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881B1 - 전자 접촉기 - Google Patents

전자 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881B1
KR100921881B1 KR1020057009307A KR20057009307A KR100921881B1 KR 100921881 B1 KR100921881 B1 KR 100921881B1 KR 1020057009307 A KR1020057009307 A KR 1020057009307A KR 20057009307 A KR20057009307 A KR 20057009307A KR 100921881 B1 KR100921881 B1 KR 100921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iron core
movable iron
contactor
movab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3982A (ko
Inventor
코지 오쿠보
히데카즈 미야자와
히데히코 오가와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3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4Means for adjusting limits of movement; Mechanical means for adjusting return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3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 H01H50/305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e.g. by balancing of armature damping vibration due to functional movement of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0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movable inside coil and substantially lengthwise with respect to axis thereof; movable coaxially with respect to coil
    • H01H50/22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movable inside coil and substantially lengthwise with respect to axis thereof; movable coaxially with respect to coil wherein the magnetic circuit is substantially closed

Abstract

몰드 프레임(8)에, 가동 접촉자 받침(6)을 끼워서 가동 철심(4)의 배면과 대향하는 한 쌍의 충돌부(14, 15)를 형성하고, 또한 충돌부(14)를 충돌부(15)보다도 높게 하여 단차(S)를 마련한다. 또한, 가동 접촉자 받침(6)의 가동 철심 배면과 접하는 기저면의 충돌부(14)에 가까운 측에 경사면(16)을 형성한다. 이 전자 접촉기를 높은 쪽의 충돌부(14)를 하측으로 하여 부착한 경우에는, 석방시에 충돌하는 가동 접촉자 받침(6)을 충돌부(14)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시켜서 충격을 완화한다. 한편, 낮은쪽의 충돌부(15)를 하측으로 하여 부착한 경우에는, 가동 접촉자 받침(6)이 튀어 되돌아올 때, 판 스프링(5)에 의해 가동 철심측으로 끌어당긴 가동 접촉자 받침(6)을 경사면(16)을 통하여 가동 철심의 배면에 충돌시키고, 되튀김의 관성을 지워서 충격을 완화한다.
전자 접촉기

Description

전자 접촉기{ELECTROMAGNETIC CONTACTOR}
본 발명은, 조작 전자석에 의해 접점을 개폐하는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철심 석방시(釋放時)의 가동 접촉자 받침의 되튀김을 방지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접촉기는 일반적으로, 조작 전자석의 가동 철심에 연결된 가동 접촉자 받침에 각 상(相)의 가동 접촉자가 지지됨과 함께, 가동 접촉자 받침을 슬라이드 자유롭게 안내하는 몰드 프레임에 전후 한 쌍의 고정 접촉자가 각 상별로 고정되고, 전자 코일의 여자에 의해 가동 철심이 흡인되면, 가동 접촉자가 고정 접촉자를 교락(橋絡)하여 전로(電路)가 폐로(閉路)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후, 전자 코일이 소자(消磁)되면, 석방된 가동 철심은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구동되고, 가동 접촉자가 고정 접촉자로부터 분리되어 전로가 개로된다. 그 경우, 석방된 가동 철심은 몰드 프레임에 충돌하여 정지하기 때문에, 가동 접촉자 받침의 되튀김에 의해, 한 번 분리한 가동 접촉자가 고정 접촉자에 접촉하여 전로를 재 폐로하여 버릴 위험이 있다.
