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464B1 - 무전극 방전 램프 - Google Patents

무전극 방전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464B1
KR100922464B1 KR1020087003998A KR20087003998A KR100922464B1 KR 100922464 B1 KR100922464 B1 KR 100922464B1 KR 1020087003998 A KR1020087003998 A KR 1020087003998A KR 20087003998 A KR20087003998 A KR 20087003998A KR 100922464 B1 KR100922464 B1 KR 100922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base
discharge lamp
electrodeless discharge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1429A (ko
Inventor
히데노리 카케하시
히로시 미야사키
케이스케 하라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이케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이케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31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01J5/54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 H01J5/58Means for fastening the separate part to the vessel, e.g. by cement
    • H01J5/60Means for fastening the separate part to the vessel, e.g. by cement for fastening by mechanical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H01J65/048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being produced by using an excitation coi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ischarge Lamps And Accessories Thereof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Common Detailed Techniques For Electron Tubes Or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전극 방전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수지재료의 열화로 인한 강도 저하를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해도 무전극 방전 램프의 램프부와 베이스의 결합 및 커플러부와 베이스의 결합을 확실하게 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무전극 방전 램프는, 내부에 방전 가스가 봉입되어 있는 방전용기를 갖는 벌브와, 상기 벌브를 지지고정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통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결합되며, 상기 벌브를 여기(勵起)하기 위한 커플러부를 구비하는 무전극 방전 램프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벌브의 방전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금속제 프레임과, 상기 금속제 프레임의 상기 벌브에 대향하는 부분을 덮는 수지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수지재료에 의한 베이스를 사용한 것에 비해 재료 열화가 없고, 벌브와 베이스를 장기간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지 커버가 벌브 장착 가이드의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벌브를 커플러부에 장착할 때, 벌브의 배기관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무전극 방전 램프{Electrodeless discharge lamp}
본 발명은 무전극 방전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벌브(bulb)와 커플러 (coupler)부를 결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무전극 방전 램프는 발광관의 내부에 전극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인 형광등 등의 방전 램프와 다르고, 전극 절단으로 인한 부점등(不點燈)이 없다. 따라서, 일반적인 형광등 등에 비해서 수명이 긴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무전극 방전 램프로서, 일본 특표평11-50840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벌브 내에 방전 가스를 봉입하고, 고주파 전자계를 작용시키는 것에 의해서 벌브 내의 방전 가스를 여기시켜서 발광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무전극 방전 램프는 발광체로서의 램프부와, 이 램프부와 결합하는 커플러부를 구비한다. 램프부는 방전 가스를 담고 있는 벌브와, 이 벌브를 지지 및 고정하는 한편 커플러부와 결합하는 베이스(base)를 구비한다. 커플러부는 유전 코일을 형성하고 있고, 전자(電磁) 에너지를 발생하는 코일 및 열전도체와, 베이스와 결합하기 위한 장착용 부재를 구비한다. 베이스 및 커플러부의 장착용 부재는 각각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커플러부로부터 램프부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며, 양자의 취부 상태에서는 램프부가 커플러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무전극 방전 램프에서는, 베이스 및 커플러부의 장착용 부재는 각각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무전극 방전 램프를 장기간 사용한 경우, 합성수지의 열화로 인한 강도 저하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무전극 방전 램프의 램프부와 베이스의 결합 및 커플러부와 베이스의 결합이 확실하게 행해지지 않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무전극 방전 램프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재료의 열화에 기인한 강도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무전극 방전 램프를 장기간 사용함에도 관계없이, 무전극 방전 램프의 램프부와 베이스의 결합 및 커플러부와 베이스의 결합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무전극 방전 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는,
내부에 방전 가스가 봉입되어 있는 방전용기를 갖는 벌브와, 상기 벌브를 지지고정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통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결합되며, 상기 벌브를 여기(勵起)하기 위한 커플러부를 구비하는 무전극 방전 램프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벌브의 방전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금속제 프레임과, 상기 금속제 프레임의 상기 벌브에 대향하는 부분을 덮는 수지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의 외관도.
