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한 본체 수단을 구성한다. 여기서, 기지국 수단을 구성하는 안테나 I/F와 친기 수단을 구성하는 안테나 I/F를 따로따로 설치해도 된다.
비디오 전화 어플리케이션(48)은, 본 실시예에서, 비디오 전화용의 비디오 신호의 입출력 처리를 행하는 비디오 전화 처리 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비디오 전화 어플리케이션(48)은, 비디오 신호와 해당 IP 망(2) 상에서 통신 가능한 패킷 데이터와의 사이의 변환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디오 전화 어플리케이션(48)은,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가 구비하는 비디오 카메라(33)에 의해 취득된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 처리부(46)로부터 송신된 음성 대역 신호를 포함하는 비디오 신호를 패킷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한 패킷 데이터를 패킷 송수신부(43)에 송신한다.
또한, 비디오 전화 어플리케이션(48)은, 패킷 송수신부(43)로부터 수신한 패킷 데이터로부터 영상 신호 및 음성 대역 신호를 복원하고, 복원한 영상 신호를 표 시부(32)를 통하여 표시하고, 복원한 음성 대역 신호를 음성 신호 처리부(46)에 송신한다.
슬롯(36)에 삽입된 통신 카드(34)는, 패킷 송수신부(43)로부터 송신된 패킷 데이터를, IEEE802.11 등의 무선 LAN용 프로토콜이나 PHS용 프로토콜 등에 따라 변환하여, 무선 통신에 의해 휴대 정보 단말기(61)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 카드(34)는, 휴대 정보 단말기(61)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IP 망(2)으로 통신 가능한 패킷 데이터로 변환하여 패킷 송수신부(43)에 송신한다.
(전술한 통신 시스템의 동작)
전술한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의 기동 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를 이용한 음성 통화 시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여기서는, 통신원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로부터, 통신처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 또는 전화기(11)에 전화를 거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의 소유자는,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의 전원을 켜는 것 등에 의해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를 기동시키면(S301),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는, ISP 서버(9)에 확인 신호를 발신한다(S302). 이 확인 신호는,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의 VoIP 어플리케이션(45)에 저장된 ISP 서버(9)의 IP 어드레스를 향하여 패킷 데이터로서 발신된다.
이 확인 신호를 수신한 ISP 서버(9)는,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에 대한 IP 어드레스를 발행하여, 패킷 데이터로서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에 송신한다(S303).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는, 취득한 IP 어드레스를 VoIP 어플리케이션(45)에 기억한다.
계속해서, 송신원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는, 할당된 IP 어드레스와 자신의 기기의 전화 번호를 호 제어 서버(13)에 송신한다. 호 제어 서버(13)측에서는, 수신한 전화 번호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관리용 데이터베이스(14)를 대조하여,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신한 전화 번호와 IP 어드레스를 관련지어 관리용 데이터베이스(14)에 등록한다(S304).
여기서, 호 제어 서버(13)는,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로부터 송신된 「MAC 어드레스」나 「사용자 ID」나 「패스워드」 등에 의해, 송신원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에 대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에 대한 인증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때, 송신원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는, 호 제어 서버(13)(관리용 데이터베이스(14))에 액세스했기 때문에, 패킷 송수신부(43) 내의 통신 이력(액세스수)을 갱신해도 된다.
또한, 통신처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에서도, 상기 단계 S301∼S304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이루어져, 통신처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의 전화 번호와 IP 어드레스도 관리용 데이터베이스(14)에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 후, 각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는, IP 망(2)에의 접속이 유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접속 확인 신호를 호 제어 서버(13)에 대하여 발신한다(S305). 이 접속 확인 신호는, 순차적으로 호 제어 서버(13)에서 감시된다(S306).
즉, 호 제어 서버(13)는, 각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로부터의 접속 확인 신호가 정기적에 송신되어 있는지를 순차적으로 확인하여, 송신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는 동안에는(단계 S306에서의 「예」), 다음의 접속 확인 신호가 발신(S305)되는 것을 대기한다.
한편, 소정 시간 경과해도 다음의 접속 확인 신호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306에서의 「아니오」), 해당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가, IP 망(2)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관리용 데이터베이스(14)에 등록되어 있는 IP 어드레스를 말소한다(S307).
이에 의해, 현재 IP 망(2)에 접속되어 있는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30b)의 IP 어드레스만이 관리용 데이터베이스(14) 내에 축적된다.
계속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다기능 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음성 통화 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에서 통신처의 전화 번호를 다이얼한다. 이 전화 번호는, 통신처가 본 시스템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상의 전화 번호의 첫머리에 「***」를 부가하여 다이얼한다.
이 다이얼 조작을 받아, VoIP 어플리케이션(45)은,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가, 전화 회선(5)과 ADSL(3)과 스플리터(7)와 ISP 서버를 통하여, IP 망(2)과의 사 이에서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401).
IP 망(2)과의 사이의 접속이 확립되어 있을 때에는, VoIP 어플리케이션(45)은, 호 제어 서버(13)에 발호자에 의해 다이얼된 통신처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의 전화 번호를 송신한다(S402).