그래서, 그 대책을 시행한 전자 접촉기로서, 실개소64-16O43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전자 접촉기는 가동 접촉자 받침의 가동 철심 배면과 맞 닿은 기저면에 단차를 마련하고, 가동 철심이 몰드 프레임에 충돌한 때에, 가동 철심을 이 단차분만큼 기울어지게 하여, 가동 접촉자 받침의 되튀김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도 7은, 상기한 실개소64-16O43호 공보 기재의 것과 유사한 다른 종래예를 도시한 전자 접촉기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이것에 의거하여 다시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조작 전자석은 전자 코일(1)을 구비한 고정 철심(2)과, 고정 철심(2)에 복귀 스프링(3)에 대항하여 흡인되는 가동 철심(4)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동 철심(4)의 배면에는 판 스프링(5)을 통하여 가동 접촉자 받침(6)이 연결되고, 가동 접촉자 받침(6)에 각 상의 가동 접촉자(7)가 지지되어 있다. 가동 접촉자 받침(6)은 몰드 프레임(8)에 도 7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안내되어 있다. 한편, 몰드 프레임(8)에는 전후 한 쌍의 고정 접촉자(9, 9)가 각 상별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도 7의 "석방(release)" 상태에 있어서, 가동 철심(4)의 배면에 접하는 가동 접촉자 받침(6)의 기부(基部)(6a)는 몰드 프레임(8)에 대면하고, 또한 그 일단(도 7의 하단부)은 몰드 프레임(8)에 맞닿아 있다. 이에 대해, 기부(6a)의 타단(도 7의 상단부)은 하단부와의 사이에 마련된 단차(S)(도 8)에 의해, 몰드 프레임(8)과의 사이에 같은 간극이 열려 있다. 또한, 고정 접촉자(9)에는 주(主)단자(10)가 일체 형성되고, 단자 나사(1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몰드 프레임(8)의 도 7의 상측에는 전자 코일(1)에 급전하는 코일 단자(12)가 부착되고, 단자 나사(13)가 장착되어 있다.
도 8은 도 7의 전자 접촉기의 동작 설명도로서, 도 8의 (A)는 투입시, 동 (B)는 석방 때이다. 도 8에 있어서, 전자 코일(1)(도 7)이 여자되면, 가동 철심(4)은 고정 철심(2)에 흡인되고, 가동 접촉자 받침(6)에 지지된 가동 접촉자(7)는 좌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9, 9) 사이를 교락한다. 이로써, 주단자(10, 10) 사이의 전로가 폐로된다(닫힌다). 그 후, 전자 코일(1)의 소자에 의해 가동 철심(4)이 석방되면, 복귀 스프링(3)(도 7)의 스프링력에 의해 가동 철심(4)이 고정 철심(2)으로부터 떼어지고, 가동 접촉자(7)가 고정 접촉자(9)로부터 분리되어, 전로가 개로된다(열린다).
이때, 복귀 스프링(3)으로 구동된 가동 철심(4)은,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 받침(6)의 기부(6a)의 하단부를 통하여 몰드 프레임(8)에 충돌하고 그 정지 위치가 규제되는데, 그때, 가동 철심(4) 및 가동 접촉자 받침(6)으로 이루어지는 가동부는 기부(6a)의 상단부와 몰드 프레임(8)과의 간극의 존재에 의해 화살표로 나타내는 우회전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에 의해 가동부(4, 6)의 운동 에너지는 회전 모멘트로서 소비되고, 가동 철심(4)과 몰드 프레임(8)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이 완화되는 결과, 가동 접촉자 받침(6)의 되튀김에 의해 전로가 다시닫히는 것이 방지된다.
전자 접촉기는 통상,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 단자(12)가 마련된 측(전원측)을 위로 하여 횡방향 자세로 반(盤)에 부착되는데, 이 부착 자세로 실개소64-16O43호 공보 기재 또는 도 7의 전자 접촉기는, 가동 접촉자 받침의 단차가 상측에 오도록 제작되어 있다.
그 경우, 도 7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 받침(6)을 통하여 몰드 프레임(8)에 편측 지지된 가동 철심(4)은, 그 중량 때문에 석방 상태에서 좌회전으로 약간 기울어저서, 가동 철심(4)의 하측이 가동 접촉자 받침(6)을 통하여 몰드 프레임(8)에 맞닿는다. 그 때문에, 석방시에 가동 철심(4)은 항상 하측부터 몰드 프레임(8)에 충돌하여 상측의 단차가 유효하게 작용하고, 가동 철심(4)은 하측을 지점으로하여 회전하여 충격을 완화한다. 이것은, 실개소64-16O43호 공보 기재의 전자 접촉기에 관해서도 같다. 덧붙여서, 가동 접촉자 받침과 몰드 프레임의 안내면과의 사이에는 갭이 존재하고, 이 갭에 의해 상기한 가동 철심의 기울어짐이 생긴다.