도 2는 도 1의 무전극 방전 램프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무전극 방전 램프의 분해상태도.
도 4는 도 1의 무전극 방전 램프의 벌브와 베이스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무전극 방전 램프의 벌브와 베이스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무전극 방전 램프의 베이스 커버 및 베이스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의 무전극 방전 램프의 베이스 커버 및 베이스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1의 무전극 방전 램프의 커플러부의 사시도.
도 9는 도 1의 무전극 방전 램프의 벌브와 베이스와 커플러부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1의 무전극 방전 램프의 스톱퍼 및 스톱퍼 커버의 구성도.
도 11은 도 1의 무전극 방전 램프의 스톱퍼 커버의 구성도.
도 12는 도 1의 무전극 방전 램프에 스톱퍼 및 스톱퍼 커버를 취부한 상태의 설명도.
도 13은 도 1의 무전극 방전 램프의 벌브와 베이스의 결합체에 스톱퍼 및 스톱퍼 커버를 장착하는 설명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 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전극 방전 램프의 전체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무전극 방전 램프의 측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무전극 방전 램프의 분해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무전극 방전 램프(1)는 대략 구(球)모양의 벌브(2)와 그 벌브(2)를 지지고정하는 베이스(3)를 갖는 램프부와, 벌브(2)의 내부에 봉지된 방전 가스를 여기하기 위한 고주파 전자계를 발생하는 커플러부(4)를 구비하며, 벌브(2)와 커플러부(4)는 베이스(3)를 통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결합된다. 벌브(2)는 대략 구모양의 벌브외관(外管)(21)(방전용기)과, 벌브외관(21)의 중앙부에 설치된 대략 원형 단면을 갖는 중공부(25)가 형성된 대략 원통 모양의 캐비티(cavity)(24)와, 캐비티(24)의 중공부(25)에 설치된 배기관(22)을 갖는다. 벌브외관(21)은 경질 유리 등으로 형성된다. 벌브외관(21)의 네크(neck)부(21a)의 외연에는 그루브(groove)(23)가 형성되어 있다. 벌브외관(21)의 내면(21c)에는 형광물질이 도포되어 있다. 벌브외관(21)의 내부(21b)에는 수은 등의 방전가스가 충전(充塡)된다.
베이스(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 등의 수지로 형성된 베이스 커버(수지커버)(31)와,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다이캐스트 성형에 의해서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금속제 프레임)(32)과의 결합체로 구성되고, 베이스 커버(31)가 베이스 프레임(32)의 상기 벌브에 대향하는 부분을 덮도록 결합된다. 베이스 커버(31)는 벌브(2)의 축방향으로 커플러부(4)를 장착하기 위한 통형상부(316)를 갖는다. 통형상부(316)는 커플러부(4)를 벌브(2)에 장착할 때 배기관(22)을 보호하는 가이드 기능을 갖는 커플러부 장착가이드(313)와, 벌브(2)를 커플러부(4)에 장착할 때 배기관(22)을 보호하는 가이드 기능을 갖는 벌브 장착가이드(315)를 갖는다. 베이스 프레임(32)은 베이스 프레임(32)의 하부에 설치된 커플러부 결합부(베이스부)(320)와, 이 커플러부 결합부(320)로부터 세워진, 벌브외관(21)을 고정하기 위한 벌브고정 지주를 가지며, 커플러부 결합부(베이스부)(320)는 커플러부(4)와 결합된다. 베이스 커버(31) 및 베이스 프레임(32)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커플러부(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부에 유도코일(44)이 권회된 원통 모양의 코어(45)와, 코어(45)의 온도 상승에 따른 열을 배출하는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되고, 코어(45)가 상단부에 장착된 원기둥 모양의 실린더(46)와, 실린더(46)의 내부에 형성되고, 배기관(22)을 수납하는 중공부(43)와, 유도코일(44)에 고주파 전력을 공급하는 관등 케이블(41)과, 실린더(46)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베이스 프레임(32)과 결합하는 베이스 결합부(42)를 구비한다. 코어(45)와 유도코일(44)과 실린더(46)는 각각 대략 원형 단면으로 되어 있고, 각각의 외경은 벌브(2)의 캐비티(24)의 내경과 거의 같거나, 또한, 이것보다 약간 작게 되도록 설정된다. 이에 의해, 커플러부(4)를 캐비티(24)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 결합부(42)는 베이스 프레임(32)의 커플러부 결합부(320)와 결합된다. 베이스 결합부(42)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커플러부(4)의 관등 케이블(41)에 고주파 전력을 공급하면, 유도코일(44)이 고주파 자계를 발생한다. 따라서, 벌브외관(21)의 내부(21b)에 충전된 방전가스가 고주파 자계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여기되고, 방전하여, 자외선을 방사한다. 방사된 자외선은 벌브외관(21)의 내면(21c)에 도포된 형광물질에 의해서 가시광으로 변환된다.