호 제어 서버(13)는, 수신한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관리용 데이터 베이스(14)를 검색하여, 통신처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의 IP 어드레스를 검색하여(S403), 통신처(통신 상대)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가 관리용 데이터베이스(14)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404).
관리용 데이터베이스(14) 상에서 통신처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의 IP 어드레스가 검출된 경우, 검출된 IP 어드레스를 통신원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에 회신한다. 이에 따라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는, 통신처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한다(S405).
이 때,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는, 통신처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의 IP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즉,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는, 통신처가 파이어월 등에 의해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406).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면 접속을 확립시킨다. 한편, 통신처가 파이어월 등에 의해 직접 통신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통신처측으로부터 액세스 메소드를 취득하여(S409), 접속을 확립시킨다.
접속이 확립된 후, 통신처의 다기능 단말기(30b)는, 통신 확립한 취지를 통 지하는 메시지를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에 송신하고, 이 메시지를 받은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에서는, 핸드세트(31)의 스피커에 의해 메시지를 출력한다(S407). 계속해서, IP 망(2)을 통한 음성 통화(IP 전화)를 개시한다(S4O8).
S404에서, 통신처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의 IP 어드레스가 검출되지 않고, 통신처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가 등록되어 있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호 제어 서버(13)는, 발호자에 의해 다이얼된 전화 번호를 해석하여, 시외 국번 등에 의해 통신처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의 가장 가까운 게이트웨이(12)를 선택한다(S410). 여기서는, 도 10에 도시한 게이트웨이(12)가 선택된 것으로 한다. 이 때, 선택된 게이트웨이(12)에 관한 정보(예를 들면, 게이트웨이(12)가 설치되어 있는 시외 국번 등)를 송신원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에 송신한다.
이 송신된 게이트웨이(12)의 정보를 취득한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에서는(S411), 게이트웨이(12)의 시외 국번 등에 기초하여, VoIP 어플리케이션(45) 내의 전화 번호부 테이블을 대조하여, PSTN(1)에서의 통신 거리가, 장거리로 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12).
예를 들면, 통신처가 근접 지역인 것 등, 장거리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전하는 메시지를 핸드세트(31)의 스피커로부터 출력시킨 후(S418), PSTN(1)을 통하여 통신처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에 대하여 접속하여, 통상의 음성 통화를 개시한다(S419).
S412에서, 장거리 전화로 판단한 경우,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는, 접속을 허가하는지의 여부의 선택을 요구한다(S413). 사용자가 접속을 허가하는 경우 (S414에서의 "예")에는, 호 제어 서버(13)로부터 게이트웨이(12)의 IP 어드레스를 취득하고(S415), IP 망(2)을 통하여 게이트웨이(12)에 접속하고(S416), 게이트웨이(12)를 경유하여 PSTN(1)에 의해 통신처인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와의 음성 통화를 개시한다(S417).
S414에서, 사용자가 접속을 허가하지 않는 경우(S414에서의 "아니오")에는, 접속을 중지한다(S420).
S401에서,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가 IP 망(2)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PSTN(1)에의 접속 처리로 전환한다. 이 때,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얼된 전화의 시외 국번 등으로부터 장거리로 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501), 장거리가 아닌 경우에는, IP 망(2)을 경유하지 않고 PSTN(1)에 의해 접속하는 메시지를 출력한 후(S505), 통상의 음성 통화를 개시한다(S506).
S501에서, 장거리로 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는, 접속 허가의 요구를 행하여(S502), 사용자의 선택을 재촉한다(S503). 사용자가 허가하는 경우에는, PSTN(1)에 의한 장거리 전화가 되는 메시지를 출력한 후(S505), 통상적인 음성 통화를 개시한다(S506).
S503에서, 사용자가 허가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속을 중지한다(S504).
또한, 전술한 예에서는, IP 망(2)에 접속 가능한 통신처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와의 음성 통화를 전제로 했지만, 예를 들면, 호 제어 서버(13)에 등록하지 않은 전화기(11)에 대하여 전화를 거는 경우에는, 전화 번호의 첫머리에 「***」가 부가되지 않고 다이얼되기 때문에, PSTN(1)을 통하여 통상의 음성 통화를 행하게 된다.
송신원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는, S402에서, 패킷 송수신부(43) 내의 통신 이력(액세스수)을 갱신해도 되고, S408, S417, S419에서, 패킷 송수신부(43) 내의 통신 이력(액세스수)을 갱신해도 된다.
계속해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전술한 음성 통화 시의 수순에서의 데이터의 흐름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발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 및 착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가, 호 제어 서버(13)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에 있는 경우의 데이터의 흐름을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호자가, 발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로부터, 착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의 전화 번호를 다이얼하면, 발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의 VoIP 어플리케이션(45)은, 착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의 전화 번호를, ADSL(3)과 스플리터(7)와 ISP 서버(9)를 통하여, 호 제어 서버(13)에 송신한다(S601).
착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호 제어 서버(13)는, 관리용 데이터베이스(14)를 검색하여, 착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의 IP 어드레스를 검출한다(S602).