이에 대해, 종래의 전자 접촉기는, 코일 단자(12)가 아래가 되는 방향으로, 즉 가동 접촉자 받침(6)의 단차가 하측에 오는 방향으로 전자 접촉기를 부착하면, 가동 철심(4)이 상기한 기울어짐 때문에 가동 접촉자 받침(6)의 단차의 작용을 잃어버리고, 석방시의 가동 철심(4)의 회전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충격 완화 작용도 얻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종래의 전자 접촉기는 부착 방향이 일방향으로 정해지고, 코일 단자(12)가 위로 된 방향으로 사용이 한정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기기 배치의 다양화에 의해 코일 단자(12)를 아래로 하여 전자 접촉기를 부착할 필요가 생겨 왔다. 그러나, 이 부착 자세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석방시의 완충 작용을 얻을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석방시에 가동 철심을 회전시켜서 충격을 완화하는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코일 단자가 상하 어느 방향의 부착 자세라도 완충 작용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 코일을 구비한 고정 철심과, 이 고정 철심에 복귀 스프링에 대항하여 흡인되는 가동 철심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전자석을 가지며, 상기 가동 철심의 배면에 판 스프링을 통하여 연결된 가동 접촉자 받침에 각 상의 가동 접촉자가 지지됨과 함께, 상기 가동 접촉자 받침을 슬라이드 자유롭게 안내하는 몰드 프레임에 전후 한 쌍의 고정 접촉자가 각 상별로 고정되고, 상기 전자 코일의 여자에 의해 상기 가동 철심이 흡인되면, 상기 가동 접촉자가 상기 고정 접촉자를 교락하고, 상기 전자 코일의 소자에 의해 상기 가동 철심이 석방되면, 상기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가동 철심이 구동되고, 상기 가동 접촉자가 상기 고정 접촉자로부터 분리됨과 함께, 상기 가동 철심은 상기 몰드 프레임에 충돌하여 정지하는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에 상기 가동 접촉자 받침을 끼워서 상기 가동 철심의 배면과 대향하는 한 쌍의 충돌부를 형성하고, 또한 이들의 충돌부에 고저차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가동 접촉자 받침의 상기 가동 철심의 배면과 접하는 기저면의 높은 쪽의 상기 충돌부에 가까운 측에, 상기 기저면의 중심의 앞쪽에서부터 단부(端部)를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높은 쪽의 충돌부를 하측으로 하여 전자 접촉기를 부착한 경우에는 석방시에 이 충돌부를 지점으로 하여 종래와 마찬가지로 가동 철심을 회전시키는 한편, 낮은쪽의 충돌부를 하측으로 하여 부착한 경우에는 가동 접촉자 받침의 되튀김 때에, 판 스프링에 의해 가동 철심측으로 끌어당긴 가동 접촉자 받침을 경사면을 통하여 가동 철심의 배면에 충돌시킴에 의해, 되튀김의 관성을 지워서 충격을 완화시킨다. 이로써, 전자 접촉기를 통상시와 상하 반전시켜서 부착한 경우에도, 가동 철심의 충돌에 대하여 완충 작용을 생기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시한 전자 접촉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가동부를 도시하고, (A)는 측면도, (B)는 하면도.
도 3은 도 1의 전자 접촉기를 코일 단자를 아래로 하여 부착한 때의 가동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주요부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전자 접촉기를 코일 단자를 위로 하여 부착한 때의 가동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주요부 측면도.
도 5는 도 3의 동작을 더욱 상세히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도 4의 동작을 더욱 상세히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종래예를 도시한 전자 접촉기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7의 전자 접촉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가동부의 주요부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 코일 2 : 고정 철심
3 : 복귀 스프링 4 : 가동 철심
5 : 판 스프링 6 : 가동 접촉자 받침
7 : 가동 접촉자 8 : 몰드 프레임
9 : 고정 접촉자 14 : 충돌부
15 : 충돌부 16 : 경사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시한 전자 접촉기의 투입 상태의 종단면도, 도 2의 (A)는 도 1의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의 가동 부분(가동 철심 및 가동 접촉자 받침)의 측면도, 도 2의 (B)는 그 하면도이다. 또한, 종래예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있어서, 몰드 프레임(8)에 가동 접촉자 받침(6)을 끼워서 가동 철심(4)의 배면과 대향하는 한 쌍의 충돌부(14 및 15)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충돌부(14, 15)에는 고저차가 마련되고, 충돌부(14) 쪽이 충돌부(15)보다 단차(S)만큼 키가 크게 되어 있다. 충돌부(14, 15)는 판형상이고, 도 1의 지면(紙面)에 수직한 방향의 폭은, 도 2의 (B)에 도시한 가동 철심(4)의 코어 적층 두께와 개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한편, 가동 접촉자 받침(6)의 가동 철심(4)의 배면과 접하는 기저면(基底面)에, 기울기(θ)를 갖는 경사면(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16)은 가동 접촉자 받침(6)의 기저면이 높은 쪽의 충돌부(14)에 가까운 측에 이 기저면의 중심의 앞쪽(도 1에 있어서, 가동 접촉자 받침(6)의 중심보다도 위로 치우친)으로부터 단부를 향하고 하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 접촉자 받침(6)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부(6a)로부터 가동 철심(4)의 양측을 끼우도록 늘어나는 좌우 한 쌍의 암부(6b)에, 도 2의 (A)의 상측으로 개구하는 홈(17)이 마련되고, 이 홈(17)을 통하여 암부(6b)가, 가동 철심(4)의 창구멍(18)을 관통하는 아치 형상의 판 스프링(5)의 양단에, 도 2의 (A)의 하측에서부터 끼워 넣어짐에 의해, 가동 철심(4)에 그 배면에 꽉 눌리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가동 접촉자 받침(6)은 볼록부(6c)가 가동 철심(4)의 배면의 오목부에 끼워맞춤에 의해 빠짐 방지되어 있다. 전자 접촉기의 그 밖의 구성은 도 7의 종래예와 실질적으로 같다.