다음에, 이 무전극 방전 램프(1)의 벌브(2)와 베이스(3)의 결합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벌브(2)와 베이스(3)가 결합된 상태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결합체는, 베이스 커버(31)가 베이스 프레임(32)을 수납하도록 덮고, 베이스 커버(31)의 상부에는 벌브외관(21)의 네크부(21a)가 장착된다. 따라서, 벌브외관(21)과 금속제로 되어 있는 베이스 프레임(32)이 직접 접촉되지 않고, 또한 베이스 커버(31)는 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력성이 있어, 벌브(2)에의 충격을 베이스 커버(31)가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벌브(2)가 파손하는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 커버(31)는, 그 상부에 베이스 프레임(32)의 벌브 지주부를 덮는 벌브고정 지주커버(수지커버의 지주부)(311)가 형성되고, 이 벌브고정 지주커버(311)에는 벌브(2)의 그루브(23)에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벌브(2)를 고정하는 후술의 스톱퍼를 끼워 넣기 위한 관통된 스톱퍼 장착공(312)이 형성된다.
베이스 프레임(32)의 하부는, 그 외연에 커플러부(4)의 베이스 결합부(42)와 와 결합되기 위한 커플러부 고정돌기(321) 및 커플러부 고정홈(322)이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복수개, 여기에서는 3개가 설치된다. 또한, 중앙 근방에는 개구부(324)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부(324)에는 베이스 커버(31)의 커플러부 장착가이드(313)가 끼워 넣어지며, 커플러부 장착가이드(313)의 중앙 근방에는 배기관(22)의 선단 이 위치된다. 또한, 개구부(324)의 외주에는 베이스 프레임(32)과 베이스 커버(31)를 결합하기 위한 나사(미도시)가 장착된 나사공(323)이 동일한 모양으로 등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된다.
다음에, 이 무전극 방전 램프(1)의 베이스 커버(31) 및 베이스 프레임(32)의 구성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베이스 커버(31)와 베이스 프레임(32)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베이스 프레임(32)은, 중앙 근방에 원형의 개구부(324)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324)의 주위에는 베이스 커버(31)와 결합되기 위한 나사공(323) 및 벌브외관(21)을 고정하기 위한 벌브 고정지주(325)가 동일한 모양으로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32)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벌브(2)는, 벌브외관(21)이 금속제의 벌브 고정지주(325)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재료열화에 의한 벌브 고정지주(325)의 강도의 저하가 거의 없다. 따라서, 벌브(2)와 베이스(3)를 장기간 확실히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벌브(2)의 낙하에 의한 파손의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 프레임(32)의 벌브 고정지주(325)의 선단에는 벌브(2)를 고정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스톱퍼가 끼워 넣어지는 스톱퍼 장착공(326)이 설치된다. 베이스 프레임(32)의 하부의 외연에는 "コ"자 모양의 커플러부 고정돌기(321) 및 커플러부 고정홈(322)이 설치되어, 각각 커플러부(4)의 베이스 결합부(42)와 결합된다.