호 제어 서버(13)는, 검출한 착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의 IP 어드레스를, 발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에 송신한다(S603).
발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의 VoIP 어플리케이션(45)은, 착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의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착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와의 사이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S604).
접속 처리의 종료 후, 발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의 VoIP 어플리케이션(45)은, 핸드세트(31)의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 대역 신호를 패킷 데이터로 변환하여, 그 헤더 등에 착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의 IP 어드레스를 부가하여 송신한다(S605). 여기서, 발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의 패킷 송수신부(43)는, 통신 이력(패킷 데이터 수 또는 패킷 데이터량)을 갱신한다.
착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b)는, 수신한 패킷 데이터를 음성 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핸드세트의 마이크로부터 음성 대역 신호로서 출력하여, 음성 통화가 행해진다.
도 16은, 발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가 호 제어 서버(13)에 등록되어 있고, 착신측의 전화기(11)가 호 제어 서버(13)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의 데이터의 흐름을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호자가, 발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에서, 착신측의 전화기(11)의 전화 번호를 다이얼하면, 발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의 VoIP 어플리케이션(45)은, 착신측의 전화기(11)의 전화 번호를, ADSL(3)과 스플리터(7)와 ISP 서버(9)를 통하여, 호 제어 서버(13)에 송신한다(S701).
착신측의 전화기(11)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호 제어 서버(13)는, 관리용 데이터베이스(14)를 검색한다. 착신측의 전화기(11)가 호 제어 서버(13)에 등록되 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관리용 데이터베이스(14) 상으로부터 착신측의 전화기(11)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레코드가 삭제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IP 어드레스가 검출되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호 제어 서버(13)는, 다이얼된 전화 번호의 시외 국번 등을 해석하여, 착신측의 전화기(11)의 가장 가까운 게이트웨이(12)를 검색한다(S702).
호 제어 서버(13)는, 검출한 게이트웨이(12)의 IP 어드레스를, 발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에 송신한다(S703).
발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의 VoIP 어플리케이션(45)은, 게이트웨이(12)의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12)와의 사이의 접속 처리를 행한다(S704).
접속 처리의 종료 후, 발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의 VoIP 어플리케이션(45)은, 핸드세트(31)의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 대역 신호를 패킷 데이터로 변환하여, 그 헤더 등에 게이트웨이(12)의 IP 어드레스 및 착신측의 전화기(11)의 전화 번호를 부가하여 송신한다(S705). 여기서, 발신측의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의 패킷 송수신부(43)는, 통신 이력(패킷 데이터수 또는 패킷 데이터량)을 갱신한다.
게이트웨이(12)는, 수신한 패킷 데이터 내의 착신측의 전화기(11)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패킷 데이터를 PSTN(1)에 의해 송수신 가능한 통신 신호로 변환하여, PSTN(1)을 통하여 착신측의 전화기(11)에 송신한다(S706).
착신측의 전화기(11)는, 수신한 통신 신호를, 핸드세트의 스피커로부터 음성 대역 신호로서 출력하여, 음성 통화가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 단말기에 의한 작용·효과)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 단말기에 따르면, 패킷 송수신부(43)가, ADSL(3)을 통하여 IP 망(2)과의 사이에서, 음성 대역 신호가 변환된 패킷 데이터를 송수하기 위해, 전화 회선(가입자선)(5)을 다기능 전화 단말기(30a)의 전화 회선용 단자(41)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브로드밴드 통신을 이용한 IP 전화가 가능해져, 번잡한 접속 작업 및 배선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 단말기에 따르면, 통신처의 전화기(11)가 IP 망(2)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PSTN(1)을 통하여, 통신처의 전화기(11)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 시스템으로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 단말기에 따르면, 발호자는, 자동적으로 IP 전화를 선택할 수 있어, 통신 요금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전화 단말기에 따르면, 패킷 송수신부(43)가, ADSL(3)을 통하여 IP 망(2)과의 사이에서, 슬롯(36)에 삽입된 통신 카드(34)를 통하여 휴대 정보 단말기(61)와의 사이에서 통신된 패킷 데이터를 송수하기 때문에, 번잡한 접속 작업 및 배선을 필요로 하지 않고, 휴대 정보 단말기(61)에 대하여 인터넷 상시 접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호출처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패킷망 또는 공중 전화 회선망 중 어느 하나의 망을 경유하여 통신을 행할지를 결 정하여, 패킷망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공중 전화 회선망을 경유하는 통신을 행함과 함께, 호출처의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로의 경로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단말기 접속 장치, 접속 제어 장치 및 다기능 전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Claims (16)

  1. 패킷 데이터를 송수(送受)하는 패킷망과, 음성 대역 신호를 송수하는 공중 전화 회선망과, 호출처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요구를 송신하는 통신 단말기를 접속하고, 상기 접속 요구를 상기 패킷망 또는 상기 공중 전화 회선망 중 어느 하나에 송신하는 단말기 접속 장치로서,
    상기 접속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호출처의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요구를 상기 패킷망 또는 상기 공중 전화 회선망 중 어느 하나에 송신하는 접속 처리부와,
    상기 패킷망을 통한 통신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패킷망 상태 판정부와,