도 3은, 도 1의 전자 접촉기를 코일 단자(12)가 아래가 되는 방향으로 부착한 때의 가동 부분의 측면도이다. 이 부착 상태에서 키가 높은 충돌부(14)가 하측으로, 키가 낮은 충돌부(15)가 상측으로 되고, 석방 때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철심(4)의 배면이 충돌부(14)에 먼저 충돌하고, 가동 부분(4, 6)은 충돌부(14)를 지점으로 하여 화살표로 나타내는 우회전으로 회전하여 충격을 완화한다. 이 작용은 종래예와 실질적으로 같다.
이 완충 작용에 관해, 도 5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동작 순서 ① 내지 ⑤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가동 철심(4)은 석방되면, ①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가 높은 충돌부(14)에 먼저 충돌하고, 뒤이어 가동부(4, 6)가 충돌부(14)를 지점으로 하여 우회전으로 회전하고, 가동 철심(4)은 ②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가 낮은 충돌부(15)에도 충돌한다. 이때, 가동 접촉자 받침(6)은 판 스프링(5)을 변형시키면서 좌회전으로 회전한다.
이 동안, 대부분의 운동 에너지는 회전 모멘트로서 흡수된다. 계속해서, ③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철심(4)과 가동 접촉자 받침(6)이 판 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해 서로 맞당기고, 각각 좌회전 및 우회전으로 되돌아와 가동 철심(4)의 배면과 가동 접촉자 받침(6)의 경사면(16)이 충돌한다. 이로써 다시 약간의 운동 에너지의 흡수가 행해진다. 그 후, ④에서 가동 철심(4)의 배면과 가동 접촉자 받침(6)의 기단면이 맞닿은 후, ⑤에서 가동 철심(4)이 키가 높은 충돌부(14)에 맞 닿아서 정지한다.
다음에, 도 4의 (A) 내지 (C)는, 코일 단자(12)가 위가 되는 방향으로 전자 접촉기를 부착한 때(도 1 참조)의 동작을 설명하는 가동 부분의 측면도이다. 이 부착 상태에서는 키가 높은 충돌부(14)가 상측으로, 키가 낮은 충돌부(15)가 하측으로 된다. 도 1의 투입 상태로부터 가동 철심(4)이 석방되면,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철심(4)은 먼저 상측의 키가 높은 충돌부(14)에 충돌하고, 뒤이어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좌회전으로 회전하여 키가 낮은 충돌부(15)에 충돌한다. 이때, 가동 접촉자 받침(6)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회전으로 회전하고, 판 스프링(5)을 변형시킨다. 그 후,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철심(4)과 가동 접촉자 받침(6)은 변형한 판 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해 서로 맞당기고, 가동 철심(4)의 배면에 가동 접촉자 받침(6)의 경사면(16)이 충돌하여 여기서 운동 에너지가 흡수된다.