베이스 커버(31)의 주측면(周側面)에는 벌브 고정지주 커버(311)가 등간격으로 복수개, 여기에서는 3개가 설치된다. 이 벌브 고정지주 커버(311)에는 후술의 스톱퍼가 관통하기 위한 스톱퍼 장착공(312)이 형성된다. 베이스 커버(31)의 내부에는, 관통공(317)을 갖고, 벌브의 축방향으로 커플러부(4)를 장착하기 위한 커플러부 장착 가이드(313)와, 마찬가지로 관통공(318)을 가지며, 벌브(2)를 커플러부(4)에 장착할 때 배기관(22)을 보호하는 가이드 기능을 갖는 벌브 장착 가이드(315)가 설치된다. 또한, 커플러부 장착 가이드(313)의 주위에는 베이스 프레임(32)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를 끼워 넣는 나사공(314)이 형성된다. 베이스 프레임(32)을 베이스 커버(31)로 덮은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32)에 설치된 나사공(323)의 바로 위에는 베이스 커버(31)에 설치된 나사공(314)이 배치되고, 벌브고정지주 커버(311)가 벌브 고정지주(325)를 덮는다. 베이스 프레임(32)에 형성된 스톱퍼 장착공(326)과 베이스 커버(31)에 형성된 스톱퍼 장착공(312)은 벌브 그루부(23)에 대향하고, 또한 벌브(2)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위치한다.
다음에, 무전극 방전 램프(1)의 커플러부(4)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커플러부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커플러부(4)는 전술한 각 부(41∼46)와, 베이스 프레임(32)과 결합하기 위한 베이스 결합부(42)를 갖는다. 베이스 결합부(42)는 베이스 고정 스프링(47)과 베이스 고정돌기(48)를 갖는다. 베이스 고정 스프링(47)과 베이스 고정돌기(48)는 실린더(46)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각각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다. 베이스 고정 스프링(47)과 커플러부 고정홈(322), 및 베이스 고정돌기(48)와 커플러부 고정돌기(321)는 각각 커플러부(4)를 회전시키면서 베이스 프레임(32)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베이스 고정 스프링(47), 베이스 고정돌기(48), 커플러부 고정돌기(321), 및 커플러부 고정 홈(322)은 상술한 것처럼 모두 금속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부의 재료열화에 의한 강도의 저하가 거의 없기 때문에, 커플러부(4)와 베이스(3)를 장기간 확실하게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무전극 방전 램프(1)의 조립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벌브(2), 베이스(3), 및 커플러부(4)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베이스 프레임(32)을 베이스 커버(31)로 덮어씌우고, 각각의 나사공(314)(323)을 나사(미도시)로 체결하는 것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32)과 베이스 커버(31)를 결합한다. 다음에, 벌브(2)의 네크부(21a)의 그루브(23)의 주위에 실리콘 수지 등의 수지성 접착제를 도포하고, 벌브(2)를 베이스 커버(31)의 벌브 장착가이드(315)의 관통공(318)을 관통시켜, 베이스 커버(31)에 삽입하고, 고착한다. 이에 의해, 벌브(2)가 베이스 커버(31)에 고정된다. 또한 후술하는 스톱퍼(5) 및 스톱퍼 커버(6)를 장착하는 것으로 무전극 방전 램프(1)의 램프부는 완성된다. 따라서, 벌브(2)의 낙하를 방지하고, 벌브(2)가 파손하는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벌브(2)를 벌브장착 가이드(315)의 관통공(318)을 관통시켜서 베이스 커버(31)에 장착하기 때문에, 배기관(22)의 파손의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 보인, 벌브(2)와 베이스(3)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커플러부(4)를 베이스(3)와 결합시킨다. 커플러부(4)를, 베이스 커버(31)의 커플러부 장착가이드(313)의 관통공(317)에 관통시켜 벌브(2)의 캐비티(24)에 장착하고, 회전시켜서 베이스(3)를 결합시킨다. 이때, 베이스 고정 스프링(47)은 회전 시키면서 커플러부 고정홈(322)과 치합되는 것에 의해 결합시키고, 베이스 고정돌기(48)도 동일한 형태로 치합시키는 것에 의해 커플러부 고정돌기(321)와 결합시킨다. 그리하여, 무전극 방전 램프(1)는 완성된다. 또한, 이때 배기관(22)은 커플러부(4)의 중공부(43)에 수납된다. 또한, 커플러부 장착가이드(313)는 커플러부(4)를 벌브(2)에 장착하기 위한 가이드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커플러부(4)의 중공부(43)에 배기관(22)을 확실히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이 무전극 방전 램프(1)에 사용되는 스톱퍼(금속편) 및 스톱퍼 커버(수지 커버)에 대하여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톱퍼(5)는, 스텐레스 등의 금속으로 형성된 대략 "U"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일단에는 수직으로 절곡한 L자부(53)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광폭으로 형성된 광폭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52)는 "U"자 형의 곡부로 되어 있고, 스톱퍼(5)의 상부에는 일단이 스톱퍼(5) 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고, 타단이 스톱퍼(5)에 고정되는 계지부(5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톱퍼 커버(6)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신장한 돌기부(63)와, 선단에 신장한 돌기부(61)가 형성된다. 스톱퍼 커버(6)의 하부에는 반원 모양의 돌기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스톱퍼 커버(6)의 상단과 하단의 사이에는 리브(64)가 설치되어 있다. 스톱퍼 커버(6)는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며, 탄성력을 갖는다.