    상기 접속 처리부가 상기 패킷망에 송신한 상기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망만을 경유하는 제1 통신로 또는 상기 패킷망과 상기 공중 전화 회선망을 경유하는 제2 통신로 중 어느 것이 상기 호출처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로로서 설정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소정의 패킷 데이터를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소정의 패킷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요구를 송신한 상기 통신 단말기에 상기 제1 통신로 또는 상기 제2 통신로 중 어느 것이 설정되었는지를 통지하는 가청 신호를 송신하는 경로 정보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처리부는, 상기 패킷망 상태 판정부에 의해 상기 패킷망을 통한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패킷망에 송신하는 것으로 결정한 상기 접속 요구를 상기 공중 전화 회선망에 송신하고,
    상기 소정의 패킷 데이터는, 상기 패킷망 상의 접속 제어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 또는 패킷망 상에 있어서의 상기 호출처측의 접속 제어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 정보 처리부에 의해 수신되며,
    상기 경로 정보 처리부는,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 횟수에 따라서, 상기 가청 신호를 소정의 횟수로 송신함과 함께, 상기 패킷망 상의 접속 제어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에 따른 상기 가청 신호를 송신한 후에, 상기 호출처의 전화 단말기에서의 호출음의 출력을 통지하는 링백톤을, 호출원인 상기 통신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접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처리부는, 상기 접속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호출처의 전화 번호에 소정의 식별 정보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접속 요구를 상기 공중 전화 회선망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접속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망 상태 판정부는, 상기 패킷망을 구성하는 다른 네트워크 기기와의 사이에서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그 다른 네트워크 기기로부터의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판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접속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망 상태 판정부는, 상기 패킷망을 구성하는 다른 네트워크 기기와의 사이에서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상기 패킷망의 일부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경로 정보 처리부에 대하여, 상기 제2 통신로가 설정된 것을 통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접속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는, 가청음을 포함하는 음성 대역 신호의 패킷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접속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로는, 호출처의 전화 번호를 해석하여, 해당 호출처의 전화 단말기의 가장 근처의 접속 제어 장치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설정되며, 상기 경로 정보 처리부는, 선택된 접속 제어 장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기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접속 장치.
  7. 패킷 신호를 송수하는 패킷망과, 음성 대역 신호를 송수하는 공중 전화 회선망에 접속되어 있는 단말기 접속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호출처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기 접속 장치와 상기 호출처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로를 설정하고, 상기 패킷망 상에 설치되어 있는 접속 제어 장치로서,
    상기 패킷망에 송신한 상기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망만을 경유하는 제1 통신로 또는 상기 패킷망과 상기 공중 전화 회선망을 경유하는 제2 통신로 중 어느 것이 상기 호출처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설정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소정의 패킷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 접속 장치에 송신하는 경로 정보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로 정보 송신부는, 상기 단말기 접속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에 따라서, 해당 단말기 접속 장치에 가청 신호의 송신을 시키는 패킷 데이터를 송신한 후에, 상기 호출처의 전화 단말기에서의 호출음의 출력을 통지하는 링백톤의 송신을 시키는 패킷 데이터를, 호출원인 상기 단말기 접속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가청 신호의 송신을 시키는 패킷 데이터는, 호출원의 단말기 접속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 또는 상기 패킷망 상의 호출처의 단말기 접속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의 수신 횟수에 따라서, 상기 경로 정보 송신부로부터 호출원의 단말기 접속 장치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정보 송신부는, 상기 소정의 패킷 데이터 대신에, 상기 패킷망만을 경유하는 상기 제1 통신로 또는 상기 패킷망과 상기 공중 전화 회선망을 경유하는 상기 제2 통신로 중 어느 것을 상기 호출처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설정했는지를 나타내는 음성 대역 신호의 패킷을 상기 단말기 접속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9. 호출처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접속 요구를, 패킷 데이터를 송수하는 패킷망, 또는 음성 대역 신호를 송수하는 공중 전화 회선망 중 어느 하나에 송신하고, 상기 패킷망 또는 상기 공중 전화 회선망 중 어느 하나와 접속하는 통신 단말기로서,
    음성 통화용의 음성 대역 신호의 입출력 처리를 행하는 음성 신호 처리부와,
    공중 전화 회선망을 통하여 상기 음성 통화를 행할지, 또는 패킷망을 통하여 상기 음성 통화를 행할지를 선택하는 접속 처리부와,
    패킷망을 통하여 상기 음성 통화를 행하는 것으로 선택된 경우, 상기 음성 대역 신호와 상기 패킷망 상에서 통신 가능한 패킷 데이터와의 사이의 변환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부와,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선을 통하여, 상기 패킷망과의 사이에서, 상기 음성 대역 신호가 변환된 상기 패킷 데이터의 송수를 행하는 패킷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처리부는, 상기 패킷망에 송신한 상기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망만을 경유하는 제1 통신로 또는 상기 패킷망과 상기 공중 전화 회선망을 경유하는 제2 통신로 중 어느 것이 상기 호출처의 전화 번호가 할당된 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설정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소정의 패킷 데이터를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소정의 패킷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요구를 송신한 상기 통신 단말기에 상기 제1 통신로 또는 상기 제2 통신로 중 어느 것이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소정의 패킷 데이터는, 상기 패킷망 상의 접속 제어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 또는 패킷망 상에 있어서의 상기 호출처측의 접속 제어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경로 정보 처리부에 의해 수신되며,