이 완충 작용에 관해, 도 6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동작 순서 ① 내지 ⑥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동 철심(4)이 석방되면, ①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가 높은 충돌부(14)에 먼저 충돌하고, 뒤이어 가동부(4, 6)가 충돌부(14)를 지점으로 하여 좌회전으로 회전하고, 가동 철심(4)은 ②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가 낮은 충돌부(15)에도 충돌한다. 그와 동시에, 가동 접촉자 받침(6)은 관성에 의해 하단부를 지점으로 화살표로 나타내는 우회전으로 회전하고, 판 스프링(5)을 최대한으로 변형시킨다. 뒤이어, ③에서는 판 스프링(5)의 복원에 의해 가동 접촉자 받침(6)이 가동 철심(4)으로 끌려 되돌아오고, 그 기저면이 가동 철심(4)의 배면에 충돌하고, 다시 ④에서 경사면(16)이 충돌한다. 이로써, 운동 에너지의 흡수가 행해진다. 뒤이어, 그 반동에 의해, ⑤에서는 가동 접촉자 받침(6)의 기저면이 가동 철심(4)의 배면에 재차 맞닿음과 함께, 가동 철심(4)은 충돌부(14)로부터 일단 떨어지지만, 그 후는 재차 충돌부(14)에 맞닿아서, ⑥에서 정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 접촉자 받침을 끼우고, 고저차가 있는 한 쌍의 충돌부를 가동 철심의 배면과 대향시켜서 몰드 프레임에 형성하는 한편, 가동 접촉자 받침의 가동 철심의 배면과 접하는 기저면에 경사면을 형성함에 의해, 코일 단자를 상하 어느 쪽 방향으로 하여 전자 접촉기를 부착하여도, 석방시에 있어서의 가동부와 몰드 프레임의 충돌을 완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

  1. 전자 코일을 구비한 고정 철심과, 이 고정 철심에 복귀 스프링에 대항하여 흡인되는 가동 철심으로 이루어지는 조작 전자석을 가지며, 상기 가동 철심의 배면에 판 스프링을 통하여 연결된 가동 접촉자 받침에 각 상의 가동 접촉자가 지지됨과 함께, 상기 가동 접촉자 받침을 슬라이드 자유롭게 안내하는 몰드 프레임에 전후 한 쌍의 고정 접촉자가 각 상별로 고정되고, 상기 전자 코일의 여자에 의해 상기 가동 철심이 흡인되면, 상기 가동 접촉자가 상기 고정 접촉자를 교락하고, 상기 전자 코일의 소자에 의해 상기 가동 철심이 석방되면, 상기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가동 철심이 구동되고, 상기 가동 접촉자가 상기 고정 접촉자로부터 분리됨과 함께, 상기 가동 철심은 상기 몰드 프레임에 충돌하여 정지하는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에, 상기 가동 접촉자 받침을 끼워서 상기 가동 철심의 배면과 대향하는 한 쌍의 충돌부를 형성하고, 또한 이들의 충돌부에 고저차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가동 접촉자 받침의 상기 가동 철심의 배면과 접하는 기저면의 높은 쪽의 상기 충돌부측에, 상기 기저면의 중심의 앞쪽에서부터 단부를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KR1020057009307A 2002-11-27 2003-09-19 전자 접촉기 KR100921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43939 2002-11-27
JP2002343939 2002-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982A KR20050083982A (ko) 2005-08-26
KR100921881B1 true KR100921881B1 (ko) 2009-10-13

Family

ID=3237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307A KR100921881B1 (ko) 2002-11-27 2003-09-19 전자 접촉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095303B2 (ko)
EP (1) EP1580784B1 (ko)
JP (1) JP4257391B2 (ko)
KR (1) KR100921881B1 (ko)
CN (1) CN1326174C (ko)
AU (1) AU2003266545A1 (ko)
DE (1) DE60306962T8 (ko)
TW (1) TWI269334B (ko)
WO (1) WO20040493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30376B4 (de) * 2005-06-29 2009-03-26 Siemens Ag Herstellverfahren für eine Kontaktfläche in einem Elektromagneten sowie Elektromagnet
KR100749784B1 (ko) 2006-04-28 2007-08-17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정음형 미니 릴레이
KR101513207B1 (ko) * 2013-11-08 2015-04-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
CN105793951B (zh) * 2014-05-20 2017-10-10 富士电机机器制御株式会社 电磁接触器
KR101741586B1 (ko) * 2014-10-31 2017-05-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 크로스바 구조
JP6138381B2 (ja) * 2014-12-24 2017-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開閉器
DE112019000694A5 (de) * 2018-02-07 2020-10-15 Tdk Electronics Ag Schaltvorrichtung zum Schalten einer elektrischen Last