다음에, 이 무전극 방전 램프(1)에 상기 스톱퍼(5) 및 스톱퍼 커버(6)를 장착한 상태에 대하여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톱퍼(5) 및 스톱퍼 커버(6)는 벌브(2)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장착된다. 스톱퍼(5)는, 먼저, 베이스 커버(31)의 스톱퍼 장착공(312a)을 관통하여, 베이스 프레임(32)의 벌브 고정지주(325)에 설치된 스톱퍼 장착공(326)에 끼워 넣어지고, 또한 베이스 커버(31)의 스톱퍼 장착공(312b)에 끼워 넣어진다. 이때, 스톱퍼(5)의 선단부(52)는 벌브 그루브(23)에 끼워지고, 스톱퍼(5)의 계지부(51)는 벌브 고정지주(325)의 단부에 계지된다. 이에 의해서, 벌브(2)를 베이스(3)에 확실히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벌브(2)의 낙하에 의한 파손의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톱퍼 커버(6)는 스톱퍼(5)가 끼워진 후에, 베이스 커버(31)의 스톱퍼 장착공(312a)에 끼워진다. 이때, 스톱퍼 커버(6)의 반원 모양의 돌기부(62)는 스톱퍼 장착공(312a)의 단부 및 벌브 고정지주(325)의 스톱퍼 장착공(326)의 단부에 탄력성을 이용하여 걸리고, 돌기부(61)는 베이스 커버(31)의 내면에 따라 내려가며, 상부의 돌기부(63)는 베이스 커버(31)의 내면에 설치된 요(凹)부에 장착된다. 이때, 스톱퍼 커버(6)의 리브부(64)는 스톱퍼(5)의 L자부(53) 및 광폭부(54)를 압착한다. 이에 의해, 베이스 커버(31)의 스톱퍼 장착공(312)은 막히기 때문에, 작업자 등이 금속제로 된 스톱퍼에 직접 접촉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작업자 등이 이 무전극 방전 램프(1)를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무전극 방전 램프의 시험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벌브외관의 구경이 180Φ, 벌브외관의 중량이 380g, 벌브외관의 높이가 260mm의 벌브(2)에 베이스(3)와 커플러부(4)를 취부하여 무전극 방전 램프(1)를 구성하고, 이것에 가속도 10G에 따른 진동을 가한 결과, 무전극 방전 램프(1)는 파손되지 않고, 각 부는 확실하게 결합되어, 정상으로 발광하였다. 또한, 실험결과로부 터 벌브외관(21)의 중량이 200g을 초과하는 것, 또한 벌브(2)와 베이스(3)의 결합부의 모멘트가 큰 것에 대하여 본 발명은 유효하다는 것이 구분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무전극 방전 램프는, 상기 실시형태에 나타내 보인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취지를 변경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베이스 커버(31)와 스톱퍼 커버(6)를 백색수지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광의 반사율을 높이고, 무전극 방전 램프의 광취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벌브 고정지주(325), 벌브 고정지주 커버(311), 및 스톱퍼 장착공(312)(326)을 각각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각각 3개 설치된 것을 보여주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한 개수로 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형태에 의해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여러 가지의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하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변경 및 변형은 본원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며, 본원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는 금속제 프레임 및 이 금속제 프레임을 덮는 수지 커버로 구성되고, 금속제 프레임이 벌브의 방전용기를 고정한다.따라서, 종래의 수지재료에 의한 베이스를 사용한 것에 비해 재료 열화가 없고, 벌브와 베이스를 장기간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지 커버가 벌브 장착 가이드의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벌브를 커플러부에 장착할 때, 벌브의 배기 관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내부에 방전 가스가 봉입되어 있는 방전용기를 갖는 벌브와, 상기 벌브를 지지고정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통하여 착탈이 자유롭게 결합되며, 상기 벌브를 여기(勵起)하기 위한 커플러부를 구비하는 무전극 방전 램프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벌브의 방전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금속제 프레임과, 상기 금속제 프레임의 상기 벌브에 대향하는 부분을 덮는 수지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금속제 프레임은 상기 커플러부가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세워지고, 상기 벌브의 방전용기를 고정하기 위한 지주부를 구비하고,