    상기 경로 정보 처리부는,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 횟수에 따라서, 가청 신호를 소정의 횟수로 송신함과 함께, 패킷망 상에 있어서의 상기 호출처측의 접속 제어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에 따른 상기 가청 신호를 송신한 후에, 상기 호출처의 전화 단말기에서의 호출음의 출력을 통지하는 링백톤을, 호출원인 상기 통신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처리부는, 상기 패킷망을 통하여 상기 음성 통화를 행하는 것이 불가능했을 경우에, 공중 전화 회선망을 통하여 상기 음성 통화를 행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PHS 기지국으로서 PHS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한 기지국부를 구비하고,
    상기 음성 신호 처리부는, 상기 기지국부를 통하여 상기 PHS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음성 대역 신호의 입출력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코드리스 친기로서 코드리스 자기와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한 친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음성 신호 처리부는, 상기 친기부를 통하여 상기 코드리스 자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음성 대역 신호의 입출력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3. 제9항에 있어서,
    무선 LAN 통신에 의해 휴대 정보 단말기와의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카드를 삽입 가능한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패킷 송수신부는, 상기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선을 통하여, 상기 패킷 망과의 사이에서, 상기 슬롯에 삽입된 상기 통신 카드를 통해서 상기 휴대 정보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통신된 패킷 데이터를 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4. 제9항에 있어서,
    비디오 전화용의 비디오 신호의 입출력 처리를 행하는 비디오 전화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비디오 전화 처리부는, 상기 비디오 신호와 상기 패킷망 상에서 통신 가능한 패킷 데이터와의 사이의 변환 처리를 행하고,
    상기 패킷 송수신부는, 상기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선을 통하여, 상기 패킷망과의 사이에서, 상기 비디오 전화 처리부와의 사이에서 통신된 패킷 데이터를 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로는, 호출처의 전화 번호를 해석하고, 해당 호출처의 전화 단말기의 가장 근처의 접속 제어 장치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설정되며, 상기 접속 처리부는, 선택된 접속 제어 장치에 관한 정보를 상기 패킷망으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공중 전화 회선망에 있어서의 통신 거리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가, 상기 공중 전화 회선망에 있어서의 통신 거리가 장거리로 되는 경우에, 접속의 가부의 선택을 사용자에게 요구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KR1020047019358A 2002-05-31 2003-05-30 단말기 접속 장치, 접속 제어 장치 및 다기능 전화 단말기 KR100929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60537 2002-05-31
JPJP-P-2002-00160537 2002-05-31
PCT/JP2003/006855 WO2003103259A1 (ja) 2002-05-31 2003-05-30 端末接続装置、接続制御装置及び多機能電話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255A KR20050012255A (ko) 2005-01-31
KR100929757B1 true KR100929757B1 (ko) 2009-12-03

Family

ID=29706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358A KR100929757B1 (ko) 2002-05-31 2003-05-30 단말기 접속 장치, 접속 제어 장치 및 다기능 전화 단말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57278B2 (ko)
EP (1) EP1511282A4 (ko)
JP (1) JP4502803B2 (ko)
KR (1) KR100929757B1 (ko)
CN (1) CN1656785B (ko)
AU (1) AU2003242001B2 (ko)
TW (1) TW200412503A (ko)
WO (1) WO20031032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9010B1 (en) * 1995-10-05 2002-05-14 Intermec Ip Corp. Hierarchical data collection network supporting packetized voice communications among wireless terminals and telephones
US7046659B1 (en) * 2001-07-03 2006-05-16 Cisco Technology, Inc. Call signaling approach to user self-provisioning on VoIP using a touch-tone interface
KR100480722B1 (ko) * 2002-10-07 200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링백 톤 발생장치를 구비한 인터넷 폰 및 그의 링백 톤전송 방법
US7480287B2 (en) * 2002-11-19 2009-01-20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mail server
EP2244427A3 (de) * 2003-02-26 2014-04-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Datenverarbeitungs-/Datenübertragungsgerät und Datenendeinrichtung für ein leitungsvermitteltes Netz und paketvermitteltes Netz
US20050111435A1 (en) * 2003-11-26 2005-05-26 James Yang [internet-protocol (ip) phone with built-in gateway as well as telephone network structure and multi-point conference system using ip phone]
CA2457969A1 (en) * 2004-01-14 2005-07-14 Yaron Mayer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balance between download and upload traffic on the internet and/or other networks
US7673021B2 (en) * 2004-02-12 2010-03-02 Cisco Technology, Inc. Automated provisioning of phones in packet voice networks
JP4469209B2 (ja) * 2004-04-12 2010-05-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Ip電話システム、ip電話装置及び通話方法