DE102018207468B3 (de) * 2018-05-15 2019-08-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gerät mit einer reduzierten mechanischen Schlagbelastung bei Änderung des Betriebsmodus in den ausgeschalteten Zustan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6043U (ko) * 1987-07-20 1989-01-26
JPH02119024A (ja) * 1988-10-28 1990-05-07 Hitachi Ltd 電磁接触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60429B1 (fr) 1984-02-28 1987-06-19 Telemecanique Electrique Electro-aimant silencieux et contacteur utilisant un tel electro-aimant
JPS61216216A (ja) * 1985-03-22 1986-09-2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接触器
JPH0683257B2 (ja) 1987-07-09 1994-10-19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ケット通信方式
JPH0792232B2 (ja) 1988-11-30 1995-10-09 阪神エレクトリック株式会社 給湯システム用流量取込み方法
JPH02150631U (ko) * 1989-05-22 1990-12-27
JPH0358844A (ja) 1989-07-27 1991-03-14 Canon Inc 通電記録材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とこの装置で用いる記録材取扱い部材
JPH0358844U (ko) * 1989-10-14 1991-06-10
JP3132053B2 (ja) 1991-07-10 2001-02-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固体電解コンデンサ
JPH0594754A (ja) 1991-10-03 1993-04-16 Fuji Electric Co Ltd 電磁接触器
JPH076680A (ja) 1993-06-21 1995-01-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磁接触器
JP3166559B2 (ja) * 1994-10-25 2001-05-14 富士電機株式会社 電磁接触器の電磁石装置
US6297717B1 (en) * 2000-03-10 2001-10-02 Eaton Corporation Contactor with floating armature
US6377143B1 (en) * 2001-03-16 2002-04-23 Eaton Corporation Weld-free contact system for electromagnetic contacto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6043U (ko) * 1987-07-20 1989-01-26
JPH02119024A (ja) * 1988-10-28 1990-05-07 Hitachi Ltd 電磁接触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소화64016043 U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06962D1 (de) 2006-08-31
TWI269334B (en) 2006-12-21
DE60306962T8 (de) 2007-12-13
US20060125581A1 (en) 2006-06-15
AU2003266545A1 (en) 2004-06-18
TW200409158A (en) 2004-06-01
CN1326174C (zh) 2007-07-11
US7095303B2 (en) 2006-08-22
CN1703767A (zh) 2005-11-30
EP1580784A4 (en) 2005-12-14
JP4257391B2 (ja) 2009-04-22
DE60306962T2 (de) 2007-08-30
EP1580784A1 (en) 2005-09-28
WO2004049368A1 (ja) 2004-06-10
KR20050083982A (ko) 2005-08-26
EP1580784B1 (en) 2006-07-19
JPWO2004049368A1 (ja) 200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881B1 (ko) 전자 접촉기
JP4116022B2 (ja) 電磁リレー
US20060181376A1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0690148B1 (ko) 회로차단기의 전자 트립장치
CN112912985A (zh) 触点装置
US11114264B2 (en) Insertion structure between static spring and bobbin
WO2020148994A1 (ja) リレー
CN210805638U (zh) 一种小型大功率电磁继电器的接触系统
CN111725028A (zh) 一种低噪音的电磁继电器
KR200388598Y1 (ko) 정음형 릴레이
CN219979461U (zh) 一种抗冲击的磁保持电磁继电器
KR102088395B1 (ko) 해머링크형 차단기
JP4372596B2 (ja) ブレーカ
CN110767504A (zh) 一种小型大功率电磁继电器的接触系统
CN214505388U (zh) 一种平衡力式密封电磁继电器
JP5415366B2 (ja) 電磁接触器
JPS59123205A (ja) 電磁石
JPH07130267A (ja) 低騒音電磁接触器
JP2011096472A (ja) 電磁接触器
CN117711848A (zh) 一种开关电器的动作部件及开关电器
JPS63266719A (ja) 接点機構
CN112424895A (zh) 开关及操作装置
JP3210692B2 (ja) 電磁継電器
JP5043973B2 (ja) 誤動作防止機構を備えたソレノイド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鍵管理システム
JP2020101047A (ja) 引戸等の移動物体の自動閉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