    상기 방전용기는,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는 위치의 근방에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금속제 프레임의 지주부 및 상기 지주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상기 수지 커버의 지주부에는 상기 벌브의 그루브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벌브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장하여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벌브 이탈방지용의 금속편을 끼워넣고, 상기 금속편의 선단을 상기 벌브의 그루브에 끼워 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극 방전 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 끼워 넣어진 금속편을 덮기 위한 수지편을 상기 관통공에 외방측으로부터 끼워 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극 방전 램프.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의 방전관은 그 중앙부 근방에 배기관을 갖고,
    상기 수지 커버는 벌브축 방향으로 상기 커플러부를 장착하기 위한 통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통형상부는 상기 벌브를 상기 커플러부에 장착할 때, 상기 배기관을 보호하는 벌브 장착가이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극 방전 램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의 그루브의 주위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벌브를 상기 그루브에 대향하는 상기 수지커버와 접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극 방전 램프.
KR1020087003998A 2005-08-26 2005-09-28 무전극 방전 램프 KR1009224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46854 2005-08-26
JP2005246854A JP2007059358A (ja) 2005-08-26 2005-08-26 無電極放電ラン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429A KR20080031429A (ko) 2008-04-08
KR100922464B1 true KR100922464B1 (ko) 2009-10-21

Family

ID=3777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998A KR100922464B1 (ko) 2005-08-26 2005-09-28 무전극 방전 램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48884B2 (ko)
EP (1) EP1918960A4 (ko)
JP (1) JP2007059358A (ko)
KR (1) KR100922464B1 (ko)
CN (1) CN101248504B (ko)
WO (1) WO20070235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87983A4 (en) * 2005-06-07 2008-12-17 Direct Flow Medical Inc STENT-FREE AORTENKLAPPENERSATZ WITH HIGH RADIAL STRENGTH
ES2667098T3 (es) 2014-08-04 2018-05-09 Flowil International Lighting (Holding) B.V. Lámpara de reemplazo y de ahorro de energía con bobina magnética integrada y con quemador de halogenuros metálicos cerámicos para sustituir lámparas de vapor de mercurio, lámparas de sodio de alta presión y lámparas de halogenuros metálicos de cuarz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1004A (ja) * 2001-04-26 2003-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球形無電極放電ランプおよび無電極放電ランプ
JP2004327391A (ja) * 2003-04-28 2004-11-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無電極放電灯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0400A (en) 1975-08-13 1977-03-01 Hollister Donald D Light generation by an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US4258287A (en) * 1979-06-13 1981-03-24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lar fluorescent lamp unit
JPS5936408B2 (ja) * 1980-03-07 1984-09-04 日立照明株式会社 放電灯用安定器の製造方法
JPS59219848A (ja) * 1983-05-27 1984-12-11 Hitachi Ltd 電球形けい光ランプ
NL8601092A (nl) * 1986-04-29 1987-11-16 Philips Nv Elektrische lamp.