US20070237140A1 (en) * 2004-04-27 2007-10-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Packet Communication System
US20060007915A1 (en) * 2004-07-09 2006-01-12 Andrew Frame Connecting a VOIP phone call using a shared POTS line
JP4597597B2 (ja) * 2004-07-15 2010-12-15 ソフトバンクBb株式会社 コールエージェントサーバ、発信者番号通知システム及び発信者番号通知方法
JP4602046B2 (ja) * 2004-10-22 2010-12-2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管理サーバ
CN100466535C (zh) * 2004-12-23 2009-03-04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用户在ip网络与pstn之间切换的装置及其方法
JP2006191297A (ja) * 2005-01-05 2006-07-20 Sogo Keibi Hosho Co Ltd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
US20060171299A1 (en) * 2005-01-28 2006-08-03 Skubisz Michael A Maintaining life line packet-switched telephony services
JP4530869B2 (ja) * 2005-02-15 2010-08-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VoIPゲートウエイ装置
JP2006238330A (ja) * 2005-02-28 2006-09-07 Sony Corp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サービス移行方法
CN100411437C (zh) 2005-06-10 2008-08-13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基于移动通信网络的可视电话呼叫失败的处理方法
US7751536B1 (en) * 2005-10-07 2010-07-06 Avaya Inc. Line appearance reservation for SIP endpoints
US8483100B2 (en) 2005-11-14 2013-07-09 Broadcom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supporting both internet and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telephony
US8274970B2 (en) 2005-11-14 2012-09-25 Broadcom Corporation Voice communication device with PSTN and internet pathway analysis, selection and handoff
US20070110034A1 (en) * 2005-11-14 2007-05-17 Broadcom Corporation, A California Corporation Pathways analysis and control in packet and circuit switched communication networks
GB0525560D0 (en) * 2005-12-15 2006-01-25 Amrivox Ltd Audio message insertion in networked devices
US8964725B1 (en) * 2005-12-20 2015-02-24 Rockstar Consortium Us Lp Initiating outgoing calls to a VoP terminal from a POTS-based telephone terminal
US20070183407A1 (en) * 2006-02-07 2007-08-09 Broadcom Corporation, A California Corporation Auxiliary bridging device supporting multiple pathway telephony bridging
TWI307236B (en) * 2006-03-03 2009-03-01 Hon Hai Prec Ind Co Ltd Voip modem and method for detecting voip services
US7899040B2 (en) * 2006-03-15 2011-03-01 Cisco Technology, Inc. Synchronization of event processing at a media gateway
JP4668105B2 (ja) * 2006-03-23 2011-04-13 三菱電機株式会社 Ip電話端末装置
US8681775B2 (en) * 2006-04-03 2014-03-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witchable voice source network interface device module
WO2008004283A1 (fr) * 2006-07-04 2008-01-10 Duaxes Corporation Procédé et dispositif de régulation de communications
JP4636617B2 (ja) * 2006-07-20 2011-02-2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装置、接続制御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接続システム
US20080084991A1 (en) * 2006-10-05 2008-04-10 Inventec Multimedia & Telecom Corporation Automatic switch-dialing system and method
US7752174B2 (en) * 2006-10-11 2010-07-06 Teamon Systems, Inc. Computer server system including a database pool module providing database connectivity recovery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US20100299398A1 (en) * 2006-11-24 2010-11-25 Duaxes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US9055517B2 (en) * 2007-02-26 2015-06-09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user-directed dynamic domain selection
US7995562B2 (en) 2007-02-26 2011-08-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to trigger a mobile device in different domains based on unsuccessful initialization or handover
US10469556B2 (en) * 2007-05-31 2019-11-05 Oom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dio cues in operation of a VoIP service
CN101056283B (zh) * 2007-06-07 2011-08-17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语音网关以及提供VoIP业务的方法
US9225626B2 (en) 2007-06-20 2015-12-29 Oom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multiple lines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8056890B2 (en) * 2007-07-02 2011-11-15 William Thomas Engel Cut mat
WO2009085011A1 (en) * 2007-12-28 2009-07-09 St Electronics (Info-Comm Systems) Pte Ltd Radio gateway network
US20090168755A1 (en) * 2008-01-02 2009-07-02 Dennis Peng Enforcement of privacy in a VoIP system
CN101505343B (zh) * 2008-02-04 2012-08-22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实现语音呼叫的方法、系统及装置
US8515021B2 (en) * 2008-02-25 2013-08-20 Oom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reverse 911 service
JP4525776B2 (ja) * 2008-03-05 2010-08-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電話装置
JP4599424B2 (ja) * 2008-03-26 2010-12-15 株式会社東芝 電話システムとその交換装置および発信制御方法
JP4569655B2 (ja) * 2008-03-26 2010-10-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通信端末