NL8602378A (nl) 1986-04-29 1987-11-16 Philips Nv Elektrische lamp.
GB9407132D0 (en) 1994-04-11 1994-06-01 Ge Lighting Ltd Bulb mounting arrangement for an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EP0839382A1 (en) 1996-04-19 1998-05-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ic lamp
JPH11508405A (ja) 1996-04-19 1999-07-21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ネ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無電極の低圧放電ランプ
JP4090769B2 (ja) * 2001-03-27 2008-05-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球形ラン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736526B2 (en) 2001-03-27 2004-05-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ulb-type lamp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bulb-type lamp
EP1253615A3 (en) 2001-04-26 2005-11-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deless discharge lamps
JP2003257379A (ja) * 2001-12-28 2003-09-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電極放電ランプ
JP4396327B2 (ja) 2004-03-05 2010-01-13 リコープリンティ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241515B2 (ja) 2004-06-10 2009-03-1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US7728500B2 (en) 2004-06-25 2010-06-0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JP4665480B2 (ja) 2004-10-26 2011-04-0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照明器具、および照明システム
CN101331805A (zh) 2006-02-13 2008-12-2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介质阻挡放电灯设备和用于液晶显示器的背光
US7365951B2 (en) 2006-03-07 2008-04-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lighting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1004A (ja) * 2001-04-26 2003-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球形無電極放電ランプおよび無電極放電ランプ
JP2004327391A (ja) * 2003-04-28 2004-11-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無電極放電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18960A4 (en) 2010-01-13
WO2007023572A1 (ja) 2007-03-01
CN101248504A (zh) 2008-08-20
JP2007059358A (ja) 2007-03-08
CN101248504B (zh) 2010-05-12
KR20080031429A (ko) 2008-04-08
US8148884B2 (en) 2012-04-03
EP1918960A1 (en) 2008-05-07
US20100066233A1 (en)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8410B2 (en) Support and enclosure structure for fluorescent light bulbs
KR100922464B1 (ko) 무전극 방전 램프
JP2008053178A (ja) 無電極放電灯装置及び照明器具
JP4625866B2 (ja) 電球型蛍光灯
CA1316158C (en) Leg strap for u-shaped lamp
KR100806361B1 (ko) 무전극 램프
JP4089498B2 (ja) 無電極放電灯
JP2010244938A (ja) 照明器具
US5834890A (en) Electrodeless fluorescent lamp
JP2009158180A (ja) 無電極ランプ用保持具および照明器具
JPH1154090A (ja) 無電極放電灯装置
JP2006331887A (ja) 無電極放電灯点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4456377B2 (ja) 無電極放電灯装置
JP2998506B2 (ja) ランプ取付具
KR101400780B1 (ko) 무전극 램프
JP5037167B2 (ja) 無電極放電ランプ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器具
JP2012009272A (ja) 無電極放電灯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4179175B2 (ja) 無電極放電ランプ装置
JP2009205831A (ja) 無電極ランプ用保持具および照明器具
JP2010146816A (ja) 無電極放電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KR200156665Y1 (ko) 음극선관의 베이스 캡
JPH06260082A (ja) 放電ランプ
JPH10125289A (ja) 無電極蛍光ランプ
JP3090796U (ja) 車両用前照灯の放電管用口金
JP4655009B2 (ja) 無電極放電灯装置及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