US8804697B1 (en) 2008-06-13 2014-08-12 Ooma, Inc. Distributed call routing in a VoIP system
US20100008264A1 (en) * 2008-07-09 2010-01-14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installation of packet-switched telephony equipment on a subscriber premises
US9300628B2 (en) * 2008-10-10 2016-03-29 Nokia Technologies Oy Correlating communication sessions
US20100215033A1 (en) * 2009-02-20 2010-08-26 Avaya Inc. Preferential routing of secured calls
CN101888453B (zh) * 2009-05-13 2012-09-05 英华达股份有限公司 多工通讯装置
JP5311236B2 (ja) * 2011-03-29 2013-10-09 横河電機株式会社 接続設定情報管理システム
TWM420134U (en) * 2011-06-24 2012-01-01 Wistron Neweb Corp Connection switching device and telephone device
CN102917432A (zh) * 2011-08-05 2013-02-06 希姆通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手机ps域网络连接管理装置及方法
TWI510025B (zh) 2012-07-24 2015-11-21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and programs
US9185227B2 (en) * 2012-12-14 2015-11-10 Kirusa, Inc. Sender driven call completion system
JP5994630B2 (ja) * 2012-12-26 2016-09-21 アイコム株式会社 中継装置
CN103209120B (zh) * 2013-03-14 2017-04-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网关设备、VoIP通话管控系统及其通话管控方法
JP5859483B2 (ja) * 2013-05-28 2016-02-10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3442150B (zh) * 2013-08-28 2016-05-04 深圳市宏电技术股份有限公司 基于voip语音网关的通话方法、系统及该网关
US9386148B2 (en) 2013-09-23 2016-07-05 Ooma, Inc. Identifying and filtering incoming telephone calls to enhance privacy
US9560198B2 (en) 2013-09-23 2017-01-31 Ooma, Inc. Identifying and filtering incoming telephone calls to enhance privacy
ES2737173T3 (es) * 2014-04-25 2020-01-10 Vodafone Espana Sau Método y sistema para la selección en un escenario de múltiples dispositivos
US9633547B2 (en) 2014-05-20 2017-04-25 Ooma, Inc. Security monitoring and control
US10769931B2 (en) 2014-05-20 2020-09-08 Ooma, Inc. Network jamming detection and remediation
US10553098B2 (en) 2014-05-20 2020-02-04 Ooma, Inc. Appliance device integration with alarm systems
US11330100B2 (en) 2014-07-09 2022-05-10 Ooma, Inc. Server based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services
WO2016106547A1 (zh) * 2014-12-30 2016-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语音通话方法、装置以及语音通话器
US11171875B2 (en) 2015-05-08 2021-11-09 Ooma, Inc. Systems and methods of communications network failure detection and remediation utilizing link probes
US10911368B2 (en) 2015-05-08 2021-02-02 Ooma, Inc. Gateway address spoofing for alternate network utilization
US10771396B2 (en) 2015-05-08 2020-09-08 Ooma, Inc. Communications network failure detection and remediation
US9521069B2 (en) 2015-05-08 2016-12-13 Ooma, Inc. Managing alternative networks for high quality of service communications
US10009286B2 (en) 2015-05-08 2018-06-26 Ooma, Inc. Communications hub
EP3318022B1 (en) 2015-06-30 2021-08-18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Switch device for use in gateway equipment and gateway equipment
US10116796B2 (en) 2015-10-09 2018-10-30 Ooma, Inc. Real-time communications-based internet advertising
EP3261315A1 (en) * 2016-06-23 2017-12-27 Telefonica Digital España, S.L.U. Accelarating fall-back call establisment with push notifications
US20180013897A1 (en) * 2016-07-08 2018-01-11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on of a subscription at a device
JP2018201129A (ja) * 2017-05-26 2018-12-20 富士通株式会社 システム管理装置、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713902B (zh) * 2018-09-26 2020-12-21 立新 陳 動態指定網路交換機之通話連線系統與方法
JP7168846B2 (ja) 2018-09-27 2022-11-10 アイコム株式会社 中継装置および音声信号の中継方法
US11277521B1 (en) 2018-11-06 2022-03-15 Dialpad, Inc. On premises gateways interconnecting VoIP systems,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and private branch exchanges and other telephony infrastructure
US10999443B1 (en) * 2018-11-06 2021-05-04 Dialpad, Inc. On premises gateways interconnecting VoIP systems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and private branch exchanges and other telephony infrastructure
JP7168217B2 (ja) * 2019-04-19 2022-11-09 株式会社Mi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送信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1553A (ja) 1999-03-04 2000-09-22 Nec Corp ボタン電話装置とインターネット通信システム
WO2000072536A1 (en) * 1999-05-26 2000-11-30 Nortel Networks Limited Quality of service based transitioning between alternate transport paths
JP2002051145A (ja) 2000-08-04 2002-02-15 Oki Electric Ind Co Ltd 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その呼転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8953A (ja) 1988-11-30 1990-06-07 Hitachi Ltd 課金条件転送交換方法
US6870827B1 (en) * 1997-03-19 2005-03-22 Verizon Services Corp. Voice call alternative routing through PSTN and internet networks
US5999612A (en) * 1997-05-27 1999-12-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grated telephony and data services over cable networks
JP3838759B2 (ja) * 1997-09-29 2006-10-2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音声通信方法および通信ルート通知装置、電話交換ネットワーク
US6751210B1 (en) * 1997-10-02 2004-06-15 Siemens Information & Communication Networks, Inc. Alternate telephone call routing system
DE19745961A1 (de) * 1997-10-17 1999-04-22 Cit Alcatel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bau einer Gesprächsverbindung
US20060002381A1 (en) * 1997-12-09 2006-01-05 Michael Socaciu Signaling for Internet end stations
US6141341A (en) * 1998-09-09 2000-10-31 Motorola, Inc.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telephone system and method
JP2000092527A (ja) * 1998-09-16 2000-03-31 Fujitsu I-Network Systems Ltd 停電対応機能付lan電話システムならびにlan電話機およびlan電話アダプタ
KR100279822B1 (ko) * 1998-12-07 2001-03-02 윤종용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구비하는 교환시스템의 음성메시지 녹음/재생 장치 및 방법
GB2346761B (en) * 1999-02-11 2003-12-10 Mitel Corp A telephone apparatus
US6690651B1 (en) * 1999-07-22 2004-02-10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fer of a call in a communications system in response to changes in quality of service
US6914897B1 (en) * 1999-09-27 2005-07-05 3 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radio programs using a data network telephone in a network based telecommunication system
JP2001144854A (ja) * 1999-11-12 2001-05-25 Fujitsu Ltd Ip網を経由する電話接続方法及び電話接続装置
JP3519653B2 (ja) * 1999-12-03 2004-04-19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方法及び記録媒体及び通信方式及びアダプタ
KR20020009002A (ko) * 2000-07-22 2002-02-01 송석현 인터넷 화상 폰
JP2002101198A (ja) * 2000-09-26 2002-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ターネット電話システム
US7197029B1 (en) * 2000-09-29 2007-03-27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phone having adaptive transmission modes
KR100445284B1 (ko) * 2000-10-26 2004-08-2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인터넷 전화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및통화 장치 어댑터
JP3862056B2 (ja) * 2001-08-06 2006-12-27 三菱電機株式会社 通話装置アダプタ
US7382767B2 (en) * 2001-09-27 2008-06-03 Siemens Communications, Inc. Transparent interchangeable network (TIN)
JP4135466B2 (ja) * 2002-10-25 2008-08-2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JP4368120B2 (ja) * 2003-03-20 2009-11-18 ソフトバンクBb株式会社 通信路設定方法及び通信路設定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1553A (ja) 1999-03-04 2000-09-22 Nec Corp ボタン電話装置とインターネット通信システム
WO2000072536A1 (en) * 1999-05-26 2000-11-30 Nortel Networks Limited Quality of service based transitioning between alternate transport paths
JP2002051145A (ja) 2000-08-04 2002-02-15 Oki Electric Ind Co Ltd 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その呼転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255A (ko) 2005-01-31
CN1656785A (zh) 2005-08-17
EP1511282A4 (en) 2006-07-12
WO2003103259A1 (ja) 2003-12-11
JPWO2003103259A1 (ja) 2005-10-06
US7457278B2 (en) 2008-11-25
TWI318350B (ko) 2009-12-11
JP4502803B2 (ja) 2010-07-14
AU2003242001A1 (en) 2003-12-19
EP1511282A1 (en) 2005-03-02
CN1656785B (zh) 2010-08-25
TW200412503A (en) 2004-07-16
AU2003242001B2 (en) 2008-10-16
US20060013195A1 (en)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757B1 (ko) 단말기 접속 장치, 접속 제어 장치 및 다기능 전화 단말기
US8792479B2 (en) System and methods to route calls over a voice and data network
US7092380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oice communication over data networks
US20020114439A1 (en) User transparent internet telephony device and method
JP5197746B2 (ja) 電話呼をインターネット呼にブリッジする方法、モデム、およびサーバ
JP4185891B2 (ja) 通信端末、および通信端末の制御方法
JP2004135329A (ja) リングバックトーン発生装置を備えたインターネットフォン、及びそのリングバックトーン伝送方法
US20090274141A1 (en) Ip telephone system and ip telephone method
EP1221251B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telecommunication
KR20020011668A (ko) 인터넷 전화통화 서비스 방법
US743681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69575B1 (ko) 하나의 게이트웨이에 접속된 모든 단말기들에 대한 호의 분배
EP2346293B1 (en)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alizing voice service via wireless network
JP3795825B2 (ja) ナンバーディスプレイ着信によりipアドレス登録を促すようにしたip通信システムおよび該ip通信システムを構成するゲートキーパーならびにip端末装置
JP2004056775A (ja) VoIP電話システム
JP2004147137A (ja) 通信システム
WO2006072950A2 (en) Telephony line unification
KR101487518B1 (ko) 액세스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그 호 처리방법
KR20080103808A (ko) 브이오아이피 인터넷 통화 발신자의 위치추적시스템 및위치추적방법
KR20010090255A (ko)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인터넷 음성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